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317A -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317A
KR20050116317A KR1020040041536A KR20040041536A KR20050116317A KR 20050116317 A KR20050116317 A KR 20050116317A KR 1020040041536 A KR1020040041536 A KR 1020040041536A KR 20040041536 A KR20040041536 A KR 20040041536A KR 20050116317 A KR20050116317 A KR 2005011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ist
machine room
hoistwa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60935B1 (en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4004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935B1/en
Priority to PCT/KR2005/001666 priority patent/WO2005121012A1/en
Priority to CN200580018298A priority patent/CN100584726C/en
Publication of KR2005011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317A/en
Priority to HK07112995.3A priority patent/HK11073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93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승강로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연결하는 메인로프를 구비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프를 구동하는 권상기, 승강로에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 이상의 외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외측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외측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having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pported in a hoistway, and a main rope connecting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a hoist that drives the main rope, as long as it extends horizontally in the hoistway There is provided a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which is supported by at least a pair of outer supports and between the outer supports and a holder for supporting the hoist.

Description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Elevator system without machine room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machine roomn-less elevator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진동 및 권상기 시브에 걸리는 엘리베이터 카 하중에 의한 비틀림 모우멘트의 영향을 최소화되도록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를 갖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machine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torsion moment due to noise, vibration, and the lift car load applied to the hoist sieve. A machine room free elevator system having a hoist support assembly supporting a hoist.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권상기가 도시되어 있다. 권상기(6)는 대략 "ㄷ"자형의 고정부재(2a, 4a, 4b)에 의해 거치되어 고정부재(7a, 7b, 7c, 7d)에 의해 균형추 가이드 레일(5a, 5b)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7c, 7d)와 그 하부의 수평판(2b) 사이에는 방진고무(3a, 3b)가 배치되어 권상기가 동작할 때의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7a, 7b, 7c, 7d)와 권상기(6)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대(1a, 1b)가 가이드 레일(5a, 5b)에 고정되어 있다.1 shows a hoist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hoist 6 is mounted by holding members 2a, 4a, 4b of approximately "c" shape and is fixed to counterweight guide rails 5a, 5b by fixing members 7a, 7b, 7c, 7d. The anti-vibration rubbers 3a and 3b ar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s 7c and 7d and the horizontal plate 2b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reduce vibrations when the hoisting machine is operated. Moreover,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of the fixing members 7a, 7b, 7c, 7d and the hoisting machine 6, the pair of supporters 1a, 1b are being fixed to the guide rails 5a, 5b.

도시한 종래기술의 권상기 지지 구조물은 그러나 가이드 레일에 권상기를 고정함으로써 권상기에 인가되는 하중이 가이드 레일에 직접 전달되어 가이드 레일을 변형시킬 우려가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The illustrated prior art hoist support structure has the disadvantage, however, that by applying the hoist to the guide rail, the load applied to the hoist is transferred directly to the guide rail, thereby deforming the guide rail.

도 2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권상기 지지구조가 소개되어 있다.Figure 2 introduces another hoist support structure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종래기술에서, 권상기(16)는 그 하부에서 방진고무(14)를 사이에 두고 빔(12)에 고정되어 있고 그 상측 및 좌우측은 프레임 부재(2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빔(12)의 양단은 건축물의 벽(8)에 형성된 수용홈(10)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 프레임 부재(20)는 권상기(16) 상단에 방진고무(14)를 배치하여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빔(12) 위에 고정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shown, the hoist 16 is fixed to the beam 12 with the anti-vibration rubber 14 therebetween and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re surrounded by the frame member 20. Both ends of the beam 12 are fix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0 formed in the wall (8) of the building. The frame member 20 is fixed to the beam 12 to hold and hold the anti-vibration rubber 14 on the top of the hoist 16.

