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594A -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594A
KR20050113594A KR1020057008439A KR20057008439A KR20050113594A KR 20050113594 A KR20050113594 A KR 20050113594A KR 1020057008439 A KR1020057008439 A KR 1020057008439A KR 20057008439 A KR20057008439 A KR 20057008439A KR 20050113594 A KR20050113594 A KR 2005011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licens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나카하라
마사야 야마모토
고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5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1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 G06F21/1012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to 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Abstract

본 발명의 각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의 이용을 적절히 제한하는 단말 장치(300)는,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를, 복수의 도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에 관련시켜 보유하는 라이센스 저장부(312)와, 다른 단말 장치(300)가 속하는 도메인과,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 경우에는, 다른 단말 장치(300)에 의한 그 라이센스의 이용을 금지하는 도메인 판정부(303) 및 라이센스 처리 결과 송신부(30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LICENSE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재생이나 기록 등을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행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라이센스를 배포하는 서버 장치와,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음악이나 영상, 게임 등의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를, 인터넷이나 디지털 방송 등으로 배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그 일부는, 실용화의 단계를 맞이하고 있다. 또, 이러한 콘텐츠의 배포에 맞추어, 저작권 보호 등의 관점에서, 배포한 콘텐츠의 재생 회수나 이동, 복제 등을 제한하는 콘텐츠의 이용 제어 방법이 아울러 검토되고 있다.
종래에서는, 서버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이용 조건이나 콘텐츠 키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라이센스」라고 한다)를 배포하고, 가정 내의 네트워크 시스템(홈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배포된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여, 재생 등을 행하도록 모델화되어 있다.
또, 서버로부터 배포된 라이센스는, 개개의 단말 장치에 보유되고, 단말 장치는, 자신이 보유하는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한다. 그러한 라이센스를 복수의 단말 장치 간에 있어서 이동을 행할 때에는, 콘텐츠의 권리 보호의 관점, 및, 단말 장치 소유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보호의 관점에서, 무제한한 범위에서의 이동은 허용되지 않고, 어느 일정 범위 내에서의 이동만이 허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는 동일한 사용자가 소유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 간에 있어서만 이동이 허용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일정 범위 내에서의 이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단말 장치군(群)에 의해 이동이 상호 가능한 그룹을 형성하여, 라이센스의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169726호 공보에서는, 서버 장치는, 동일한 사용자가 소유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해 하나의 도메인을 설정하고, 도메인 마다, ID나 도메인 키를 생성하여 각 단말 장치에 배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동일한 도메인 키가 설정된다.
단말 장치는, 콘텐츠 키를 외부에 출력할 때, 콘텐츠 키를 도메인 키로 암호화한다. 그 결과,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콘텐츠 키의 복호가 가능하고,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지 않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콘텐츠 키의 복호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복수 가지는 종래의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에서는, 2개의 단말 장치가 각각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는 경우에 양(兩) 단말 장치 간의 라이센스의 이동을 허가하고, 그 이외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와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라이센스가 도메인을 걸쳐서 유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 등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종래의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p)은, 2개의 단말 장치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으면, 양 단말 장치 사이에서 라이센스를 이동시켜, 이동처의 단말 장치에서의 라이센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 B가 2개의 도메인 X와 Y에, 단말 장치 A가 도메인 X에, 단말 장치 C가 도메인 Y에 속하고 있는 경우의, 단말 장치 A가 보유하는 라이센스의 이동 가능한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말 장치 A가 보유하는 라이센스는, 동일한 도메인 X에 속하는 단말 장치 B로 이동 가능하다. 다음에 단말 장치 B가 보유하는 라이센스는, 동일한 도메인 Y에 속하는 단말 장치 C로 이동 가능하다. 즉, 단말 장치 A가 보유하는 라이센스는, 단말 장치 B를 통하여,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 C로 이동한다. 즉,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도메인에 있어서만 단말 장치 간의 라이센스의 이동을 허가하고 그 이외의 이동을 금지한다고 하는 라이센스의 이동 범위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각 단말 장치는, 자신이 속하지 않는 도메인으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의 이용을 적절히 제한하는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와 이들을 구비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메인 관리 서버, 라이센스 배포 서버,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메인 정보 저장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사용자 정보 저장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용 조건 저장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키 저장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저장부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통신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검색 답신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가 도메인 관리 서버로부터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가 라이센스 배포 서버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가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해 라이센스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가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라이센스의 취득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메인 식별자가 고쳐쓰기 가능한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가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도메인 식별자가 고쳐쓰기 가능한 라이센스의 취득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복수 가지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1대의 단말 장치로서,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복수의 도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에 관련시켜 보유하는 라이센스 정보 보유 수단과,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이용을 금지하는 이용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용 금지 수단은,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도메인 판별 수단과, 상기 제 1 도메인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양(兩)도메인이 상이하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송신을 금지하는 송신 금지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이용 금지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 및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해,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시켜, 상이할 때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이용을 금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다른 단말 장치의 도메인과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할 때에는, 다른 단말 장치는 그 라이센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라이센스의 이용은,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제한되어, 각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의 이용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과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도메인 판별 수단과, 상기 도메인 판별 수단에 의해 상이하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단말 장치 자신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의 이용을 금지하는 자기 이용 금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단말 장치는, 자신이 속하는 도메인과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할 때에는, 그 도메인 식별 정보에 관련된 라이센스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재생 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라이센스의 이용을 더욱 적절히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도메인이 상이하도록,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를 고쳐쓰기하는 고쳐쓰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단말 장치에 의해 도메인 식별 정보의 내용을 고쳐쓰기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이센스의 이용을 도메인 단위로 제한하면서도, 그 제한을 완화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 장치가 라이센스를 취급하는 방법이나 프로그램, 그 라이센스를 배포하는 서버 장치, 그 서버 장치가 라이센스를 배포하는 방법, 그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를 구비하는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으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은, 서버 장치가 단말 장치가 보유하는 라이센스의 이동 범위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도메인 관리를 행하는 도메인 관리 서버(100)와, 라이센스를 배포하는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와,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다른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를 이동하는 단말 장치(300a∼300c)와,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전송로(N)로 구성되어 있다.
(도메인의 정의)
여기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메인의 정의를 행한다.
어떤 데이터 배포 서비스에 있어서, 데이터의 공유나 이동이 상호 가능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러한 단말 장치군은 논리적으로 그루핑(grouping)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루핑한 단말 장치군이 속하는 단위를 도메인이라고 정의한다. 또,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 간에서의 데이터의 이동이나 공유는 허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배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데이터의 권리 보호의 관점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도메인을 설정하는 단위가 결정되지만, 데이터 배포 서비스의 계약자로서의 사용자마다 도메인을 설정하는 것이 전형적인 예이다.
또한, 도메인의 설정에 있어서, 하나의 단말 장치만이 속하는 도메인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하나의 단말 장치가 2개 이상의 도메인에 속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으로 도메인의 정의를 끝내고,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메인 관리 서버(100)는,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의 관리, 및, 도메인마다 설정되는 도메인 판정 정보를 생성, 관리하고, 단말 장치에 도메인 판정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도메인 관리 서버(100)는, 도메인, 및 도메인 판정 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전송로(N)를 통해, 도메인 판정 정보를 단말 장치(300a∼300c)에 송신을 행하기 위한 서버 장치이며, 워크스테이션 등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도메인 판정 정보란, 단말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통신 상대의 단말 장치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가 공유하는 공통 키 암호 방식의 암호 키(이하, 「도메인 키」라고 한다)나,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의 리스트(이하,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라고 한다) 등이 있다. 또한, 도메인 판정 정보에 기초하는 도메인 판정 방법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메인 판정 정보 등의 안전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전송로(N)를 통해, 도메인 관리 서버(100)와 단말 장치(30Oa∼30Oc)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안전한 인증 채널(Secure Authenticated Channel, 이하, 「SAC」라고 한다)을 확립하고 나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SAC의 확립에는, 예를 들면, SSL(Secure Socket Layer)이나 TLS(Transport Layer Security)를 이용할 수 있다.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라이센스를 부여하는 서버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는, 사용자마다, 혹은, 단말 장치(300a∼300c)마다, 각각이 소유하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을 관리하여 두고,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전송로(N)를 통해,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Oa∼30Oc)에 배포한다. 혹은, 디지털 방송이나 브로드밴드(broadband) 방송 등의 푸시(push)형의 배포 형태에서는, 일시적으로 무효화된 라이센스를 콘텐츠와 함께 배포하고, 단말 장치(300a∼300c)에 있어서 과금 처리를 행함으로써 라이센스를 유효화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라이센스란,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키(이하, 「콘텐츠 키」라고 한다)와, 콘텐츠의 이용 및 이동의 제어에 관련되는 정보로 구성되는 데이터이다. 라이센스를, 전송로(N)를 통해,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와 단말 장치(30Oa∼30Oc)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SAC를 확립하고 나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송로(N)는, 도메인 관리 서버(100)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 및 단말 장치(300a∼300c)를 상호 접속하는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전송로(N)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나, 디지털 방송, 혹은, 이들을 복합한 네트워크이다.
