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330A -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330A
KR20050104330A KR1020057005999A KR20057005999A KR20050104330A KR 20050104330 A KR20050104330 A KR 20050104330A KR 1020057005999 A KR1020057005999 A KR 1020057005999A KR 20057005999 A KR20057005999 A KR 20057005999A KR 20050104330 A KR20050104330 A KR 20050104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substance
reservoir
passage
outlet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비오 파가니
Original Assignee
리레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2671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10433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레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리레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05010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33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 내부에 수납되는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펜서는 각각이 액체상태의 활성물질(R)을 포함하며 활성물질(R)용 출구(12)를 갖는 분리된 내부 챔버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통(11)과,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위치에서 출구(12)가 아래로 향해 있는 상기 통(11)을 뒤집힌 자세로 지지하며, 상기 통(11)과는 분리되어 있는 지지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20)은,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곳에 위치되고 통의 출구(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활성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저장소(21)와, 상기 수용 저장소(21)에 각각 위치되어 각각의 통(11)의 출구(12)를 각기 폐쇄하는 동일한 개수의 폐쇄부재(30)를 포함하며, 각 폐쇄부재(30)와 결합되어 활성물질이 통(11) 내부 챔버로부터 수용 저장소(21)까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활성물질용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수단(35,36)이 또한 구비된다. 각 수용 저장소(21)는, 상기 활성물질용 통로수단(35,36)을 폐쇄하는 양의 활성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체적을 규정하는 측벽들(21b)을 가지며, 저장소의 측벽들(21b)은 이들을 함께 연결하는 공통 통로(29)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MULTIPLE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 자체 내부에 수납되는,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액체 상태의 활성물질을 수용하는 통(bottle)을 포함하고, 활성물질용 출구와,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위치에서, 상기 통을 출구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뒤집어진 자세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갖는, 수세식 변기 내부에 수납되는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가 알려져 있다.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던 디스펜서로는 국제특허출원 PCT/EP 02/11765에서 기술되고 보호되는 본 출원인의 디스펜서가 있다. 이 디스펜서는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곳에 위치되고 통의 출구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활성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와, 상기 수용 저장소에 위치되고, 활성물질이 통의 내부 챔버로부터 수용 저장소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물질용 통로수단이 결합되는, 통의 출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용 저장소는 상기 활성물질용 통로수단을 폐쇄하는 일정량의 활성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체적을 결정한다. 수용 저장소는, 소정 수위의 액체를 수용하고, 또한 통의 출구를 그 하부 통로단면이 저장소 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최대수위 아래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게 구성되는 위쪽으로 향한 오목부를 갖는다.
매번 물 내릴 때마다, 내리는 물은 수용 저장소 내로 침투하여 저장소 내에 수용된 소량의 활성물질을 운반해 감으로써, 활성물질을 희석시키고, 활성물질의 탈취/세정/청정/멸균 작용을 작동시킨다. 활성물질의 일부가 운반되어 나갈 때, 이것은, 아마도 물 내리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난류와 함께, 조금의 환기 공기가 통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일정 분량에 상당하는 활성물질의 계량된 저하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저장소 내의 수위가 회복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펜서는 비교적 긴 수명을 갖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리고 수세식 변기 저장소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서도, 변함없는 거동을 나타낸다. 더욱이, 통 내에 수용된 활성물질은, 비교적 많은 횟수의 물내림(50-55 ㎖의 활성물질로써 250-450회까지의 물내림)에 대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하게 또는 거의 일정하게 그 활성 특성(탈취/세정/청정/멸균 등)을 유지하며, 비교적 소량으로 및 그 수명이 다 했을 때에만 물과 혼합된다.
두 개의 통을 뒤집힌 자세로 지지하는 단일 지지부를 갖는 디스펜서가 또한 알려져 있는데, 이 디스펜서의 출구는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해 있고, 이 통들은 지지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서로 분리된 내부 챔버들을 가지며, 각 내부 챔버는 액체상태의 활성물질을 수용한다.
