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903A - Wlan에서 트래픽 전송 방법 및 wlan - Google Patents

Wlan에서 트래픽 전송 방법 및 wl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903A
KR20050115903A KR1020057016898A KR20057016898A KR20050115903A KR 20050115903 A KR20050115903 A KR 20050115903A KR 1020057016898 A KR1020057016898 A KR 1020057016898A KR 20057016898 A KR20057016898 A KR 20057016898A KR 20050115903 A KR20050115903 A KR 20050115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service
sent
time
qs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235B1 (ko
Inventor
아툴 가르그
프라도 파본 자비에르 델
사이 샨카르 난다고파란
암자드 수므로
준 종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11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2Synchronisation amo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nodes, e.g. time triggered protocol [TTP]
    • H04J3/0655Synchronisation amo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nodes, e.g. time triggered protocol [TTP] using time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WLAN는 적어도 하나의 HC 및 적어도 하나의 QSTA를 포함한다. HC는 스케쥴 프레임 요소(SEF)를 포함한다. WLAN는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서비스 기간의 개시 시간을 설정하는 클로킹 메커니즘도 포함한다. HC 및 QSTA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SEF를 전송하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서비스 기간의 개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WLAN에서 트래픽 전송 방법 및 WLAN{METHOD FOR SCHEDULING SERVICE PERIOD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데이터 및 음성 통신에서 무선 접속의 사용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장치는 휴대형 컴퓨터, PDA, 셀룰러 폰, WLAN(무선 근거리 통신망) 내의 컴퓨터, 휴대형 핸드셋 등을 포함한다. 채널 변조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무선 통신 대역폭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로써 WLAN은 유선 및 광섬유 솔루션에 대한 가능한 대안이 되었다.
IEEE 802.11은 WLAN의 MAC 서브층 및 물리(PHY) 층의 사양을 포함하는 표준이다. 이러한 표준이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의 제어면에서 상당한 개선을 제공했으나, 네트워크 액세스 및 증가된 채널 레이트에 대한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서, 그 표준의 지속적인 개발 및 변화가 요구되었다. 예컨대, 특히 서비스 품질(QoS)을 보증하는 WLAN에서의 실시간 서비스 지원에 대한 연구가 상당이 이루어졌다.
위에 개시된 폴링 순서(polling sequence)의 IEEE 802.11E 사양을 제공함으로써 WLAN의 효율을 개선하고 있지만, 단점을 갖고 있다. 예컨대, 최소 서비스 시간과 최대 서비스 시간은 QAP(HC(Host Coordinator)라고도 함)에 의한 제 1 성공 데이터의 개시(start) 또는 QoS 조정 기능 QoS(+) CF-폴(Poll) 전송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HC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 또는 폴이 QSTA(Quality of Service Station)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될 수는 있지만, 수신에 의한 필요한 확인은 HC에 의해 적절하게 수신될 수 없다. 이와 같이 QSTA는 HC로부터 스케쥴 구성 요소 프레임(schedule frame element:SEF)을 수신한 이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 및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 세트로 최소 서비스 시간(minimum service period)을 설정하며, HC가 수신확인을 수신하지 않아도 최대 서비스 시간(maximum service period) 동안 이전 전송이 수신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이전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QSTA가 최소 시간의 개시를 이미 설정했기 때문에, 예컨대 절전 모드에서 폴을 수신하지 않아서, 프로토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트래픽 송수신에 따른 이러한 문제는 서비스 구간의 개시까지의 시간의 모호성(ambiguity)으로 인해서 일어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유발해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최소 서비스 시간의 개시의 설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에 더해서 서비스 시간의 종료도 모호해질 수 있으며 이로써 프로토콜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예컨대 QSTA가 최종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것이 HC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으며, HC가 최종 프레임을 전송하고, QSTA에 의해 이것이 수신되어서 수신확인이 전송되었지만, 수신확인이 HC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경우에, QSTA가 특정 시간에 최종 태스크를 수행한 이후에, 절전 모드 혹은 전송을 수신하지 않은 다른 기능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는 동안에 HC가 QSTA로 전송을 계속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용한 자원을 낭비할 수 있다. 또한, HC는 서비스 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QSTA를 서비스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QSTA는 절전 모드로 들어가거나 혹은 절전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내부 큐(internal queues)를 관리할 수 있는데도, 불필요하게 온 상태(on state)로 유지될 것이다. 물론 이는 유용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시킨다.