단말 장치(30Oa∼30Oc)는, 전송로(N)와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사용자가 콘텐츠의 이용을 행하거나 다른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의 이동을 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300a∼300c)는, 사용자가 라이센스에 기초하여 콘텐츠 등의 데이터를 모니터 화면 등을 사용하여 이용하기 위한 장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300a∼30Oc)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STB(Set Top Box), 디지털 TV,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더, HDD(Hard Disk Drive) 레코더, PC(Personal Computer) 등의 콘텐츠 표시 장치, 레코더, 혹은, 이들의 복합 기기이다.
이러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300a∼300c)가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다른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의 이동을 행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도 3 내지 도 22의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식별자의 정의)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별자의 정의를 행한다.
도메인 식별자란,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도메인을 일의(一意)적으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사용자 식별자란,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사용자를 일의적으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단말 식별자란,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단말 장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는 「TERMINAL-ID-OOO1」로서 설명한다. 또, 단말 식별자는 단말 장치(300)의 ROM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이후의 설명을 행한다.
라이센스 식별자란,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 라이센스를 일의적으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 단말 식별자와 라이센스 식별자를 조합시킴으로써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라이센스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식별자, 및 식별자의 구체적인 값에 대해서는, 필요한 개소에서 적절하게 정의, 및 설명한다. 이상으로 각 식별자의 정의에 대한 설명을 종료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도메인 관리 서버(100),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 단말 장치(30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단말 장치(300a∼300c)의 기능 구성은, 단말 장치(300a)를 그 대표로 하여, 단말 장치(300)로서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메인 관리 서버(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메인 관리 서버(100)는, 도메인 정보를 저장하는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와, 도메인 판정 정보를 저장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와,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01)와, 단말 장치(300)가 속하는 도메인을 판정하는 도메인 판정부(102)와, 도메인 판정 정보의 생성을 행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 생성부(103)와,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로부터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104)로 구성된다.
다음에,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와, 이용 조건을 저장하는 이용 조건 저장부(212)와, 콘텐츠 키를 저장하는 콘텐츠 키 저장부(213)와,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01)와, 이용 조건, 도메인 식별자, 및 콘텐츠 키로부터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생성부(202)와, 이용 조건을 생성하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와,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설정하는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단말 장치(3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는, 도메인 관리 서버(100)로부터 취득한 도메인 판정 정보를 저장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 및 다른 단말 장치(300)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를 저장하는 라이센스 저장부(312)와, 도메인 관리 서버(100),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 및 다른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01)와,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도메인 관리 서버(100)에 도메인 판정 정보의 취득 요구를 행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302)와, 도메인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인 단말 장치(300)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도메인 판정부(303)와,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도메인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가 단말 장치(300)가 속하는 도메인에 있어서 처리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와,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에 라이센스의 배포 요구를 행하는 라이센스 배포 요구부(306)와, 라이센스의 검색이나, 취득이라고 하는 라이센스 처리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다른 단말 장치(300)에, 라이센스의 처리 요구를 행하는 라이센스 처리 요구부(307)와, 다른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라이센스 처리 요구의 처리 결과를 상기 다른 단말 장치(300)에 답신하는 라이센스 처리 결과 송신부(305)로 구성된다.
이상으로, 도메인 관리 서버(100),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 및, 단말 장치(3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각 서버, 및 단말 장치는 각 데이터 저장부, 및 각 처리부로 구성되고, 각 데이터 저장부는, HDD 등의 기억 매체로 실현되며, 각 처리부는 LSI 등의 하드웨어 혹은 CPU, RAM, ROM 등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 각 저장부, 각 처리부는, 하드적 혹은 소프트적으로 내(耐)탬퍼(tamper)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및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각 저장부가 보유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메인 관리 서버(100),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 단말 장치(300)의 순서로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로부터 단말 장치(300)에 배포되어, 다른 단말 장치로 이동이 가능한 라이센스의 설명, 및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메인 관리 서버(100)의 각 저장부가 보유하는 데이터)
우선, 도메인 관리 서버(100)의 각 저장부가 보유하는 데이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는, 도메인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도메인 관리 테이블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300)를 관련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는, 도 4에 나타내는 도메인 관리 테이블(D300)를 가지고, 도메인 식별자(D301)와 단말 식별자(D302)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 도메인 식별자(D301)가 「DOMAIN-ID-0001」인 도메인에, 단말 식별자(D302)가 「TERMINAL-ID-0001」인 단말 장치(300)가 속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메인 식별자(D301)가 「DOMAIN-ID-0002」인 도메인에, 단말 식별자(D302)가 「TERMINAL-ID-1001」 , 「TERMINAL-ID-1002」라고 하는 2개의 단말 장치(300)가 속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DOMAIN-ID-0003」에는, 단말 식별자(D302)가 「TERMINAL-ID-OOO1」, 「TERMINAL-ID-3333」이라고 하는 2개의 단말 장치(300)가 속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단말 식별자(D302)가 「TERMINAL-ID-0001」을 가지는 단말 장치(300)는, 도메인 식별자(D301)가 「DOMAIN-ID-O001」인 도메인과, 도메인 식별자(D301)가 「DOMAIN-ID-0003」인 도메인에 속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는, 통신 상대인 단말 장치(300)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인 도메인 판정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요구에 대해 도메인 판정 정보를 송신할 때에,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키인 경우와,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키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도메인 판정 정보 관리 테이블(D400)을 가지고, 도메인 식별자(D401)와, 도메인 키(D402)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메인 식별자(D401)가 「DOMAIN-ID-0001」인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3OO)에 송신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키 「DOMAIN-KEY-O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도메인 판정 정보 관리 테이블(D410)를 가지고, 도메인 식별자(D411)와,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D412)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메인 식별자(D411)가 「DOMAIN-ID-0001」인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300)에 송신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가 단말 식별자 「TERMINAL-ID-OOO1」, 「TERMINAL-ID-OO02」의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 및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로의 데이터 등록은, 단말 장치(300)를 소유하는 사용자가, 전송로(N)를 통해, 도메인 관리를 행하는 사업자의 Web 사이트에 접속하여, 도메인 등록 화면에 의해, 온라인으로 등록을 행할 때 행해진다. 또한, 도메인 등록은 등록용의 엽서를 이용하는 등, 오프라인으로 행해도 된다.
1명의 사용자에 대해 1개의 도메인을 설정하는 경우, 도메인 신규 등록 처리에서는, 우선 상기 사업자가, 사용자에 대해 도메인 식별자(D301)를 할당하고, 동시에 할당한 도메인 식별자(D301)에 대응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를 도메인 판정 정보 생성부(103)가 생성하며, 도메인 식별자(D401)와 도메인 키(D402)가 관련되어,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의 도메인 판정 정보 관리 테이블(D400)에 등록된다.
그 후,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D302)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 의해 상기 사업자에게 통지되므로, 도메인 식별자(D301)와 단말 식별자(D302)가 관련되어, 도메인 판정부(102)를 통해,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의 도메인 관리 테이블(D300)에 등록된다. 이상과 같은 도메인 등록 처리를 행한 결과,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의 도메인 관리 테이블(D300)이 구축된다.
도메인으로의 단말 장치(300)를 추가하는 처리는, 동일하게 사용자가 상기 사업자의 Web 사이트에 접속하여, 단말 장치 추가 화면에 의해, 추가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와, 추가 대상이 되는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를 입력하고, 도메인 판정부(102)를 통해,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의 도메인 관리 테이블(D300)의 도메인 식별자(D301)에 대응하는 단말 식별자(D302)에 상기 단말 식별자를 추가함으로써 실현한다.
여기에서는,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키인 경우의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로의 데이터 등록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인 경우도 동일하다.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의 저장부가 보유하는 데이터)
다음에,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의 저장부가 보유하는 데이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에 액세스하는 단말 장치(300)와, 이용 조건 저장부(212)에서 관리되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을 소유하는 사용자를 관련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는, 도 6에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500)을 가지고, 사용자 식별자(D501)와, 단말 식별자(D502)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자(D501)가 「USER-ID-0001」인 사용자는, 단말 식별자(D502)가 「TERMINAL-ID-0001」인 단말 장치(300)를 소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사용자 식별자(D501)가 「USER-ID-0002」인 사용자는, 단말 식별자(D502)가 「TERMINAL-ID-1001」, 「TERMINAL-ID-1002」라고 하는 2개의 단말 장치(300)를 가지고 있어, 양쪽의 단말 장치(300)로부터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에 액세스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로의 데이터 등록은,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배포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 회원 등록을 할 때에 행해진다. 이 회원 등록 처리는, 사용자가 전송로(N)를 통해, 콘텐츠 배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Web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 화면에 의해, 온라인으로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회원 등록용의 엽서를 이용하는 등, 오프라인으로 행해도 된다.
