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713A -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713A
KR20050104713A KR1020040030098A KR20040030098A KR20050104713A KR 20050104713 A KR20050104713 A KR 20050104713A KR 1020040030098 A KR1020040030098 A KR 1020040030098A KR 20040030098 A KR20040030098 A KR 20040030098A KR 20050104713 A KR20050104713 A KR 20050104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popular
visitor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원
강춘식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4003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4713A/ko
Publication of KR2005010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7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에 대하여 특정 지역과 연관시켜 소정의 입력 횟수를 누계하고, 상기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접속자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한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은,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청과 연관된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상기 검색자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 정보와 연관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를 누계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기간 동안에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 측정이 검색자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독립적으로 누계되도록 함으로써 지역별 인기 검색어에 대한 정보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POPULAR INFORMATION ON AN AREA}
본 발명은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에 대하여 특정 지역과 연관시켜 소정의 입력 횟수를 누계하고, 상기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접속자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한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엔진 서버는 인터넷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어(의미 식별이 가능한 단어)에 대응하여, 관련되는 소정의 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검색 엔진 서버는 인터넷 이용자의 검색어 입력 성향(연령별, 성별, 직업별 등등), 특정 검색어의 입력 빈도, 근래에 집중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검색어 등에 관한 통계 정보를 부가 정보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예컨대, 인터넷 사업을 하는 광고주는 인터넷 이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상품 기획 등 다양한 영업 전략에 설계하는 데에 참조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입장에서도 현재 화제가 되고 있는 사건이나 다수 인터넷 이용자의 검색 성향을 가늠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검색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특정 검색어의 입력 빈도에 따라 결정되는 인기 검색어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최근의 검색 성향이 바로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가 획득하고 있는 정보에 대한 알림 공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인기 검색어는 전체 입력되는 검색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현재의 서비스 운영되는 검색 엔진 서버에서는 특정 분야에 한정된 인기 검색어의 추출에 대해서는 알림 공지를 지원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인터넷 이용자가 특정의 분야, 예컨대 '서울시 강남구'와 관련된 검색어 만을 대상으로 하는 인기 검색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이를 충족하여 정보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는 부재한 것이 사실이다.
더불어, 인터넷 이용자와 연관되는 지역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도, 검색 요청을 위해 어떠한 검색어를 입력해야 하는가에 대해 사전 지식이 결여되어 검색 작업이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우려 또한 상존한다. 이 때, 인터넷 이용자와 연관된 지역에 특정하여 관련된 인기 검색어를 해당 인터넷 이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보다 용이한 검색 작업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특정 분야에 한정하여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입력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소정의 인터넷 이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지역 생활 정보의 용이한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인기 검색어 제공 모델의 등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 기간 동안에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 측정이 검색자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독립적으로 누계되도록 함으로써 지역별 인기 검색어에 대한 정보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에 한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여 접속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접속자와 연관되는 지역에서의 검색 성향 또는 지역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의 검색어 추출에 있어, 추출되는 검색어에 대해 소정의 보정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전체 인기 검색어와의 중복 노출을 회피하고 지역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검색어의 추출 확률이 증가시키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의 지역과 관련된 인기 업종 정보를 선별하여 해당 접속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접속자가 소속되는 지역에서 활발하게 영업이 이루어지는 업종 분야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을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청과 연관된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상기 검색자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 정보와 연관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를 누계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은, 소정 기간 동안 입력된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소정 갯수의 인기 검색어를 유지하는 단계와,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지역과 연관하여 입력된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지역과 연관된 소정 갯수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유지하는 단계와, 접속자가 소정의 제1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소정 갯수의 인기 검색어를 상기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자가 상기 제1 웹 페이지와 구별되는 소정의 제2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소정 갯수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상기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검색 요청과 연관된 검색어를 입력하는 상기 검색자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된 위치 정보와 연관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를 누계하여 기록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접속자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검색어 추출 수단, 및 상기 추출된 검색어를 소정의 정렬 조건에 따라 배열하여 상기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검색어 배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 추출 수단은, 상기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상기 접속자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접속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검색자의 위치 정보와 연관된 검색어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검색어 중에서 상기 입력 횟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인기 검색어는, 검색 요청을 위해 소정의 검색 엔진 상으로 입력되는 검색어 중에서, 소정 기간 동안에 타 검색어에 비해 상대적인 입력 횟수가 높은 검색어를 지칭할 수 있다. 즉, 인기 검색어는 검색자에 의해 입력되는 횟수에 따라 검색어 각각에 소정의 등위를 부여하고, 선정된 등위 내에 포함되는 검색어를 선별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인기 검색어의 종류로는, 검색 엔진에 입력되는 모든 검색어를 대상으로 하는 전체 인기 검색어, 소정의 대상 영역을 특정하고 관련된 검색어 만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별 인기 검색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인기 검색어는 검색 요청을 하는 검색자로 하여금 다수 검색자의 검색 성향이나, 특정 분야에서 현재 화제가 되는 사건의 일면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색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소정 기간 동안에 검색 엔진(110) 상으로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입력 횟수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정 갯수의 검색어를 인기 검색어로 결정하는 장치이다.