또한, 기존 기술에서 전송 기회(TXOP)가 서비스 기간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서비스 기간은 하나의 TXOP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기간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서비스 기간 이후에, QSTA는 절전 모드로 들어간다. 절전 모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전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력 낭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모호성을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기존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WLAN의 HC와 QSTA 사이의 폴링 및 전송(데이터 및/또는 음성 프레임) 트래픽 방법이 요구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블록도,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스케줄 구성 요소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시퀀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타임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시퀀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타임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
일 실시예에 따라서, WLAN 시스템의 트래픽 송수신 방법은 제 1 서비스 구간의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개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이 개시 시간 이후의 시간 동안 제 1 장치로부터 제 2 장치로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WLAN은 적어도 하나의 HC(hybrid coordinator) 및 적어도 하나의 QSTA를 포함한다. HC는 SEF(schedule frame element)를 전송한다. WLAN는 서비스 구간의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개시 시간을 설정하는 클로킹 메커니즘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충분히 이해된다. 도면은 실제 축적으로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실상, 설명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치수는 임의대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서 특정 세부 사항을 나타내는 실시예가 본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본 개시물을 통해서 본 발명이 여기 개시된 특정 세부 사항으로부터 벗어난 다른 실시예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기존의 장치, 방법 및 자료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WLAN(100)를 도시하고 있다. WLAN(100)는 적어도 하나의 HC(101)을 포함하고, 이는 무선 하부구조(도시 생략)에 의해 복수의 QSTA(102)에 접속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4개의 QSTA(102)가 도시되어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이는 실시예의 설명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행해졌다. QSTA(102)는 개인용 컴퓨터, 가전제품, 핸드세트 및 다른 장치와 같이, WLAN에서 사용가능하게 접속된 예시적인 휴대형 장치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WLAN(100) 및 그 구성 요소는 실질적으로 IEEE 802.11 표준 및 그 개정판 및 개전 버전을 따르고 있다. WLAN(10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수정 사항 및 개선점을 포함한다. WLAN(100)의 많은 구성 요소 및 방법이 사양 IEEE 802.11E 드래프트 D4.0을 따를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참조된 사양들의 전체 개시물은 본 발명에 참조로서 포함된다는 점에 주의한다.
동작시에 HC(101)는 다양한 QSTA(102) 사이의 통신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서, HC는 QSTA(102)에 의한 음성 및 데이터의 전송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QSTA(102)는 HC(101)를 통해서만 서로 접속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QSTA는 HC(101)로 우선 전송할 필요없이 하나 이상의 QSTA와 통신할 수 있다. QSTA는 업링크라고 알려져 있으며, HC는 다이렉트 링크라고 알려져 있다. WLAN(100)의 이들 측면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반적인 이해에 적절하며, 일반적으로 실시예의 세부 사항은 실시예의 이해해 적절하지 않다. 이와 같이, 이들 세부 사항은 실시예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포함되지 않는다.
도 2a는 실시예에 따른 SEF(200)를 도시하고 있다. SEF(200)는 식별자 프레임 요소(201), 길이 프레임 요소(202), 서비스 구간 프레임 요소(204), 최대 서비스 기간 프레임 요소(205) 및 특정 구간 프레임 요소(206)를 포함한다. 이들 요소는 알려져 있는 것으로 이들 프레임 요소의 세부 사항은 표준 IEEE 802.11 및 그 개정판에 명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물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들 프레임 요소 중 일부는 실시예와 함께 더 설명될 것이다.
