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590A -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590A
KR20050115590A KR1020040040779A KR20040040779A KR20050115590A KR 20050115590 A KR20050115590 A KR 20050115590A KR 1020040040779 A KR1020040040779 A KR 1020040040779A KR 20040040779 A KR20040040779 A KR 20040040779A KR 20050115590 A KR20050115590 A KR 2005011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beam
storage medium
data
reflective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309B1 (ko
Inventor
문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309B1/ko
Priority to US11/024,852 priority patent/US20050270606A1/en
Priority to EP05000148A priority patent/EP1603122A3/en
Priority to CNB2005100055607A priority patent/CN1327418C/zh
Priority to JP2005027972A priority patent/JP2005346031A/ja
Publication of KR2005011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Holo Graphy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기준빔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평면파 판독빔을 기록시의 기준빔과 동일한 각으로 주사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구성은 광원에서 출사된 기준빔만을 원뿔미러에 입사하는 수단과, 입사된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굴절시킨 코니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킴과 동시에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입사하는 수단과, 입사된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되반사시킨 반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키는 수단과, 저장매체에 입사된 코니컬 기준빔과 반사 기준빔이 서로 간섭하여 반사 데이터 마스크의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광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신호빔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준빔이 저장매체를 일부 투과한 반사 기준빔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마스크의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할 수 있어 신호빔을 사용하지 않아 기록장치의 광학계가 간편하며, 노이즈를 갖지 않는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어 보다 적은 광량 사용으로 저장매체의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서도 고정되지 않는 연동이 가능한 픽업 렌즈 및 검출기를 사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DETECTING DATA BY USING REFLECTION HOLOGRAM}
본 발명은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 시스템(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System, HDDS)에서 데이터를 기록/재생함에 있어서,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기준빔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평면파 판독빔(plane wave readout beam)을 기록시의 기준빔과 동일한 각으로 주사하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HDDS는 데이터 기록/재생의 원리상 체적 홀로그램 원리를 이용하는 페이지 지향적인 메모리(Page-oriented Memory) 입출력 방식으로서, 병렬 데이터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입출력 속도를 1Gbps 이상으로 초고속화 시킬 수 있으며, 기계적인 구동부를 배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여 데이터 접근 시간도 100㎲ 이하로 매우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 시스템이다.
이러한 HDD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빔(S1)과 신호빔(S2)을 반대방향에서 간섭시켜 데이터를 저장매체(5)에 기록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준빔(S1)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신호빔(S2)의 강도 및 위상까지 기록하여 대상 물체의 3차원 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2진 데이터로 된 페이지(page) 단위로 구성되는 수백에서 수천 개의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뿔미러(1)를 통해 굴절된 코니털 기준빔(S3)과 트랜스미션 데이터 마스크(3)를 통과한 신호빔(S2)이 서로 간섭되어 저장매체(5)에 마스크(3)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이다.
