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829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829A
KR20050100829A KR1020040026006A KR20040026006A KR20050100829A KR 20050100829 A KR20050100829 A KR 20050100829A KR 1020040026006 A KR1020040026006 A KR 1020040026006A KR 20040026006 A KR20040026006 A KR 20040026006A KR 20050100829 A KR20050100829 A KR 20050100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eep sound
beep
mobile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0829A/ko
Publication of KR2005010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칩으로부터 발생하는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오른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왼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잭 접속단자와, 상기 모뎀칩으로부터의 비프음을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단자 혹은 상기 제2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모뎀칩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프음을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출력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OUTPUTTING STEREO BEEP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교대로 송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단말기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착탈이 가능하거나(attachable) 내장형(built-in)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TV수신 장치, 단말기 상에 장착하여 통화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등이 대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신체, 예를 들면, 주머니나 가방 등에서 꺼내지 않고도 단말기에 설치된 잭홀에 잭을 연결시켜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치로써 수화부로는 이어폰 장치(통상 '이어폰'이라 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화부로는 소정의 마이크로폰 장치(통상 '마이크'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컨트롤 바디(20)와, 상기 컨트롤 바디(20)의 일측으로 소정의 케이블에 의해 인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음성 통화 수단인 이어폰(50)과, 상기 컨트롤 바디의 타측에서 인출되어 단말기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바디(20)와 이어폰(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케이블 적소에는 마이크로폰(40)이 설치됨으로써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시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바디(20)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설치하여, 통화 및 통화 종료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 재생이나 VOD 파일 재생, 검색 및 정지 등의 기능을 갖는 컨트롤 버튼을 구성할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 바디(20)상에 표시창(액정표시창)을 구성할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두 개의 이어폰이 구비되는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스테레오 출력이 지원되지 않는 코덱(codec)이 포함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칩(MSM : Mobile Station Modem)의 경우, 상기 도 1과 같은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모뎀칩 외부의 코덱을 이용해 오른쪽(Right) 이어폰 신호와 왼쪽(Left) 이어폰 신호를 만들어서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음악을 스테레오로 청취할수 있다. 그러나, 음악청취 도중 전화가 왔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비프(beep)음은 MSM 내 코덱에서 출력하게 되는데, 이 경우 모노(mono)로만 지원이 되므로 사용자는 한쪽으로만 비프음을 듣게 된다.
이와 같이, 이어폰 스테레오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 모뎀칩의 경우, 음악은 양쪽 이어폰을 통해 스테레오로 청취가 가능하지만(외부 코덱 사용),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비프음은 한쪽으로만 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뎀칩 출력을 외부 코덱을 통해 스테레오 신호로 변환해 줄도 있으나 모뎀칩으로부터 발생하는 비프음을 다시 외부 코덱을 통해 스테레오 처리한다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칩에서 발생하는 모노 신호를 간단한 회로를 이용해 스테레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칩에서 발생하는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칩으로부터 발생하는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가,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오른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왼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잭 접속단자와, 상기 모뎀칩으로부터의 비프음을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단자 혹은 상기 제2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모뎀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프음을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칩에서 발생하는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모뎀제어부(예 : MSM칩)(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뎀제어부(200)는 중앙처리장치(CPU), CDMA코어, 보코더(Vocoder), 내부 코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CPU)는 표시부(203)와 키입력부(202)의 입출력 신호 및 마이크와 이어폰의 음성 입출력을 조절한다. 상기 CDMA코어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통신을 위해 송신할 데이터(예를들어 상기 보코더로부터의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여 기저대역처리부(BBA : Base Band Analog)(206)로 출력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06)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코더는 보이스 코더(Voice coder)로서, 상기 내부 코덱을 통해 만들어진 PCM데이터에서 목소리 특징만 추출해서 다른 데이터 전송율(예 : 8.6Kbps. 4.0Kbps. 2.0Kbps. 0.8Kbps 등)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내부 코덱은 상기 보코더로부터의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프(beep)음은 상기 내부 코덱에서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코덱은 모노(mono) 출력만 지원된다.
메모리(2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무선전화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key pad)(20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모뎀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표시부(203)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203)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뎀제어부(2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204)은 음악파일(예 : MP3 파일,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코덱이다. 상기 코덱(204)은 상술한 내부 코덱과 달리 스테레오(stereo) 출력을 지원한다. 따라서, 상기 코덱(204)을 통해 재생되는 음악은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양쪽 이어폰으로 출력된다.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05)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RF)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206)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06)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06)는 상기 RF모듈(205)로부터의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상기 모뎀제어부(200)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제어부(200)로부터의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상기 RF모듈(205)로 제공한다.
한편, 이어마이크로폰 장치(208)를 이용한 통화시, 통화경로는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로가 아닌 잭접속부(207)에 접속된 이어마이크로폰 장치(208)의 이어폰과 마이크(미도시)로 형성된다. 상기 잭접속부(207)는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장치(208)의 접속 및 이어마이크로폰 장치(208)의 버튼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모뎀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잭접속부(207)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모뎀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회로의 상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뎀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잭접속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잭접속부(207)는 잭 접속단자(300), 논리게이트(302), 스위치(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잭 접속단자(300)는 3극단자 및 4극단자 등이 있으며, 도면에서는 4극단자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잭 접속단자(300)의 제1단자는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306)의 오른쪽 이어폰으로 연결하고, 제2단자는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306)의 왼쪽 이어폰으로 연결하며, 제3단자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306)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단말기로 연결하고, 제4단자는 접지된다.
상기 논리게이트(302)는 모뎀제어부(200)로부터 비프음 인에이블 신호(BEEP_EN)와 비프음 선택신호(BEEP_SEL)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되는 두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상기 스위치(304)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스위치(304)의 입력단자는 상기 모뎀제어부(200)의 비프음 발생단자와 연결되고, 제1출력단자는 왼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상기 잭 접속단자(300)의 제1단자에 연결되며, 제2출력단자는 오른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상기 잭 접속단자(300)의 제2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304)는 상기 논리게이트(302)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뎀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비프음을 제1출력단자(왼쪽 이어폰) 또는 제2출력단자(오른쪽 이어폰)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304)의 제어신호는 하기 <표 1>과 같이 상기 비프음 인에이블 신호(BEEP_EN)와 상기 비프음 선택신호(BEEP_SEL)의 논리곱에 의해 생성된다.
디스에이블 디스에이블 왼쪽 이어폰 오른쪽 이어폰
BEEP_EN L L H H
BEEP_SEL L H L H
제어신호 L H
상기 <표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뎀제어부(200)는 비프음 선택신호(BEEP_SEL)로 로우(L)와 하이(H) 신호를 교대로 발생한다. 음악재생중 전화가 오면, 모뎀제어부(200)는 비프음을 상기 스위치(304)로 출력한다. 동시에, 상기 모뎀제어부(200)는 상기 비프음 인에이블 신호(BEEP_EN)를 로우(L)에서 하이(H)로 전환한다. 즉, 상기 비프음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H)가 되는 순간부터 이어폰으로 비프음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비프음 선택신호(BEEP_SEL)에 의해 상기 논리 게이트(302)는 하이(H)와 로우(L)를 교대로 발생하며, 상기 논리 게이트(302)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304)로 입력되는 비프음은 왼쪽 이어폰과 오른쪽 이어폰으로 교대로 출력된다. 이후, 상기 비프음 인에이블 신호(BEEP_EN)가 로우(L)가 되면 다시 음악이 이어폰으로 송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출력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모뎀칩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노 신호(비프음)를 외부 코덱을 사용하지 않고 양쪽 이어폰으로 출력할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뎀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비프음을 양쪽 이어폰으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잭접속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

