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865A -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 Google Patents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865A
KR20050108865A KR1020040034079A KR20040034079A KR20050108865A KR 20050108865 A KR20050108865 A KR 20050108865A KR 1020040034079 A KR1020040034079 A KR 1020040034079A KR 20040034079 A KR20040034079 A KR 20040034079A KR 20050108865 A KR20050108865 A KR 20050108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wer consump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box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74706B1 (en
Inventor
홍현승
Original Assignee
(주)나임시스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임시스,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나임시스
Priority to KR102004003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706B1/en
Priority to PCT/KR2004/001904 priority patent/WO2005112203A1/en
Publication of KR2005010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7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함체와 함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도어로 구성되는 세대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도어에 열을 발생하는 전력소모 시스템들을 장착함으로써 전력소모 시스템들에 의한 세대 통신 단자함 내부의 온도 상승 및 시스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onsisting of a door and a door sealing the space inside the enclosure, by installing power consumption systems that generate heat in th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rise and the error of the system inside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by the power consumption systems. It becomes possible.

Description

세대 통신 단자함{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본 발명은 세대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워 어댑터, 전력선 모뎀, 케이블-데이터 광전자 전환기, 홈게이트웨이와 같은 열을 방출하는 전력소모 시스템들이 설치되어 세대 통신 단자함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대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In particular, power dissipation systems such as power adapters, power line modems, cable-data optoelectronic converters, and home gateways are installed to suppress an increase in temperature inside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And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정보통신에 대한 욕구가 절실해짐에 따라, 특히 정부 주도의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 엠블렘 인증 제도에 의한 파급효과가 본격화됨에 따라, 신축 건축물의 경우 댁별로 세대 통신 단자함을 설치하고 있으며, 세대 통신 단자함 내 공간은 댁내 성형 배선의 결집점(hub)이 된다. 즉, 세대 통신 단자함으로부터 UTP LAN 케이블 성형 배선이 갈려져 나가서 방, 거실, 주방 등으로 연결되고, 방, 거실, 주방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RJ45 잭이 설치되어서, UTP 케이블은 RJ45잭에 연결되고, 이 LAN 케이블들은 벽 속을 따라 집안을 한 바퀴 돌아서 주방이나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세대 통신 단자함으로 모인다. 한편 세대 통신 단자함에는 인터넷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선과 음성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음성선이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있다. As the desir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urgent, especially as the ripple effect by the government-led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ilding emblem certification system is in full swing, new buildings are installing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es for each house, and the space within the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 Becomes the hub of the home molded wiring. That is, the UTP LAN cable molded wiring is separated from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and connected to the room, the living room, and the kitchen, and the RJ45 jack for data communication is installed in the room, the living room, and the kitchen, and the UTP cable is connected to the RJ45 jack. These LAN cables run round the house, gathering into household telecommunication terminal boxes installed in kitchens and porches. On the other hand, in the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 a communication line for connecting Internet communication and a voice line for connecting a voice telephone ar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종래에는 세대 통신 단자함에는 전원의 소모가 없는, 단순 접점 분기형 단자(예를 들어 110 블록)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었다. 110 블록은 댁 밖에서 인입된 선 하나와, 댁내 케이블 선 하나 사이에 1:1 접점을 형성한다. 