우선, 검색 엔진(110)은 검색자(120)가 찾고자 하는 콘텐츠 자료를 보유하는 웹 사이트로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검색 작업을 지원하는 서치 프로그램 또는 서치 웹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검색 엔진(110)은 검색자(120)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검색자(120)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정의 콘텐츠 공급자(CP)에 대한 간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자료의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며 검색되는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추출된 간략 정보는 소정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검색자(120)의 단말 수단(125)에 표시되는 간략 정보에 대한 검색자(120)의 명령 입력 도구 클릭 선택(예, 마우스 클릭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검색 엔진(110)은 해당 콘텐츠 공급자와, 클릭 선택을 발생시킨 검색자(120)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검색 엔진(110)은 검색 작업의 접근 방식에 따라 단어별 검색 방식(word-oriented searching) 및 주제별 검색 방식(subject-oriented searching)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입력된 검색어 각각에 대한 입력 횟수를 측정하되,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지역별로 검색어의 입력 횟수를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본 발명의 목적 수행을 위해 상기 검색 엔진(110)의 검색 방식을 단어별 검색 방식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검색 엔진(110)의 검색을 단어별 검색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한정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콘텐츠 공급자는 네트워크 주소(예컨대, IP address, URL, domain 등)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위치가 지정되는 정보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 운영자를 의미할 수 있다.
검색자(120)는 본 발명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의 접속을 위한 단말 수단(125)을 보유하며, 검색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료를 보유하는 콘텐츠 공급자의 웹 사이트에 대한 검색 요청을, 검색 엔진(110)에 소정의 검색어를 입력하여 생성하는 인터넷 이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접속자(130)는 단말 수단(135)을 통해 검색 엔진(110)으로의 접속 요청을 발생시키는 인터넷 이용자를 의미하며, 특히 검색 엔진(110)의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식별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역별로 특정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제공받게 된다.
단말 수단(125,135)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140)을 통해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100)과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지역별로 특정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를 소정 화면 상에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 수단(125,135)은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전자 사전,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측정되는 검색어 입력 횟수의 크기에 따라, 소정 개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접속자(130)가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대응하여, 상기 선정된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접속자(130)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역별 검색 성향이나 지역과 연관된 생활 정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접속자(130)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 수단(210), 위치 식별 수단(220), 정보 데이터베이스(230), 검색어 추출 수단(240), 및 검색어 배열 수단(250)을 포함한다.
우선, 인터페이스 수단(210)은 검색자(120)로부터 검색 요청과 연관된 검색어를 입력받거나, 접속자(130)의 소정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 받기 위한 장치이다. 즉, 인터페이스 수단(210)은 검색 엔진(110)에 의한 검색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검색자(120)의 의사, 또는 예컨대 지역 생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자(130)의 소정 지역 정보 서버(도시하지 않음)로의 접속 의사를 수신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수단(210)은 검색어 입력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로 출력되는 간략 정보를 소정의 인기 검색어와 함께 검색자(120)에게 제공되도록 하거나, 지역 정보 서버에 접속되는 접속자(130)에게, 대응하여 추출되는 소정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는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위치 식별 수단(220)은 검색 요청에 연관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장치로서, 검색자(120)의 검색 요청을 발생시키는 소정 단말 수단(125)의 IP 어드레스 정보 또는 검색자(120)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주소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즉, 위치 식별 수단(220)은 검색자(120)와 연관되는 지역(예, 행정 구역 상의 위치)을 확인하여 검색자(120)의 위치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판단된 위치 정보는 검색어의 입력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또한, 위치 식별 수단(220)은 접속자(130)가 검색 엔진(110)의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되는 경우에도, 접속자(13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별된 접속자(130)의 위치를 참조하여 지역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기준이 마련되도록 한다. 즉, 위치 식별 수단(220)은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가 어떠한 지역으로 특정되는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가 '역삼동, 논현동, 압구정동'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역삼동, 논현동, 압구정동'에 대응하는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접속자(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IP 어드레스 정보에 의한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 식별에 있어서, 위치 식별 수단(220)은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단말 수단(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이 검색 엔진(110)에 접속하는 경우, 예컨대 HTTP 프로토콜에 의하여 단말 수단(125,135)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소정의 IP-위치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된 IP 어드레스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 수단(125,135)의 지리적인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IP 어드레스 정보가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와 동일하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단말 수단(125,135)의 IP 어드레스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해당 IP가 등록되어 있는 실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IP-위치 매핑 테이블은 확인된 IP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단말 수단(125,135)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해당 IP 어드레스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하게 된다.