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008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008A
KR20050114008A KR1020040039194A KR20040039194A KR20050114008A KR 20050114008 A KR20050114008 A KR 20050114008A KR 1020040039194 A KR1020040039194 A KR 1020040039194A KR 20040039194 A KR20040039194 A KR 20040039194A KR 20050114008 A KR20050114008 A KR 2005011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873B1 (ko
Inventor
도대원
전혜정
조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87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M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FM 송수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에 탑재되고, FM 송수신 모듈과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차량의 상태/위치 정보를 상기 FM 송수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자동차에 관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관련된 전반적인 관리까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using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FM 방식과 통신망 연동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 메모리 확장 기술등 주변 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 기술 및 압축 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있는 실정이다.
한편 자동차 1000만대 시대가 도래되고 운전자가 차량에서 지체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되면서 차량은 이동수단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각종 차량 편의 장치가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활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통신 기술과 함께 차량에 적용된 다양한 장치 중 하나가 차량원격 제어 장치이다.
차량 원격 제어 장치는 도난방지, 원격 시동, 도어 개폐, 모니터링 등이 가능하지만 FM 수신 범위에서라는 치명적인 제약이 따른다. 이로 인하여 원거리에서는 무용지물일 뿐 아니라, 근거리에서도 건물과 같은 여러 간섭 대상으로 인해 작동 여부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최근의 차량용 FM 송수신기는 30만원대의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와는 비교할수 없을 정도로 조잡하고 제한적이며, 작은 디스플레이부, 제한된 키패드등으로 사용자가 쓰기에 불편하며 모바일 기기와는 별개로 차량용으로 들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은 차량 이용자가 휴대하는 리모콘(Remotecontroller)(100), 차량에 설치되어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110)로 구성된다.
상기 리모콘(100)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키입력부(102), 키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차량 제어를 위한 제어 코드를 발생하는 제어부(104), 제어 코드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차량으로 송신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110)는 상기 리모콘(100)으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112), RF 수신부(112)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각종 전기적인 장치를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차량 제어를 요청하거나 차량 시동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리모콘(100)에 마련된 조작키들을 통해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리모트 제어부(104)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따라 제어코드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제어 코드를 RF 송신부(106)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110)에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 제어 장치(110)의 차량 제어부(114)에서는 RF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된 제어 코드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수신된 제어 코드가 전기적인 제어 요청인 경우에는 즉, 도어를 잠금 또는 열림으로 한다거나 트렁크를 여는 등의 제어 코드인 경우에는 ECU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기적인 장치를 제어하며, 시동 온/오프와 같은 제어 요청인 경우에는 차량 시동 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거리적 한계가 있어 차량이 건물에 의해 가려져 있다거나 지하에 위치한 경우 리모콘의 제어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여 차량 제어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 이동통신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대부분의 차량 소유자 역시 이동통신 가입자인 경우가 많으며 이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핸즈프리 장치를 차량 내부에 장착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키기도 하며, 차량 운행중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손대지 않고 통화를 하는 등의 기술을 매우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차량의 시동키와 이동통신 단말기중 어느 하나를 차에 두고 차량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두고 온 경우에는 필요한 전화를 받을수 없어 불편을 겪게 되면, 차량의 시동키를 두고 온 경우에는 나중 차량의 문을 열수 없어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된다.
또한, 이동통신가입자이면서 차량원격제어 시스템 이용자의 경우에는 차량밖에서 활동할때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제어용 리모콘등을 모두 휴대하여햐 하므로 거동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차량 운전자들은 낮 설은 타지역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자신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불안 및 불편을 겪는 일이 발생하는 일이 종종있다. 이때, 차량의 현재 위치를 알수 있다면 앞으로의 이동방향에 대한 결정이라던가 불안했던 요소를 다소나마 배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지리 정보 시스템 등이 개발되어 차량 이용자에게 차량 위치 정보 및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지리 정보 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차량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설비가 요구되나 그에 따른 비용의 지출이 커 설치에 부담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할때 언제든지 자동차의 상태, 일정, 제어 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FM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FM 송수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에 탑재되고, FM 송수신 모듈과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차량의 상태/위치 정보를 상기 FM 송수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FM 송수신 모듈은 블루투스, IRDA이고,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듈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제어 장치는 FM 통신이 가능한 경우, FM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FM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량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FM 송수신 모듈은 FM 라디오 수신, 주차장 정보 이용, 견인 서비스, 도난 서비스중 적어도 하나로 이용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FM 송수신 모듈,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FM 통신이 가능하면, FM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 명령이 상태/위치 정보 요구 명령이면, 상태/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FM 통신이 가능하면, FM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상태/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태/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200), 차량에 설치되어 고유 어드레스를 갖는 차량 제어 장치(21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차량 제어 데이터를 FM 송수신 모듈 또는 CDMA 망 연동을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210)에 전송하고, FM 송수신 모듈 또는 CDMA 