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191A -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191A
KR20050112191A KR1020040037104A KR20040037104A KR20050112191A KR 20050112191 A KR20050112191 A KR 20050112191A KR 1020040037104 A KR1020040037104 A KR 1020040037104A KR 20040037104 A KR20040037104 A KR 20040037104A KR 20050112191 A KR20050112191 A KR 20050112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
virtual
fund
transac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189B1 (ko
Inventor
오종원
Original Assignee
삼성투자신탁운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투자신탁운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투자신탁운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18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운용 계획 수립 단계에서도 매니저는 거래를 원하는 종목의 특성만을 지정하여 가상 종목을 만들어 운용 계획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가상 종목은 트레이더가 실제 거래를 수행하여 종목이 확정된 이후에는 실제 종목으로 교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에서는 가상 종목으로 입력된 운용 계획에 따라 거래가 발생하였을 경우 펀드 구조 변화에 대한 예측값을 계산하여 매니저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용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채권형 운용 시스템에 운용 계획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매니저는 채권 운용 시스템이 예측한 운용 계획이 실행 되었을 경우에 펀드의 구조 변화에 대한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종목을 사용한 운용 계획을 상기 채권 운용 시스템에 사용하면, 실제 거래가 발생하기 이전에, 변경된 펀드의 향후 수익률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으며, 실질 거래시 트레이더가 거래 종목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매니저와 트레이더간의 업무 분담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DEAL METHOD AND SYSTEM BY IMAGINARY ITEM OF BOND TYPE FUND}
본 발명은 채권형 펀드의 운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운용 계획 수립 단계에서도 매니저는 거래를 원하는 종목의 특성만을 지정하여 가상 종목을 만들어 운용 계획을 입력할 수 있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채권 운용 시스템은 실질 거래 종목의 코드와 거래 수량만을 채권 거래 내역으로 입력할 수 있었다. 즉, 펀드 매니저가 증권사 등의 거래 상대방과 거래를 확정한 후 거래 종목의 표준 종목 코드와 거래 수량을 신탁회계팀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채권 운용 시스템에 입력하였다.
그러나, 장내 시장외 장외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의 경우에는 채권의 종목이 매우 다양하고, 국채 이외의 채권의 경우에는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수익성에 대한 고려를 많이 하게 되어 운용 계획 수립 단계에서 거래할 채권을 명확하게 지정하기 어렵다. 그런데 종래 채권 운용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서는 종목이 확정되어야만 거래 사항을 입력 할 수 있으므로, 종래 채권 운용 시스템에서는 운용 계획 수립단계에서 거래 사항을 입력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거래 사항을 입력하여 얻을 수 있는 채권 운용 시스템의 정보를 받을 수 없으므로, 그에 따라 운용 계획 수립 지원과 펀드 매니저와 트레이더간의 업무 분담에 대한 사항을 이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니저가 채권 운용 계획 수립 단계에서 종목을 확정하기 이전에도 채권 운용 시스템에 운용 계획을 입력하여 채권 운용 시스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은, 매니저로부터 거래할 가상 채권을 선택 받는 매니저 시스템, 가상 채권으로 실질적인 거래를 하는 트레이더 시스템 및 상기 매니저 시스템과 트레이더 시스템 사이에서 가상 채권에 대한 거래를 중계하는 채권 매매 서버로 이루어지는 채권 운용 시스템을 이용한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로부터 상기 가상 채권 종목, 가상 채권의 만기일 및 가상 채권의 발행기관을 포함하는 가상 채권 정보를 입력받아 가상 채권을 생성하는 제 1단계, 상기 매니저로부터 상기 생성된 가상 채권에 투자할 펀드종류 및 투자할 펀드의 배분되는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입력받는 제 2단계,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배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채권 종목 및 거래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트레이더 시스템으로 거래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거래를 요청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거래 요청 데이터를 트레이더에게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래된 실질 채권 종목, 거래된 실질 수량을 입력받은 후 실질 거래 데이터를 생성한 후, 확정된 실질 거래 사항을 전송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단계 및 제 3단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채권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을 참조하여 표면 금리, 시장 가격, 듀레이션 및 당일 거래 종료 후 펀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권에 대한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제 2-1단계를 더 구비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상기 채권 매매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채권의 약관,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법규정보와 비교하여 위반 여부 사항을 판단하는 제 2-2단계를 더 구비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2-1단계에 의해 상기 매니저로부터 가상 채권의 예측 결과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1단계부터 다시 수행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2-2단계에 의해 상기 매니저로부터 위반 여부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1단계부터 다시 수행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래할 가상 채권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래 주문을 처리하는 채권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가 설정한 가상 채권 종목, 가상 채권의 만기일 및 가상 채권의 발행기관을 포함하는 가상 채권 정보 및 생성된 가상 채권에 투자할 펀드종류 및 투자할 펀드의 배분되는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입력받은 가상 채권 정보 및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상기 매니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매니저 시스템, 상기 매니저 시스템으로부터 가상 채권 정보 및 배분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가상 채권 종목 및 거래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 장치 및 연산장치에서 생성된 거래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채권 매매 서버 및 상기 채권 매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거래 요청 데이터를 트레이더에 출력하는 출력장치, 트레이더가 상기 거래 요청 데이터에 따라 실질적으로 거래한 실질 채권 거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상기 채권 매매 서버로부터 거래 요청 데이터를 전송받고 또한 상기 실질 채권 거래 데이터를 상기 채권 매매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트레이더 시스템을 구비하는 채권 운영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권 매매 서버에는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와 기저장된 채권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을 참조하여 표면 금리, 시장 가격, 듀레이션 및 당일 거래 종료 후 펀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권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는 채권 운영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권 매매 서버에는 각 펀드별 채권의 약관,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법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채권의 약관,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법규정보와 비교하여 위반 여부 사항을 판단하는 채권형 운용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장점 및 바람직한 실시예 등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장내 시장"은 거래소 시장을 의미한다. "장내 시장" 매매거래를 위한 일정한 장소와 시설 등이 필요하고 다수의 매도자와 매수자가 경쟁을 통해 거래조건을 결정하는 경쟁매매 방식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짐으로 특정한 시점에서의 특정종목의 가격은 하나만 존재 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매매되는 가격은 일반에게 공시되어 투자자들이 채권의 시세를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장외 시장"은 장내 시장외의 시장을 의미하며, 전국 어디서든 거래가 가능하며, 증권회사 자체가 하나의 독립적인 시장을 형성한다. 매매도 상대매매 방식으로 매도측과 매수측이 적합한 상대방을 구하여 직접 협상을 통해 가격, 수량, 결제시기 등을 결정하며, 동일 종목이 동일 시각에 거래되는 경우에도 둘 이상의 복수가격의 형성이 가능하고, 거래대상도 비상장증권은 물론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상장증권도 가능하다. 따라서 장외 시장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운용 계획 수립 단계에서 거래할 채권을 명확하게 지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운용 계획 수립 지원"이라 함은, 매니저는 운용 계획에 따라 거래를 실행 하였을 경우 예측되는 펀드 구조 변화, 예를 들면 듀레이션(DURATION), 만기별 비중, Compliance 위반여부를 의미하며, 만기별 비중은 채권의 만기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만기일이 단기성이면 금리가 하락하는 현상임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측되는 펀드 구조 변화와 자금 상황에 대한 정보를 지원 받으면 보다 효율적으로 펀드 운용 계획을 수립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채권 운용 시스템은 운용 계획 단계에서의 거래 입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운용 계획 수립 지원 기능 구현이 불가능하다.