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식별된 위치 정보와 연관하여 소정 기간 동안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를 누계하여 기록하기 위한 장치이며,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입력된 검색어의 입력 횟수를 가산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위치 정보가 동일(또는 유사)하게 식별된 하나 이상의 검색자(120)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를 누계하여 독립적으로 기록하게 되며, 이하 도 3a를 참조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서의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지역 위치 '서울시 강남구'로 판단된 검색자(120)에 의해 입력이 이루어진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대한 기록을 예시하고 있다. 예컨대, 위치 식별 수단(220)에 의해 위치 정보가 '역삼동'으로 식별된 검색자(120)에 의해 검색어 '부동산'이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가산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행정 구역상 '역삼동'이 속하는 '서울시 강남구'에 기준하여 검색어 '부동산'과 관련되는 입력 회수에 '+1'을 가산하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a의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서울시 강남구'로 지역 위치가 판단된 하나 이상의 검색자(120)에 의해, 2004년 4월 7일 하루 동안 발생되는 각 검색어의 총 누계를 기록하게 되며, 검색어 '부동산'은 '2,412회', 검색어 '피자'는 '420회' 등으로 기록하게 된다. 또한,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기록되는 복수의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의 크기를 고려하여 기록된 검색어에 대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정렬된 검색어 각각에 소정의 검색 순위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횟수의 크기가 가장 큰 검색어 '부동산'에 검색 순위 1위가 부여되도록 하고, 입력 횟수의 크기가 차순위인 검색어 '패션'에는 검색 순위 2위로가 부여된다. 이러한 입력 횟수를 고려한 검색 순위의 부여는 후술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에 대한 선정을 위한 것이며, 측정 기간 내에 입력되는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의 증가에 따라, 각 검색어에 부여되는 등위는 실시간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정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되는 입력 횟수에 연관된 정보는 다른 메모리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전이되어 보관하거나 클리어(Clear)되어 차기 측정 기간에 대한 검색어의 입력 횟수 측정에 대비한다.
또한,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검색 요청을 발생하는 검색자(120) 또는 접속 요청을 발생하는 접속자(130)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정보는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에 대한 기본 신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 각각으로 할당되는 소정의 기록 영역으로 인증 처리와 관련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정보는 예컨대,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가 검색 엔진(110)에 최초 접속하는 경우,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요청에 따라 수시로 갱신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이름, 사용자 식별자(회원 아이디), 비밀 번호, 전화 번호/휴대폰 번호, 성별과 생년월일을 판단할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증 정보는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상술한 위치 식별 수단(220)에 의한 위치 정보의 식별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검색어 추출 수단(240)은 접속자(130)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와 관련되는 선정된 갯수의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지역 인기 검색어의 추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자의 위치와 연관된 지역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어 추출 수단(240)은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도록 제어한다(S310). 본 단계(S310)는 정보 획득, 검색 요청 등을 위해 검색 엔진(110)으로 접속하는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으로, 예컨대 위치 식별 수단(220)에 의해,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접속자(130)의 단말 수단(135)의 IP 어드레스 정보 또는 접속자(130)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주소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또한, 검색어 추출 수단(240)은 식별된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색자(130)의 위치 정보와 연관된 검색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식별하고, 식별된 검색어 중에서 입력 횟수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한다(S320). 본 단계(S320)는 접속자(130)의 위치에 관련되는 소정 갯수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접속자(130)와 동일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색어 중에서 소정 기간 동안에 발생한 입력 횟수의 크기 순으로 소정 갯수의 검색어를 추출하게 된다. 이하,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여, 추출된 지역 인기 검색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자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추출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역삼동'으로 식별하고,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대한 정보를 도 3a와 같다고 가정하는 경우, 검색어 추출 수단(240)은 추출되는 대상의 검색어로서, 지역 위치 '서울시 강남구'에 기준하여 기록되는 검색어를 선정하게 된다. 또한, 검색어 추출 수단(240)은 선정된 검색어 중에서, 각 검색어의 입력 횟수의 크기에 따라 부여된 등위를 인지하고, 등위 4위 이내에 포함되는 검색어, 즉 '부동산', '패션', '산부인과', '병원' 등 4개의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하게 된다. 추출된 지역 인기 검색어는 접속 요청을 발생한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며, 예컨대 접속자(130)와 연관되는 지역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 정보 서버로의 상기 접속자(130) 접속 시, 소정 화면 영역으로 노출된다. 