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911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911A
KR20050101911A KR1020040027150A KR20040027150A KR20050101911A KR 20050101911 A KR20050101911 A KR 20050101911A KR 1020040027150 A KR1020040027150 A KR 1020040027150A KR 20040027150 A KR20040027150 A KR 20040027150A KR 20050101911 A KR20050101911 A KR 2005010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discharge sustaining
emitting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911A/ko
Publication of KR2005010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시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이 실행되는 단위 발광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셀들의 방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발광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방전유지전극쌍들, 단위 발광셀에서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발광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 방전유지전극쌍들 및 어드레스전극들을 각각 덮고 있는 제 1 유전체층 및 제 2 유전체층, 발광셀들 내부에 도포된 형광체, 및 발광셀들 내에 봉입된 방전가스를 포함하고, 발광셀의 수직 상방에서 측정된 단위 발광셀에 배치된 암색 구성요소의 발광셀에 대한 면적비율은 20% 내지 50% 가 된다. 개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외광흡수요소가 적절히 설계됨으로써, 패널의 명실 콘트라스트가 극대화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명실 콘트라스트가 극대화되도록 외광흡수요소가 최적으로 설계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패널로서, 표시용량,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박형이면서,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CRT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평판표시패널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패널(10)은 90도 회전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표시면인 제 1 패널(10) 및 상기 제 1 패널(10) 하측의 제 2 패널(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0)에는 제 1 기판(11), 상기 제 1 기판(11)에 형성된 방전유지전극쌍(16), 상기 방전유지전극쌍(16)을 덮는 제 1 유전체층(14), 및 상기 제 1 유전체층(14) 하면에 형성된 보호층(15)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패널(20)은 제 2 기판(21), 상기 제 2 기판(21) 상에 형성된 어드레스전극(22), 상기 어드레스전극(22)을 매립하는 제 2 유전체층(23), 상기 제 2 유전체층(23)에 형성되는 격벽(24), 및 상기 제 2 유전체층(23) 상에서 격벽(24)에 걸쳐 도포되는 형광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발광셀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16) 사이에서 실행되는 주방전에 의해 발광셀 내에는 진공자외선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공자외선은 발광셀 내부에 도포된 형광체(25)에 의해 가시광(L1)으로 전환되어, 제 1 패널(10)을 통해 표시광(L2)으로 방사된다. 그런데, 이러한 표시광(L2)외에도 외광이 패널면에 반사된 반사광(L3)이 시청자의 시각에 감지되면, 명실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명실 콘트라스트는
와 같이 정의될 수 있는데, 여기서, 피크휘도는 패널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레벨의 휘도 즉, 256 계조가 모두 표시될 경우의 휘도이고, 백휘도는 패널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낮은 레벨의 휘도 즉, 0 계조일 경우의 휘도이다. 이러한 명실 콘트라스트의 정의를 참조하면, 반사광(L3)에 의한 반사휘도가 증가될 경우, 명실 콘트라스트는 저하된다.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패널 구성요소를 광흡수율이 높은 암색 재료로 형성하여, 외부광원에 의한 반사광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암색을 띤 구성요소가 과도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영상표시를 위해 패널에서 방사되는 가시광(L1)도 흡수됨으로써, 패널의 피크휘도가 저하되고, 따라서, 명실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암색요소의 적절한 설계 및 이를 위한 설계기준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범위의 암색요소 비율을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이 실행되는 단위 발광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셀들의 방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발광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방전유지전극쌍들;
상기 단위 발광셀에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상기 발광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 및 어드레스전극들을 각각 덮고 있는 제 1 유전체층 및 제 2 유전체층;
상기 발광셀들 내부에 도포된 형광체; 및
상기 발광셀들 내에 봉입된 방전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셀의 수직 상방에서 측정된 단위 발광셀에 배치된 암색 구성요소의 발광셀에 대한 면적비율은 20% 내지 50% 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방전유지전극쌍은 상기 제 1 기판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전체층은 상기 방전유지전극쌍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도록 보호층(MgO)이 형성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제 2 기판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 2 유전체층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형광체는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발광셀들 내에 도포된다.
