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788A -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788A
KR20050115788A KR1020040041201A KR20040041201A KR20050115788A KR 20050115788 A KR20050115788 A KR 20050115788A KR 1020040041201 A KR1020040041201 A KR 1020040041201A KR 20040041201 A KR20040041201 A KR 20040041201A KR 20050115788 A KR20050115788 A KR 2005011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bration
frequency
aura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관
민킨 빅토르
쉬탐 알렉산더
Original Assignee
최진관
씨케이엔씨(주)
민킨 빅토르
쉬탐 알렉산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관, 씨케이엔씨(주), 민킨 빅토르, 쉬탐 알렉산더 filed Critical 최진관
Priority to KR102004004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788A/ko
Publication of KR2005011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7/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s other than charge patterns, e.g. an electric conductivity pattern; Processes involving a migration, e.g. photoelectrophoresis, photoelectrosolography; Processes involving a selective transfer, e.g. electrophoto-adhesive processes; Apparatus essentially involving a single such process
    • G03G17/005Radiation field photography, e.g. Kirlian photography, colour-discharg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4Lie det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정보 획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의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대상의 진동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진동이미지(진동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An Apparatus For Obtaining Data On An Obje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물 측정학, 전자공학, 심리학 분야에 관련된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대상에 대한 정신생리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아우라(Aura)를 시각화 할 수 있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심리와 생리학 사이에 존재하는 불가분의 관계에 대해 최초로 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가설은 분석 심리학의 창설자인 지그문트 프로이드에 의해 1890~1895년 사이에 제시되었다. 인간 심리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변화도 이에 대한 인체의 생리학적 반응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은 오늘날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물론 이 상관 관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아직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으며 이 정의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체에 관한 정신 생리학적 통합 정보를 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며, 현재까지 구체적인 접촉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몇 가지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인간의 감정적 및 심리적 상태를 평가하고 의학적 진단을 내리기 위해 잘 알려져 있는 인체의 생리학적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시스템으로는 일명 ≪거짓말 탐지기≫로 알려진 것으로, 특정한 외부 자극 특히 말에 의한 자극에 인체가 반응할 때 정신생리학적(정신 신체의) 매개변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얻은 생리학적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인체의 상태를 분석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몇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피검자의 몸에 센서를 단단하게 부착해야 하며 숙련된 테스트 진행 요원의 참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진단을 내리기 위해 위와 같은 시스템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기에는 현실적인 제약이 많다.
고대로부터 동양에서 인체의 여러 부위의 맥박의 변동 결과에 따라 의학적 진단을 내리기 위해 사용한, 고도의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파동 시스템(WO 02/065902, 맥박 측정법과 장치 및 생물측정 시스템)도 잘 알려져 있다. 현대적인 입체 맥박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면 인체의 손가락 끝 부분에서 수십만 회에 걸쳐 맥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체에서 발생하는 정신생리학적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종합적인 인체의 상태를 분석한다는 관점에서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만 센서를 인체에 부착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게다가 국소 부위에서 얻은 통합 정보는 분석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그룹에 속하는 접촉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으로 일명 ≪aura viewer≫라고 부르는 종류(US 5132714, RU 2110824, RU 2217047)는 환자 주위의 아우라를 조건적으로 만들기 위해 환자의 손이나 손가락에서 얻은 생리학적 정보를 이용한다. 그러나, 손바닥 피부의 전기물리학적 매개변수나 키를리안 효과에서 나타나는 손가락 주변의 가스 방전 발광 등이 인체 전체의 생체에너지 방사(아우라)와 직접적으로 관계를 가지지는 않는다.
이러한 접촉식 방법의 또 다른 문제점은 접촉식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피실험자 몰래 실험을 진행하기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접촉식 정신생리학적 테스트를 받는 사람은 그 사실을 항상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테스트 결과 분석에 또 다른 어려움을 가중한다. 왜냐하면 무엇인가를 숨기려고 하는 사람들은 정보를 감추기 위해 노력하며 아무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은 사람도 테스트 내내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느끼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거짓말 탐지기를 다루고 있는 인터넷 사이트의 반수 정도가 거짓말 탐지기를 속이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으며 이 방법이 성공했다는 사례도 다수 알려져 있다.
