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850A -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850A
KR20050107850A KR1020040032595A KR20040032595A KR20050107850A KR 20050107850 A KR20050107850 A KR 20050107850A KR 1020040032595 A KR1020040032595 A KR 1020040032595A KR 20040032595 A KR20040032595 A KR 20040032595A KR 20050107850 A KR20050107850 A KR 2005010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global
local
mobile station
multiple inte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673B1 (ko
Inventor
윤원동
김영근
김평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673B1/ko
Priority to CNA2005100701981A priority patent/CN1697456A/zh
Priority to US11/125,337 priority patent/US20050271032A1/en
Publication of KR2005010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2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 H05B41/23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 H05B41/23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for high-pressure l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92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2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23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abnormal power supply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77Multiple interfaces, e.g. multihomed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 방법은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주소를 사용하여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스테이션은 다중 인터페이스들마다의 IP 주소를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t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interface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WLAN(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는 무선 통신에 관한 여러 가지 규격들이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규격들이 존재하는 이유는 각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의 지원 영역, 품질, 요금 등이 서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가장 넓은 영역을 지원하는 3GPP 규격은 주로 이동 전화에 사용되고, 중간 정도 규모의 영역을 지원하는 WLAN 규격은 중 사무소 내 기기들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고, 가장 좁은 영역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규격은 댁 내 기기들의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3GPP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3GPP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101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MS, Mobile Station)(11)은 활성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 요청(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BSS/UTRAN(Base Station Subsystem/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Radio Access Network)(12)를 경유하여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12)으로 송신한다.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의 PDP 주소 필드에는 아무 것도 기록되지 않는다. 이어서, SGSN(3)는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102 단계에서 SGSN(13)는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Create PDP context request)를 3GPP 백본을 경유하여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14)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GGSN(14)는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터페이스 아이디(interface identifier)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기반으로 다시 링크 로컬 IP 주소(link local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생성한다. 이때, GGSN(14)은 GGSN(14) 내부의 인터페이스 아이디 풀(interface identifier pool)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아이디들을 GGSN(14)이 관리하는 이동 스테이션들에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한다. 라우터의 일종인 GGSN(14)이 주소를 생성하여 할당하는 경우이므로 스테이트풀 주소 구성(stateful address configuration) 방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링크 로컬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는 필요 없다.
103 단계에서 GGSN(14)는 링크 로컬 IP 주소를 포함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3GPP 백본을 경유하여 SGSN(13)으로 송신한다. 링크 로컬 IP 주소는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의 PDP 주소 필드에 기록된다. 이어서, SGSN(13)은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로부터 링크 로컬 IP 주소를 추출한다.
104 단계에서 SGSN(13)은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Activate PDP Context Accept) 메시지를 BSS/UTRAN(12)를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11)으로 송신한다. 링크 로컬 IP 주소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의 PDP 주소 필드에 기록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션(11)은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로부터 링크 로컬 IP 주소를 추출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션(11)은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로부터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추출한다.
105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1)은 이동 스테이션(1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network prefix)를 요청하는 라우터 요청(router solicitation) 메시지를 BSS/UTRAN(12) 및 SGSN(13)를 경유하여 GGSN(14)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GGSN(14)는 라우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106 단계에서 GGSN(14)는 이동 스테이션(1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라우터 광고(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SGSN(13) 및 BSS/UTRAN(12)를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11)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션(11)은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우터 광고 메시지로부터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추출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션(11)은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조합하여 글로벌 IP 주소(global IP address)를 생성한다.
107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1)은 글로벌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 (Duplicate Address Detection)를 하기 위하여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이웃 요청(neighbor request) 메시지를 BSS/UTRAN(12) 및 SGSN(13)를 경유하여 GGSN(14)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GGSN(14)는 이웃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웃 요청 메시지를 폐기한다. 이 글로벌 IP 주소는 이미 중복 주소 검사 과정을 통하여 유일하다고 결정된 링크 로컬 IP 주소로부터 추출된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IP 주소는 유일한 것이다. 따라서, 글로벌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는 필요 없으므로, GGSN(14)는 수신된 이웃 요청 메시지를 폐기한다.
108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기반으로 PDP 컨텍스트 수정 절차를 수행한다.
