KR20050117206A -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206A
KR20050117206A KR1020040042451A KR20040042451A KR20050117206A KR 20050117206 A KR20050117206 A KR 20050117206A KR 1020040042451 A KR1020040042451 A KR 1020040042451A KR 20040042451 A KR20040042451 A KR 20040042451A KR 20050117206 A KR20050117206 A KR 2005011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unnel
session initi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806B1 (ko
Inventor
권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806B1/ko
Priority to US11/064,655 priority patent/US20050286504A1/en
Priority to CNA2005100667285A priority patent/CN1708047A/zh
Priority to EP05010783A priority patent/EP1605662B1/en
Publication of KR2005011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adapted for mobile IP [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은, 이동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외부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 실시 후,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홈 어드레스와 FACoA(Foreign Agent Care-of 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등록 실시 후, 상대 단말기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가 상기 등록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 에이전트와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사이에 제1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1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받은 이동단말기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자신과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제2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2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음성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A PHONE-BASED MOBILE INTERNET PROTOCOL,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AN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ERVER, AND ROUTING PATH CONTROL METHOD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이하 모바일 IP라 함.),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P: 이하 VoIP라 함.),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라우팅(routing) 경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이 발달하면서 모든 개인 이동단말기에도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이동 중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모바일(mobile) IP는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에서 이동성을 보여 주는 기술이다. 모바일 IP는 다양한 가입자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도 끊어지지 않고 인터넷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가입자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들의 예를 들면, xDSL(Digital Subscriber Line and its variation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2000-1x,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WCDMA(wideband CDMA) 등이 있다. 모바일 IP 기술이 VoIP 기술과 접목될 경우 시내/시외전화 등 공중통신망(PSTN) 가입자와의 음성전화 통화가 가능하며, H.323영상통신 프로토콜 기술과 결합될 경우 이동영상전화 서비스도 가능하게 된다.
SIP는 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이나 호를 설정(establish), 수정(modify), 종료(terminate)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제어 프로토콜이다.
SIP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는 SIP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단말기{혹은 이동 노드(Mobile Node: MN)}를 의미한다. SIP 서버는 프록시(proxy) 서버, 로케이션(location) 서버, 리다이렉트(redirect) 서버, 혹은 레지스트라(registra) 서버를 의미하는데, 이는 상기 서버들이 물리적으로 같은 플랫폼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SIP 유저 에이전트는 초기화 과정에서 현재 위치의 IP 어드레스를 자신의 고유 URI(address-of-record)와 함께 레지스트라 서버에 등록하고, 상대 단말기{혹은 상대 노드(Correspondent Node: CN)}는 레지스트라 서버에 등록된 해당 이동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참고하여 세션 연결을 시도한다. 이처럼 SIP를 이용한 이동성 제공은 자신의 SIP URI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른 이동단말기나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게 되면 새로운 장소에서 음성패킷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IP를 받아야 하고, 이 과정에서 호가 끊기게 된다. 즉, SIP는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이동성은 지원하지만,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이동성은 지원하지 않는다. 그런데 모바일 IP 기반 이동단말기에서 SIP를 이용하면 이동을 할 때에도 끊어짐 없이 호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SIP를 이용한 VoIP 서비스를 할 때 모바일 IP를 함께 사용하면 이동 중에도 끊어지지 않고 SIP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IP를 사용할 때, IPv4의 경우 이동단말기가 수신하는 패킷들은 반드시 홈 에이전트(Home Agent: HA)를 통해야만 하므로 이때 트라이앵글 라우팅 경로가 설정되어 수신되는 패킷경로와 이동단말기에서 발신되는 패킷경로가 달라 통화자 사이에 느끼는 품질이 달라질 수 있고 홈 에이전트를 거쳐 오는 패킷들은 경로가 길어짐으로써 패킷 손실과 시간 지연, 지터(Jitter) 등의 서비스 품질(이하 QoS라 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항상 홈 에이전트를 거치도록 한 것은 홈 에이전트의 부하를 높이는 한 원인이 된다.
한편, 음성 패킷이 교환되기 전에 상대 단말기와 이동단말기 사이에는 SIP를 통한 세션이 맺어져야 하는데, SIP 서버가 프록시 모드(프록시 서버)로 동작할 경우 SIP 프록시 서버 역시 상대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트라이앵글 라우팅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IP, SIP, VoIP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시 트라이앵글 라우팅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조부호 123은 보이스 트래픽(voice traffic)이 상대 단말기(CN)에서 홈 에이전트(HA)로, 그리고 홈 에이전트(HA)에서 외부 에이전트(FA)로, 외부 에이전트(FA)에서 상대 단말기(CN)로 이어지는 트라이앵글 라우팅 형태를 보임을 나타낸다.
최근의 라우터들은 소스어드레스가 네트워크 토폴로지 측면에서 바르지 않을 경우 인그레스 필터링(ingress-filtering)을 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예를 들어 IPv4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반드시 역터널링(reverse tunneling) 기법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업 링크와 다운 링크의 경로가 동일한 반면에 두 통화자 사이의 데이터들이 항상 홈 에이전트(HA)를 거쳐야 한다. 이는 전송경로가 필요 없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홈 에이전트(HA)로의 트래픽이 집중되어 통화 품질 악화는 물론이고, 심지어 시스템이 다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그레스 필터링은 IP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가 네트워크 토폴로지 측면에서 바르지 않을 경우 사용되는 기능이다. 즉, IP 헤더의 소스어드레스 필드(field)를 검사하여 그 링크에 적절하지 않은 어드레스로부터 수신된 패킷일 경우에는 그 패킷을 버리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다.