도시된 종래기술의 권상기 지지구조에서는 빔의 높이보다 권상기 혹은 권상기 시브의 축 중심이 더욱 높은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권상기의 시브에 걸릴 때 빔은 큰 비틀림 모우멘트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비틀림 모우멘트는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할 때 권상기 시브의 축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승차감이 저하되고 소음이 증가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된다.In the illustrated prior art hoist support structure, the shaft center of the hoist or hoist sheave is locat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eam. Thus, the beam receives a large torsional moment when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is put on the sheave of the hoist. This torsion moment provides a cause for the shaft of the hoisting sheave to oscil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elevator car moves, thereby lowering the riding comfort and increasing the noise. In addition, it causes the stability of the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 소음 및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에 의한 비틀림 모우멘트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를 구비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provides a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having a hoist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hoist to maximize vibration, noise and torsional moment due to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For that purpos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승강로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연결하는 메인로프를 구비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프를 구동하는 권상기, 승강로에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 이상의 외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외측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외측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and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system having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pported by a hoistway in a hoistway, and a machine room having a main rope connecting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wherein the main rope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hoist for driving a hoist, a pair of at least one outer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in a hoistway, and a holder for supporting the hoist, supported by the outer support between the outer support. Can b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로에서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권상기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 승강로에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 이상의 외측 지지대와, 상기 외측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외측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hoist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hoist in a hoistway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comprising: at least one outer hoist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hoistway, the hoist supported by the outer hoist between the outer hoisters; A hoist support assembly is provided that includes a holder that is supported and supports the hoist.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로에서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권상기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 높이 방향의 중심과 상기 권상기의 시브의 축 중심이 동일한 높이에 오도록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hoisting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the hoisting machine in the hoistway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supporting the hoisting machine so that the center of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axis center of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are at the same height. A traction machine support assembly is provid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는, 본 발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3,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22)와 균형추(24)가 이동하는 통로인 승강로 상측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는다. 승강로에서 엘리베이터 카(22)는 언더슬렁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22)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풀리(11)와 균형추 풀리(28)를 거쳐 권상기(70)의 시브(도시되지 않음)에 걸쳐진 메인로프(30)를 통해 승강하게 된다. 메인로프(30)의 하중을 지탱하는 권상기 시브에는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된다.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does not have a separate machine room above the hoistway,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vator car 22 and the counterweight 24 move. In the hoistway, the elevator car 22 is connected to the sheave (not shown) of the hoist machine 70 via an elevator car pulley 11 and a counterweight pulley 28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22 in an underslung manner. To get on and off. The hoisting sheave supporting the load of the main rope 30 is subjected to a lot of load.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권상기(70)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50)는 승강로의 균형추(24)의 상부에 승강로를 형성하는 대향된 내벽(38)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 조립체(5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주 지지대(54)와 보조 지지대(52)를 포함한다. 주 지지대(54) 및 보조 지지대(52)의 양단은 승강로를 형성하는 대향하는 내벽(38)에 형성된 수용홈(40)에 안착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upport assembly 50 for supporting such a hoist 70 is installed between the opposing inner walls 38 that form the hoistway on top of the counterweight 24 of the hoistway. The support assembly 50 includes a primary support 54 and an auxiliary support 52 dispos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Both ends of the main support 54 and the auxiliary support 52 are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0 formed in the opposing inner wall 38 forming the hoistway.

도 4에는 권상기(34)의 정면, 즉 시브 부분이 정면에 위치하는 상태의 지지 조립체(50)의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그와 반대방향으로 위치된 지지 조립체(5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잇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ssembly 50 in front of the hoist 34, ie, with the sheave portion in front, and in FIG. 5, an exploded view of the support assembly 50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 perspective view is shown.

본 발명의 지지 조립체(50)는 주 지지대(54), 보조 지지대(52), 연결부재(64a, 64b, 64c, 64d), 보강부재(62a, 62b, 62c, 62d) 및 방진부재(92, 94; 도 5 참조)를 포함한다.The support assembly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support 54, the auxiliary support 52, the connecting members 64a, 64b, 64c, 64d, reinforcing members 62a, 62b, 62c, 62d and the dustproof member 92, 94; see FIG. 5).