한편, HDDS는 저장매체(5)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광원(80)에서 분리된 신호빔을 차단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빔(S1)의 일종인 평면파 판독빔(plane wave readout beam)(S1-1)을 주사하면, 저장매체(5)의 수직인 방향으로 리얼 이미지(S4)가 재생되어 픽업 렌즈(6)를 투과하여 검출기(7)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매체(5)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준빔(S1)의 일부는 트랜스미션 데이터 마스크(3)에서 되반사되어 신호빔(S2)과 함께 간섭되어 저장매체(5)에 마스크(3)의 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때, 마스크(3)에 의해 되반사된 기준빔(S1)의 일부가 신호빔(S2)과 함께 간섭되어 원하지 않은 데이터, 즉 노이즈를 갖는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며, 또한 과도한 광량으로 저장매체(5)의 동적 범위를 소진시켜 저장되는 데이터 용량이 매우 한정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HDDS에서 데이터를 기록/재생함에 있어서,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기준빔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평면파 판독빔을 기록시의 기준빔과 동일한 각으로 주사하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장치는 광원에서 출사된 기준빔만을 원뿔미러에 입사하는 수단과, 입사된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굴절시킨 코니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킴과 동시에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입사하는 수단과, 입사된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되반사시킨 반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키는 수단과, 저장매체에 입사된 코니컬 기준빔과 반사 기준빔이 서로 간섭하여 반사 데이터 마스크의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장치는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빔을 분기시킨 평면파 판독빔을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시 기준빔의 편향 각(θ)과 동일한 각도로 주사하는 수단과, 주사된 평면파 판독빔에 의해 저장매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된 방향으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픽업 렌즈로 입사되는 수단과,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픽업렌즈를 투과하여 검출기를 통해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방법은 광원에서 출사된 기준빔만을 원뿔미러에 입사하는 제1단계와, 입사된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굴절시킨 코니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킴과 동시에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입사하는 제2단계와, 입사된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되반사시킨 반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키는 제3단계와, 저장매체에 입사된 코니컬 기준빔과 반사 기준빔이 서로 간섭하여 반사 데이터 마스크의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은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빔을 분기시킨 평면파 판독빔을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시 기준빔의 편향 각(θ)과 동일한 각도로 주사하는 제1단계와, 주사된 평면파 판독빔에 의해 저장매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된 방향으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픽업 렌즈로 입사되는 제2단계와,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픽업렌즈를 투과하여 검출기를 통해 재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스크(30)에 의해 반사되어 제공되는 반사 기준빔(SS4)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마스크(30)의 데이터를 저장매체(50)에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홀로그래픽 데이터의 패턴을 갖는 반사 데이터 마스크(30)가 위치하고, 이 반사 데이터 마스크(30) 하측에 저장매체(50)가 위치하며, 저장매체(50) 하측으로 원뿔(conical)미러(10)가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광원(80)에서 레이저빔(SS6)을 출사하고, 출사된 레이저빔(SS6)은 광분리기(90)에 입사된다. 광분리기(90)는 광원(8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빔(SS6)을 기준빔(SS1)과 신호빔으로 분기시킨 후, 신호빔은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준빔(SS1)만을 원뿔미러(10)에 입사한다.
원뿔미러(10)는 광분리기(90)에 의해 분기된 기준빔(SS1)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편향 각(θ)을 갖도록 굴절시킨 코니컬 기준빔(SS3)을 저장매체(50)에 입사함과 동시에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SS3)은 저장매체(50)를 투과하여 반사 데이터 마스크(30)에 입사한다.
반사 데이터 마스크(30)는 저장매체(50)를 투과하여 제공되는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SS3)을 자체의 특성상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되반사시키며, 이 되반사된 반사 기준빔(SS4)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저장매체(50)에 입사시킨다. 그러면, 저장매체(50)에 입사된 코니컬 기준빔(SS3)과 반사 기준빔(SS4)이 서로 간섭하여 반사 데이터 마스크(30)의 데이터를 저장매체(50)에 기록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도 4 및 도 6에 의해 저장매체(50)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저장매체(50) 위쪽에 픽업 렌즈(60)가 위치하고, 그 위에 검출기(70)가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저장매체(50)상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인 리얼 이미지(SS5)를 재생하기 위해 광원(80)에서 레이저빔(SS6)을 출사하고, 출사된 레이저빔(SS6)은 광분리기(90)에 입사된다. 광분리기(90)는 광원(8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빔(SS6)을 기준빔(SS1)과 신호빔으로 분기시킨 후, 이중 기준빔의 일종인 평면파 판독빔(SS1-1)을 기록시 기준빔의 편향 각(θ)과 동일하게 저장매체(50)상의 리얼 이미지(SS5)로 주사한다.
그러면, 저장매체(50)에 저장된 리얼 이미지(SS5)는 저장매체(50)와 수직 방향으로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저장매체(50)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된 방향으로 재생되어 픽업 렌즈(60)에 입사된다.
픽업 렌즈(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매체(50)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되어 위치하며, 저장매체(50)의 리얼 이미지(SS5)를 투과시켜 검출기(70)에 입사한다. 여기서, 픽업 렌즈(60)는 편향 각도에 따라 결상 위치가 일정한 스캔 렌즈(scan lens), 혹은 어안 렌즈(fish-eye lens)를 사용한다.
