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520A -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520A
KR20050102520A KR1020040027933A KR20040027933A KR20050102520A KR 20050102520 A KR20050102520 A KR 20050102520A KR 1020040027933 A KR1020040027933 A KR 1020040027933A KR 20040027933 A KR20040027933 A KR 20040027933A KR 20050102520 A KR20050102520 A KR 20050102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721B1 (ko
Inventor
석상우
정준호
장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72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특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빔을 방사한 후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광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에 촬상된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한 후 촬상 소자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실제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하기 위한 레이저빔 방사 수단; 상기 레이저빔 방사수단에서 방사한 레이저빔이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옴에 따라 상기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추출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및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방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촬상 수단에서 촬상한 레이저빔(포인트 영상)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촬상 수단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여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istance}
본 발명은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빔을 방사한 후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광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에 촬상된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한 후 촬상 소자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실제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물체를 태울 때 발생하는 빛이나 형광등에서 발생하는 빛은, 고온으로 가열된 원자나 분자 하나하나에서 자유로이 발생하는 빛이다. 이러한 빛은 같은 종류의 원자나 분자에서 나오는 빛이라 하더라도 무수히 다른 파장의 빛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LASER :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빔은 보통 빛에 비하여 매우 순수하며, 퍼지지 않고, 곧바로 진행하는 빛으로, 한 종류의 파장만을 가지는, 위상(位相)이 고른 연속된 빛이다. 이 빛의 스펙트럼을 분광프리즘을 통해 살펴보면 아주 가는 1개의 선스펙트럼이 나타남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가 상기 언급한 레이저빔의 특성을 증명한다.
여기서, 레이저빔의 발생 원리에 대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모든 빛은 원자나 분자에서 발생한다. 원자는 원자핵과 그 주위를 돌고 있는 전자로 이루어진다. 전자가 도는 궤도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같은 종류의 원자에서는 전자수와 전자가 도는 궤도가 일정하다. 가장바깥궤도를 도는 전자(최외각전자)에 외부로부터 빛에너지를 주거나, 다른 전자나 원자를 충돌시켜 에너지를 주면 에너지를 받은 전자는 보다 바깥쪽 궤도로 이동한다. 이렇게 전자가 어떤 에너지를 받아서 보다 바깥쪽 궤도를 돌게 되는 상태를‘원자가 들뜬상태’또는‘원자는 들뜬준위에 있다'고 한다. 들뜬상태에 있는 원자는 불안정하므로 한 번 받아들인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외부에 방출하고, 다시 원래의 궤도로 돌아가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원자가 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원자가 바닥상태에 있다'고 한다.
즉, 빛은 원자나 분자가 들뜬상태로부터 바닥상태로 되돌아갈 때나, 보다 큰 들뜬상태로부터 작은 들뜬상태로 될 때에 에너지를 방출한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는 무수하게 있다. 그 때문에 발생하는 빛은 각각의 원자가 제각기 에너지를 받아들여 빛을 방출하므로, 위상이나 파장이 서로 다른 빛의 모임으로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을 빛의 자연방출이라고 한다. 전구나 형광등, 네온사인 등이 발하는 빛은 모두 이 자연방출광이다.
한편, 원자 중에는 빛에너지 등을 받아들여 들뜬준위로 될 때, 이 준위에 머무는 시간이 긴 원자가 있다. 대표적으로 크롬이온이 들어 있는 인공(人工)루비가 이러한 성질을 가진 물질이며, 이 성질은 레이저빔을 만드는데 중요한 성질이다. 이러한 물질에 빛에너지를 조사(照射)하여 들뜨게 하면, 바닥준위(또는 하위의 들뜬준위)에 있는 원자수보다도 상위의 들뜬준위에 있는 원자수가 더 많아진다. 이 상태를 반전분포(反轉分布)라고 한다.
물질(예를 들면, 인공루비 등)이 들떠서 반전분포 상태에 있을 때, 1개의 원자가 어떤 계기로 빛을 내면서 상위의 들뜬준위로부터 하위의 들뜬준위로 옮겨지면 다른 들뜬 원자도 자극되어 위상이 고른 같은 파장을 가진 빛을 차례차례 발생한다. 이 때, 들뜬물질의 양쪽에 깨끗이 닦은 거울 2개를 평행하게 놓으면 빛은 2개의 거울 사이를 반사하면서 몇 번씩 왕복한다. 그 동안 차례로 유도방출(誘導放出)이 생겨 빛은 자꾸만 증폭(增幅)된다. 여기서, 2개의 평행한 거울은 유도방출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거울 사이에 빛의 정상파(定常波)를 만들고, 이 조건에 맞는 빛만을 증폭한다. 그 때문에 하나의 파장을 갖는 빛이 발생한다.