주 지지대(54)는 승강로에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외측 지지대(53)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대(53) 사이에서 상기 외측 지지대(53)에 의해 지지되는 사각형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외측 지지대(53)의 내측 단부에는 수직 지지대(56)가 고정되어 있고, 외측 단부는 승강로 내벽(38)에 형성된 수용홈(40)에 안착되어 있다.The main support 54 is composed of a pair of outer supports 53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hoistway, and a rectangular frame supported by the outer supports 53 between the pair of outer supports 53. The vertical support 56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outer support 53, and the outer end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0 formed in the inner wall 38 of the hoistway.

사각형 프레임은 한 쌍의 수직 지지대(56), 상단 지지대(58), 하단 지지대(6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권상기(7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수직 지지대(56)의 상단은 상단 지지대(58)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및 그 하단은 하단 지지대(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수직 지지대(56), 상단 지지대(58) 및 하단 지지대(60)는 권상기(70)를 둘러싸는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한다.The rectangular frame is composed of a pair of vertical support 56, the upper support 58, the lower support 60 and has an internal space of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hoist 70.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56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support 58 and the lower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lower support 60. By such a configuration,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56, the upper support 58 and the lower support 60 for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urrounding the hoist 70.

사각형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는 권상기(70)는 그 상단 및 하단에서 프레임에 고정된다. 권상기(70)의 상단은 고정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단 지지대(58)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단 지지대(6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단 지지대(58)과 하단 지지대(60)에 권상기(70)가 고정된 상태에서 권상기(70)의 중심이 외측 지지대(53)높이의 중심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외측 지지대(53)에 대한 사각형 프레임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ist 70 locat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is fixed to the frame at its top and bottom. The upper end of the hoist 70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58 by a fixing bracket (not shown),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upport 60. In this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hoist 70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58 and the lower support 60, the center of the hoist 70 i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outer support 53 to the outer support 53.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ectangular frame with respect to.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지지대(53)는 다수의 쌍이 횡방향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사각형 프레임을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한 쌍의 외측 지지대(53)에 하나의 사각형 프레임이 대응하도록 다수의 사각형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pport 53 may be a plurality of pai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one rectangular frame. Also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rectangular frames so that one rectangular frame corresponds to the pair of outer supports 53.

주 지지대(54)로 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그와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보조 지지대(52)가 그 측면에 설치된다. 보조 지지대(5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긴 빔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 지지대(52)의 규격은 주 지지대(54)의 외측 지지대(53)와 거의 동일하며, 단지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다. 보조 지지대의 양단부도 외측 지지대(53)와 동일하게 승강로 내벽(38)의 수용홈(40) 위에 안착되어 고정된다.Auxiliary support 52 is provided on its side so as to be laterally spaced apart from the main support 54 and to extend in parallel with it. The auxiliary support 52 is formed of one long beam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auxiliary support 52 is almost the same as the outer support 53 of the main support 54, and is only intended to have a longer length. Both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 are also seated and fixed on the receiving groove 40 of the hoistway inner wall 38 in the same manner as the outer support 53.

보조 지지대(52)와 주 지지대(54)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부재(64a, 64b, 64c, 64d)가 배치되어 보조 지지대(52)와 주 지지대(54)를 서로 연결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이 공간에는 권상기(70)의 시브가 위치된다.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64a, 64b, 64c, and 64d are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52 and the main support 54 to connect the auxiliary support 52 and the main support 54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since a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70 is located in this space.

