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835B1 -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835B1
KR100924835B1 KR1020070112315A KR20070112315A KR100924835B1 KR 100924835 B1 KR100924835 B1 KR 100924835B1 KR 1020070112315 A KR1020070112315 A KR 1020070112315A KR 20070112315 A KR20070112315 A KR 20070112315A KR 100924835 B1 KR100924835 B1 KR 10092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essage
user terminal
glob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189A (ko
Inventor
천경열
신재욱
박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8/0040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38280A1/en
Publication of KR2009003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92Address allocation by self-assignment, e.g. picking addresses at random and testing if they are already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7Adaptation for transition between two IP versions, e.g. between IPv4 and 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9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addresses

Abstract

UMTS망에서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망이 연동하는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전역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망에 위치한 노드가 제2망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패킷 호 설정 요구를 받는 단계; 및 노드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전역주소 및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한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메시지를 만들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Ipv6 global address}
본 발명은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IPv6 전역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통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5-S-404-33, 과제명: 3G Evolution 단말 기술 개발].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주소에는 크게 물리적으로 연결된 링크 내에서 유일한 링크-지역(link-local) 주소와 전역적으로 유일한 전역(global) 주소가 있다. IPv6를 사용하는 기기 혹은 단말은 이 두 가지 주소를 가져야 하며, 두 주소는 자동 생성(auto-configuration)을 통해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IPv6 주소는 총 128 비트(bit)로서 64비트의 프리픽스(prefix)와 64비트의 인터페이스 ID로 구성된다. 또한 자동 생성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사용하는 할당에 의한 자동 생성(stateful auto-configuration)과 단말이 자동 생성하는 임의 자동 생성(Stateless auto-configuration)이 있는데, 이 중 임의 자동 생성을 수행할 때 링크-지역 주소의 경우, 단말은 이미 지정된 프리픽스(fe80:: )에 자동 생성된 유일한 인터페이스 ID를 이용하여 주소를 설정한다. 전역 주소의 경우는 인접 라우터에서 받은 RA(Router Advertisement)를 통해 전역 주소에서 사용할 프리픽스를 얻고 링크-지역 주소 생성에 사용했던 유일한 인터페이스 ID를 이용하여 전역 주소를 구성한다. 이때 RA를 통해 디폴트 라우터(Default Router) 및 생존시간(lifetime) 등의 변수도 설정할 수 있다. RA 메시지는 라우터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단말은 RA를 요청하기 위해 RS(Router Solicitation) 메시지를 라우터로 전송할 수 있다.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도 이와 같은 IPv6 프로토콜을 규격에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관련된 호처리 절차를 기술하고 있다. 기존 릴리즈(Release) 6 및 7 기반의 3GPP UMTS에서는 단말의 호 설정 및 IP 주소 할당을 위해 PDP(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 활성(context activation)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만약 IPv6 주소를 할당해야 할 경우 PDP 콘텍스트 활성 수락(context activation accept) 메시지 내의 PDP 타입을 IPv6로 지정하고 주소 정보(Address Information) 필드에 단말이 IPv6 주소의 링크 지역 주소에 사용할 인터페이스 ID를 넣어서 전송한다. 단말은 GGSN(Gateway GPRS(Generalized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으로부터 받은 인터페이스 ID와 링크 지역 주소용으로 미리 정의된 프리픽스인 "fe80::"을 사용하여 ("fe80::" +인터페이스 ID)로 자신의 링크-지역 주소를 설정한다. 또한 PDP 콘텍스트 활성 절차를 수행한 이후 GGSN은 데이터 평면(Data Plane)을 통해 사용자 패킷 형태로 RA(Router advertisement)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이를 통해 전역 주소를 할당받게 된다. 즉, RA내의 프리픽스 정보와 이전에 받은 인터페이스 ID를 이용하여 (전역 프리픽스 + 인터페이스 ID)로 전역 주소를 생성한다. 단말은 신속한 호처리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 RS(Router Solicitation) 메시지를 GGSN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전역 주소를 획득한 후에 단말은 PDN(Packet Data Network) 즉 인터넷/인트라넷 상의 다른 노드들과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방식은 UMTS에서 PDP 콘텍스트 활성이 완료된 이후에도 외부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RA를 받을 때까지 대기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PRS/UMTS 에서는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위해 RA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지 않고 호 설정 직후에 전송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RA 메시지는 신뢰성있는 전달이 아닌 일반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이므로 망에서는 단말에 대한 RA 전달을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단말은 일정 시간 RA를 대기해도 없을 시에는 다시 RS를 전송하여 RA를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대기시간 동안 호 설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현재 무선통신의 추세이자 3GPP SAE/LTE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인 이슈로서 `Always on` 관점의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 개념이 적용되고 있다. 