회원 등록 처리에서는, 우선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 식별자(D501)를 할당한다. 그 후,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D502)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되므로, 사용자 식별자(D501)와 단말 식별자(D502)가 관련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의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500)에 등록된다. 이상과 같은 회원 등록 처리를 행한 결과,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의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500)이 구축된다.
이용 조건 저장부(212)는, 사용자마다의 콘텐츠에 대한 이용 조건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라이센스 배포 요구에 대해서, 사용자가 소유하는 이용 조건이 발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발행 가능한 경우에 이용 조건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 조건 저장부(21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 조건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식별자(D601)와, 이용 조건이 이용을 허락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D602)와, 콘텐츠 식별자(D602)에서 나타나는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개시, 종료 일시를 나타내는 유효기간(D603)과, 콘텐츠 식별자(D602)에서 나타나는 콘텐츠의 이용 가능 회수를 나타내는 이용 가능 회수(D604)로 이루어지는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을 가진다. 예를 들면,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은, 사용자 식별자(D601)가 「USER-ID-0003」인 사용자에 대해서, 이용이 허락되는 콘텐츠가 콘텐츠 식별자(D602)에 나타나는 「CONTENT-ID-0004」인 콘텐츠이며, 유효기간(D603)이 「2002/11/24∼2002/12/20」이고, 이용 가능 회수(D604)가 무제한(), 즉, 몇 회라도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용 조건 저장부(212)로의 데이터 등록은, 콘텐츠 배포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할 권리를 구입할 때에 행해진다. 이 구입 처리는, 사용자가 전송로(N)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Web 사이트에 접속하여, 콘텐츠 구입 화면에 의해, 온라인으로 구입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구입용의 엽서를 이용하는 등, 오프라인으로 행해도 된다.
구입 처리에서는, 우선 사용자가 구입 대상인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D602)를 지정하고, 이용 조건을 확인 후, 구입 처리를 행한다. 구입 처리를 행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D601)와 콘텐츠 식별자(D602)와 이용 조건이 관련되어, 이용 조건 저장부(212)의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에 등록된다. 이상과 같은 구입 처리를 행한 결과, 이용 조건 저장부(212)의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이 구축된다.
콘텐츠 키 저장부(213)는,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콘텐츠 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라이센스 취득 요구에 대해 라이센스를 생성할 때에, 라이센스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한 콘텐츠 키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키 저장부(21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센스 배포 시스템(S)에 있어서 콘텐츠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D701)와, 콘텐츠 식별자(D701)에 대응하는 콘텐츠 키(D702)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키 관리 테이블(D700)을 가진다. 예를 들면, 콘텐츠 키 관리 테이블(D700)은, 콘텐츠 식별자(D701)가 「CONTENT-ID-OOO1」인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콘텐츠 키(D702)가 「CONTENT-KEY-0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군에 대해 하나의 도메인을 설정하는 운용의 경우는, 도메인 관리 서버(100)의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의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는 제휴하여, 등록 처리를 공통화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단말 장치(300)의 저장부가 보유하는 데이터)
다음에, 단말 장치(300)의 저장부가 보유하는 데이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는, 도메인 판정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통신 상대인 단말 장치(300)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때에,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라이센스 저장부(312)는,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의 콘텐츠 이용 시나, 다른 단말 장치(300)로의 라이센스 송신 시에,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한 라이센스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센스 저장부(31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센스 식별자(D801)와, 라이센스 식별자(D801)에 대응하는 라이센스(D802)로 이루어지는 라이센스 관리 테이블(D800)을 가진다. 예를 들면, 라이센스 관리 테이블(D800)은, 라이센스 식별자(D801)가 「LICENSE-ID-0001」인 라이센스가 「LICENSE-OOO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이센스 저장부(312)로의 데이터 등록은,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 혹은 다른 단말 장치(3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에 행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센스 저장부(312)에 보유되는 라이센스와,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콘텐츠 배포 시스템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콘텐츠 배포 시스템이란, 콘텐츠를, 인터넷 등의 통신이나 디지털 방송 등을 통해, 서버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배포하여, 단말 장치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시스템이며,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악의 있는 사용자 등에 의한 콘텐츠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 저작권 보호 기술이 이용된다.
저작권 보호 기술이란, 구체적으로는, 암호 기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기록 미디어에 카피하거나 하는 콘텐츠의 이용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서버 장치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콘텐츠의 재생 회수 등의 이용 조건과,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하기 위한 콘텐츠 키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단말 장치에 배포하며, 단말 장치는 상기 라이센스의 콘텐츠 키로, 별도 취득한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하고,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있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키, 및 라이센스는 콘텐츠 단위로 부여되어 콘텐츠 식별자와 관련된다. 여기서, 콘텐츠 식별자란, 콘텐츠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를 일의적으로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센스는 콘텐츠 단위로 부여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상으로,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라이센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
다음에,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라이센스(900)는, 콘텐츠의 이용 가능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이용 조건(901)과, 라이센스(900)에 대응하는 암호화 콘텐츠의 복호를 행하기 위한 콘텐츠 키(902)와, 라이센스(900)가 이용 및 이동이 가능한 도메인을 특정하는 도메인 식별자(9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용 조건(901)이란, 라이센스(900)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이용 가능한 회수, 예를 들면 「10회」나, 이용 가능한 기간, 예를 들면 「2002년 12월 1일∼2003년 2월 13일」 등이다.
또한, 라이센스(900)는, 라이센스 저장부(312), 및 라이센스에 관한 처리에 있어서, 콘텐츠 식별자와 관련시킬 필요가 있고,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의 라이센스(900)와 콘텐츠 식별자의 관련 처리를 생략하기 위해, 라이센스(900)에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으로,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서 취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단말 장치(300)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라이센스를 이동하기까지 필요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이동 대상이 되는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 라이센스를 이동할 때의 도메인 판정에 필요한 도메인 판정 정보의 취득이 필요하다. 또, 라이센스를 이동하기 전에, 원하는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단말 장치를 검색하는 처리가 필요한 경우도 상정된다. 마지막으로, 검색의 결과, 원하는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대해 라이센스의 취득 요구를 행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이상의 구성의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단말 장치(300)가 도메인 관리 서버(100)로부터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할 때의 처리,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로부터 라이센스 취득을 행할 때의 처리, 단말 장치(300)가 다른 단말 장치(300)에 대해 라이센스의 검색을 행할 때의 처리, 단말 장치(300)가 다른 단말 장치(300)에 대해 라이센스의 취득 요구를 행할 때의 처리의 순서로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처리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취급하는 통신 메시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메인 관리 서버(100), 및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와 단말 장치(300) 간의 통신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통신 메시지(M1000)의 메시지 포맷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통신 메시지(M1000)는, 메시지 헤더(M1001)와, 메시지 본체(M100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시지 헤더(M1001)는, 적어도 송신처를 특정하는 정보와, 송신원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송신처를 특정하는 정보는, 메시지의 행선지로서 참조되고, 상기 송신원을 특정하는 정보는, 상기 메시지에 대해 답신의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 행선지로서 참조된다. 상기 송신원, 혹은 송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전형적인 예로서 IP 어드레스가 있다. 또, 통신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는 서버 장치와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인증 처리를 행하는 경우, 인증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메시지 헤더에 포함해도 된다. 한편, 메시지 본체는 각각의 메시지에서 고유의 정보를 포함한다. 메시지 본체 고유의 정보에 대해서는 메시지마다 설명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처리)
우선,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처리의 설명에 앞서,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처리에 관계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 본체(M1100)는 단말 식별자(M1101)로 이루어진다. 도 13의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 본체(M1200)는 도메인 식별자(M1201)와, 도메인 판정 정보키(M1202)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처리에 관계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에, 단말 장치(300)가, 도메인 관리 서버(100)로부터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의 각 부의 처리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300)가 도메인 관리 서버(100)로부터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의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지시에 따라,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처리를 개시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지시를 받은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302)에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지시를 행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302)는,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메시지 본체(M1002)로서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 본체(M1100)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M1000))를 생성하여, 통신부(301)를 통해 도메인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단계 S1831). 여기서,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 본체(M1100)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M1101)는, 단말 장치(300)의 ROM으로부터 취득한 단말 식별자를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TERMINAL-ID-OOO1」이 설정된다.