사각형 프레임이 외측 지지대(53) 사이에서 지지될 때, 시브(72)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한 비틀림 모우멘트에 저항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각형 프레임과 보조 지지대(52)는 대략 “ㄱ"자 형의 다수의 보강부재(62a, 62b, 62c, 62d)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측의 보강부재(62a, 62b)는 수직 지지대(56)의 상단과 보조 지지대(52) 사이를 연결하고, 하측의 보강부재(62c, 62d)는 하단 지지대(60)과 보조 지지대(52) 사이를 연결한다.When the rectangular frame is supported between the outer supports 53, the rectangular frame and the secondary supports 52 are approximately " a " shaped to help resist torsional moments due to the loads applied to the sheaves 72.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62a, 62b, 62c, 62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einforcing members 62a, 62b are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56 and the auxiliary support 52. The lower reinforcing members 62c and 62d connect between the lower support 60 and the auxiliary support 5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조립체(50)의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수직 방진부재(94)가 보조 지지대(52) 양단부 및 주 지지대(54)의 외측 지지대(53)의 외측 단부와 연결부재(64a, 64d)의 하부에 위치된다. 수직 방진부재(94)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외측 지지대(53), 보조 지지대(52) 및 연결부재(64a, 64d)에 걸쳐 위치되지만, 주 지지대(54)의 외측 지지대(53)의 외측 단부 하부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5 and 6, a vertical dustproof member 94 for absorbing th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assembly 5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 52 and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53 of the main support 54. I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end part and the connection member 64a, 64d.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dustproof member 9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e preferred embodiment is located over the outer support 53, the auxiliary support 52 and the connecting members 64a, 64d, the outside of the main support 54 It may be provided only below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53.

또한, 지지 조립체(50)의 수평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수평 방진부재(92)가 브라켓(90, 91) 사이 및 브라켓(90, 96)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브라켓(90, 91, 96)은 연결부재(64a, 64d)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보조 지지대(52) 혹은 외측 지지대(53)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브라켓(90, 91, 96)은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 가압면을 구비한다.In addition, a horizontal dustproof member 92 for absorbing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pport assembly 50 is provided between the brackets (90, 91) and between the brackets (90, 96). Such a bracket (90, 91, 96) is preferably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s (64a, 64d), in addition to the auxiliary support 52 or the outer support 53 may be installed. Brackets 90, 91 and 96 have a vertical pressing surface extending downward.

수평 방진부재(92) 및 수직 방진부재(94)는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dustproof member 92 and the vertical dustproof member 94 are preferably rubber.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지지대(52) 및 주 지지대(54)의 양단의 높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금속판이 보조 지지대(52)의 양단부 및 외측 지지대(53)의 외측 단부와 연결부재(64a, 64d)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권상기(70)의 중심, 즉 시브의 축은 대략 외측 지지대(53)의 높이의 중심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 지지대(54)에 걸리는 비틀림 모우멘트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metal plates for height adjustment of both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 52 and the main support 5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support 52 and the outer ends of the outer support 53 and the connecting members 64a, respectively. 64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nter of the hoisting machine 70, that is, the axis of the sheave, form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outer support 53. By such a configuration, the torsion moment applied to the main support 54 can be further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형 프레임 내부에 권상기 본체의 상단 및 하단이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권상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ist main body are directly fix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the hoist may be mor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에 따르면, 권상기가 2개의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주 지지대 및 보조지지대 사이에서 지지됨으로써, 큰 지지 접지면적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권상기 지지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ist is supported between two mutually extending main and auxiliary supports, whereby the hoist support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a large support ground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권상기 시브 축이 주 지지대의 수직방향에서의 중앙에 오도록 배치됨으로써, 시브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주 지지대가 받는 비틀림 모우멘트가 보다 감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hoisting sheave axis in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support, the torsion moment received by the main support is further reduc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sheave.