모바일 IP에서는 이러한 트라이앵글 라우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 단말기(CN)는 이동단말기(MN)의 홈 어드레스(Home Address)와 현재 위치(Care-of Address: 이하 CoA라 함.)의 바인딩을 캐시에 저장하여 상대 단말기(CN)에서 홈 에이전트(HA)를 거치지 않고 직접 이동단말기(MN)의 CoA로 패킷을 터널링할 수 있도록 하는 라우팅 최적화(routing optimization)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터널링은 보내려는 패킷의 수신자주소가 수신자가 위치한 도메인 주소체계와 다를 경우 라우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라우팅이 가능한 헤더로 캡슐화해서 전송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라우팅 최적화가 구현된 홈 에이전트(HA)나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FA)를 구현하고 새로 포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중에 세션이 유지될 수 있는 VoIP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모바일 IP를 사용할 때, 트래픽의 라우팅 경로를 최적화시킴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하여 VoIP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고 전체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SIP 서버, 및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1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이, 이동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외부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 실시 후,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홈 어드레스와 FACoA(Foreign Agent Care-of 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등록 실시 후, 상대 단말기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가 상기 등록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 에이전트와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사이에 제1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1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받은 이동단말기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자신과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제2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2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음성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2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위치 이동 감지가 있으면 홈 어드레스와 CoA(Care-of-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발생하는 등록 메시지 발생부와, 상기 등록 메시지를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3발명은 하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가, 제1이동단말기가 전송하는 홈 어드레스와 CoA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2이동단말기의 제1이동단말기 초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이동단말기의 CoA를 찾는 탐색부와, 상기 제1이동단말기의 CoA에 따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상기 제1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도메인 이름, 어드레스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예: 모바일 IP의 동작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모바일 IP 기능을 가진 이동단말기(MN)가 다른(방문자) 네트워크에서 SIP를 이용한 VoI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서는 모바일 IP와 SIP 유저 에이전트가 구현된 이동단말기(MN), 홈 에이전트, 외부 에이전트, SIP 서버(프록시 서버, 레지스트라 서버, 로케이션 서버), 이동단말기(MN)와 통신하는 상대 단말기(CN)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자 네트워크에서의 SIP 등록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록 메시지(REGISTER)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사용하는데, 접촉(contact) 헤더와 함께 사용한다. 접촉 헤더가 가리키는 어드레스가 홈 어드레스인지 CoA인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type'이라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type = hoa'는 접촉 헤더가 가리키는 어드레스가 홈 어드레스임을 의미하고, 'type = coA'는 CoA임을 의미한다. "expires" 파라미터는 등록메시지의 유효기한을 나타내며, 단위는 '분'이다. 도시된 예는 등록 유효기한이 30분이라는 뜻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접촉 헤더에만 "expires" 파라미터가 존재하면 그 접촉 헤더의 정보만 무효화(expire)된다. 그러므로 무효화되기 전에 등록 메시지를 보내 다시 등록해야 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임의의 이동단말기의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가 "sip:"이다. 또한 홈 어드레스는 "sip:foo@165.213.230.200"이다. 그리고 CoA가 "sip:foo@165.213.137.195"이다. 그러므로 로케이션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에 홈 어드레스와 CoA를 매핑시켜 저장해놓게 된다.
상기 로케이션 서버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서, 레지스트라 서버나 프록시 서버로부터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의 등록이나 질의에 대한 응답을 하기 위한 것이다. 레지스트라 서버는 이동단말기가 자신의 CoA(IP 어드레스)를 등록 메시지에 실어 보내주면 이를 수신하여 로케이션 서버에 이동단말기의 고유 URI(로케이션 서버에 등록되는 URI라 하여 address-of-record라 부름.)와 함께 저장한다. 프록시 서버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초대 메시지(INVITE)를 전달받으면 로케이션 서버에게 초대 메시지에 포함된 URI가 가리키는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질의하여 그 위치가 파악되면 그 곳으로 초대 메시지를 전달한다. 후술하는 도 3 ~ 도 6에는 상기 서버들을 구분하지 않고 편의상 SIP 서버(SIPs)라고 표기하였으나, 상세한 설명에서는 각 서버를 구분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단,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거나 통칭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SIP 서버(SIPs)라고 표기하기도 함을 밝혀둔다.
한편, 이동단말기가 홈 네트워크에 위치할 경우는 상기와 같은 "type"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방법대로 홈 어드레스만 등록한다.
후술하는 도 3 ~ 도 6에서 이동성 검출(mobility detection) 및 등록(331, 441, 551, 661) 이전, 이동단말기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서 등록 메시지를 통해 홈 어드레스가 현재 위치로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동성 검출 및 등록(331, 441, 551, 661) 동작은 모바일 IP 계층(layer)에서 이루어지고, 이후부터의 동작은 SIP 계층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밝혀둔다.
후술하는 도 3 ~ 도 8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이동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유저 에이전트라고 하는데, 이 유저 에이전트는 UAC(User Agent Client)와 UAS(User Agent Server)로 구성된다. SIP 요청(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여 보내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UAC라 하고, 요청을 받고 이를 받아들이거나(accept), 거절하거나(reject), 수신 주소를 변경하여 다시 전송(redirect)하라는 의미의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해 보내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UAS라고 한다. 이하 편의상 이동단말기라고만 기재하기로 한다.