도메인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01)를 통해 상기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1811). 도메인 판정부(102)는, 도메인 판정 정보 요구 메시지 본체(M1100)로부터 단말 식별자(M1101)를 추출하고,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의 도메인 관리 테이블(D300)로부터 단말 식별자(M1101)를 검색하여, 단말 장치(300)가 도메인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812).
검색의 결과, 단말 식별자(M110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도메인 판정부(102)는, 통신부(101)를 통해, 도메인에 속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300)는, 상기 답신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1832),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도 19: 종료).
검색의 결과, 단말 식별자(M1101)가 존재하는 경우는, 도메인 판정부(102)는, 단말 장치(300)가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D301)을 특정하고, 이것을 취득한다(단계 S1813).
또, 단말 장치(300)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는, 상기 검색에 의해 복수의 도메인 식별자가 히트(hit)한다. 이 경우는, 각각의 도메인 식별자마다 이후의 처리가 행해져, 도메인 판정 정보와 도메인 식별자의 세트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가 송신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300)에 히트한 복수의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가 송신되어 사용자에게 하나의 도메인 식별자를 선택시켜, 이후의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우선,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키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104)는,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의 도메인 판정 정보 관리 테이블(D400)로부터 도메인 식별자(D301)를 검색하고, 그 도메인 식별자(D301)에 대응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판정 정보인 도메인 키(D402)를 특정하여, 이것을 취득한다(단계 S1814).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104)는, 취득한 도메인 식별자(D301), 및 도메인 키(D402)에 메시지 헤더를 첨부하여,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메시지 본체(M1002)로서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 본체(M1200)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M1000))를 생성하여, 통신부(101)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송신한다(단계 S1815).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01)를 통해 상기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S1833), 도메인 식별자(D301), 도메인 키(D402)를 추출하여, 양자를 관련시켜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에 저장하며(단계 S1834),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104)는,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112)의 도메인 판정 정보 관리 테이블(D410)로부터 도메인 식별자(D301)를 검색하여, 그 도메인 식별자(D301)에 대응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판정 정보인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D412)를 특정하고, 이것을 취득한다(단계 S1814).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부(104)는, 취득한 도메인 식별자(D301), 및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D412)에 메시지 헤더를 첨부하여,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부(101)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송신한다(단계 S1815).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01)를 통해 상기 도메인 판정 정보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S1833), 도메인 식별자(D301), 및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D412)를 추출하여, 양자를 관련시켜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에 저장하며(단계 S1834),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으로, 사용자가 도메인 판정 정보 취득 지시를 행하여, 단말 장치(300)가, 도메인 관리 서버(100)로부터 도메인 판정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라이센스 배포 요구·취득 처리)
다음에, 라이센스 배포 요구로부터 라이센스 취득까지의 처리에 대한 설명에 앞서, 라이센스 배포 요구·취득 처리에 관계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는 단말 식별자(M1301)와, 콘텐츠 식별자(M1302)와, 도메인 식별자(M1303)로 이루어진다. 도 15의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M1400)는 라이센스(M1401)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라이센스 배포 요구·취득 처리에 관계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에,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까지의 각 부의 처리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정보 입력, 라이센스 취득 지시에 따라, 라이센스 취득 처리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어도 취득 대상인 라이센스를 특정하는 정보 중의 하나인 콘텐츠 식별자 또는, 콘텐츠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 및 취득 대상 라이센스를 이용, 혹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도메인을 특정하는 정보 중의 하나인 도메인 식별자, 또는 도메인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사용자가,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OO1」, 및 도메인 식별자 「DOMAIN-ID-OO01」을 입력하여, 라이센스 취득 처리를 개시한 것으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은 단말 장치(300)는 , 라이센스 배포 요구부(306)에 있어서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메시지 본체(M1002)로서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M1000))를 생성하여, 통신부(301)를 통해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에 송신한다(단계 S1931).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에 포함되는 단말 식별자(M1301)에는, 상기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300)의 단말 식별자 「TERMINAL-ID-O001」이 설정되고, 콘텐츠 식별자(M1302)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OO1」이 설정되며, 도메인 식별자(M1303)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식별자 「DOMAIN-ID-OOO1」이 설정된다.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는, 통신부(201)를 통해 상기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1911). 라이센스 생성부(202)는,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로부터, 콘텐츠 식별자(M1302)를 추출하여, 콘텐츠 식별자(M1302)에 대응하는 콘텐츠 키가 콘텐츠 키 저장부(213)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912).
상기 콘텐츠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는 라이센스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하고, 콘텐츠 키가 존재하지 않는, 즉 콘텐츠 식별자가 부정인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에 송신한다.
라이센스 생성부(202)는, 상기 콘텐츠 키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콘텐츠 키를 취득하고,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에 대응하는 콘텐츠 키 「CONTENT-KEY-OOO1」이 존재하는 것으로 하여, 이후의 설명을 계속한다.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로부터, 단말 식별자(M1301)를 추출하고,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가 보유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500)로부터 단말 식별자(M1301)를 키로 하여, 그 단말 식별자(M1301)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D501)를 특정한다. 단말 식별자(M1301)가 사용자 정보 관리 테이블(D5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상기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 장치(300)가, 콘텐츠 배포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이용 조건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하며, 단말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에 송신한다.
사용자 식별자(D501)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사용자 식별자(D501)를 취득하고,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있는 바와 같이, 단말 식별자 「TERMINAL-ID-00O1」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로서 사용자 식별자 「USER-ID-0001」이 존재하는 것으로 하여, 이후의 설명을 계속한다.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사용자 식별자(D501), 및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로부터 추출한 콘텐츠 식별자(M1302)에 기초하여, 이용 조건 저장부(212)가 보유하는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로부터 대상이 되는 이용 조건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의 사용자 식별자(D601), 및 콘텐츠 식별자(D602)가, 사용자 식별자(D501) 및 콘텐츠 식별자(M1302)에 모두 일치하고 있는 레코드를 특정한다.
해당하는 레코드가 없는 경우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이용 조건이 존재하지 않는 취지를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에 송신한다.
해당하는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저장되어 있는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배포하는 이용 조건을 생성한다(단계 S1913). 이 때의 생성 방법으로서는, 레코드에 기술되는 전체 이용 조건을 생성하는 방법이나, 레코드에 기술되는 이용 조건의 일부를 생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식별자 「USER-ID-OOO1」,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OO1」로 특정된 레코드의 이용 조건은, 유효 기간 「∼2003/1/30」, 이용 가능 회수 「10회」이다. 전체 이용 조건을 배포하는 경우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가변적인 이용 가능 조건인 이용 가능 회수를 「10회」로 하여 이용 조건을 생성하고, 생성 후의 상기 레코드의 이용 가능 회수를 「O회」로 한다.
또, 사용자의 권리의 일부를 배포하는 경우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회수(예컨대, 3회)를 통지시켜, 가변적인 이용 가능 조건인 이용 회수를 「3회」로 하여 이용 조건을 생성하고, 생성 후의 상기 레코드의 이용 가능 회수를 「7회」로 한다. 또, 이용 조건 생성부(203)는, 운용에서 「1회」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는, 이용 회수를 「1회」로 하여 이용 조건을 생성하고, 생성 후의 상기 레코드의 이용 가능 회수를 「9회」로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운용이 생각되지만 본 발명의 본질은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이용 가능 회수는 10회로 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다음에,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는,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로부터, 도메인 식별자(M1303)를 추출하여,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결정한다(단계 S1914). 또한,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가, 또한 단말 식별자(M1301)를 추출하고, 상기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해 온 단말 장치(300)가, 도메인 식별자(M1303)에 대응하는 도메인에 포함되는지,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는, 단말 식별자(M1301)에 기초하여, 도메인 정보 저장부(111)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해 온 단말 장치(300)가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를 특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에 도메인 식별자(M1303)를 설정할 필요는 없다. 또, 단말 장치(300)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는, 사용자에게 하나의 도메인 식별자를 선택시켜, 그것을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로서 결정 해도 되고, 그 복수의 도메인 식별자를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로서 결정해도 된다. 복수의 도메인 식별자가 결정되는 경우는, 라이센스(900)의 도메인 식별자(903)는 도메인 식별자 리스트가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 본체(M1300)에 포함되는 도메인 식별자(M1303)를,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로서 취급하였지만, 라이센스의 내용에 따른 도메인 식별자를, 그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로서 취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용 조건 저장부(212)의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자(D601)에는, 소정의 도메인 식별자가 관련되어 있다. 그래서,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에 의해 생성된 이용 조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로부터 특정한다. 그리고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는, 그 사용자 식별자에 관련된 도메인 식별자를,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로서 취급한다. 또, 이용 조건 관리 테이블(D600)에 이용 조건으로서 가정이나 직장 등의 이용 종별이 설정되어 있을 때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동일하게, 그 이용 종별(가정이나 직장)에 따른 도메인 식별자를, 라이센스에 부여하는 도메인 식별자로서 취급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300)는, 단말 식별자(M1301)와 콘텐츠 식별자(M1302)와 도메인 식별자(M1303)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에 송신하였지만, 각 식별자를 상이한 타이밍에서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에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300)는,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와의 사이에서 SAC를 확립할 때에, 단말 식별자(M1301)를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에 송신하고, SAC의 확립 후에, 콘텐츠 식별자(M1302)와 도메인 식별자(M1303)를 라이센스 배포 서버(2O0)에 송신한다.
