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307A -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 Google Patents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307A
KR20050105307A KR1020040029687A KR20040029687A KR20050105307A KR 20050105307 A KR20050105307 A KR 20050105307A KR 1020040029687 A KR1020040029687 A KR 1020040029687A KR 20040029687 A KR20040029687 A KR 20040029687A KR 20050105307 A KR20050105307 A KR 2005010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avelength
optical fiber
refractive index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638B1 (ko
Inventor
박혜영
문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63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0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re effective area or mode field radi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83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B2006/12088Mono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부림 손실 특성이 개선된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코어와 클래드를 구비하는 단일모드 광섬유로서, 코어영역의 굴절률 프로파일이 코어의 중심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커지는 α-프로파일을 만족하며, 코어의 중심영역에서 비굴절률차 Δ1을 가지고 코어의 반경 rcore에서 비굴절률차 Δ2를 가진다. 또한,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이 8.6㎛ 이하, 영분산 파장이 1320nm 이상,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이 17ps/nm-km 이하이다. 따라서, 굴곡이 심한 포설환경에서도 전송특성의 저하 없이 포설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OPTICAL FIBER INSENSITIVE TO BENDING}
본 발명은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부림 손실 특성이 개선된 단일모드 광섬유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구리선이나 폴리머 섬유(polymer optical fiber)에 비해 전송 손실 및 대역폭 특성이 우수한 반면 하우징이나 포설시에 취급이 어렵다. 특히 구부림 손실이 문제가 되는데, 구부림 손실이란, 광섬유가 구부러지는 경우 기본 모드의 필드가 코어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고 코어로 진행하는 광 파워의 일부가 광섬유를 따라 진행하지 못하고 빠져나가 손실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광섬유를 일정한 구부림 반경으로 감게 되면 감긴 부분에서는 연속적으로 파워가 빠져 나가고, 또한 구부러진 광섬유를 진행하던 기본 모드가 다시 곧은 광섬유를 진행할 경우 경계면에서 필드 형태가 불일치하므로 진행하던 광 파워의 일부가 손실된다.
한편, FTTH(Fiber To The Home) 서비스에서는 하우징과 포설시에 작은 굴곡이 많이 생기게 되고, 모서리에 밀착하여 포설하거나 작은 구부림 반경의 광섬유 접속함(organizer 또는 tray) 등의 접속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광섬유는 구부림 손실이 커서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구부림 손실은 일반적으로 모드 필드경이 작고 차단 파장이 큰 광섬유일수록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차단 파장은 전송 파장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되고, 차단 파장과 모드 필드경은 표준에 의해 정해져 있다. 예컨대, 표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는, 케이블 차단 파장을 1260nm 이하로 정하고 있고, 1310nm 파장의 모드 필드경은 8.6 내지 9.5㎛로 정하고 있다. 또한, 상용 일반 단일모드 광섬유의 경우 케이블 차단 파장 이외에 2m 광섬유 차단 파장이 보통 1330nm 이하를 만족한다. 한편, 표준 ITU-T에 제시된 구부림 손실은 구부림 반경 30mm로 100번 감았을 때 1625nm 파장에서 0.5dB 이하이다. 또한 상용 일반 단일모드 광섬유의 경우 구부림 반경 25mm로 100번 감았을 때 1625nm에서 0.1dB 이하, 구부림 반경 16mm로 1번 감았을 때 1550nm에서 0.5dB 이하로 구부림 손실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구부림 손실은 굴절률 프로파일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종래의 단일모드 광섬유는 코어영역(10)에서 반경에 무관하게 굴절률이 일정한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을 보이고 있다.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은 코어 반경 rcore와 비굴절률차 Δcore로 나타낼 수 있으며,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에서 필드는 가우시안(Gaussian)에 가깝다. 