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293A -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293A
KR20050100293A KR1020040025521A KR20040025521A KR20050100293A KR 20050100293 A KR20050100293 A KR 20050100293A KR 1020040025521 A KR1020040025521 A KR 1020040025521A KR 20040025521 A KR20040025521 A KR 20040025521A KR 20050100293 A KR20050100293 A KR 2005010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format
unit
operating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697B1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697B1/ko
Priority to CN200410091279A priority patent/CN100586133C/zh
Publication of KR2005010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포함하여 통신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에 필요한 각각의 아이디를 모두 관리하고 운용하는 것으로, 다수 아이디를 관리하고 특정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하여 해당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는 제어부; 특정 부가서비스에 이용되는 해당 아이디 포맷을 다수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아이디부;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며, 다이얼링 신호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부;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의 아이디부에 기록저장된 모든 아이디 포맷을 읽어 확인하고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이름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아엠피에스 과정;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통신과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전화번호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통신 과정;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이메일 주소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이메일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여, 특성이 상이한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하여 상이한 포맷의 아이디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검색 적용하므로 유연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MULTI ID FORMAT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아이디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포함하여 통신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를 각각 용이하게 이용하는 각각의 아이디를 모두 관리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언제나 항상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장점이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하여 대기하거나 휴대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더 많으므로 이용률 또는 활용률이 낮으며,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UE)의 낮은 이용률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 제공하는 것으로, 일 예로,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접속, 문자메시지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무선 온라인 게임(ONLINE GAME)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자체개발 생산하므로 제공되는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라 함)은, 일 예로, 전화번호부(PHONE-BOOK) 관리, 메모 작성, 메시지 작성,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전자계산기, 알람, 착신벨 설정 등과 같이 다양하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고 추가된다.
상기와 같은 부가 서비스 중에서, 상대방 휴대단말기(UE)와 실시간(REALTIME) 접속되어 문자 메시지로 통신하는 채팅(CHATTING), 즉, 1대1 채팅 및 그룹 채팅의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서비스가 있고,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현재 상태, 즉, 전원 온/오프(POWER ON/OFF) 상태,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현재서비스(PRESENCE SERVICE)가 있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아엠피에스(IMPS: INSTANT MESSAGE & PRESENCE SERVICE) 서비스라 하고, OMA(OPEN MOBILE ALLIANCE) 규격의 WV(WIRELESS VILLAGE)에 의한 서비스 권고 안에 의하여, 사용자 이름(USER NAME) 아이디(ID)를 입력하여 로그인(LOGIN) 하므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나, 휴대단말기에는 하나의 아이디 포맷만을 기록저장하는 문제를 개선하여 다양한 포맷의 사용자 아이디를 운용하여 서비스의 유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을 포함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전송하거나, 폰북, PRESENCE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MSISDN: MOBILE STATION INTEGRATED SYSTEM DIGITAL NETWORK) 아이디(ID)를 입력하여야 하고, 이메일을 전송하는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메일(E-MAIL) 아이디(ID)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에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아이디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입력 저장하며, 상기 입력된 아이디로 이용하는 서비스 이외의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새로운 아이디를 입력하여야 하고, 상기 새로운 아이디가 필요한 경우에는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아이디를 검색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 또는 부가서비스 이외의 다른 서비스 또는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번거롭게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아이디를 검색하지 않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 부가서비스 이용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 부가서비스 이용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면, 일 예로, 휴대단말기(UE)(10)가 상대방 휴대단말기(20)와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RAN)(20)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호접속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기지국(20)은 휴대단말기(10)로부터 무선수신한 호접속 요청신호를 이동교환국(30)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인가된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한다.
