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555A -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555A
KR20050112555A KR1020040037639A KR20040037639A KR20050112555A KR 20050112555 A KR20050112555 A KR 20050112555A KR 1020040037639 A KR1020040037639 A KR 1020040037639A KR 20040037639 A KR20040037639 A KR 20040037639A KR 20050112555 A KR20050112555 A KR 20050112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diffuser
bubble jet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983B1 (ko
Inventor
임동렬
조남효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2004003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9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종말처리장의 폭기공정에 사용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몸체의 출구가 대면되도록 둘 이상 설치하여 이로부터 나오는 기포제트가 서로 충돌함으로써 미세기포를 형성하여 수중으로 높은 산소전달효율을 얻을 수 있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의 폭기공정에 공기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공기공급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분기시키면서 상호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노즐수축 경사면과, 이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유속이 증가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 목 형태의 공기출구가 형성되는 노즐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AIR DIFFUSER USING BUBBLE JET COLLISION}
본 발명은 하/폐수 종말처리장의 폭기공정에 사용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몸체의 출구가 대면되도록 둘 이상 설치하여 이로부터 나오는 기포제트가 서로 충돌함으로써 미세기포를 형성하여 수중으로 높은 산소전달효율을 얻을 수 있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산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구 몸체(21), 고정대(22, 24) 및 파이프(23)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산기장치는 상기 접속구 몸체(21)로 들어온 공기가 파이프(23)에 형성된 미세구멍(23a)으로 통과하면서 작은 공기방울로 형성되어 물 속에 공급되며, 이때 파이프(23)는 별도의 구멍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이나 폴리에틸렌(PE)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만들 때 미리 미세구멍이 생성되도록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산기장치는 단순히 공급된 공기를 미세구멍(23a)으로 통과시켜 공기방울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방울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고, 특히 미세구멍(23a) 사이에는 수중식물이 번식하거나 공기 중에 유입된 불순입자에 의하여 미세구멍(23a)이 자주 막혀서 사용도중 통기량이 급격히 저하되어 폭기장치로의 산소공급효율이 저하되며, 이러한 미세구멍(23a)의 막힘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산기장치를 분리하여 빈번하게 정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산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6746호의 “음향공진을 이용한 산기장치”가 있다.
상기 음향공진을 이용한 산기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입구(2)로 들어온 압축공기가 챔버(1)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소용돌이(Vortex)화되어 출구(3)로 빠져나가게 된다. 압축공기가 출구(3)를 통하여 수중으로 방출될 때, 압축공기와 산기장치 주위 물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공진으로 인하여 음향에너지가 물속으로 전달되면서 공기방울에서 물로의 물질전달 성능을 높여 산소의 용해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음향공진 산기장치는 일반적인 산기장치에서 형성되는 미세구멍(23a)이 없어 장시간 운전에 의한 막힘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산기장치의 보수 및 세척을 할 필요가 없는 반영구적인 산기장치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음향공진 산기장치는 막힘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산소전달성능이 낮다는 커다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미국 토목공학회 규정(ASCE 2-92)을 이용하여 측정한 종래의 음향공진 산기장치는 공급공기유량 150ℓ/min에서 표준산소전달효율(Standard Oxygen Transfer Efficiency; 이하 SOTE)이 18% 정도로 일반적인 세라믹 산기장치나 멤브레인 산기장치에 비하여 적은 값을 나타낸다. 이는 종래의 음향공진 산기장치에서는 출구(3)로 나오는 큰 공기 기포의 쪼개짐이 활성화 되지 못하여 기포의 수중체류시간이 적고, 공기기포와 물과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즐 목 및 확대된 공기출구 등이 형성된 노즐몸체를 대면하도록 둘 이상 설치하여 공기출구로부터 빠져나오는 두 기포제트가 서로 충돌하여 기포의 쪼개짐 현상이 활성화되어 크기가 작은 기포를 형성함으로써 공기기포의 수중체류시간을 길게 하고, 공기기포와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높은 산소전달효율을 획득할 수 있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의 폭기공정에 공기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공기공급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분기시키면서 상호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노즐수축 경사면과, 이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유속이 증가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 목 형태의 공기출구가 형성되는 노즐 몸체를 포함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분기관이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빠져나온 기포제트가 충돌하도록 상호 수평상태로 대면하거나 상호 상향 대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출구는 상호 이격되어 이로부터 빠져나온 기포제트의 중심선들이 한점에서 만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출구가 상기 노즐 목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출구확대 경사면에 의하여 직경이 확대되고, 상기 노즐수축 경사면 및 노즐확대 경사면은 나선형 또는 방사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공급입구의 직경이 노즐 목의 직경 및 노즐출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노즐 목의 형태는 원형 또는 타원형 및 다각형 형태 중의 하나가 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노즐몸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로 적용되었으며,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이다.
