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382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382A
KR20050109382A KR1020040034571A KR20040034571A KR20050109382A KR 20050109382 A KR20050109382 A KR 20050109382A KR 1020040034571 A KR1020040034571 A KR 1020040034571A KR 20040034571 A KR20040034571 A KR 20040034571A KR 20050109382 A KR20050109382 A KR 2005010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omagnetic wav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9382A/ko
Publication of KR2005010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세기를 확인하고, 그 송신 출력 세기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린다. 또한 SAR 모드가 '안전 모드'일 경우, 제한 시간이 지날 때까지 호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면 강제적으로 호 연결을 해지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실제로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전자파에 대해 안심할 수 있으며, 또한 실제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할 경우 이를 인지하고 더 이상 그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METHOD FOR ALERTING OF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WHICH ARE ABOVE A REFERENCE VALU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파의 발생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직까지 전자파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는 바는 없다. 그러나 그 동안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에 의하면 전자파는 인체의 세포, 뇌,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쳐 백혈병이나, 뇌종양, 그리고 치매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자파가 특정 '질병'의 원인이라고는 말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질병 증후군'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 전자파에 의해 두통 및 수면장애가 나타났다는 핀란드의 연구 결과나,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사람이 특별한 이유 없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세가 악화되었다는 일본의 연구 결과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명확하게 전자파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없다고 하더라도, 인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준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에게 이동통신 단말기 모델별로 전자파 인체 흡수율을 밝힐 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미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정보통신부가 각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에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인체 흡수율을 기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여기서 전자파 인체 흡수율이라는 것은 생체조직의 단위 질량당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을 에너지로 표시한 것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전자파는 전기를 그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기에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역시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 중, 특히 안테나 부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이 가장 많다. 그 이유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출하는 무선 신호가 전자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파를 방출하는 부분인 안테나에서 가장 많은 전자파가 발생된다. 또한 전자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가 강해질 경우, 이에 비례하여 더 많은 전자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가 약할 경우 송신 신호 역시 약해질 것이라는 판단 하에 수신 신호 세기가 약할 경우에는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를 강하게, 그리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강할 경우에는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를 약하게 설정하도록 하는,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신호 출력 세기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약하면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강하면 전자파가 적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신 신호의 세기는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리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기지국과 가까워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강한 지역(강전계 지역)에 있을 때에는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가 약해지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파도 줄어든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기지국과 멀리 떨어져 있어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약한 지역(약전계 지역)에 있을 때에는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 역시 강해지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파도 많아진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강전계 지역에 있을 때와 약전계 지역에 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은 각각 달라진다. 이에 따라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도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최대 전자파 흡수율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지역 또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최대 전자파 인체 흡수율만이 표시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고,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시점 역시 알 수 없었다. 여기서 기준치라는 것은 국내의 정보통신부에서 정하고 있는 인체보호기준을 말하는 것으로 현재는 1.6mW/g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자들이 제공하는 최대 전자파 흡수율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실제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하의 전자파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를 흡수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실제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그러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그 전자파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될 경우, 그 사실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전자파 발생량 판단 단계와, 상기 전자파 발생량 판단 단계에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된다고 판단된 경우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파 안전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 (b), 그리고 (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는 도 1의 (a)와 같이 SAR(Specific Assumption Rate : 전자파 인체 흡수율)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a)에서 사용자가 SAR 모드를 선택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도 2의 (b)와 같이 '정상 모드' 또는 '안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초기값으로는 '정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정상 모드'라는 것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전자파의 발생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그리고 '안전 모드'라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현재 발생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 즉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파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호 연결 유지 또는 강제적인 호 연결 해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그리고 도 1의 (b)에서 사용자가 '안전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SAR 모드는 '안전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도 1의 (c)는 이러한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AR 모드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단부에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의 (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SAR 모드가 '안전모드'일 경우에는 'SAFE' 아이콘이, '정상모드'일 경우에는 'NOR' 아이콘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단부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메모리부(202), 키입력부(204), 표시부(206), RF(Radio Frequency)모듈(210),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부(212), 코덱(CODEC: Coder-Decorder)(214), 그리고 알람부(218)가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정상모드' 또는 '안전모드'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안전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제한 시간이 지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면 RF부(22)를 제어하여 강제적으로 호 연결을 해지시킨다.