라이센스 생성부(202)는, 이용 조건 생성부(203)가 생성한 이용 조건을 이용 조건(901)으로 설정하고, 사전에 취득하고 있는 콘텐츠 키를 콘텐츠 키(902)로 설정하며, 도메인 식별 부여부(204)가 결정한 도메인 식별자를 도메인 식별자(903)로 설정하여, 라이센스(900)를 생성한다(단계 S1915). 그리고, 라이센스 생성부(202)는, 라이센스(900)를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M1400)의 라이센스(M1401)로 설정하여, 통신부(201)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송신한다(단계 S1916).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01)를 통해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M1400)를 수신하고, 라이센스(M1401)를 취득한다(단계 S1933).
단말 장치(300)는, 취득한 라이센스(M1401)를 라이센스 배포 요구 메시지의 콘텐츠 식별자(M1302)와 동일한 콘텐츠 식별자와 관련시켜 라이센스 저장부(312)에 저장한다(단계 S1934). 또한 라이센스(900)에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는 관련 처리가 불필요하다.
또, 단말 장치(300)는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로부터 생성 불가능 통지를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답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생성 불가능의 이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932).
이상으로, 사용자가 라이센스 배포 요구 지시를 행하고,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라이센스의 이동에 관련되는 처리와 도메인 판정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의 이동에 관련되는 처리로서, 라이센스의 검색 처리와 라이센스의 취득 처리가 있다.
(라이센스의 검색 처리)
우선, 라이센스의 검색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의 검색 처리에서는, 검색 주체인 단말 장치(300)가, 다른 복수의 단말 장치(300)에 대해 라이센스 검색 처리 요구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색 주체인 단말 장치(300)가, 다른 복수의 단말 장치(300)에 대해 라이센스 검색 처리 요구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고, 라이센스 검색 처리 요구를 수신한 단말 장치(300)는,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의 유무를 답신한다. 검색 주체가, 라이센스 검색 처리 요구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모든 통신 상대와 SAC의 확립을 행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또, 라이센스의 검색 처리에 있어서의 도메인 판정은, 반드시 엄밀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라이센스 검색 처리는, 검색 주체인 단말 장치(300)가 취득하고 싶은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단말 장치(300)를 특정하는 것이 목적이며, 라이센스의 이동에는 관계하지 않기 때문에, 검색 주체인 단말 장치(300)가, 개찬(改竄) 등의 부정을 행하였다고 해도, 손해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메인 판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 사이에서의 라이센스의 이동은 허가하지 않고, 또, 라이센스의 이용이나 이동은, 라이센스의 이용이나 이동이 허가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대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음의 2개의 도메인 판정이 필요하게 된다.
첫번째는, 라이센스 처리 요구를 송신한 단말 장치와, 수신한 단말 장치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도메인 판정이다. 한편, 두번째는, 라이센스 처리 요구를 송신한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에 있어서, 라이센스의 이용이나,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도메인 판정이다. 전자는 도메인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도메인 판정을 행하고, 후자는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도메인 식별자에 기초하여 도메인 판정을 행한다.
우선,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대해 라이센스 검색 요구를 송신하고, 검색 결과를 수신할 때의 처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메인 판정 정보로서 도메인 키가 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메인 키로 도메인 판정을 엄밀하게 행하는 경우의 라이센스 검색 처리에 관계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 본체(M1500)는, 라이센스 검색 요구에 필요한 정보인 콘텐츠 식별자(M1501)와, 콘텐츠 식별자(M1501)에 대한 체크섬(checksum)(M1502)으로 이루어진다. 도 17의 라이센스 검색 답신 메시지 본체(M1600)는, 라이센스 식별자(M1601)로 이루어진다.
단말 장치(300a)로부터 단말 장치(300b)에 대해 라이센스 검색 요구가 송신되어, 단말 장치(300b)가 단말 장치(300a)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검색 대상 라이센스의 유무를 단말 장치(300a)가 수신할 때까지의 각 부의 처리에 대해,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300)가 다른 단말 장치(300)에 대해 라이센스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말 장치(300a)는,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장치(300a)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정보 입력, 및 라이센스 검색 지시에 따라, 라이센스 검색 처리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a)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적어도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를 특정하는 정보 중의 하나인 콘텐츠 식별자 또는, 콘텐츠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 및 단말 장치(300a)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는 검색 대상이 되는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단말 장치(300)가 속하는 도메인을 특정하는 정보 중의 하나인 도메인 식별자 또는, 도메인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특히 지정을 행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단말 장치(300a)가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단말 장치(300a)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는, 단말 장치(3OOa)가 속하는 모든 도메인에 대해 이하의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사용자가,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OO1」, 및 도메인 식별자 「DOMAIN-ID-OOO1」을 입력하여, 라이센스 검색 처리를 개시한 것으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은 단말 장치(300a)는, 라이센스 처리 요구부(307)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0001」을, 콘텐츠 식별자(M1501)로 설정하고(단계 S2031), 콘텐츠 식별자(M1501)에 대한 체크섬(M1502)을 산출한다(단계 S2032).
라이센스 처리 요구부(307)는,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식별자 「DOMAIN-ID-OOO1」을 키로 하여,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로부터 도메인 키를 취득하고, 콘텐츠 식별자(M1501), 및 체크섬(M1502)을, 상기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단계 S2033)하며,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메시지 본체(M1002)로서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 본체(M1500)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M1000))를 작성한다.
라이센스 처리 요구부(307)는,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를, 통신부(301)를 통해 단말 장치(300b)에 송신한다(단계 S2034).
단말 장치(300b)는, 통신부(301)를 통해 상기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2011).
단말 장치(300b)의 도메인 판정부(303)는,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로부터 도메인 키를 취득하고, 상기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의 암호화부의 복호화를 행하며(단계 S2012), 콘텐츠 식별자(M1501)에 대한 체크섬을 산출하여(단계 S2013), 체크섬(M1502)과의 일치 판정을 행한다(단계 S2014).
도메인 판정부(303)는, 체크섬이 일치하면, 단말 장치(30Oa)는 자신과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체크섬이 일치하지 않으면,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하고,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
또, 도메인 판정부(303)는, 체크섬이 일치한 도메인 키에 대응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기억해 둔다.
여기서, 단말 장치(300b)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에 복수의 도메인 키가 존재한다. 그 경우는, 도메인 판정부(303)는, 차례로 단계 S2012∼단계 S2014를 반복하여, 단말 장치(300a)가 자신과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에, 단말 장치(3OOa)가 속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반복 처리를 생략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상기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콘텐츠 식별자(M1501)를 키로 라이센스 저장부(312)로부터 라이센스를 검색하고,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는 이것을 취득하며,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처리를 종료하고,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통신부(301)를 통해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취득한 상기 라이센스로부터 도메인 식별자(903)를 추출하고(단계 S2015), 도메인 판정부(303)가 기억하고 있던 도메인 식별자와 일치 판정을 행한다(단계 S2016).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면,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가 단말 장치(300a) 및 단말 장치(300b)가 속하는 도메인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라이센스 처리 결과 송신부(305)는, 상기 라이센스의 단말 장치(300b)에 있어서의 식별자인 라이센스 식별자를, 라이센스 검색 답신 메시지 본체(M1600)의 라이센스 식별자(M1601)로 설정하여(단계 S2017), 통신부(301)를 통해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단계 S2018).
또,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가 이동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처리를 종료하며,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가 이동 불가능한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
또한, 도메인 판정에 있어서 불일치의 경우,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에러 내용을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답신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여기에서는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엄밀한 도메인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앞에서 설명한 대로, 라이센스의 검색 처리에 있어서의 도메인 판정은, 반드시 엄밀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도메인 키를 이용한 암호화는 행하지 않고, 체크섬(M1502) 대신에 도메인 식별자를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암호 데이터의 복호화, 체크섬 생성, 체크섬의 일치 판정의 처리(단계 S2012∼단계 S2014) 대신에,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에 저장되어 있는 도메인 키에 대응하는 도메인 식별자와,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에 설정된 도메인 식별자와의 일치 판정이 행해진다.