도 3은 외부 에이전트 CoA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더(ladder) 다이어그램이다.
331단계에서 대기상태로 홈 네트워크에 있던 이동단말기(MN)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단말기(MN)의 모바일 IP 메커니즘에 의해 이동성 검출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홈 에이전트(HA)에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하게 된다.
332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는 자신의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CoA- 외부 에이전트 CoA(이하 FACoA라 함.)-를 접촉 헤더에 삽입한 등록 메시지를 외부 에이전트(FA)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두 어드레스의 구분은 전술한 도 2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type"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외부 에이전트(FA)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홈 에이전트(HA)를 거쳐 SIP 서버(SIPs), 즉 레지스트라 서버에 전송하고, 레지스트라 서버는 이동단말기(MN)의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에 대한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FACoA를 수신하여 로케이션 서버에 전달하여 로케이션 서버로 하여금 이를 보유하게 된다.
한편, 외부 에이전트(FA)는 상기 이동단말기(MN)가 보내는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여 해당 메시지가 등록 메시지임을 알고 접촉 헤더의 정보 등을 확인한다. 이때 자신과 프록시 서버 사이의 터널링에 필요한 정보, 즉 FACoA와 서버 IP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다.
등록 메시지는 직접 레지스트라 서버로 전송되거나, 모바일 IP의 역터널링(reverse tunneling) 설정 상태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에지전트(HA)를 경유할 수도 있다.
333단계에서 등록 메시지에 대한 레지스트라 서버의 응답인 200 OK 메시지 는 홈 에이전트(HA)를 경유하여 외부 에이전트(FA)와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터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이동단말기(MN)에게 전달된다. 외부 에이전트(FA)는 200 OK 메시지를 파싱하여 성공적인 응답이 온 것을 확인한다. 성공적인 응답이 온 것이 확인된 후에는 외부 에이전트(FA)와 프록시 서버 사이에 터널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터널(1)은 외부 에이전트(FA)와 프록시 서버 사이에 생성되는 터널을 나타낸다.
334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와 VoIP 통신을 원하는 상대 단말기(CN)는 초대 메시지를 SIP 서버(SIPs), 즉 프록시 서버로 전송하고, 335단계에서 프록시 서버는 로케이션 서버로부터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를 키(key)로 하여 해당 이동단말기(MN)의 홈 어드레스와 FACoA를 추출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프록시 서버는 초대 메시지를 터널(1)을 통해 이동단말기(MN)가 현재 있는 위치까지 전송하게 되는데, 초대 메시지는 외부 에이전트(FA)에서 탈캡슐화(decapsulation) 되어 이동단말기(MN)에 전달된다. 이때 외부 에이전트(FA)는 초대 메시지로부터 자신과 상대 단말기(CN) 사이의 터널(2) 생성에 필요한 정보- 외부 에이전트(FA) 측에서 보았을 때 터널의 끝 지점(end point)은 상대 단말기(CN)이므로 상대 단말기(CN)의 IP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다.
336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가 180 Ring 메시지를 발생하여 전송하면 외부 에이전트(FA)가 이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과 프록시 서버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터널(1)을 통해 프록시 서버에 전달한다. 337단계에서 프록시 서버가 상기 180 Ring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대 단말기(CN)로 전달한다.
338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버튼이 눌려지면 200 OK 메시지의 접촉 헤더에 자신의 홈 어드레스와 FACoA를 삽입하여 외부 에이전트(FA)에 송신한다. 외부 에이전트(FA)는 터널(1)을 통해 프록시 서버에 상기 200 OK 메시지를 전송된다. 339단계에서 상기 200 OK 메시지는 프록시 서버에 의해 상대 단말기(CN)로 전달된다. 이때 상대 단말기(CN)는 상기 200 OK 메시지를 파싱하여 자신과 외부 에이전트(FA) 사이의 터널(2) 생성에 필요한 정보- 상대 단말기(CN) 측에서 보았을 때 터널의 끝 지점은 외부 에이전트(FA)이므로 외부 에이전트(FA)의 IP 어드레스, 즉 FACoA-를 얻을 수 있다.
340단계에서 상대 단말기(CN)는 터널(2)를 통해 이동단말기(MN)에 ACK 메시지를 보내고, 341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와 상대 단말기(CN)는 터널(2)을 통해 음성 패킷을 주고받을 수 있다.
상술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초대로부터 시작하여 음성패킷을 주고받기까지 홈 에이전트(HA)를 경유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터널링을 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IPinIP(RFC2003) 혹은 최소 캡슐화(minimal Encapsulation)(RFC2004), GRE(RFC1701)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터널링 관련 스펙은 IETF RFC 2003, 2004를 참조할 수 있다.
외부 에이전트(FA)와 SIP 서버(SIPs) 사이의 터널(1)의 생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에이전트(FA) 측에서 보면, 외부 에이전트(FA)는 이동단말기(MN)로부터 등록 메시지를 받아 SIP 서버(SIPs)에 전달하고, SIP 서버(SIPs)로부터 응답이 오기를 기다리는 상태로 진입한다. 이후 SIP 서버(SIPs)로부터의 응답이 FA에 도착하면 FA는 이를 파싱(SIP 메시지 분석)하여, 200 OK이면 메시지의 소스(source) IP 어드레스(SIP 네트워크 서버 어드레스)와 FA 자신의 어드레스(FACoA)를 끝 지점으로 하는 터널(1)을 생성한다.