도 3c에서는 접속자 'Jenny022'의 식별된 위치 정보인 '역삼동'과 연관되는 지역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예시하고 있으며, 추출된 지역 인기 검색어 '부동산', '패션', '산부인과', '병원'은, 예컨대 접속자(130)의 인지도(웹 페이지 상에서의 식별이 용이한 정도)를 고려하여 검색어 입력이 이루어지는 '검색란' 근처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위 행정 구역 단위인 '동'으로서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보다 상위 행정 구역 단위인 '구/시'를 유추하여 지역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또한,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행정 구역 명칭을 갖는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의 지역 위치를 식별하여 대응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거나, 접속자(130)가 특정하여 입력하는 행정 구역 명칭에 따라 해당 지역과 관련된 지역 인기 검색어가 추출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지역 인기 검색어 추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검색어 배열 수단(250)은 추출된 검색어를 소정의 정렬 조건에 따라 배열하여 접속자(240)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며,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된 검색어를 접속자(130)가 접속하는 웹 페이지 상의 소정 영역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정렬 조건은 예컨대,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누계되는 각 검색어의 입력 횟수 크기일 수 있으며, 검색어 배열 수단(250)은 입력 횟수의 크기 및 접속자(130)의 인지도를 고려하여 입력 횟수가 상대적으로 큰 검색어가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점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도 3c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 한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여 접속자(130)에게 제공함으로써 접속자(130)와 연관되는 지역에서의 검색 성향 또는 지역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소정 기간 동안에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 측정이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독립적으로 누계되도록 함으로써 지역별 인기 검색어에 대한 정보 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추출된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보정 처리는 특정 지역에 한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검색어가 추출되도록 하는 일종의 가공 처리를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검색어 중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어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검색어 추출 수단(240)은 추출된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보정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330). 본 단계(S330)는 소정 기간 동안 입력된 전체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선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고려하여,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검색어 중에서 일부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즉, 본 단계(S330)에서 검색어 추출 수단(240)은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와 연관된 검색어 중에서 소정 기간 동안 입력 횟수가 큰 순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하되, 전체 인기 검색어로서 기 추출된 검색어가,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지역으로 특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인기 검색어와의 중복 노출을 회피하고 일반적으로 입력 횟수가 큰 전체 인기 검색어로 인해 지역 인기 검색어에 대한 추출 확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은 상술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된다.
우선,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자(120)로부터 검색 요청과 연관된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410). 본 단계(S410)는 검색 작업을 위해 소정의 검색 화면상으로 기재되는 검색어를 수신 받는 과정으로, 수신된 검색어는 소정 콘텐츠 제공자의 간략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추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검색어의 수신에 따라 소정의 가산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해당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가 가산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한다(S420). 본 단계(S420)는 검색자(120)의 검색 요청을 발생시키는 소정 단말 수단(125)의 IP 어드레스 정보 또는 검색자(120)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주소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이다. 즉,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자(120)와 연관되는 지역을 확인하여 검색자(120)의 위치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생성된 위치 정보는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검색어의 입력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식별된 위치 정보와 연관하여 소정 기간 동안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를 누계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한다(S430). 본 단계(S430)는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검색어의 입력 빈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예컨대 검색자(120)의 행정 구역 단위에 따라 입력이 이루어진 검색어의 입력 횟수를 가산하게 된다. 즉, 본 단계에서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동일한 위치 정보로서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검색자(120)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를 독립적으로 가산되도록 하게 되며, 예컨대 위치 정보가 '역삼동', '논현동', '압구정동'으로 식별되는 검색자(120)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 '부동산'은 지역 위치 '서울시 강남구'로 분류되어 도 3a와 같은 가산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위치 정보가 '잠실'로 식별되는 검색자(120)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 '부동산'은, 상기의 지역 위치 '서울시 강남구'에 가산되지 않고 다른 지역 위치에서 가산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에 따라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빈도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역의 검색 성향 또는 현재 지역민에게 관심이 되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자(130)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한다(S440). 본 단계(S440)는 검색 엔진(110)의 소정 웹 페이지(본 실시예에서 지역 정보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자(130)에게 특정 지역에 연관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접속자(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소정 갯수의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 선별하게 된다. 