디폴트 베어러는 패킷 호 설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이동 단말이 전원을 켜서 망 접속 및 위치등록(Attach)을 하는 경우, 사용자 요청이 없더라도 미리 무선 접속 베어러(Radio Access Bearer)를 열어서 패킷 호를 설정해두는 개념이다. 이때 일정시간동안 사용자 패킷이 없을 경우 무선접속 베어러는 유지하되 물리적인 무선 자원, 즉,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만 해지함으로써 단말 접속 정보는 유지하되 무선자원만 관리하는 개념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단말이 초기 접속 후 디폴트 베어러를 생성하게 되면, UMTS에서 PDP 콘텍스트 활성(Context Activation) 이후에 RA를 받기 위해서 바로 무선 자원을 해지하지 못하고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RS/RA는 사용자 평면의 트래픽으로 인식되므로 설정 완료 시점을 확인할 수 없어 무선 자원 해지 시점을 즉시 파악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 관점에서 링크-지역 주소는 해당 링크 내에서만 유효한 주소이므로, 응용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역 주소를 할당받은 시점 이후에 다른 외부 IPv6 노드들과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UMTS에서는 PDP 콘텍스트 활성이 완료되는 시점, 즉 링크-지역 주소를 할당받은 시점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단말이 전역 주소를 할당받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는 시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역 주소 할당의 과정은 3GPP의 호처리 과정에 속하지 않는 IPv6 주소할당 규격에 따른 과정이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단말의 IP 전역주소 할당을 계속 모니터링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은 전역 주소의 할당 완료 시점까지 동작을 중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일체형 단말 구조에서는 쉽게 제어가 가능하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일반 휴대형 컴퓨터에 휴대폰을 접속하는 MT(Mobile Terminal)와 TE(Terminal Equipment)의 분리형 단말 구조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응용프로그램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UNTS 망에서 발생하는 IPv6 전역 주소 할당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3GPP의 패킷 호 설정 중 PDP 콘텍스트 활성시 콘텍스트 내에 전역 주소 할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링크-지역 주소와 전역 주소를 함께 설정하는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망이 연동하는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전역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망에 위치한 노드가 제2망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패킷 호 설정 요구를 받는 단계; 및 상기 노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전역주소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한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메시지를 만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버는 복수의 망에 연동하는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패킷 호 설정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역 주소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한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주소 정보 생성부;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패킷 호 설정을 위한 정보 생성을 요구하는 제1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주소 정보 생성부에 알리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주소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정보를 제2메시지로 만들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Pv6 전역 주소 할당 시스템은 무선 접속망에 패킷 호 설정을 위한 제1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무선접속망을 통해 수신한 제1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패킷 호 설정을 위한 정보 생성을 요구하는 제2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노드; 및 상기 제2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역 주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할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하는 제3메시지를 상기 제1노드에 전송하는 제2노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제3메시지로부터 얻는 상기 전역 주소 및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하는 제4메시지를 상기 제1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4메시지로부터 얻는 상기 전역 주소 및 게이트웨이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역 주소 및 게이트웨이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UMTS 망에서 발생하는 IPv6 전역 주소 할당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UMTS의 패킷 호 설정 중 PDP 콘텍스트 활성 시에 직접 전역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단말은 기존의 방식과 같이 UMTS 호 설정이 끝난 후 RA를 받을 때까지 대기할 필요 없이 호 설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전역주소를 할당받아서 사용자 패킷을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응용 프로그램 관점에서는 전역주소가 할당되는 시점을 빠르고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UMTS 호처리가 완료된 후 바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기존의 릴리즈 6 및 7 기반의 3GPP UMTS 에서는 단말이 링크-지역 IP 주소 할당을 위해 PDP 콘텍스트 활성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3GPP R7 기반의 UMTS 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1), 무선 접속망인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 및 핵심망(core network)(3)으로 구성된다. 핵심망(3)은 패킷교환을 지원하는 노드인 SGSN(Serving GPRS Support Network)(31)과 인터넷과 같은 외부 패킷 데이터망과의 연결을 담당하는 노드인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32)을 포함한다.