상기 호접속 요청신호에는, 발신자를 구분하는 발신자 고유의 전화번호(MSISDN)와 수신자를 구분하는 수신자 고유의 전화번호(MSISDN)와 다양한 운용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상기와 같은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자를 구분하는 전화번호 아이디를 검출하고, 해당 스위칭 처리하므로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통신이 진행되도록 하며, 상기 상대방이 자체 이동통신 망에 가입된 경우는 자체 통신망에 의한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다른 유무선 통신망에 가입된 경우는 공중망(40)을 경유하여 해당 통신망에 접속하므로 통신을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가입 등록된 서비스 사업자 마다 특정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아이디 포맷이 상이하며, 일 예로, 아엠피에스(IMPS)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ASCII CHARACTER 또는 MSISDN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 등록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아엠피에스(IMPS)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이름(USER NAME)을 아이디 포맷(ID FORMAT)으로 입력하여야 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에는 전화번호(MSISDN) 아이디 포맷(ID FORMAT) 만이 기록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이름(USER NAME)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해당 호접속 요청에 의하여 서버(50)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 이름을 찾고 다운로드받는 과정(TRANSACTION)을 거치며, 상기 다운로드된 사용자 이름은 메모리를 할당하여 형성하는 관리테이블에 기록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특정 아이디(ID) 포맷에 의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아이디 포맷이 상이한 다른 부가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다수 아이디를 위한 폰 관리 테이블을 형성하고 관리하여야 하므로 휴대단말기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다수 아이디 포맷을 기록저장하고 관리하므로, 아이디 포맷을 달리하는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원활하게 운용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구분하는 다수 아이디를 관리하고 특정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하여 해당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특정 부가서비스에 이용되는 해당 아이디 포맷을 다수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아이디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며, 다이얼링 신호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아이디부에 기록저장된 모든 아이디 포맷을 읽어 확인하고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이름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아엠피에스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통신과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전화번호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통신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이메일 주소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이메일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아이디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100)를 구분하는 다수 아이디(ID)를 관리하고 특정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하여 해당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는 것으로, 아엠피에스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아이디부(130)로부터 사용자 이름(USER NAME)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고, 통신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아이디부(130)로부터 전화번호(MSISDN)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며,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아이디부(130)로부터 이메일 주소(E-MAIL ADDRESS)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는 동시에 메모리부(150)로부터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특정 부가서비스에 이용되는 해당 아이디 포맷을 다수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구분하고 특정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고유의 아이디 포맷을 다수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아이디부(130)와,
상기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MULTIMEDIA) 신호를 입출력하며, 다이얼링(DIALING) 신호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부(140)와,
상기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다수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메모리부(150)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부(110)로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는 통신(CALL)을 포함하여 문자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자신을 구분하고, 상대방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화번호(MSISDN) 아이디 포맷을 사용하며, 문자메시지로 채팅하거나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을 확인하는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자신과 상대방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자 이름(USER NAME) 아이디 포맷을 사용하고, 이메일 등을 전송하는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자신과 상대방을 구분하기 위하여 이메일 주소(E-MAIL) 아이디 포맷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에서 운용되는 부가서비스에 자신과 상대방을 구분하기 위한 다중 아이디 포맷은 아이디부(130)에 기록저장되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는 메모리부(150)에 기록되며, 상기 입출력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인식한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해당 부가서비스 운용에 의한 상대방 호출을 위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제어부(12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이 아엠피에스(IMPS)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50)로부터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를 읽고, 또한, 상기 아이디부(130)로 부터는 사용자 이름(USER NAME) 아이디 포맷을 읽어 해당 처리를 통하여 무선부(110)에 출력하므로, 기지국(RAN)에 아엠피에스(IMPS)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무선전송한다.
상기 메모리부(150)에는 특정 형태의 문서를 마크업 하는 엘리먼트 형태, 속성, 상호관계, 참조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는 XML이 적용되는 DTD(DOCUMENT TYPE DEFINITION)로, 다음과 같이 기록저장된다.
<!ELEMENT USER ID(USER NAME, MSISDN, EMAILADDRESS)>
<!ELEMENT USER NAME(#PCDATA)>
<!ELEMENT MSISDN(#PCDATA)>
<!ELEMENT EMAILADDRESS(#PCDATA)>
상기와 같은 다중 사용자 아이디 중에서 사업자가 지정한 아이디(ID) 한 개만을 사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PCDATA 는 엘리먼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문자열(STRING)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부(140)로부터 제어부(12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이 단순한 통신(CALL) 이거나 문자메시지 서비스(SMS) 이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인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50)로부터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를 읽고, 또한, 상기 아이디부(130)로부터는 전화번호(MSISDN) 아이디 포맷을 읽어 해당 처리를 통하여 무선부(110)에 출력하므로, 기지국(RAN)에 통신/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무선전송하고, 또한, 시스템 특성상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위하여 전화번호(MSISDN)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입출력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이 이메일 서비스 인 경우는 상기 메모리부(150)로부터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 그리고 아이디부(130)로부터는 이메일 주소 아이디 포맷을 읽어 해당 처리한다.