반대로, SIP 서버(SIPs) 측에서 보면, 레지스트라 서버가 등록 메시지를 받아 로케이션 서버에 해당 이동단말기(MN)의 위치를 등록(home address, FACoA, expires 값 저장)하고, 등록 메시지를 통해 알게 된 이동단말기(MN)의 FACoA와 자신의 어드레스를 끝 지점으로 하는 터널(1)을 생성한다.
여기서 "터널"은 두 노드들(nodes)-예: FA 혹은 SIP 서버(SIPs)- 사이의 가상의 링크를 의미하고, "터널을 생성한다."라 함은 해당 노드가 터널의 양쪽 끝 지점이 어디인지를 인식함을 의미한다. 터널(1)의 유효기간은 등록 메시지의 CoA의 "expires"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터널(1)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효기간 내에 새로운 등록 메시지로 터널(1)을 갱신하여야 한다. 만일 200 OK가 아닌 다른 응답이 오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도 응답이 없으면 FA는 터널(1)의 생성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갱신 시간이 지나면 터널(1)은 자동 삭제된다. 그러므로 터널(1)이 삭제된 후 상대 단말기(CN)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올 경우 FA로의 터널(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SIP 서버(SIPs)는 초대 메시지를 이동단말기(MN)의 홈 어드레스를 목적지(destination)로 하여 전송한다. 이때 초대 메시지의 전달 경로는 상대 단말기(CN) -> SIP 서버(SIPs) -> 홈 에이전트(HA) -> 외부 에이전트(FA) -> 이동단말기(MN) 순서가 된다.
외부 에이전트(FA)와 상대단말기(CN) 사이의 터널(2)의 생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에이전트(FA)는 상대 단말기(CN)로부터 수신된 초대 메시지를 파싱하여 접촉 헤더에 있는 상대 단말기(CN)의 IP 어드레스를 읽고, 이동단말기(MN)로부터 200 OK 메시지를 기다린다. 200 OK 메시지가 수신되면 외부 에이전트(FA)는 자신과 상대 단말기(CN)를 끝 지점으로 하는 터널(2)을 생성한 후, 상대 단말기(CN)로부터 상기 터널(2)를 통해 수신되는 ACK 메시지를 이동단말기(MN)에 전송한다. 상기 터널(2)은 "expires" 파라미터와 무관하며, BYE 메시지에 대한 200 OK 메시지 수신 시에 소멸된다. 여기서 BYE 메시지는 UAC에서에서 UAS로 송신되는 요청 메시지의 한 종류로서, 미디어 세션 도중 호를 종료하고자 할 때 보내는 메시지이다.
반대로, 상대 단말기(CN) 측에서 보면, 수신된 200 OK 메시지로부터 알게 된 이동단말기(MN)의 FACoA와 자신의 어드레스를 끝 지점으로 하는 터널(2)을 생성한다.
도 4는 코로케이티드(colocated CoA: 이하 C-CoA라 함.)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FACoA는 이동단말기가 방문 중인 외부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 하는 외부 에이전트의 IP 어드레스이다. 반면에, C-CoA는 이동단말기 자신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일시적으로 할당받는 IP 어드레스이다. C-CoA는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이동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다. 홈 에이전트(HA)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만드는 터널의 끝 지점이 이동단말기(MN)이므로 이동단말기(MN)는 캡슐화(encapsulation) 패킷을 탈캡슐화(decapsulation)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때 이동단말기(MN)가 사용하는 CoA가 C-CoA이다.
전술한 도 3과 비교하면,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터널의 끝 지점이 이동단말기(MN)인 반면에, 도 3의 경우는 터널의 끝 지점이 외부 에이전트(FA)라는 데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동단말기(MN)가 C-CoA를 사용하는 경우의 SIP 시그널링 순서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441단계에서 대기상태로 홈 네트워크에 있던 이동단말기(MN)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단말기(MN)의 모바일 IP 메커니즘에 의해 이동성 검출이 이루어지고, 홈 에이전트(HA)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442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는 자신의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C-CoA를 접촉 헤더에 삽입한 등록 메시지를 바로 SIP 서버(SIPs), 즉 레지스트라 서버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두 어드레스의 구분은 전술한 도 2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type"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443단계에서 레지스트라 서버는 상기 등록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200 OK 메시지를 발생하여 홈 에이전트(HA)를 통해 이동단말기(MN)에게 송신한다.
444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와 VoIP 통신을 원하는 상대 단말기(CN)가 초대 메시지를 SIP 서버(SIPs), 즉 프록시 서버로 전송한다. 프록시 서버는 로케이션 서버로부터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를 키로 하여 이동단말기(MN)의 홈 어드레스와 C-CoA를 추출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프록시 서버는 이동단말기(MN)와의 사이에 터널(3)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초대 메시지를 이동단말기(MN)로 전송한다.
445단계에서 초대 메시지는 이동단말기(MN)에 수신되어 탈캡슐화 된다.
446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는 터널(3)을 통해 180 Ring 메시지를 프록시 서버로 전송한다.