이러한 디스펜서의 예가 WO-A-02/40792 및 WO-A-02/40787 문헌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의 이점은, 정화 및 방향 물질 외에 석회 박편 형성 방지물질 및/또는 표백액이 또한 사용된다면 석회 박편 형성 방지물질 및/또는 표백액은 정화 및 방향 물질과 대개 결합될 수 없는 것처럼, 서로 결합되어서는 안 될 물질들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허출원 PCT/EP 02/11765의 디스펜서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상호 독립적인 통과,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곳에 위치되어 각 통의 출구를 수납하는 통과 동일한 개수의 활성물질용 수용 저장소를 포함하도록 변형된다면, 이러한 디스펜서는 사용시에 그 거동에 있어서, 특히 두 액체의 소비에 있어서, 상당한 그리고 사실상 허용불가능한 차이를 나타내게 되므로, 한 액체가 다른 액체보다 먼저 비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비배타적인 예로서 도시한 첨부도면의 도움을 받아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2의 I-I 평면에서 본 디스펜서 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수단만을 나타내는 위로부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평면에서 본 디스펜서 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3의 확대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a의 IV-IV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디스펜서의 하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단면도와 같은 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시에 특허출원 PCT/EP 02/11765의 디스펜서의 유리한 거동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상호간에 거의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는, 특히 거의 동시에 비게 되는, 적어도 두 개의 상호 독립적인 통을 보유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징지어진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펜서(10)는 분리된 내부 챔버들을 갖는 두 개의 통(11)을 포함하며, 각 내부 챔버는 (다소간 점성의) 액체 상태인 각 활성물질(R), 예를 들어, 탈취물질과 세정/멸균용의 다른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 통은 활성물질(R)용의 출구(12)를 갖는다.
디스펜서(10)는 또한 지지수단(20)을 포함하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된 갈고리 모양의 기다란 부재 형태인 통상적인 걸이수단(28)을 가지며, 상기 걸이수단에 의해 수세식 변기(7)의 상부 테두리(8)에 걸린다. 지지수단(20)은,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위치에서, 상기 통들(11)의 축이 대략 내지 거의 수직이고 상기 통들(11)의 출구(12)가 아래쪽으로 향하는 뒤집힌 자세로 상기 통들(11)을 지지할 수 있다.
두 통(11) 모두 지지수단(20)과는 별개이며, 지지수단(20)과 결합됨으로써 수세식 변기 내에 위치된다.
통(11)을 포함하는 디스펜서(10) 전체는, 수세식 변기(7)의 상부 테두리(8) 아래에,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 하에, 수세식 변기(7)의 내면(71)에 닿도록 수세식 변기(7) 내부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내리는 물은 테두리(8)의 하부에 구비된 구멍으로부터 테두리(8)를 따라 나타나거나, 또는 변기의 후방 중앙 출구로부터 나타나서 내면(71)을 따라 접선 방향으로 테두리(8) 아래에서 흐르도록 만들어진다. 지지수단(20)은, 활성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곳에 위치되고 통의 출구(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위쪽으로 향한 오목부를 구비한 두 개의 저장소(21)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저장소(21)에 위치되어 각각의 통(11)의 출구를 폐쇄하는 기타 부재들(30)을 또한 포함한다.
각 수용 저장소(21)는 폐쇄면(21a)을 갖는 하부벽(25)과, 통의 출구(12) 둘레에 배치되어 일정량의 물질을 수용하기 우한 체적을 결정하는 측벽(21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폐쇄부재(30)는 위쪽으로 향하며 대략 원통형이거나 또는 약간 원추대형인 튜브 조각 형태로서, 통(11)과 동축으로 되어 있으며, 튜브 조각(30)에 대하여 통의 출구(12)는 그 내면이 튜브 조각(30)의 측면을 밀봉이 되도록 둘러싸게 되는 기하학적 관계에 있다. 튜브 조각(30)의 하단은 수용 저장소(21)의 수집면(21a)에 결합되고 이로써 폐쇄되지만, 상단(30')은 각 통이 지지수단(20)과 결합될 때 각 통의 출구(12)를 넘어 위쪽으로 돌출한다. 이와 달리 튜브 조각(30)의 상단은 폐쇄될 수도 있다.