반면, 코어 중심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높아지는 굴절률 프로파일의 경우 필드는 가우시안 형태보다 코어 중심으로 파워가 국한되는 형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이렇게 코어 중심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높아지는 프로파일에서는 광섬유가 구부러지더라도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만 광섬유 밖으로 빠져나가 구부림 손실이 감소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69410호, 평11-64665호 및 2002-318315호에는 이러한 굴절률 프로파일을 이용한 광섬유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일본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광섬유들도 만족할 만한 구부림 손실 특성에는 모자라고, 광전송시 고려해야 할 영분산 파장, 차단 파장, 분산, 모드 필드경 등 다른 광전송 특성들을 모두 만족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전송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 또는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과 같은 파장분할다중(WDM) 전송 시스템은, 기존의 1550nm 파장대 뿐만 아니라 1600nm 파장대도 사용하게 되는데, 1550nm 파장대에 최적화된 기존의 광섬유를 1600nm 파장대에 사용할 경우 특히 모드 필드경이 증가하여 구부림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구부림 손실 증가로 인한 시스템의 전송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1600nm 파장대에서도 1550nm 파장대와 동등하거나 그 이하로 구부림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광섬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넓은 파장대에서 구부림 손실이 적은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코어와 클래드를 구비하는 단일모드 광섬유로서, 굴절률 프로파일과 광특성이 다음을 만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굴절률 프로파일은, 광섬유의 코어내 반경방향 특정 위치 x에서의 굴절률 n(x)가 다음 수학식을 만족하고, 코어의 중심영역에서 비굴절률차 Δ1을 가지고 코어의 반경 rcore에서 비굴절률차 Δ2를 가진다. 또한,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이 8.6㎛ 이하, 영분산 파장이 1320nm 이상,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이 17ps/nm-km 이하를 만족한다.
여기서, α는 양의 상수값을 가지며, nmax는 코어 중심에서의 굴절률, nmin은 코어 반경 rcore에서의 굴절률이다.
또한,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은 바람직하게는 5.9~8.6㎛, 더욱 바람직하게는 6.5~8.0㎛이고, 영분산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1330~143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340~1420nm이며,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은 7~16ps/nm-k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반경 rcore가 2.46~4.84㎛이고, 코어 중심영역에서의 비굴절률차 Δ1이 0.4053~0.7015%, 코어 반경 rcore에서의 비굴절률차 Δ 2가 0.2268~0.4705%, α가 1.80~6.76의 범위에 들어가는 다양한 실시예의 광섬유가 제공되는데,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광특성은 구부림 손실이 소정 범위로 억제되도록 최적화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모드 광섬유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코어영역(100)에서 반경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코어 중심에서 최대 굴절률 nmax를 가지며 코어 반경 rcore에서 최소 굴절률 nmin을 가짐으로써 중심으로 갈수록 굴절률이 증가하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또한, 코어영역(100)에서 반경방향 임의의 위치 x에서의 굴절률 n(x)는 상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α-프로파일을 보인다.
클래드(200)의 굴절률은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와 마찬가지로, 모재로 사용하는 실리카 튜브(300)와 동일하며 일정한 값을 가진다. 클래드의 굴절률(=실리카 튜브의 굴절률)을 nsilica라 하면, 코어 중심에서의 굴절률과 클래드의 굴절률의 차인 비굴절률차 Δ1과, 코어 반경 rcore에서의 굴절률과 클래드의 굴절률의 차인 비굴절률차 Δ2는 다음의 수학식으로부터 구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상기의 수학식 1 및 2의 파라미터 즉, α, Δ1, Δ2, rcore가 변화함에 따라 광특성이 변화한다. 도 3a 내지 도 5d는 이 네 가지 광섬유 구조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 및 구부림 반경 25mm로 10회 감았을 때 1550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의 변화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Δ1이 커질수록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과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이 적어짐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α가 커질수록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과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은 적어진다. 반면, 코어 반경 rcore가 커질수록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과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은 커진다. 한편, 동일한 값의 Δ1과 Δ2에 대해서 모드 필드경과 분산이 복수의 값을 가지는 구간이 존재하기도 한다(도 3a, 도 3b, 도 4b 참조).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α, Δ1, Δ2, rcore가 특정 범위의 값을 가질 때 1550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이 거의 0dB임을 알 수 있고, 특히 Δ1이 0.5% 이상이고 α가 2 이상일 경우 1550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 특성이 매우 양호하다.