망을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210)로부터 상태정보,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차량 제어 장치(210)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FM 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FM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FM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FM 라디오방송, 주차장 이용정보, 견인 서비스등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2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FM 송수신 모듈 또는 CDMA 망 연동을 통해 수신된 차량 제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ECU와 연결된 차량내 모듈로 인하여 차량의 전자적인 모든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차량에 관한 모든 일정 관리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차량을 주차해두고 다른 업무를 보게 된다거나, 창문을 열어놓았다든지, 라이트를 켜 두었다는지 등의 모든 차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면서 ECU를 통해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밤낮으로 장소, 시간에 구애 받지 않는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200)와 차량 제어 장치(210)는 FM 송수신 모듈을 통한 통신 또는 CDMA 망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데, FM 제어가 실패했을때 CDMA 망으로 연동되게 하여 차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통신사는 그러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부가적인 수익 모델을 만들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익 모델이라는 것은 무한한 것으로 주차 모드라는 것을 두었을 때를 가정해보면, 차량이 운행되게 되면 FM 송수신 범위이면, FM으로 송수신하고, FM 송수신 범위 밖이면, 사용자에게 도난 알림도는 견인등을 알린다. 견인이면, 견인업자가 정보를 CDMA 망을 통하여 남기면 그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불필요한 견인 서류나 서류의 분실 등으로 인한 어려움에 대비하게 된다.
또한, 도난시에 바로 조치할 수 있게 되며, GPS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면 바로 연계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FM 송수신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부가적으로 가능한 기술들 중 주차 시설을 고려해 보면 기존방식은 주차장에 주차증을 발급하기 위한 기계가 설치되어져 있든지 아니면, 사람이 영수증을 발급하는 방식으로 제안된 기술과 비교했을때, 기기나 종이 낭비, 인력 낭비 등이 발생한다.
현재 사용되는 소비적인 주차증 발급용 기기를 없애고 FM 송수신기로 대체함으로써 주차장과 차량내에 장착된 FM 송수신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차량 운전자는 번거로운 영수증을 보고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주차 공간을 찾는 등의 번거로움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주차장 서비스업자의 비용적 측면 뿐만 아니라 현재 서비스되고 있지 않은 주차장 정보 전송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까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모듈(300), FM 송수신모듈(310), 제어부(320), 입력부(330),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관련 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부(33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된 키 입력부의 설정된 키를 통해 차량제어 관련 명령을 입력받을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의 차량 제어 관련 명령을 입력받을수 있다.
또한 입력부(330)에는 차량 제어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용의 키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에 마련된 키들의 조합 또는 메뉴키를 통해 차량 제어 관련 메뉴가 표시되도록 할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관련 메뉴 표시 전용키는 차량의 특정 장치에 대한 작동키로서 이용할수 있다.
상기 FM 송수신 모듈(310)은 차량 제어 장치의 FM 제어가 가능한 경우에, 차량 제어 장치에 차량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FM 송수신 모듈은 블루투스, IRDA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M 송수신 모듈(310)은 차량 제어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시에 FM 라디오 수신, 주차장 정보 이용, 견인 서비스등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300)은 망을 통해서 차량 제어 장치와 차량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모듈(300)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FM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서 제어가 불가능할 경우, CDMA 망과 연동하여 상기 차량 제어 장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차량 제어 관련 메뉴와 차량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차량 제어 관련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입력부(330)를 통해 차량 제어 관련 명령이 입력되면, 대응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모듈(300) 또는 FM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해당 차량 제어 장치를 전송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FM 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FM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모듈(300)을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40)에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는 이동통신 모듈(400), FM 송수신 모듈(410), 제어부(420),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400)은 망을 통해 차량 제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한편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인식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400)은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40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차량 각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FM송수신 모듈(410)은 이동통신 단말기 FM 송수신 모듈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차량 제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40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차량 각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FM 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FM 송수신 모듈(410)을 통해서 차량 각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모듈(400)을 통해서 상기 차량 각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30)는 제어부(420)와 ECU(미도시)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이동통신 모듈(400) 또는 FM 송수신 모듈(410)을 통해 수신된 차량 제어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수신된 차량 제어 관련 데이터가 전기적인 제어 요청인 경우에는 ECU에 제어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전기적인 장치를 제어하면, 시동 온/오프와 같은 제어 요청인 경우는 차량 시동 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차량 인식 정보를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모듈(400) 또는 FM 송수신부(410)의 송신부(402, 412)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수신된 차량 제어 관련 데이터가 차량에 설치된 어느 한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430)를 통해 ECU에 해당 장치에 대한 상태를 점검하여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ECU로부터 해당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430)를 통해 전달되면 이동통신 모듈(400) 또는 FM 송수신 모듈(410)의 송신부(402, 41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의 움직임 또는 시동 켜짐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420)에서는 센서를 통해 차량의 움직임 또는 시동이 켜진 경우에만 차량 인식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ECU로부터 차량의 패널(미도시)에 전달되는 기름부족, 오일교환등의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S500),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2).