도 2는 종래의 WLAN 통신 방법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WLAN 통신 방법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201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21)은 링크 로컬 IP 주소를 임의적으로 생성하고, 링크 로컬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를 하기 위하여 링크 로컬 IP 주소를 포함하는 이웃 요청 메시지를 AP(Access Point)(22)를 경유하여 AR(Access Router)(23)으로 송신한다. 이동 스테이션(21)이 임의적으로 주소를 생성하는 경우이므로 스테이트리스 주소 구성(stateless address configuration) 방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링크 로컬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를 하여야 한다. 이어서, AR(23)은 이웃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웃 요청 메시지로부터 링크 로컬 IP 주소를 추출한다.
202 단계에서 AR(23)은 링크 로컬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를 하고, 링크 로컬 IP 주소가 중복 주소이면, 이웃 광고(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AP(Access Point)(22)를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21)으로 송신한다.
203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21)은 이동 스테이션(2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요청하는 라우터 요청 메시지를 AP(22)를 경유하여 AR(23)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AR(23)은 라우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204 단계에서 AR(23)은 이동 스테이션(2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AP(22)를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21)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션(21)은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우터 광고 메시지로부터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추출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션(21)은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조합하여 글로벌 IP 주소(global IP address)를 생성한다.
205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21)은 글로벌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를 하기 위하여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이웃 요청 메시지를 AP(22)를 경유하여 AR(23)로 송신한다. 이어서, AR(23)은 이웃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웃 요청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IP 주소를 추출한다.
206 단계에서 AR(23)은 글로벌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를 하고, 링크 로컬 IP 주소가 중복 주소이면, 이웃 광고 메시지를 AP(22)를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21)으로 송신한다.
이 글로벌 IP 주소는 이미 중복 주소 검사 과정을 통하여 유일하다고 결정된 링크 로컬 IP 주소로부터 추출된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IP 주소는 유일한 것이다. 따라서, 글로벌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는 필요 없으므로, 205 단계 및 206 단계는 생략되기도 한다.
만일 어떤 이동 스테이션이 3GPP 인터페이스, WLAN 인터페이스, 및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구비하고 있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절차에 따라 IP 주소를 획득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 이동 스테이션에 지나치게 많은 IP 주소가 할당되고, 별도의 절차를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중복 주소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것으로 인하여 패킷 손실 및 퍼포먼스(performance)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GGSN이 링크 로컬 IP 주소를 생성하여 이동 스테이션에 제공하기 때문에 링크 로컬 IP 주소의 유일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아이디 풀을 부단히 관리하여야 하고, 인터페이스 아이디 풀의 용량 한계로 인하여 GGSN에 연결되는 이동 스테이션들의 수를 제한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스테이션이 다중 인터페이스들마다의 IP 주소를 생성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나아가 GGSN 내부의 인터페이스 아이디 풀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 방법은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 장치는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획득하는 주소 획득부; 및 상기 주소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주소 획득 방법은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답으로부터 상기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소 제공 방법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주소를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통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은 이동 스테이션(1), RBS(Radio Base Station)(2), SGSN(3), GGSN(4), AP(5), AR(6), AP(7), 및 AR(8)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은 이해를 돕기 위해 아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 구현될 통신 환경은 상기된 장치들 이외에도 많은 다른 장치들이 추가된다.
이동 스테이션(1)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다.
RBS(2)은 3GPP 규격을 따르며, RBS(2)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유효 거리, 즉 RBS(2)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있는 이동 스테이션(1)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RBS(2)가 관리하는 영역을 BSS/UTRAN이라 한다. SGSN(3)은 3GPP 규격을 따르며, RBS(2)와 GGSN(4)의 중간 지점에서 3GPP 백본을 경유하여 RBS(2)와 GGSN(4)을 연결시킨다. GGSN(4)는 3GPP 규격을 따르며, SGSN(3)을 외부의 패킷 기반의 네트워크, 즉 인터넷에 연결한다.
AP(5)은 WLAN 규격을 따르며, AP(5)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유효 거리, 즉 AP(5)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있는 이동 스테이션(1)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AP(5)가 관리하는 영역을 BSS(Basic Service Set)라 한다. AR(6)은 WLAN 규격을 따르며, AP(5)을 외부의 패킷 기반의 네트워크, 즉 인터넷에 연결한다.
