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013A -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부가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부가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013A
KR20050113013A KR1020040038496A KR20040038496A KR20050113013A KR 20050113013 A KR20050113013 A KR 20050113013A KR 1020040038496 A KR1020040038496 A KR 1020040038496A KR 20040038496 A KR20040038496 A KR 20040038496A KR 20050113013 A KR20050113013 A KR 2005011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sdp
media server
subscrib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706B1 (ko
Inventor
류재은
이종훈
김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3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70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스위치와 미디어서버간의 통신프로토콜 방식과는 별도로 멀티-SDP를 지원하여 모든 회의 참가자의 SDP 베어러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미디어서버로 전송하여, 회의통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의통화 부가서비스를 요청한 마스터 가입자를 수용하는 AG를 제어하는 SSW가 미디어서버로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를 전송할 때, 상기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에 복수의 회의참가자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SDP 베이러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서버가 SSW로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를 전송할 때, 상기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에 상기 복수의 회의참가자가 상기 미디어서버와 베이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SDP 베어러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SSW는 상기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를 근거로 복수의 AG와 상기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각 AG에 수용된 복수의 회의 참가자가 상기 미디어서버를 통해 회의통화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ference service using multi-Session Description Protocol in next generation network}
본 발명은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스위치와 미디어서버와의 통신프로토콜인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프로토콜과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하는 멀티-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미디어서버에서 제공하는 회의통화 장비에 일반 가입자의 호를 접속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차세대통신망(NGN: Next Generation Network)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패킷망에 기반한 개방형 망으로서, 패킷 전달 및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는 전달 계층, 호/연결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계층, 다양한 차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계층, 운용 관리 및 Policy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차세대통신망에서 시그널링을 통해 가입자 단말 및 게이트웨이의 세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계층에는 소프트스위치(SSW: SoftSWitch)가 구성되는데,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호 연결 에이전트(Call Connection Agent)로서 기본적인 제어기능과 아울러 과금, 인증, 응용서비스 등을 수행할 뿐 아니라, 기존의 회선 교환기와 달리 호/서비스 제어와 베어러 전달 기능을 분리처리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소프트스위치에는 호처리를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호제어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호제어블럭은 회의통화 부가서비스를 포함한 여러 부가서비스를 지원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위해 미디어서버(MS:Media Server)와 연동하여, 가입자측으로 서비스제공에 따른 안내방송을 출력하고, 3자 이상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회의통화 부가서비스도 제공한다.
회의통화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상기 소프트스위치의 호제어블럭과 연동되는 미디어서버는, 각종 안내방송을 위한 음성, VoD 서비스를 위한 동영상, 팩스 및 E_mail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미디어 믹서, 미디어 저장장치, 및 미디어 재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생성·저장·믹싱·관리·유지보수 및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종래 회의통화 부가서비스에서는, 소프트스위치가 해당 회의통화에 참가하는 복수의 가입자의 SDP 베어러 정보를 모두 알고 있는 경우에도, 소프트스위치는 각 가입자에 대한 SDP 베어러 정보를 하나씩 미디어서버에 전달하였다. 예를 들어, 소프트스위치와 미디어서버가 SIP 프로토콜로 통신하고, 회의통화에 참여하는 가입자가 3 가입자인 경우, SIP 프로토콜에 따른 INVITE 메시지에 회의참자가 1명의 SDP 메시지만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3개의 INVITE 메시지를 미디어서버측으로 전달하여야만 정상적으로 회의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SDP 메시지란 가입자의 음성, 오디오, 비디오,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베어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형식이다(맞나요?).
