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96B1 -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96B1
KR101409996B1 KR1020060097741A KR20060097741A KR101409996B1 KR 101409996 B1 KR101409996 B1 KR 101409996B1 KR 1020060097741 A KR1020060097741 A KR 1020060097741A KR 20060097741 A KR20060097741 A KR 20060097741A KR 101409996 B1 KR101409996 B1 KR 10140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receiver
key button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2267A (ko
Inventor
한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9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코덱과, 상기 코덱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패스와 리시버 패스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 하는 스위칭 장치와, 상기 단말기 적소에 설치되는 특정 키버튼 및 상기 특정 키버튼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칭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장치를 통한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면 현재의 출력 모드를 검색하는 과정과, 단말기의 특정 키버튼이 입력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특정 키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현재 출력 모드의 반대의 모드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간단한 키버튼의 동작만으로 스피커폰 모드에서 리시버 모드로, 또는 리시버 모드에서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 장소에서 사용이 유리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단말기, 스피커 장치, 스피커, 리시버, 스위칭 장치, 키버튼, 사이드 키버튼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UIS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리시버 포함)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당 기능 수행 중 특정 키버튼의 클릭에 의해 간편하게 스피커와 리시버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단말기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킨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백만 화소대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의 MP3 플레이어를 통한 음악 청취 기능이 단말기에 구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콘텐츠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기기를 휴대하는 도중에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부가 기능 중 음악 또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단말기에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한 리시버(receiver)와 상기 리시버보다 상대적으로 출력이 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여, 해당 활성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성, 음악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리시버와 스피커는 해당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공 장소에서 스피커를 통해 음악, 음성 등을 출력하게 되면,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수신음(멜로디)를 바꾸거나, 음악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스피커 장치만을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타인에게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키버튼 조작만으로 리시버와 스피커의 모드 전환을 수행하여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키버튼 조작만으로 오디오 패스를 스피커와 리시버 사이에서 스위칭시켜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 패스 또는 리시버 패스를 통해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과, 상기 스피커 패스 및 리시버 패스에 개재되어 상기 코덱을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 하는 스위칭 장치와, 상기 단말기 적소에 설치되는 특정 키버튼 및 상기 특정 키버튼의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스위칭 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스피커 패스 또는 리시버 패스로 선택적으로 해당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스피커 장치를 통한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코덱과, 상기 코덱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패스와 리시버 패스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 하는 스위칭 장치와, 상기 단말기 적소에 설치되는 특정 키버튼 및 상기 특정 키버튼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칭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제어 방법 에 있어서, 스피커 장치를 통한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면 현재의 출력 모드를 검색하는 과정과, 단말기의 특정 키버튼이 입력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특정 키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현재 출력 모드의 반대의 모드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써, 음악,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리시버가 각각 구비된다.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110)를 제어한다. 상기 스위칭 장치(110)는 사용자의 특정 키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코덱(106)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eaker)(108) 또는 리시버(receiver)(111)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음악을 스피커(108)로 출력하고 있을 경우, 사용자의 특정 키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스피커(108)로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위칭 장치(110)를 제어하여 리시버(111)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거나 한뼘 통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메모리(1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 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키입력부(key pad)(10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키버튼을 포함한다. 특정 키버튼은 기존에 설치된 키버튼을 공용으로 사용하거나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기존의 키버튼은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키버튼일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103)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06)과, 상기 코덱(106)에 접속된 마이크 장치(107) 및 스피커(108)와 리시버(111)는 음성, 음악 출력에 사용되는 오디오 입출력 블록이다. 예를 들어, 상기 코덱(106)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08) 또는 리시버(111)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107)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105)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모뎀부(104)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부(104)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부(104)는 상기 RF모듈(105)과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 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 장치(11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를 받아 동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108) 또는 리시버(111)로의 선택적인 모드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여 출력 수단을 변경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칭 장치(110)로는, 예를 들어, RF 스위칭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써, 다른 부호로 표시된 같은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표시부(203), RF모듈(205), 모뎀부(204), 키입력부(202), 코덱(206), 마이크 장치(207) 등, 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스피커 장치(208)로 스피커(speaker)와 리시버(receiver) 기능을 겸용으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하나의 스피커 장치(208)를 도시하였으나, 스테레오로 구현할 경우 두 개의 스피커 장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도 2에서는 상기 코덱(206)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두 개의 패스(212, 213)가 존재하는데, 이는 하나의 스피커 장치(208)로 스피커와 리시버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상기 코덱(206)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써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패스(212)와, 상기 코덱(206)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리시버로써 출력하기 위한 리시버 패스(213) 를 갖는다. 상기 스피커 패스(212)에는 단말기 외부로 음성, 음악을 재생시키기 위한 증폭장치(amp)(211)가 더 개재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상기 스피커 패스(212)와 리시버 패스(213)를 상기 코덱(206)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스위칭 장치(210)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칭 장치(210)는 키 입력부(202)의 특정 키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단말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를 받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말기 제어부는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는지 검사하는 30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01단계에서 해당 기능은 코덱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 패스 또는 리시버 패스를 통해 출력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 패스를 통해 출력되는 동작이라면, 사용자가 단말기의 수신음 등과 같은 멜로디를 변경하거나, MP3 플레이어에 의한 음악 재생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상기 스피커 장치를 통해 스피커 폰 기능으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 역시 포함된다. 리시버 패스를 통해 출력되는 동작 역시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단말기를 귀에 대고 음악을 청취하는 과정 역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상기 301단계에서 단말기의 해당 기능이 출력되고 있다면, 제어부는 현재 출력 모드를 검색하는 305단계를 수행하고, 특정 키버튼의 입력이 수행되는지 검사하는 307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특정 키버튼에 의한 입력은 기존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의 사이드 키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일정 시간동안 길게 누르고 있는 동작 또는 해당 키버튼은 일정 간격,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만큼 누르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키버튼을 짧게 두번 내지 세번 누르면 해당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상기 특정 키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모드의 반대 모드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309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만일, 현재 모드가 스피커 패스를 통한 스피커 폰 모드일 경우 사용자만이 들을 수 있는 리시버 모드로 전환될 것이며, 현재 모드가 리시버 모드일 경우, 주변의 다른 사람도 출력되는 해당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될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는 간단한 키버튼의 동작만으로 스피커폰 모드에서 리시버 모드로, 또는 리시버 모드에서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 장소에서 사용이 유리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
    상기 코덱을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또는 리시버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 및
    상기 스위칭을 위한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 또는 리시버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을 위한 입력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버튼의 입력이며, 상기 키버튼은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키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리시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는지 검사하는 과정;
    상기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었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또는 리시버 중 나머지 하나에 의한 해당 기능으로 모드 변경 요구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모드 변경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또는 리시버 중 나머지 하나에 의한 해당 기능으로 모드를 변환시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음성/음악의 출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또는 리시버 중 나머지 하나에 의한 해당 기능으로 모드 변경 요구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버튼의 입력이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이며, 상기 키버튼의 입력 동작은 일정 시간 동안 키버튼을 누르고 있거나, 일정 간격으로 다수번 반복해서 누르는 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97741A 2006-10-09 2006-10-09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40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741A KR101409996B1 (ko) 2006-10-09 2006-10-09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741A KR101409996B1 (ko) 2006-10-09 2006-10-09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267A KR20080032267A (ko) 2008-04-15
KR101409996B1 true KR101409996B1 (ko) 2014-06-23