한편, 위와 같이 코어영역의 굴절률 프로파일이 α-프로파일을 따르며 구부림 손실 특성이 양호하게 광섬유 구조 파라미터 α, Δ1, Δ2, rcore를 최적화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아울러, 비교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을 따르는 종래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광특성 및 구부림 손실도 비교예로서 함께 나타내었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예에 따른 광섬유의 구조 파라미터와 광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이 광섬유들의 구부림 손실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
광섬유구조파라미터 α 6.26 5.32 4.91 4.09 3.08 2.30 2.38 2.66 -
rcore(㎛) 3.06 3.17 3.29 3.48 3.63 3.87 4.05 4.24 4.40
Δ1(%) 0.6015 0.5878 0.5642 0.5478 0.5379 0.5223 0.5053 0.5072 Δcore = 0.36
Δ2(%) 0.3705 0.3692 0.3614 0.3377 0.3455 0.3298 0.3299 0.3268
광특성 모드 필드경@1310nm(㎛) 6.67 6.80 6.98 7.18 7.36 7.64 7.85 7.97 9.12
모드 필드경@1550nm(㎛) 7.68 7.80 7.98 8.18 8.35 8.64 8.83 8.89 10.65
영분산 파장(nm) 1417 1404 1393 1380 1371 1361 1350 1341 1302
분산@1550nm(ps/nm-km) 8.0 9.0 9.9 11.1 11.9 13.0 14.0 15.0 17.5
차단파장(nm) 1214 1237 1254 1287 1316 1356 1407 1479 1387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
구부림손실@1550nm(dB) R 30mm, 100회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2
R 20mm, 100회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1617
R 10mm, 10회 0.1030 0.0969 0.1358 0.1340 0.1341 0.1685 0.1138 0.0304 14.5458
R 5mm, 1회 2.3348 2.2806 2.7154 2.7343 2.7754 3.1491 2.6522 1.4283 35.2103
구부림손실@1625nm(dB) R 30mm, 100회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26
R 20mm, 100회 0.0006 0.0005 0.0007 0.0006 0.0006 0.0007 0.0003 0.0000 1.0128
R 10mm, 10회 0.6202 0.5644 0.7268 0.6804 0.6511 0.7487 0.5018 0.1470 33.4833
R 5mm, 1회 5.4740 5.2579 5.9971 5.8811 5.8342 6.3286 5.3058 2.9878 49.024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은 6.7~8.0㎛, 155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은 7.7~8.9㎛ 범위의 값을 갖는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영분산 파장은 1341~1417nm, 1550nm에서의 분산은 8.0~15.0ps/nm-km, 차단 파장은 1214~1479nm 범위의 값을 갖는다. 이를 종래의 단일모드 광섬유(비교예)와 비교해 보면, 모드 필드경이 작아졌으며, 영분산 파장이 장파장대로 이동하여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이 적어졌다. 한편, 차단 파장은 비교예보다 크거나 작은 값을 갖는다. 상기 차단파장은 이론값으로서 실제로 제조된 광섬유의 2m 차단파장은 일반적으로 70~80nm 이상 짧게 나타나며, 케이블로 제조하였을 때의 케이블 차단파장은 2m 광섬유 차단파장보다도 수십nm 짧게 나타난다.