SEF(200)는 개시 시간 프레임 요소(ST:203)도 포함한다. ST(203)는 가장 가까운 서비스 구간의 절대 개시 시간의 정보를 HC로부터 포함한다. 절대 방식으로 개시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서비스 구간에 HC에 의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로 혹은 직접 링크 방식으로 서비스될 HC와 특정 QSTA(혹은 다수의 QSTA) 사이의 동기화를 제공한다는 것은 본 설명이 계속됨으로써 더 자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QSTA가 절대적인 서비스 구간의 개시 시간을 갖기 때문에, 기존 기술 및 장치에서의 서비스 구간의 개시 시간의 모호성은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상당히 감소된다. ST(203)의 절대 개시 시간은 QSTA의 클록을 HC의 TSF(Timing Synchronization Function)을 통해서 HC의 클록에 동기화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으며, TSF에 의해 절대 시간으로서 설정될 수 있고, 혹은 특정 타겟 비컨 전송 시간(TBTT)에 절대 오프셋이 설정될 수 있다. 개시 시간 설정 기술의 세부사항은 실시예와 관련해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HC가 특정 서비스 구간 중에 QSTA의 서비스를 완료하면, 최종 프레임 교환이 SEF(200)와 유사한 SEF(207)를 통해서 전송되며, 이는 프레임의 QoS 제어 필드에 최종 프레임 식별자(LF:208)를 포함한다. SEF(207)은 기준이 되는 IEEE 표준에 따라서 다양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209)도 포함한다. 최종 프레임 식별자(208)는 QSTA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특정 서비스 구간 동안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형태의 모든 트래픽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QSTA에 알린다. 궁극적으로, 이로써 QSTA는 절전 모드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불필요하게 온 상태로 유지되는 일없이 절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QSTA는 그 내부 큐, 특히, 시간-민감형(time-sensitive) 큐잉을 관리할 수 있게 되어서 위에 언급한 기존 기술 및 장치에 비해서 큰 장점을 제공한다. 즉, 실시예의 최종 프레임 식별자를 통한 완료 통보를 수신하는 일 없이, QSTA는 프레임 소자(205)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에 따라서 최대 서비스 기간의 종료까지 온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HC는 QSTA에 의한 수신 확인(ACK)이 수신될 때까지 최종 프레임 식별자를 계속해서 전송할 것이라는 점에 주의한다. 이로써, 서비스 기간의 완료 시점의 모호성을 제거해서, 기존 기술 및 장치를 사용할 때 네트워크에 악영향을 미쳤던 단점을 극복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시퀀스(300)의 일부의 타임 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제공된 시퀀스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기반 시퀀스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네트워크의 HC는 비컨(301)을 전송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TBTT(302)에서 나타난다. 이 비컨은 HC의 TSF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포함한다. 비컨 전송이 수신되거나 인터페이스되는 것이 아니라 TBTT가 전송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서, TBTT정보가 HC의 TSF에 포함되고, 일단 QSTA가 TSF를 수신하면 이는 실시예를 만족시키는 데 유용한 2가지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우선, QSTA(또는 WLAN의 다수의 QSTA)는 HC의 클록과 동기화되도록 그 클록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QSTA(또는 WLAN의 다수의 QSTA)는 타겟 전송 비컨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이들 태스크는 더 상세하게 설명될 실시예에 유용하다.
HC는 SEF(304)를 하나 이상의 QSTA에 전송하며, 이는 도 2a의 예시적인 SEF의 ST(203)와 같은 ST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시 시간은 위에 참조한 TSF에서 설정되며, 이는 마이크로 초 단위로 표현된 제 1 서비스 구간의 개시 시간에 TSF 타이머의 낮은 자리의 4바이트로 설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EF(304)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정해진 하나 이상의 QSTA에 의해 계산된 절대 시간인 개시 시간(305)을 포함하며, 이는 QSTA의 클록이 HC의 클록과 동기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QSTA는 개시 시간(305)에서 온 상태로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또한 SEF는 최대 서비스 시간(306)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SEF가 일정 시간에 개시 시간(305)을 설정하기 때문에 특정 SEF(304)의 모든 서비스 구간이 용이하게 설정된다. 이를 위해서, 다른 SEF가 전송되거나 QSTA는 서비스 구간을 종료할 때까지, 개시 시간 및 서비스 구간은 TSF을 통해서 SEF에 의해 설정된 일정 구간에 시작되고 종료한다.
SEF(304)와 개시 시간(305) 사이의 시간에 QSTA는 절전 모드로 들어갈 수 있거나 내부 큐를 관리할 수 있거나, 둘 다 가능하다. 어떤 경우든, 개시 시간의 모호성이 없기 때문에 QSTA는 서비스 구간의 개시를 대기하는 시간 및 전력을 낭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 시간의 동기화로 인해서 개시 시간의 모호성으로 인한 기존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크게 방지한다.
개시 시간(305)에, 서비스 기간(308)이 시작한다. 예로서, 서비스 기간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전송 기회(TXOP)의 세트가 HC에 의해 QSTA에 제공되는 지속 시간이다. 유용하게, 제 1 서비스 시간은 TSF의 하위 4개의 바이트가 SEF의 개시 필드(즉, 개시 시간(305))에 명시된 값과 같을 때 시작된다. 최대 서비스 기간 동안에는 지속될 수 있는, 이 기간(308) 동안, HC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또는 직접 링크 트래픽을 통해서 QSTA를 서비스한다. HC가 서비스 기간의 최종 SEF를 전송할 때, LF(208)와 같은 서비스 기간의 종료를 나타내는 LF가 전송된다. 이 실시예에서, 서비스 기간은 최대 서비스 기간(306)에 있는 시간(303)에 종료한다. 다시, 서비스 기간(308)의 종료는 개시 시간(305) 이후 최대 서비스 기간(306)까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QSTA는 서비스 구간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서비스 구간을 종료시킨다.