각 폐쇄부재(30)에는 활성물질(R)이 통(11)의 내부 챔버로부터 수용 저장소(21)까지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수단(35)이 결합되며, 수용 저장소(21)에 의해 수집되는 활성물질의 양은 상기 통로수단(35)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물질 통로수단(35)은 튜브 조각(30)의 측면의 단면에 구비된 아치형 함몰부에 의해 형성된 표준 규격의 수직 통로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통(11)의 내부 챔버 내부의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출구(12) 아래에서 끝난다. 특히, 상기 통로수단(35)은 튜브 조각(3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된다.
각 통(11)은, 사용시에 통(11)의 내부 챔버를 대기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통로수단(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기 통로수단(31)은 튜브 조각(30)의 측면의 단면에 구비된 아치형 함몰부에 의해 형성된 표준 규격의 수직 통로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통의 출구(12) 아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통(11)의 챔버 내부에서 끝난다. 특히, 상기 통로수단(35)은 튜브 조각(3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된다.
더욱이, 통로수단(31)은 활성물질 통로수단(35)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기학학적 위치, 특히 정반대 위치에 위치된다(도 2 및 도 3 참조).
각 저장소(21)는 소정 최대 수위의 액체(도 3a에서 L1로 지시됨)를 수용하고, 통(11)의 출구(12)를 그 하단 통로 단면(P1로 지시됨)이 최대 액체 수위(L1) 아래에 위치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저장소의 측벽들(21b)은 이들을 함께 연결하는 공통 통로(29)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특히, 통로(29)는 두 저장소(21)의 중심을 함께 연결하는 축상에 배치되고, 측벽들(21b)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두 개의 측벽들(29b)에 의해 한정된다. 통로(29)는 저장소(21)의 평면도상 직경보다 훨씬 작은 너비, 예를 들어 저장소(21)의 직경의 1/5 내지 1/6(실제로는 2-5㎜)의 너비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저장소(21)는 대략 평평한 수평 수집면(21a)과 대략 수직인 원통형 측벽(21b)에 의해 형성되며, 원통형 측벽(21b)은 불완전한 주각(round angle)을 통해 출구(12) 둘레로 연장되고, 통로(29)와 만난다.
측벽(21b)의 내경은 출구(12)의 최대 외경보다 더 크므로, 출구(12)는 측벽(21b) 내부에 측벽(21b)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떨어져서 수용될 수 있다.
측벽(21b)의 상단 가장자리는 저장소(21) 내부에 수집되는 액체의 최대 수위(L1)를 결정한다.
측벽(21b)은 총안이 설치된 벽(crenellation) 형태의 위쪽으로 돌출한 벽 연장부들(22)을 보유하며, 이는 통(11)의 몸체(13)에 대한 안착수단을 형성하여 통 출구(12)를 저장소(21)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관계 및 정확한 기하학적 관계로 위치시키도록 한다. 통(11)은 숄더(13')를 보유하며, 이로부터 그 단부에 출구(12)를 지니는 원통형 목부분(14)이 돌출된다. 상기 연장부들(22b)에 의해 형성된 총안이 설치된 벽은 뒤집힌 자세로 있을 때 통(11)의 출구(12)와 목부분(14)을 둘러싸서, 그 상단 가장자리로 숄더(13')를 지지하며 수납한다. 이 자세에 있을 때 출구(12)는 저장소(21) 내로 삽입되며, 그 하측 출구부(P1)는 최대 수위(L1)보다 더 낮은 수위에 놓여진다(도 3a).
상세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출구(12)는 목부분(14)의 단부를 단단히 둘러싸는 환형요소(12a)를 포함하며, 목부분(14)의 단부에는 활성물질(R)용 통로 포트를 밀폐되도록 폐쇄하는 원형 디스크(12b)가 결합된다.