이 때, 2개의 거울 중 1개의 거울을 대부분의 빛이 반사되지만 일부(몇 %)만이 투과되도록 만들어 두면 거울 사이에서 증폭된 빛의 일부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빛이 레이저빔이다.
이러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는 들뜨게 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고체 레이저, 기체 레이저, 액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체 레이저는 크롬이온을 혼입시킨 인공루비, 유리, YAG(이트륨-알루미늄- 가닛) 등의 결정을 레이저빔 발생 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특히 루비 레이저는 최초로 탄생한 대표적 레이저로서, 원자를 들뜨게 하는 광원으로서 크세논 램프를 사용한다. 이 때, 루비막대와 크세논램프 주위에 반사경(反射鏡)을 설치하고, 루비막대 양쪽에는 2개의 거울이 평행하도록 배치하여 원자의 들뜨는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크세논 램프는 카메라의 스트로보 스코프와 같이 순간적인 방전과 같은 발광을 내며, 레이저의 발진출력은 크세논 램프를 발광시킨 순간에만 얻는다. 레이저 출력광의 에너지는 수 J(줄)인데 반해 출력이 나오는 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단위시간당 에너지의 최대값(첨두출력)은 수백 MW에 이르는 것도 있다. 이 때, 발진 출력광의 파장은 0.69 μm로 분홍색이다.
기체 레이저는 헬륨과 네온의 혼합기체나 아르곤, 크립톤, 이산화탄소, 헬륨과 질소와의 혼합기체 등이 사용된다. 이 기체들을 가는 유리관에 봉입하여 네온관과 같이 고전압을 가하여 방전시키고, 그 때 전자와 원자의 충돌에 의하여 들뜨게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헬륨-네온 레이저는 헬륨과 네온을 1 mmHg 정도의 압력으로 봉입한 반지름 수 mm 정도의 가늘고 긴 유리관, 전극, 방전하기 위한 전원, 평행한 거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레이저는 루비 레이저와 같이 펄스적(的)인 발진이 아니고, 연속적으로 출력을 꺼낼 수 있는 연속발진이며, 출력은 큰 것이 수십 mW, 발진출력광은 파장이 0.63 μm인 적색광이다. 다른 기체 레이저도 구성은 헬륨-네온 레이저와 유사지만, 이산화탄소 레이저와 같이 출력이 10 kW인 것도 있으며, 파장도 적외선부터 자외선 영역까지 넓은 영역을 갖는다.
반도체 레이저는 갈륨과 비소 등의 고체 재료를 사용하는데, 레이저의 발생메커니즘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고체 레이저와 구별한다. 반도체 레이저는 갈륨과 비소의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반도체 p-n접합다이오드에 전류를 흘려서 들뜨게 하여 레이저를 발진시키는 것이다. 갈륨과 비소의 p-n접합다이오드에 p형으로부터 n형 방향으로, 즉 순방향(順方向)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p형 쪽에는 양의 전하를 가진 구멍[陽孔]이 증가하고, n형 쪽에는 음전하를 가진 전자가 증가한다. 이 때가 반도체레이저가 들뜬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전자가 양공과 재결합할 때 빛에너지를 외부로 방출한다. p-n접합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크게 하면 양공과 전자가 계속 증가하여 반전분포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왕성하게 유도방출이 일어나 p형과 n형의 접합면으로부터 레이저광선이 발생한다. 반도체 레이저의 특징은 대단히 소형으로 발광부의 크기가 수 mm 정도이며, 램프 등이 필요한 간접적으로 들뜨게 하는 방식이 아니고, 직접 전류를 흘려서 들뜨게 하므로 발진 효율이 좋다.
