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667A -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667A
KR20050108667A KR1020040033657A KR20040033657A KR20050108667A KR 20050108667 A KR20050108667 A KR 20050108667A KR 1020040033657 A KR1020040033657 A KR 1020040033657A KR 20040033657 A KR20040033657 A KR 20040033657A KR 20050108667 A KR20050108667 A KR 20050108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que code
product unique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이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택 filed Critical 이규택
Priority to KR102004003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667A/ko
Publication of KR2005010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6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8Ornament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품고유코드와 상품 구매자가 입력한 상품고유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비교판단하여 구매자가 직접적으로 진품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조상품의 유통을 방지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단말기와 연결되어 상품의 고유코드를 통해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진품확인시스템과 상품출하에 따라 상품고유코드를 생성하는 고유코드생성서버 및 고유코드를 인쇄하는 고유코드인쇄수단 등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품위조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품구매자가 직접 상품의 진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상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PREVENTION METHOD OF GOODS COUNTERFEITING USING CHARACTERISTIC CODE OF GOODS AND SYSTEM FOR IT}
본 발명은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개별상품에 대한 상품고유코드와 상품 구매자가 입력한 상품고유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비교판단하여 구매자가 직접적으로 진품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위조상품의 유통을 방지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급 주류나 소위 명품에 대한 소비가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고가 상품을 위조하여 불법유통시키는 사례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고가 양주와 같은 고급 상품에 대한 위조가 전세계적으로 부쩍 늘어 이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 고가 양주에 대한 종래의 위조 방지 기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과거에는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 할 수 있도록, 병마개의 하단에 절단선이 구비된 커버링을 장착하거나 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지를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거나, 병마개를 밀봉하는 밀봉재에 홀로그램을 각인한 위조방지라벨 등을 사용하여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외관상 조잡하고 커버링이나 커버지 자체, 또는 위조방지라벨자체가 위조 및 장착이 용이한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병마개의 개패여부가 확인가능하거나 역으로 원액을 주입할 수 없도록 하는 새로운 병마개 구조가 개발되어 적용되거나(실용신안 등록번호:20-0335159호 등), 병마개와 외부에 결합되는 위조방지라벨에 투명부를 두고 병마개에 감광재를 도포하여 빛에 의해 감광되어 발생하는 병마개의 표식부와 외부에 열압착되는 위조방지라벨의 투명부와의 불일치를 통해 병마개의 개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 기법(실용신안등록번호:20-0314934호)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인 방법들은 일반 최종소비자가 위조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거나, 이러한 구조자체를 모방할 수 있는 대형 위조집단에게는 결국에는 종국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실제로 지금까지 상기한 종래기술을 통해서는 상품위조를 완전하게 근절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가의 상품을 생산하는 생산자가 생산품에 각각 개별적으로 상품고유코드를 부여하고 고객이 통신단말기를 통해 상품고유코드를 입력하여 상품의 진위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위조를 근본적으로 근절하고 상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위조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위조방지 시스템은, 후술할 소비자단말기(200) 및 후술할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와 연결되어, 고유코드생성서버(400)에서 생성된 상품에 대한 개별적인 상품고유코드와 소비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진품확인시스템(100)과,
상기 진품확인시스템(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개별상품의 상품고유코드부(700)에 물리적 또는 전자적으로 각인된 상품고유코드(710)를 상기 진품확인시스템(100)에 송신하고, 진품확인시스템(100)에서 송신하는 진품인증여부정보를 수신하는 소비자단말기(200)와,