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메모리부(202)에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과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는 송신 출력 세기의 코드값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키패드(204)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표시부(206)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RF모듈(210)은 안테나(208)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212)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12)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12)는 제어부(200)와 RF모듈(2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210)에 인가하며, RF모듈(2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코덱(214)은 증폭부(216)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216)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216)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그리고 알람부(218)는 진동자나 벨, 그리고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되는 송신 출력이 설정될 경우 사용자에게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이나 벨소리, 또는 LED의 빛으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도 3은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안전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에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보인 흐름도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호 연결을 유지시키거나 해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을 하는 중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망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뿐 아니라 데이터 통신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4의 (a), (b), 그리고 (c)는 도 3의 306단계와 314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20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도 3과 도 4를 같이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3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을 통해 현재 증폭기에 설정된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에 대응하는 현재의 송신 출력 코드값을 확인한다. 그리고 302단계에서 현재의 송신 출력 코드값과 메모리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송신 출력 세기에 대응하는 송신 출력 코드값을 비교한다. 그 결과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이 더 클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현재 발생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304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302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송신 출력 코드값 미만일 경우에는, 현재 발생하는 전자파가 기준치 미만으로 발생한다고 판단하고 300단계에서 다시 송신 출력 코드값을 확인하여 302단계에서 이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302단계에서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이 메모리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 출력 코드값 이상일 때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의 송신 출력 코드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의 한 예를 표 1에서 보이도록 한다.
수신 신호 세기 코드값 송신 출력 설정
~ 40 dbm 0 5 dbm
40 ~ 35 dbm 50 10 dbm
35 ~ 30 dbm 100 15 dbm
30 ~ 25 dbm 150 20 dbm
25 ~ 20 dbm 200 25 dbm
20 ~ 15 dbm 250 30 dbm
15 ~ 10 dbm 300 35 dbm
10 ~ 5 dbm 350 40 dbm
5 ~ 0 dbm 400 45 dbm
표 1은 수신 신호에 따라 송신 출력이 설정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표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수신 신호 세기가 37dbm일 경우 코드값 50에 대응하는 10dbm이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로 설정되고, 수신 신호 세기가 7dbm일 경우 코드값 350에 대응하는 40dbm이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로 설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수신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에서 확인하고, 그 코드값에 대응하는 값에 따라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를 설정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표 1의 송신 출력 코드값이 증가할수록 송신 신호의 출력 세기 역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 또한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는 송신 신호 출력 세기에 해당하는 송신 출력 코드값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실제 RF부에 설정된 송신 출력 코드값을 이와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의 송신 출력 코드값이 송신 신호 출력 세기에 따라 내림차순 정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302단계에서는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이 메모리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값 이하일 때에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302단계에서 현재 송신 출력의 코드값이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송신 출력 코드값 이상일 경우 304단계로 진행한다. 304단계에서는 현재 SAR 모드가 '안전모드'인지를 확인하고, '안전모드'일 경우에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알람부(208)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린다. 그리고 308단계로 진행하여 '안전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아닌지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한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 4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현재 SAR 모드가 '안전모드'임을 알리는 아이콘이 화면 상단에 표시되고,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리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에 사용자가 '확인'을 누르면 도 3의 308단계로 진행하여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에게 '안전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묻는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메뉴화면에서 사용자가 '예'를 선택할 경우에는 계속 '안전모드'가 유지되지만, 만약 '아니오'를 선택할 경우에는 '안전모드'가 해제되며, '정상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사용자에게 '안전모드'를 유지할 것인지를 다시 확인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되는 때라도 어쩔 수 없이 통화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도 통화를 계속 할 것인지 아니면 제한 시간 T초 내에 통화를 중단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제한 시간 T초라는 것은 임의로 결정된 시간값으로서 얼마든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의 결과에 의해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308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은 310단계로 입력된다. 그리고 310단계에서, 308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이 '안전모드'의 해제였을 경우 '안전모드'를 종료하고 '정상모드'로 전환하여 전자파의 발생에 상관없이 호 연결을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응답이 '안전모드'의 해제가 아닐 경우 312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시작한다. 그리고 312단계에서 타이머를 시작한 후에 3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송신 출력 코드값을 다시 확인한다. 