즉, 사용자는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차량 제어 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차량 제어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차량 제어 메뉴에서 원하는 제어 명령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제어 명령을 차량 제어 장치에 전송하기 위하여 해당 차량이 FM 범위내에 있는지등의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502의 판단결과 차량내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FM 송신부를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S504). 그러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FM 송수신 모듈의 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해당 제어를 수행한다.
만약, 단계 504의 판단결과 차량과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S506), 이동통신 모듈 송신부를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S508).
그러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이동통신 모듈의 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해당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FM과 CDMA 망을 연동함으로써 서비스에 따라 도난, 견인, 주차위반, 주차장 관리 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자동차에 관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관련된 전반적인 관리까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망과의 연계로 망 사업자에게도 수익성을 제공할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FM 송수신기 하나의 추가로 인해 차량 내와 차량으로 이용하는 장소에서의 편의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고 차량 이용 장소 관리자에게도 수익성 개선과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오디오 분야로 편중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다양화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효율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모콘 110, 210 : 차량 제어 장치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400 : 이동통신 모듈
310, 410 : FM 송수신 모듈 320, 420 : 제어부
330 : 입력부 340 : 디스플레이부
430 : 인터페이스부

Claims (9)

  1. FM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FM 송수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에 탑재되고, FM 송수신 모듈과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차량의 상태/위치 정보를 상기 FM 송수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 송수신 모듈은 블루투스, IRD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제어 장치는 FM 통신이 가능한 경우, FM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FM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량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FM 송수신 모듈은 FM 라디오 수신, 주차장 정보 이용, 견인 서비스, 도난 서비스중 적어도 하나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FM 송수신 모듈;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차량 제어 장치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FM 통신이 가능하면, FM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 명령이 상태/위치 정보 요구 명령이면, 상태/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FM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FM 통신이 가능하면, FM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상태/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FM 통신이 불가능하면, CDMA 통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태/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방법.
KR1020040039194A 2004-05-31 2004-05-3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5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94A KR100659873B1 (ko) 2004-05-31 2004-05-3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94A KR100659873B1 (ko) 2004-05-31 2004-05-3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08A true KR20050114008A (ko) 2005-12-05
KR100659873B1 KR100659873B1 (ko) 2006-12-20

Family

ID=3728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194A KR100659873B1 (ko) 2004-05-31 2004-05-3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8056A (zh) * 2012-09-21 2013-05-22 李燉信 车辆移动时能进行数据通讯的its复合高通终端
KR20140093805A (ko) * 2013-01-17 2014-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28B1 (ko) 2015-04-08 2017-03-23 (주)리얼허브 지피에스와 디지털맵 기반의 이동차량 관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8056A (zh) * 2012-09-21 2013-05-22 李燉信 车辆移动时能进行数据通讯的its复合高通终端
CN103118056B (zh) * 2012-09-21 2016-08-03 李燉信 车辆移动时能进行数据通讯的its复合高通终端
KR20140093805A (ko) * 2013-01-17 2014-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873B1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5630B (zh) 利用装置运动和近场通信控制车辆接口的方法
KR100801397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진단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9401978B2 (en) Flexible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to a vehicle
KR100646710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200602938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vehicle using telematics system
US200601227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osition of remote vehicle using telematics system
US200501707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a vehicular hands-free telephone system and an external device using a garage door opener as a communications gateway
KR100508807B1 (ko)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US20180013873A1 (en) Method of Providing Driver-Behavior Information Off-Site Through Telematics System
CN102685294A (zh) 车载免提装置
KR101427717B1 (ko) 스마트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한 화면표시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181035B1 (ko) 지피에스와 연동된 가정 내 단말장치 제어 서비스를제공하는 홈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26514B2 (en) In-vehicle apparatus, cellular ph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herebetween
KR1006598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2448892U (zh) 车载移动智能终端
KR20120108763A (ko) 차량용 헤드유닛과 단말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6183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74337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communication functions in a mobile vehicle communication unit
CN101552824B (zh) 车载免提装置
CN100430969C (zh) 利用移动通信终端机的车辆综合管理系统及其方法
KR20190031703A (ko)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KR20070121519A (ko) 이씨유를 이용한 차량 아이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2631A (ko) Rfid지불 기능이 탑재된 택시 콜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1414A (ko) 셀프 주유소용 무선 인터컴 시스템
KR101067490B1 (ko) 휴대 단말기와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