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987A - 통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987A
KR20050100987A KR1020040026233A KR20040026233A KR20050100987A KR 20050100987 A KR20050100987 A KR 20050100987A KR 1020040026233 A KR1020040026233 A KR 1020040026233A KR 20040026233 A KR20040026233 A KR 20040026233A KR 20050100987 A KR20050100987 A KR 20050100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lave
master
transmis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727B1 (ko
Inventor
이혁재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4002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72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7High stools, e.g. bar stools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SoC(System on Chip)에서 마스터 블록 및 슬레이브 블록이 상호간에 복수 군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로의 개수를 줄이고, 통신시간의 증가를 감소시킨다.
마스터 블록이 데이터신호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에 마스터 전송수단의 제어에 따라 마스터 블록이 전송할 복수 군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하고, 발생한 복수 군의 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며,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복수군의 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분리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데이터신호의 저장에 관련된 마지막 군의 신호가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으로 입력될 때 출력하여 복수 군의 신호가 함께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입력되게 하며, 전송하는 복수 군의 신호가 바로 전에 전송한 신호와 동일할 경우에 해당 군의 신호는 전송하지 않고,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바로 전에 전송 받은 해당 군의 신호를 복원하여 슬레이브 블록에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및 그 방법{Arrangement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본 발명은 하나의 시스템버스를 이용하여 복수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통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oC(System on Chip)에서 마스터 블록과 슬레이브 블록이 하나의 시스템버스를 이용하여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oC는, 하나의 집적소자 내에 프로세서, 롬 및 램을 비롯하여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능블록들을 일체로 구비하고, 그 복수의 기능블록들이 상호간에 소정의 신호 예를 들면,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면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소정 신호의 처리가 용이하며, 기기의 조립 과정이 매우 단순하게 되어 그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SoC에서 버스 프로토콜은 내장되어 있는 복수의 블록들이 버스를 통해 상호간에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방식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SoC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버스 프로토콜로는 ARM사에서 개발한 AMBA(Advanced Microprocessor Bus Architecture), IBM에서 개발한 CoreConnect 및 Sonics사에서 개발한 OCP(Open Core Protocol)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버스 프로토콜들은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과 같은 각각의 신호들을 각각의 선로를 통해 전송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블록(100)에서 제공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데이터신호(WDA)가 각각의 버스(121, 123, 125)를 통해 슬레이브 블록(110)으로 전송되고, 또한 슬레이브 블록(110)이 제공하는 데이터신호(RDA) 및 응답신호(RPS)도 각각의 버스(131, 133)를 통해 마스터 블록(100)으로 전송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버스 프로토콜들은 모두 많은 선로를 사용하여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산업계에서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MBA의 한 종류인 AHB(Advanced Highperformance Bus)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41개의 제어신호의 선로, 어드레스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32비트의 어드레스신호의 선로, 저장할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32비트의 저장데이터신호의 선로 및 독출한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32비트의 독출데이터신호의 선로가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하나의 IP(Intellectual Properties)마다 갖춰야 할 신호선로의 수가 137개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많은 선로를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신호들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AHB에서 HRDATA는 읽기 전송용 데이터만 보내게 되고, HWDATA는 쓰기 전송용 데이터만 보내게 된다.
이렇게, 각 신호들의 기능이 서로 독립적이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우선 버스 프로토콜이 간단하고,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하기가 쉬우며, 버스 프로토콜의 처리를 위한 시간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또한, 신호 전송에 필요한 충분한 대역 용량을 제공하게 된다.
반면에 수많은 신호선로들로 인하여 버스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회로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집적소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버스 프로토콜에서 많은 신호선로를 사용하는 단점은 소규모의 집적소자를 설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소규모의 집적소자에서는 버스를 통한 통신용량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도체 집적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하나의 집적소자가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구현된 SoC에서는 신호선로의 개수 증가가 가격 상승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가 있게 된다. 즉, SoC에서는 많은 기능블록들이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여 큰 통신 용량이 필요하고, 신호선로의 크기가 SoC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신호선로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에 그만큼 SoC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하고, SoC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SoC에는 버스를 이중 또는 삼중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신호선로의 개수를 줄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SoC에서 사용되는 신호선로의 개수를 줄일 경우에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첫째, 신호선로의 개수 감소에 따른 최대 통신용량(maximum bandwidth)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로 많은 신호를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둘째, 신호선로의 개수 감소에 따라 하나의 신호가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 되는데, 그 신호의 다양한 기능을 해석하기 위한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통신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다양한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크기가 증가하여 전체 SoC의 크기를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의 신호선로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통신시간이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통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터 블록과 슬레이브 블록이 하나의 시스템버스를 통해 복수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버스의 신호선로 개수를 줄이는 통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터 블록과 슬레이브 블록이 상호간에 전송하는 소정의 신호가 바로 전에 전송한 신호를 복구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경우에 해당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복구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신호선로의 감소에 따른 통신시간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통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마스터 블록이 슬레이브 블록에 저장할 데이터신호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에 마스터 전송수단이 마스터 블록을 제어하여 데이터신호의 저장에 관련된 복수군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하고, 마스터 블록이 발생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며,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분리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데이터신호의 저장에 관련된 마지막 군의 신호가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으로 입력될 때 상기 저장한 복수 군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마지막 군의 신호와 동시에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입력되게 한다.