광섬유의 구부림 손실을 평가하기 위해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부림 반경(R)을 기존의 30mm와 20mm, 10mm, 5mm로 줄였을 경우의 값을 구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는 1550nm, 1625nm 파장 모두에서 구부림 반경(R) 30mm로 100번 감았을 때 손실이 0.0dB로 손실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예의 광섬유는 1550nm 파장에서는 구부림 손실이 거의 없으나, 1625nm 파장에서는 0.003dB 정도의 손실을 보였다. 구부림 반경이 20mm, 10mm, 5mm로 작아질 경우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와 비교예의 광섬유 간의 손실 차이는 급격하게 증가한다. 구부림 반경 20mm로 100번 감았을 때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는 1550nm 파장에서 손실이 거의 없으며, 1625nm 파장에서는 0.001dB 이하인 반면, 비교예의 경우는 1550nm 파장에서는 0.2dB, 1625nm 파장에서는 1.0dB 정도이다. 또한, 구부림 반경 10mm로 10번 감았을 때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의 구부림 손실은 1550nm 파장에서 0.2dB 이하, 1625nm 파장에서는 1.0dB 이하인 반면, 비교예의 경우 1550nm 파장에서 15dB, 1625nm 파장에서는 35dB 정도로 급격하게 증가한다. 나아가 구부림 반경 5mm로 1회 감았을 때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는 1550nm 파장에서 3dB, 1625nm 파장에서는 7dB 이하인 반면, 비교예의 경우 1550nm 파장에서 35dB, 1625nm 파장에서는 50dB 정도로 급격하게 증가한다.
한편, 도 6a 내지 도 7d는 위와 같은 구부림 손실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1550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1625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6a와 도 7a는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의 구부림 손실을 함께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b 내지 도 6d, 도 7b 내지 도 7d는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를 각각 구부림 반경 20mm로 100회 감은 경우, 10mm로 10회 감은 경우, 및 5mm로 1회 감은 경우의 구부림 손실을 척도를 달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7d로부터 비교예의 광섬유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구부림 손실이 현저하게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의 광섬유는 구부림 반경이 작아지면 구부림 손실이 급격히 증가함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구부림 손실은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중 실시예 8의 광섬유가 1550nm, 1625nm 파장 모두에서 또한 모든 구부림 반경에서 구부림 손실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위의 표에 제시한 결과는 상용 구조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얻은 결과로서, 실제 제조된 광섬유의 광특성 실측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의 종래의 광섬유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굴절률 프로파일은 근본적으로 다르므로 절대값으로 비교하면 오차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의 광섬유가, 적어도 비교예의 광섬유보다 구부림 손실이 적으며 구부림 반경이 작아지고 사용 파장대가 증가하더라도 구부림 손실의 변화가 크지 않다는 유의미한 효과를 시사함에는 틀림이 없다.
나아가서, 실시예 1 내지 8로 최적화된 광섬유의 각 특성치는 적절한 오차 범위, 예컨대, rcore에 대해서는 ±0.6㎛, Δ1 및Δ2에 대해서는 ±0.1%, α에 대해서는 ±0.5 정도의 범위 내에서도 우수한 광특성과 함께 충분히 적은 구부림 손실 특성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는 코어영역의 굴절률 프로파일이 α-프로파일을 만족하며, 코어의 중심영역에서 비굴절률차 Δ1을 가지고 코어의 반경 rcore에서 비굴절률차 Δ 2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구부림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특히, 본 발명의 광섬유에 의하면 구부림 반경이 30mm에서 20mm로 작아지고 1550nm 파장에서 1625nm 파장으로 사용 파장이 증가하더라도 구부림 손실값의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굴곡이 심한 포설 환경에서도 전송특성의 저하 없이 포설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계단형 굴절률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모드 광섬유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구조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의 변화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네 가지 구조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의 변화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네 가지 구조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1550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예에 따른 광섬유의 1550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예에 따른 광섬유의 1625nm 파장에서의 구부림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1)

  1. 코어와 클래드를 구비하는 단일모드 광섬유로서,
