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244A -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244A
KR20050116244A KR1020040041382A KR20040041382A KR20050116244A KR 20050116244 A KR20050116244 A KR 20050116244A KR 1020040041382 A KR1020040041382 A KR 1020040041382A KR 20040041382 A KR20040041382 A KR 20040041382A KR 20050116244 A KR20050116244 A KR 20050116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cut
pixels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801B1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80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잘라붙이기 방법에 있어서, 잘라붙이기 메뉴 선택 시, 제1이미지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1이미지데이터에서 일정부분 선택하여 잘라내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제2이미지데이터 선택 시,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에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데이터를 붙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METHOD FOR EDITING THE IMAG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잘라내고 붙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전화기와 통화를 수행하거나, 휴대하면서 개인 정보관리,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의 정보교류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근래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화상이나 동영상의 송수신, 가상 3차원 음향 및 스테레오 사운드 구현, MP3 플레이어 기능,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 등 하루가 다르게 그 성능이 향상된 휴대용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기능의 휴대용 단말기는 보다 다양한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의 욕구를 가중 시켰고, 특히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사용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은 더욱 다양하고 향상된 기능의 합성과 편집의 활용 욕구를 지니게 되었다.
이에, 상기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과 합성과 같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새로운 부가 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잘라내고 붙이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잘라붙이기 방법에 있어서, 잘라붙이기 메뉴 선택 시, 제1이미지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1이미지데이터에서 일정부분 선택하여 잘라내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제2이미지데이터 선택 시,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에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데이터를 붙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기 설명에서 이미지 보간법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주어진 화소에서 계산하려는 칼라와 같은 칼라 정보를 갖는 주위의 화소값들을 사용하는 가장 인접한 이웃 화소 보간법(Nearest neighbor replication)과 양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 및 중간값 보간법(Median interpolation)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영상 보간법과 같은 특정 상세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임으로 상기 특정 상세들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기 선택박스는 특정 부분의 이미지를 캡처(Capture)하기 위한 툴(Tool)을 의미하고 잘라내기는 상기 선택박스 안쪽에 위치한 이미지를 캡처(Capture)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하기 붙이기는 상기 캡처(Capture)한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에 오버랩(overlap)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하기 이미지들은 176*144의 크기로 스케일링되어 메모리29에 저장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 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를 잘라내는 기능과 상기 잘라낸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에 붙이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 키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를 잘라내는 프로그램과 상기 잘라낸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에 붙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잘라낸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의 화소수가 다르면 이미지 보간을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은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잘라내기 모드시 메모리29 및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잘라낼 이미지를 리드하여 표시하고 상기 잘라내기 모드를 통하여 잘라낸 이미지를 표시부80에 출력하도록 하고 이미지 붙이기 모드시, 메모리29 및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잘라낸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를 리드하여 표시하고 상기 붙이기 모드를 통하여 상기 잘라낸 이미지를 상기 다른 이미지에 붙여서 상기 표시부80에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잘라낸 이미지와 상기 다른 이미지의 화소수가 다를 경우 상기 잘라낸 이미지 또는 상기 다른 이미지를 이미지 보간 하도록 한다.
카메라5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은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표시부80은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은 상기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이미지 편집모드에 진입하여 잘라낼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미지 잘라내기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잘라낸 이미지를 저장하고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다른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미지 붙이기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잘라낸 이미지를 상기 다른 이미지에 오버랩(overlap)하여 저장하고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잘라 붙이기를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잘라내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잘라낸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에 보간 하여 붙이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잘라 붙이기 메뉴 선택시 제어부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잘라 붙이기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잘라낼 제1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04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를 리드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부10은 20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에서 잘라내기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208단계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잘라내기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박스 모양선택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4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선택박스 모양의 목록을 표시한다. 상기 선택박스 모양은 사각모양, 원모양 및 하트모양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박스 모양의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선택된 모양으로 상기 선택박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선택박스 모양을 선택하지 않고 기 설정된 모양의 선택박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입력하여 상기 선택박스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0은 4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위치에 상기 선택박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두 번째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입력하여 상기 선택박스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면 상기 제어부10은 4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크기로 상기 선택박스를 설정하고 제1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설정완료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2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은 431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선택박스 안쪽의 이미지를 캡처(Capture)하여 잘라내기 모드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선택완료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붙일 제2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11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를 리드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부10은 214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 붙이기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214단계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붙이기 모드에서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먼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입력하여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0은 5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위치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두 번째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변경과 같은 효과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방향으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설정완료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오버랩(overlap)으로 표시하여 붙이기 모드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설정완료 키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521단계에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 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52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은 528단계에서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하고 상기 보간된 제2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 화소수 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5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은 534단계에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하고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보간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적어도 1개의 이미지를 잘라 붙이기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이미지 데이터 표시상태인 301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잘라내기 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부10은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은 30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에서 잘라내기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308단계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잘라내기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박스 모양선택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4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선택박스 모양의 목록을 표시한다. 