Family

ID=3953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741A KR101409996B1 (ko) 2006-10-09 2006-10-09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9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946A (ko) * 1995-06-01 1999-03-25 몬타나 리미티드 은행나무(Ginkgo biloba) 잎에서의 추출물
KR20040110579A (ko) * 2003-06-19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이어폰 스위칭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946A (ko) * 1995-06-01 1999-03-25 몬타나 리미티드 은행나무(Ginkgo biloba) 잎에서의 추출물
KR20040110579A (ko) * 2003-06-19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이어폰 스위칭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267A (ko)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43080A (en) Headset for mobile phone/radio combination has a device for muting the radio signal when the phone is in use
WO20031077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background monitoring of an audio source
KR1014099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KR101185183B1 (ko) 응원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89455B1 (ko) 휴대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메모리 확장팩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76041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핸즈프리 겸용 리모콘
KR20040026909A (ko) 음악 청취와 전화 통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69172B1 (ko) 수신신호에 따라 그 출력음량이 가변적인 휴대통신 단말기및 그 구현방법
KR1010757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 동작제어 방법
KR101500345B1 (ko) 음소거 기능 제어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0165455Y1 (ko) 휴대용 카세트-핸드폰 제어장치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KR200165956Y1 (ko) 외부 오디오 연결형 전화기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50014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및방법
EP0982914A2 (en) A telephone linked with an external audio set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879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242886Y1 (ko) 벨소리 변경을 위한 전화기 보조 유닛
KR20060061679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KR2006012976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mp3 기능을 배경음악으로 설정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17

Effective date: 201404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