    상기 광섬유의 코어내 반경방향 특정 위치 x에서의 굴절률 n(x)가 다음 식을 만족하고, 상기 코어의 중심에서 비굴절률차 Δ1을 가지고 상기 코어의 반경 rcore 에서 비굴절률차 Δ2를 가지며,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이 8.6㎛ 이하, 영분산 파장이 1320nm 이상,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이 17ps/nm-k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여기서, α는 양의 상수값을 가지며, nmax는 코어 중심에서의 굴절률, nmin은 코어 반경 rcore에서의 굴절률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이 5.9~8.6㎛, 상기 영분산 파장이 1330~1430nm, 상기 1550nm 파장에서의 분산이 7~16ps/nm-k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310nm 파장에서의 모드 필드경이 6.5~8.0㎛, 상기 영분산 파장이 1340~14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3.06±0.6㎛, 상기 Δ1이 0.6015±0.1%, Δ2가 0.3705±0.1%, α가 6.26±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3.17±0.6㎛, 상기 Δ1이 0.5878±0.1%, Δ2가 0.3692±0.1%, α가 5.32±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3.29±0.6㎛, 상기 Δ1이 0.5642±0.1%, Δ2가 0.3614±0.1%, α가 4.9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3.48±0.6㎛, 상기 Δ1이 0.5478±0.1%, Δ2가 0.3377±0.1%, α가 4.09±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3.63±0.6㎛, 상기 Δ1이 0.5379±0.1%, Δ2가 0.3455±0.1%, α가 3.08±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3.87±0.6㎛, 상기 Δ1이 0.5223±0.1%, Δ2가 0.3298±0.1%, α가 2.3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4.05±0.6㎛, 상기 Δ1이 0.5053±0.1%, Δ2가 0.3299±0.1%, α가 2.38±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core가 4.24±0.6㎛, 상기 Δ1이 0.5072±0.1%, Δ2가 0.3268±0.1%, α가 2.66±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KR1020040029687A 2004-04-28 2004-04-28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KR100693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87A KR100693638B1 (ko) 2004-04-28 2004-04-28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87A KR100693638B1 (ko) 2004-04-28 2004-04-28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307A true KR20050105307A (ko) 2005-11-04
KR100693638B1 KR100693638B1 (ko) 2007-03-14

Family

ID=3728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687A KR100693638B1 (ko) 2004-04-28 2004-04-28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72B1 (ko) * 2006-04-10 2014-02-07 드라카 콤텍 비.브이. 단일 모드 광섬유
JP2019040131A (ja) * 2017-08-28 2019-03-1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光デバイス、及び、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4294B1 (en) 1999-01-18 2012-08-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4443788B2 (ja) 2001-03-30 2010-03-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光ファイバ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JP3653724B2 (ja) 2001-04-23 2005-06-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6311B1 (ko) * 2003-01-20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분산 제어 광섬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72B1 (ko) * 2006-04-10 2014-02-07 드라카 콤텍 비.브이. 단일 모드 광섬유
JP2019040131A (ja) * 2017-08-28 2019-03-1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光デバイス、及び、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638B1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5657B2 (en) Single-mode optical fiber
KR100890976B1 (ko) 싱글 모드 광파이버
US7164835B2 (en) Optical fiber
JP5606942B2 (ja) 短いカットオフ波長を有するノンゼロ分散シフト光ファイバ
JP5616245B2 (ja) 大きな実効面積を有するノンゼロ分散シフト光ファイバ
JP6071030B2 (ja) Ge不含有コアを有する大実効断面積ファイバ
JP4358073B2 (ja) 低曲げ損失トレンチ型マルチモードファイバ
JP5033290B2 (ja) 分散勾配補償光導波路ファイバ
US7099545B2 (en) Single-mode optical fiber
JP2007279739A5 (ko)
KR20130036207A (ko) 굽힘 손실이 적은 광 섬유
KR102638033B1 (ko) 광파이버
US20230324606A1 (en) Optical fiber
CN104834054B (zh) 光纤
RU2755736C1 (ru) Нечувствительное к потерям на изгибах одномодовое волокно с мелкой канавко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оп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Matsuo et al. Bend-insensitive and low-splice-loss optical fiber for indoor wiring in FTTH
JP4073806B2 (ja) 光ファイバ及び該光ファイバを用いた光伝送路
US7164832B2 (en) Optical fiber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optical fiber
CN111788506B (zh) 光纤
US20130094825A1 (en) Optical fiber, optical fiber cord, and optical fiber cable
KR20060110311A (ko) 중간 분산 nzdsf를 위한 분산 보상 섬유 및 이를이용한 전송 장치
CN1192260C (zh) 低色散斜率负色散光纤
KR100693638B1 (ko) 구부림 강건형 광섬유
US7853109B2 (en) Single mode optical fiber
JPH09509765A (ja) 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