여기서,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쌍들 사이에는 암색의 외광흡수층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전유지전극쌍은 버스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버스전극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암색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격벽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암색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패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2 패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패널(10) 및 이에 대향되게 접합되는 제 2 패널(2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패널(10)은 제 1 기판(11), 상기 제 1 기판(11) 하측에 소정의 패턴으로 복수 개 형성된 방전유지전극쌍(16), 상기 방전유지전극쌍(16)을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14), 및 상기 제 1 유전체층(14)의 하측에 형성되는 보호층(15)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기판(11)은 유리를 주재료로 한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 1 기판(11) 상에는 주사전극(12)과 표시전극(13)으로 이루어지는 방전유지전극쌍(16)이 복수 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스트라이프 패턴(strip patter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전극(12) 및 표시전극(13) 각각은 투명전극(12a, 13a) 및 버스전극(12b, 13b)을 구비한다.
상기 투명전극(12a, 13a)은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도전체이면서 형광체(25)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제 1 기판(11)을 투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등이 있다.
상기 버스전극(12b,13b)은 투명전극(12a,13a)의 전기저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투명전극(12a,13a)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버스전극(12b,13b)은 블랙층(12ba,13ba)과 도전층(12bb,13bb)의 두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랙층(12ba,13ba)은 광흡수율이 50% 이상인 암색, 예를 들어, 광흡수율이 실질적으로 100%인 흑색을 띨 수 있다. 상기 블랙층(12ba,13ba)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광흡수를 통한 패널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도전층(12bb,13bb)은 투명전극(12a,13a)의 전기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Cu, Cr, Ag 등의 도전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쌍(16)들 사이에는 암색, 예를 들어, 흑색을 띤 외광흡수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광흡수층(17)은 흑색의 페이스트를 제 1 기판(11) 상에 인쇄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흑연 등의 흑색 절연재질로 형성되거나 절연재질에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광흡수층(17)은 외부광원에 의한 반사광을 흡수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광흡수층(17)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격자의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유전체층(14)은 상기 방전유지전극쌍(16)을 매립하도록 제 1 기판(11)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유전체층(14)은 주방전시 인접한 주사전극(12)과 표시전극(13) 간에 직접 통전되는 것과 양이온 또는 전자가 방전유지전극쌍(16)에 직접 충돌하여 방전유지전극쌍(16)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전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층(15)은, 방전시 양이온과 전자가 제 1 유전체층(14)에 충돌하여 제 1 유전체층(1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통상적으로는 MgO 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 2 패널(20)은 제 2 기판(21), 제 2 기판(21)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어드레스전극(22), 어드레스전극(22)을 매립하도록 제 2 기판(21) 상에 형성된 제 2 유전체층(23), 제 2 유전체층(23) 상이며 제 1 기판(11) 및 제 2 기판(21)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24), 제 2 유전체층(23) 상에서 격벽(24)의 측면에 걸쳐 도포된 형광체(25)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기판(21)은 제 1 기판(11)과 같이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전극(22)은 상기 방전유지전극쌍(16)과 실질적으로 직교되도록 형성되는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전극(22)들은 주사전극(12)과 표시전극(13) 간의 주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방전이 일어나기 위한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유전체층(23)은 어드레스전극(22)을 매립하도록 제 2 기판(21)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유전체층(23)은 방전시 양이온 또는 전자가 어드레스전극(22)에 충돌하여 어드레스전극(2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격벽(24)은, 도 4를 참조하면, 영상표시방향인 상방에 형성된 흑색층(24a) 및 상기 흑색층(24a)의 하측에 형성된 백색층(24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흑색층(24a)은 광흡수율이 높은 암색, 예를 들어, 흑색을 띠도록 형성되고, 외광을 흡수하여 패널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한다.
상기 백색층(24b)은 광흡수율이 낮은 명색을 띠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체(25)에 의해 도포되어, 명실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격벽(24)은 제 2 유전체층(23) 상에 백색 격벽용 페이스트를 적층하고, 그 상면에 흑색 격벽용 페이스트를 적층한 후, 격벽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진 연마방지용 마스크를 격벽 페이스트층에 도포하고, 샌드블라스팅을 통해 마스크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페이스트층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격벽(24)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자의 매트릭스(matrix) 형상, 벌집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형광체(25)는 제 2 유전체층(23) 상에서 격벽(24)에 걸쳐 도포되는데, 칼라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적색(R), 녹색(G), 청색(G)의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20)은 예컨대, 프릿(frit, 미도시)을 사용하여 봉착될 수 있는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10,20)이 봉착되면, 제 2 패널(10)측 격벽(24)의 정상부는 제 1 패널(10)측의 보호층(15)에 접촉된다. 그리고, 봉착된 패널 내부에는 방전가스, 예를 들어, Ne-Xe 혼합가스가 밀봉된다.