상기에서 마스터 블록이 발생하는 복수군의 신호는,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로서 슬레이브 전송수단은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어드레스신호가 슬레이브 전송수단으로 입력될 때 상기 저장한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가 동시에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입력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어드레스신호의 값이 바로 전에 발생한 어드레스신호의 값에서 연속되는 값의 어드레스신호일 경우에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바로 전의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일 경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은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바로 전에 저장한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복구하여 슬레이브 블록에 제공하도록 하여 통신시간의 증가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치 및 그 방법은, 마스터블록이 슬레이브 블록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신호의 독출을 요청할 경우에 마스터 전송수단이 슬레이브 블록을 제어하여 소정 데이터신호의 독출에 대한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하고, 발생한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제 1 시스템버스로 출력하며,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어드레스신호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분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제어신호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분리한 후 상기 저장한 어드레스신호와 함께 슬레이브 블록으로 입력시켜 슬레이브 블록이 해당 데이터신호를 독출하며, 데이터 신호의 독출한 후에는 슬레이브 전송수단에 데이터신호의 독출에 대한 응답신호 및 상기 독출한 데이터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전송 요청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슬레이브 블록을 제어하여 응답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게 하며, 출력한 응답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선택적으로 제 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며, 제 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응답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입력받아 분리하고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응답신호가 바로 전에 발생한 응답신호와 동일할 경우에 응답신호의 전송은 요청하지 않고, 마스터 전송수단은 응답신호가 없을 경우에 바로 전에 입력받은 응답신호를 복구하여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신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일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마스터 블록이고, 부호 210은 슬레이브 블록이다. 예를 들면, 상기 마스터 블록(200)은 소정의 데이터신호의 저장 및 독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이고, 상기 슬레이브 블록(210)은 상기 마스터 블록(20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저장 및 독출하는 메모리이다.
부호 220 및 230은 상기 마스터 블록(200) 및 슬레이브 블록(210)이 상호간에 소정의 제어정보로 전송하는 복수군의 신호의 종류를 통보하면서 해당되는 복수군의 신호 예를 들면,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와,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상호간에 전송하는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이며, 부호 240은 상기 마스터 블록(200)이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220)을 통해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 즉,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으로 전송하는 제 1 시스템버스이며, 부호 250은 상기 슬레이브 블록(210)이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을 통해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 즉,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상기 마스터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220)으로 전송하는 제 2 시스템버스이다.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220)은,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으로 전송하는 복수군의 신호의 종류를 통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 예를 들면,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저장할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A), 제어신호(CNT)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D) 및 슬레이브 블록(210)에 저장된 데이터신호(RDA)를 독출할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A)를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으로 전송하면서 해당 복수군의 신호 예를 들면,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머신(221)과, 상기 마스터 블록(200)이 출력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상기 제 1 제어머신(221)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으로 전송하는 제 1 선택수단(223)과,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이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의 종류를 통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 예를 들면, 응답신호(RPS)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P) 및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D)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으로부터 상기 제 2 시스템버스(250)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군의 신호 즉,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분리하여 상기 마스터블록(200)에 입력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머신(225)과, 상기 제 2 시스템버스(250)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4 제어머신(225)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마스터 블록(200)으로 입력시키는 제 1 분리수단(227)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분리수단(227)은, 상기 제 2 시스템버스(250)가 상기 마스터 블록(200)의 독출데이터신호 입력단자에 직접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시스템버스(250)를 통해 전송되는 응답신호(RPS)를 상기 제 4 제어머신(225)의 제어에 따라 저장 및 마스터 블록(200)으로 출력하는 제 1 래치(227-1)를 구비한다.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은,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전송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220)이 제공하는 상기 제어정보(WA), 제어정보(CO), 제어정보(WD) 및 제어정보(RA)에 따라 분리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3 제어머신(231)과,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전송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상기 제 3 제어머신(231)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출력하는 제 2 분리수단(233)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220)으로 제어정보(RP) 및 제어정보(RD)를 전송하면서 해당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상기 제 2 시스템버스(250)를 통해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220)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4 제어머신(235)과, 상기 슬레이브 블록(210)이 출력하는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상기 제 4 제어머신(245)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시스템버스(250)를 통해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220)으로 전송하는 제 2 선택수단(237)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 2 분리수단(233)은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가 상기 슬레이브 블록(210)의 저장데이터신호 입력단자에 직접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수신되는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를 상기 제 3 제어머신(231)의 제어에 따라 각기 저장하고 상기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출력하는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마스터 블록(200)이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전송하여 저장할 경우에 마스터 블록(200)이 마스터 전송수단(220)의 제 1 제어머신(221)에 소정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제 1 제어머신(22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의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아이들 신호(IDLE)를 출력하여 제 3 제어머신(231)이 대기하도록 하다가 상기 소정 정보의 전송요청에 따라 소정의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저장할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A)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스터 블록(200)이 어드레스신호(ADD)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1 선택수단(223)이 상기 어드레스신호(ADD)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러면, 마스터 블록(2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신호(ADD)를 출력하고, 출력한 어드레스신호(ADD)는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순차적으로 통해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의 제 2 분리수단(233)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 3 제어머신(231)은 상기 제어정보(WA)에 따라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어드레스신호(ADD)가 전송됨을 판단하고,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2 래치(233-1)를 제어하여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전송되는 어드레스신호(ADD)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 1 제어머신(22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CNT)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스터 블록(200)이 제어신호(CNT)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1 선택수단(223)이 상기 제어신호(CNT)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러면, 마스터 블록(2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CNT)를 출력하고, 출력한 제어신호(CNT)는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순차적으로 통해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의 제 2 분리수단(233)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 3 제어머신(231)은 상기 제어정보(CO)에 따라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제어신호(CNT)가 전송됨을 판단하고,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3 래치(233-3)를 제어하여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CNT)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신호(CNT)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 1 제어머신(22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D)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스터 블록(200)이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1 선택수단(223)이 상기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러면, 마스터 블록(2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출력하고, 출력한 저장데이터신호(WDA)는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33)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 3 제어머신(231)은 상기 제어정보(WD)에 따라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저장데이터신호(WDA)가 전송됨을 판단하고,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를 제어하여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를 출력하게 하며,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가 출력하는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가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전송되는 저장데이터신호(WDA)와 함께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입력되어 슬레이브 블록(210)은 어드레스신호(ADD)가 지정하는 해당 영역에 제어신호(CNT)의 제어에 따라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연속되는 어드레스 영역에 복수의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경우에 어드레스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A) 및 제어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와,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의 전송은 생략하고,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D)만을 발생하여 제 3 제어머신(231)에 제공하면서 마스터블록(200)이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출력하여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전송하게 제어한다.