이와 같이, 종래 소프트스위치에서는 모든 회의 참가자의 SDP 정보를 하나씩 미디어서버로 전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소프트스위치와 미디어서버간의 연동을 위한 시나리오가 복잡할 뿐 아니라, 회의 참가자에게 신속하게 해당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소프트스위치와 미디어서버간의 통신프로토콜 방식과는 별도로 멀티-SDP를 지원하여 모든 회의 참가자의 SDP 베어러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미디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은, A가입자와 통화중인 B가입자가 회의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B가입자를 수용하는 AG2를 제어하는 SSW2가 상기 A가입자를 대기시키고, 신규 회의참가자(C가입자)를 호출하는 제 1 과정; 상기 C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면, 상기 SSW2가 상기 A가입자를 수용하는 AG1의 SDP 베어러정보, AG2의 SDP 베어러정보, 및 상기 C가입자를 수용하는 AG3의 SDP 베어러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를 미디어서버로 전송하는 제 2 과정; 상기 미디어서버가 상기 AG1과의 SDP 베어러정보, 상기 AG2와의 SDP 베어러 정보, 및 상기 AG3와의 SDP 베어러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를 상기 SSW2로 전송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SSW2가 상기 AG1, 상기 AG2, 및 상기 AG3 각각과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미디어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회의통화서비스를 상기 가입자들에게 제공하는 제 4 과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차세대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소프트스위치(이하, SSW)1(10)는 A가입자가 수용된 엑세스 게이트웨이(AG)1(11)을 제어하고, SSW2(20)는 B가입자가 수용된 AG2(21)를 제어하며, SSW3(30)은 C가입자가 수용된 AG3(31)를 제어한다.
미디어서버(40)는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믹싱(Call mixing)처리 등을 수행하여 복수의 회의 참석자간의 회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미디어서버(40)는 회의통화 요청자인 마스터(master)에 해당하는 가입자를 수용하는 소프트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SDP 베어러 정보를 근거로 회의 참가자와 베어러 경로를 연결하여 회의통화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는, B가입자가 회의통화를 요청한 마스터(master)인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미디어서버(40)는 SSW2(20)로부터 모든 회의참가자에 대한 SDP 베어러 정보를 전송받은 후, 각 회의참가자를 수용하는 AG들이 미디어서버(40)와 베어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SDP 베어러 정보를 SSW2(2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미디어서버(40)는 SIP 프로토콜과 MEGACO 프로토콜 중 하나로 SSW2(20)와 통신할 수도 있다.
만약, 미디어서버(40)가 S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SSW2(20)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SSW2(20)는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인 INVITE 메시지를 통해 미디어서버(40)로 회의통화를 요청하고, 미디어서버(40)는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인 상기 INVITE 메시지에 대응하는 200OK 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의통화 요청이 성공적으로 접수되었음을 SSW2(2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미디어서버(40)가 MEGACO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SSW2(20)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SSW2(20)는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인 ADD 메시지를 통해 미디어서버로(40)로 회의통화를 요청하고, 미디어서버(40)는 상기 ADD 메시지에 대응하는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인 REPLY 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의통화 요청이 성공적으로 접수되었음을 SSW2(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SSW2(20)는 복수의 미디어서버(4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연동가능한 미디어서버(4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A가입자가 B가입자의 전화번호(착신번호)를 다이얼링하면, AG1(11)이 SSW1(10)으로 착신번호를 전송하고, 이에 SSW1(10)이 번호번역을 하여 상기 착신번호가 B가입자의 전호번호임을 인지한 후, 상기 B가입자가 수용된 AG2(21)를 제어하는 SSW2(20)로 상기 착신번호의 호출을 요청한다.
이에, SSW2(20)가 AG2(21)를 통해 B가입자를 호출하여, B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면 AG1(11)과 AG2(21)간의 베어러 경로가 설정되어, A가입자와 B가입자가 통화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회의통화 서비스에 등록한 A가입자 또는 B가입자(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B가입자)가 회의통화를 요청하면(S2), B가입자를 수용하는 AG2(21)를 제어하는 SSW2(20)는 SSW1(10)를 통해 A가입자에게 대기음을 출력한다(S4).
이와 동시에, SSW2(20)는 B가입자가 입력한 새로운 회의참가자(C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C가입자를 수용하는 AG3(31)을 제어하는 SSW3(30)로 상기 C가입자의 호출을 요청한다.
이에, SSW3(30)가 AG3(31)를 통해 C가입자를 호출하여(S6), C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면(S8에서 Yes), AG2(21)과 AG3(31)간의 베어러 경로가 설정된다. SSW2(20)는 AG1(11)의 SDP 베어러 정보, AG2(21)의 SDP의 베어러 정보, 및 AG3(31)의 SDP 베어러 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이어, SSW2(20)는 회의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미디어서버의 연동을 위해, 회의통화를 요청한 B가입자가 수용된 AG3(21)에 대응하는 미디어서버를 확인한다(S10). SSW에서는 각 AG가 연결될 미디어서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SSW는 특정 AG로부터 전달된 호에 대해 미디어서버의 연동이 필요한 경우, 미리 저장된 미디어서버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AG에 대응하는 미디어서버를 확인한다.