447단계에서 프록시 서버는 180 Ring 메시지를 상대 단말기(CN)로 전달한다.
448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누르면 이동단말기(MN)는 200 OK 메시지의 접촉 헤더에 자신의 홈 어드레스와 C-CoA를 기입하여 프록시 서버로 전송한다.
449단계에서 프록시 서버는 상대 단말기(CN)에게 상기 200 OK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동단말기(MN)와 상대 단말기(CN)는 각각 445단계와 449단계에서 터널링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기(MN)는 445단계에서 수신된 초대 메시지로부터 상대 단말기(CN)의 IP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고, 상대 단말기(CN)는 449단계에서 수신된 200 OK 메시지로부터 이동단말기(MN)의 C-CoA를 획득할 수 있다. 도시된 터널(4)는 이들을 양쪽 끝 지점으로 하는 터널을 나타낸다.
450단계에서 상대 단말기(CN)는 자신과 이동단말기(MN) 사이의 터널(4)을 통해, 홈 에이전트(HA)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이동단말기(MN)에 ACK 메시지를 보낸다.
451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와 상대 단말기(CN)는 터널(4)을 통해, 홈 에이전트(HA)를 경유하지 않고, 음성 패킷(Voice Packet)을 주고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터널링을 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IP-in-IP(RFC2003) 혹은 Minial Encapsulation(RFC2004), GRE (RFC1701) 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MN)가 세션 중에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대 단말기(CN)에게 자신의 바뀐 CoA를 알려주기 위하여 필요한 시그널링 순서를 나타낸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단, 도 3과 같이 FACoA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551단계 ~ 553단계의 동작은 도 3의 331단계 ~ 333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된 터널(5)은 SIP 서버(SIPs), 즉 레지스트라 서버와 외부 에이전트(FA)가 552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가 전송한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FACoA와 서버 IP 어드레스를 획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554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는 외부 에이전트(FA)를 통해 SIP 서버(SIPs), 즉 프록시 서버에 통지(information: 이하 INFO라 함.)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INFO 메시지는 프록시 서버와 외부 에이전트(FA) 사이에 생성된 터널(5)을 통해서 전송된다. 555단계에서 프록시 서버는 상대 단말기(CN)에 INFO 메시지를 전달한다.
556단계에서 INFO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단말기(CN)는 터널의 끝 지점을 새로 바뀐 FACoA로 치환한다. 또한 상기 INFO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200 OK 메시지를 발생하여 프록시 서버에 전송한다. 557단계에서 프록시 서버는 상기 터널(5)을 통해 외부 에이전트(FA)에 상기 INFO 메시지를 전달하고, 외부 에이전트(FA)는 상기 INFO 메시지를 이동단말기(MN)에 전달한다.
도시된 터널(6)은 상기 새로 바뀐 FACoA에 대응하는 외부 에이전트(FA)와 상대 단말기(CN) 사이에 생성되는 터널을 나타낸다. 558단계에서 상대 단말기(CN)에서 외부 에이전트(FA)를 거쳐 이동단말기(MN)로 보내는 ACK 메시지는 상기 터널(6)을 통과하게 된다. 559단계에서 외부 에이전트(FA)를 거쳐 상대 단말기(CN)와 이동단말기(MN) 사이에 주고받는 음성 패킷도 상기 터널(6)을 통과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MN)가 세션 중에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대 단말기(CN)에게 자신의 바뀐 CoA를 알려주기 위하여 필요한 시그널링 순서를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단, 도 4와 같이 C-CoA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661단계 ~ 663단계의 동작은 도 4의 441단계 ~ 443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된 터널(7)은 SIP 서버(SIPs), 즉 레지스트라 서버와 외부 에이전트(FA)가 662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가 전송한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FACoA와 서버 IP 어드레스를 획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664단계에서 이동단말기(MN)는 SIP 서버(SIPs), 즉 프록시 서버에 INFO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INFO 메시지는 프록시 서버와 이동단말기(MN) 사이에 생성된 터널(7)을 통해서 전송된다. 665단계에서 프록시 서버는 상대 단말기(CN)에게 상기 INFO 메시지를 전달한다.
666단계에서 INFO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단말기(CN)는 터널의 끝 지점을 새로 바뀐 C-CoA로 치환하고, 상기 INFO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200 OK 메시지를 발생하여 프록시 서버에 전송한다. 667단계에서 프록시 서버는 상기 터널(7)을 통해 이동단말기(MN)에 직접 상기 200 OK 메시지를 전달한다.
도시된 터널(8)은 상기 새로 바뀐 C-CoA에 대응하는 이동단말기(MN)와 상대 단말기(CN) 사이에 생성되는 터널을 나타낸다. 668단계에서 상대 단말기(CN)가 이동단말기(MN)로 보내는 ACK 메시지는 상기 터널(8)을 통과하게 되고, 669단계에서 상대 단말기(CN)와 이동단말기(MN) 사이에 주고받는 음성 패킷도 상기 터널(6)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동작 설명들은 SIP 서버(SIPs)가 프록시 서버로서 동작할 때를 가정한 것이다. 만일 리다이렉트 서버로 이용될 경우에는 상기 순서보다 더 간단해진다. 즉, 리다이렉트 서버가 현재 이동단말기(MN)의 C-CoA를 200 OK 메시지를 통해 발신자 단말기에게 전달하면 발신 단말기는 수신 단말기와 직접 터널링을 하여 패킷을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SIP 서버(SIPs)와 수신 단말기 사이의 터널링은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전술한 도 5와 비교하면, 외부 에이전트(FA)를 거치지 않고 이동단말기(MN)와 홈 에이전트(HA) 사이에 메시지들(REGISTER, 200 OK, INFO, ACK)을 주고받는다는 것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도 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서 모바일 IP의 재등록(Re-Registration) 및 SIP 등록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3에서 SIP를 이용한 VoIP 트래픽의 라우팅 패스 최적화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70 ~ 774는 도 3의 331단계에 해당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메인 sbs.com(DM1)의 이동단말기(MN1)는 물리적으로는 동일한 단말기이지만 위치 이동이 있었으므로 구분의 편의를 위해 도메인 samsung.com(DM2)에 있을 때와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한다.