"듀레이션"(DURATION)은 채권투자 시 현가 1원이 상환되는데 소요되는 평균기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듀레이션이 2.5년이라 하면 2.5년이 지나면서부터 이익이 발생한다는 것으로, 이자율과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
"매니저(110)"라 함은, 펀드 매니저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객들로부터 모은 돈을 특성에 맞추어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용하는 자산운용 전문가를 의미한다. 매니저는 투자자문회사, 투자신탁, 신탁은행, 생명보험회사 등에서 활동하며,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의 주식을 사고 파는 주식 펀드매니저와 채권을 사고 파는 채권 펀드매니저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니저는 채권 펀드매니저를 의미하며, 매니저의 주요 업무는 기관투자가의 투자운영을 담당하며, 자신의 전문지식과 시세감각으로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자금사정 및 채권시장의 변동 등에 따른 포트 폴리오(분산투자를 위해 여러 종류의 채권이나 어음 등에 투자된 증권들의 집합)를 모니터하여, 최대의 투자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투자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일을 한다.
"트레이더(120)"라 함은, 회사의 자산을 가지고 매매를 해서 이익을 내는 사람을 주로 이야기 하며, 자신이 직접 계산하여 매매를 하는 딜러와 타인의 거래에대해 중개역할만을 하는 브로커와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매니저가 운용 계획하에 계산한 매매 사항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래 기관에 채권의 매매를 요청하는 담당자를 의미하며, 종래에는 불가능 했던 트레이더에게 종목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짐으로서, 업무분담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매니저와 트레이더간의 업무 분담"이라 함은, 종래의 채권 운용 시스템에서는 거래 종목을 지정해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트레이더에게 종목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으므로, 업무 분담이 가능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트레이더가 거래 종목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짐으로 업무 분담이 이루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형 운용 시스템은 매니저가 사용하는 매니저 시스템(110), 트레이더가 사용하는 트레이더 시스템(120) 및 매니저와 트레이더 사이에서 채권 운용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교환하는 채권 매매 서버(130)를 포함한다. 매니저 시스템(110), 트레이더 시스템(120) 및 채권 매매 서버(130)는 사내 네트워크망 또는 외부 온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매니저 시스템(110), 트레이더 시스템(120) 및 채권 매매 서버(130)는 한대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니저 시스템(110)은 매니저가 설정한 가상 종목에 대한 사항을 입력하는 입력장치(112), 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114) 및 네트워크를 처리하는 통신장치(116)를 포함하며, 입력장치(112)는 키보드, 마우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출력장치(114)는 모니터, 프린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신장치(11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니저 시스템(110)에는 매니저가 채권 운용 계획을 입력하며, 입력한 사항에 대하여 예측결과를 확인하고, 결정된 운용 계획으로 거래를 트레이더에게 요청하며, 트레이더에 의해 확정된 실질 거래를 확인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더 시스템(120)은 트레이더가 확정한 실질 종목에 대한 사항을 입력받는 입력장치(122), 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124) 및 네트워크를 처리하는 통신장치(126)를 포함하며, 입력장치(122)는 키보드, 마우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출력장치(124)는 모니터, 프린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신장치(12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더 시스템(120)은 트레이더가 매니저로부터 입력된 채권 운용 계획을 확인한 후 실질거래를 수행하며, 확정된 실질 거래를 입력하여 매니저가 확인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 매매 서버(130)는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과 각 펀드별 운영 약관, 채권에 관한 법규 및 감독규정 등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32), 매니저 시스템(110)과 트레이더 시스템(120)으로부터 거래 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 전달하며 연산장치에서 생성된 거래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장치(1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니저 시스템으로부터 가상 채권 정보 및 배분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가상 채권 종목 및 거래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며, 기저장된 채권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을 참조하여 표면 금리, 시장 가격, 듀레이션 및 당일 