그러나 정보 통신이 고도화됨에 따라, 특히 디지털 홈 네트워킹이 진행됨에 따라, 댁내 광케이블 인입(FTTH: Fiber-to-The-Home) 및 댁내 전력선 통신 등 다양한 전송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전송 장비가 세대 통신 단자함에 설치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관리하며 댁내 스위칭 역할을 하는 관문 시스템인 지능형 홈 게이트웨이 역시 댁내 세대 통신 단자함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지능형 홈 게이트웨이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산 자원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붙여서 IP(internet Protocol) 방식 NAS(Network Attached Storage) 기능을 겸비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FTTH 및 댁내 전력선 통신 등 다양한 전송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전송 장비 및 지능형 홈 게이트웨이 등이 세대 통신 단자함 내부 또는 옆에 설치되고 있다. Conventionally, it was a general situation that a simple contact branch terminal (for example, 110 blocks) is installed in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without using power. Block 110 forms a 1: 1 contact between one wire drawn outside the home and one cable inside the home. However,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dvances, especially as digital home networking progresses, transmission equipment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transmission methods, such as fiber-to-the-home (FTTH) and home power line communication, can be installed in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In addition to the necessity to be installed, intelligent home gateway, a gateway system that manages Internet access services and acts as a home switching, also needs to be installed in the hom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Furthermore, the intelligent home gateway is equipp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By using the computational resources, a hard disk drive is attached to the home gateway to provide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function. There is also a desire to realize economic feasibility. Therefore, transmission equipment and intelligent home gateway that can support various transmission methods such as FTTH and home power line communication are installed inside or next to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댁내에 광 케이블이 인입되게 되면 광 신호를 전자 신호로 바꾸고, 역으로 전자신호를 광 신호로 바꾸는 OE(Optical-Electronic) 모듈이 세대 통신 단자함에 설치되게 된다. 특히 광 케이블을 댁안으로 인입할 경우, 통신 데이터 신호와 케이블 방송파를 광 케이블에 다중 파장 복합(Wavelength Multiplexing) 방식으로 중첩하여 보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OE 모듈이 세대통신 단자함에 설치되어야 한다. OE 모듈은, 댁밖에서 댁안으로 들어온 광 신호를 파장 분리하여 케이블 방송파를 담은 광신호와 데이터를 담은 광신호로 분리한 후 케이블 방송파를 담은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동축 케이블 신호(일반 케이블 방송파)로 바꾸어 댁 안으로 보내고 데이터를 담은 광신호는 전기 신호로 바꾸어 UTP 케이블에 실어 홈 게이트웨이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OE 모듈은 댁 안에서 댁 밖으로 나가는 데이터 통신 전기 신호를 UTP 케이블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받아서 이를 광신호로 바꾸어 전송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OE 모듈은 소모 전력이 20 와트 안팎이 된다. 또한 댁내 가전 중 일부는 저속 댁내 전력선 통신을 이용해 간단하게 조작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PLC) 브리지 기능을 겸하게 되며 세대 통신 단자함에는 PLC 모듈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PLC 모듈은 소모 전략이 약 3 와트 정도 된다. 지능형 홈 게이트웨이의 소모 전력은 10 와트 정도 되는데 하드디스크 저장 장치를 추가하여 홈 게이트웨이가 IP NAS 기능을 겸하게 만들면 소모 전력은 20 와트 정도 된다. 또한 이러한 각종 시스템 및 모듈에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어댑터는 최소 8 와트 정도의 전력을 소모한다. 즉, 대략적으로 세대 통신 단자함 내에 설치되는 각종 시스템의 소모 전력을 합산하면 50 와트 안팎이 된다. When an optical cable is introduced into the home, an OE (Optical-Electronic) module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onic signal and vice versa is installed in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In particular, when the optical cable is introduced into the ho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mmunication data signal and the cable broadcast wave are often superimposed on the optical cable by a wavelength multiplexing method. In this case, the OE module should be installed in the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 The OE module separates the optical signal from the outside into the home by separating the wavelength into an optical signal containing the cable broadcast wave and an optical signal containing the data, and then converts the optical signal containing the cable broadcast wave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convert the coaxial cable signal (general cable). It converts the broadcasting wave into a home and sends the optical signal containing the data to an electrical signal and sends it to the home gateway. The OE module receives data communication electrical signals from the home gateway through the UTP cable and converts them into optical signals. OE modules that perform this function consume about 20 watts of power. In addition, some home appliances may be efficient to operate simply by using low speed home power line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home gateway system also serves as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bridge function, and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should include a PLC module. This PLC module consumes about 3 watts. The intelligent home gateway consumes about 10 watts. If you add a hard disk storage device to make the home gateway function as an IP NAS, it consumes about 20 watts. In addition, power adapters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se systems and modules consume at least 8 watts of power. In other words, the sum of power consumption of various systems installed in the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 is about 50 watts.