SSW2(20)는 AG2(21)에 대응하는 미디어서버(40)의 프로토콜을 확인한다(S14).
상기 확인결과, 미디어서버(40)의 프로토콜이 SIP이면, SSW(20)는 미리 저장된 미디어서버정보에 이용하여 미디어서버(40)로 모든 회의참가자(A가입자, B가입자, C가입자)의 SDP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S16).
상기 INVITE 메시지의 형태는 도 3의 a와 같다.
a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INVITE 메시지에는 A가입자가 수용된 AG1(11)에 대한 SDP 베어러정보(a1), B가입자가 수용된 AG2(21)에 대한 SDP 베어러정보(a2), C가입자가 수용된 AG3(31)에 대한 SDP 베어러정보(a3)가 모두 포함된다. 각 SDP 베어러정보(a1, a2, a3)에는 포트번호(예컨대, m=audio 5001), 베어러 특성(예컨대, RTP/AVP4), 각 AG의 IP주소(예컨대, IN IP4 150.150.150.001)이 포함된다.
상기 INVITE 메시지를 전달받은 미디어서버(40)는 자신의 SDP 베어러정보가 포함된 200OK 메시지를 SSW2(20)로 전송한다(S18).
상기 200OK 메시지의 형태는 도 3의 b와 같다.
b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200OK 메시지에는 AG1(11)에 할당되어진 미디어서버의 SDP 베어러정보(b1), AG2(21)에 할당되어진 SDP 베어러정보(b2), AG3(31)에 할당되어진 SDP 베어러정보(b3)가 모두 포함된다. 각 SDP 베어러정보(b1, b2, b3)에는 포트번호(예컨대, m=audio 5000), 베어러 특성(예컨대, RTP/AVP4), 미디어서버(40)의 IP주소(예컨대, IN IP4 192.169.150.001)이 포함된다.
이로서, SSW2(20)는 SSW1(10)과 SSW3(30)으로 미디어서버(40)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SDP정보를 전달하여(SDP1-1, SDP3-1), AG1(11)과 미디어서버(40)간, AG3(21)와 미디어서버(40)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AG2(21)를 제어하여 AG2(21)와 미디어서버(40)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한다(S20).
한편, S14의 판단결과, 미디어서버(40)의 프로토콜이 SIP 프로토콜이 아니면(S14에서 No), 즉 MEGACO이면 SSW2(20)는 미디어서버(40)로 모든 회의참가자의 SDP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ADD 메시지를 전송한다(S22).
상기 ADD 메시지의 형태는 도 4의 c와 같다.
c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ADD 메시지에는 A가입자를 수용하는 AG1(11)에 대한 SDP 베어러정보(c1), B가입자를 수용하는 AG2(21)에 대한 SDP 베어러정보(c2), C가입자를 수용하는 AG3(31)에 대한 SDP 베어러정보(c3)가 모두 포함된다. 각 SDP 베어러정보(c1, c2, c3)에는 포트번호(예컨대, m=audio 5000), 베어러 특성(예컨대, RTP/AVP4), 각 AG의 IP주소(예컨대, IN IP4 150.150.150.010)이 포함된다.
상기 ADD 메시지를 전달받은 미디어서버(40)는 자신의 SDP 베어러정보가 포함된 REPLY 메시지를 SSW2(20)로 전송한다(S24).
상기 REPLY 메시지의 형태는 도 4의 d와 같다.
d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REPLY 메시지에는 AG1(11)에 할당되어진 미디어서버의 SDP 베어러정보(d1), AG2(21)에 할당되어진 SDP 베어러정보(d2), AG3(31)에 할당되어진 SDP 베어러정보(d3)가 모두 포함된다. 각 SDP 베어러정보(d1, d2, d3)에는 포트번호(예컨대, m=audio 5000), 베어러 특성(예컨대, RTP/AVP4), 미디어서버(40)의 IP주소(예컨대, IN IP4 150.150.150.002)이 포함된다.
SSW2(20)는 S20으로 진행하여 AG1(11), AG2(21), 및 AG3(31)와 미디어서버(40)간의 베어러 경로를 설정한다.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소프트스위치와 미디어서버간에 복수의 회의참가자와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 설정을 위한 SDP 베어러 정보를 1개의 INVITE메시지/200OK메시지 또는 ADD메시지/REPLY메시지를 이용하여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스위치와 미디어서버와의 통신프로토콜 방식과는 별도로 멀티-SDP를 지원하여 하나의 메시지로 회의통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여, 소프트스위치나 미디어서버 개발자에게 보다 간단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공하며, 회의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에게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차세대 통신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적용되는 SIP 메시지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에 적용되는 MEGACO 메시지 흐름도.