이하, 도 5a를 참조하여 접속자(130)의 위치와 연관된 지역 인기 검색어의 추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소정 개의 검색어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도록 제어한다(S510). 본 단계(S510)는 소정의 정보 획득을 위해 검색 엔진(110)에 접속하는 접속자(130)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접속자(130)의 단말 수단(135)의 IP 어드레스 정보 또는 접속자(130)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주소 정보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식별된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색자(130)의 위치 정보와 연관된 검색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식별하고, 식별된 검색어 중에서 입력 횟수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한다(S520). 본 단계(S520)는 접속자(130)의 위치에 관련되는 소정 갯수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접속자(130)와 동일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록되는 검색어 중에서, 소정 기간 동안의 입력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검색어를 소정 갯수, 추출하게 된다. 즉, 본 단계(S520)에서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식별된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되는 검색어 중에서 소정 기간(예컨대 1일) 동안 입력 횟수가 큰 순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하게 된다(도 3a 및 도 3c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자(130)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의 지역과 관련된 인기 검색어를 선별하여 해당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자(130)가 소속되는 지역에 대한 관심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추출된 검색어에 대한 소정의 보정 처리를 통해 접속자(130)에게 실제 제공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를 선별하는 것을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검색어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지역 인기 검색어의 선별 처리는, 상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단계(S520)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소정 기간 동안 입력 횟수가 큰 순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한 후, 추출된 하나 이상의 검색어 중에서 일부를 제거한다(S521).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 처리는 특정 지역에 한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어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본 단계(S521)에서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전체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되는 검색어가 중복되어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보정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단계(S521)는 소정 기간 동안 입력된 전체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선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고려하여,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검색어 중에서 일부를 제거하게 된다. 예컨대, 접속자(130)가 검색 엔진(130)의 최초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전체 인기 검색어로서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는 검색어는, 접속자(1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인기 검색어로서 접속자(130)의 접속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추출되도록 설정되는 검색어의 등위(입력 횟수의 크기에 따라 부여)가 소정 등위 범위이면(예를 들어, 전체 인기 검색어 순위 10등 이내의 검색어이면) 지역 인기 검색어의 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해당 지역의 검색자의 입력 빈도에 따라 지역 인기 검색어의 대상이 된 경우에도 상기 지역 인기 검색어가 전체 인기 검색어이면, 이러한 검색어는 제외하고 지역 인기 검색어를 선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의 검색어 추출에 있어, 전체 인기 검색어와의 중복 노출을 회피하고 일반적으로 입력 횟수가 큰 전체 인기 검색어로 인해 지역에 관한 검색어의 추출 확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살펴보면,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추출된 검색어를 소정의 정렬 조건에 따라 배열하여 접속자(130)에게 제공한다(S450). 본 단계(S450)는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추출된 검색어를 접속자(130)가 접속하는 웹 페이지 상의 소정 영역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과정이다(도 3c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기간 동안에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 측정이 검색자(120)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독립적으로 누계되도록 하여 지역별 인기 검색어에 대한 정보 산출을 가능하며, 또한 동일 위치 정보를 갖는 접속자(130)에게 상기 산출된 지역별 인기 검색어를 제공되도록 하여 지역별 검색 성향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에 대한 위치 정보의 식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위치 정보 식별 과정은 상술한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S420,S510)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자(120)의 검색 요청 또는 접속자(130)의 접속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에 대한 소정의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610). 본 단계(S610)는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를 로그인시키는 과정으로, 사용자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주소 정보를, 로그인되는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와 연관하여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인지되도록 한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인증 처리된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한다(S620). 본 단계(S620)는 로그인 된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지역적인 위치 정보(단위 행정 구역)를 식별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식별이, 소정 검색 엔진(110)으로의 인증 처리와 함께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위치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IP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 요청을 발생하는 검색자(120) 또는 접속 요청을 발생하는 접속자(130)와 관련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인지한다(S630). 