상기 진품확인시스템(100) 및 상품생산시설에 위치하는 고유코드인쇄수단(600)과 연결되어, 상품고유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진품확인시스템(100) 및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600)으로 전송하는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와,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로부터 상품고유코드정보를 전달받아 출하되는 상품에 상품고유코드를 인쇄하는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600)과,
상기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600)을 통해 개별적인 상품고유코드(710)가 물리적 또는 전자적으로 각인된 개별상품의 상품고유코드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소비자단말기(200)는, 이동전화(210), 유선전화(220), 개인용 컴퓨터(230), PDA(240)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품고유코드부(700)에 각인되는 상품고유코드(710)가 RF IC를 이용한 스마트 태그 등과 같이 전자적인 방법으로 각인되거나 바코드 형태로 각인되는 경우 이를 읽을 수 있는 판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태그나 바코드를 판독하는 판독부는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 진품확인시스템(100)은, 이동전화(210) 또는 유선전화(220)와 같은 소비자의 유무선 통신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발신하는 콜신호를 통해 연결된 후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후술할 서버시스템(130)으로 전달하고 역으로 서버시스템(130)의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콜센터(110)와,
개인용 컴퓨터(230), PDA(240) 또는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이동전화(210)와 같은 소비자의 유무선 네트워크단말기와 HTTP 또는 WAP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입력정보를 서버시스템(130)으로 전달하고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단말기로 전달하는 웹서버(120)와,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와 연결되어 상품출하에 따라 형성된 상품고유코드를 받아 저장하며, 상기 콜센터(110) 및 웹서버(120)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소비자단말기(200)의 입력정보를 전달받아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콜센터(110) 및 웹서버 (120)를 통해 소비자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서버시스템(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시스템(130)은, 소비자가 입력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콜센터(110) 및 웹서버(120)를 통해 전달받아 이를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에서 생성되어 인증DB(135)에 기 저장된 상품고유코드와 상호 비교하여 고유코드인증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서버(132)와,
소비자가 입력하는 상품고유코드가 음성정보인 경우, 이를 음성인식DB(134)와 연동하여 문자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인증서버(132)에 전달하는 음성인식서버(131)와,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고객정보DB(136)에 저장하고 상기 인증서버(132)로 부터 소비자의 상품고유코드확인횟수정보 등을 전달받아 이를 고객정보DB(136)에 저장하며 그 횟수 등에 따라 사은품을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고객관리서버(133)와,
상기 음성인식서버(131)와 연동하여 음성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는 음성인식DB(134)와,
상기 인증서버(132)로 부터 상품고유코드정보를 받아 저장하는 인증DB(135)와,
상기 고객관리서버(133)로부터 고객정보를 받아 저장하는 고객정보DB(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품고유코드부(700)는 대상 상품이 주류인 경우 병마개의 내부와 같이 상품을 구입하지 않은 자가 겉으로는 인지할 수 없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명품의 경우에도 상품구입한 자만이 확인할 수 있는 위치나 별도의 구조(예를 들어 옷의 경우 상품고유코드가 인쇄된 곳을 별도의 천류도 바느질하여 덮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품고유코드가 바코드로 형성되거나 스마트 태그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외면에 빛을 차단하거나 전자기장을 차단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여 상품을 구입한자만이 상품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품고유코드(710)는 일련의 숫자 및 문자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600)을 통해 눈으로 가독가능한 형태로 인쇄되거나 바코드형태로 인쇄될 수 있고, 또는 RF IC 를 이용한 스마트 태그등과 같은 전자적 형태로 인쇄·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비자단말기(200)는 이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상품위조방지시스템은, 상품생산시설에 설치되고 상품고유코드 생성서버(400)와 연결되어, 상품출하를 인지하고 그러한 상품출하신호를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로 전달하여 이에 따라 기 설정된 메카니즘에 의해 상품고유코드가 발생되도록 하는 상품출하인지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품위조 방지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외면에는 상기 콜센터(110)의 전화번호와 웹서버(120)의 웹주소등을 표기하여 상품구매자가 이를 통해 상품의 진품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한 위조방지시스템을 통하여 상품위조가 방지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에서 기 설정된 메카니즘에의해 새로운 고유코드가 생성되는 상품고유코드생성단계(S10);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에서 생성된 각 상품에 대한 상품고유코드가 진품확인시스템(100)의 서버시스템(130)에 위치한 인증서버(132)와, 상품생산시설에 위치한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600)으로 전달되는 상품고유코드정보전달단계(S20);