상기 선택박스 모양은 사각모양, 원모양 및 하트모양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박스 모양의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선택된 모양으로 상기 선택박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선택박스 모양을 선택하지 않고 기 설정된 모양의 선택박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먼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입력하여 상기 선택박스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0은 4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위치에 상기 선택박스를 설정하고 제1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두 번째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입력하여 상기 선택박스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면 상기 제어부10은 4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크기로 상기 선택박스를 설정하고 제1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설정완료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2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은 431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선택박스 안쪽의 이미지를 캡처(Capture)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하기 붙이기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적어도 1개의 이미지를 캡처(Capture)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을 이용하여 붙이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붙이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붙일 제2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14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를 리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부10은 31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 붙이기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318단계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되어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잘라낸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이미지 데이터 중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선택된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가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먼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입력하여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0은 5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위치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설정하고 제2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두 번째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변경과 같은 효과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방향으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설정하고 제2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설정완료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오버랩(overlap)으로 표시하여 붙이기 모드를 완료한다. 상기 사용자가 설정완료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521단계에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 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52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은 528단계에서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하고 상기 보간된 제2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 화소수 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5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은 534단계에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하고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에 보간된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잘라내고 상기 잘라낸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에 붙이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화소수가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보간 함으로써 보다 높은 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흥미 유발을 통해 휴대용단말의 수요를 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업자 입장에서는 경쟁사에 대해 경제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잘라 붙이기를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적어도 1개의이미지를 잘라 붙이기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잘라내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잘라낸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에 보간 하여 붙이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잘라붙이기 방법에 있어서,
    잘라붙이기 메뉴 선택 시, 제1이미지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제1이미지데이터에서 일정부분 선택하여 잘라내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제2이미지데이터 선택 시,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에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데이터를 붙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데이터는 적어도 1개의 이미지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하는 과정이,
    상기 제1이미지데이터에 잘라내기를 수행하기 위한 선택박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선택박스를 해당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박스의 설정은 상기 선택박스의 모양과 크기 설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붙이기를 수행하는 과정이,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에 상기 잘라낸 제1이미지데이터를 해당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제1이미지 데이터의 효과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의 효과 설정은 상기 제1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설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에 적어도 1개의 잘라낸 제1이미지데이터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에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데이터를 붙이는 과정이,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데이터의 화소수와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의 화소수의 대소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화소수의 대소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 보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이미지데이터 보간하는 과정이,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 보다 많으면,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하는 과정과,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 보다 적으면, 상기 잘라내기를 수행한 제1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KR1020040041382A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KR10060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382A KR100605801B1 (ko)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382A KR100605801B1 (ko)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244A true KR20050116244A (ko) 2005-12-12
KR100605801B1 KR100605801B1 (ko) 2006-08-01

Family

ID=3728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382A KR100605801B1 (ko)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41B1 (ko) * 2005-12-0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 기능을이용한 액자 이미지 생성 방법
KR100993199B1 (ko) * 2008-10-30 2010-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의 이미지 관리 및 등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212A (ko) * 2002-04-25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통신단말기의 영상편집방법
KR100484143B1 (ko) * 2002-06-12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편집 장치 및 방법
KR100566242B1 (ko) 2002-07-19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편집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41B1 (ko) * 2005-12-0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 기능을이용한 액자 이미지 생성 방법
KR100993199B1 (ko) * 2008-10-30 2010-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의 이미지 관리 및 등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801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151B1 (ko) 모바일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16388B2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
US7447425B2 (en) Method of zoom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060123179A (ko) 휴대 전화기,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02056168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s
KR20070012059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JP2007312039A (ja) Tv電話機能付き携帯端末
US20050140802A1 (en) Method for synthesizing photographed image with background scene in appratus having a camera
CN111556439A (zh) 一种终端的连接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JPWO2003077096A1 (ja)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0605801B1 (ko) 휴대용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40410B1 (ko) 음성 선택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KR100617736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확대 및 축소 방법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6300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재구성방법
KR100640540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설정 방법
KR20040029751A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에서 배경그림과 촬영사진을 합성하는 방법
JP2008085618A (ja) 携帯通信端末
KR1006393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557152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KR200400976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타 원터치 설정 방법
KR100678027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영상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