이동단말기(MN2)가 도메인 samsung.com(DM2)에서 sbs.com(DM1)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면(780), 외부 에이전트(FA)에 모바일 IP 등록 요청을 한다(771). 상기 요청을 받은 외부 에이전트(FA)가 홈 에이전트(HA)에게 모바일 IP 등록 요청을 전달한다(772). 상기 요청을 받은 홈 에이전트(HA)가 외부 에이전트(FA)에게 모바일 IP 등록 응답을 한다(773). 상기 응답을 받은 외부 에이전트(FA)가 이동단말기(MN1)에게 모바일 IP 등록 응답을 전달한다(774).
775 ~ 779는 도 3의 332단계 및 333단계에 해당한다. 이동단말기(MN1)가 자신의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CoA(FACoA)를 접촉 헤더에 삽입한 등록 메시지를 외부 에이전트(FA)에 송신한다(775). 외부 에이전트(FA)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SIP 서버(SIPs), 즉 레지스트라 서버(RS)에 전송하고(776), 레지스트라 서버(RS)는 이를 로케이션 서버(LS)에 전달하여 로케이션 서버(LS)로 하여금 이동단말기(MN1)의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에 대한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CoA를 보유하게 한다. 레지스트라 서버(RS)는 홈 에이전트(HA)에 상기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로서 200 OK 메시지를 송신한다(777). 홈 에이전트(HA)는 외부 에이전트(FA)에 상기 200 OK 메시지를 전달한다(778). 외부 에이전트(FA)는 상기 200 OK 메시지를 이동단말기(MN1)에 전달한다(779).
상기 설명은 도 3에 국한하였으나, 도 7은 도 4 ~ 도 6에서 모바일 IP의 재등록 및 SIP 등록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770 ~ 774는 도 4의 441단계, 도 5의 551단계, 혹은 도 6의 661단계에 해당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775 ~ 779는 도 4의 442단계 및 443단계, 도 5의 552단계 및 553단계, 혹은 도 6의 662단계 및 663단계에 해당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도 8을 참조하면, 881, 884, 885는 도 3의 334단계와 335단계에 해당한다. 891, 892, 893은 도 3의 336단계와 337단계에 해당한다. 886, 887, 888은 도 3의 338단계와 339단계에 해당한다. 889는 도 3의 340단계에 해당한다.
터널(1), 터널(2)은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했다.
전술한 도 1의 음성 트래픽(voice traffic) 123은 트라이앵글의 형태를 보였던 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트래픽(voice traffic) 894가 일직선의 형태를 가진다.
VoIP 트래픽의 라우팅 패스 최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SIP 서버(SIPs)의 기능은 로케이션 서버(LS) 및 프록시 서버(PS)이다. 로케이션 서버(LS)와 프락시 서버(PS) 사이에는 질의(Query) 및 응답(Reply)을 주고받는다. 프락시 서버(PS)가 로케이션 서버(LS)로 보내는 질의(Query)는 상대 단말기(CN)의 초대(INVITE)를 받은 단말기의 CoA를 알기 위한 것이다(882). 로케이션 서버(LS)가 프락시 서버(PS)로 보내는 응답(Reply)에는 상대 단말기(CN)의 초대(INVITE)를 받은 단말기의 CoA가 포함된다(883).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IP가 적용된 이동단말기(MN)로 VoIP를 구현할 때 발생하는 트라이앵글 라우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축된 라우팅 경로로 인하여 음성 통화 품질의 중요한 요소인 지연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전체적인 네트워크 부하 절감 효과를 나타내어 데이터 손실률도 줄일 수 있어 보다 고품질의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IP, SIP, VoIP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시 트라이앵글 라우팅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자 네트워크에서의 SIP 등록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FACoA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더(ladder) 다이어그램
도 4는 C-CoA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더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가 세션 중에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대 단말기에게 자신의 바뀐 FACoA를 알려주기 위하여 필요한 시그널링 순서를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가 세션 중에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대 단말기에게 자신의 바뀐 CoA를 알려주기 위하여 필요한 시그널링 순서를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
도 7은 도 3에서 모바일 IP의 재등록 및 SIP 등록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에서 SIP를 이용한 VoIP 트래픽의 라우팅 패스 최적화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Claims (11)

  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위치 이동 감지가 있으면 홈 어드레스와 CoA(Care-of-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발생하는 등록 메시지 발생부와,
    상기 등록 메시지를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가 외부 에이전트와 홈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의 접촉헤더가 가리키는 어드레스가 홈 어드레스인지 아니면 CoA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대 단말기와의 사이에 세션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다른 네트워크로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 단말기가 터널링 시 터널의 끝 지점을 새로운 CoA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새로운 CoA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발생하는 통지 메시지 발생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1이동단말기가 전송하는 홈 어드레스와 CoA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2이동단말기의 제1이동단말기 초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1이동단말기의 CoA를 찾는 탐색부와,
    상기 제1이동단말기의 CoA에 따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상기 제1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oA를 참조하여 상기 제1이동단말기와의 사이에 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터널을 통해 상기 초대 메시지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드레스와 상기 CoA는 어드레스 오브 레코드를 키로 하여 저장, 변경, 추출, 혹은 삭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8.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외부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 실시 후,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홈 어드레스와 FACoA(Foreign Agent Care-of 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등록 실시 후, 상대 단말기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가 상기 등록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 에이전트와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사이에 제1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1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받은 이동단말기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자신과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제2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2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음성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이동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 실시 후, 직접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홈 어드레스와 C-CoA(Colocated Care-of 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가,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등록 실시 후 상대 단말기로부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사이에 제3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3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가,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달받은 이동단말기로부터의 응답이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를 거쳐 수신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사이에 제4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4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음성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화 