상기 제 3 제어머신(231)은 제어정보(WD)가 입력될 경우에 바로 전에 제어정보(WA) 및 제어정보(CO)가 입력되면서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에 새로운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가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에 새로운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가 저장되었을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데이터신호(WDA)와 함께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를 슬레이브 블록(210)에 제공하여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어드레스신호(ADD)의 해당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에 새로운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 3 제어머신(231)은 제 2 래치(233-1)에 바로 전에 저장된 어드레스신호(ADD)의 값을 복구하여 '1' 증가시키고, 제 3 래치(233-3)에 바로 전에 저장된 제어신호(CNT)를 그대로 복구한 후 저장데이터신호(WDA)와 함께 슬레이브 블록(210)에 제공하여 저장데이터신호(WDA)를 다음 어드레스신호의 영역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저장이 완료되면, 슬레이브 블록(210)은 제 4 제어머신(235)에 응답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
제 4 제어머신(235)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어머신(225)으로 아이들 신호(IDLE)를 출력하고 있다가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 요청에 따라 응답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P)를 발생하여 제 2 제어머신(225)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슬레이브 블록(210)이 응답신호(RPS)를 발생하게 제어하고, 제 2 선택수단(220)이 응답신호(RPS)를 선택하게 한다.
그러면, 슬레이브 블록(210)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신호(RPS)를 발생하고, 발생한 응답신호(RPS)는 제 2 선택수단(237) 및 제 2 시스템버스(25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27)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 2 제어머신(225)은, 상기 제어정보(RP)에 따라 응답신호(RPS)가 전송됨을 판단하고, 제 2 분리수단(227)의 제 1 래치(227-1)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시스템버스(250)를 통해 입력되는 응답신호(RPS)를 저장 및 마스터 블록(200)으로 출력한다.
한편, 마스터 블록(200)이 슬레이브 블록(21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독출할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어머신(221)이 데이터신호를 독출할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A)와 제어신호(CNT)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하면서 마스터 블록(200)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를 발생하여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전송한다.
슬레이브 블록(210)은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가 입력되면, 슬레이브 블록(210)은 제 4 제어머신(235)에 응답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응답신호의 전송요청에 따라 제 4 제어머신(235)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P)를 발생하고, 슬레이브 블록(210)이 응답신호(RPS)를 발생하여 마스터 블록(2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마스터 블록(200)이 발생하는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를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전송하는 동작과, 슬레이브 블록(210)이 응답신호(RPS)를 마스터 블록(200)으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마스터 블록(200)이 슬레이브 블록(210)에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때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동작은 생략한다.
그리고 연속되는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순차적으로 독출할 경우에는 어드레스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A)와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을 생략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2 래치(233-1)에 바로 전에 저장된 어드레스신호를 복원하고, 1을 가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블록(210)은 입력된 어드레스신호(ADD)의 해당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신호(RDA)를 제어신호(CNT)에 따라 독출하고, 제 4 제어머신(235)에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요청하며, 제 4 제어머신(235)은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 요청에 따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D)를 발생하여 제 2 제어머신(225)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슬레이브 블록(210)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2 선택수단(220)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스위칭하여 선택하게 제어한다.
그러면, 슬레이브 블록(210)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출력하고, 출력한 독출데이터신호(RDA)는 제 2 선택수단(237) 및 제 2 시스템버스(25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27)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 2 제어머신(225)은 상기 제어정보(RD)에 따라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판단하고, 마스터 블록(200)에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통보하여 마스터 블록(200)에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입력받도록 한다.