이하에서는 암색요소에 대한 설계변수인 흑부비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즉, 도 2에서 상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이 이루어지는 표시영역 및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표시영역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구비한 발광셀을 복수 개 포함하여 구비된다.
도 6은 표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표시영역에는 x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방전유지전극쌍(16) 및 y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24)이 형성된다. 여기서, 단위 발광셀의 x 방향길이는 인접하는 격벽(24) 사이의 거리(A)가 된다. 또한, 단위 발광셀의 y 방향길이는 하나의 발광셀에 한 개의 방전유지전극쌍(16)이 형성되는바, 표시영역의 y 방향길이(L)를 방전유지전극쌍 숫자(N)로 나눈 길이가 된다.
도 7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광셀의 x 방향길이는 인접하는 격벽(24)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A)가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광흡수층(17)이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쌍(16)들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 단위 발광셀의 y 방향길이는 인접하는 외광흡수층 중심선 사이의 거리(B)가 된다. 그러므로, 단위 발광셀의 면적은 이러한 x 방향거리(A)와 y 방향거리(B)를 곱한 값(A x B)으로 계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셀 내의 구성요소는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광흡수율이 우수한 암색을 띠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명실 콘트라스트에 대한 설계변수로 흑부비율이 정의될 수 있다. 흑부비율은 단위 발광셀 내에서 정의되는 변수로, 발광셀의 면적에 대한 발광셀 내에서 암색을 띠는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로 정의된다. 여기서, 암색을 띠는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면적은 영상표시면에서 측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 1 패널(10)의 상방에서 측정된 면적이 된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암색을 띤 구성요소는 외광흡수층(17), 버스전극(12b,13b), 격벽(24)이 되므로, 단위 발광셀 내에서 이러한 암색을 띤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면적은 단위 발광셀 내의 외광흡수층(17)의 면적(A x ts), 버스전극(12b,13b)의 면적(2 x A x tb), 격벽(24)의 면적(tw x (a+b+c))을 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흑부비율은
이 된다.
도면에서는 외광흡수층(17)이 인접한 방전유지전극쌍(16)들과 균등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외광흡수층(17)이 인접한 방전유지전극쌍(16)들과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즉, 어느 한 방전유지전극쌍(16) 측으로 편중되는 경우에도 흑부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격벽(24)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라이프 형상외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영상표시방향에서 보았을 때, 외광흡수층과 중첩되는 격벽영역은 흑부비율에서의 암색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격벽영역은 외광흡수층에 가려지므로, 실질적으로 외광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표 1에는 이러한 흑부비율의 변화에 따른 명실 콘트라스트의 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흑부비율을 변화시키기 위해, 암색 버스전극의 폭, 외광흡수층의 폭, 격벽의 채색(백색, 흑색)을 변화시켜가면서, 반사휘도, 피크휘도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결과로부터 명실 콘트라스트를 계산하였다.
표 1에서 각 구성요소(버스전극, 외광흡수층, 격벽)의 폭은 영상표시방향, 즉, 도 2의 상방에서 측정된 값이며, 격벽의 채색도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격벽이 백색으로 채색된 경우는 도 4에서 흑색층(24a)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다.