AP(7)은 블루투스 규격을 따르며, AP(7)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유효 거리, 즉 AP(7)가 관리하는 영역 내에 있는 이동 스테이션(1)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AP(7)가 관리하는 영역을 피코넷(piconet)이라 한다. AR(8)은 블루투스 규격을 따르며, AP(7)을 외부의 패킷 기반의 네트워크, 즉 인터넷에 연결한다.
이동 스테이션(1)의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통신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만 서비스 받을 수도 있고, 여러 개를 동시에 서비스 받을 수도 있다. 가장 신호 강도가 강한 통신 서비스가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의 용도, 품질, 및 요금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통신 서비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의 다중 인터페이스들은 3GPP 인터페이스와 WLAN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3GPP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의 다중 인터페이스들은 3GPP 인터페이스와 무선 통신을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들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인터페이스 정보 추출부(43), 로컬 주소 생성부(44), 글로벌 주소 획득부(45), 및 통신 수행부(4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스테이션(1)의 네트워크 계층 이상의 상위 계층에 탑재된다. 이동 스테이션(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 외에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된다. 이 다중 인터페이스들은 링크 계층 이하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이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외부와 통신한다.
인터페이스 정보 추출부(43)는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로부터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란 IEEE 802 규격 상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말한다. MAC 주소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제조 회사에 의해 부여된 48 비트 물리적 주소로서,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 내부의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다. 즉, 인터페이스 정보 추출부(43)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 내부의 레지스터로부터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를 읽어온다.
로컬 주소 생성부(44)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를 기반으로 로컬 주소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컬 주소란 3GPP 인터페이스(41) 또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를 통한 로컬 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IPv6 규격 상의 링크 로컬 IP 주소를 말한다. 즉, 로컬 주소는 3GPP 인터페이스(41) 또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이동 스테이션(1)이 현재 위치한 링크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주소를 말한다.
즉, 로컬 주소 생성부(44)는 IPv6 규격 상의 링크 로컬 프리픽스 FE80::와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를 조합하여 링크 로컬 IP 주소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링크 로컬 IP 주소 128 비트는 링크 로컬 프리픽스 FE80:: 64비트와 인터페이스 아이디 64비트로 구성되며, 인터페이스 아이디 64비트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의 전반부 24 비트, FFFE 16비트, 및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의 후반부 24 비트로 구성된다.
글로벌 주소 획득부(45)는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 즉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글로벌 통신들 모두에 사용 가능한 글로벌 주소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글로벌 주소란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글로벌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IPv6 규격 상의 글로벌 IP 주소(global IP address)를 말한다. 즉, 글로벌 IP 주소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인터넷 전체에서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글로벌 IP 주소 128 비트는 네트워크 프리픽스 64비트와 인터페이스 아이디 64비트로 구성되며, 인터페이스 아이디 64비트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의 전반부 24 비트, FFFE 16비트, 및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의 후반부 24 비트로 구성된다. 이 인터페이스 아이디는 로컬 주소 생성부(44)에서 생성된 링크 로컬 IP 주소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링크 로컬 IP 주소의 링크 로컬 프리픽스 FE80::를 이동 스테이션(1)이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 프리픽스로 교체함으로서 링크 로컬 IP 주소를 글로벌 IP 주소로 변환할 수 있다.
즉, 글로벌 주소 획득부(45)는 로컬 주소 생성부(44)에서 생성된 로컬 주소를 글로벌 주소를 생성하는 외부 장치에 제공함으로서 이 외부 장치로부터 글로벌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글로벌 주소 획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글로벌 주소 획득부(45)는 서브넷 확인부(51), 글로벌 주소 요청부(52), 응답 수신부(53), 및 글로벌 주소 추출부(54)로 구성된다.
서브넷 식별부(51)는 이동 스테이션(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을 식별한다. 즉, 서브넷 식별부(51)는 이동 스테이션(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검사함으로서 서브넷을 식별할 수 있다.