도 3의 (a)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는 노즐 목(7)을 가진 두개의 공기출구(8)를 마주 보도록 설치하여 산기장치로부터 빠져나오는 기포제트에 커다란 운동량을 주는 동시에 기포제트의 충돌을 유도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즉, 공기공급입구(4)는 이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동일한 양으로 분기시키는 다수의 분기관(5)과 연결되며, 이 분기관(5)들은 노즐몸체(6)에 형성되는 공기출구(8)가 상호 수평상태(180도)로 대면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출구(8)로부터 빠져나온 기포들이 180도의 충돌각도로 충돌되도록 한다.
상기 노즐몸체(6)의 내부공간은 직경이 φ1 및 φ2인 분기관(5)으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즐수축 경사면(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연속적으로 노즐 목(7) 및 공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수축 경사면(9)의 수축각도(Θ1, Θ2)는 상기 분기관(5)의 직경보다 노즐 목(7)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는 범위이면 모두 가능하다. 하지만 수축각도(Θ1, Θ2)가 너무 급격하게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노즐수축경사면(9)이 길어져 노즐몸체(6)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고, 수축각도(Θ1, Θ2)가 너무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분기관(5)에서 공급된 공기 중 일부가 노즐 목(7)과 노즐수축 경사면(9) 사이의 공간에서 불필요한 2차유동인 맴돌이의 형태로 에너지 손실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노즐수축 경사면(9)의 수축각도(Θ1, Θ2)는 적정수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노즐수축 경사면(9)을 지나온 공기는 직경이 φ3 및 φ4이고 길이가 L1 및 L2인 노즐 목(7)을 지날 때 최대속도가 되며, 이러한 빠른 유속 및 낮은 압력을 갖은 공기기포는 공기출구(8)를 나와 물속으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즐형 산기장치는, 도 3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출구(8)를 빠져나온 기포제트의 충돌각도(기포제트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설명한 180도(수평상태)가 아니라 소정각도(θ3, θ4)로 상향 대면하는 충돌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기공급입구(4)는 이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동일한 양으로 분기시키는 다수의 분기관(5)이 수평상태(180도)로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상향각도(θ3, θ4)가 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분기관(5)들에 형성되는 노즐몸체(6)의 공기출구(8)로부터 빠져나온 기포제트가 180도(수평상태)의 충돌각도가 아니라 소정각도(θ3, θ4)로 상향 대면하는 충돌각도로 충돌하여 미세기포로 분화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출구(8)가 노즐 목(7)의 직경보다 확대될 수 있다.
즉, 상기 설명한 노즐 목(7)에 연속되어서 형성되는 출구확대 경사면(9)에 의하여 공기출구(8)의 직경(Φ5)이 확대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출구확대 경사면(9)의 직경이 상기 노즐 목(7)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산기장치 사용조건에 따라서 고압의 공기에 의하여 장치 몸체(4)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형성되는 각도는 상기 노즐수축 경사면(6)의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각 형성되는 본 발명의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다수의 공기출구(8)를 나온 빠른 속도의 공기기포는 유속이 낮은 산기장치 주위의 물과 접촉하며, 이때 물과 기포의 경계면에 큰 속도 차이에 기인한 전단응력이 발생되어 공기 기포의 쪼개짐이 활성화되며, 이렇게 활성화된 기포제트가 상호 소정각도로 충돌하여 크기가 작은 미세기포로 분화되며, 작은 크기의 미세기포는 수중체류시간이 길고 물-기포의 접촉면적이 넓어서 산소전달성능이 증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가 폐수처리 등에서 적용될 경우에는 공기 또는 산소공급 장치와 체결되어 사용되므로 적당한 체결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수단으로서는 볼팅체결 또는 퀵조인트 체결방식과 같은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이 채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재질로서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이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공기공급입구(4)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다수의 노즐몸체(6)와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분기관(5)을 따라서 흐르게 된다.
상기 분기관(5)을 따라서 노즐 몸체(6)까지 흘러간 공기는 노즐수축 경사면(9)을 따라 흐르면서 속도는 빨라지고, 노즐 목(7)을 지나면서 최대속도가 된다. 이러한 빠른 유속을 갖은 공기기포는 산기장치의 공기출구(8)를 나와 물속으로 공급되어 기포제트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기포제트는 유속이 낮은 산기장치 주위의 물과 접촉하며, 이때 물과 기포의 경계면에 큰 속도 차이에 기인한 전단응력이 발생되어 공기 기포의 쪼개짐이 활성화 되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산소전달성능이 증가된다.