검출기(70)는 픽업 렌즈(60)의 이동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하게 위치하며, 픽업 렌즈(60)를 통해 투과된 리어 이미지(SS5)를 검출한다.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광원(80)은 레이저빔(SS6)을 출사하여 광분리기(90)에 제공한다(단계 701).
광분리기(90)는 광원(8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빔(SS6)을 기준빔(SS1)과 신호빔으로 분기시킨 후(단계 702), 신호빔은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준빔(SS1)만을 원뿔미러(10)에 입사한다(단계 703).
원뿔미러(10)는 광분리기(90)에 의해 분기된 기준빔(SS1)을 임의의 편향 각(θ)을 갖도록 굴절시킨 코니컬 기준빔(SS3)을 저장매체(50)에 입사한다(단계 704). 이와 동시에 원뿔미러(10)에 의해 굴절된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SS3)은 저장매체(50)를 투과하여 반사 데이터 마스크(30)에 입사한다(단계 705).
반사 데이터 마스크(30)는 저장매체(50)를 투과하여 제공되는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SS3)을 자체의 특성상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되반사시키며(단계 706), 이 되반사된 반사 기준빔(SS4)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저장매체(50)에 입사시킨다(단계 707). 그러면, 저장매체(50)에 입사된 코니컬 기준빔(SS3)과 반사 기준빔(SS4)이 서로 간섭하여 반사 데이터 마스크(30)의 데이터를 저장매체(50)에 기록한다(단계 708).
다음으로,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저장매체(50)상에 기록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되는 리얼 이미지(SS5)를 재생하기 위해 광원(80)에서 레이저빔(SS6)을 출사하고(단계 801), 출사된 레이저빔(SS6)은 광분리기(90)에 입사된다(단계 802).
광분리기(90)는 광원(8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빔(SS6)을 기준빔(SS1)과 신호빔으로 분기시킨 후, 이중 기준빔의 일종인 평면파 판독빔(SS1-1)을 기록시 기준빔의 편향 각(θ)과 동일하게 저장매체(50)상의 리얼 이미지(SS5)로 주사한다(단계 803).
그러면, 저장매체(50) 상의 리얼 이미지(SS5)는 저장매체(50)와 수직 방향으로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저장매체(50)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된 방향으로 재생되어 픽업 렌즈(60)에 입사된다(단계 804).
픽업 렌즈(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매체(50)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되어 위치하며, 저장매체(50)의 리얼 이미지(SS5)를 투과시켜 검출기(70)에 입사한다(단계 805).
검출기(70)는 픽업 렌즈(60)의 이동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하게 위치하며, 픽업 렌즈(60)를 통해 투과된 리어 이미지(SS5)를 검출한다(단계 806).
따라서, 광분리기(90)에 의해 분리된 신호빔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준빔이 저장매체(50)를 일부 투과한 반사 기준빔(SS4)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마스크(30)의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50)에 기록할 수 있어 신호빔을 사용하지 않아 기록장치의 광학계가 간편하며, 노이즈를 갖지 않는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어 보다 적은 광량 사용으로 저장매체의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50)에 저장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서도 고정되지 않는 연동이 가능한 픽업 렌즈 및 검출기를 사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DDS에서 데이터를 기록/재생함에 있어서,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기준빔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평면파 판독빔을 기록시의 기준빔과 동일한 각으로 주사하여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광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신호빔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준빔이 저장매체를 일부 투과한 반사 기준빔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마스크의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할 수 있어 신호빔을 사용하지 않아 기록장치의 광학계가 간편하며, 노이즈를 갖지 않는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어 보다 적은 광량 사용으로 저장매체의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서도 고정되지 않는 연동이 가능한 픽업 렌즈 및 검출기를 사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준빔과 신호빔을 반대방향에서 간섭시키는 기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의 기준빔 일부가 되반사되어 신호빔과 함께 간섭되어 노이즈를 발생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스크에 의해 반사되어 제공되는 반사 기준빔을 신호빔으로 사용하여 마스크의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뿔미러 30 : 반사 데이터 마스크
50 : 저장매체 60 : 픽업 렌즈
70 : 검출기 80 : 광원
90 : 광분리기

Claims (13)

  1.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있어서,
    광원에서 출사된 기준빔만을 원뿔미러에 입사하는 수단과,
    상기 입사된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굴절시킨 코니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킴과 동시에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입사하는 수단과,
    상기 입사된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되반사시킨 반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키는 수단과,
    상기 저장매체에 입사된 코니컬 기준빔과 상기 반사 기준빔이 서로 간섭하여 상기 반사 데이터 마스크의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니컬 기준빔의 각도와 상기 되반사된 반사 기준빔의 각도가 동일한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기준빔은, 신호빔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장치.