또, 단말 장치(300a)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 단말 장치(3OOa)는, 복수의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라이센스 검색 요구 메시지 본체(M1500)의 내용을 리스트 형식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단말 장치(300a)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고, 도메인 식별자를 이용하여 도메인 판정을 행하는 경우는, 단말 장치(300a)는, 도메인 식별자의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어느 경우나, 단계 S2012∼단계 S2014의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단말 장치(300a)는, 상기 라이센스 검색 답신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S2035), 메시지 헤더로부터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단말 장치(300)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며, 라이센스 검색 답신 메시지 본체(M1600)로부터 라이센스 식별자(M1601)를 취득하고, 그 단말 장치(300)를 특정하는 정보(단말 식별자) 및 라이센스 식별자(M1601)를,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와 함께 기억한다.
또한, 단말 장치(300b)의 IP 어드레스가 바뀔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300b)는, 라이센스 검색 답신 메시지 본체(M1600)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고, 단말 장치(300a)는 그 단말 식별자를 취득하여 기억하면 된다.
이상으로,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대해 라이센스 검색 요구를 송신하여,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단말 장치(300)를 특정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라이센스의 취득 처리)
다음에, 라이센스의 취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의 취득 처리는, 취득 주체인 단말 장치(300)가, 하나의 단말 장치(300)에 대해 라이센스 취득 처리 요구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 주체인 단말 장치(300)가, 검색 처리의 결과, 특정한 하나의 단말 장치(300)에 대해 라이센스 취득 처리 요구를 송신하고, 라이센스 취득 처리 요구를 수신한 단말 장치(300)는, 라이센스를 답신한다.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서는, 단말 장치 사이에서 안전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라이센스의 이동이 행해지기 때문에, SAC의 확립이 필요하게 된다. 또, 라이센스의 취득 처리에 있어서의 도메인 판정은, 엄밀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의 이동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 간이 아니면 허가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대해서 라이센스 취득 요구를 송신하고,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라이센스 취득 처리에 관계하는 통신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 본체(M1700)는, 라이센스 취득 요구에 필요한 정보인 라이센스 식별자(M1701)로 이루어진다.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대해 라이센스 취득 요구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300b)가 단말 장치(300a)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취득 대상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0a)가 수신할 때까지의 각 부의 처리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메인 판정 정보로서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가 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300)가 다른 단말 장치(300)로부터 라이센스의 취득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말 장치(300a)는,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장치(300a)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정보 입력, 및 라이센스 취득 지시에 따라, 라이센스 취득 처리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0a)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어도 취득 대상인 라이센스를 특정하는 정보 중의 하나인 콘텐츠 식별자 또는, 콘텐츠 식별자에 준하는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또한, 라이센스 검색 처리에 의해 기억하고 있던 취득 대상인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식별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사용자가,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OO1」을 입력하여, 라이센스 취득 처리를 개시한 것으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은 단말 장치(300a)의 라이센스 처리 요구부(307)는, 라이센스 검색 처리에 의해 기억하고 있던 검색 대상인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단말 장치(300)를 특정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OO1」을 키로 하여 검색하여 이것을 취득한다. 이것에 의해, 라이센스 취득 처리를 행하는 상대인 단말 장치(300b)가 특정되어, 라이센스 취득 처리가 개시된다.
우선, 단말 장치(300a) 및 단말 장치(300b)는, 서로 통신을 행하여, SAC를 확립한다(단계 S2111, 단계 S2131). 여기에서는, SAC의 확립 시에,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단말 식별자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 장치(300b)의 도메인 판정부(303)는, SAC의 확립 시에 취득한 단말 장치(300a)의 단말 식별자를, 도메인 판정 정보 저장부(311)에 저장되어 있는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로부터 검색하여, 단말 장치(300a)가 자신과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112).
단말 장치(300b)는, 단말 장치(300a)의 단말 식별자가, 단말 장치(30Ob)가 보유하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에 존재하면, 단말 장치(300a) 및 단말 장치(300b)는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메인이 일치하고 있는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도메인 일치 통지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 또한, 도메인 일치 통지 메시지에 일치하고 있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300b)의 도메인 판정부(303)는,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에 있어서 단말 장치(300a)의 단말 식별자와 관련된 도메인 식별자를 기억해 둔다.
또한, 단말 장치(300a)의 단말 식별자가 복수의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 즉, 단말 장치(300a) 및 단말 장치(300b)가 모두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 상기 도메인 일치 통지 메시지에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리스트 형식으로 설정하고, 어느 도메인에 있어서 라이센스 취득을 행할지를 단말 장치(300a)에게 지정시켜도 되고, 단말 장치(300b)가 지정해도 된다.
또, 상기 단말 식별자가, 상기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 장치(300b)는, 단말 장치(300a) 및 단말 장치(300b)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며, 도메인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300a)는, 도메인 일치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2132), 단말 장치(300a)의 라이센스 처리 요구부(307)는, 사용자가 입력한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O01」에 대한 라이센스 식별자를 취득하여, 이것을 라이센스 식별자(M1701)로 설정하고,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메시지 본체(M1002)로서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 본체(M1700)를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M1000))를 작성한다(단계 S2133).
라이센스 처리 요구부(307)는,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를, 통신부(301)를 통해 단말 장치(300b)에 송신한다(단계 S2134).
또한, 단말 장치(300a) 및 단말 장치(300b)가 모두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는, 라이센스 취득 시에, 어느 도메인에 있어서 라이센스 취득을 행하는지를 지정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에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단말 장치(300b)는, 통신부(301)를 통해 상기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2113).
단말 장치(300b)의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상기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 식별자(M1701)를 라이센스 저장부(312)로부터 검색하여, 그 라이센스 식별자(M1701)가 있으면, 그것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취득하여, 이후의 처리를 행하고, 라이센스 식별자(M1701)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하며, 취득 대상인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답신 메시지를 단말 장치(3OOa)에 송신한다.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취득한 상기 라이센스로부터 도메인 식별자(903)를 추출하고(단계 S2114), 도메인 판정부(303)가 기억하고 있던 도메인 식별자와 일치 판정을 행한다(단계 S2115).
도메인 식별 판정부(304)는, 이들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면, 라이센스 저장부(312)에 저장되어 있는 취득 대상의 라이센스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잠근다(단계 S2116). 라이센스 처리 결과 송신부(305)는, 취득한 상기 라이센스를,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본체(M1400)의 라이센스(M1401)로 설정하여(단계 S2117), 통신부(301)를 통해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단계 S2118).
단말 장치(300a)는, 상기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S2135), 상기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라이센스(M1401)를, 콘텐츠 식별자 「CONTENT-ID-O001」과 관련시켜 라이센스 저장부(312)에 저장한다(단계 S2136).
이어서, 단말 장치(300a)는, 라이센스를 취득하여, 저장한 취지를 메시지 본체에 포함하는 라이센스 취득 통지 메시지를, 통신부(301)를 통해 단말 장치(300b)에 송신한다(단계 S2137).
단말 장치(300b)는, 상기 라이센스 취득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S2119), 라이센스 저장부(312)에 있어서 잠궈 둔 라이센스의 삭제를 행한다(단계 S211A).
또한 단말 장치(300b)는, 상기 라이센스 취득 통지 메시지가,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를 송신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돌아오지 않는 경우, 혹은 라이센스의 취득 또는 저장의 실패를 알리는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잠궈 둔 라이센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인 경우, 단말 장치(300b)는, SAC 확립 시에 교환되는 단말 식별자와 도메인 단말 장치 리스트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00a)와 단말 장치(30Ob)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도메인 판정 정보가 도메인 키인 경우, SAC 확립 시에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도메인 키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장치(300b)는, 그 도메인 키와 동일한 것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도메인 판정을 행해도 된다.
또, SAC 확립 시에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도메인 식별자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장치(300b)는, 그 도메인 식별자에 관한 도메인 판정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도메인 판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300a)는, 이러한 단말 식별자나, 도메인 키, 도메인 식별자를 이용한 도메인 판정을, SAC의 확립 시에 한정하지 않고, SAC 확립 후의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의 송수신 시에 행해도 되고, SAC를 확립하는 일 없이 상술한 바와 같은 도메인 판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300a)가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 복수의 도메인 식별자를 리스트 형식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단말 장치(300b)는, 각각의 도메인 식별자에 대해 도메인 판정을 행한다.