여기서, 슬레이브 블록(210)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마스터 블록(200)으로 전송할 경우에 응답신호(RPS)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P) 및 응답신호(RPS)의 전송을 생략하고, 제어정보(RD)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슬레이브 블록(210)은 현재 전송해야 될 응답신호(RPS)가 바로 전에 전송한 응답신호(RPS)와 동일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응답신호(RPS)가 동일할 경우에 제 4 제어머신(235)에 응답신호(RPS)의 전송은 요청하지 않고, 바로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 요청에 따라 제 4 제어머신(235)이 제어정보(RD)를 발생하여 제 2 제어머신(225)에 제공하면서 슬레이브 블록(210)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출력하여 제 2 선택수단(220), 제 2 시스템버스(250) 및 제 2 분리수단(227)을 통해 마스터 블록(200)으로 입력되게 한다. 그리고 제 2 제어머신(225)은 제어정보(RP)가 입력되지 않고, 제어정보(RD)가 입력될 경우에 응답신호(RPS)의 전송이 생략되었음을 판단하고, 제 1 분리수단(227)의 제 1 래치(227-1)에 기 저장된 응답신호(RPS)를 복구하고, 복구한 응답신호(RPS)를 마스터 블록(200)으로 출력하도록 한 후 마스터 블록(200)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300)에서 제 1 제어머신(221)이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아이들 신호(IDLE)를 출력하여 제 3 제어머신(231)이 대기하도록 하고, 단계(302)에서 마스터 블록(200)이 소정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02)의 판단 결과 마스터 블록(200)이 소정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지 않을 경우에 제 1 제어머신(221)은 단계(300)로 복귀하여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아이들 신호(IDLE)를 출력 및 제 3 제어머신(231)이 계속 대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02)의 판단 결과 마스터 블록(200)이 소정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에 단계(304)에서 상기 소정 정보의 전송 요청이 슬레이브 블록(210)에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의 전송 요청인지 또는 슬레이브 블록(21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정보의 전송 요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04)의 판단 결과 슬레이브 블록(210)에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의 전송 요청일 경우에 제 1 제어머신(221)은 단계(306)에서 어드레스 신호(ADD)가 연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 1 제어머신(221)은 슬레이브 블록(210)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독출하기 위하여 바로 전에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전송한 어드레스신호(ADD)에 연속되는 어드레스신호(ADD)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06)의 판단 결과 어드레스신호(ADD)가 연속될 경우에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을 생략하고, 어드레스신호(ADD)가 연속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308)에서 어드레스신호(ADD)를 전송하여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2 래치(233-1)에 저장한다. 즉, 제 1 제어머신(221)은 어드레스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A)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스터 블록(200)이 어드레스신호(ADD)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1 선택수단(223)이 상기 어드레스신호(ADD)를 선택하게 제어하여 마스터 블록(200)이 출력하는 어드레스신호(ADD)가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33)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정보(WA)에 따라 제 3 제어머신(231)이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2 래치(233-1)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입력되는 어드레스신호(ADD)를 저장하도록 한다.
다음 단계(310)에서 제 1 제어머신(221)은 전송할 제어신호(CNT)가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바로 전에 전송한 제어신호(CNT)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할 경우에 제어신호(CNT)의 전송을 생략하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단계(312)에서 제어신호(CNT)를 전송하여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3 래치(233-3)에 저장한다.
즉, 제 1 제어머신(221)은 제어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스터 블록(200)이 제어신호(CNT)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1 선택수단(223)이 상기 제어신호(CNT)를 선택하게 제어하여 마스터 블록(200)이 출력하는 제어신호(CNT)가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33)으로 입력되고, 제 3 제어머신(231)이 상기 제어정보(CO)에 따라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3 래치(233-3)를 제어하여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CNT)를 저장하도록 한다.
다음 단계(314)에서 제 1 제어머신(221)은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D)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마스터 블록(200)이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1 선택수단(223)이 상기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선택하게 제어하여 마스터 블록(200)이 출력하는 저장데이터신호(WDA)가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33)으로 입력되게 한다.
한편, 제 3 제어머신(231)은 상기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D)가 입력될 경우에 단계(316)에서 마스터 블록(200)으로부터 어드레스신호(ADD)가 입력되어 제 2 래치(233-1)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어드레스신호(ADD)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 3 제어머신(231)은 단계(318)에서 제 2 래치(233-1)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어드레스신호(ADD)를 복구하고, 1을 가산한다. 그리고 단계(320)에서 마스터 블록(200)으로부터 제어신호(CNT)가 입력되어 제 3 래치(233-3)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제어신호(CNT)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 3 제어머신(231)은 단계(322)에서 제 3 래치(233-3)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제어신호(CNT)를 그대로 복구한다.
다음 단계(324)에서 제 3 제어머신(231)은 상기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에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를 출력하여 상기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전송되는 저장데이터신호(WDA)와 함께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입력되게 한다.
그러면, 슬레이브 블록(210)은 단계(326)에서 상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따라 어드레스신호(ADD)가 지정하는 해당 영역에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저장하고, 단계(328)에서 제 4 제어머신(235)에 데이터신호의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응답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 요청에 따라 제 4 제어머신(235)은 단계(330)에서 슬레이브 블록(210)이 발생하는 응답신호(RPS)가 마스터 블록(200)으로 전송되게 제어한다. 즉, 제 4 제어머신(235)은 응답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P)를 발생하여 제 2 제어머신(225)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슬레이브 블록(210)이 응답신호(RPS)를 발생하게 제어하고, 제 2 선택수단(220)이 응답신호(RPS)를 선택하게 하여 슬레이브 블록(210)이 발생하는 응답신호(RPS)가 제 2 선택수단(237) 및 제 2 시스템버스(25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27)으로 입력되게 하고, 상기 제어정보(RP)에 따라 제 2 제어머신(225)이 제 1 래치(227-1)를 제어하여 응답신호(RPS)를 저장 및 마스터 블록(200)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단계(304)의 판단 결과 마스터 블록(200)이 슬레이브 블록(21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정보의 전송 요청일 경우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332)에서 제 1 제어머신(221)은 어드레스 신호(ADD)가 연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어드레스신호(ADD)가 연속될 경우에 어드레스신호(ADD)의 전송을 생략하고, 어드레스신호(ADD)가 연속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334)에서 어드레스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A)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하면서 마스터 블록(200)이 출력하는 어드레스신호(ADD)를 전송하여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2 래치(233-1)에 저장되게 한다.