유익하게, 서비스 기간의 종료의 모호성이 실질적으로 LF의 전송에 의해 종료되기 때문에 혹은 최대 서비스 시간(306)이 절대 시간에 종료되기 때문에, QSTA가 불필요하게 온 상태로 남아 있는 일이 없이 자유롭게 내부 큐를 관리하거나 절전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이는 특정 서비스 기간의 종료 시간에 있어서의 모호성의 악영향을 받았던 기존의 방법 및 장치에 비해서 상당한 개선을 갖는다.
설명된 개선에 더해서,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서비스 기간에 하나 이상의 TXO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구간을 하나의 TXOP에 필요한 시간과 같게 설정했던 기존의 장치 및 방법에 비해서 상당한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기존의 기술에 의해서 TXOP가 완료될 때마다, QSTA는 절전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다른 TXOP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QSTA는 절전 모드에서 온 상태로 재 전력 공급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온 상태로 유지되는데 필요한 에너지에 비해서 큰 에너지를 취한다. 따라서, 다수의 TXOP를 완료하기 위해서, 기존의 방법 및 장치를 통해서 별도의 파워업 과정을 수회 수행할 수 있다. 확실하게 이에 비해서, 실시예에 따라서, 다수의 TXOP는 한번의 파워업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위의 설명한 수회의 전력 소비 파워업을 수행한다. 궁극적으로, 이는 절전을 개선해서 효율적인 WLAN 자원 사용을 조장한다. 마지막으로, 최대 서비스 기간은 원하는 수의 TXOP를 수용하도록 SEF(304)에서 설정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시퀀스(400)의 일부의 타임 라인을 도시한다. 전송 시퀀스(400)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특성 및 기능을 공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참조되지만, 구별되지 않는 같은 소자는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시퀀스는 비컨(401)의 전송을 포함하며, 이는 HC의 TSF를 포함할 수 있다. TBTT(402)는 서비스 구간(407) 및 모든 후속하는 서비스 구간(407)의 개시 시간(405)을 설정하는 데 유용하다. SEF(404)는 HC에 의해 전송되며, 이는 도 2a와 관련되어 설정된 바와 같다. SEF(404)는 개시 시간 요소(203)와 같은 개시 시간 요소의 개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SEF(404)는 SEF(404) 이후 특정 수의 TBTT(402) 이후에 특정 시간에 시작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SEF(404)가 전송되고 수신 확인되며, 미리 정해진 수의 TBTT(409) 및 미리 정해진 비컨 오프셋 기간(410) 이후에 제 1 서비스 구간은 개시 시간(405)에 시작한다. SEF(404)는 서비스 구간 및 빈도수와 최대 서비스 기간(406)을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기간은 최대 서비스 기간과 같아질 수 있다. 그러나, HC가 LF(208)과 같은 LF를 전송하면, 서비스 기간(408)은 최대 서비스 기간의 종료 이전에 종료한다. 서비스 기간(408)의 종료와 최대 서비스 시간의 종료 사이에 차가 403으로 나타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TBTT 비컨 카운트(409) 및 오프셋 시간(410)을 사용해서 절개 개시 시간(405)을 설정함으로써 절대 개시 시간을 제공하며, 이는 도 3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또한, LF를 통해서 서비스 기간(408)을 종료하는 이점은 도 3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은 이점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최대 서비스 기간은 복수의 TXOP를 수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절전 및 효율적인 자원 사용 면에서 WLAN에 장점을 제공한다. 이들 이점은 위에 도 3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가 설명됨으로써 이는 본 개시물의 이점을 가지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변화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는 것으로 볼 수 없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이러한 수정은 후속하는 청구항 및 이들의 법적 동등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Claims (20)

  1. WLAN(무선 근거리 통신망:100)의 제 1 장치(101)와 상기 WLAN의 제 2 장치(102) 사이에서 트래픽을 주고 받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서비스 구간(307) 동안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개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시 시간 이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사이에서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제 2 장치의 클록을 상기 제 1 장치의 클록에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시 시간을 상기 제 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개시 시간을 포함하는 스케쥴 프레임 요소(SEF:200)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제 1 장치의 상기 클록의 정보를 포함하는 타이밍 동기화 기능(TSF)을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HC(hybrid coordinator)이고, 상기 제 2 장치는 QSTA(a quality of service station)인
    트래픽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SF는 비컨(301)을 통해서 전송되는
    트래픽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TXOP(transmission opportunities)가 한번의 서비스 기간(308)에 전송되는