그런데, 세대 통신 단자함은 사무실, 아파트 등 주거/사무 공간의 미관이나 공간 효율성의 측면에서 벽 안에 매립되는 것이 일반적 관행이다. 벽면에 매립되어 사실상 밀폐되어 있는 세대 통신 단자함 내에서 상시적으로 50 와트 안팎의 전력이 소모되는 경우, 이는 단자함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결국 세대 통신 단자함 내에 설치된 시스템의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However, it is common practice that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es are embedded in walls in terms of aesthetics or space efficiency of residential / office spaces such as offices and apartments. If a power consumption of about 50 watts is constantly consumed in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that is buried in a wall and is actually enclosed, this increases the temperature in the terminal box and eventually causes a failure of the system installed in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팬을 설치하여 강제 환풍을 시켜서 세대 통신 단자함 내에 설치된 시스템의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팬의 작동 상태를 별도로 모니터링 하여 관리해야 할 뿐 아니라, 팬의 동작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To solve this problem, a fan can be installed and forced ventilation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system installed in the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n must be monitored and managed separately, and the noise by the operation of the fan is hig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을 방출하는 전력소모 시스템들에 의해 발생된 세대 통신 단자함 내의 열을 팬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방출 또는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 세대 통신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onfigured to naturally dissipate or cool heat in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generated by power dissipating systems that do not use a fa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대 통신 단자함은, 건물 벽에 매립되며,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상하좌우측면들 및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방면으로 이루어진 함체, 및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가려서 상기 건물 내의 실내 공간으로 상기 함체에 설치된 전자 소자들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표면 중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표면(도어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발광 소자가 더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표면 중, 상기 실내 공간에 노출되는 표면(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감지된 상기 전력소모 시스템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 buried in the building wall, the housing consisting of a bottom surface,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ides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n ope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loor surface, and the A door for covering the open surface of the enclosure to prevent the electronic elements installed in the enclosure from being expos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of the door facing the bottom of the enclosure (rear of the door) It is equipped with one or more power consumption systems. In addition, the rear of the door is further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t least one power consumption system, the surface of the door, the surface exposed to the indoor space (front of the door) by u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It is equipped with a display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tected power consumption syste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대 통신 단자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세대 통신 단자함의 도어에 전력소모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나타난 시스템 케이스 및 전원 멀티탭의 상세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mounted on the door of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of Figure 1 in detail, Figures 3a and 3b is shown in FIG. Detailed diagram of system case and power strip shown.

세대 통신 단자함은, 건물 벽(18)에 매립되는 함체(10)와 건물 내의 실내 공간으로 함체(10)에 설치된 전자 소자(14, 15 등)들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도어(20)로 이루어진다. 함체(10)는 바닥면(11), 바닥면(11)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상하좌우측면(12a 내지 12d)들 및 상기 바닥면(11)에 대응하는 개방면(17)으로 이루어져 있다. 함체(10)의 바닥면(11)에는 110블록(14)을 포함하는 비전력소모 소자 및 전원 소켓(15)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하좌우측면(12a 내지 12d)에는 110블록(14)에서 나와서 댁내 거실, 주방 등의 공간에 설치된 RJ45잭과 연결될 UTP케이블(16)이 인출될 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UTP케이블(16)은 하측면(12a)에 형성된 홀(13)을 통해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includes a housing 10 embedded in the building wall 18 and a door 20 for preventing the electronic elements 14, 15, etc. installed in the housing 10 from being exposed to the interior space in the building. The enclosure 1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 top, bottom, left and right surfaces 12a to 12d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 and an open surface 17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11. On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enclosure 10, a non-power consumption element including a 110 block 14 and a power socket 15 are attach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12a to 12d, they come out of the 110 block 14, A hole 13 through which a UTP cable 16 to be connected to an RJ45 jack installed in a room such as a living room or a kitchen is drawn out is formed. In FIG. 1, the UTP cable 16 is drawn out through the hole 13 formed in the lower surface 12a for convenience.