거래 종료 후 펀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권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이용하여 배분되는 펀드의 원금에 대한 채권 구입 비율을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각 펀드별 운영 약관, 채권에 관한 법규 및 감독규정과 비교하여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장치(136)를 포함하며, 저장장치(132)는 거래 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신장치(13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 매매 서버(130)는 채권 운용에 관한 고객정보, 펀드 정보, 채권 정보, 시장 정보 등을 저장하며, 매니저 시스템(110)과 트레이더 시스템(120)의 거래 사항을 교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매니저는 가상 종목을 설정하여 운용 계획을 세운 후 매니저 시스템(110)에 입력한다. 본 채권 매매 서버(130)는 매니저 시스템(110)으로부터 입력된 가상 종목의 운용 계획 사항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통하여 매니저의 운용 계획에 따라 거래를 실행 하였을 경우 예측되는 정보를 계산한다. 매니저는 예측된 정보를 토대로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수정하여 다시 매니저 시스템(110)에 입력하여 채권 매매 서버(130)를 통하여 트레이더 시스템(120)에 거래를 요청한다. 트레이더는 매니저 시스템(110)으로부터 요청 받은 거래 사항으로 트레이더 시스템(120)을 통하여 확인 후 실제 거래를 하여 가상 종목에 대한 거래를 확정시키며, 이 확정된 거래를 매니저가 매니저 시스템(110)으로부터 확인함으로 초기에 입력한 가상 종목에 대한 운용 계획이 마무리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을 이용하여 운용 계획을 수립하고 실제 거래를 수행하는 순서를 표시하는 작업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니저는 새로운 거래 계획을 수립하여, 가상 종목을 결정하고 결정된 가상 종목으로 운용 계획을 설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의 매니저 시스템(110)에 종목 구분, 발행일, 만기일, 발행기관을 입력한다(S210). 상기 발행일은 채권 운용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생성 입력되며, 가상 종목 입력 화면(도 4)에 표시 되지 않고 가상 종목 테이블(310, 표 1)상에서 생성되어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을 매니저 시스템(110)에 입력한 후, 매니저는 운용 계획 단계에서 공동 거래 요청을 승인한 해당 매니저가 있을 경우, 공동 거래 내역을 입력한다(S215). 예를들어 도 6 의 공동 거래 리스트(640)와 같이 진행 중인 거래액 100억원의 종목에 대하여 나영남 매니저가 23억원, 김한준 매니저가 60억원, 그리고 한수일 매니저가 17억원으로 공동 거래를 진행하는 경우이다. 주매니저는 수시로 공동 거래 요청에 대한 배분 내역을 확인 할 수 있고, 공동 거래에 대한 펀드별 배분이 완료된 이후에야 트레이더에게 거래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운용 계획을 채권 운용 시스템의 매니저 시스템(110)에 입력하는 단계에는 펀드별 배분 수량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한다(S220). "펀드별 배분 수량"이라 함은, 매니저가 계획한 가상 종목에 투자될 펀드로서, 펀드별로 나누어지는 양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상기 한수일 매니저가 17억원을 공동거래를 할 때, A펀드에서 10억원 B펀드에서 7억원을 펀드별로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은 매니저가 입력한 가상 종목, 공동 거래 사항, 그리고 펀드별 배분 수량의 운용 계획 사항에 대하여 수행 후 예측되는 결과를 출력한다. 매니저는 상기 예측된 결과로부터 운용 계획을 다시 확인하여, 만약 채권 운용 시스템에 의해 예측된 결과가 원하는 운용 계획과 다른 경우에는 초기에 수립했던 운용 계획을 수정한다(S225). 또한, 운용 계획을 수정하는 단계에서는 Compliance 위반 사항도 확인하여 위반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초기에 수립했던 운용 계획을 수정한다(S225).
"Compliance 위반"이라 함은, 채권 매매 서버(130)에 기저장되어 있는 채권 형 펀드에서 매매를 하려고 할 때 각 펀드에 해당하는 약관, 법규 및 가이드라인 등의 법규정보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 입력 사항에 대하여 비교하여 위반 여부 사항을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펀드 약관에 채권에 투자하는 비율이 투자 원금의 50%이내로 해야 하는 경우에 만일 매니저가 운용 계획한 가상 종목의 투자 비율이 50%를 넘었다면 계획을 수정하여 50%이내로 낮추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에 의해 예측된 결과에는, 표면 금리, 시장 가격, 듀레이션과 당일 거래 종료 후 펀드의 구조에 대한 예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면 금리"는 가상 종목에 대한 표면 금리로서, 해당 금리 커브의 평가 YTM(Yield To Maturity)을 사용하여 채권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계산된 데이터이다. 해당 금리 커브는 민간 채권 평가사에서 발표하는 채권 시가 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도 8)로서, 상기 수익률 테이블은 채권 종류별로 행을 나누고, 잔존 만기별로 열을 나누어 YTM을 보여주는 테이블이며, 상기 테이블상에 없는 만기별 사항은 선형보간법으로 계산하여 추정된다.
상기 선형보간법으로 계산된 금리를 "평가 YTM"이라고 한다. 예를들면, 가상 종목이 국고채이고 만기일이 현재로부터 10개월인 경우 국고채 금리 커브의 금리가 9개월이 4.2%, 1년이 4.3%인 경우 잔여 만기 10개월인 가상 종목의 평가 YTM은 9개월 금리와 1년 금리를 선형보간법으로 계산한 4.13%(4.13% = (4.2%-4.1%)/(12-9)*(10-9)+4.1%)로 추정 할 수 있다.