또한, 사각형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이 보조 지지대와 직접 연결되어 별도로 지지됨으로써, 상술한 비틀림 모우멘트을 보다 잘 견딜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tangular frame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support and separately supported, the torsion moment described above may be better tolera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권상기 설치 구조물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hoist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권상기 설치 구조물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ist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another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절결 사시도.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권상기 지지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hoist support assembly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도 4의 권상기 지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isting support assembly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로에 설치된 권상기 지지 조립체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a hoist support assembly installed in a hoistway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2: 보조 지지대52: auxiliary support

53: 외측 지지대53: outer support

54: 주 지지대54: main support

56: 수직 지지대56: vertical support

58: 상단 지지대 58: upper support

60: 하단 지지대60: lower support

70: 권상기70: hoist

Claims (20)

승강로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연결하는 메인로프를 구비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having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pported in a hoistway, and a main rope connecting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상기 메인로프를 구동하는 권상기,Hoist for driving the main rope, 승강로에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 이상의 외측 지지대, 그리고A pair of outer support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hoistway, and 상기 외측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외측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A holder for supporting the hoist and supported by the outer support between the outer supports 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측 지지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승강로를 형성하는 대향된 내벽에 고정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an outer end of the outer support is free of a machine room secured to opposite inner walls forming the hoistwa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더는 사각형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said holder is a rectangular machine room.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홀더는The holder is 상기 외측 지지대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A pair of vertical supports fixed to an inner end of the outer support and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권상기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 지지대, 그리고An upper support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 and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and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권상기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 지지대A lower supporter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hoist 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측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그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를 형성하는 대향된 내벽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보조 지지대와,An auxiliary suppor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pport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pport and is fixed to opposite inner walls forming the hoistway;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대 및 상기 홀더와 상기 보조 지지대 사이에서 이들을 고정하는 다수의 연결부재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for fixing the pair of outer supports and the holders and the auxiliary supports; 를 더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보조 지지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승강로를 형성하는 대향된 내벽에 고정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an outer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is free of a machine room secured to opposite inner walls forming the hoistwa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보조 지지대와 상기 홀더의 상단을 연결하여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상측 보강부재와A pair of upper reinforcing members for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and the holder and fixed to each other and 상기 보조 지지대와 상기 홀더의 하단을 연결하여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하측 보강부재A pair of lower reinforcement members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 lower end of the holder to be fixed to each other 를 더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는 ㄱ 자형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members are a-shaped elevator system without machine roo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측 지지대의 상기 외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수직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a vertical dustproof member installed below the outer end of the outer support to absorb vertical vibr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측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 가압면을 제공하는 브라켓과,A bracket installed below the outer support and providing a vertical pressing surface;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승강로 내벽 사이에 위치되어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수평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a horizontal dustproof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to absorb horizontal vibration.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or 10, 상기 방진부재는 고무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dustproof member is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is rub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상기의 시브의 축 중심과 상기 외측 지지대의 높이의 중심이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d the center of the shaft center of the sheave of the hoist and the height of the height of the outer support are the same height.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로에서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권상기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A hoist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hoist in a hoistway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승강로에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 이상의 외측 지지대와,At least one outer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hoistway, 상기 외측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외측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는 홀더A holder supported by the outer support between the outer supports and supporting the hoist 를 포함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A hoist support assembly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외측 지지대의 외측 단부는 상기 승강로를 형성하는 대향된 내벽에 고정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The outer end of the outer support is hoisting support assembly fixed to the opposed inner wall forming the hoistway.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홀더는 사각형인 권상기 지지 조립체.The holder is a rectangular hoist support assembly.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홀더는The holder is 상기 외측 지지대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며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A pair of vertical supports fixed to an inner end of the outer support and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권상기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단 지지대, 그리고An upper support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 and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and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권상기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 지지대A lower supporter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s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hoist 를 포함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A hoist support assembly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외측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그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를 형성하는 대향된 내벽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보조 지지대와,An auxiliary suppor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pport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pport and is fixed to opposite inner walls forming the hoistway; 상기 한 쌍의 외측 지지대 및 상기 홀더와 상기 보조 지지대 사이에서 이들을 고정하는 다수의 연결부재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for fixing the pair of outer supports and the holders and the auxiliary supports; 를 더 포함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A hoist suppor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보조 지지대와 상기 홀더의 상단을 연결하여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상측 보강부재와A pair of upper reinforcing members for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and the holder and fixed to each other and 상기 보조 지지대와 상기 홀더의 하단을 연결하여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하측 보강부재A pair of lower reinforcement members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 lower end of the holder to be fixed to each other 를 더 포함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A hoist suppor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권상기의 시브의 축 중심과 상기 외측 지지대의 높이의 중심이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The hoisting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of the axis of the sheave of the hoist and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outer support are the same height.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로에서 권상기를 지지하기 위한 권상기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A hoist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hoist in a hoistway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상기 권상기 지지 조립체의 높이 방향의 중심과 상기 권상기의 시브의 축 중심이 동일한 높이에 오도록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지지 조립체.The hoisting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isting machine supports the hoisting machine such that the center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ing support assembly and the axis center of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are at the same height.
KR1020040041536A 2004-06-07 2004-06-07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KR100860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536A KR100860935B1 (en) 2004-06-07 2004-06-07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PCT/KR2005/001666 WO2005121012A1 (en) 2004-06-07 2005-06-03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CN200580018298A CN100584726C (en) 2004-06-07 2005-06-03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and mechanical support assembly for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HK07112995.3A HK1107327A1 (en) 2004-06-07 2007-11-28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and machine support assembly for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536A KR100860935B1 (en) 2004-06-07 2004-06-07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317A true KR20050116317A (en) 2005-12-12
KR100860935B1 KR100860935B1 (en) 2008-09-29