버스전극폭(μm) 외광흡수층 폭(μm) 격벽 폭(μm) 흑부비율(%) 반사휘도(cd/m2) 피크휘도(cd/m2) 명실콘트라스트
백색 흑색
80 0 60 0 14.8 23.5 1280 55.5
100 60 0 24.5 17.3 1025 60.2
150 60 0 28.7 15.5 955 62.6
0 0 60 20.4 20.1 1125 57.0
100 0 60 29.6 14.2 908 64.9
150 0 60 34.3 12.4 830 67.9
120 0 60 0 22.2 18.9 1089 58.6
100 60 0 31.5 13.8 888 65.3
150 60 0 36.1 11.7 815 70.7
0 0 60 27.8 15.9 971 62.1
100 0 60 37.0 11.3 801 71.9
150 0 60 41.7 10.5 756 73.0
150 0 60 0 27.8 15.9 971 62.1
100 60 0 37.0 11.3 801 71.9
150 60 0 41.7 10.5 756 73.0
0 0 60 33.3 13.2 865 66.5
100 0 60 42.6 10.2 738 73.4
150 0 60 47.2 8.7 638 74.3
150 0 60 0 27.8 15.9 971 62.1
200 60 0 46.3 9.6 695 73.4
250 60 0 50.9 8.2 597 73.8
0 0 60 33.3 13.2 865 66.5
200 0 60 51.9 8.0 563 71.4
250 0 60 56.5 7.3 488 67.8
도 8은 흑부비율의 변화에 따른 피크휘도의 프로파일이고, 도 9는 흑부비율의 변화에 따른 명실 콘트라스트의 프로파일이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흑부비율이 증가하면, 패널의 암색요소가 가시광(L1)을 많이 흡수하게 되므로, 피크휘도가 저하된다(도 1 참조).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흑부비율이 50% 이하인 경우에는 흑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데, 이는 피크휘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암색요소가 반사광을 많이 흡수하여 반사휘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흑부비율이 50%를 넘는 경우에는 흑부비율의 증가에 따라 명실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데, 이는 암색요소가 가시광을 과도하게 흡수한 결과, 피크휘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흑부비율이 50% 이하로 설계되는 것이 명실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흑부비율이 20% 미만인 경우에는 반사휘도가 20cd/m2 을 넘게 되므로, 원활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흑부비율은 20% 이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형태를 예시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질적인 특징들, 특히, 흑부비율의 개념은 이러한 패널의 형태에 제한받지 않고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모든 패널구조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에 구비되는 외광흡수요소의 면적비율인 흑부비율의 개념을 도입하고, 명실 콘트라스트가 극대화되는 최적의 범위를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흑부비율의 개념은 패널구조에 제한받지 않고, 실질적으로 모든 형태의 패널구조에 적용가능한 설계변수이므로, 통일적인 설계기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 1 패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 2 패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표시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2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흑부비율에 따른 피크휘도의 변화를 도시한 프로파일,
도 9는 흑부비율에 따른 명실 콘트라스트의 변화를 도시한 프로파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 1 패널 11...제 1 기판
12...주사전극 13...표시전극
12a,13a...투명전극 12b,13b...버스전극
12ba,13ba...버스전극의 흑색층 12bb,13bb...버스전극의 도전층
14...제 1 유전체층 15...보호층
16...방전유지전극쌍 17...외광흡수층
20...제 2 패널 21...제 2 기판
22...어드레스전극 23...제 2 유전체층
24...격벽 24a...격벽의 흑색층
24b...격벽의 백색층 25...형광체

Claims (5)

  1. 방전이 실행되는 단위 발광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셀들의 방전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발광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방전유지전극쌍들;
    상기 단위 발광셀에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상기 발광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방전유지전극쌍들 및 어드레스전극들을 각각 덮고 있는 제 1 유전체층 및 제 2 유전체층;
    상기 발광셀들 내부에 도포된 형광체; 및
    상기 발광셀들 내에 봉입된 방전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셀의 수직 상방에서 측정된 단위 발광셀에 배치된 암색 구성요소의 발광셀에 대한 면적비율은 20% 내지 50% 가 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쌍은 상기 제 1 기판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전체층은 상기 방전유지전극쌍을 덮도록 형성되며, 보호층(MgO)이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제 2 기판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 2 유전체층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형광체는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발광셀들 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방전유지전극쌍들 사이에는 암색의 외광흡수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쌍은 버스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버스전극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암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암색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27150A 2004-04-20 2004-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1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150A KR20050101911A (ko) 2004-04-20 2004-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150A KR20050101911A (ko) 2004-04-20 2004-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911A true KR20050101911A (ko) 2005-10-25

Family

ID=3728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150A KR20050101911A (ko) 2004-04-20 2004-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9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7844C (zh) 等离子体显示面板
KR1006151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763056A2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191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50253514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997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55B1 (ko) 광 손실을 줄이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77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53750B1 (ko)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604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152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5826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6151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87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719190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302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897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1661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100109525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410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10554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