피실험자가 눈치를 채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상태를 숨기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므로 인체의 상태를 알기 위한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면 인체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체 상태의 분석과 진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문제와 오차를 피할 수 있다.
대상에 대한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얻는 방법과 장치(WO 02/51154) 또한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대상을 영상 변환하는 것으로서, 대상의 영상 투영, 대상의 영상을 이미지의 연속인 전기 시그널로 전환, 연속되는 이미지들에서 이미지간(間) 차이 측정 및 대상의 정보를 얻기 위해 이미지간(間) 차이를 축적하여 이용하는 것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장치는 피실험 대상(인간)에게 들키지 않고 실시간으로 비접촉식으로 인체의 정신생리학적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얻은 정보가 항상 상태의 변화를 정확하게 반영하지는 않는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축적된 이미지간(間) 차이가 항상 정확하게 대상의 매크로(Macro) 및 미크로(Micro) 위치 변화 사이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공간 내에서 위치 변화가 미미한 대상의 분석을 어렵게 함으로써 이 대상의 정신생리학적 매개변수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정신생리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비접촉식에 의하면서도 보다 민감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대상의 정신 생리학적 매개변수를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인체 아우라(Aura)를 시각화하여 인체의 정신 생리학적 상태를 용이하게 검출 또는 인식할 수 있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대상 정보 획득방법에 있어서, 대상의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대상의 진동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진동이미지(진동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대상 정보 획득장치에 있어서, 대상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상하는 광검출부, 상기 촬상된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연속적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동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진동이미지(진동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진동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생물체 각 부위의 진동과 정신 생리학적 매개변수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소립자 물리학에서는 물질의 파동 특성과 미립자 특성 사이의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광자 에너지(ε)는 플랑크 상수를 통해 광자 에너지의 주파수(ν)와 연결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ε = hν). 생물체의 각 부위에서 발산되는 에너지는 공간 내부에서의 해당 부위의 진동 주파수와 비례한다는 가설이 나온다. 결과적으로 말해, 생물체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생물체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공간 내에서 혹은 각 부위 사이의) 기록해야 한다. 이 과정은 충분한 해상력과 빠른 처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비접촉식 텔레비전 시스템을 이용하면 가능하다. 게다가 구한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구성요소는(즉, 각각의 부위에서 일어나는 진동(위치 변화, 파동) 주파수)는 피관찰 생물의 생체에너지 즉 정신생리학적 특성에 있어서 가장 많은 정보를 지니고 있다. 구한 진동이미지의 분석은 사람이 할 수도 있고 구한 디지털 진동이미지와/또는 그 구성 요소들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수학적으로도 할 수도 있다. 수학적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의 작성과 분석을 위해서는 모니터 스크린의 유사컬러 영상과 같은 시각적 분석에 편리한 진동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좋다.
즉, 구해야 하는 진동이미지, 특히 아우라로 나타나는 주파수 구성요소는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와 감정 상태의 수준을 지속적이며 일목 요연하게 특징지을 수 있도록 하며 인간에게 다양한 자극이 미칠 때 나타나는 인체 상태의 변화를 구분 지을 수 있게 한다. 밝혀진 바에 의하면, 인체 주변에 위치한 아우라로 나타나는 인체의 생체에너지 장(場)을 보여주는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방법에 비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아우라(Aura)라는 용어는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에 대한 통합적인 특성이다. 아우라는 인체 주변에 나타나는 것으로 인체의 생체에너지 구성 요소들과 특정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인체 아우라의 영상은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매개변수를 연구할 때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며 이 연구에서는 다음 요소들이 고려 대상이 된다.
인간의 감정적 상태는 말 그대로 매초 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람은 오랜 시간동안 한 가지 감정 상태로 머무를 수 없다. 모든 생각과 동작 또는 어떤 상황에 대한 반응은 감정 상태의 순간적인 변화(각각의 진동이미지의 이미지)로 이어진다. 따라서 구한 진동이미지에 대한 정보의 수(무엇보다 카메라의 해상력)와 시스템의 신속한 처리 사이의 최적의 상관 관계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아우라 크기의 진폭 조절(amplitude modulating)을 추가한, 대상의 최대 진동 주파수를 인체 특정 구역에서 일어나는 위치 변화의 주파수 또는 진폭의 평균 수치로 컬러 조절(modulating)을 함으로써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변화라도 일목요연하고 순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뇌의 차원 변동(fractal fluctuation)이 학습, 기억 및 다양한 과제 해결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으로 밝혀낸 바에 의하면, 인체에서 진동이 가장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부분은 뇌이며 대부분의 경우 아우라(진동이미지의 빈도 구성요소)가 사람의 머리 주변에만 존재하며/존재하거나 몸 주변의 아우라보다 훨씬 크다. 인체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아우라가 허물어 지거나 색과 형태가 비대칭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표현된다. 이는 구한 진동이미지를 보면 확실하게 드러난다.