Family

ID=3550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536A KR100860935B1 (en) 2004-06-07 2004-06-07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860935B1 (en)
CN (1) CN100584726C (en)
HK (1) HK1107327A1 (en)
WO (1) WO200512101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91B1 (en) * 2009-08-20 2010-04-02 대성엘리베이터주식회사 Traction machine structure for an elevator and cag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98041A (en) * 2010-04-01 2010-08-11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Arrangement structure of traction machine on elevator
CN101837920A (en) * 2010-05-24 2010-09-22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Tractor support beam structure on elevator
CN103596869B (en) * 2011-06-16 2015-12-0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Elevator
US11104549B2 (en) 2015-11-25 2021-08-31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 mounting structure for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84380A (en) * 1988-09-23 1990-03-24 Kone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AEMPANDET AV VIBRATIONER I EN HISSKORG.
FI100962B (en) * 1994-06-14 1998-03-31 Kone Oy Suspension arrangement of hydraulic lift
KR19990036787U (en) * 1998-02-27 1999-09-27 이종수 Antivibration Rubber Tightening Structure of Elevator
US6435314B1 (en) * 2000-03-24 2002-08-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latform stabilization coupler
JP4557401B2 (en) * 2000-09-19 2010-10-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91B1 (en) * 2009-08-20 2010-04-02 대성엘리베이터주식회사 Traction machine structure for an elevator and ca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07327A1 (en) 2008-04-03
CN1976859A (en) 2007-06-06
CN100584726C (en) 2010-01-27
WO2005121012A1 (en) 2005-12-22
KR100860935B1 (en) 200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6947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US9580277B2 (en) Elevator car suspension
JP4351471B2 (en) Lifting type elevator
KR100430112B1 (en) Elevator with drive unit supported by guide rail
WO2006101154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0780499B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US7481300B2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KR100860935B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system
JP4726295B2 (en) elevator
JP7214847B2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with this car
JP4091326B2 (en) Elevator equipment
US20040112681A1 (en) Elevator system
JP2004262602A (en) Car for elevator
CN113460834A (en) No computer lab host computer arrangement structure
JP2000086126A (en) Traction elevator
JP6404493B1 (en) Elevator equipment counterweight and elevator equipment
WO2023021644A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JP2003221177A (en) Hoisting machine device for elevator
JP2001192191A (en) Elevator device
JPH0114619Y2 (en)
CN215558196U (en) Machine-placing crossbeam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machine-room-less host machine
JPWO2003043921A1 (en) Elevator equipment
JP4307904B2 (en) Elevator return wheel support device
JP2012041174A (en) Elevator car
EP1113975B1 (en) Elevato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