  1.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칩으로부터 발생하는 비프음(beep sound)을 양쪽 이어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오른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제1단자 및 왼쪽 이어폰과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잭 접속단자와,
    상기 모뎀칩으로부터의 비프음을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단자 혹은 상기 제2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모뎀칩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프음을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로 교대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026006A 2004-04-16 2004-04-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장치 KR20050100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006A KR20050100829A (ko) 2004-04-16 2004-04-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006A KR20050100829A (ko) 2004-04-16 2004-04-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829A true KR20050100829A (ko) 2005-10-20

Family

ID=3727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006A KR20050100829A (ko) 2004-04-16 2004-04-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0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20100144389A1 (en) Cordless telephone with mp3 player capability
KR10065800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상대방에게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KR1005922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방법
US7991428B2 (en) Dual-mode dual-standby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 by sensing thereof
KR200501008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프음을 스테레오로 송출하기 위한장치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85183B1 (ko) 응원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79159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TWI565295B (zh) 可進行三方通話的行動裝置及其方法
KR1014099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060070593A (ko) 엠피쓰리재생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467413B1 (ko) 오디오 및 음성 출력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0757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 동작제어 방법
KR20050014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및방법
KR2007000603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핸드프리 사용중 착신호 처리 방법
KR20010058786A (ko) 비디오 메일의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휴대폰 및 동영상재생방법
KR20060061679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KR2005006064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자동 발신방법
KR20010083701A (ko) 통화 품질의 선택이 가능한 무선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5003098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악파일재생 방법
KR2006008948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인식기능을 이용한 배경을자동설정하기 위한 방법
KR20000055184A (ko)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수신방법
KR20010025965A (ko) 휴대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