더욱이, 상기 기포제트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면하는 다수의 공기출구(8)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형성된 기포제트는 충돌하여 큰 유속차이(큰 전단응력)에 기인한 기포 쪼개짐이 더욱 활성화되어 미세기포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미세기포는 수중에 오랜 시간 체류하면서 수중으로 산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기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수온 20 ℃에서의 표준 산소전달효율(SOTE : Standard Oxygen Transfer Efficiency)은 아래 수학식 1로 표시된다.
표준 산소전달효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상으로부터 액상으로의 산소이동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아래와 같은 산소전달속도(dW/dt)에 대한 수학식 2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학식 2에서 산소의 수중으로의 이동속도(dW/dt)는 기액 접촉면적(a)과 기액 경계면의 산소이동계수(kL)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체와 물의 접촉면적(기액 접촉면적; a)은 동일양의 기체의 경우에, 기포의 크기가 물속에서 작아질수록 증가한다. 또한, 기액 경계면의 산소이동계수(kL)는 기포와 물 사이 존재하는 경계면의 두께에 반비례하고, 산소이동계수(kL)는 정적인 상태보다 와류나 난류 등에 의하여 불안정한 상태일수록 경계면의 저항이 감소하여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표준 산소전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미세 공기방울을 생성하는 것이고, 물과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기방울의 이동경로를 가능한 수평으로 하여 물속에서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두 가지의 방법이 모두 고려되었으며 종래의 음향공진 산기관의 낮은 산소전달성능을 개선하도록 고안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를 구성하는 노즐수축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노즐 몸체가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수축 경사면(6) 및 출구확대 경사면(10)에 가이드 홈(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가이드 홈(12)은 공급되어 상기 노즐수축 경사면(6)에 의하여 속도는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진 공기를 안정적으로 노즐 목(6) 및 공기출구(8)로 유도하거나 난류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노즐 수축 경사면(6)과 노즐확대 경사면(10)에는 나선형(12a) 또는 방사형(12b)의 가이드 홈(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나선형(12a)의 경우에는 노즐수축 경사면(6)을 따라 속도가 빨라지는 공기의 난류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방사형(12b)의 가이드 홈(12)의 경우에는 공급된 공기의 방향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노즐몸체(6)가 상호 대면되도록 형성될 수 잇으며, 세 개의 노즐몸체(6)가 동일한 설치각도(120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두 쌍의 노즐몸체(6)가 90도의 각도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노즐몸체(6)로부터 발생된 기포제트가 상호 충돌하여 보다 미세한 기포로 분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노즐 목(7)의 형태는 원형 뿐 아니라 원형 및 다각형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가 적용되는 폭기장치의 형태 및 크기, 요구되는 공기의 량을 감안하여 노즐 목(7)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기출구(8)는 서로 크기가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형 산기장치는 하폐수처리장의 산소공급이외에도 맥주 발효공정, 미생물 발효공정, 기타 폐수처리공정, 또는 그 밖의 화학공정 등에서 산소와 같은 기체를 액체에 공급하는데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액체와 고체, 또는 액체와 액체 등과 같이 두 종류의 물질을 혼합하는 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공기기포 공기출구에 노즐 목을 설치하여 산기장치의 공기출구를 나가는 공기가 큰 운동량을 갖는 기포 제트가 되도록 만들며, 서로 마주보는 기포 제트는 충돌하여 큰 유속차이(큰 전단응력)에 기인한 기포 쪼개짐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물과 기포 경계의 전단응력은 기포의 쪼개짐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로서, 기액 경계면의 전단응력이 커진다는 것은 기포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포내부의 기체의 압력과 기액 경계면의 표면장력의 균형이 깨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큰 기포는 새로운 평형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작은 미세기포로 분화되고, 분화된 미세기포는 수중에 오랜 시간 체류하면서 수중으로 산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종래의 음향공진을 이용한 산기장치의 경우에는 약 18%의 표준산소전달효율(SOTE)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본 발명의 노즐형 산기장치는 표준산소전달효율(SOTE)이 20~30% 정도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 시 보수 및 세척의 필요가 없으며, 크기도 작고 초기 구입비용도 경제적이다. 또한 사용조건에 따라서 산기장치 출구를 일반적인 설치방법인 상향설치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이나 하향으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산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음향공진을 이용한 산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종래의 음향공진을 이용한 산기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노즐몸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를 구성하는 노즐수축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의 노즐 몸체가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 : 챔버 하부 직경 d2 : 챔버 상부 직경
d3 : 입구 직경 h : 챔버 높이
Dn : 노즐 간격 L1 : 노즐 목 길이
L2 : 노즐 목 길이 φ1 : 노즐 입구 직경
φ2 : 노즐 입구 직경 φ3 : 노즐 목 직경
φ4 : 노즐 목 직경 θ1 : 노즐 수축 각도
θ2 : 노즐 수축 각도 θ3 : 노즐 몸체 각도
θ4 : 노즐 몸체 각도 1 : 챔버
2 : 입구 3 : 출구
4 : 산기장치 입구 5 : 분기관
6 : 노즐 몸체 7 : 노즐 목