글로벌 주소 요청부(52)는 이동 스테이션(1)이 글로벌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서브넷 식별부(51)에 의해 이전에 식별된 서브넷과 현재 식별된 서브넷이 다른 경우, 즉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가 변경된 경우에는 외부 장치가 글로벌 주소를 생성할 것을 요청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GGSN(4)이다. GGSN(4)은 이동 스테이션(1)으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인터넷으로 라우팅하는 라우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동 스테이션(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는 알고 있다. 그러나, GGSN(4)은 이동 스테이션(1)에 탑재된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생성된 인터페이스 아이디는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이동 스테이션(1)은 GGSN(4)에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제공하여야 한다.
즉, 글로벌 주소 요청부(52)는 로컬 주소 생성부(44)에서 생성된 로컬 주소를 포함하는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면, 글로벌 주소 요청부(52)는 로컬 주소 생성부(44)에서 생성된 링크 로컬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SGSN(3)으로 송신한다. 이 SGSN(3)과 GGSN(4)는 3GPP 백본으로 연결되어 있다.
응답 수신부(53)는 글로벌 주소 요청부(52)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즉, 응답 수신부(53)는 글로벌 주소 요청부(52)에서 송신된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로컬 주소로부터 변환된 글로벌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면, 응답 수신부(53)는 글로벌 주소 요청부(52)에서 송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로컬 IP 주소에 대응하는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SGSN(3)으로부터 수신한다.
글로벌 주소 추출부(54)는 응답 수신부(53)에 수신된 응답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주소를 추출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면, 글로벌 주소 추출부(54)는 응답 수신부(53)에 수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IP 주소를 추출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수행부(46)는 글로벌 주소 획득부(45)에서 획득된 글로벌 주소, 즉 글로벌 주소 추출부(54)에서 추출된 글로벌 주소를 사용하여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 즉 3GPP 인터페이스(41) 또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를 통한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수행부(46)는 SGSN(3) 등을 경유하여 GGSN(4)으로부터 로컬 주소가 중복 주소라는 정보를 수신하면, 중복 주소 처리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스테이트풀 주소 구성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중복되지 않는 주소를 할당받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장치는 글로벌 주소 요청 수신부(61), 로컬 주소 추출부(62), 중복 주소 검사부(63), 글로벌 주소 생성부(64), 글로벌 주소 송신부(65), 및 중복 정보 송신부(6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GGSN(4)에 탑재된다.
글로벌 주소 요청 수신부(61)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스테이션(1)에 의해 제안된 글로벌 주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즉, 글로벌 주소 요청 수신부(61)는 이동 스테이션(1)에 의해 제안된, 로컬 주소가 포함된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면, 글로벌 주소 요청 수신부(61)는 SGSN(3)으로부터 3GPP 백본을 경유하여 링크 로컬 IP 주소가 포함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로컬 주소 추출부(62)는 글로벌 주소 요청 수신부(61)에 수신된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로부터 로컬 주소를 추출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면, 로컬 주소 추출부(62)는 글로벌 주소 요청 수신부(61)에 수신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로부터 링크 로컬 IP 주소를 추출한다.
중복 주소 검사부(63)는 로컬 주소 추출부(62)에서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가 이동 스테이션(1)을 제외한 다른 이동 스테이션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링크 로컬 IP 주소, 즉 중복 주소인지를 검사한다. 중복 주소 검사부(63)는 이전에 로컬 주소 추출부(62)에서 추출되었던 링크 로컬 IP 주소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서 로컬 주소 추출부(62)에서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가 중복 주소인지를 알 수 있다.
종래의 GGSN(14)은 GGSN(14) 내부의 인터페이스 아이디 풀(interface identifier pool)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아이디들을 GGSN(14)이 관리하는 이동 스테이션들에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하였다. 라우터의 일종인 GGSN(14)이 주소를 생성하여 할당하는 경우이므로 스테이트풀 주소 구성 방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링크 로컬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는 필요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스테이션(1)이 임의적으로 링크 로컬 IP 주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스테이트리스 주소 구성 방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GGSN(4)은 중복 주소 검사를 하여야 한다.