진동이미지의 요소들이 실제 영상의 요소들과 위상기하학적(topology)으로 연관되는 것은 일장 일단이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인간의 감정 상태는 최대 진동 주파수로 전달되며 주파수의 평균 수준이나 인접한 포인트 들의 배경 수준은 뭉개지거나 진동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받아들일 때 일어나는 진정한 변화를 은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동이미지의 요소가 실제 영상의 요소에 위상기하학적(topology)으로 연관되는 것은 실제 영상 주변에 위치한 아우라로 표현되어지는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구성 요소보다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동이미지의 요소가 실제 영상의 요소에 위상기하학적(topology)으로 연관되어 있을 때, 최대 진동 주파수를 가지는 요소들은 영상을 색빈도 조절을 실시할 경우 전체적인 배경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진동이미지를 다양한 형태로 수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구하는 진동이미지를 사전에 시각적으로 제어해야 한다. 제안되는 아우라 형태의,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구성요소의 영상은 생체에너지 방사에 대한 물리적 개념에 일치하며 장치가 만들어낸 영상을 시각적으로 제어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주파수 구성요소와 달리 진폭 구성요소를 이용하면 위상기하학적 관계에서 더 효과적이다. 무엇보다도 진동 포인트에 대해 위상기하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진동이미지의 진폭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얻은 진동이미지의 질을 평가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한 정확한 파라미터를 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장치(10)는 광 검출부(11), A/D 변환부(13), 프로세서(15), 표시부(17), 저장부(18) 및 키 입력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검출부(11)는 인체 대상(20)을 연속적으로 촬상하여 이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 검출부(11)는 디지털 카메라, PC 카메라 등에 구비된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A/D 변환부(13)는 광 검출부(1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5)는 변환된 연속적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동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진동이미지(진동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진동 파라미터는 대상(20)의 부위별 위치 변화에 따른 진동 주파수, 진폭 및 위상 등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15)는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인체 대상(20)의 정신 생리학적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정신 생리학적 정보는 안정 상태, 흥분 상태, 스트레스 상태 등의 대상의 현재 심리적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표시부(17)는 프로세서(15)에 의해 생성된 진동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고, 저장부(18)는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키 입력부(19)는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거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키 입력부(19)의 F10을 누르면 10초 동안 아우라가 축적되고, F11을 누르면 다시 F11을 누를 때까지의 아우라가 축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촬상된 대상(20)의 진동이미지가 대상 정보 획득장치(10)의 표시부(17)에 표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 검출부(11)를 포함하는 카메라에서 대상(20)의 이미지를 촬상하면 대상 정보 획득장치(10)의 프로세서(15)에서 진동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진동이미지를 만들어 내어 표시부(17)에 표시하게 된다.
도 2에서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10)로서 휴대폰을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그 외에 PDA, 일반 유선 전화기, PC, 팩스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광 검출부(11)에서 대상(20)의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을 아날로그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S10, S20).
이 전기적 신호는 A/D 변환기(13)에 의해 영상 데이터로 변환된다(S30).
프로세서(15)는 각 영상 데이터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진동 파라미터를 산출한다(S40). 진동 파라미터는 상기 대상의 부위별 위치 변화에 따른 진동 주파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프로세서(15)는 대상(20)의 각 부위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부위의 진동 주파수, 위치 변화의 크기(진동의 크기) 및 위상 등을 산출한다. 프로세서(15)는 진동이미지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무게 중심에 대한 위치 변화를 측정하거나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진동 매개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로세서(15)는 여러개의 이미지로부터 인체의 움직이는(진동하는) 윤곽을 파악한 후 이 윤곽을 두 개의 균등한 부분으로(좌,우측) 분리한다. 다음으로 반으로 나뉘어진 행의 두 부분에서 최대 진동 주파수가 나타내는 지점을 결정한다. 이 주파수는 아우라의 해당 수평 행의 색을 결정한다. 분리된 윤곽 부분에 위치한 반으로 나뉘어진 행의 각각의 두 부분에서 위치 변동을 한 평균 진폭은 아우라의 크기(길이)를 결정한다. 각각의 지점에서 얻은 진동이미지는 확실하며 정적인 특징을 지니지만 통합적인 진동이미지은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매개변수와 관련이 있다.