또, 도메인 판정의 결과, 단말 장치(300a) 및 단말 장치(300b)가 모두 복수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우, 단말 장치(300a), 혹은 단말 장치(300b)가, 어느 도메인에 있어서 라이센스의 이동을 행하는지를 지정하면 된다. 또한, 단말 장치(300a)로부터 단말 장치(300b)에 송신하는 데이터가 도메인 키인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라이센스의 도메인 식별자는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가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단말 장치(300)가, 라이센스의 도메인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는, 라이센스에, 라이센스의 도메인 식별자의 고쳐쓰기 회수를 제한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은 해치지 않고 , 라이센스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23은, 도메인 식별자가 고쳐쓰기 가능한 라이센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라이센스(900A)는, 도 10에 나타내는 라이센스(900)와 동일한, 이용 조건(901A)과 콘텐츠 키(902A)와 도메인 식별자(903A)를 포함하는 것과 함께, 도메인 식별자(903A)가 고쳐쓰기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고쳐쓰기 플래그(904A)와, 고쳐쓰기의 최대수(905A)와, 지금까지 고쳐쓰기된 회수를 나타내는 고쳐쓰기 수(906A)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고쳐쓰기 플래그(904A)가 고쳐쓰기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최대수(905A)가 「10회」, 고쳐쓰기 수(906A)가 「4회」인 경우, 단말 장치(300)는, 그 고쳐쓰기 플래그(904A)에 기초하여, 그 라이센스(900A)의 도메인 식별자(903A)를 고쳐쓰기할 수 있다고 판별한다. 또한, 최대수(905A)와 고쳐쓰기 수(906A)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300)는, 10회 - 4회 = 6회까지 고쳐쓰기할 수 있다고 판별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 장치(300)가 다른 단말 장치(300)로부터 라이센스(90OA)의 취득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단말 장치(300a)는, 도 22의 단계 S2131∼S2134와 동일한 처리 A를 행하는 것과 동시에(단계 S100), 단말 장치(300b)는, 도 22의 단계 S2111∼2114와 동일한 처리 B를 행한다(단계 S102).
다음에, 단말 장치(300b)는, 도 22의 단계 S2115와 같이, 단말 장치(300a)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900A)의 도메인 식별자(903A)가, 단말 장치(300a)가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4).
여기서, 단말 장치(300b)가 일치한다고 판정했을 때에는(단계 S104의 일치), 단말 장치(300a, 300b)는, 도 22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즉, 단말 장치(300b)는, 도 22의 단계 S2116∼S2118과 동일한 처리 C를 실행하고(단계 S106), 단말 장치(300a)는, 그 처리 C에 의해 송신된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108). 또한, 단말 장치(300a)는, 그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라이센스(900A)를 라이센스 저장부(312)에 저장하고(단계 S110), 라이센스 취득 통지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b)에 송신한다(단계 S112). 단말 장치(300b)는, 단말 장치(300a)로부터 라이센스 취득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S114), 단계 S106의 처리 C에 의해 잠겨진 라이센스(900A)를 삭제한다(단계 S116).
한편, 단말 장치(300b)는, 단계 S104에서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때에는(단계 S104의 불일치), 또한 라이센스(90OA)의 고쳐쓰기 플래그(904A)를 확인한다(단계 S118). 여기서, 고쳐쓰기 플래그(904A)가 고쳐쓰기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단계 S118의 가능), 단말 장치(300b)는, 라이센스(900A)로부터 최대수(905A)와 고쳐쓰기 수(906A)를 취득한다(단계 S120). 또, 고쳐쓰기 플래그(904A)가 고쳐쓰기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단계 S118의 불가능), 단말 장치(30Ob)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20에서 최대수(905A) 및 고쳐쓰기 수(906A)를 취득한 단말 장치(30Ob)는, 그 고쳐쓰기 수(906A)를 확인한다(단계 S122). 즉, 단말 장치(30Ob)는, 고쳐쓰기 수(906A)가 최대수(905A)와 동일한지, 고쳐쓰기 수(906A)가 최대수(905A)보다 작은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고쳐쓰기 수(906A)가 최대수(905A)와 동일할 때에는, 단말 장치(300b)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 고쳐쓰기 수(906A)가 최대수(905A)보다 작을 때에는, 단말 장치(300b)는, 도 22의 단계 S2116∼S2118과 동일하게, 라이센스(900A)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잠그고(단계 S124), 라이센스(900A)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S126), 그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를 도메인 고쳐쓰기 지시와 함께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한다(단계 S128).
단말 장치(300a)는, 단계 S128에서 단말 장치(300b)로부터 송신된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 및 도메인 고쳐쓰기 지시를 수신하면(단계 S130), 그 라이센스 송신 메시지에 포함되는 라이센스(90OA)의 도메인 식별자(903A) 및 고쳐쓰기 수(906A)를 고쳐쓰기한다(단계 S132). 즉, 단말 장치(300a)는, 도메인 식별자(903A)를 자신이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로 고쳐쓰기하고, 고쳐쓰기 수(906A)를 1회만 가산되도록 고쳐쓰기한다. 그 후, 단말 장치(300a)는, 상술한 단계 S110, S112를 실행하고, 단말 장치(300b)는, 상술한 단계 S114, S116을 실행한다. 또한, 단말 장치(300b)는 도메인 고쳐쓰기 지시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하였지만, 이것을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즉, 단말 장치(300a)는, 단말 장치(30Ob)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900A)의 도메인 식별자(903A)와, 자신이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불일치한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그 도메인 식별자(903A)를 고쳐쓰기한다. 또는, 단말 장치(30Oa)는, 도메인 고쳐쓰기 지시의 유무에 관계 없이 단말 장치(300b)로부터 취득한 라이센스(90OA)의 도메인 식별자(903A)를 고쳐쓰기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 장치(300a)는, 라이센스(900A)의 도메인 식별자(903A)가 자신이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와 상이한 상태에 있어도, 그 도메인 식별자(903A)를 고쳐쓰기하여 라이센스(90OA)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고쳐쓰기 수(906A)가 최대수(905A)에 도달하면, 그 라이센스(900A)는, 도메인 식별자(903A)와 상이한 도메인 식별자의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는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라이센스(900A)의 부정한 유통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300a)는 도메인 식별자(903A)를 고쳐쓰기하면, 고쳐쓰기 수(906A)도 1회만 가산되도록 고쳐쓰기하였지만, 고쳐쓰기 수(906A)를 1회만 감산되도록 고쳐쓰기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고쳐쓰기 수(906A)의 초기값으로는, 최대수(905A)와 동일한 회수가 설정되어 있어, 그 고쳐쓰기 수(906A)가 0회에 도달하면 도메인 식별자(903A)의 고쳐쓰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라이센스(900A)를 취득한 단말 장치(300a)가 라이센스(900A)의 도메인 식별자(903A) 및 고쳐쓰기 수(906A)를 고쳐쓰기하였지만, 라이센스(90OA)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30Ob)가 고쳐쓰기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고쳐쓰기 플래그(904A)는 변경되지 않았지만, 단말 장치(300a) 또는 단말 장치(300b)가, 고쳐쓰기 수(906A)가 최대수(905A)에 도달했을 때에, 고쳐쓰기 플래그(904A)를 고쳐쓰기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는, 고쳐쓰기 플래그(904A)의 내용을, 고쳐쓰기 가능에서 불가능으로 고쳐쓰기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 장치(300a) 또는 단말 장치(300b)는, 고쳐쓰기 수(906A)와 최대수(905A)를 비교하는 일 없이, 고쳐쓰기 플래그(904A)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도메인 식별자(903A)의 고쳐쓰기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메인 판정 정보에 기초하는 도메인 판정을 행한 후에, 도메인 식별자에 기초하는 도메인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2개의 도메인 판정의 순서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SAC 확립 시에, 도메인 판정 정보에 기초하는 도메인 판정을 행하지 않고,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취득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300b)는, 도메인 식별자에 기초하는 도메인 판정을 행한 후에, 도메인 판정 정보에 기초하는 도메인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단말 장치(300a)가, 단말 장치(300b)에 대해 라이센스 취득 요구를 송신하여, 라이센스를 취득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라이센스가 설정하는 도메인 식별자는 1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2 이상의 복수로 해도 된다.
또한 지금까지 도메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도메인 식별자로서 설명하였지만, 도메인을 사용자마다 설정하는 경우는, 사용자 식별자이며, 도메인을 가정 마다 설정하는 경우는, 가정 식별자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라이센스의 데이터 포맷에 도메인 식별자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라이센스 배포 서버(200)가, 라이센스와 도메인 식별자를 관련시켜 배포하고,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 도메인 식별자마다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라이센스의 데이터 포맷에 도메인 식별자는 없어도 된다.