    트래픽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간은 상기 서비스 구간의 개시시에 발생하고, 최대 서비스 기간(306)의 완료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종료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간은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종료되고, 상기 제 1 장치는 SEF(207)내의 최종 프레임 요소(LF:208)를 전송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구간이 완료된 이후에 복수의 서비스 구간이 발생하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구간은 연속하며,
    상기 각각의 서비스 구간은 상기 제 1 서비스 구간의 시간과 같은 시간 및 상기 시간의 역수인 빈도수(a frequency)를 가지는
    트래픽 전송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개시 시간 설정 단계는
    복수의 타겟 비컨 전송 시간(TBTT:302)을 포함하는 비컨(301)을 전송하는 단계와,
    일정수의 상기 TBTT와 오프셋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 1 서비스 기간이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일정수의 상기 TBTT 및 상기 오프셋 기간을 포함하는 스케줄 프레임 요소(SEF)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HC이고, 상기 제 2 장치는 QSTA인
    트래픽 전송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TXOP가 한번의 서비스 기간(308)에 전송되는
    트래픽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간은 상기 서비스 구간의 개시시에 발생하고, 최대 서비스 기간(306)의 완료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종료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간은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종료되고, 상기 제 1 장치는 SEF(207)내의 최종 프레임 요소(LF:208)를 전송하는
    트래픽 전송 방법.
  17. HC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QSTA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 1 서비스 구간(307)의 개시 시간(305)은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시간으로 설정되는
    WLAN(100).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시간은 상기 QSTA의 클록을 상기 HC의 클록에 동기화시키고, 상기 개시 시간을 상기 QSTA로 전송함으로써 설정되는
    WLAN(100).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절대적인 개시 시간은 복수의 타겟 비컨 전송 시간(TBTT:302)을 포함하는 비컨(301)을 상기 HC로부터 전송함으로써 설정되고,
    상기 제 1 서비스 기간은 상기 일정수의 TBTT와 오프셋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개시하는
    WLAN(100).
  20. 제 17 항에 있어서,
    복수의 TXOP가 한번의 서비스 기간(307)에 전송되는
    WLAN(100).
KR1020057016898A 2003-03-11 2004-03-05 Wlan에서 트래픽 송수신 방법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KR101166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375503P 2003-03-11 2003-03-11
US60/453,755 2003-03-11
US48227603P 2003-06-25 2003-06-25
US60/482,276 2003-06-25
PCT/IB2004/000663 WO2004082211A1 (en) 2003-03-11 2004-03-05 Method for scheduling service period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903A true KR20050115903A (ko) 2005-12-08
KR101166235B1 KR101166235B1 (ko) 2012-07-18

Family

ID=3299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898A KR101166235B1 (ko) 2003-03-11 2004-03-05 Wlan에서 트래픽 송수신 방법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95230B2 (ko)
EP (1) EP1604491B1 (ko)
JP (1) JP4714676B2 (ko)
KR (1) KR101166235B1 (ko)
BR (1) BRPI0408183A (ko)
CA (1) CA2518635C (ko)
ES (1) ES2525467T3 (ko)
MX (1) MXPA05009609A (ko)
RU (1) RU2355130C2 (ko)
WO (1) WO20040822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32B1 (ko) * 2008-01-11 2009-11-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랜의 스케줄링 장치
KR101463547B1 (ko) * 2012-03-29 2014-11-20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네트워크 조정자 또는 ap 재시작 후의 세션 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1352B2 (ja) * 2002-10-17 2010-01-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スケジューラ・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181701B2 (en) * 2003-01-03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Glanceabl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7792121B2 (en) * 2003-01-03 2010-09-07 Microsoft Corporation Frame protocol and scheduling system
MXPA05011969A (es) * 2003-05-09 2006-02-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istema y metodo para especificar la peticion de medicion de la hora de inicio.