다음 단계(336)에서 제 1 제어머신(221)은 제어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를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스터 블록(200)이 출력하는 제어신호(CNT)가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33)으로 입력되고, 제 3 제어머신(231)이 상기 제어정보(CO)에 따라 제 2 분리수단(233)의 제 3 래치(233-3)를 제어하여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CNT)를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제 3 제어머신(231)은 제어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가 입력될 경우에 단계(338)에서 마스터 블록(200)으로부터 어드레스신호(ADD)가 입력되어 제 2 래치(233-1)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어드레스신호(ADD)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 3 제어머신(231)은 단계(340)에서 제 2 래치(233-1)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어드레스신호(ADD)를 복구하고, 1을 가산한다.
다음 단계(342)에서 제 3 제어머신(231)은 상기 제 2 래치(233-1) 및 제 3 래치(233-3)에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를 출력하여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입력되게 한다.
그러면, 슬레이브 블록(210)은 단계(344)에서 상기 입력되는 제어신호(CNT)에 따라 어드레스신호(ADD)가 지정하는 해당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신호를 독출하고, 단계(346)에서 마스터 블록(200)으로 전송할 응답신호(RPS)가 바로 전에 전송한 응답신호(RPS)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46)의 판단 결과, 응답신호(RPS)가 동일할 경우에 응답신호(RPS)의 전송을 생략하고, 응답신호(RPS)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348)에서 제 4 제어머신(235)으로 응답신호(RPS)의 요청한다.
상기 응답신호의 전송 요청에 따라 제 4 제어머신(235)은 단계(350)에서 응답신호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P)를 발생하여 제 2 제어머신(225)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슬레이브 블록(210)이 발생하는 응답신호(RPS)가 제 2 선택수단(237) 및 제 2 시스템버스(25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27)으로 입력되게 하고, 상기 제어정보(RP)에 따라 제 2 제어머신(225)이 제 1 래치(227-1)를 제어하여 응답신호(RPS)를 저장 및 마스터 블록(200)으로 출력되게 한다.
다음 단계(352)에서 슬레이브 블록(210)은 제 4 제어머신(235)에 상기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전송 요청에 따라 제 4 제어머신(235)이 단계(354)에서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제 2 분리수단(227)으로 전송한다. 즉, 제 4 제어머신(235)은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D)를 발생하여 제 2 제어머신(225)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슬레이브 블록(210)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출력하게 제어하고, 제 2 선택수단(220)이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스위칭하여 선택하게 제어하여 독출데이터신호(RDA)가 제 2 선택수단(237) 및 제 2 시스템버스(25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 분리수단(227)으로 전송되게 한다.
상기 제 2 제어머신(225)은 상기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RD)가 입력됨에 따라 단계(356)에서 제어정보(RD)가 입력되기 바로 전에 응답신호(RPS)가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응답신호(RPS)가 전송되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358)에서 제 1 래치(227-1)에 바로 전에 저장된 응답신호(RPS)를 복구하여 마스터 블록(200)으로 입력시킨 후 단계(360)에서 마스터 블록(200)에 독출데이터신호(RDA)의 전송을 통보하여 마스터 블록(200)에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입력받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일 실시 예에서 슬레이브 블록(210)은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경우에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가 동시에 입력되고,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독출할 경우에 어드레스신호(ADD) 및 제어신호(CNT)가 동시에 입력되어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보인 것이다. 그러나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가 동시에 입력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입력되어도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블록들도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분리수단(233)으로 디멀티플렉서(233-5)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제 1 제어머신(221)이 제 3 제어머신(231)으로 어드레스신호(ADD)를 전송함을 알리는 제어정보(WA), 제어신호(CNT)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CO) 및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알리는 제어정보(WD)를 전송하면서 마스터 블록(200)이 출력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순차적으로 제 1 선택수단(223) 및 제 1 시스템버스(240)를 통해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으로 통해 전송될 때 제 3 제어머신(231)이 상기 제어정보(WA), 제어정보(CO) 및 제어정보(WD)에 따라 디멀티플렉서(233-5)를 제어하여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분리하고, 슬레이브 블록(210)으로 입력시키게 된다.