본 단계(S630)는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가 보유하는 단말 수단(125,135)과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과의 통신을 위한 접속 어드레스를 식별하는 과정이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인지된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IP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한다(S640). 본 단계(S640)는 소정의 IP-위치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지된 IP 어드레스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 수단(125,135)의 지리적인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에 대한 인증 처리 없이도 검색자(120) 또는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유연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검색 엔진(110)에 포함되는 다양한 웹 페이지 중에서, 특정의 웹 페이지에 접속자(130)가 접속하는 경우에 한하여 지역 인기 검색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우선,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소정 기간 동안 입력된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소정 갯수의 인기 검색어를 유지한다(S710). 본 단계(S710)는 전체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입력 횟수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검색어를 전체 인기 검색어로 선별하는 과정이다. 예컨대,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전일 하루 동안,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된 검색어 각각에 대한 입력 횟수의 크기에 따라 소정의 등위 부여하여, 선정된 등위 내의 검색어를 전체 인기 검색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소정 기간 동안 소정의 지역과 연관하여 입력된 검색어의 입력 횟수에 기초하여, 소정의 지역과 연관된 소정 갯수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유지한다(S720). 본 단계(S720)는 위치 정보가 식별된 검색자(120)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에 한해, 특정 지역으로 구분된 독립적인 입력 횟수의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소정 기간 동안의 입력 횟수 크기를 참조하여 지역 인기 검색어를 선별하게 된다. 예컨대,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전일 하루 동안, 위치 정보 '서울시 강남구'로 식별되는 검색자(120)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각각에 대한 입력 횟수의 크기에 따라 소정의 등위 부여하여, 선정된 등위 내의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자(130)가 소정의 제1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소정 갯수의 인기 검색어를 접속자(130)에게 제공한다(S730). 본 단계(S730)는 소정의 정보 획득을 위해 검색 엔진(110)으로 접속하는 접속자(130)에게 전체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예컨대 검색 작업 서비스를 위한 검색 웹 페이지(최초 접속 화면)로의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접속자(130)에게 결정된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자(130)가 제1 웹 페이지와 구별되는 소정의 제2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소정 갯수의 지역 인기 검색어를 접속자(130)에게 제공한다(S740). 여기서, 제2 웹 페이지는 소정의 지역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컨대 접속자(130)와 관련되는 지역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 정보 서버일 수 있다(도 3c 참조). 즉, 본 단계(S740)는 위치 정보가 식별되는 접속자(130)에게, 해당 지역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제공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에 따라 지역별 검색 성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검색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자(130)가 접속하는 경우, 지역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검색어를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 제공하고, 특정 지역에 한정되지 않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자(130)가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인기 검색어를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자(130)와 연관된 지역을 식별하여, 식별된 지역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로 접속자(130)가 접속되도록 한다(S750). 본 단계(S750)는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접속자(130)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예, 제2 웹 페이지)로 해당 접속자(130)가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다. 즉, 본 단계(S750)에서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자(130)가 소속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해당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로의 접속자(130)를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접속자(130)의 위치에 따라 해당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로 접속자(130)의 접속을 유도함으로써 접속자(130)의 지역 생활 정보에 대한 정보 획득 요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접속자(130)가 위치하는 지역에서의 인기 업종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접속자(130)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인기 업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소정의 웹 사이트와 관련된 간략 정보에 대한 클릭 선택을 입력 받는다(S810). 본 단계(S810)는 소정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위해 발생되는 인터넷 이용자의 클릭 신호를 수신 받는 과정으로, 예컨대 검색 엔진(110)으로의 인터넷 이용자 접속 또는 검색 작업 요청에 응답한 검색 결과 등으로 인해 노출이 이루지는 특정 검색 목록순에 대한 명령 입력 도구의 클릭 선택을 입력 받게 된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클릭 선택된 웹 사이트의 주소 정보 및 업종 정보를 식별한다(S820). 본 단계(S820)는 클릭 선택에 의해 인터넷 이용자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웹 사이트에 대한 주소 정보, 및 웹 사이트가 주로 보유하는 관련 정보에 관한 업종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주소 정보는 예컨대 웹 사이트와 연관되는 소정의 광고주(사업장)의 실제 주소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업종 정보는 광고주가 주로 취급하는 영업적인 아이템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작업 요청에 응답하여 추출된 검색 목록순 중에서, "강남구의 최고급 레스토랑인 XX 레스토랑입니다."와 관련된 검색 목록순이 인터넷 이용자에 의해 클릭 선택되는 경우,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주소 정보로서 '강남구' 및 업종 정보로서 '레스토랑'을 식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 목록순에 대하여 주소 정보 및 업종 정보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XX 레스토랑에 대해서 주소 정보로는 "강남구", 업종 정보로는 "레스토랑"을 유지하고 있고, 이에 기초하여 클릭된 검색 목록순의 주소 정보 및 업종 정보를 식별한다.