상기 인증서버(132)로 전달된 상품고유코드가 인증DB(134)에 저장되고, 상기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600)으로 전달된 상품고유코드정보에 따라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600)이 해당 상품에 상품고유코드를 인쇄하는 상품고유코드저장 및 인쇄단계(S30);
소비자가 소비자단말기(200)를 통해 상품생산자가 운영관리하는 상기 콜센터(110)로 전화를 걸거나 또는 상기 웹서버(120)에 접속하여 상품고유코드부(700)에 인쇄된 상품고유코드(710)를 상기 진품확인시스템(100)의 콜센터(110) 또는 웹서버(120)로 전달하는 상품고유코드정보입력단계(S50);
상기 콜센터(110) 또는 상기 웹서버(120)로 전달된 상품고유코드정보를 인증서버(132)가 전달받아 상기한 인증DB(134)에 기 저장된 상품고유코드와 비교하여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진품여부확인단계(S60);
상기 인증서버(132)에서 판단한 진품여부확인정보를 상기 콜센터(110)또는 웹서버(120)를 통해 상기 소비자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진품여부확인정보전송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품고유코드생성단계(S10)는 상품생산시설의 상품출하인지수단(500)이 상품의 출하를 인지한 후 출하신호를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400)에 전달함으로써 상응하는 상품고유코드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품여부확인단계(S60)는 상품이 진품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상품고유코드가 이전에 진품확인을 위해 사용된 적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품고유코드가 이미 확인된 것이라면 그러한 사실과 확인결과를 소비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품고유코드정보 입력단계(S50)의 전 단계들과는 무관하게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 콜센터(110)나 웹서버(120)에 접속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여 개인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회원고유번호 등과 같은 회원확인수단을 부여받는 회원등록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회원등록단계를 거친 소비자의 경우 상기한 상품고유코드정보입력단계(S50)에서 콜센터(110)나 웹서버(120)에 접속한 후 회원확인수단을 입력하여 회원인증을 받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원인증을 거친 소비자의 경우 상기 진품여부확인단계(S60)에서 회원인증된 소비자의 진품여부확인 횟수를 고객정보DB(136)에 저장하고 그 횟수가 미리 설정한 일정횟수를 넘게되면 사은품제공 대상자로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품여부확인단계(S60)는 상품고유코드의 유출을 막기위해 하나의 소비자단말기(200)에서 일정기간내에 일정횟수 이상의 상품고유코드정보입력이 있는 경우 진품여부확인을 중단하도록 하여 반복적이고 무작위적인 상품고유코드입력을 통안 크래킹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고가 양주를 구입한 소비자가 회원가입한 후 구입한 상품의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먼저, 소비자는 원하는 경우, 유선전화(220)나 이동전화(210)를 통해 양주생산자가 운영관리하는 콜센터(110)로 전화를 걸거나, 개인용 컴퓨터(230)나 PDA(240) 또는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이동전화(210)를 통해 웹서버(120)에 접속하여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개인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회원고유번호와 같은 회원인증수단을 부여받게 된다. 이는 순서도에 도시하지 않았다. 별도로 회원고유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자판등을 이용한 문자입력에 능숙하지 않은 장년층의 경우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회원고유번호를 음성으로 입력하여 회원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양주를 구입한 소비자가 소비자단말기(200)를 통해 콜센터(110)에 전화를 걸거나 웹서버(120)에 접속한다(C10). 다음, 콜센터(110)나 웹서버(120)에서 회원인증여부 선택의사를 묻게 되고(C20), 소비자가 회원인증을 선택하면 소비자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하는 개인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회원고유번호 등을 통해 가입된 회원인지를 판단하며(C30), 회원인증을 받은 경우 자신이 구입한 양주의 상품고유코드부(700)에 인쇄된 상품고유코드(710)를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하게 된다(C40). 만일, 상품고유코드부에 상품고유코드가 전자적으로 인쇄되거나 바코드형태로 인쇄된 경우에는 판독부를 구비한 소비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자동으로 판독하여 입력하게 된다. 소비자가 회원인증을 선택하지 않으면 회원인증 과정없이 직접 상품고유코드입력단계를 거치게 된다(C50).