도 7은 하나의 SoC 내에 제 1 및 제 2 서브 시스템이 구비되고, 그 제 1 및 제 2 서브 시스템이 각기 마스터 블록 및 슬레이브 블록을 구비하며, 제 1 서브 시스템의 마스터 블록이 제 2 서브 시스템의 슬레이브 블록을 사용하며, 제 2 서브 시스템의 마스터 블록이 제 1 서브 시스템의 슬레이브 블록을 사용할 경우에 본 발명의 통신장치를 적용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400은 제 1 서브시스템이고, 부호 500은 제 2 서브시스템이다. 상기 제 1 서브시스템(400) 및 제 2 서브시스템(500)들 각각은, 제 11 마스터 블록(410) 및 제 12 마스터 블록(510)과, 상기 제 11 마스터 블록(410) 및 제 12 슬레이브 블록(520)이 상호간에 소정의 제어정보로 전송하는 복수군의 신호의 종류를 통보하면서 해당되는 복수군의 신호 즉,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와,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상호간에 전송하는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 및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40)과, 상기 제 11 슬레이브 블록(420) 및 제 12 마스터 블록(510)이 상호간에 소정의 제어정보로 전송하는 복수군의 신호의 종류를 통보하면서 해당되는 복수군의 신호 즉,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와,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상호간에 전송하는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40) 및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 및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들 각각은, 상기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30) 및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30)으로 전송하는 복수군의 신호의 종류를 통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정보(WA, CO, WD, RA)들을 전송하면서 해당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 11 제어머신(431) 및 제 21 제어머신(531)과, 상기 제 11 마스터 블록(410) 및 제 12 마스터 블록(510)이 출력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상기 제 11 제어머신(431) 및 제 21 제어머신(531)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40) 및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40)으로 전송하는 제 11 선택수단(433) 및 제 21 선택수단(533)과, 상기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40) 및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40)이 제공하는 제어정보(RP)(RD)에 따라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40) 및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40)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분리하여 상기 제 11 마스터블록(410) 및 제 12 마스터 블록(510)으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12 제어머신(435) 및 제 22 제어머신(535)과, 상기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40) 및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40)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상기 제 12 제어머신(435) 및 제 22 제어머신(535)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제 11 마스터블록(410) 및 제 12 마스터 블록(510)으로 출력하는 제 11 분리수단(437) 및 제 21 분리수단(537)을 구비한다.
상기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40) 및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40)들 각각은, 상기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 및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이 전송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 및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이 제공하는 제어정보(WA, CO, WD, RA)에 따라 분리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3 제어머신(441) 및 제 13 제어머신(541)과, 상기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 및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이 전송하는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상기 제 23 제어머신(441) 및 제 13 제어머신(541)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제 11 슬레이브 블록(420) 및 제 12 슬레이브 블록(520)으로 출력하는 제 22 분리수단(443) 및 제 12 분리수단(543)과, 상기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 및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으로 제어정보(RP) 및 제어정보(RD)를 전송하면서 해당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 및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4 제어머신(445) 및 제 14 제어머신(545)과, 상기 제 11 슬레이브 블록(420) 및 제 12 슬레이브 블록(520)이 출력하는 응답신호(RPS) 및 독출데이터신호(RDA)를 상기 제 24 제어머신(445) 및 제 14 제어머신(545)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 및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으로 전송하는 제 22 선택수단(447) 및 제 12 선택수단(547)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600 및 610은 상기 제 1 서브시스템(400) 및 제 2 서브시스템(500)들이 상호간에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제 1 시스템버스 및 제 2 시스템 버스이다. 부호 620은 상기 제 11 선택수단(433) 및 제 22 선택수단(447)이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11 제어머신(431) 및 제 24 제어머신(445)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 1 시스템버스(600)로 출력하는 제 11 멀티플렉서이고, 부호 630은 상기 제 1 시스템버스(600)를 통해 전송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11 제어머신(431) 및 제 24 제어머신(44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2 분리수단(543) 및 제 21 분리수단(537)으로 출력하는 제 11 디멀티플렉서이다. 부호 640은 상기 제 21 선택수단(533) 및 제 12 선택수단(547)이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21 제어머신(531) 및 제 14 제어머신(545)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 2 시스템버스(610)로 출력하는 제 12 멀티플렉서이고, 부호 650은 상기 제 2 시스템버스(610)를 통해 전송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21 제어머신(531) 및 제 14 제어머신(545)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 22 분리수단(443) 및 제 11 분리수단(437)으로 출력하는 제 12 디멀티플렉서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제 11 선택수단(433)이 복수군의 신호 즉, 어드레스신호(ADD), 제어신호(CNT) 및 저장데이터신호(WDA)를 제 12 분리수단(543)으로 전송할 경우에 제 11 제어머신(431)이 제 11 멀티플렉서(620)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630)를 제어하여 제 11 선택수단(433)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가 제 11 멀티플렉서(620), 제 1 시스템버스(600)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63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12 분리수단(543)으로 전송되고, 제 22 선택수단(447)이 복수군의 신호 즉, 응답신호(RPS) 및 독출어드레스신호(RDA)를 제 21 분리수단(537)으로 전송할 경우에 제 24 제어머신(445)이 제 11 멀티플렉서(620)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630)를 제어하여 제 22 선택수단(433)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가 제 11 멀티플렉서(620), 제 1 시스템버스(600)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63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1 분리수단(537)으로 전송된다.