JP4325400B2 (ja) * 2003-12-26 2009-09-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の競合回避制御方法、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用端末
US7668128B1 (en) * 2004-05-17 2010-02-23 Avaya Inc. Features of power save in 802.11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ATE518332T1 (de) * 2004-06-29 2011-08-15 Nokia Corp Steuerung eines drahtlosen endgeräts mit kurzer reichweite
US7593755B2 (en) 2004-09-15 2009-09-2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of wireless data
DE102005040027B4 (de) * 2005-08-23 2012-10-25 Nec Europe Lt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ommunikation mit mobilen Stationen über ein drahtloses Netzwerk
KR101148246B1 (ko) 2006-04-24 2012-05-2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서의 송신 기회 이용을 위한 방법 및 시그널링 프로시저
US8169941B2 (en) * 2006-12-18 2012-05-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QoS scheduling methods for WLANs with heterogenous applications
US8064374B2 (en) * 2008-05-09 2011-11-22 Nokia Corporation Power sav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886755B1 (en) 2009-12-09 2014-11-11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from multiple stations
US8619650B2 (en) 2011-01-11 2013-12-31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306206B2 (ja) * 2014-11-20 2018-04-04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10201014B2 (en) * 2015-08-12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ion-based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9355B2 (ja) 1999-08-10 2003-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リング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6990616B1 (en) 2000-04-24 2006-01-24 Attune Networks Ltd. Analysis of network performance
US7187668B2 (en) * 2001-03-02 2007-03-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softwares and methods for advancing scheduling of next contention session upon premature termination of contention free exchange
DE10127880A1 (de) * 2001-06-11 2002-12-12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Dynamisches Netzwerk und Routing-Verfahren für ein dynamisches Netzwerk
US7245592B2 (en) * 2001-07-09 2007-07-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ligning 802.11e HCF and 802.11h TPC operations
JP2003037572A (ja) * 2001-07-23 2003-02-07 Nec Corp スケジューリング方式
US7221681B2 (en) * 2001-11-13 2007-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EEE 802.11e hybrid coordinator recovery and backoff rules
US7221686B1 (en) * 2001-11-30 2007-05-22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the signal propagation time and the clock correction for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7151945B2 (en) * 2002-03-29 2006-12-19 Cisco Systems Wireless Networking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040002357A1 (en) * 2002-06-25 2004-01-01 Mathilde Benveniste Directional antennas and wireless channel access
US7372855B2 (en) * 2003-01-08 2008-05-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 IEEE 802.11 power-save interval
BRPI0407861A (pt) * 2003-02-28 2006-03-01 Thomson Licensing processo para canal de ligação inferior exclusivo wlan
US7379462B2 (en) * 2003-04-01 2008-05-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LAN access scheduling control
US7583643B2 (en) * 2003-09-30 2009-09-01 Motorola, Inc. Enhanced passive scanning
US6917598B1 (en) * 2003-12-19 2005-07-12 Motorola, Inc. Unscheduled power save delivery metho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32B1 (ko) * 2008-01-11 2009-11-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랜의 스케줄링 장치
KR101463547B1 (ko) * 2012-03-29 2014-11-20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네트워크 조정자 또는 ap 재시작 후의 세션 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4491B1 (en) 2014-10-15
ES2525467T3 (es) 2014-12-23
MXPA05009609A (es) 2005-11-04
BRPI0408183A (pt) 2006-03-21
KR101166235B1 (ko) 2012-07-18
RU2005131418A (ru) 2006-02-10
JP4714676B2 (ja) 2011-06-29
AU2004218747A1 (en) 2004-09-23
EP1604491A1 (en) 2005-12-14
WO2004082211A1 (en) 2004-09-23
CA2518635A1 (en) 2004-09-23
US20060171362A1 (en) 2006-08-03
RU2355130C2 (ru) 2009-05-10
JP2006521734A (ja) 2006-09-21
CA2518635C (en) 2015-06-16
US8495230B2 (en)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235B1 (ko) Wlan에서 트래픽 송수신 방법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JP597850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消費の低減
CN102017732B (zh) 用于无线通信设备的节电机制
US20060029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onservation in wireless stations
US7167732B2 (en) Method for enhanced power saving on DCF based wireless networks
WO2006031673A2 (en) Method for updating a timer function in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GB2415573A (en) Power saving scheduler for a wireless network
KR20050107427A (ko) 서비스 주기의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JP4970933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肯定応答時間切れ付きフレーム同期
ZA200507293B (en) Method for scheduling service period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N100401702C (zh) 在ieee 802.11e wlan中的qos接入点与qos站之间保持同步
AU2004218747B2 (en) Method for scheduling service period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