상기 YTM은, 최종수익률이라고도 불리는 만기수익률로서, 만기수익률은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받게 되는 모든 수익이 투자원금에 대하여 1년당 어느 정도의 수익을 가져오는가를 나타내는 예상수익률이다. 통상 채권수익률이라고 하는 것은 만기수익률을 말하며 이 지표가 가장 대표적인 수익률이다. 또한, 통상 채권시장에서 대표되는 수익률을 의미하며, 일단 발행된 채권이 유통시장에서 계속 매매되면서 시장의 여건에 따라 형성되는 수익률이다. 이는 채권을 현재가격으로 매입하여 만기까지 보유할 것을 전제로 하였을 때 현재시점에서 전체기간중 균일하게 얻을 수 있는 예상수익의 크기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사전적, 예측적 수익률의 개념이다. 따라서 표면 가격은 가상 종목에 해당하는 종목과 만기일을 민간 채권 평가사에서 발표된 수익률 테이블로부터 선형보간법으로 계산하여 예측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예측되는 결과의 "시장 가격"은 가상 종목에 대한 시장 가격으로서, 해당 금리 커브의 이표채 평가 YTM으로 단가를 계산한 데이터이다. 상기 이표채는 이자 지급 방법으로, 이자가 이자 지급일에 지급되며 만기 시에는 마지막 이자와 원금이 지급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가는 유통시장에서 실제로 채권 매매가 이루어지는 가격을 액면 1만원당 금액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액면 100만원의 채권이 유통시장에서 10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면 이 채권의 단가는 1만500원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예측되는 결과의 "듀레이션"(DURATION)은 금리 변화에 대한 가격 변동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채권투자 시 현가 1원이 상환되는데 소요되는 평균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면 이율이 같은 경우에는 만기가 긴 채권의 듀레이션이 길고, 만기가 같은 경우에는 표면이율이 낮은 채권의 듀레이션이 더 길게 된다. 이것은 향후 수익률의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만기가 짧거나 표면금리가 높은 채권 즉, 듀레이션이 짧은 채권을 매입하고 반대로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만기가 길거나 표면금리가 낮은 채권 즉, 듀레이션이 긴 채권을 매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기 금리가 채권의 매입수익률보다 높은 경우에도 표면금리가 높은 채권을 매입함으로서 중간에 받는 이자에 대한 재투자 수익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채권의 총 투자수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레이션은 3개월 이표채로 가정하여 듀레이션을 계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예측되는 결과중에서 당일 거래 종료 후 펀드의 구조에 대한 예측은, 전일에 펀드의 보유 내역을 수집하여 펀드의 정확한 총 잔금을 확인하고, 당일에 설정 또는 해지 되었던 내역을 수집하며, 당일 거래 내역을 예측하는 사항을 포함한다. 당일에 설정 또는 해지 되었던 내역을 수집하는 것은, 당일 펀드에 당일의 설정 또는 해지된 금액만큼 현금이 증가 또는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당일 거래 내역을 예측하는 것은 거래에 의한 결제일이 거래일 이후에 발생하기 때문에 예측해야 하는 것이며, 입력된 운용 계획을 기반으로 작성되는 것으로, 실질 거래가 발생하지 않은 운용 계획과 실질 거래가 발생한 운용 계획을 포함한다. 실질 거래가 발생하지 않은 운용 계획이라 함은, 가상 종목이 거래 되었다고 가정하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상 종목 데이터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매니저가 채권 운용 시스템에 운용 계획을 입력 후 채권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계산된다. 또한, 실질 거래가 발생한 운용 계획이라 함은, 입력된 실제 종목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매니저는 가상 종목의 사항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에 입력하여 펀드 구조의 변경 내역의 예측사항에 대한 정보를 지원 받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펀드 운용 계획을 수립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예측 결과는 종래 채권 운용 시스템에서도 정해진 종목에 대하여 계산되는 사항이므로 상기의 설명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매니저는 채권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예측된 결과와 Complianc 위반사항에 대하여 수정사항이 없을 경우, 매니저 시스템(110)을 이용하여 트레이더에게 거래를 요청한다(S230). 트레이더는 매니저로부터 요청받은 거래에 대하여 실질 시장 종목 중에서 가상 종목 입력 사항과 유사하며 거래가 가능한 종목을 트레이더 시스템(120)으로부터 선택하여 실제 거래를 수행한다(S235).
실제 거래가 수행된 후 트레이더는 바로 확정된 종목 코드를 포함한 거래 사항 등을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의 트레이더 시스템(120)에 입력한다(S240). 매니저는 트레이더가 입력한 확정된 종목 코드를 통해 최종 펀드 구조를 매니저 시스템(110)으로부터 확인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에 의한 펀드 운용을 마무리한다.(S245).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테이블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는 가상 종목 테이블(310), 거래 펀드별 배분 테이블(320), 거래 요청 테이블(330)과 실질 거래 테이블(3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매니저는 운용 계획을 수립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 테이블(310)과 거래 펀드별 배분 테이블(320)을 통하여 거래 요청 테이블(330)을 생성한다. 매니저는 생성된 거래 요청 테이블(330)을 통하여 트레이더에게 실질 거래를 요청하게 되고 트레이더는 거래 요청 테이블(330)의 내용으로 실질 거래를 하게 됨으로서 실질 거래 테이블(340)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 테이블(310)은 가상 종목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본 테이블은 종목 코드, 발행일, 만기일, 발행 기관에 해당하는 매니저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데이터와 신용등급 분류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데이터와 도 3 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가상 종목의 금리 커브에서 예측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신용등급이란 채권 발행기관의 신용상태를 전문적인 평가기관이 분석하여 공표하는 것으로 AAA, Baa 등과 같이 투자대상으로서의 적절성을 등급으로 분류한 것으로서, 채권에 투자하는 것은 발행기관에 돈을 빌려주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자와 원금을 제때에 받을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 따라서, 채권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발행기관의 신용도를 엄밀하게 분석해 보아야 하는 것이다.