8 : 공기출구 9 : 노즐수축 경사면
10 : 출구확대 경사면

Claims (7)

  1. 폐수처리장의 폭기공정에 공기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공기공급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분기시키면서 상호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노즐수축 경사면과, 이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유속이 증가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 목 형태의 공기출구가 형성되는 노즐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기관은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빠져나온 기포제트가 충돌하도록 상호 수평상태로 대면하거나 상호 상향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구는 상호 이격되어 이로부터 빠져나온 기포제트의 중심선들이 한점에서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구는 상기 노즐 목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출구확대 경사면에 의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수축 경사면 및 노즐확대 경사면은 나선형 또는 방사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입구의 직경은 노즐 목의 직경 및 노즐출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목의 형태는 원형 또는 타원형 및 다각형 형태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KR20040037639A 2004-05-27 2004-05-27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KR100551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7639A KR100551983B1 (ko) 2004-05-27 2004-05-27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7639A KR100551983B1 (ko) 2004-05-27 2004-05-27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555A true KR20050112555A (ko) 2005-12-01
KR100551983B1 KR100551983B1 (ko) 2006-02-20

Family

ID=3728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7639A KR100551983B1 (ko) 2004-05-27 2004-05-27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9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491B1 (ko) * 2006-12-29 2007-11-28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폭기용 산기관
US20110101548A1 (en) * 2006-12-29 2011-05-05 Kms Co., Ltd. Diffuser for aeration
KR20220064690A (ko) * 2020-11-12 2022-05-19 (주)미래텍 효과적인 라돈 제거를 위한 마이크로 버블의 확대 분사형 라돈 정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47B1 (ko) 2011-01-14 2011-08-02 우광재 회전형 기포제트 산기관
KR102228305B1 (ko) 2020-06-16 2021-03-15 임호근 마이크로 산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491B1 (ko) * 2006-12-29 2007-11-28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폭기용 산기관
WO2008082195A1 (en) * 2006-12-29 2008-07-10 Kms Co., Ltd Diffuser for aeration
US7850151B2 (en) 2006-12-29 2010-12-14 Kms Co., Ltd. Diffuser for aeration
US20110101548A1 (en) * 2006-12-29 2011-05-05 Kms Co., Ltd. Diffuser for aeration
US8191871B2 (en) 2006-12-29 2012-06-05 Kms Co., Ltd. Diffuser for aeration
CN101405227B (zh) * 2006-12-29 2012-08-22 株式会社客满世 曝气用扩散器
US8556238B2 (en) * 2006-12-29 2013-10-15 Econity Co., Ltd. Diffuser for aeration
KR20220064690A (ko) * 2020-11-12 2022-05-19 (주)미래텍 효과적인 라돈 제거를 위한 마이크로 버블의 확대 분사형 라돈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1983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2222A (en) Spiral jet fluid mixer
US7997563B2 (en) Micro-bubble generator, vortex breakdown nozzle for micro-bubble generator, vane swirler for micro-bubble generator, micro-bubble generating method, and micro-bubble applying device
US5664733A (en) Fluid mixing nozzle and method
CA2210892C (en) Oxygen dissolver for pipelines or pipe outlets
US8622715B1 (en) Twin turbine asymmetrical nozzle and jet pump incorporating such nozzle
FI122973B (fi) Flotaatiokennon injektori, flotaatiokennon injektorin suutinosa ja menetelmä kuitususpensiovirtauksen ja ilman sekoittamiseksi toisiinsa flotaatiokennon injektorissa
JP2008018330A (ja) 気泡発生装置
RU2701533C2 (ru) Оптимизированная форсунка для нагнетания воды под давлением, содержащей растворенный газ
US8967597B2 (en) Device for mixing gas into a flowing liquid
KR100551983B1 (ko) 기포제트 충돌형 산기장치
EP2657634A1 (en) Fluid diffusing nozzle design
US4230570A (en) Aerator
JP2019166493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JP6646300B2 (ja) 汚水浄化用の気泡発生装置及び汚水浄化方法
KR100551982B1 (ko) 노즐형 산기장치
JP2018130653A5 (ko)
US20230102287A1 (en) Volkov cavitational aerator
JP2005515883A (ja) 混合装置
JP2019141828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AU657021B2 (en) Treatment of liquids
KR100635382B1 (ko) 오리피스 산기장치
JP2008068185A (ja) 気泡を含む液体の生成装置
RU2350840C2 (ru) Паромеханическая форсунка полиградова б.г.
KR100223986B1 (ko) 회전력과 음향공진을 이용한 산기장치
RU23939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