다음, 인증서버(132)는 콜센터(110) 또는 웹서버(120)로부터 전달받은 상품고유코드(710)를 인증DB(135)에 저장된 상품고유코드(710)와 비교하여 진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C60), 진품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상품고유코드(710)가 이전에 진품확인을 위해 사용된 적이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되며(C70), 진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비자단말기(200)로 진품불인증정보를 발송하게 된다(C100). C70에서 입력된 상품고유코드(710)가 이미 사용된 것이라면 그러한 사실과 그 결과를 소비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게 되며(C80), 입력된 상품고유코드(710)가 이전에 진품확인을 위해 사용된 적이 없는 경우에는 소비자단말기(200)로 진품인증정보를 발송하게 된다(C90). 만일 대상 상품이 양주와 같은 소비재라면 진품여부확인을 이전에 받았다는 것은 상품이 위조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골동품이나 명품과 같이 진품여부확인 후에도 연속적으로 양도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전에 진품여부확인을 받은 것이 위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그 결과에 따라 위조상품인지 진품인지가 결정되게 된다.
도 4는 인증된 회원에 대하여 사은품을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품구매자가 소비자단말기(200)를 통해 콜센터(110)나 웹서버(120)에 접속하여(C10), 회원인증을 한 후(C20, C30), 상품고유코드를 입력하게 되면(C40) 고객의 상품고유코드 입력횟수가 하나씩 증가하여 고개관리DB(136)에 저장되고(C110), 그 횟수가 미리 설정된 일정한 숫자를 넘게 되면(C120), 사은품제공 대상자로 설정되게 된다(C130). 소비자가 회원인증을 선택하지 않으면 직접 상품고유코드입력단계를 거치게 되며(C50), 사은품 제공여부 판단과정을 거치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함께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품고유코드를 통해 상품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계되어 상품의 위조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상품의 구조 등을 통해 위조를 방지하는 방법과 달리 상품의 위조를 근본적으로 근절할 수 있으며, 최종소비자가 상품의 진품여부를 직접 쉽게 확인할 수 있게됨에 따라 상품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매출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자의 입장에서도 위조상품의 존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품의 생산자가 직접적으로 우수고객에 대하여 사은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객관리면에서 유리하며 고객충성도를 높일 수 있고 상품에 대한 매니아 층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단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양주를 구입하여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등록한 소비자에게 사은품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진품확인시스템 200 : 소비자단말기
400 :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 500 : 상품출하인지수단

Claims (11)

  1. 소비자단말기와 유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상품고유코드와 회원정보를 저장·관리 및 갱신하고, 소비자가 입력한 상품고유코드와 인증DB에 저장된 상품고유코드를 비교하여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진품확인시스템;
    상기 진품확인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개별상품에 인쇄된 상품고유코드 및 회원정보를 상기 진품확인시스템에 송신하고 진품확인시스템에서 송신하는 진품인증여부정보를 수신하는 소비자단말기;
    상품고유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진품확인시스템 및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으로 전송하는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로부터 상품고유코드정보를 전달받아 출하되는 상품에 상품고유코드를 인쇄하는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
    상기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을 통해 상품고유코드가 물리적 또는 전자적으로 인쇄된 상품고유코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위조방지시스템은,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와 연결되어 상품출하를 인지하고 그러한 상품출하신호를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로 전달함에 따라 상품고유코드가 발생되도록 하는 상품출하인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품고유코드가 전자적인 방법으로 인쇄되거나 바코드 형태로 인쇄된 경우 이를 읽을 수 있는 판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품확인시스템은, 전화 통화가 가능한 소비자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입력정보를 접수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서버시스템의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콜센터;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소비자단말기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입력정보를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웹서버;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로부터 상품고유코드를 받아 저장하며, 상기 콜센터 및 웹서버로부터 소비자단말기의 입력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콜센터 및 웹서버를 통해 소비자단말기로 전달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품고유코드를 콜센터 및 웹서버를 통해 전달받아 인증DB에 기 저장된 상품고유코드와 상호 비교하여 상품고유코드인증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서버;