환형요소(12a)의 하단 표면은 하단 통로부(P1)를 형성한다. 이 통로부(P1)는 저장소(21)의 측벽(21b)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작은 거리만큼 떨어져 놓여 있으므로, 좁은 통로(F로 지시됨)가 저장소(21)의 오목부를 향한 내리는 물을 위해 형성된 채로 유지된다.
특히, 튜브 조각(30)은 경사지게 절단되어, 사용 위치에 놓여질 때 통의 출구(12)를 관통하는 정도로 위쪽으로 돌출되는 상부 끝(30')을 형성한다. 통들(11)을 사용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통들(11)은 삽입되고 수동조작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려서 각각의 튜브 조각(30)이 그들 각각의 내부로 침투하여 그 끝이 원형 디스크(12b)를 환형요소로부터 떼어내거나 뜯어내게 함으로써, 통(11) 안에 존재하는 활성물질(R)이 출구(12)를 통하여 하강할 수 있게 한다. 그 후 지지수단(20)은 이와 같이 부착된 통(11)과 함께 수세식 변기 내에 배치되어, 수집면(21a)이 대략 또는 거의 수평으로 놓이게 하고, 또한 수세식 변기로 공급된 내리는 물이 저장소(21)가 놓여진 영역을 타격하게 한다.
각 통(11)의 액체 활성물질(R)은 (개방된) 출구(12)를 통하여 하강하여 튜브 조각(30)의 내부 폐쇄 공간을 채운다. 이 활성물질은 통로수단(35)을 통해서만 외측으로 나가며, 통로수단(35)으로부터 개개의 저장소(21) 내로 하강하여 여기서, 적어도 통로수단(35)의 하부 출구를 둘러싸는 영역에서는, 최대 수위(L1)에 도달하거나 또는 거의 도달할 때까지(그러나 초과하지는 않으면서) 축적되고, 또한 통로(29) 내로 넘쳐 흘러 다른 하나의 통(11)에서 비롯된 물질과 결합한다.
1000 - 3000 ×10-2 P(푸아즈)의 점도를 갖는 활성물질(R)을 사용하여, 충분히 작은 통기 통로수단(31)이 구비된다면 활성물질(R)이 통기 통로수단(31)으로부터 나타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이 때, 출구(12)는 기밀 밀봉되어 있으므로, 진공 환경이 통(11)의 내부 챔버의 상부(D)에 활성물질(R) 수위 위쪽으로 형성되며, 이는 외부 대기압 및 통 내에 수용된 물질의 중량과 협력하여 활성물질(R)이 통(11)으로부터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정적 평형에 도달한다.
물내리기 작동이 개시되면, 내리는 물은 틈새들(F)을 통하여 저장소들(21) 내로 침투하고 또한 통로(29) 내로 침투하여, 각 저장소(21)의 활성물질(R)의 소량을 운반해 나가며, 이로써 활성물질을 희석하고 활성물질의 탈취/세정/청정/멸균 작용을 작동시킨다. 활성물질의 일부가 운반되어 나갈 때, 이는, 아마도 물 내리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난류의 작용과 함께, 약간의 환기 공기가 통로수단(31)을 통해 통(11)에 들어가게 하고 또한 상부(D)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 실험에 의해 관찰되었다. 이는 통 내부의 압력과 저장소(21) 내의 외부 압력 사이의 평형을 변화시켜서, 일정 분량의 활성물질(R)에 상당하는, 수위(L2)의 계량된 저하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저장소(21) 내의 수위(L1)가 회복된다.
이것이 발생하려면, 통기 통로수단(31)의 기하학적 특성이 활성물질(R)의 물리화학적 특성(특히 그 점도)과 관련되어 통(11) 안으로의 공기의 계량된 통과를 달성하여, 활성물질이 통상적으로는 적어도 관련된 정도까지는 통(11)으로부터 나타나지 않는 반면, 내리는 물의 흐름이 수용 저장소(21)를 타격할 때에는 통(11)으로부터 계량되는 방식으로 나간다.