그리고 316단계에서는, 314단계에서 확인된 현재의 송신 출력 코드값이 여전히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송신 출력 코드값 이상인지 확인한다. 만약 314단계에서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송신 출력 코드값 미만일 경우 312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타이머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314단계에서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이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송신 출력 코드값 이상일 경우에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타이머의 값이 제한 시간 T초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318단계에서 만약 타이머의 값이 T초 미만일 경우에는 다시 3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송신 출력 코드값을 확인하고, 316단계에서 여전히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나 318단계에서 타이머의 값이 T초 이상일 경우, 즉 T초 이상동안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을 경우에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강제적으로 현재의 호 연결을 해지시킨다. 그러므로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한 시간 내에 약전계 지역에서 강전계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타이머를 계속 다시 시작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을 측정한다. 그러므로 비록 '안전모드'라 할지라도 발생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될 경우에는 호 연결을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c)는 도 3의 320단계에서 강제적으로 호 연결을 해지시키기 전에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를 보이고 있다. 도 4의 (c)는 사용자에게 제한시간이 경과되어 통화를 종료한다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와 함께 제어부(200)는 강제적으로 호 연결을 해지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세기를 확인하고, 그 송신 출력 세기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린다. 그리고 표시부(204)에 '안전모드'의 유지 또는 해제를 묻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안전모드'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재확인을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임을 알리는 알람이 울리기 전까지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하임을 알 수 있고, 또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할 경우에는 호 연결의 해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세기를 확인하고, 그 송신 출력 세기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호 연결 유지나, 강제적인 호 연결 해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실제로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전자파에 대해 안심할 수 있으며, 또한 실제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할 경우 이를 인지하고, 더 이상 그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파 안전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안전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에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연결 상태를 강제로 단절하는 과정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전자파 발생량 판단 단계와,
    상기 전자파 발생량 판단 단계에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된다고 판단된 경우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단계 후에 상기 안전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는 안전모드 재확인 단계와,
    상기 안전모드 재확인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안전모드의 유지를 위한 키가 입력되면, 소정 시간 이상동안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계속 발생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의 연결을 해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발생량 판단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신호 출력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코드 테이블에서 상기 송신 신호 출력 세기에 대응하는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송신 출력 코드값과 상기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송신 출력 코드값이 상기 기저장된 송신 출력 코드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상기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단계는,
    벨소리, 진동, 그리고 LED(Light Emitting Diode)의 빛 중 어느 하나의 알람 수단으로 상기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상기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드 재확인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안전모드의 유지를 위한 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정상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 방법.
KR1020040034571A 2004-05-15 2004-05-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방법 KR20050109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571A KR20050109382A (ko) 2004-05-15 2004-05-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571A KR20050109382A (ko) 2004-05-15 2004-05-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382A true KR20050109382A (ko) 2005-11-21

Family

ID=3728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571A KR20050109382A (ko) 2004-05-15 2004-05-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93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309B2 (en) 2013-12-31 2016-08-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Method of providing amount of exposure to electromagnetic waves and user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309B2 (en) 2013-12-31 2016-08-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Method of providing amount of exposure to electromagnetic waves and user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8961B2 (en) Low radiation wireless communicator
KR100346196B1 (ko) 피부접촉형 단말기에서 열형태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및그 제어방법
CN101287241A (zh) 一种手机铃声音量调节方法及装置
CN105120077A (zh) 一种用于移动通讯终端的电磁辐射提示系统及方法
JP3562459B2 (ja) 携帯端末装置
US20130078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the user of a mobile phone the status of an originated phone call
TWI241108B (en) Mobile phone capable of informing radiation power to user
FI109158B (fi) Kannettava laite ja menetelmä antaa käyttäjälle informaatiota kannettavan laitteen toiminnasta
KR2005010938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 발생을 알리는방법
KR20050075822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로우 배터리 상태 통지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CN101505467A (zh) 一种移动终端和减少移动终端辐射的方法
CN111106846A (zh) 一种降低sar值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8702596A (zh) 一种提示呼叫的方法
JP2872162B2 (ja) 無音報知および可聴報知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機
KR100617712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통화중상태 알림방법
KR1010428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팅 알람 모드 변경을 위한 장치 및방법
JP2003018245A (ja) 無線機および制御回路
KR20070018515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진동 장치 및 방법
JP200530379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4147341A (ja) 携帯端末装置
KR1008192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 발생을 알리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92813A (ko) 벨소리 제어 방법
KR19990081676A (ko) 무선 통신 장치의 호출 신호 알림방법
KR100754628B1 (ko) 휴대단말기에서 진동에 따른 동작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