본 가상 종목 테이블(310)의 종목 코드 데이터는, 거래 종목의 종류를 구분하며, 거래 종목은 CD, CP, 정기예금, 국고채, 지방채, 통안채, 은행채, 카드채, 회사채, 선물, 스왑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발행일 데이터는 종목이 처음 발행된 날을 의미하는 데이터이고, 만기일 데이터는 해당 종목에 투자한 최종 원금을 수령하는 날을 의미하는 데이터이고, 발행기관 데이터는 해당 종목을 발행한 기관을 의미하는 데이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래 펀드별 배분 테이블(320)은, 매니저가 운용 계획을 채권 운용 시스템에 적용하여 거래를 요청할 시 가상 종목 테이블(310)과 함께 입력되는 사항의 테이블이다. 본 거래 펀드별 배분 테이블(320)은 요청 번호, 펀드 코드, 펀드별 배분 수량의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요청 번호는 매니저가 가상 종목 테이블(310)과 채권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예측된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한 사항을 트레이더에게 요청할 때 생성되는 식별 번호이다. 또한, 펀드 코드는 해당 가상 종목에 투자될 펀드의 식별 코드 이며, 펀드별 배분 수량은 본 가상 종목에 투자될 펀드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요청 테이블(330)은 가상 종목 테이블(310)과 거래 펀드별 배분 테이블(32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통하여 매니저가 트레이더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데이터로 구성되며, 요청 번호, 거래 요청일, 가상 종목 코드, 거래 요청 수량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요청 번호는 매니저가 가상 종목 테이블(310)과 채권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예측된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한 사항을 트레이더에게 요청할 때 생성되는 식별 번호이며, 거래 요청일은 매니저가 트레이더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일자에 대한 데이터이다. 가상 종목 코드는 매니저가 계획한 운용 사항에 대한 가상의 종목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트레이더는 본 가상 종목 코드를 가지고 실질 거래를 하게 된다. 또한 거래 요청 수량의 데이터는 총 거래량으로 거래액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질 거래 테이블(340)은 트레이더가 매니저로부터 요청 받은 거래 요청 테이블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거래를 할 때 생성되는 테이블이다. 본 실질 거래 테이블(340)은 거래 번호, 요청 번호, 실질 종목 코드, 거래 요청 수량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거래 번호 데이터는 트레이더가 거래 요청 테이블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거래를 행할 때에 생성되는 거래 번호이다. 요청 번호 데이터는 매니저가 가상 종목 테이블과 채권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예측된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한 사항을 트레이더에게 요청할 때 생성되는 식별 번호를 의미한다. 실질 종목 코드 데이터는 거래 요청 테이블(330)에 해당하는 가상 종목 코드를 트레이더가 실질적으로 거래 할 때에 변경되는 실질적인 종목에 해당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또한, 거래 요청 수량 데이터는 상기 거래 요청 테이블(330)상의 거래 요청 수량에 해당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 입력 화면이며, 표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을 입력한 후 생성되는 도 3 의 가상 종목 테이블(310)의 사항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가상 종목 입력 화면은 가상 종목을 입력하기 위해서 종목(410), 만기일(415), 발행기관 코드(420), 발행 기관(425)과 FRN Script(430)에 대한 입력 및 선택 박스와 사항을 종합하여 표시하는 종합(435) 박스를 포함한다. 종목 박스(410)는 CD, CP, 정기예금, 국고채, 특수+지방채, 통안채, 은행채, 카드채, 회사채, 선물, 스왑의 사항 중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특수+지방채"는 특수채 또는 지방채를 의미하며, 특수채는 특별법에 의해 채권을 발행하는 기관에서 밸행한 도로공사채권, 수자원공사채권 등을 의미하며, 지방채는 지방단체에서 발행하는 채권을 의미한다.
또한, 만기일 박스(415)는 선택한 종목의 만기일을 선택하는 박스이고, 발행기관 코드 박스(420)와 발행기관 박스(425)는 각각 발행기관 코드와 발행기관 명을 기입하는 박스이며, FRN Script 박스(430)는 변동 이자 조건을 입력하는 박스이며, 상기 FRN은 Floating Rate Note의 약자로서 지급이자율이 시장의 대표적인 금리에 연동되어 이자지급 때마다 정기적으로 재조정되는 '변동금리부채권'인 중장기 채권으로서, 국고채나 회사채처럼 발행시점에 이자율이 정해지는 것과 대조적인 채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의 입력한 사항은 종합 박스(435)에서 확인 될 수 있으며, 종합 박스(435)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표면금리, 시장가격, 듀레이션(DURATION)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른 채권 운용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예측 결과 데이터이다.
또한, 본 가상 종목 입력화면의 사항 외에도 표 1 의 가상 종목 테이블에는 입력화면에서 확인 할 수 없는 본 채권 운용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계산되는 사항이 있다. 상기 사항은 종목 Static Spread, 평가 금리 커브 ID와 이자 지급 기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니저와 트레이더에게 정보를 주고 채권 운용 시스템 자체의 계산 시 필요되는 사항이다. 상기 "종목 Static Spread"은 실제 채권의 가격과 동일한 가격을 계산하기 위한 값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민간 채권 평가사의 금리 커브 곡선은 해당 종목이 속하는 그룹들의 대표적인 값이기 때문에 해당 종목의 실제 평가 가격은 상기 종목 Static Spread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Column Type Comments
SEC_ID VARCHAR2(20) 종목 코드
NAME VARCHAR2(50) 종목명
BEGIN_DAY VARCHAR2(8) 발행일
MAT_DAY VARCHAR2(8) 만기일
TYPE_SEC_DEFAULT VARCHAR2(5) 종목 분류
SPOT_SPREAD NUMBER 종목 Static Spread
CURVE_ID VARCHAR2(4) 평가 금리 커브 ID (신용등급별)
COUPON_RATE NUMBER 표면 금리
FRN_SCRIPT VARCHAR2(111) 변동 이자 조건
INT_MONTH NUMBER 이자 지급 기간
ORG_ID VARCHAR2(8) 발행기관 코드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펀드별 사전 배분을 실행하는 화면으로서 운용 계획 입력과 운용 계획 결과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이며, 표 2 는 펀드별 사전 배분 내역을 입력한 후 생성되는 도 3 의 거래 펀드별 배분 테이블(320)의 사항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매니저는 운용 계획을 수립하여 트레이더에게 거래를 요청하기 전에 펀드별로 거래 종목에 대한 투자액을 배분하고 해당 사항을 입력하며, 그 결과를 바로 조회 한다. 본 펀드별 사전 배분 화면은 매니저 표시 박스(510)가 있으며, 펀드 그룹, 펀드 추가, 펀드별 사전 배분 내역 사항, 트레이더에게 요청 지시, 트레이더에게 요청하는 사항의 박스를 포함한다.