활성물질의 점도가 1600 - 2400 ×10-2 P(푸아즈)일 때 통기 통로수단(31)의 단면적이 3 - 6 ㎟인 디스펜서의 경우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더욱이, 수집면(21a)으로부터 하부(P1)의 거리는 비교적 작은 수 밀리미터 정도이고, 저장소(21)의 최대 수위(L1)와 출구(12)의 하부(P1) 사이의 거리는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들은 통로수단(31)을 통한 통(11)의 일상적인 통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통 통로(29)가 없는 디스펜서, 즉 서로 격리된 저장소들(21)을 가지고 수행한 시험은 두 통(11)에 있어서 소비의 차이를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공통 통로(29)의 존재 때문에, 두 개의 통(11)에 있어서 소비가 거의 동일하며, 두 통은 거의 동시에 비워진다.
이러한 바람직한 결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가능하다. 내리는 물은 필연적으로 두 개의 저장소(21)를 서로 다르게 타격하며(예를 들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앞쪽에 위치되고 따라서 다른 하나를 부분적으로는 흐름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에), 그러므로 통로(29) 없이는 통들로부터 서로 다른 양의 활성물질을 옮겨갈 것이다. 통로의 존재는 그 대신에 균형요소로서 작용한다(비록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하는지 완전히 명확하진 않다고 하더라도).
물의 흐름에 의한 활성물질(R)의 세척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수단(20)은, 저장소(21)의 수집면(21a)을 둘러싸고, 물의 통과를 위한 수많은 넓은 구멍(24')을 구비한 비교적 넓은 물대접을 형성하며 수용 저장소(21)와 뒤집힌 통(11)의 하부를 둘러싸는 수직벽(24)에 의해 다시 둘러싸이는, 수평 플랫폼(23)을 포함한다.
어떤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매번 물을 내릴 때마다, 조금의 물이 저장소(21) 내부에 남으며, 물 내리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 내의 수위(L2)가 떨어지기 때문에 통(11) 내에 수용된 활성물질(R)이 점점 더 희석되게 되어, 마침내 그 퍼센티지가 물과 비교할 때 지나치게 낮게 된다. 물 내리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물질의 긍정적인 작용은 점진적으로 그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결점은 명백히 허용불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수용 저장소(21) 내에,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활성물질의 통과는 방지하는 계량된 통과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41)을 구비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직 슬롯 형태의 배수공(41)이 수용 저장소(21)의 측벽(21b) 내에, 바람직하게는 그 전체 높이를 따라서 구비되며, 점도 1600 - 2400 ×10-2 P(푸아즈)의 활성물질(R)의 경우 그 폭은 0.5 - 2.5 ㎜이다. 슬롯(41)은 활성물질용 통로수단(35)로부터 기하학적으로 상당한 거리 떨어져서, 특히 통기 통로수단(31)에 가까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리는 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소(21)의 내용물을 타격해서 씻어가 버린 후에, 더욱 희석된 활성물질 부분과 함께 슬롯(42)을 통하여 배수되고, 저장소(21) 내부에는 점도가 더 큰 활성물질 부분만 남겨두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 예를 들어, 관통공 형태의 배수공을 수용 저장소(21)의 수집면(21a) 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특히 비교적 점도가 높은 활성물질과 활성물질용 통로수단(35)으로부터 비교적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된 물 배수공의 경우에는, 저장소(21) 내에 수용된 활성물질의 수위가, 통로수단(35)과 일치하여 위치된 최대 수위점(L1)에서 시작하여 배수공(41)과 일치하는 사실상 0이 될 때까지 떨어지므로, 배수공(41)이 상당한 폭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활성물질이 배수공(41)으로부터 나타나지 않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른 실시예(도 6에 도시)에 따르면, 통기 통로수단은 튜브 조각(30) 내부에 위치되어 수용 저장소(21)의 하부벽(25) 아래의 공기와 통해 있고 통(11)의 출구(12)를 향해 그리고 이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돌출하는 가는 튜브형 통기도관(32)을 포함한다. 튜브형 도관(32)은 튜브 조각(30)의 내부의 위치에서 하부벽(25)에 고정되어 그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며, 맨 위에 공기용 상단 통과 개구(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물 배수공(41)이 없다 하더라도 우수한 거동이 관찰되었다. 활성물질(R)의 점도와 관련된 통기 통로수단(31)의 기하학적 특징은 다음에 따라 결정된다.