프로세서(15)는 산출된 진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진동이미지(진동이미지)를 생성한다(S50). 진동이미지는 진폭 구성요소와 주파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폭 구성요소를 "내부 진동이미지"로, 주파수 구성요소를 "아우라"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용어 정의의 개념은 이하의 도 4에서 설명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프로세서(15)는 산출된 진동 파라미터로부터 촬상된 대상(20)의 정신생리학적 정보를 획득한다(S60). 즉, 프로세서(15)는 진동 파라미터를 분석함으로써 대상(20)의 심리적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4a는 진동이미지의 진폭 성분으로 형성되는 인체의 이미지 주위에 생체 에너지인 아우라가 방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내부 진동이미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위의 위치 변화 크기를 색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대상(20) 각 부위의 위치 변화 크기를 시각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우라는 내부 진동이미지의 주변에 나타나며, 평균 최고 진동 주파수를 색상으로 변조하여 나타낸다.
도 4b는 인체의 실제 영상 주위에 생체 에너지인 아우라가 방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의 이미지는 내부 진동이미지는 표현하지 않고 실제 영상 주위에 아우라만이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도 5a는 안정 상태에 있는 인체의 진동이미지이고, 도 5b는 공격적 상태에 있는 인체의 진동이미지이다.
그림 5a 표시된 인체의 영상은 정상적인 상태에 속한다. 왜냐하면 아우라가 형태와 색깔 면에서 충분히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아우라의 색이 선택한 색깔 눈금(전반적인 색-녹색)의 중간 정도로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자극을 받게 되면(화면에 나타난 폭력 장면을 보여줌) 아우라의 색깔은 보다 붉은 색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피실험자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공격적이 되면 도 5b와 같이 아우라는 붉은 색 성분을 많이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도 5b의 이미지에서 피실험자가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에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도 6a는 안정 상태에 있는 인체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구성요소(아우라)에 대한 분포 막대그래프이고, 도 6b는 스트레스 상태에 있는 인체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구성요소(아우라)에 대한 분포 막대그래프이다.
도 6a에 나와 있는 막대그래프는 정상적인 노동 상태에 있는 사람의 전형적인 주파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평온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싱글 모드의 분포 규칙에 흡사한 분포수 분포를 보인다. 화면에서 폭력 장면을 보는 것과 같은 특정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경우 피실험자의 상태는 도 6b처럼 변화한다. 만약 공포, 스트레스 및 공격적인 상태에서는 주파수 분포(M)의 평균(중간) 수치가 증가하는 쪽으로 이동한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에서는 주파수 분포 수치의(M) 평균(중간) 수치가 줄어드는 쪽으로 이동한다. 주파수 축(X)은 상대적인 단위 뿐 아니라 실제 단위 혹은 시간(㎐나 sec.)로도 표현할 수 있다. 표시값 사이의 거리는 컴퓨터, 텔레비전 카메라의 신속한 처리에 대한 실제 매개변수들과 소프트웨어의 셋팅(처리하는 순서에서 이미지를 축적하는 시간과 이미지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로부터 일정 거리에 연구 대상(사람)을 위치시켜 사람의 실제 영상이 화면에 충분히 크게 잡히도록 한다. 카메라의 초점을 사람에게 맞추고 그의 영상의 CMOS 매트릭스에 투영한다. 사람의 영상이 화면 중앙에 오도록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공항에서의 테러 분자의 검문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즉, 입국자에게 가방에 폭발물이 들어있는지 질문을 한 경우 입국자의 진동이미지를 생성하고 진동 파라미터를 분석함으로써 입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거짓말 탐지기와 유사하게 진동이미지에 나타나는 아우라의 색상 및 내부 진동이미지의 색상을 분석하여 입국자의 심리 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테러범 적발이 용이하게 된다.