여기서, SAE/LTE 시스템인 경우 UTRAN(2)은 E(Evolved)-UTRAN, SGSN(31)은 서비스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GGSN(32)은 PDN(Public Data Network) 게이트웨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는 GGSN(32)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시된 GGSN(32)는 제어부(321)와 주소정보생성부(322)를 포함한다. 제어부(321)는 SGSN(31)과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고, 주소정보 생성부(322)는 제어부(321)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1)의 전역주소 및 사용자 단말기(1)가 사용할 게이트웨이 주소 등의 정보를 생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UE(1)는 UTRAN(2)을 통해 SGSN(31)에 패킷 호(call) 설정을 요구하는PDP 콘텍스트 활성 요구(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21단 계). PDP 콘텍스트는 GPRS에서 패킷 전송을 위해 패킷 교환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가지며, PDP 타입과 PDP 주소 등을 포함한다.
SGSN(31)은 PDP 콘텍스트 생성 요구(Cre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GGSN(32)에 전송한다(22단계). 이에 대응하여 GGSN(32)의 제어부(321)는 주소정보 생성부(322)에 사용자 단말기(1)에 대한 주소정보 생성을 요구하고, 주소 정보 생성부(322)는 UE(1)에 할당할 전역 IP 주소 (전역 프리픽스 + 인터페이스 ID)와 UE(1)가 사용할 디폴트(default)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생성한다(28단계). 제어부(321)는 PDP 콘텍스트 생성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에 인터페이스 ID 대신 UE(1)에 할당할 전역 IP 주소 (전역 프리픽스 + 인터페이스 ID)를 포함시킨다. 또한 제어부(321)는 PDP 콘텍스트 생성 응답 메시지의 프로토콜 구성 옵션(Protocol Configuration Option, PCO) 필드에 UE(1)가 사용할 디폴트(default)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시켜서 SGSN(31)으로 전송한다(23단계).
도 3은 GGSN(32)의 주소 정보 생성부(322)가 생성하는 PDP 주소 정보 엘레멘트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구성은 3GPP TS 24.008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Mobile radio o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s; Stage 3 (릴리즈 7)에 규정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PDP 주소 정보 엘레멘트는 PDP 주소 정보 엘레멘트 식별자 필드(301), PDP 주소 컨텐츠 길이 필드(302), 예비(spare) 필드(303), PDP 타입 구성(organization) 필드(304), PDP 타입 번호 필드(305) 및 주소 정보 필드(306)를 포함한다.
UMTS 규격에서 PDP 타입 번호 필드(305)가 IPv6를 나타내는 경우, PDP 주소 길이는 16 옥텟(octet)이고, 주소 정보 필드(306)에는 8 옥텟 길이의 인터페이스 ID를 전송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주소 정보 필드(306)에 16 옥텟 길이의 전역 IP 주소, 즉, 프리픽스+인터페이스 ID를 포함한다.
도 4는 GGSN(32)의 제어부(321)가 생성하는 PCO 정보 엘레멘트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PCO 정보 엘레멘트는 3GPP TS 24.008에서 규정되어 있다. 도시된 PCO 정보 엘레멘트는 프로토콜 구성 옵션 정보 엘레멘트 식별자 필드(401), 프로토콜 구성 옵션 컨텐츠 길이 필드(402), 확장 필드(403), 예비 필드(404), 구성 프로토콜 필드(405), 프로토콜 관련 필드(406) 및 컨테이너 관련 필드(407)를 포함한다.
3GPP TS 24.008의 규정에 따르면, 컨테이너 필드(407)의 컨테이너 ID에는 다음의 4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0001H: P-CSCF(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주소
0002H: IM(IP Multimedia) CN(Core network) Subsystem Signaling Flag
0003H: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주소
0004H: 정책 제어 거절 코드(policy control rejection code)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ID 필드에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가 더 추가된다.
SGSN(31)은 GGSN(32)의 제어부(321)로부터 수신한 PDP 콘텍스트 생성 응답 메시지에 따라 PDP 타입을 IPv6로 설정하고, 전역 IP 주소, 디폴트 게이트 웨이 주 소를 포함한 PDP 콘텍스트 활성 수락(Activate PDP context accept) 메시지를 UTRAN(2)를 통해 UE(1)에 전송한다(24단계).
UE(1)는 수신한 PDP 콘텍스트 활성 수락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역 IP 주소를 설정하고, 전역 IP주소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ID를 이용하여 링크-지역 주소를 ('fe80::'+ 인터페이스 ID)로 설정하며, 디폴트 게이트 웨이 주소를 설정한다(25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_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 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GGSN(32)이 생성하는 PDP 주소 정보 엘레멘트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GGSN(32)이 생성하는 PCO 정보 엘레멘트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GGSN(32)에 대한 내부 블록도이다.