글로벌 주소 생성부(64)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를 기반으로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글로벌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글로벌 주소를 생성한다. 즉, 글로벌 주소 생성부(64)는 중복 주소 검사부(63)에 의해 다른 이동 스테이션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링크 로컬 IP 주소가 아닌 것으로 검사된 경우, 로컬 주소 추출부(62)에서 추출된 로컬 주소를 글로벌 주소로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글로벌 주소 생성부(64)는 로컬 주소 추출부(62)에서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의 링크 로컬 프리픽스 FE80::를 이동 스테이션(1)이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 프리픽스로 교체함으로서 링크 로컬 IP 주소를 글로벌 IP 주소로 변환한다. 이 글로벌 IP 주소는 이미 중복 주소 검사 과정을 통하여 유일하다고 결정된 링크 로컬 IP 주소로부터 추출된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IP 주소는 유일한 것이다. 따라서, 글로벌 IP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사는 필요 없다.
글로벌 주소 송신부(65)는 글로벌 주소 생성부(64)에서 생성된 글로벌 주소를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으로 송신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면, 글로벌 주소 송신부(65)는 글로벌 주소 생성부(64)에서 생성된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SGSN(3)으로 송신한다. SGSN(3)은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IP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이동 스테이션(1)으로 송신한다.
중복 정보 송신부(76)는 중복 주소 검사부(73)에서의 검사 결과에 관한 정보, 즉 이동 스테이션(1)으로부터 송신된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로컬 IP 주소가 중복 주소인지에 관한 정보를 SGSN(3) 등을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1)으로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에서의 시계열적 처리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사항은 도 7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71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로부터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란 IEEE 802 규격 상의 MAC 주소를 말한다.
72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를 기반으로 로컬 주소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컬 주소란 3GPP 인터페이스(41) 또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를 통한 로컬 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IPv6 규격 상의 링크 로컬 IP 주소를 말한다. 즉, 72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링크 로컬 IP 주소를 생성한다.
73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SGSN(3) 등을 경유하여 GGSN(4)으로부터 로컬 주소가 중복 주소라는 정보를 수신한다.
73 단계에서 중복 주소라는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74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 즉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글로벌 통신들 모두에 사용 가능한 글로벌 주소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글로벌 주소란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글로벌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IPv6 규격 상의 글로벌 IP 주소를 말한다. 즉, 74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72 단계에서 생성된 로컬 주소를 글로벌 주소를 생성하는 GGSN(4)에 제공함으로서 GGSN(4)로부터 글로벌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75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74 단계에서 획득된 글로벌 주소를 사용하여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 즉 3GPP 인터페이스(41) 또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를 통한 통신을 수행한다.
73 단계에서 중복 주소라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76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중복 주소 처리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74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74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74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글로벌 주소 획득부에서의 시계열적 처리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통신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사항은 도 8에 도시된 74 단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81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이 글로벌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지를 확인하고, 이동 스테이션(1)은 이동 스테이션(1)이 현재 위치한 서브넷을 식별한다.
81 단계에서 글로벌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거나, 이전에 식별된 서브넷과 현재 식별된 서브넷이 다른 경우, 즉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가 변경된 경우, 82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외부 장치가 글로벌 주소를 생성할 것을 요청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면, 82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72 단계에서 생성된 링크 로컬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SGSN(3)으로 송신한다.
83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82 단계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즉, 83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82 단계에서 송신된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로컬 주소로부터 변환된 글로벌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면, 83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81 단계에서 송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로컬 IP 주소에 대응하는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SGSN(3)으로부터 수신한다.
84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응답 수신부(53)에 수신된 응답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주소를 추출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면, 84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83 단계에서 수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IP 주소를 추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글로벌 주소 제공 장치에서의 시계열적 처리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글로벌 주소 제공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사항은 도 9에 도시된 글로벌 주소 제공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91 단계에서 GGSN(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스테이션(1)에 의해 제안된 글로벌 주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즉, 91 단계에서 GGSN(4)는 이동 스테이션(1)에 의해 제안된, 로컬 주소가 포함된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면, 91 단계에서 GGSN(4)는 SGSN(3)으로부터 3GPP 백본을 경유하여 링크 로컬 IP 주소가 포함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92 단계에서 GGSN(4)는 91 단계에서 수신된 글로벌 주소 요청 메시지로부터 로컬 주소를 추출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면, 92 단계에서 GGSN(4)는 91 단계에서 수신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로부터 링크 로컬 IP 주소를 추출한다.