Claims (7)

  1. A가입자와 통화중인 B가입자가 회의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B가입자를 수용하는 AG2를 제어하는 SSW2가 상기 A가입자를 대기시키고, 신규 회의참가자(C가입자)를 호출하는 제 1 과정;
    상기 C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면, 상기 SSW2가 상기 A가입자를 수용하는 AG1의 SDP 베어러정보, AG2의 SDP 베어러정보, 및 상기 C가입자를 수용하는 AG3의 SDP 베어러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를 미디어서버로 전송하는 제 2 과정;
    상기 미디어서버가 상기 AG1과의 SDP 베어러정보, 상기 AG2와의 SDP 베어러 정보, 및 상기 AG3와의 SDP 베어러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를 상기 SSW2로 전송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SSW2가 상기 AG1, 상기 AG2, 및 상기 AG3 각각과 미디어서버간의 베어러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미디어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회의통화서비스를 상기 가입자들에게 제공하는 제 4 과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서버가 SIP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제 2 과정의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는 INVITE 메시지이고, 상기 제 3 과정의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는 200OK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NVITE 메시지에 포함되는 SDP 베어러정보들은
    각 AG의 IP 주소, 포트번호, 베어러 특성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00OK 메시지에 포함되는 SDP 베어러정보들은
    상기 미디어서버의 IP 주소와, 각 AG에 대해 할당되어진 포트번호, 상기 미디어서버의 베어러 특성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서버가 MEGACO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제 2 과정의 베어러연결요청메시지는 ADD 메시지이고, 상기 제 3 과정의 베어러연결응답메시지는 REPLY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DD 메시지에 포함되는 SDP 베어러정보들은
    각 AG의 IP 주소, 포트번호, 베어러 특성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REPLY 메시지에 포함되는 SDP 베어러정보들은
    상기 미디어서버의 IP 주소와, 각 AG에 대해 할당되어진 포트번호, 상기 미디어서버의 베어러 특성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40038496A 2004-05-28 2004-05-28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10106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496A KR101063706B1 (ko) 2004-05-28 2004-05-28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부가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496A KR101063706B1 (ko) 2004-05-28 2004-05-28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부가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13A true KR20050113013A (ko) 2005-12-01
KR101063706B1 KR101063706B1 (ko) 2011-09-07

Family

ID=3728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496A KR101063706B1 (ko) 2004-05-28 2004-05-28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부가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7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706B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0775B2 (en) Active speaker identification
US8285316B2 (en) Multi-users real-time transcod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ssions
US6981022B2 (en) Using PSTN to convey participant IP addresses for multimedia conferencing
US7966404B2 (en) Proxy apparatus and method
CN1534972B (zh) 优化网络资源根据最终用户请求的用于会议接续的快速网络sip/sdp过程
US7898990B2 (en) Method, system and gateway device for enabling interworking between IP and CS networks
US9787844B2 (en) Conference bridge server
US7647374B2 (en) Method for managing sessions between network parties, methods, network element and terminal for managing calls
US69929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ult tolerance in a network telephony system
US20060229093A1 (en) Push to talk over cellular (half-duplex) to full-duplex voice conferencing
US7573837B1 (en) Establishment of multicast Push-to-X over Cellular (PoC) communication
US20060120308A1 (en) Image exchange for image-based push-to-talk user interface
US20060256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IMS network and H.323 network
JP2007512727A (ja) インタフェース呼シグナリングプロトコル
US20050047423A1 (en) Protocol interworking framework
GB2408409A (en) Speech quality control in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s
KR100514196B1 (ko) 네트웍 어드레스 변환 및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045773A (ja) オーディオミキサ及び方法
JP4078381B2 (ja) プッシュトゥートーク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495225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GB2432485A (en)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 session server unit, media distribution uni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in a communication session.
KR101063706B1 (ko) 차세대 통신망에서 멀티-sdp를 이용한 회의통화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100785792B1 (ko) 접속 설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75187B1 (ko) 접속 설정 프로토콜 방식을 지원하는 키폰 시스템 및 그호 설정 방법
Moreno Novella et al. Signalling in voice over IP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