- 통(11)에 들어가는 통기 공기의 양은, 매번 물 내린 후(또는 적은 횟수만큼 물 내린 후)에 충분하여, 상부 수위(L2)가 통 내부에 생성된 압력증가에 의해, 물의 흐름 속으로 방출된 활성물질(R)의 분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하강하게 하고,
- 동시에 통 내부에는 활성물질(R)이 저장소(21)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진공이 유지된다. 통기도관(31)에서, 도관(32)의 하단 통과개구(32")가 상단 통과 개구(32')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 디스펜서는,
- 하단 개구(32")의 직경이 3.5 ㎜에서 5 ㎜ 사이이고,
- 상단 개구(32')의 직경이 0.3 ㎜와 1.5 ㎜ 사이이며,
- 상기 도관(32)이 5 - 15 ㎜ 길이만큼 위쪽으로 돌출하고,
- 활성물질의 점도가 1600 - 2400 ×10-2 P(푸아즈)이다.
매번 물 내린 후(또는 적은 횟수의 물 내림 후)에, 소량의 공기 거품이 통기도관(32)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통(11)의 내부로 침투하여, 그 압력에 영향을 미치고, 작동중에 매번 물 내릴 때마다 활성물질(R)의 규칙적인 방출을 유발하며, 통(11) 내부에 수용된 활성물질(R)은 비교적 많은 횟수의 물 내림(50 - 55 ㎖의 활성물질에 대하여 250 - 450회까지의 물 내림)에 대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활성 특성(탈취/세정/청정/멸균 등)을 대체로 또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며, 그 수명의 마지막에 비교적 소량으로만 물과 혼합된다는 것을 실험에 의해 알게 되었다.
튜브형 도관(32)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통기 통로수단은 통의 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수용 저장소(21)의 하부벽(25)에 구비된, 구멍 형태의 관통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점도 1600 - 2400 ×10-2 P(푸아즈)의 활성물질에 대하여 1 ㎜와 2 ㎜ 사이인 경우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통(11)으로부터 저장소(21)까지의 활성물질 통로는, 튜브 조각(30)의 벽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며 통(11)의 챔버의 내부의 지점에서 시작하여 출구(12) 아래에서 끝나는 수직 관통 슬롯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활성물질(R)이 외부로부터 튜브 조각(30)의 내부로 흐를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슬롯은 튜브 조각(30)의 측벽의 전체 높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배출 통로수단은 없어도 된다. 이 경우 상술한 활성물질의 과도한 희석 문제는 튜브 조각(30) 외부에서 하부벽(25)에 위치된 관통공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저장소(21)에 구비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으며, 튜브 조각(30)의 통과 개구의 크기는 활성물질(R)의 점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물은 통과하되 활성물질(R)의 통과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공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직 슬롯(41)에 저장소의 측벽(21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배수공/배수슬롯의 존재에 의해, 저장소(21)에 수집되게 되는 내리는 물은 효과적으로 배출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활성물질의 희석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지연시키게 된다.