93 단계에서 GGSN(4)는 92 단계에서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가 이동 스테이션(1)을 제외한 다른 이동 스테이션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링크 로컬 IP 주소, 즉 중복 주소인지를 검사한다. 93 단계에서 GGSN(4)는 이전에 추출되었던 링크 로컬 IP 주소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서 92 단계에서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가 중복 주소인지를 알 수 있다.
94 단계에서 GGSN(4)는 WLAN(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2)의 정보를 기반으로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글로벌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글로벌 주소를 생성한다. 즉, 94 단계에서 GGSN(4)는 93 단계에 의해 다른 이동 스테이션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링크 로컬 IP 주소가 아닌 것으로 검사된 경우, 92 단계에서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를 글로벌 IP 주소로 변환한다.
95 단계에서 GGSN(4)는 94 단계에서 생성된 글로벌 주소를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1)으로 송신한다. 3GPP 규격 용어를 사용하면, 95 단계에서 GGSN(4)는 94 단계에서 생성된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3GPP 백본을 경유하여 SGSN(3)으로 송신한다.
96 단계에서 GGSN(4)는 93 단계에 의해 다른 이동 스테이션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링크 로컬 IP 주소인 것으로 검사된 경우, 링크 로컬 IP 주소가 중복 주소라는 정보를 SGSN(3) 등을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1)으로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GPP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GPP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111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링크 로컬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BSS/UTRAN(2), 즉 RBS(2) 등을 경유하여 SGSN(3)으로 송신한다. 링크 로컬 IP 주소는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의 PDP 주소 필드에 기록된다. 이어서, SGSN(3)는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로부터 링크 로컬 IP 주소를 추출한다.
112 단계에서 SGSN(3)는 추출된 링크 로컬 IP 주소를 포함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3GPP 백본을 경유하여 GGSN(4)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GGSN(4)는 링크 로컬 IP 주소가 포함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로부터 링크 로컬 IP 주소를 추출한다. 이어서, 링크 로컬 IP 주소가 중복 주소인지를 검사한다. 이어서, 중복 주소가 아닌 것으로 검사된 경우, 링크 로컬 IP 주소를 글로벌 IP 주소로 변환한다.
113 단계에서 GGSN(4)는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3GPP 백본을 경유하여 SGSN(3)으로 송신한다. 글로벌 IP 주소는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의 PDP 주소 필드에 기록된다. 이어서, SGSN(3)은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IP 주소를 추출한다.
114 단계에서 SGSN(3)은 추출된 글로벌 IP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BSS/UTRAN(2), 즉 RBS(2) 등을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1)으로 송신한다. 글로벌 IP 주소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의 PDP 주소 필드에 기록된다. 이어서, 이동 스테이션(1)은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로부터 글로벌 IP 주소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3GPP 통신 방법에서는 종래의 3GPP 통신 방법에서 요구되었던 115 단계, 116 단계, 및 117 단계들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동 스테이션(1)은 GGSN(1)에 의해 생성된 글로벌 IP 주소를 이미 제공받았기 때문에 글로벌 IP 주소 생성을 위한 절차인 115 단계, 116 단계, 및 117 단계들을 더 이상 수행할 필요가 없다.
118 단계에서 이동 스테이션(1)은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기반으로 PDP 컨텍스트 수정 절차를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WLAN(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WLAN(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은 종래의 WLAN(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에서 요구되었던 211 단계, 212 단계, 213 단계들, 214 단계, 215 단계들, 및 216 단계들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동 스테이션(1)은 링크 로컬 IP 주소를 생성하였고, GGSN(1)로부터 중복 주소 검사를 받았다. 따라서, 링크 로컬 IP 주소 생성을 위한 절차인 211 단계 및 212 단계들을 더 이상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동 스테이션(1)은 GGSN(1)에 의해 생성된 글로벌 IP 주소를 이미 제공받았기 때문에 글로벌 IP 주소 생성을 위한 절차인 213 단계들, 214 단계, 215 단계들, 및 216 단계들을 더 이상 수행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GGSN이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생성하여 이동 스테이션에 제공함으로서 이동 스테이션은 다중 인터페이스들마다의 IP 주소를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즉, 한 이동 스테이션에 지나치게 많은 IP 주소가 할당되고, 다중 인터페이스들마다의 IP 주소 생성을 위한 별도의 절차를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같은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갖는 서브넷 내에서 다른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계속 동일한 주소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많은 패킷 손실 및 퍼포먼스 저하 등을 야기하는 중복 주소 검사를 다시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신뢰도가 높고 신속한 통신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스테이션이 링크 로컬 IP 주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GGSN 내부의 인터페이스 아이디 풀을 관리할 필요가 없게 되었고, 인터페이스 아이디 풀의 용량 한계로 인하여 GGSN에 연결되는 이동 스테이션들의 수를 제한하여야 한다는 문제점도 해결된다.