도어(2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도어창(22)과 도어창(22)이 끼워지는 프레임(2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21)에 끼워진 도어창(22)이 함체(10)의 개방면(17)을 닫음으로써 건물 내의 실내 공간으로 상기 함체(10)에 설치된 전자 소자들이 노출되는 것을 막아서, 건물 벽의 심미성을 유지한다. 도어창(22)에는 도어창(22)이 프레임(21)에 탁찰 가능하도록 고정되게끔 하기 위한 끼움편(28)과 힌지(25)가 설치되어 있는데, 힌지(25)는 지면에 직각으로 설치될 수 도 있으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도 있다.  The door 20 is made of a met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aluminum, and includes a door window 22 and a frame 21 into which the door window 22 is fitted. And the door window 22 fitted to the frame 21 closes the open surface 17 of the enclosure 10,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nic elements installed in the enclosure 10 from being exposed to the interior space in the building, thereby aesthetics of the building wall. Keep it. The door window 22 is provided with a fitting piece 28 and a hinge 25 for fixing the door window 22 to the frame 21 so that the door window 22 can be tacked. The hinge 25 is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 1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통상 함체(10)들은 벽(18)에 매립되므로, 도어창(22)에 의해서 함체(10)는 실질적으로 폐쇄상태가 된다. 그리고 함체(10) 내에는 비전력소모 소자인 110블록(14)뿐만 아니라 전원 및 데이터 전송 관련 빌트인 모듈 및 저장 시스템과 같이 소모전력이 발생하는 시스템도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함체(10) 내부에서는 약 50와트 정도의 전력 소모에 따른 열 발생한다. 따라서 함체(10)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고 그 내부에 설치된 비전력소모 시스템 및 전력소모 시스템들의 온도는 계속 높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시스템의 장애 또는 동작 불능이 되게 된다. 함체(10)의 도어창(22)을 일정 주기로 열어 놓으면, 함체(10)내의 전자 소자들은 상온상태로 냉각되므로 온도 상승에 따른 함체(10)내의 전자 소자의 기능이상을 막을 수 있으나, 도어창(22)을 일정 주기로 열어 놓는다는 것 자체가 번거로우며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댁내의 실내 공간의 벽면 미관에도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어창(22)에, 함체(10)내의 전력소모 시스템에서 발생한 열이 실내 공간 쪽으로 자연 방출되어서 전력소모 시스템이 자연냉각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내 공기와 접촉하는 도어창(22)에, 홈게이트웨이, 파워 어댑터, PLC모뎀 및 OE모듈 등과 같은 전력소모 시스템(33)들을 설치함으로써 전력소모 시스템(33)에서 발생한 열이 도어창(22)을 통해서 실내로 전달되게 되므로, 비록 도어(20)에 의해 함체(10)가 폐쇄상태가 되더라도 전력소모 시스템(33)은 자연 냉각되게 된다. 한편, 전력소모 시스템(33)들은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되며, 도어창(22)의 후면(22b)에 장착되는 시스템 케이스(23)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창의 후면(22b)이란 함체(10)의 바닥면(11)에 대향하는 표면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어의 후면"으로 칭하며, 도어창의 전면(22a)이란 실내 공기와 직접 접촉하는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어의 전면"이라 칭한다. Since the enclosures 10 are usually embedded in the wall 18, the enclosure 10 is substantially closed by the door window 22. In the enclosure 10, not only 110 blocks 14, which are non-power consumption elements, but also systems in which power consumption is generated, such as built-in modules and storage systems related to power and data transmission, are installed. Accordingly, heat is generated in the enclosure 10 according to power consumption of about 50 watts. Therefo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enclosure 10 ri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non-power consuming system and the power consuming systems installed therein continues to increase, resulting in system failure or inoperability. If the door window 22 of the enclosure 10 is opened at regular intervals, the electronic elements in the enclosure 10 are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of the electronic elements in the enclosure 10 due to a temperature rise. Opening (22) at regular intervals is cumbersome and inefficient. It is also undesirable for the wall aesthetics of the indoor space of the house.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n the enclosure 10 is naturally released toward the interior space in the door window 22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naturally cool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33 by installing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33, such as the home gateway, power adapter, PLC modem and OE module in the door window 22 in contact with the indoor air Since it is transmitted to the room through the window 22,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33 is naturally cooled even if the enclosure 10 is closed by the door 20. Meanwhile, the power consumption systems 33 are integra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nstalled in the system case 23 mounted on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window 22. Here,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window refers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enclosur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ar of the door", and the front surface 22a of the door window refers to the surface directly contacting the indoor ai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referred to as "front surface of the door".

구체적으로, 도어의 후면(22b)에는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33)이 장착된다. 전력소모 시스템(33)은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되어 있으며 그의 종류 및 제조원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다양하다. 또한 도어의 후면(22b)에는 전력소모 시스템(33)과 더불어 전원 멀티탭(34)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LED와 같은 발광 소자(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발광소자도 인쇄회로기판에 집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의 전면(22a)에는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감지된 상기 전력소모 시스템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24)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20)를 열지 않고도 함체(10) 내부의 각종 전자 소자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표시부(24)는 도어의 전면(22a)에 설치되어 있으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스템 케이스(23)의 표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at least one power consumption system 33 is mounted on the rear side 22b of the door.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33 is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varies in size depending on its type and manufacturer.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is equipped with a power consumption system 33, a power supply power strip 34, and a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n LED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one or more power consumption systems.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lso integra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the front part 22a of the door is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24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consumption systems sensed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ous electronic elements inside the enclosure 10 without opening the door 20.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24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22a) of the door,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ystem case (23).