실용적-응용적 성질의 무수한 변형이 본 발명에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통(11)은 함께 결합되어 단일 몸체를 형성하면서도 두 개의 별개의 액체를 위한 두 개의 분리된 격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7)

  1. 각각이 액체상태의 활성물질(R)을 포함하며 활성물질(R)용 출구(12)를 갖는 분리된 내부 챔버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통(11)과,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위치에서 출구(12)가 아래로 향해 있는 상기 통(11)을 뒤집힌 자세로 지지하며, 상기 통(11)과는 분리되어 있는 지지수단(20)을 포함하는, 수세식 변기 내부에 수납되는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로서,
    상기 지지수단(20)이,
    내리는 물의 흐름의 작용을 받는 곳에 위치되고 통의 출구(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활성물질을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저장소(21)와,
    상기 수용 저장소(21)에 각각 위치되어 각각의 통(11)의 출구(12)를 각기 폐쇄하는 동일한 개수의 폐쇄부재(30)와,
    각 폐쇄부재(30)와 결합되어 활성물질이 통(11) 내부 챔버로부터 수용 저장소(21)까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활성물질용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수단(35,36)을 포함하며,
    각 수용 저장소(21)는, 상기 활성물질용 통로수단(35,36)을 폐쇄하는 양의 활성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체적을 규정하는 측벽들(21b)을 가지며, 저장소의 측벽들(21b)은 이들을 함께 연결하는 공통 통로(29)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통로(29)가 측벽(21b)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두 개의 측벽(29b)에 의해 한정되고, 저장소(21)의 평면도상의 직경보다 훨씬 더 작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저장소(21)가 물의 흐름을 받는 구역에 위치된 위쪽으로 향한 오목부를 가져서, 소정 수위의 액체를 수용하고, 또한 각 통의 출구(12)를 그 하부 통과 단면(P1)이 저장소(21) 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최대 수위(L1) 아래에 위치하도록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통에 대하여, 작동시에 통(11)의 내부 챔버를 대기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통로수단(31, 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통기 통로수단(31, 32)의 기하학적 특징이 활성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련되어 있어서, 활성물질이 통상적으로는 적어도 적절한 정도까지는 통(11)에서 나가지 않는 반면 내리는 물이 수용 저장소(21)를 타격할 때에는 계량된 정도로 통(11)에서 나가도록 통(11) 내부로의 공기의 계량된 통과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30)가 하부가 폐쇄된 위쪽으로 향한 튜브 조각의 형태로 되어 있고, 지지수단(20)과 결합된 통의 출구(12)를 넘어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단을 가지며, 출구(12)는 상기 폐쇄부재(30)와 상기 폐쇄부재(30)의 측면을 밀봉하여 둘러싸도록 하는 기하학적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저장소(21)가 물을 통과시키지만 활성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는 크기로 된 통과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1020057005999A 2003-02-17 2003-12-23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 KR20050104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016A ITRE20030016A1 (it) 2003-02-17 2003-02-17 "dispenser multiplo per sostanze attive liquide, per vaso di wc"
ITRE2003A000016 2003-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330A true KR20050104330A (ko) 2005-11-02

Family

ID=2926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999A KR20050104330A (ko) 2003-02-17 2003-12-23 수세식 변기용 다중 액체활성물질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7039960B2 (ko)
EP (1) EP1595037B1 (ko)
KR (1) KR20050104330A (ko)
CN (1) CN100393951C (ko)
AT (1) ATE479800T1 (ko)
AU (1) AU2003296734A1 (ko)
CA (1) CA2498666A1 (ko)
CY (1) CY1110958T1 (ko)
DE (1) DE60334033D1 (ko)
DK (1) DK1595037T3 (ko)
ES (1) ES2350634T3 (ko)
HK (1) HK1084427A1 (ko)
HR (1) HRP20050264A2 (ko)
IL (1) IL167686A (ko)
IT (1) ITRE20030016A1 (ko)
MA (1) MA27397A1 (ko)
ME (1) MEP29708A (ko)
NO (1) NO20051235L (ko)
PL (1) PL204814B1 (ko)
PT (1) PT1595037E (ko)
RS (1) RS51310B (ko)
RU (1) RU2351717C2 (ko)
SI (1) SI1595037T1 (ko)
WO (1) WO2004072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2616A1 (en) * 2004-09-02 2006-03-08 Deoflor S.p.A. Device for dispensing liquid substances inside toilet bowls
GB0605023D0 (en) 2006-03-13 2006-04-19 Jeyes Group Ltd Liquid dispensing device
EP2106486B8 (de) * 2006-12-28 2017-04-12 Henkel AG & Co. KGaA Modulsystem zur abgabe von wirkstofffluiden in die spülflüssigkeit eines toilettenbeckens
DE102008037724A1 (de) * 2008-08-14 2010-02-25 Henkel Ag & Co. Kgaa Kartusche für einen WC-Spüler
EP3397817B1 (en) * 2016-01-25 2020-03-18 Reckitt Benckiser (Brands) Limited In-the-bowl dispensing device
US10669705B2 (en) 2016-07-05 2020-06-02 Willert Home Products, Inc. Toilet bow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1047A (zh) * 1999-04-19 2000-10-25 莎拉李/迪有限公司 悬垂于抽水马桶边缘的净化和清新设备
NL1016631C2 (nl) * 2000-11-17 2002-05-22 Sara Lee De Nv Inrichting met een meervoudig toiletverzorgende werking.