한편, 종래의 적외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살펴보면,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방사하고, 이렇게 방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옴에 따라 이를 수광한다. 이 때, 적외선을 방사하고 수광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을 수광하기 위한 별도의 수광부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을 수광하기 위해서 수광부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특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빔을 방사한 후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광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에 촬상된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한 후 촬상 소자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실제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하기 위한 레이저빔 방사 수단; 상기 레이저빔 방사수단에서 방사한 레이저빔이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옴에 따라 상기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추출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및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방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촬상 수단에서 촬상한 레이저빔(포인트 영상)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촬상 수단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여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물체를 향해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하는 레이저빔 방사 단계;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필터링하여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추출하는 레이저빔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촬상 수단에 촬상시키는 레이저빔 촬상 단계;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촬상된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촬상 수단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여 실제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이격거리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하기 위한 레이저빔 방사부(11), 상기 레이저빔 방사부(11)에서 방사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이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옴에 따라 상기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12), 상기 필터(12)에서 추출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소자(13), 및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방사부(11)와 상기 촬상 소자(13)를 활성화시켜, 상기 촬상 소자(13)에서 촬상한 레이저빔(포인트 영상)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촬상 소자(13)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여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부(18)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8)에서 산출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를 더 포함하거나, 제어부(18)에서 산출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변환부(17) 및 상기 음성 변환부(17)에서 변환한 이격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음성 변환부(17)는 제어부(18) 내에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촬상 소자(13)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MOS Image Sensor)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는 산출한 이격거리를 무선 송수신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저장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필터(12)와 상기 촬상 소자(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12)는 카메라 렌즈 앞에 위치하여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제외한 가시광선이나 그외 광을 제거하며, 사용자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수동식 또는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동작하여 카메라 렌즈를 커버하는 자동식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거리 측정을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메뉴를 통해 거리 측정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방사부(11)와 카메라 모듈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측정신호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물체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5) 또는 음성 출력부(18) 또는 디스플레이부(15)와 음성 출력부(18)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레이저 포인터로 사용할 경우, 메뉴를 통해 포인터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레이저빔 방사부(11)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먼곳의 사물을 가리킬 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카메라 모드로 사용할 경우, 메뉴를 통해 카메라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수동식 필터는 제거되어야 한다. 물론, 자동식 필터인 경우는 카메라 모드일 때 동작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하기 위한 레이저빔 방사부 및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빔을 수광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빔 방사부는 카메라 모듈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의 일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빔 방사부는 카메라 모듈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수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에 촬상되는 레이저빔의 위치를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준점(촬상 소자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하로 촬상된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레이저빔 송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도 3a 는 레이저빔의 송신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 는 레이저빔의 수신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레이저빔 방사부를 통해 대상 물체로 레이저빔을 방사한다. 이렇게 방사된 레이저빔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외돌아와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광되고, 이렇게 수광된 레이저빔은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필터(12)를 통해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만을 수광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Θ)을 갖는 레이저빔 방사부(11)에서 방사한 레이저빔은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통해 촬상 소자에 촬상된다. 이 때,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Z)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Z는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의미하고, d는 레이저빔 방사부(11)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f는 렌즈와 촬상 소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Dccd는 기준점으로부터 촬상 소자에 촬상된 레이저빔(포인트 영상)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포인트 영상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좌측에 촬상되든지, 또는 우측에 촬상되든지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Z)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으로 포인트 영상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좌측에 촬상될 때가 우측에 촬상될 때 보다 실제 물체와의 이격거리가 더 길다.
또한, 상기 레이저빔 방사부(11)는 렌즈를 중심으로 수직ㆍ수평선 상에 어느 위치에 있든지 관계없이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거리(Z)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무선통신 단말기의 레이저빔 방사부(11)를 물체(장애물)를 향하도록 한 후, 레이저빔을 방사한다. 이 때, 레이저빔의 방사는 사용자로부터의 방사신호에 따라 방사할 수도 있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방사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방사된 레이저빔은 장애물에 반사되어 카메라 모듈로 수광된다. 그러면 촬상 소자 상에서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물체(장애물)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이격거리는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상기 이격거리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16)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5) 및 음성 출력부(16)를 이용하여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음성으로의 변환은 TTS(Text To Speech) 엔진(Engine)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이저 빔의 방사를 주기적으로 설정하고 산출한 이격거리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16)를 통해 출력할 경우에 시각 장애인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물체를 향해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한다(601). 이 때, 레이저빔의 방사는 사용자로부터의 방사신호에 따라 방사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방사할 수도 있다.
이후,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광한다(602). 즉,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필터링하여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추출한다. 그런 후, 상기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촬상 소자에 촬상시킨다.
이후,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에 촬상된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촬상 소자의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한다(603).
그런 후, 상기 산출한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산출한다(604).
이후, 상기 산출한 이격거리를 디스플레이한다(605). 이 때,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산출한 이격거리를 음성 변환부(17)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16)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빔을 방사한 후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광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에 촬상된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한 후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실제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레이저빔을 수광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광부 없이 물체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실제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수광부 없이 카메라 모듈을 통해 레이저빔을 수광하기 때문에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설명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레이저빔 송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레이저빔 방사부 12 : 필터
13 : 촬상 소자 15 : 디스플레이부
16 : 음성 출력부 17 : 음성 변환부
18 : 제어부

Claims (7)

  1.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하기 위한 레이저빔 방사 수단;
    상기 레이저빔 방사수단에서 방사한 레이저빔이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옴에 따라 상기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추출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 및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레이저빔 방사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촬상 수단에서 촬상한 레이저빔(포인트 영상)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촬상 수단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여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 산출한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서 산출한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서 산출한 물체와의 실제 이격거리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변환 수단; 및
    상기 음성 변환 수단에서 변환한 이격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5.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거리 측정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물체를 향해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방사하는 레이저빔 방사 단계;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필터링하여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추출하는 레이저빔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촬상 수단에 촬상시키는 레이저빔 촬상 단계;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촬상된 레이저빔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촬상 수단의 기준점(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여 실제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이격거리 산출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한 이격거리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는 이격거리 출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의 방사 과정은,
    사용자로부터의 방사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방사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레이저빔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거리 측정 방법.