도 1은 종래의 3GPP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WLAN 통신 방법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글로벌 주소 획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74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주소 제공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GPP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WLAN(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20)

  1.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외부 장치에 의해 생성된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3GPP 규격 상의 GGS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로컬 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로컬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생성된 로컬 주소로부터 변환된 글로벌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IEEE 802 규격 상의 MAC 주소이고, 상기 로컬 주소는 IPv6 규격 상의 링크 로컬 IP 주소이고, 상기 글로벌 주소는 IPv6 규격 상의 글로벌 IP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은 3GPP 인터페이스 및 WL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는 WLAN 인터페이스이거나,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은 3GPP 인터페이스 및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획득하는 주소 획득부; 및
    상기 주소 획득부에서 획득된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주소 획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응답으로부터 상기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외부 장치가 글로벌 주소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3GPP 규격 상의 GGS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로컬 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로컬 주소를 포함하는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로컬 주소로부터 변환된 글로벌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SGSN에 대해서 상기 로컬 주소를 포함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신된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에 대응되는 활성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IEEE 802 규격 상의 MAC 주소이고, 상기 로컬 주소는 IPv6 규격 상의 링크 로컬 IP 주소이고, 상기 글로벌 주소는 IPv6 규격 상의 글로벌 IP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a)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중 인터페이스들 중 소정의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통신들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주소를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테이션에 의해 제안된 상기 주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주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로컬 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로컬 주소로부터 글로벌 주소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소가 상기 이동 스테이션을 제외한 다른 이동 스테이션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로컬 주소인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미 사용하고 있는 로컬 주소가 아닌 것으로 검사되면 상기 글로벌 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제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IEEE 802 규격 상의 MAC 주소이고, 상기 로컬 주소는 IPv6 규격 상의 링크 로컬 IP 주소이고, 상기 글로벌 주소는 IPv6 규격 상의 글로벌 IP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글로벌 주소를 포함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SGSN을 경유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주소 제공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32595A 2004-05-10 2004-05-10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10060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95A KR100601673B1 (ko) 2004-05-10 2004-05-10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CNA2005100701981A CN1697456A (zh) 2004-05-10 2005-05-10 在具有多个接口的移动站中的通信方法和装置
US11/125,337 US20050271032A1 (en) 2004-05-10 2005-05-10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interf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95A KR100601673B1 (ko) 2004-05-10 2004-05-10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850A true KR20050107850A (ko) 2005-11-16
KR100601673B1 KR100601673B1 (ko) 2006-07-14

Family

ID=3534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595A KR100601673B1 (ko) 2004-05-10 2004-05-10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271032A1 (ko)
KR (1) KR100601673B1 (ko)
CN (1) CN16974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41B1 (ko) * 2006-12-08 2008-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0909014B1 (ko) * 2006-11-08 2009-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동적 ip주소 할당방법
KR100924835B1 (ko) * 2007-09-19 2009-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US7873003B2 (en) 2006-11-08 2011-01-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o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7599B2 (en) * 2005-09-26 2010-10-19 Motorola-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mless mobility across multicast domains
KR100684612B1 (ko) 2006-03-07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게이트웨이
KR100773822B1 (ko) * 2006-03-20 2007-11-0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효율적인 IPv6용 IP 주소 할당을 위한 전화 접속네트워킹 방법
KR100739803B1 (ko) * 2006-04-2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20080013539A1 (en) * 2006-06-23 2008-01-17 Nokia Corporation Dynamic radio interface grouping
EP1914954B1 (de) * 2006-10-17 2020-02-12 Swisscom AG Verfahren und system zur übertragung von datenpaketen
US8385263B2 (en) * 2006-12-27 2013-02-26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domain managing device, ed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CN101547383B (zh) * 2008-03-26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认证方法及接入认证系统以及相关设备
US20100303027A1 (en) * 2008-06-13 2010-12-02 Media Patents, S.L. Method for sending data packets in a data network during handover of a mobile node
US8073007B2 (en) * 2008-06-24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IPv6 address configuration
US8316137B2 (en) * 2008-06-24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IPv6 uniqueness in a mobile subnetted environment