예를 들어 전력소모 시스템(33)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후면(22b)에 고정되는데 시스템 케이스(23) 내에서 보호된다. 상기 시스템 케이스(23)는 도어의 후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숫나사(32)에 체결되어서 도어창(22)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스템 케이스(23)의 일예는 도 3a에 나타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케이스(23)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23a)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방된 부분의 양측 연장부(23b)에는 도어의 후면(22b)에 설치된 숫나사가 끼워질 삽입홀(2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3a) 내부 공간에는 매트릭스구조의 철망사틀(23d)이 설치되어 있어서 시스템을 도어 후면에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시 인쇄 회로기판 상의 부품을 보호하고, 케이스(23)의 기구 역학 구조를 철망사틀(23d)이 강화하며, 공기 소통이 원활한 망이기 때문에 열이 도어로 잘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 케이스(23)를 구성하는 재질은 특별히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나, 플라스틱과 같은 열 전도성이 낮은 물질로 제조할 경우에는 경제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함체(10)로의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For example, the power dissipation system 33 is secured in the system case 23, which is secured to the rear face 22b of the door, as shown in FIG. 2. The system case 23 is fastened to the door window 22 by being fastened to a plurality of male screws 32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Looking more specifically, an example of the system case 23 is shown in Figure 3a. As shown in FIG. 3A, the system case 23 includes a main body 23a having a hexahedron shape with one surface open, and both male extension parts 23b of the open portion are provided with a male screw installed at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An insertion hole 23c to be fitted is formed. In addition, a matrix wire mesh frame 23d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3a to protect component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dur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e system at the rear of the door, and to secure the mechanical dynamic structure of the case 23. Since the bottle 23d is reinforced and the air communication is smooth, the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door well. In additio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ystem case 2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manufactured with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plastic, it is not only excellent in economy but also effective in blocking heat transfer to the enclosure 10. .

다음, 도어창(22)의 후면(22b)에 장착되는 전원 멀티탭(34)을 도 3b를 참조로 살펴보면, 전원 멀티탭(34)은 본체(34a), 본체(34a)의 일측에서 신장된 연장부(34e)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34a)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시키기 위한 AC 입력소켓(34d), 외부 전원을 도어의 후면(22b)에 장착된 파워 어댑터에 연결시키 위한 AC 출력단자(34b) 및 일반 사용자에 의한 과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케이스형 휴즈(3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34e)에는 도어의 후면(22b)에 설치된 다수의 숫나사가 끼워질 삽입홀(34f)이 형성되어 있다. 전력소모 시스템으로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도어를 연 다음, 벽에서 인출되는 외부 전원 공급선을 전원 멀티탭(34)의 AC 입력소켓(34d)에 연결하고, 해당 전력소모 시스템의 파워 어댑터와 AC 출력단자(34b)를 연결하고 그리고 파워 어댑터와 전력소모 시스템을 연결한다. 한편, 전원 멀티탭(34), 파워 어댑터 및 전력소모 시스템은 모두 도어의 후면(22b)에 설치되므로, 도어와 함체(10)의 바닥면(11) 사이에 복수의 AC 연결 코드가 복잡하게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 3B, the power strip 34 mounted on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window 22 is a power strip 34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34a and the main body 34a. 34e, the main body 34a includes an AC input socket 34d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 AC output terminal 34b for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o a power adapter mounted on the rear side 22b of the door, and A case-type fuse 34c is formed to prevent excessive power consumption by a general user, and an extension hole 34f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34f into which a plurality of male screw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are fitted. . To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open the door as shown in FIG. 2, and then connect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drawn from the wall to the AC input socket 34d of the power strip 34, and the power adapter of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system. To the AC output terminal (34b) and to the power adapter and power dissip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wer supply power strip 34, the power adapter and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are all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a plurality of AC connection cords may be complicatedly installed between the door and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enclosure 10. There is no need.