KR1020040027933A 2004-04-22 2004-04-22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2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33A KR100602721B1 (ko) 2004-04-22 2004-04-22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33A KR100602721B1 (ko) 2004-04-22 2004-04-22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20A true KR20050102520A (ko) 2005-10-26
KR100602721B1 KR100602721B1 (ko) 2006-07-20

Family

ID=3728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33A KR100602721B1 (ko) 2004-04-22 2004-04-22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72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753A (ko) * 2004-12-18 2006-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리와 넓이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700167B1 (ko) * 2005-07-2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74105B1 (ko) * 2006-05-04 2007-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거리측정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KR101382476B1 (ko) * 2012-02-20 2014-04-08 (주)마이크로인피니티 거리 측정 장치
KR20140045631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레이저 거리 측정기
KR101493594B1 (ko) * 2013-05-21 2015-02-16 신웅철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 시스템
KR101499896B1 (ko) * 2013-02-18 2015-03-10 한국광기술원 공간 감지 장치
KR20160036230A (ko) * 2014-09-25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동 단말기
US9826151B2 (en) 2015-05-29 2017-11-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Image capture system and image capture method
KR20190080087A (ko) * 2017-12-28 2019-07-08 이호동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현장관리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63B1 (ko) 2009-12-11 2011-11-11 이선구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한 로봇눈용 거리측정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753A (ko) * 2004-12-18 2006-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리와 넓이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700167B1 (ko) * 2005-07-2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74105B1 (ko) * 2006-05-04 2007-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거리측정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KR101382476B1 (ko) * 2012-02-20 2014-04-08 (주)마이크로인피니티 거리 측정 장치
KR20140045631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레이저 거리 측정기
KR101499896B1 (ko) * 2013-02-18 2015-03-10 한국광기술원 공간 감지 장치
KR101493594B1 (ko) * 2013-05-21 2015-02-16 신웅철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 시스템
KR20160036230A (ko) * 2014-09-25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동 단말기
US9826151B2 (en) 2015-05-29 2017-11-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Image capture system and image capture method
KR20190080087A (ko) * 2017-12-28 2019-07-08 이호동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현장관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721B1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721B1 (ko) 거리 측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8532151B2 (en) Passively Q-switched microlaser
Zhao et al. 22 mW blue output power from a Pr3+ fluoride fibre upconversion laser
US20200290156A1 (en) Laser processing method and laser processing system
JPH03150886A (ja) レーザ放射線を2つの異なる周波数で同時に発生させ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144053A (ja) 白色パルス光発生装置
US9645088B2 (en) Device for analyzing the material composition of an object via plasma spectrum analysis
CN109309336A (zh) 一种准分子宽带泵浦碱金属蓝光激光器
Carlson et al. High power Yb-doped fiber laser-based LIDAR for space weather
US6650677B1 (en) Up-conversion laser
Lopez et al. LED-pumped Er: Cr: YSGG light sources
Hübner et al. High-brightness 1.4 kW 780 nm QCW laser pump module with low-loss coupling into 1 mm fiber up to 50% duty cycle
Jusinski et al. Efficient and stable operation of an Ar+-pumped continuous-wave ring laser from 505–560 nm using a coumarin laser dye
WO2015059731A1 (ja) 酸素分子レーザ発振器
Hirth et al. Comparison of coaxial-and preionized linear flashlamps as pumping sources for high power repetitive pulsed dye lasers
JPH06235764A (ja) ライダ装置
CN111180985A (zh) 一种产生高重复频率飞秒激光的实验装置和方法
Canal et al. Disruptive laser diode source for embedded LIDAR sensors
Canal et al. Novel high-energy short-pulse laser diode source for 3D lidar systems
Kibblewhite et al. Implementation of cw-and pulsed-laser beacons for astronomical adaptive optics systems
CN106462040A (zh) 高功率超短脉冲光纤激光器照射投影仪
RU2752778C1 (ru) Плазменный источник света с лазерной накачкой и способ генерации излучения
CN219143095U (zh) 一种微型镜头探测装置
CN112204703B (zh) 用于用频率转换照明源泵浦激光维持等离子体的系统及方法
Passner et al. Inexpensive, pulsed, tunable ir dye laser pumped by a flashlamp‐driven dye la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