도 8은 진동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의 설정 모드를 도시한 프로그램 화면이다.
아우라나 내부 진동이미지를 나타내는 색깔 눈금의 선택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은 수평축에 나와 있는 눈의 휘도 곡선과 일치하는 자연적인 색깔들이 아우라와 내부 진동이미지를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내부 진동이미지 주변에 아우라가 나타나도록 하려면 설정 화면의 "Aura visualization mode"에 마커를 체크하면 도 4a와 같이 표시되고, 실제 이미지 주변에 아우라가 나타나도록 하려면 설정 화면의 "Aura to real image"에 마커를 체크하면 화면에는 도 4b와 같이 대상의 실제 영상 주변에 아우라가 나타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차원적인 진동이미지 생성을 설명하였으나, 3차원(또는 반경과 같은 다른 알고리즘에 따른 2차원)과 인체 영상의 각 부위에 대해 E=kf 공식을 이용하여 아우라를 계산할 수 있는 입체 진동이미지도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보다 더 많은 장치들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색과 형태를 지니는 진동이미지를 프로그램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의 진동 매개변수를 나타낸 것이 진동이미지이며 이를 나타내기 위한 알고리즘은 어떤 것이든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ECG와 진동이미지를 이용하여 얻은 최대 주파수 리듬사이에는 어떤 상관 관계가 존재하며 만약 진동이미지를 구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제약(20㎐ 이상의 화면 조작 주파수)이 없다면 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인체의 진동이미지 주파수는 대략 5~10㎐ 정도이다.
또한, 유기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면 역관계를 이용하여 인체에 미치는 특정한 자극을 교정할 수 있다. 시스템을 구현하는 여러 방안 중 하나에서 인체에 미치는 자극은 모니터로 보여주는 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화면이 바뀌는 주파수는 의식이 인식하기 위해 낮게 설정할 수 있고(20㎐ 이하)(그림 7) 잠재 의식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보다 더 높이(25㎐) 설정할 수 있다. 아우라와 진동이미지의 변화에 따라 거짓말 탐지기와 비슷하게 인체의 상태를 밝혀내기 위해 다양한 그림(형태)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이 자신의 아우라에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면서 독립적으로 자신의 아우라를 정상화하고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할 때 인간과 아우라 영상 사이의 역관계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아우라 요법 시스템은 심리학자들이 환자를 치료할 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료나 상태의 변화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장치로 구한 아우라와 진동이미지는 가시 색 영상, 열영상 및 뢴트겐 영상과 같은 기존의 방법처럼 일차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과는 달리 진동이미지와 아우라는 오로지 살아있는(움직이는) 대상에만 나타나며 따라서 여기서 제안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인체의 비접촉식 연구에서 필수불가결하다. 특히 보안 및 제어 시스템이나 치료나 인식을 목적으로 할 경우 인간의 심리적 상태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특히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의 정신 생리학적 매개변수를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 아우라(Aura)를 시각화하여 인체의 정신 생리학적 상태를 용이하게 검출 또는 인식할 수 있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대상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여기서 제안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인체에 대한 정보를 얻는 장치는 반사회적 행동이나 테러 행위를 수행하려는 사람들을 색출해 내기 위해 공격성의 수위와 같은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과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은 여러 요소를(말, 의약품, 광선 조사 등) 이용하여 인간에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인간의 상태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vibroimage와/또는 아우라를 이용하여 인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역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촬상된 대상의 진동이미지가 대상 정보 획득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진동이미지의 진폭 성분으로 형성되는 인체의 이미지 주위에 생체 에너지인 아우라가 방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인체의 실제 영상 주위에 생체 에너지인 아우라가 방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안정 상태에 있는 인체의 진동이미지이다.
도 5b는 공격적 상태에 있는 인체의 진동이미지이다.
도 6a는 안정 상태에 있는 인체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구성요소(아우라)에 대한 분포 막대그래프이다.
도 6b는 스트레스 상태에 있는 인체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구성요소(아우라)에 대한 분포 막대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정보 획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진동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의 설정 모드를 도시한 프로그램 화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대상 정보 획득장치,
11 : 광 검출부, 13 : A/D 변환부,
15 : 프로세서, 17 : 표시부,
18 : 저장부, 19 : 키 입력부.