한편, 시스템 케이스(23) 및 전원 멀티탭(34)은 소정의 삽입홀(23c, 34f)에 도어창(22)의 후면(22b)에 설치된 복수의 숫나사 중의 일부가 끼워져서 도어창(22)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숫나사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충분한 수가 미리 준비되어 박혀져 있기 때문에, 향후 시스템들이 교체되어 케이스(23)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기존 도어창(22)을 교체하지 않고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숫나사의 높이는 5 내지 10 밀리미터 정도이기 때문에, 작은 시스템에 쓰이는 숫나사는 큰 시스템 케이스 안, 도어창(22)의 후면(22b)과 철망사틀(23d) 사이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ystem case 23 and the power supply power strip 34, a part of the plurality of male screws provided in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window 22 is inserted into the predetermined insertion holes 23c and 34f to the door window 22. It is intended to be mounted. Since the male screws are prepared and embedded in a sufficient number in advan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even if the systems are replaced in the future and the size of the case 23 is changed, the system can be installed without replacing the existing door window 22. Since the male thread is about 5 to 10 millimeters in height, the male thread used for the small system may exist between the rear 22b of the door window 22 and the wire mesh frame 23d in the large system case.

도 1 내지 도 3b에서는 도어창(22)이 관통되지 않고 도어의 후면(22b)에 시스템 케이스(23)와 전력소모 시스템(33)이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창(22)을 관통하고 관통구를 통해 전력소모 시스템이 설치된 시스템 케이스(23)를 설치하고 이를 도어창(22)에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이러한 예들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어창(42)의 소정 부분은 관통되어서, 전력소모 시스템(53)이 설치된 시스템 케이스(43)가 도어창(42)에 체결부재(45)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체결부재(45)는 볼트와 너트등과 같은 공지의 각종 체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케이스(43)는 도 4a와 같이 도어의 전면(42a) 및 후면(42b)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b에서와 같이 도어의 전면(42a)과 일치하고 도어의 후면(42b)쪽으로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에 있어서, 전력소모 시스템(53)은 실내 공기와 직접 접촉하는 시스템 케이스(43) 내부에 설치되므로, 전력소모 시스템(53)은 자연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후면(42b)에는 전력소모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발광 소자(미도시)가 장착되며, 도어의 전면(42a)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감지된 상기 전력소모 시스템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44)가 장착되어 있다.1 to 3B, the case in which the system case 23 and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33 ar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22b of the door without penetrating the door window 22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system case 23 through the door window 22 and through which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installed, and fix it to the door window 22. Such examples are shown in FIGS. 4A and 4B. 4A and 4B,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oor window 42 is penetrated so that the system case 43 in which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53 is installed is fixed to the door window 42 by the fastening member 45. do. Fastening member 45 may be used a variety of known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The system case 4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side 42a and the rear side 42b of the door as shown in FIG. 4A, and coincide with the front side 42a of the door and toward the rear side 42b of the door as shown in FIG. 4B.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case of FIGS. 4A and 4B, since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53 is installed inside the system case 43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door air,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53 may be naturally cooled. A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42b of the door, and an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consumption systems detected u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42a of the door. A display section 44 indicating is mounted.

도 1 내지 도 4b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 가장자리 변의 일부를 잘라내어 전원선이나 음성 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을 형성하면,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세대 통신 단자함 외부에 xDSL 모뎀을 두고 함체(10)로부터 모뎀으로 음성 인입선과 전원을 연결하고, 모뎀에서 함체 내부로 다시 음성 선과 데이터선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b에서는 한겹도어를 사용하여 전력소모 시스템을 장착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두겹도어에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소모 시스템을 장착할 수 도 있다. 두겹도어는 속 도어와 겉도어로 이루어지며, 속 도어는 함체 전체를 덮을 수도 있고 혹은 그림과 같이 함체 부분만 덮을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력소모 시스템이 설치된 시스템 케이스를 속도어에 장착한다. 겉도어는 속도어 및/또는 노출된 함체를 덮어서 함체(10)의 미관을 수려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며, 표시부는 겉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4B, when a part of the door edge is cut out to for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ower line or voice line can penetrate,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n xDSL modem outside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modem, the voice lead line and the power supply can be connected, and the voice line and data line can be connected from the modem back into the enclosure. In addition, in FIG. 1 to FIG. 4B, a case of mounting a power consumption system using a single door is illustrated, but a power consumption system may be mounted using a system in a double door. The double door is composed of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may cover the whole housing or only the housing part as shown in the figure. Then, the system case with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mounted on the speed gear. The outer door covers the speed gear and / or the exposed enclosure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enclosure 10,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door.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도어를 가지는 세대 통신 단자함은 도어에 각종 시스템 혹은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되어서, 세대 통신 단자함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댁내 통신 시스템의 결집점(허브)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어를 통해 전력소모 시스템에서 발생한 열이 자연 냉각되므로, 전력소모 시스템을 덮는 시스템 케이스를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세대 통신 단자함의 제조 원가가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함체로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전원 멀티탭이 도어 뒷면에 설치되므로 다수의 전력소모 시스템이 도어의 후면에 장착되더라도 도어와 함체의 바닥면사이의 AC 연결코드는 1개 코드로 충분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having an exposure typ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issipating heat without installing a fan by installing various systems or modules in the door, so that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is effective and efficient for home communication. It can now serve as a hub for the system.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ed by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naturally cooled through the door, the system case covering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can be made of plastic, so that heat transfer to the enclosur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You can block. Since power strips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door, even if multiple power consumption systems are mounted on the back of the door, one cord is sufficient for the AC connection cord between the door and the bottom of the enclosure.