US8549117B2 (en) * 2009-11-05 2013-10-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address translator traversal in 3GPP networks
KR101325807B1 (ko) * 2009-12-17 2013-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브이식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용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9936473B2 (en) 2011-05-03 2018-04-0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interfaces
US20130003600A1 (en) * 2011-06-29 2013-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Interfaces Communicatively Coupled to Link-Local Zones in a Network
JP2013162307A (ja) * 2012-02-03 2013-08-19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5577847A (zh) * 2015-12-14 2016-05-11 邦彦技术股份有限公司 Ip地址生成方法及装置
KR20200116285A (ko) * 2019-04-01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77296A1 (en) * 2020-05-29 2021-12-02 Avaya Management L.P.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ing, reporting, and preventing duplicate address detection attack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0704B1 (en) * 1999-08-26 2003-06-17 Nokia Corporation Direct mod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wo mobile terminals in access point controlled wireless LAN systems
FI109950B (fi) * 2000-01-20 2002-10-31 Nokia Corp Osoitteen saanti
US7650424B2 (en) * 2000-04-04 2010-01-19 Alcatel-Lucent Usa Inc. Supporting mobile hosts o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JP3739260B2 (ja) * 2000-08-24 2006-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
US20030026230A1 (en) * 2001-08-02 2003-02-06 Juan-Antonio Ibanez Proxy duplicate address detection for dynamic address allocation
FI114276B (fi) * 2002-01-11 2004-09-15 Nokia Corp Verkkovierailun järjestäminen
US20030112794A1 (en) * 2001-12-19 2003-06-19 Bollapragada Manohar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PDP contexts with a single PDP address at a GGSN
KR100796865B1 (ko) * 2001-12-31 2008-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425325B1 (ko) * 2002-04-13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nat를 이용한 모바일 ip 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7050416B2 (en) * 2002-05-14 2006-05-23 Thomson Licensing Technique for I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devices
US7065367B2 (en) * 2002-07-11 2006-06-20 Oliver Michaelis Interface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424810B1 (en) * 2002-11-29 2007-08-22 Motorola, Inc.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therefore
US7463605B2 (en) * 2002-12-06 2008-12-09 Alcatel Lucent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local mobility management in a heterogeneous radio communication network
JP2004222043A (ja) * 2003-01-16 2004-08-0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8005070B2 (en) * 2003-03-12 2011-08-23 Lon Communication Mgmt. Llc Extension of a local area phone system to a wide area network with handoff features
US7610047B2 (en) * 2003-06-06 2009-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voice and data services utilizing wired cordless access with unlicensed/unregulated spectrum and wired access with licensed/regulated spectru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014B1 (ko) * 2006-11-08 2009-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동적 ip주소 할당방법
US7873003B2 (en) 2006-11-08 2011-01-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o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60541B1 (ko) * 2006-12-08 2008-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0924835B1 (ko) * 2007-09-19 2009-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7456A (zh) 2005-11-16
KR100601673B1 (ko) 2006-07-14
US20050271032A1 (en)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673B1 (ko)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100750370B1 (ko) 어드레스 획득
US200500186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P addresses of access terminals and transmitting messages for generation of IP addresses in an IP system
KR101375540B1 (ko)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0739803B1 (ko)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20070097971A1 (en) Method of generating and managing connection identifiers for supporting multicast for each group in IPv6-based wireless network and network interface using the method
US20040037242A1 (en) Allocating addresses to mobile stations
US20080069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information serve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data format of message therefor
US20130034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Network Configuration
KR100765795B1 (ko) 이동 노드로 핸드오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0479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4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4796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4797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5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51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044945B1 (ko) 정보 서버에서 이동 단말로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위한 정보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80051012A (ko)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주소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20080031886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20080031707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2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0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3200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3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4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