    상품고유코드가 음성정보인 경우 이를 문자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인증서버(132)에 전달하는 음성인식서버;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고객정보DB에 저장하고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소비자의 상품고유코드확인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고객정보DB에 저장하며 확인횟수 등에 따라 사은품을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고객관리서버;
    상기 음성인식서버와 연동하여 음성신호를 문자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DB;
    상기 인증서버(132)로 부터 상품고유코드정보를 받아 저장하는 인증DB;
    상기 고객관리서버(133)로부터 고객정보를 받아 저장하는 고객정보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위조방지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고유코드부는, 상품을 구입하지 않으면 확인불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거나, 상품을 구입하지 않으면 상품고유코드부에 위치한 상품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시스템.
  7.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에서 상품고유코드가 생성되는 상품고유코드생성단계;
    생성된 상품고유코드가 인증서버와,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으로 전달되는 상품고유코드정보전달단계;
    상기 인증서버로 전달된 상품고유코드가 인증DB에 저장되고, 상품고유코드정보에 따라 상품고유코드인쇄수단이 상품에 상품고유코드를 인쇄하는 상품고유코드저장 및 인쇄단계;
    소비자가 소비자단말기를 통해 콜센터로 전화를 걸거나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품고유코드를 콜센터 또는 웹서버로 전달하는 상품고유코드정보입력단계;
    상기 콜센터 또는 상기 웹서버로 전달된 상품고유코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가 전달받아 상기 인증DB에 기 저장된 상품고유코드와 비교하여 진품여부를 확인하는 진품여부확인단계;
    상기 인증서버(132)에서 판단한 진품여부확인정보를 상기 콜센터 또는 웹서버를 통해 상기 소비자단말기로 전달하는 진품여부확인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품고유코드생성단계는 상기 상품출하인지수단이 상품의 출하를 인지한후 출하신호를 상품고유코드생성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응하는 상품고유코드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위조방지방법은, 상품고유코드정보입력단계 이전의 단계들과는 별도로, 상품구매자의 회원등록단계 및 회원인증과정을 더 포함하고, 회원인증을 거친 소비자의 경우 상기 진품여부확인단계에서 회원인증된 소비자의 진품여부확인 횟수를 고객정보DB에 저장하고 그 횟수가 미리 설정한 일정횟수를 넘게되면 사은품제공 대상자로 선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의 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품여부확인단계는 상품고유코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소비자단말기에서 일정기간내에 일정횟수 이상의 고유코드정보입력이 있는 경우 진품여부확인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품여부확인단계는 상품이 진품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상품고유코드가 이전에 타인에 의해 진품확인을 위해 사용된 적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품고유코드가 이미 타인에 의해 확인된 것이라면 그러한 사실과 확인결과를 소비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
KR1020040033657A 2004-05-12 2004-05-12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50108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57A KR20050108667A (ko) 2004-05-12 2004-05-12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57A KR20050108667A (ko) 2004-05-12 2004-05-12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667A true KR20050108667A (ko) 2005-11-17

Family

ID=3728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657A KR20050108667A (ko) 2004-05-12 2004-05-12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66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76B1 (ko) * 2004-12-28 2007-05-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상품의 인증 코드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장치
WO2007091854A1 (en) * 2006-02-08 2007-08-16 Kil-Soo Kim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ood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769215B1 (ko) * 2007-02-16 2007-10-23 (주)엠비원 패턴 코드를 이용한 상품 식별 방법