또한 제 21 선택수단(533)이 복수군의 신호를 제 22 분리수단(443)으로 전송할 경우에 제 21 제어머신(431)이 제 12 멀티플렉서(640) 및 제 12 디멀티플렉서(650)를 제어하여 제 21 선택수단(533)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가 제 12 멀티플렉서(640), 제 2 시스템버스(610) 및 제 12 디멀티플렉서(65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22 분리수단(443)으로 전송되고, 제 12 선택수단(547)이 응답신호(RPS) 및 독출어드레스신호(RDA)를 제 21 분리수단(537)으로 전송할 경우에는 제 14 제어머신(545)이 제 12 멀티플렉서(640) 및 제 12 디멀티플렉서(650)를 제어하여 제 12 선택수단(547)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가 제 12 멀티플렉서(640), 제 2 시스템버스(610) 및 제 12 디멀티플렉서(650)를 순차적으로 통해 제 11 분리수단(437)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1 마스터 전송수단(430) 및 제 12 마스터 전송수단(530)과, 상기 제 11 슬레이브 전송수단(440) 및 제 12 슬레이브 전송수단(540)들 각각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마스터 전송수단(220) 및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23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슬레이브 블록이 메모리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터 블록이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처리하여 다른 기능블록으로 출력하는 슬레이브 블록일 경우에 마스터 블록이 슬레이브 블록으로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만을 전송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마스터 블록과 슬레이브 블록의 사이에 데이터신호의 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어 있을 경우에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SoC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복수의 집적소자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기기에 간단히 적용되어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군의 신호들을 스위칭시켜 하나의 시스템버스를 통해 전송하므로 버스의 신호선로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집적소자의 크기를 줄이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중복되는 신호는 전송하지 않고, 바로 전에 전송한 신호를 복구한 후 사용하여 신호선로의 개수의 감소에 따른 통신시간의 증가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칩 전체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칩 크기의 감소 효과는 데이터 전송이 많은 멀티미디어용 SoC 일수록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장치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마스터 블록이 슬레이브 블록에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때의 타이밍도.
도 4는 도 2에서 마스터 블록이 슬레이브 블록에서 데이터신호를 독출할 때의 타이밍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통신방법의 실시 예를 보인 신호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Claims (15)

  1. 마스터 블록과;
    상기 마스터 블록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블록과;
    상기 마스터 블록의 요청에 따라 그 마스터 블록이 복수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제어하고, 출력된 복수군의 신호들을 스위칭하여 선택하는 마스터 전송수단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이 선택한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블록 측으로 전송하는 제 1 시스템 버스와;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출력하는 슬레이브 전송수단으로 구성된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은 상기 마스터 블록의 전송요청에 따라 그 마스터 블록이 복수군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 1 제어머신과;
    상기 마스터 블록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1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는 제 1 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은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의 분리를 상기 제 1 제어머신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제 3 제어머신과;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3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2 분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군의 신호는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상기 슬레이브 블록에 저장할 저장데이터신호이고,
    상기 제 2 분리수단은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가 상기 슬레이브 블록의 저장데이터신호 입력단자에 직접 접속되고, 상기 제 3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각각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기 저장데이터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2 래치 및 제 3 래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리수단은 디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의 사이에 제 2 시스템 버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은,
    상기 슬레이브 블록의 요청에 따라 그 슬레이브 블록이 복수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 4 제어머신과;
    상기 슬레이브 블록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4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 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는 제 2 선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은,
    상기 제 2 시스템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의 분리를 상기 제 4 제어머신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제 2 제어머신과;
    상기 제 2 시스템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2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1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수단은 상기 제 2 시스템 버스가 상기 마스터 블록의 입력단자에 직접 접속되고, 상기 제 2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저장하여 상기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1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마스터 블록과, 상기 마스터 블록의 제어에 따른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블록과, 상기 마스터 블록의 소정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마스터 전송수단과, 상기 슬레이브 블록의 소정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슬레이브 전송수단을 각기 구비하는 제 1 서브시스템 및 제 2 서브시스템과;
    상기 제 1 서브시스템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각기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들을 상기 제 2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전송수단 및 마스터 전송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1 시스템 버스와;
    상기 제 1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각기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들을 제 1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제 1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는 제 11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 11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복수군의 신호들을 제 1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제 2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전송수단 및 마스터 전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 11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제 1 서브시스템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각기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들을 상기 제 1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전송수단 및 마스터 전송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2 시스템 버스와;
    상기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각기 제공하는 복수군의 신호들을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제 1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는 제 12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 2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복수군의 신호들을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 및 슬레이브 전송수단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제 1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전송수단 및 마스터 전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 12 디멀티플렉서로 구성된 통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은,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블록의 전송요청에 따라 해당 마스터 블록이 복수군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제 11 및 제 21 제어머신과;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블록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11 및 제 12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제 11 및 제 12 멀티플렉서로 출력하는 제 11 및 제 21 선택수단과;
    상기 제 12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의 분리를 상기 제 2 및 제 1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제 12 및 제 22 제어머신과;
    상기 제 12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12 및 제 22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11 및 제 21 분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전송수단은,