또한, 펀드 그룹 박스(515)는 배분될 펀드를 본 펀드사에서 그룹으로 관리하고 있는 펀드 그룹 중에서 선택하는 박스이며, 펀드 추가 박스(520)는 진행중인 채권 종목에 투자할 펀드를 추가 하는 박스이다. 또한, 펀드별 사전 배분 내역 사항 박스(525)는 진행중인 채권 종목에 대해 투자되는 펀드의 배분되는 내역을 표시하는 박스이며, 트레이더에게 요청 지시 박스(530)는 운용 계획에 대해 결정한 사항을 트레이더에게 요청할 때 선택하는 박스이다. 또한, 트레이더에게 요청하는 사항 박스(535)는 다시 본 화면의 가장 아래부분에 표시되는데, 표시되는 요청 항목 중에서 매니저는 거래를 진행할 종목을 선택하여 트레이더에게 요청한다.
또한, 표 2 의 펀드별 사전 배분 테이블에서 실제 거래 체결 수량, 실제 거래가 체결된 체결 금액, 실제 체결된 듀레이션, 실제 체결된 비중 금액과 신탁회계에 반영된 금액의 사항은 거래 중인 가상 종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Column Type Comments
TRADE_ASK_ID NUMBER 요청번호
MANAGER_ID VARCHAR2(15) 배분 매니저
FUND_ID VARCHAR2(6) 펀드 코드
TRADE_POS NUMBER 배분 수량
SETTLE_POS NUMBER 실제 거래 체결 수량
SAVE_TIME DATE 저장 시각
SETTLE_AMT NUMBER 실제 거래가 체결된 체결 금액(가용 금액 계산시 사용. settle_amt+trade_pos*전일시가)
SETTLE_DURATION NUMBER 실제 체결된 듀레이션
SETTLE_WEIGHT_AMT NUMBER 실제 체결된 비중 금액(현물:평가액,선물:미결제 약정액,스왑:(10000+가격)*수량/10000
SETTLE_ACCOUNT_AMT NUMBER 신탁회계에 반영된 금액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요청 입력 화면이며, 표 3 은 거래 요청에 따라 생성되는 도 3 의 거래 요청 테이블(330)의 사항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6 은 거래 요청 코드(610), 매니저(615), 거래 종목(620), 거래일 형태(625), 장외 사항(630), 거래 사항(635), 공동 거래 리스트(640), 메모(645), 뮤추얼 펀드 지정(650), 트레이더 지정(655), 체결 내역(660)의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요청시 뿐만 아니라 트레이더가 실질 거래를 하거나 매니저가 확정된 실질 거래 내역을 확인할 때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요청 입력 화면의 거래 요청 코드 박스(610)는 매니저가 설정한 가상 종목에 대한 운용 계획 사항을 트레이더에게 요청할 때에 생성되는 코드이다. 매니저 박스(615)는 본 거래를 요청하고 있는 주 매니저와 거래를 담당하는 거래 매니저가 표시된다. 거래 종목 박스(620)는 종목의 종류가 사는 것인지 파는 것인지를 "BUY" 또는 "SELL"중에서 선택하는 사항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의 경우에는 종목이 스왑일 경우외에는 BUY를 선택한다. 또한, 종목의 종류가 보유 종목, 가상 종목, 미보유 채권인지를 선택하며, 종목 코드와 이름이 표시되는 박스이다. 상기 "스왑"(Swap)이라 함은, 채권의 수익률, 만기 및 시장이자율 등을 고려하여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다른 채권과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거래일 형태 박스(625)는 결제일 형태 선택, 거래일 표시, 반영일 표시, 결제일 표시 사항이 포함되며, 결제일 형태는 T결제, T+1결제, 입찰, 선네고를 포함한다. T결제에서 T는 거래일을 의미하며 T+1결제는 거래일 다음날에 결제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3일 후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입찰은 경락인이 경락대금을 지급하는 날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선네고는 당일 거래가 체결됐지만 장부상 거래일은 하루 뒤로 기록되고 결제는 이틀 뒤에 성사되는 거래이다. 거래일 형태 박스에서 결제 형태를 선택하면 거래일 표시, 반영일 표시, 결제일 표시 박스에 각각의 거래일, 반영일, 결제일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또한, 장외 사항 박스(630)는 요청하는 종목이 장외 또는 장내 채권인지를 선택하는 박스이며, 장내 시장은 거래소 시장이며, 장외 시장은 전국 어디서든 거래가 가능하며, 증권회사 자체가 하나의 독립적인 시장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거래 사항 박스(635)는 YTM, 가격, 총거래와 할당 사항을 입력하는 박스이며, 모두 거래로 인해 생성되는 사항이며, 총거래는 거래를 요청하는 총거래량을 의미하고, 할당 사항은 공동 거래가 성립된 거래시에 본 매니저에게 할당된 양을 의미한다.
또한, 공동 거래 리스트 박스(640)는 공동 거래시 해당 매니저와 할당 사항을 표시하는 박스로서, 운용 계획 단계에서 공동 거래 요청을 승인한 해당 매니저가 있을 경우, 공동 거래 내역을 입력한다.
또한, 메모 박스(645)는 매니저가 트레이더에게 요청하는 사항을 입력하는 박스이며, 뮤추얼 펀드 지정 박스(650)는 뮤추얼 펀드에 해당 될 때 입력하는 박스이다. 뮤추얼 펀드는 펀드의 투자자가 동시에 펀드사의 주주가 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트레이더 지정 박스(655)는 매니저가 계획한 가상 종목에 대한 운용 사항을 진행할 트레이더를 지정하는 박스이다.
또한, 체결 내역 박스(660)는 상기에서 설정된 사항들이 종합적으로 정리되어 표시되는 박스로서, 체결 번호, 종목 코드, 종목 이름, 만기일, 종목 구분, 발행 기관, 설명, 체결 가격, 체결 수량, 매매 기관, 상태, 체결 시각이 표시 된다. 상기 상태라 함은, 본 체결 내역 박스를 포함하는 거래 요청 입력 화면이 거래를 입력하는 화면인지 아니면 거래를 요청하는 것인지, 거래를 확인하는 것인지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입력'은 숫자 '0'으로, '요청'은 '1'로, '확인'은 '2'로, '거래'는 '3'으로, '완료'는 '4'로, '미결'은 '5'로서 표현된다.