그리고 함체(10)를 덮는 도어의 전면에 표시부(24, 44)를 두어서 사용자가 세대 통신 단자함 내 각종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함체 도어를 열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어의 후면에 숫나사를 다수 설치하고 숫나사에 시스템 케이스와 전원 멀티탭을 탈부착하도록 함으로써 크기와 제조원이 다른 다른 시스템들도 도어의 후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s 24 and 44 ar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oor covering the enclosure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various systems in the household communication terminal box without opening the enclosure door. In addi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male screws on the rear of the door and the system case and the power strip to be attached to the male screw, other systems of different sizes and manufacturers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door.

벽면으로부터 함체 바닥까지의 깊이가 120 밀리미터쯤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도어(20)에 장착시키는 전력소모 전자모듈 또는 이들이 설치되는 시스템의 두께가 24 ~ 50 밀리미터 정도이므로, 나머지 깊이에 대해서는 함체(10) 내의 공간에 비전력소모 전자를 비롯한 각종 전자 부품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함체(10)의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It is common that the depth from the wall to the bottom of the enclosure is about 120 millimeters. Since the power consumption electronic modules mounted on the door 20 or the system in which they are installed are about 24 to 50 millimeters thick, the remaining depth of the enclosure (10) Sinc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non-power consumption electrons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the space of the enclosure 10 can be utilized in three dimensions.

나아가 세대 통신 단자함의 크기, 파워 어댑터의 출력 전압 및 전류의 종류 및 크기, 등을 기준으로 미리 소정의 숫나사(32)들을 적절한 간격으로 박아 놓음으로써 건설사 혹은 사용자가 제조원이 다른 시스템들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향후 표준 내지 권고 규격을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Furthermor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crews 32 are driven in advance at appropriate intervals based on the size of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the type and size of the output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adapter, and the builder or the user selects various systems of different manufacturers. Not only has it been made available,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standards or recommend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세대 통신 단자함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세대 통신 단자함의 도어에 전력소모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wer consumption system is mounted on a door of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of FIG. 1.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나타난 시스템 케이스 및 전원 멀티탭의 상세도이다.3A and 3B are detailed views of the system case and power strip shown in FIG.

도 4a 및 도 4b는 전력소모 시스템이 세대 통신 단자함의 도어에 장착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A and 4B show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mounted on a door of a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laims (7)