다음으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주소 정보에 기준하여, 소정 기간 동안에 상기 업종 정보가 식별되는 식별 횟수를 누계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한다(S830). 본 단계(S830)는 소정 기간 동안 식별되는 주소 정보 별로 특정 업종 정보에 대한 식별 횟수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특정 지역에 있어서 업종별 인터넷 이용자의 접속 빈도를 기록하게 된다. 이하, 도 8b를 참조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지역 정보별 특정 업종에 대한 식별 횟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사이트의 주소 정보 및 업종 정보를 기록, 유지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클릭 선택이 발생한 순서에 따라, 인터넷 이용자가 접속한 웹 사이트의 주소 정보 및 업종 정보를 유지, 기록하게 된다. 또한,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기록되는 주소 정보 및 업종 정보를 가공하여, 주소 정보에 기준한 각 업종 정보별 식별 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누계하여 저장한다. 도 8b의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서는 '2004년 4월 둘째주' 동안에 발생한 클릭 선택과 관련된 소정 웹 사이트의 주소 및 업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주소 또는 업종에 관한 분류 기준은 시스템 환경을 고려한 본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기록된 주소 및 업종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주소별 인기 업종에 관한 정보를 가공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통해, 강남구에서는 '성형 외과'(3회)가, 반면 서초구에서는 '레스토랑'(2회)이 인기 높은 업종임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자(130)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종 정보를 추출한다(S840). 본 단계(S840)는 검색 엔진(110)(본 실시예에서의 지역 정보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자(130)에게 특정 지역에서 인기가 높은 지역 인기 업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접속자(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소정 갯수의 업종 정보(업종명)이 지역 인기 업종 정보로 선별된다. 이하, 도 8c를 참조하여 접속자(130)의 위치와 연관된 지역 인기 업종 정보의 추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소정 개의 업종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를 식별한다(S841). 본 단계(S841)는 소정의 정보 획득을 위해 검색 엔진(110)에 접속하는 접속자(130)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요청을 발생시킨 접속자(130)의 단말 수단(135)의 IP 어드레스 정보 또는 접속자(130)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주소 정보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또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식별된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인지하고, 인지된 주소 정보에 연관하여 기록되는 업종 정보 중에서 선정의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종 정보를 추출한다(S842). 본 단계(S842)는 접속자(130)의 위치에 관련되는 소정 갯수의 지역 인기 업종 정보를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여기서 선정의 기준은 소정 기간 동안에 업종 정보에 대해 누계되는 식별 횟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즉, 본 단계(S842)에서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접속자(130)와 동일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록되는 업종 정보 중에서, 소정 기간 동안의 식별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업종 정보를 소정 갯수, 추출하게 된다. 예컨대, 접속자(130)의 위치 정보가 '강남구'로 판단되고, 업종 정보의 식별 정보가 도 3b에서와 같은 경우,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성형 외과', '학원' 등을 지역 인기 업종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추출된 업종 정보를 소정의 정렬 조건에 따라 배열하여 접속자(130)에게 제공한다(S850). 본 단계(S850)는 지역 인기 업종 정보로서 추출된 검색어를 접속자(130)가 접속하는 웹 페이지 상의 소정 영역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정렬 조건은 예컨대,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누계되는 각 업종 정보의 식별 횟수의 크기일 수 있으며,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식별 횟수의 크기 및 접속자(130)의 인지도를 고려하여 식별 횟수가 상대적으로 큰 업종 정보가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점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자(130)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의 지역과 관련된 인기 업종을 선별하여 해당 접속자(130)에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자(130)가 소속되는 지역에서의 활발하게 영업이 이루어지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9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920)과 롬(ROM: Read Only Memory)(9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9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9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920) 및 롬(9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9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9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9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9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9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기간 동안에 검색 요청을 위해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횟수 측정이 검색자의 위치 정보에 기준하여 독립적으로 누계되도록 함으로써 지역별 인기 검색어에 대한 정보 산출을 가능하게 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 한정되는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여 접속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접속자와 연관되는 지역에서의 검색 성향 또는 지역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 인기 검색어로서의 검색어 추출에 있어, 추출되는 검색어에 대해 소정의 보정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전체 인기 검색어와의 중복 노출을 회피하고 지역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검색어의 추출 확률이 증가시키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의 지역과 관련된 인기 업종 정보를 선별하여 해당 접속자에게 제공 함으로써 접속자가 소속되는 지역에서 활발하게 영업이 이루어지는 업종 분야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하는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접속자의 위치와 연관된 지역 인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c는 접속자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추출되는 지역 인기 검색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소정 개의 검색어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추출된 검색어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IP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인기 업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b는 웹 사이트의 주소 정보 및 업종 정보를 기록, 유지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c는 접속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소정 개의 업종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지역 인기 정보 제공 시스템
210 : 인터페이스 수단 220 : 위치 식별 수단
230 :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 검색어 추출 수단
250 : 검색어 배열 수단

Claims (1)

  1.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검색자로부터 검색 요청과 연관된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상기 검색자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위치 정보와 연관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입력 횟수를 누계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접속자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검색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검색어를 소정의 정렬 조건에 따라 배열하여 상기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자의 접속 요청은 소정의 지역 정보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인기 정보 제공 방법.