Column Type Comments
TRADE_ASK_ID NUMBER 새로운 요청이 생길때 마다 일별로 신규 번호를 만든다.
DAY DATE 요청일(거래일)
SEC_ID VARCHAR2(12) 종목 코드
INPUT_USER_ID VARCHAR2(15) 요청을 입력한 주 매니저
TRADE_POS NUMBER 요청 수량
TRAGET_PRICE NUMBER 거래 요구 가격
IS_EXCHANGE NUMBER 0:장외 거래, 1:장내 거래
TRADE_TYPE NUMBER 0:일반T일 거래,1:일반T+1거래,2:입찰,3:선네고
APPLY_DAY DATE 반영일(일반T일 거래, 일반T+1거래는 요청일과 같고 입찰은 사용자 입력)
SETTLE_DAY DATE 결제일
MEMO VARCHAR2(200)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내용
ASK_STATUS NUMBER 0:입력,1:요청,2:확인,3:거래,4:완료,5:미결
SAVE_TIME DATE 저장 시각
DURATION NUMBER 추정 듀레이션(펀드 듀레이션 변화 추정시 사용)
MARKET_PRICE NUMBER 추정 시장 단가(거래 가격이 없는 경우 결제액 추정시 사용)
TYPE_SEC_DEFAULT VARCHAR2(5) 종목 분류
IS_BUY NUMBER 1:매입,0:매도(trade_pos는 매입의 경우 0이상, 매도의 경우 0이하 이어야 함)
TRADE_ID VARCHAR2(15) 해당 거래를 확인한 트레이더
TARGET_YTM NUMBER 거래 요구 YTM
MUTUAL_FUND_ID VARCHAR2(6) 뮤추얼 펀드용 거래인 경우 펀드 ID를 입력함. 이경우에는 해당 펀드로만 거래 가능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더의 실질 거래 입력 화면이며, 표 4 는 트레이더가 실질 거래시 생성되는 도 3 의 실질 거래 테이블(340)의 사항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화면은 거래 체결 번호(710), 발행기관 코드(715), 발행기관(720), 종목 코드(725), 종목 이름(730), 만기일(735), 설명(740), 체결 YTM(745), 체결 단가(750), 체결 수량(755), 거래 기관(760)과 거래 기관 코드(765)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는 박스를 포함한다. 본 입력 거래 체결 번호 박스(710)는 트레이더에 의해 체결된 거래 사항을 표시하는 식별 번호이며, 발행기관 코드(715) 및 발행기관 박스(720)는 트레이더에 의해 체결된 채권을 발행한 기관과 해당 기관의 코드를 표시하며, 종목 박스(725)는 체결된 채권의 종류를 표시한다. 또한, 만기일 박스(735)는 채권의 만기일을 표시하며, 설명 박스(740)는 거래된 사항에 대한 참조사항 등을 기재할 시에 그 내용을 입력하며, 체결 YTM 박스(745)는 체결된 거래 종목의 실제 YTM을 표시하며, 체결 단가(750) 및 체결 수량 박스(755)는 체결된 채권의 단가 및 수량을 표시하며, 거래 기관 박스(760)는 해당 종목을 거래한 증권사나 은행 등의 사항을 표시하며, 거래 기관 코드 박스(765)는 상기 거래 기관에 해당하는 코드를 표시한다.
Column Type Comments
TRADE_ID NUMBER 거래 번호.트레이더는 시스템에서 생성된 주문 번호를 거래 상대방에게 통지하고, 거래 상대방은 신탁회계팀에게 거래확인서를 보낼 때 주문번호를 첨부하게 해서 대사 작업에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함.
TRADE_ASK_ID NUMBER 해당 거래가 속하는 거래 요청의 ID
SEC_ID VARCHAR2(12) 종목 코드
MAT_DAY DATE 만기일-종목 코드가 없는 경우를 위해서 사용
TYPE_SEC_DEFAULT VARCHAR2(5) 종목 종류 구분 코드-종목 코드가 없는 경우를 위해서 사용
ORG_ID VARCHAR2(5) 발행 기관 코드-종목 코드가 없는 경우를 위해서 사용
DESCRIPTION VARCHAR2(100) 종목에 대한 추가 정보 입력-종목 코드가 없는 경우를 위해서 사용
TRADE_POS NUMBER 거래 수량
PRICE NUMBER 가격
YTM NUMBER TYM
AGENCY_CODE VARCHAR2(7) 매매 상대방
REAL_TRADE_STATUS NUMBER 0:매니저 입력, 1:배분 작성, 2:신탁회계 확인
DURATION NUMBER 듀레이션-실제 종목이라 해도 신규 종목의 경우 듀레이션이 계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만기일을 기준으로 재계산해야 한다.
TRADER_ID VARCHAR2(15) 거래를 수행한 트레이더
SAVE_TIME DATE 저장 시각
BACK_OFFICER_ID VARCHAR2(15) 거래 확인자(신탁회계팀)
TRADE_DAY VARCHAR2(8) 신탁회계 시스템 관리 컬럼(예탁원 결제 번호 기준 날)
YETAK_NO NUMBER 신탁회계 시스템 관리 컬럼(예탁원 결제 번호)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운용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채권형 운용 시스템에 운용 계획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매니저는 채권 운용 시스템이 예측한 운용 계획이 실행되었을 경우 펀드의 구조 변화에 대한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종목을 사용한 운용 계획을 상기 채권 운용 시스템에 사용하면, 실제 거래가 발생하기 이전에, 변경된 펀드의 향후 수익률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으며, 실질 거래시 트레이더가 거래 종목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매니저와 트레이더간의 업무 분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테이블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종목 입력 화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펀드별 사전 배분을 실행하는 화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요청 입력 화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더의 실질 거래 입력 화면이다.