건물 벽에 매립되며,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상하좌우측면들 및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방면으로 이루어진 함체, 및A housing buried in a wall of the building and having a bottom surface, vertically contacting the floor surface with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an ope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loor surface; and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가려서 상기 건물 내의 실내 공간으로 상기 함체에 설치된 전자 소자들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며, A door for covering an open surface of the enclosure to prevent electronic elements installed in the enclosure from being exposed to an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상기 도어의 표면 중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표면(도어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door (the back of the door)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nclo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발광 소자가 더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표면 중, 상기 실내 공간에 노출되는 표면(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감지된 상기 전력소모 시스템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device to detect an operating state of the at least one power consumption system, and a surface (front of the door) exposed to the indoor space among the doors.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consumption systems sensed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전력소모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어, 파워 어댑터, PLC모뎀 및 OE모듈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is any one of a home gateway, a power adapter, a PLC modem, and an OE modu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들은 상기 도어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시스템의 케이스 내부에는 철망사틀이 형성되어 있어서 시스템을 도어 후면에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시 인쇄 회로기판 상의 부품을 보호하고, 시스템 케이스의 구조를 상기 철망사틀이 강화하며, 공기 소통이 원활한 망이기 때문에 열이 도어로 잘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 The system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ystems are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door, and a wire mesh frame is formed inside the case of the system so that the component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removed when the system is assembled or dismantl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mesh frame to protect the structure of the system case, the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door because the air communication is smoot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케이스에는 소정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는 숫나사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숫나사에 상기 시스템 게이스의 삽입홀을 끼움으로써 상기 시스템 케이스를 상기 도어의 후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 The system cas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predetermined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system case, and a plurality of male screw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s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hereby inserting the insertion hole of the system case into the male screw.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do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숫나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전원 멀티탭이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 6. The gene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power supply power strip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male screw is furth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건물 벽에 매립되며,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수직으로 접촉하는 상하좌우측면들 및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방면으로 이루어진 함체, 및A housing embedded in a wall of the building and having a bottom surfac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n ope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loor surface, and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가려서 상기 건물 내의 실내 공간에 상기 함체에 설치된 전자 소자들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며, A door for covering an open surface of the enclosure to prevent electronic elements installed in the enclosure from being exposed to an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상기 도어에는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발광 소자가 장착되며, 상기 전력소모 시스템 및/또는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도어를 관통하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시스템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표면 중, 상기 실내 공간에 노출되는 표면(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감지된 상기 전력소모 시스템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 The door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power consumption system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en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t least one power consumption system, the power consumption system and /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 system case that is fixed to the door while passing through the door And a display unit installed inside the door, the surface of which is exposed to the indoor space (front of the door), which is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consumption systems detected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box.
KR1020040034079A 2004-05-14 2004-05-14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KR100574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79A KR100574706B1 (en) 2004-05-14 2004-05-14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PCT/KR2004/001904 WO2005112203A1 (en) 2004-05-14 2004-07-29 Heat releasing communication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79A KR100574706B1 (en) 2004-05-14 2004-05-14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65A true KR20050108865A (en) 2005-11-17
KR100574706B1 KR100574706B1 (en) 2006-04-27

Family

ID=3539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79A KR100574706B1 (en) 2004-05-14 2004-05-14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4706B1 (en)
WO (1) WO200511220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80B1 (en) * 2017-12-13 2018-04-27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Customer device box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modeling of apart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7390A (en) * 1981-01-22 1982-06-29 National Element, Inc. Electric heating element
JPH11243012A (en) * 1997-12-26 1999-09-07 Smc Corp Terminal box for manifold mounting type electromagnetic valve
KR20020068307A (en) * 2002-06-25 2002-08-27 (주) 엘콤스 Generation terminal box cover with display, control and connection
KR200343600Y1 (en) * 2003-12-19 2004-03-04 박생규 A Unity Wiring Terminal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80B1 (en) * 2017-12-13 2018-04-27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Customer device box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modeling of a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706B1 (en) 2006-04-27
WO2005112203A1 (en)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4220B1 (en) Modular device backbone for a network of user-swappable products
US87645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oling air to equipment
US20060188090A1 (en) Power supply housing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US7027301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eat dissip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8355616B2 (en) Optical fiber communication conversion devic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JPH10308586A (en) Overhead installation type communicating apparatus
CN209748582U (en) intelligent home control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0453004Y1 (en) Wall insert type internet ip router by wire and wireless
KR100574706B1 (en) Wall-buried-in Communication Box
US20200200335A1 (en) Modular Lighting Installation Platform
KR100878027B1 (en) Case for electric elememts with cooling function
CN202713822U (en) Video monitoring intelligent centralized control cabinet
AU2020103068A4 (en) Control apparatus for smart home
US10962212B2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CN100454703C (en) Photoelectric compound network unit
CN113922160B (en) Power expansion plugboard and socket
CN215453636U (en) Remote monitoring intelligent household digital control platform
KR100395898B1 (en) structure of communication box
CN211857207U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device
CN213043311U (en) Intelligent household distribution box
CN216114391U (en) Controller fixing device and air condensing units
CN203705700U (en) Multimedia information box
CN2678257Y (en) Photoelectric compound network unit
CN215072112U (en) Quick-release intelligent driving module for smart home
CN110336111B (en) Wireless router for smar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