KR1020040030098A 2004-04-29 2004-04-29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KR20050104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98A KR20050104713A (ko) 2004-04-29 2004-04-29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98A KR20050104713A (ko) 2004-04-29 2004-04-29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63A Division KR100469825B1 (ko) 2004-04-29 2004-04-29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713A true KR20050104713A (ko) 2005-11-03

Family

ID=3728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98A KR20050104713A (ko) 2004-04-29 2004-04-29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47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54B1 (ko) * 2006-03-22 2007-12-18 엔에이치엔(주) 지역별 실시간 키워드 순위 결정 방법 및 지역별 실시간키워드 순위 결정 시스템
WO2008124531A1 (en) * 2007-04-03 2008-10-16 Google Inc. Identifying inadequate search content
KR100895492B1 (ko) * 2007-08-24 2009-05-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944639B1 (ko) * 2007-11-30 2010-03-04 팅크웨어(주) 인기 키워드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54B1 (ko) * 2006-03-22 2007-12-18 엔에이치엔(주) 지역별 실시간 키워드 순위 결정 방법 및 지역별 실시간키워드 순위 결정 시스템
WO2008124531A1 (en) * 2007-04-03 2008-10-16 Google Inc. Identifying inadequate search content
US7668823B2 (en) 2007-04-03 2010-02-23 Google Inc. Identifying inadequate search content
US9020933B2 (en) 2007-04-03 2015-04-28 Google Inc. Identifying inadequate search content
KR100895492B1 (ko) * 2007-08-24 2009-05-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944639B1 (ko) * 2007-11-30 2010-03-04 팅크웨어(주) 인기 키워드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029B1 (ko)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검출 방법 및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검출 시스템
JP4350744B2 (ja) 地域情報検索結果の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162865B2 (en) Generating image tags
US201200544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hierarchy of cache layers of different types for intext advertising
WO2011130418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luding serving an advertisement campaign to undesired web pages
KR100793377B1 (ko) 점수 분포에 따른 광고리스트의 생성 방법 및 광고리스트생성 시스템
WO20051067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pular information on area
CN102750081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4375626B2 (ja) カテゴリ別のキーワードの入力順位を提供するための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11515754A (ja) 新規広告可能なurl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601496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ent assisted information retrieval
JP2012523626A (ja) ドメイン状態、目的、およびカテゴリ
KR20050104713A (ko)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KR20170132376A (ko)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업체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0479363B1 (ko) 지식 검색 서비스를 이용한 지식 광고 노출 방법 및 지식광고 노출 시스템
WO2020006834A1 (zh) 金融机构推荐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101144426B1 (ko) 지식 검색 서비스를 이용한 지식 광고 노출 방법 및 지식광고 노출 시스템
JP2002197100A (ja) 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と方法及び記録媒体並びに情報仲介方法
KR100627160B1 (ko) 키워드 광고를 위한 광고 소재 추천 방법 및 광고 소재추천 시스템
JP4825717B2 (ja) 文書収集方法、文書収集プログラム及び文書収集装置
KR20050061964A (ko)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KR101932814B1 (ko) 단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20895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7154A (ko) 인터넷 검색 광고를 위한 키워드 입찰 제어 방법 및키워드 입찰 제어 시스템
KR20060018586A (ko) 키워드 광고를 위한 광고 소재 추천 방법 및 광고 소재추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