WO2012128976A3 (en) * 2011-03-18 2013-01-03 Name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ounterfeit authent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KR101323595B1 (ko) * 2012-06-29 2013-11-01 주식회사 카스 저울교정이력 확인단말기, 저울교정이력 관리시스템 및 저울교정이력 확인방법
WO2013165175A1 (ko) * 2012-05-01 2013-11-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 패키징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KR101351352B1 (ko) * 2013-02-28 2014-01-15 서영호 위품방지를 위한 판매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043708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더몰 사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한 정품 인증 서버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76B1 (ko) * 2004-12-28 2007-05-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상품의 인증 코드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장치
WO2007091854A1 (en) * 2006-02-08 2007-08-16 Kil-Soo Kim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ood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769215B1 (ko) * 2007-02-16 2007-10-23 (주)엠비원 패턴 코드를 이용한 상품 식별 방법
US8931689B2 (en) 2011-03-18 2015-01-13 Name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ounterfeit authent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US8550336B2 (en) 2011-03-18 2013-10-08 Name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ounterfeit authent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WO2012128976A3 (en) * 2011-03-18 2013-01-03 Name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ounterfeit authent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s
WO2013165175A1 (ko) * 2012-05-01 2013-11-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 패키징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방법
KR101323595B1 (ko) * 2012-06-29 2013-11-01 주식회사 카스 저울교정이력 확인단말기, 저울교정이력 관리시스템 및 저울교정이력 확인방법
CN104205156A (zh) * 2012-06-29 2014-12-10 株式会社Cas 秤校正履历确认终端,秤校正履历管理系统以及秤校正履历确认方法
CN104205156B (zh) * 2012-06-29 2018-04-20 株式会社Cas 秤校正履历确认终端,秤校正履历管理系统以及秤校正履历确认方法
KR101351352B1 (ko) * 2013-02-28 2014-01-15 서영호 위품방지를 위한 판매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043708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더몰 사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한 정품 인증 서버 및 방법
CN106529661A (zh) * 2015-09-11 2017-03-22 株式会社德茂 利用声音识别信息的正品认证服务器以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3592B (zh) 基于二维码的物品身份双码标识方法
AU2020286282A1 (en) Locker rental system using external codes
CN100370838C (zh) 在有接触或无接触交易中使用射频识别激励支付的系统和方法
US7752137B2 (en) Authentication and tracking system
US9558608B2 (en) Electronic locker right acquisition via an external system
US20190347888A1 (en) Document authentication system
GB2456055A (en)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tag
JP4941860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
JP2004252621A (ja) 偽造品の市場流通を防止する製品認証システム
CN103745345A (zh) 应用于交易平台实现金融信息分级安全处理的系统及方法
CN101807285A (zh) 一种交互式动态防伪与验证的方法
GB2447632A (en) Authentication means using transmitted verification code
WO2020057449A1 (zh) 二维码识别商品互动式交易服务方法和系统
CN109461046A (zh) 商品互动式交易服务方法和系统
KR20050108667A (ko) 상품고유코드를 이용한 상품위조방지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N108650279A (zh) 网络信息安全获取方法及网络交易方法及网络安全系统
CN209149354U (zh) 二维码识别商品互动式交易服务系统
CN101159055A (zh) 一种通过网络实现产品信息多级跟踪的防伪系统和对消费者进行奖励的方法
CN102819801B (zh) 一种针对防伪设备的验伪系统
WO2002027424A2 (en) Immediate lottery processing system via internet and method therefor
CN109003097A (zh) 一种产品防伪方法
KR100716676B1 (ko) 상품의 인증 코드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장치
KR20100070115A (ko) 정품 인증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0399346C (zh) 合址认证系统及方法和自动认证装置
CN108694585A (zh) 复合型身份认证的网络交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