DE10113036B4 (de) * 2000-11-17 2005-02-17 Henkel Kgaa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fluiden in die Spülflüssigkeit in einem Toilettenbecken
DE20116963U1 (de) 2000-11-17 2002-03-28 Henkel Kgaa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fluiden
GB2372046A (en) * 2001-02-09 2002-08-14 Jeyes Group Ltd Liquid dispensing unit for a toilet bowl
NL1019393C2 (nl) * 2001-11-19 2003-05-20 Sara Lee De Nv Inrichting met een toiletverzorgende werking.
ITRE20010116A1 (it) 2001-12-05 2003-06-05 Relevi S P A Dispenser per sostanze attive liquide, per vaso di w.c.
JP4282941B2 (ja) 2002-03-27 2009-06-24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触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84427A1 (en) 2006-07-28
ATE479800T1 (de) 2010-09-15
AU2003296734A1 (en) 2004-09-06
IL167686A (en) 2008-11-03
ITRE20030016A1 (it) 2004-08-18
ES2350634T3 (es) 2011-01-25
CA2498666A1 (en) 2004-08-26
EP1595037B1 (en) 2010-09-01
DK1595037T3 (da) 2010-12-13
CY1110958T1 (el) 2015-06-11
CN100393951C (zh) 2008-06-11
NO20051235L (no) 2005-10-28
US20060005308A1 (en) 2006-01-12
ITRE20030016A0 (it) 2003-02-17
RU2351717C2 (ru) 2009-04-10
DE60334033D1 (de) 2010-10-14
NO20051235D0 (no) 2005-03-10
PT1595037E (pt) 2010-11-11
MA27397A1 (fr) 2005-06-01
PL375817A1 (en) 2005-12-12
US7039960B2 (en) 2006-05-09
SI1595037T1 (sl) 2011-01-31
EP1595037A1 (en) 2005-11-16
WO2004072390A1 (en) 2004-08-26
MEP29708A (en) 2010-06-10
HRP20050264A2 (en) 2006-05-31
PL204814B1 (pl) 2010-02-26
RS51310B (sr) 2010-12-31
RS20050250A (en) 2006-12-15
CN1705802A (zh) 2005-12-07
RU2005122407A (ru)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8170B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for toilet bowls
ZA200204295B (en)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GB2345494A (en) Unit for dispensing a liquid into a toilet bowl
IL167686A (en) Dispenses active liquid to toilet
CA2468032C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WO2001044591A1 (en) Improved liquid dispensing toilet bowl cleaner
EP1616057B1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AU2002365686B2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EP1905906B1 (en) A dispensing unit for dispensing a freshening fluid
EP1632616A1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 substances inside toilet bowls
WO1999027201A1 (en) Dispenser device for a water closet
EP1391564A1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WO2006010412A1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AU2004216624A1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CA2482728A1 (en) Liquid active substance dispenser for w.c.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