이상으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S)에 있어서, 단말 장치(300)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라이센스를 이동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300b)가, 단말 장치(300a)에 의한 라이센스의 이용의 가부를 판단하여,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말 장치(300a)로의 라이센스의 송신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그 단말 장치(300a)에 의한 라이센스의 이용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단말 장치(300b)가, 상술한 판단을 행하는 일 없이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하여, 단말 장치(300a)에 이용의 가부를 판단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말 장치(300b)는,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0a)에 송신하고, 단말 장치(300a)는 자신이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와,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 장치(300a)는 그 라이센스를 이용할 수 없다. 또, 단말 장치(300a)는, 라이센스의 취득원이 단말 장치(300b)인 것을 기억해 두고, 자신이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와,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면, 라이센스를 단말 장치(300b)에 반환해도 된다.
여기서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300b)는,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하여, 라이센스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것이나, 이용의 가부를 판별시킴으로써, 그 외의 단말 장치에 의한 라이센스의 이용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단말 장치(300b)는,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이용을 금지하는 이외에도, 자신이 속하는 도메인의 도메인 식별자와,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도메인 식별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신에 의한 그 라이센스의 이용을 금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확실히 라이센스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와 이들을 구비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은, 각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라이센스의 이용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재생이나 기록 등을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행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라이센스를 배포하는 서버 장치와,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복수 가지는 시스템에서의 1대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복수의 도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에 관련시켜 보유하는 라이센스 정보 보유 수단과,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이용을 금지하는 이용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금지 수단은,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도메인 판별 수단과,
    상기 제 1 도메인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양(兩)도메인이 상이하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송신을 금지하는 송신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장치에 대해,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요구하는 라이센스 요구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 및 도메인 식별 정보를, 상기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라이센스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 보유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에 관련시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과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도메인 판별 수단과,
    상기 도메인 판별 수단에 의해 다르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단말 장치 자신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의 이용을 금지하는 자기 이용 금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을 특정하기 위한 도메인 판정 정보를 보유하는 판정 정보 보유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도메인 판별 수단은,
    상기 판정 정보 보유 수단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도메인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을 특정하고, 특정한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정보 보유 수단은,
    상기 각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메인 단말 리스트를, 상기 도메인 판정 정보로서 보유하며,
    상기 제 1 도메인 판정 수단은,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을 상기 도메인 단말 리스트에 기초하여 특정하여, 특정한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정보 보유 수단은,
    각 도메인의 각각에서 공통의 도메인 키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를, 상기 도메인 판정 정보로서 보유하고,
    상기 제 1 도메인 판정 수단은,
    상기 다른 단말 장치의 도메인 키로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복호가, 상기 판정 정보 보유 수단에 보유되어 있는 상기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복호 가부 판별 수단과,
    상기 복호 가부 판별 수단에 의해 복호 가능하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에 이용된 상기 도메인 키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으로서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도메인이 상이하도록,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를 고쳐쓰기하는 고쳐쓰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장치에 대해,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요구하는 라이센스 요구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요구 수단에 의한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 및 도메인 식별 정보를, 상기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라이센스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 보유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에 관련시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금지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 및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해, 상기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별시켜, 상이할 때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이용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복수 가지는 시스템에 구비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도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부가 수단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부가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배포하는 배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각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배포의 요구를 접수하는 요구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상기 요구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요구의 대상인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에 대해, 상기 요구의 주체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을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각 도메인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도메인 식별자를 상기 각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도메인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도메인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요구의 주체인 단말 장치에 대응된 도메인 식별자를 상기 도메인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하여, 상기 특정한 도메인 식별자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로서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은, 복수의 도메인을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를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대해 부가하고,
    상기 배포 수단은,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복수의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부가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배포 수단에 의해 배포된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에 대해,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 고쳐쓰기의 회수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한 정보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에 대해, 상기 제한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한 정보를 더 부가하고,
    상기 배포 수단은,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 및 제한 정보가 부가된 라이센스 정보를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6. 서버 장치와 복수의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구비하고,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 및 상기 각 단말 장치 사이에서 유통 시키는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각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배포의 요구를 접수하는 요구 접수 수단과,
    상기 요구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요구의 대상인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에 대해, 상기 배포의 요구의 주체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을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부가 수단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부가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배포의 요구의 주체인 단말 장치에 배포하는 배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의 요구 접수 수단에 대해,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요구하는 라이센스 요구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요구 수단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정보 및 도메인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라이센스 취득 수단과,
    상기 라이센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라이센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에 관련시켜 보유하는 라이센스 정보 보유 수단과,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이용을 금지하는 이용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유통 시스템.
  17.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복수 가지는 시스템에서의 1대의 단말 장치가,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장치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정보와, 상기 복수의 도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라이센스 취득 단계와,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이용을 금지하는 이용 금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의 취급 방법.
  18.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복수 가지는 시스템에 구비되는 서버 장치가,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배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라이센스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도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부가 단계와,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부가된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에 속하는 단말 장치에 배포하는 배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의 배포 방법.
  19. 단말 장치군인 도메인을 복수 가지는 시스템에서의 1대의 단말 장치가,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취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장치로부터, 상기 라이센스 정보와, 상기 복수의 도메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메인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라이센스 취득 단계와,
    다른 단말 장치가 속하는 도메인과, 상기 도메인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도메인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한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이용을 금지하는 이용 금지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57008439A 2003-02-28 2004-02-24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시스템 KR20050113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2760 2003-02-28
JPJP-P-2003-00052760 2003-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594A true KR20050113594A (ko) 2005-12-02

Family

ID=3292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39A KR20050113594A (ko) 2003-02-28 2004-02-24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03045A4 (ko)
KR (1) KR20050113594A (ko)
CN (1) CN100347629C (ko)
CA (1) CA2506227A1 (ko)
WO (1) WO2004077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43585A1 (en) * 2005-01-25 2007-10-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US8161296B2 (en) 2005-04-25 2012-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EP1875378A4 (en) * 2005-04-25 2014-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DMINISTERING DIGITAL CONTENT
CN101218587B (zh) * 2005-07-05 2010-06-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数字内容保护的方法、系统与设备
WO2009015607A1 (fr) * 2007-07-31 2009-0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assurant la gestion de domaine pour un dispositif utilisateur par un gestionnaire de domaine
JP4919944B2 (ja) * 2007-12-10 2012-04-1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ライセンス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3553A (ja) * 1998-01-28 1999-08-06 Toshiba Corp 契約管理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7073063B2 (en) * 1999-03-27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US7096268B1 (en) * 1999-09-01 2006-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pyright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1179240B1 (en) * 2000-03-09 2014-01-08 Panasonic Corporation Audio data playback management system
JP4609683B2 (ja) * 2000-11-30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2297816A (ja) * 2001-03-29 2002-10-1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1407341B1 (en) * 2001-07-17 2016-08-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ent usage device and network system, and licens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7629C (zh) 2007-11-07
CN1717642A (zh) 2006-01-04
EP1603045A1 (en) 2005-12-07
WO2004077301A1 (ja) 2004-09-10
EP1603045A4 (en) 2009-01-21
CA2506227A1 (en)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66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JP4912406B2 (ja) 第1プラットフォームから第2プラットフォームへのディジタルライセンスの移送
KR101307413B1 (ko) Drm 라이센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218451B2 (ja)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RU2375748C2 (ru) Представление защище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контента в рамках сети вычис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или т.п.
US20060149683A1 (en) User terminal for receiving license
EP2165281B1 (en) Managing digital rights for multiple assets in an envelope
US20080256646A1 (en) Managing Digital Rights in a Member-Based Domain Architecture
RU2348967C2 (ru) Доверительное удаление лицензии в системе защиты содержимого и т.п.
US20080195548A1 (en) License Data Structure and License Issuing Method
US8079089B2 (en) Information usage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usage control device
US20040139312A1 (en) Categorization of host security levels based on functionality implemented inside secure hardware
KR20050074494A (ko) 콘텐트 동작들을 승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107602A (ko)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실행을 위한 라이센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656402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안전하게 배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090119784A1 (en) Out of band license acquisition including content identification
KR101447194B1 (ko) Drm 에이전트의 공유장치 및 방법
US20100161974A1 (en) Master terminal capable of registering and managing terminals of personal use scope,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JP4469631B2 (ja) 端末装置、サーバ装置、ライセンス流通システム、ライセンス情報の取り扱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021423A (ko) 권한 재위임에 의해 권리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7737A (ko) 스마트 홈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는 멀티유저/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제어하기 위한 접근 제어장치및 그 제어방법
KR20050113594A (ko) 단말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라이센스 유통시스템
US20090300767A1 (en) Method for out of band license acquisition associated with content redistributed using link protection
US10445474B2 (en) Controlling delivery of encrypted media assets
KR100585840B1 (ko) Drm 컨텐츠 서비스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