  4.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재생장치에 있어서,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빔을 분기시킨 평면파 판독빔(plane wave readout beam)을 이용하여 상기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시 기준빔의 편향 각(θ)과 동일한 각도로 주사하는 수단과,
    상기 주사된 평면파 판독빔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된 방향으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픽업 렌즈로 입사되는 수단과,
    상기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픽업렌즈를 투과하여 검출기를 통해 재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렌즈는, 상기 편향 각도에 따라 결상 위치가 일정한 스캔 렌즈(scan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렌즈는, 상기 편향 각도에 따라 결상 위치가 일정한 어안 렌즈(fish-ey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픽업 렌즈의 이동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하게 위치하며, 상기 픽업 렌즈를 통해 투과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장치.
  8.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기록방법에 있어서,
    광원에서 출사된 기준빔만을 원뿔미러에 입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입사된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굴절시킨 코니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킴과 동시에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반사 데이터 마스크에 입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입사된 일부의 코니컬 기준빔을 임의의 편향 각(θ)으로 되반사시킨 반사 기준빔을 저장매체에 입사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에 입사된 코니컬 기준빔과 상기 반사 기준빔이 서로 간섭하여 상기 반사 데이터 마스크의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반사 기준빔은, 상기 코니컬 기준빔의 각도와 동일한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방법.
  10.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재생방법에 있어서,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빔을 분기시킨 평면파 판독빔을 이용하여 상기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시 기준빔의 편향 각(θ)과 동일한 각도로 주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주사된 평면파 판독빔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편향 각(θ)만큼 이동된 방향으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픽업 렌즈로 입사되는 제2단계와,
    상기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픽업렌즈를 투과하여 검출기를 통해 재생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픽업 렌즈는, 상기 편향 각도에 따라 결상 위치가 일정한 스캔 렌즈(scan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렌즈는, 상기 편향 각도에 따라 결상 위치가 일정한 어안 렌즈(fish-ey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검출기는, 픽업 렌즈의 이동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하게 위치하며, 상기 픽업 렌즈를 통해 투과된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
KR1020040040779A 2004-06-04 2004-06-04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779A KR100600309B1 (ko) 2004-06-04 2004-06-04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US11/024,852 US20050270606A1 (en) 2004-06-04 2004-12-30 Holographic ROM system having reflective data mask
EP05000148A EP1603122A3 (en) 2004-06-04 2005-01-05 Holographic ROM system having reflective data mask
CNB2005100055607A CN1327418C (zh) 2004-06-04 2005-01-19 反射型数据掩膜全息rom系统
JP2005027972A JP2005346031A (ja) 2004-06-04 2005-02-03 反射型データマスクを有するホログラフィックrom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るデータ記録及び再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779A KR100600309B1 (ko) 2004-06-04 2004-06-04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590A true KR20050115590A (ko) 2005-12-08
KR100600309B1 KR100600309B1 (ko) 2006-07-14

Family

ID=3493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779A KR100600309B1 (ko) 2004-06-04 2004-06-04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70606A1 (ko)
EP (1) EP1603122A3 (ko)
JP (1) JP2005346031A (ko)
KR (1) KR100600309B1 (ko)
CN (1) CN132741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864A (ja) * 2004-06-30 2006-01-19 Sony Corp ホログラム複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3260A (en) * 1973-11-05 1974-10-22 W Edmonds Real time holographic system