도 8 은 시가 평가사에서 발표하는 채권 시가 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매니저 시스템 120 : 트레이더 시스템
130 : 채권 매매 서버

Claims (8)

  1. 매니저로부터 거래할 가상 채권을 선택 받는 매니저 시스템, 가상 채권으로 실질적인 거래를 하는 트레이더 시스템 및 상기 매니저 시스템과 트레이더 시스템 사이에서 가상 채권에 대한 거래를 중계하는 채권 매매 서버로 이루어지는 채권 운용 시스템을 이용한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로부터 상기 가상 채권 종목, 가상 채권의 만기일 및 가상 채권의 발행기관을 포함하는 가상 채권 정보를 입력받아 가상 채권을 생성하는 제 1단계;
    상기 매니저로부터 상기 생성된 가상 채권에 투자할 펀드종류 및 투자할 펀드의 배분되는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입력받는 제 2단계;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배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채권 종목 및 거래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트레이더 시스템으로 거래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거래를 요청하는 제 3단계;
    상기 거래 요청 데이터를 트레이더에게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래된 실질 채권 종목, 거래된 실질 수량을 입력받은 후 실질 거래 데이터를 생성한 후, 확정된 실질 거래 사항을 전송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단계 및 제 3단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채권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을 참조하여 표면 금리, 시장 가격, 듀레이션 및 당일 거래 종료 후 펀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권에 대한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제 2-1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단계 및 제 3단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상기 채권 매매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채권의 약관,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법규정보와 비교하여 위반 여부 사항을 판단하는 제 2-2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1단계에 의해 상기 매니저로부터 가상 채권의 예측 결과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1단계부터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2단계에 의해 상기 매니저로부터 위반 여부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1단계부터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6. 거래할 가상 채권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래 주문을 처리하는 채권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가 설정한 가상 채권 종목, 가상 채권의 만기일 및 가상 채권의 발행기관을 포함하는 가상 채권 정보 및 생성된 가상 채권에 투자할 펀드종류 및 투자할 펀드의 배분되는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입력받은 가상 채권 정보 및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상기 매니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매니저 시스템;
    상기 매니저 시스템으로부터 가상 채권 정보 및 배분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가상 채권 종목 및 거래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 장치 및 연산장치에서 생성된 거래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채권 매매 서버; 및
    상기 채권 매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거래 요청 데이터를 트레이더에 출력하는 출력장치, 트레이더가 상기 거래 요청 데이터에 따라 실질적으로 거래한 실질 채권 거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상기 채권 매매 서버로부터 거래 요청 데이터를 전송받고 또한 상기 실질 채권 거래 데이터를 상기 채권 매매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트레이더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 운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 매매 서버에는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와 기저장된 채권 시가평가 기준 수익률 테이블을 참조하여 표면 금리, 시장 가격, 듀레이션 및 당일 거래 종료 후 펀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권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 운영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 매매 서버에는 각 펀드별 채권의 약관,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법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가상 채권 정보 및 상기 거래 펀드별 배분 정보를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채권의 약관, 법규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법규정보와 비교하여 위반 여부 사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형 운용 시스템.
KR1020040037104A 2004-05-25 2004-05-25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67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04A KR100673189B1 (ko) 2004-05-25 2004-05-25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04A KR100673189B1 (ko) 2004-05-25 2004-05-25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191A true KR20050112191A (ko) 2005-11-30
KR100673189B1 KR100673189B1 (ko) 2007-01-22

Family

ID=3728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04A KR100673189B1 (ko) 2004-05-25 2004-05-25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02B1 (ko) 2008-11-18 2011-06-10 주식회사 우리은행 파생상품 트레이더의 실시간 지원 시스템
KR101471587B1 (ko) * 2012-11-29 2014-12-10 삼성증권 주식회사 채권 리밸런싱 방법 및 시스템
KR102349352B1 (ko) 2020-10-19 2022-01-11 신한아이타스(주) 펀드 보고서의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135A (ko) * 2000-03-10 2001-09-26 이한순 사이버 주식 시장의 펀드 관리 방법
KR20000050144A (ko) * 2000-05-18 2000-08-05 이광재 인터넷을 이용한 실제 증권 투자와 온라인 게임을 결합한증권 수익률 게임 방법 및 장치
KR20000054415A (ko) * 2000-06-05 2000-09-05 하진오 가상 주식 거래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189B1 (ko) 200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19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ive financing of assets
US8538852B2 (en) System and method of margining fixed payoff products
US74443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distribu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US86944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 based margining
US8442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spread participation
US20100088250A1 (en) Auction Method and Platform
US200500214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whole company securitization of intangible assets
JP2002366761A (ja) 自動店頭取引デリバティブ取引システム
JP2008523507A (ja) 通貨利回り裁定機会に関するグローバルでセキュアなコンピュータ化電子マーケットメイキング交換作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93178B2 (en) Electronic bartering system with facilitating tools
JP2006196029A (ja) 売上参加証書の証券化
Asmar et al. Regulatory reform and trade settlement failures in USA equity markets: Does regulatory reform matter
KR100673189B1 (ko) 채권형 펀드의 가상 종목을 통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2002329074A (ja) デリバティブ取引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Aye THE EFFECT OF RISK MANAGEMENT PRACTICES ON TRADE FINANCING IN UNITED AMARA BANK
JP2004192624A (ja) 仲介排除金融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仲介排除金融取引システム及び仲介排除金融取引方法
WO2004040484A1 (en) Real estate investment system and method
Osterberg Implementing repurchase agreements in emerging markets
Sutherland et al. The Structure of an Investment Bank
SIX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OLTEANU et al. COORDINATES OF A RISK MANAGEMENT PROJECT
Malan A totally electronic share transaction system for the Johannesburg Stock Exchange
SA PROSPECTUS DATED 24 NOVEMBER 2023
WO2002029676A1 (en) Unitized market for private secur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