Claims (14)

  1. 복수의 망이 연동하는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전역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망에 위치한 노드가 제2망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패킷 호 설정 요구를 받는 단계; 및
    상기 노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전역주소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한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역 주소 및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만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는 상기 전역 주소에 전역 프리픽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로컬-링크 주소 생성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ID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전역 주소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 주소는 상기 메시지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주소 정보 엘레멘트의 주소 정보 필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주소 할당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인터페이스 ID를 링크-지역 주소 프리픽스와 결합하여 링크-지역 주소를 더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주소 할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주소는 상기 메시지의 프로토콜 구성 옵션 정보 엘레멘트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주소 할당 방법.
  6. 복수의 망에 연동하는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패킷 호 설정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역 주소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한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주소 정보 생성부;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패킷 호 설정을 위한 정보 생성을 요구하는 제1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주소 정보 생성부에 알리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주소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전역 주소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한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2 메시지로 만들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역 주소에 전역 프리픽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로컬-링크 주소 생성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ID가 포함된 제2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역 주소를 상기 제2메시지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정보 엘레멘트의 주소 정보 필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전역 프리픽스와 상기 인터페이스 ID를 포함하여 상기 전역 주소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메시지의 프로토콜 구성 옵션 정보 엘레멘트 필드에 상기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무선 접속망에 패킷 호 설정을 위한 제1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무선접속망을 통해 수신한 제1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패킷 호 설정을 위한 정보 생성을 요구하는 제2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노드; 및
    상기 제2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역 주소--상기 전역 주소는 전역 프리픽스와 인터페이스 ID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ID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로컬-링크 주소 생성시 사용됨--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할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하는 제3메시지를 상기 제1노드에 전송하는 제2노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제3메시지로부터 얻는 상기 전역 주소 및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하는 제4메시지를 상기 제1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4메시지로부터 얻는 상기 전역 주소 및 게이트웨이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역 주소, 링크-로컬 주소 및 게이트웨이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주소 할당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는 상기 전역 주소를 상기 제4메시지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정보 엘레멘트의 주소 정보 필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주소 할당 시스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인터페이스 ID를 링크-지역 주소 프리픽스와 결합하여 링크-지역 주소를 더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주소 할당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는 상기 제4메시지의 프로토콜 구성 옵션 정보 엘레멘트 필드에 상기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주소 할당 시스템.
KR1020070112315A 2007-09-19 2007-11-05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2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4019 WO2009038280A1 (en) 2007-09-19 2008-07-09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ipv6 global addre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5441 2007-09-19
KR1020070095441 200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89A KR20090030189A (ko) 2009-03-24
KR100924835B1 true KR100924835B1 (ko) 2009-11-03

Family

ID=4069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315A KR100924835B1 (ko) 2007-09-19 2007-11-05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4835B1 (ko)
WO (1) WO2009038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9117B2 (en) * 2009-11-05 2013-10-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address translator traversal in 3GPP networks
EP2578007B1 (en) * 2010-06-01 2020-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ng group communication in a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850A (ko) * 2004-05-10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20060040270A (ko) * 2004-11-05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에서 nai 정보를 이용한 ip 주소 할당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1877A (ko) * 2005-02-16 200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850A (ko) * 2004-05-10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20060040270A (ko) * 2004-11-05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에서 nai 정보를 이용한 ip 주소 할당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1877A (ko) * 2005-02-16 200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8280A8 (en) 2010-03-25
KR20090030189A (ko) 2009-03-24
WO2009038280A1 (en)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64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on on mobile network, mobile network, and policy control entity
US7873003B2 (en)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o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729501B2 (en) System and data card for stateless automatic configuration of IPv6 addres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100254399A1 (en) Method of uplink ip packet filtering control in mobile terminal
JPH11308273A (ja) 移動計算機装置、移動計算機管理装置、移動計算機管理方法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90901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동적 ip주소 할당방법
US201603533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ipv6 domain name system server and sip server address
CN102651862B (zh) 一种wap网关ip地址配置方法及其设备
US8311552B1 (en) Dynamic allocation of host IP addresses
KR20080026318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US8634394B1 (en) Mechanism to verify packet data network support for internet protocol mobility
KR100924835B1 (ko) IPv6 전역 주소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973829B (zh) 获取服务器地址的方法及其移动通信装置
KR101204796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4797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4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5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51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479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20080031884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707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3197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3200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3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0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