DE2355136C3 (de) * 1973-11-05 1982-05-27 Hoechst Ag,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m Aufzeichnen von überlagerten Hologrammen
US4790612A (en) * 1986-09-15 1988-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ing holographic disks
JPH05251311A (ja) * 1992-03-05 1993-09-28 Nikon Corp 全反射ホログラムを用いた露光装置及び露光方法
JP3448964B2 (ja) * 1994-07-12 2003-09-22 凸版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の作成方法
US20010035990A1 (en) * 1998-04-13 2001-11-01 Fai H Mok Multiplexed hologram copying system and method
US6730442B1 (en) * 2000-05-24 2004-05-04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plicating volume holograms
US6882613B2 (en) * 2001-06-21 2005-04-19 Hampton University Cylindrical medium for storing holographic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data using the cylindrical medium
US6956681B2 (en) * 2001-08-03 2005-10-18 Inphase Technologies, Inc.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of a hologram with a rotated reference beam polarization
US6721076B2 (en) * 2001-08-03 2004-04-13 Inphas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flective holographic storage with associated multiplexing techniques
US6697180B1 (en) * 2002-08-09 2004-02-24 Inphase Technologies, Inc. Rotation correlation multiplex holography
US7092133B2 (en) * 2003-03-10 2006-08-15 Inphase Technologies, Inc. Polytopic multiplex holography
KR100555789B1 (ko) * 2003-04-30 2006-03-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
KR100477359B1 (ko) * 2003-04-30 2005-03-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
KR100536722B1 (ko) * 2003-12-15 2005-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
US20070030787A1 (en) * 2005-08-05 2007-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ad/write device for holographic storage mediu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46031A (ja) 2005-12-15
EP1603122A3 (en) 2008-01-09
KR100600309B1 (ko) 2006-07-14
US20050270606A1 (en) 2005-12-08
CN1707638A (zh) 2005-12-14
CN1327418C (zh) 2007-07-18
EP1603122A2 (en)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4530B2 (ja) 検索方法
CN100403410C (zh) 记录和再现全息数据的方法及其装置
JP2002319285A (ja) 自己参照のホログラフィック記憶装置
KR101397434B1 (ko) 가변 크기의 조리개를 채용한 홀로그래픽 기록/재생 장치
US7782733B2 (en)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5251241A (ja) ホログラム検索方法及び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再生装置
US6594220B1 (en) Volume holographic memory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N1619664A (zh) 全息记录和再现装置以及其中所使用的掩模
US5892748A (en) Optical pickup for reading 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ing surface
JP2005321372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デジタルデータシステムのミラー角度測定装置及びミラー角度サーボ装置
KR100600309B1 (ko) 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60752A (ja)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用データページ画素整形
KR100750265B1 (ko)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처리 시스템
US20080239426A1 (en) Holographic storage medium,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KR100298394B1 (ko) 홀로그래픽저장장치의데이터기록/재생방법
KR20050099864A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 및 이의 재생된이미지의 비매칭 측정 방법
US11322178B2 (en) Reflective holographic optical storage method and device
KR100683931B1 (ko) 광 변조를 위한 dmd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저장장치
US20080037086A1 (en) Apparatus to control incident angle of reference beam and holographic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apparatus
KR100281323B1 (ko) 볼륨 홀로그래픽 디지탈 저장 시스템의 복사 장치
JP2008016170A (ja) 光情報処理装置及び光情報処理方法
KR100477476B1 (ko) 에러 체크 기능을 구비한 볼륨 홀로그래픽 디지탈 저장 시스템
KR100765922B1 (ko) 홀로그래픽 저장장치
KR100739313B1 (ko) Hdds시스템에서 데이터 페이지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681616B1 (ko) 홀로그래픽 롬 시스템의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