    상기 제 12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의 분리를 상기 제 2 및 제 1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장치가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제 23 및 제 13 제어머신과;
    상기 제 12 및 제 11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제 23 및 제 13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분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22 및 제 12 분리수단과;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블록의 요청에 따라 그 슬레이브 블록이 복수 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제어하고 그 복수군의 신호에 대한 제어정보를 상기 제 2 및 제 1 서브시스템의 마스터 전송수단에 제공하는 제 24 및 제 14 제어머신과;
    상기 제 24 및 제 14 제어머신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의 슬레이브 블록이 출력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 11 및 제 12 멀티플렉서로 출력하는 제 22 및 제 12 선택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마스터 블록이 슬레이브 블록에 저장할 데이터신호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에 마스터 전송수단이 마스터 블록을 제어하여 데이터신호의 저장에 관련된 복수군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하는 제 11 과정과;
    상기 제 11 과정에서 마스터 블록이 발생하는 복수군의 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는 제 12 과정과;
    상기 제 12 과정에서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복수군의 신호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분리하여 저장하는 제 13 과정과;
    상기 제 13 과정에서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데이터신호의 저장에 관련된 마지막 군의 신호가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으로 입력될 때 상기 저장한 복수군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마지막 군의 신호와 동시에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입력되게 하는 제 14 과정으로 이루어진 통신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과정에서 마스터 블록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복수군의 신호는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이고,
    상기 제 13 과정에서 저장하는 신호는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이며,
    상기 제 14 과정은 제 1 시스템 버스를 통해 어드레스신호가 슬레이브 전송수단으로 입력될 때 상기 제 13 과정에서 저장한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어드레스신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가 동시에 상기 슬레이브 블록으로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과정에서 바로 전에 어드레스신호의 값에서 연속되는 값의 어드레스신호일 경우에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바로 전의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일 경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제 14 과정의 어드레스신호의 출력은, 상기 제 11 과정에서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바로 전에 저장한 어드레스 신호를 복구 및 1을 가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 14 과정의 제어신호의 출력은, 상기 제 11 과정에서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바로 전에 저장한 제어신호를 복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 과정에서 입력되는 복수군의 신호에 따른 동작을 슬레이브 블록이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응답신호의 전송을 슬레이브 전송수단에 요청하는 제 15 과정과;
    상기 제 15 과정에서 응답신호의 전송 요청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슬레이브 블록을 제어하여 응답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제 16 과정과;
    상기 제 16 과정에서 발생한 응답신호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선택하여 제 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는 제 17 과정과;
    상기 제 17 과정에서 제 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응답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입력받아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18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4. 마스터블록이 슬레이브 블록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신호의 독출을 요청할 경우에 마스터 전송수단이 슬레이브 블록을 제어하여 소정 데이터신호의 독출에 대한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하는 제 21 과정과;
    상기 제 21 과정에서 발생한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제 1 시스템버스로 출력하는 제 22 과정과;
    상기 제 22 과정에서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어드레스신호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분리하여 저장하는 제 23 과정과;
    상기 제 22 과정에서 상기 제 1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제어신호를 상기 마스터 전송수단이 제공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분리하고 상기 제 23 과정에서 저장한 어드레스신호와 함께 슬레이브 블록으로 입력시키는 제 24 과정과;
    상기 제 24 과정에서 입력되는 어드레스신호 및 제어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블록이 해당 데이터신호를 독출하고 슬레이브 전송수단에 데이터신호의 독출에 대한 응답신호 및 상기 독출한 데이터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 25 과정과;
    상기 제 25 과정에서 전송 요청에 따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슬레이브 블록을 제어하여 응답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 26 과정과;
    상기 제 26 과정에서 출력한 응답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슬레이브 전송수단이 선택적으로 제 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하는 제 27 과정과;
    상기 제 27 과정에서 제 2 시스템 버스로 출력한 응답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마스터 전송수단이 입력받아 분리하고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는 제 28 과정으로 이루어진 통신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5 과정은 바로 전에 발생한 응답신호와 동일한 응답신호일 경우에 응답신호의 전송은 요청하지 않고,
    상기 제 28 과정은 응답신호가 없을 경우에 바로 전에 입력받은 응답신호를 복구하여 마스터 블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KR1020040026233A 2004-04-16 2004-04-16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60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33A KR100609727B1 (ko) 2004-04-16 2004-04-16 통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33A KR100609727B1 (ko) 2004-04-16 2004-04-16 통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87A true KR20050100987A (ko) 2005-10-20
KR100609727B1 KR100609727B1 (ko) 2006-08-08

Family

ID=3727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233A KR100609727B1 (ko) 2004-04-16 2004-04-16 통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68B1 (ko) * 2007-01-05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라이 스테이트 양방향 버스의 전달지연을 보상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68B1 (ko) * 2007-01-05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라이 스테이트 양방향 버스의 전달지연을 보상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727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225B1 (ko)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에 적합한 크로스바 스위치구조
JP4785112B2 (ja) 複数のマスタを含むサブシステムをオープンコアプロトコルを基盤とするバスに連結するためのバスシステム
US5617547A (en) Switch network extension of bus architecture
US6311245B1 (en) Method for time multiplexing a low-speed and a high-speed bus over shared signal lines of a physical bus
CN101493805B (zh) 可伸缩总线结构
JP2001119415A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JPH06203000A (ja) スイッチ方式マルチノードプレーナ
JPH0981508A (ja) 通信方法及び装置
KR19990043773A (ko)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JP2022507935A (ja) 代替プロトコルの選択
JPS6215649A (ja) 複数のポ−トと複数のチヤンネルとの間を選択的に接続する手段
US20020087749A1 (en) Computer system, CPU and memory installed apparatus, and input/output control apparatus
KR100609727B1 (ko) 통신장치 및 그 방법
EP1284557A2 (en) Inter-nodal data transfer and data transfer apparatus
US7032061B2 (en) Multimaster bus system
US7716392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n I/O module directly connected to a main storage for DMA transfer
JP2002032326A (ja) 拡張スロットホットプラグ制御装置
JP2006119724A (ja) Cpuシステム、バスブリッジ、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0155738A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02176464A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100250474B1 (ko) 크로스바 라우팅 스위치의 전역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0322370A (ja) データ出力回路
JPH10124265A (ja) 印刷装置
CN111783374A (zh) 一种芯片和终端
JPH04225452A (ja) 光i/oインタ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