중 이동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 실시 후, 외부 에이전트를 통해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홈 어드레스와 FACoA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홈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전달되어야 할, 상기 등록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와의 사이에 제5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발생된 FACoA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제5터널을 통해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가,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상기 FACoA를 끝 지점으로 하는 제6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6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음성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화 중 이동단말기가 다른 네트워크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고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재등록 실시 후, 직접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홈 어드레스와 C-CoA(Colocated Care-of 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와의 사이에 제7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7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에 상기 C-CoA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가, 상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상기 C-CoA를 끝 지점으로 하는 제8터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8터널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상대 단말기 사이에 음성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42451A 2004-06-10 2004-06-10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0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451A KR100605806B1 (ko) 2004-06-10 2004-06-10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064,655 US20050286504A1 (en) 2004-06-10 2005-02-23 Mobile terminal,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routing path for voice-over-internet protocol service, based on mobile internet protocol, voice-over-internet protocol, an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NA2005100667285A CN1708047A (zh) 2004-06-10 2005-04-30 用于控制ip话音服务的路由路径的方法
EP05010783A EP1605662B1 (en) 2004-06-10 2005-05-18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routing path for voice-over-IP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451A KR100605806B1 (ko) 2004-06-10 2004-06-10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206A true KR20050117206A (ko) 2005-12-14
KR100605806B1 KR100605806B1 (ko) 2006-08-01

Family

ID=3497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451A KR100605806B1 (ko) 2004-06-10 2004-06-10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86504A1 (ko)
EP (1) EP1605662B1 (ko)
KR (1) KR100605806B1 (ko)
CN (1) CN17080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08B1 (ko) * 2006-12-29 2008-03-10 엠피에스리서치(주) 무선망에서 다자간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단대단 고속 이동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95283B1 (ko) * 2007-11-27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VoIP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호 연결 방법
KR100895284B1 (ko) * 2007-11-27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등록 방법 및네트워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86B1 (ko) * 2004-10-22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8411650B2 (en) * 2005-04-18 2013-04-0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s through a mobile IP home agent
CA2528875A1 (en) * 2005-05-10 2006-11-10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70058611A1 (en) * 2005-09-14 2007-03-15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and system to proxy mobile and network originated call sessions
CN101467138B (zh) * 2006-04-17 2012-01-11 思达伦特网络有限责任公司 用于通信本地化的系统和方法
US20070253405A1 (en) * 2006-04-27 2007-11-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user selected service when establishing a packet data connection
US7606191B1 (en) * 2006-05-01 2009-10-20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mobile-IP traffic traversing network address translation
CN100438455C (zh) * 2006-05-12 2008-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合法监听的方法
CN100459532C (zh) * 2006-05-26 2009-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合法监听的方法
EP2022232B1 (en) 2006-05-29 2011-12-28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location privacy and route optimization for communication sessions
US8230074B2 (en) * 2006-07-06 2012-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equired memory usage between communication servers
CN100596101C (zh) * 2006-08-31 2010-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本地移动性管理网络的报文路由方法和系统
TWI326173B (en) * 2006-12-07 2010-06-11 Ind Tech Res Inst Apparatus and method of ip mobility management for persistent connections
US8363640B2 (en) * 2007-01-31 2013-0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communication session for an unregistered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device
DE102008047932A1 (de) 2008-09-19 2010-03-25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mitteln von Kommunikationsbeziehungen zu einem einem Funk-Heimbereich eines Netzwerks zugeordneten mobilen Endgerät
US8418228B2 (en) * 2008-12-03 2013-04-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verge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network access device at penetration node of IP network of convergence ALL-IP network
WO2010108009A1 (en) 2009-03-18 2010-09-23 Cisco Technology, Inc. Localized forwarding
US8743696B2 (en) 2009-08-07 2014-06-03 Cisco Technology, Inc. Mobile transport solution for offloading to an alternate network
US8693367B2 (en) * 2009-09-26 2014-04-08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offload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085470A1 (en) * 2009-10-12 2011-04-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signal processing for ip-based convergence network
US9009293B2 (en) 2009-11-18 2015-04-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packet characteristics in a network environment
US9015318B1 (en) 2009-11-18 2015-04-2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domain name system flows in a network environment