Claims (12)

  1. 대상 정보 획득방법에 있어서,
    대상의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대상의 진동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진동이미지(진동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로부터 대상의 정신 생리학적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파라미터는 상기 대상의 부위별 위치 변화에 따른 진동 주파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의 측정값은 상기 각 부위의 위치 변화의 좌표값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미지 생성 시 상기 진동이미지의 진폭 성분으로 형성되는 상기 대상의 이미지 주위에 생체 에너지의 방사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미지 생성 시 촬상된 상기 대상의 실제 영상 주위에 생체 에너지의 방사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미지의 주파수 성분 생성 시 상기 측정된 주파수 값이 변동된 지점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진동이미지는 인간 눈의 휘도 함수에 상응하는 컬러 스케일로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미지의 각 부위에서의 생체 에너지 방사는 E=kf 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방법.
  10. 대상 정보 획득장치에 있어서,
    대상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상하는 광검출부;
    상기 촬상된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연속적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동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진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진동이미지(진동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진동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파라미터는 상기 대상의 각 부위에서 발생된 위치 변화의 주파수, 진폭 및 위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미지의 진동 파라미터를 수동 조절 또는 자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 정보 획득장치.
KR1020040041201A 2004-06-05 2004-06-05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5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201A KR20050115788A (ko) 2004-06-05 2004-06-05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201A KR20050115788A (ko) 2004-06-05 2004-06-05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88A true KR20050115788A (ko) 2005-12-08

Family

ID=3728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201A KR20050115788A (ko) 2004-06-05 2004-06-05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7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354A1 (ko) * 2013-04-11 2014-10-16 Choi Jin Kwan 동영상 기반 생리 신호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WO2015152536A1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바이브라시스템 동영상 기반 생리 신호를 이용한 졸음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70133346A (ko) * 2015-03-31 2017-12-05 옵쉐스트바 스 아그라니첸노이 아트베트스트벤노스찌유 "므노고프로필노예 프레드프리야찌예 "엘씨스" 인간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에 관한 정보획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354A1 (ko) * 2013-04-11 2014-10-16 Choi Jin Kwan 동영상 기반 생리 신호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WO2015152536A1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바이브라시스템 동영상 기반 생리 신호를 이용한 졸음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70133346A (ko) * 2015-03-31 2017-12-05 옵쉐스트바 스 아그라니첸노이 아트베트스트벤노스찌유 "므노고프로필노예 프레드프리야찌예 "엘씨스" 인간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에 관한 정보획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058B1 (ko) 동영상 기반 생리 신호 검출을 이용한 왜곡에 대한 정신생리적 탐지 (거짓말 탐지) 방법 및 장치
CN108135491B (zh) 生理状态判定装置及生理状态判定方法
WO2018058705A1 (zh) 基于视频精神生理参数监测危险人物装置及方法
JP6863563B2 (ja) ストレス評価システム
US10993621B2 (en) Contact-free physiological monitoring during simultaneo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CN108135498B (zh) 有用信息呈现装置
WO2015152536A1 (ko) 동영상 기반 생리 신호를 이용한 졸음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40041382A (ko) 생물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에 관한 정보 획득방법
JP7111450B2 (ja) 脳活動推定装置
CN108717872A (zh) 基于面部、手部识别和大数据的健康分析方法及系统
JP6463392B2 (ja) 疲労状態判定装置及び疲労状態判定方法
KR101753834B1 (ko) 진동 이미지 기술을 이용하여 감성을 분류하는 방법
KR20050115788A (ko) 대상 정보 획득장치 및 그 방법
JP6829363B2 (ja) 評価装置、マーケット調査装置、及び学習評価装置
KR102514577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잠재적 위험 존재 또는 이상 반응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JP6093422B1 (ja) 脳年齢提示装置
JP6158887B2 (ja) 有用情報提示装置
EP35286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mount of volition in a subject
WO2014168354A1 (ko) 동영상 기반 생리 신호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JP6096857B1 (ja) 感情判定装置
KR100564282B1 (ko) 인체오라 측정방법
JP2004321211A (ja) 生体信号を利用したfMRI環境用仮想運動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RU2360603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картин тестовых изображений
CN114449949A (zh) 用于功能性磁共振图像数据采集的系统
JP2017086992A (ja) 感情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908

Effective date: 200706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