US9148380B2 (en) 2009-11-23 2015-09-2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quence numbering mechanism in a network environment
GB2476077A (en) * 2009-12-10 2011-06-15 Skype Ltd Estimating VoIP call Quality before a call is set up
US8792495B1 (en) 2009-12-19 2014-07-2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ut of order packets in a network environment
US8428024B2 (en) * 2010-07-21 2013-04-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with a split home agent architecture using MPTCP
US8787303B2 (en) 2010-10-05 2014-07-22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traffic offloading at a router
US8526448B2 (en) 2010-10-19 2013-09-03 Cisco Technology, Inc. Call localization and processing offloading
US9003057B2 (en) 2011-01-04 2015-04-0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in a mobil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8737221B1 (en) 2011-06-14 2014-05-27 Cisco Technology, Inc. Accelerated processing of aggregate data flows in a network environment
US8948013B1 (en) 2011-06-14 2015-02-03 Cisco Technology, Inc. Selective packet sequence acceler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US8743690B1 (en) 2011-06-14 2014-06-03 Cisco Technology, Inc. Selective packet sequence acceler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US8792353B1 (en) 2011-06-14 2014-07-29 Cisco Technology, Inc. Preserving sequencing during selective packet acceler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US8638356B2 (en) * 2011-07-08 2014-01-28 Skype Communication system
US10123368B2 (en) 2012-02-23 2018-11-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multiple access point names for trus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971920B2 (en) * 2012-09-11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LTE positioning protocol information transfer procedures for control plane LCS on LTE
CN104704795B (zh) * 2012-10-19 2018-04-27 统一有限责任两合公司 通过使用具有webRTC功能的网络浏览器创建虚拟SIP用户代理的方法和系统
EP3139565A1 (en) * 2015-09-03 2017-03-08 Alcatel Lucent Parser for locally routing voice over small cells of a long term evolution network
CN112235831B (zh) * 2019-07-15 2024-03-12 中国移动通信集团有限公司 VoLTE网络的注册管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2995B2 (en) * 2000-04-17 2006-01-31 Telcordia Technologies, Inc. Telecommunication enhanced mobile IP architecture for intra-domain mobility
FI113319B (fi) * 2000-09-29 2004-03-31 Nokia Corp Palveluita tarjoavan verkkoelementin valitseminen tietoliikenejärjestelmässä
US6954790B2 (en) * 2000-12-05 2005-10-11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Network-based mobile workgroup system
US7477629B2 (en) * 2001-06-14 2009-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ssion registration messaging
US7339903B2 (en) * 2001-06-14 2008-03-04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foreign network multicasting for a roaming mobile node, in a foreign network, using a persistent address
JP4028793B2 (ja) * 2002-12-03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端末装置および端末間パケット通信方法
US7668145B2 (en) * 2003-12-22 2010-02-23 Nokia Corporation Method to support mobile IP mobility in 3GPP networks with SIP established communic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08B1 (ko) * 2006-12-29 2008-03-10 엠피에스리서치(주) 무선망에서 다자간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단대단 고속 이동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95283B1 (ko) * 2007-11-27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VoIP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호 연결 방법
KR100895284B1 (ko) * 2007-11-27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등록 방법 및네트워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5662A3 (en) 2007-02-28
KR100605806B1 (ko) 2006-08-01
US20050286504A1 (en) 2005-12-29
EP1605662A2 (en) 2005-12-14
CN1708047A (zh) 2005-12-14
EP1605662B1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06B1 (ko)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기반 이동단말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서버, 및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위한 라우팅 경로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8477685B2 (en) Enhanced mobility management at a mobile access gateway
EP11267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monitoring mobile communication across platforms
KR100709929B1 (ko) 프록시 이동 노드 등록을 이용하는 ip 이동성 지원
JP4028793B2 (ja) 移動端末装置および端末間パケット通信方法
Wedlund et al. Mobility support using SIP
US7277434B2 (en) Method for SIP-mobility and mobile-IP coexistence
US70801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IP home agent redundancy by using home agent control nodes for managing multiple home agents
JP5227960B2 (ja) プロキシ・モバイルip向けパケット転送
US7319689B2 (en) Method for handling the simultaneous mobility of mobile hosts in infrastructure-based networks
JP443851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装置
US20070053334A1 (en) Packet forwarding apparatus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to ISP network
US20090052415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04201316A (ja) Sipベースの呼び出し方法および装置
CN1954633A (zh) 使用配置转交地址的多媒体通信
US7292855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formation of multiple mobile IP data sessions at a mobile node
US8160067B2 (en) Address resolution protocol-based wireless access point method and apparatus
US7292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entralized home agent function
JP4477239B2 (ja) 共通ipアドレス付きの移動端末および無線装置
Turányi et al. Global internet roaming with ROAMIP
JP4823053B2 (ja) 異種通信インタフェース間の切替方法、移動端末および管理装置
KR100490130B1 (ko)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에스아이피 프로토콜 및에스아이피 모빌리티 에이전트 수단을 이용한 이동성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9407A (ko) 무선 인터넷 시스템에서 통신 상태 정보를 이용한 소프트핸드오버 방법
Rajkumar et al. Seamless SIP‐based VoIP in disparate wireless systems and networks
Theofilatos et al. Mobility management schemes for supporting multimedia services in All-IP network infra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