따라서, 입출력부(140)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운용 특성이 각각 상이하고 서로 다른 아이디를 입력하여야 하는 특정 부가서비스를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아이디부(130)에 기록저장된 다중 아이디를 검색하고 해당 아이디를 확인하여 즉시 적용하는 유연성이 확보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아이디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의 아이디부(130)에 기록저장된 모든 아이디 포맷을 읽어 확인하고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이름(USER NAME) 아이디 포맷(ID FORMAT)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면 제어부(120)에 의하여 아이디부(130)에 기록저장된 모든 아이디 포맷을 읽어 확인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의 제어부(120)는 아엠피에스(IMPS) 서비스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10); 상기 과정(S110)의 제어부(120)가 판단하여 아엠피에스(IMPS)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아이디부(130)의 사용자 이름(USER NAME)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과정(S120)으로 이루어지는 아엠피에스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100)는 통신과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전화번호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20)에 의하여 통신(CALL)이나 문자(SMS)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에서 통신이나 메시지 서비스(CALL/SMS/MMS)를 운용하는 것으로 제어부(120)가 판단하면 전화번호(MSISDN)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과정(S140)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100)는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이메일 주소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20)가 판단하여 이메일(E-MAIL) 서비스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에서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하는 것으로 제어부(120)가 판단하면 이메일(E-MAIL) 주소(ADDRESS)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이메일 과정으로 구성되는 방법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는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제어부(120)에 의하여 아이디부(130)로부터 모든 아이디 포맷을 검색 확인하여 읽고(S100), 입출력부(140)로부터 아엠피에스(IMPS) 서비스를 운용하고자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S110), 상기 아이디부(130)로부터 사용자 이름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므로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운용한다(S120).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통신(CALL) 서비스이거나 문자메시지서비스(SMS)이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의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130), 상기 아이디부(130)로부터 전화번호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므로, 상기 통신(CALL) 서비스이거나 문자메시지서비스(SMS)이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등의 부가서비스를 운용한다(S140).
또한, 상기 입출력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20)에서 분석하여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150), 상기 아이디부(130)로부터 이메일 주소(E-MAIL ADDRESS)의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므로, 이메일로 작성된 문서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한다(S16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각각 상이한 아이디 포맷을 사용하는 부가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사용자 아이디를 아이디부(130)에 기록저장하고 필요한 경우에 즉시 검색 출력하므로 신속하고 유연하게 부가서비스 운용을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은, 다중 아이디를 아이디부에 기록저장하고, 특성이 상이한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하여 상이한 포맷의 아이디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검색 적용하므로 유연성을 제고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이한 아이디를 검색하기 위하여 서버에 접속하지 않아도 되므로 해당 부가서비스 운용을 신속하게 하여 신뢰성을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 부가서비스 이용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다중아이디 운용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로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무선부 120 : 제어부
130 : 아이디부 140 : 입출력부 150 : 메모리부

Claims (7)

  1. 휴대단말기를 구분하는 다수 아이디를 관리하고 특정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하여 해당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특정 부가서비스에 이용되는 해당 아이디 포맷을 다수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아이디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며, 다이얼링 신호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엠피에스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상기 아이디부로부터 사용자 이름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고, 통신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아이디부로부터 전화번호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며,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아이디부로부터 이메일 주소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부는 휴대단말기를 구분하고 특정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고유의 아이디 포맷을 다수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구성이며,
    상기 메모리부는 다수 부가서비스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장치.
  4. 휴대단말기의 아이디부에 기록저장된 모든 아이디 포맷을 읽어 확인하고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이름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아엠피에스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통신과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전화번호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통신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는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이메일 주소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이메일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엠피에스 과정은,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면 제어부에 의하여 아이디부에 기록저장된 모든 아이디 포맷을 읽어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는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가 판단하여 아엠피에스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아이디부의 사용자 이름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신이나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통신이나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는 것으로 제어부가 판단하면 전화번호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가 판단하여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이메일 서비스를 운용하는 것으로 제어부가 판단하면 이메일 주소 아이디 포맷을 출력하여 적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다중 아이디 운용방법.
KR1020040025521A 2004-04-13 2004-04-13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아이디 운용방법 KR100631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521A KR100631697B1 (ko) 2004-04-13 2004-04-13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아이디 운용방법
CN200410091279A CN100586133C (zh) 2004-04-13 2004-12-01 一种便携式终端的多重id运用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521A KR100631697B1 (ko) 2004-04-13 2004-04-13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아이디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293A true KR20050100293A (ko) 2005-10-18
KR100631697B1 KR100631697B1 (ko) 2006-10-09

Family

ID=3526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521A KR100631697B1 (ko) 2004-04-13 2004-04-13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아이디 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1697B1 (ko)
CN (1) CN100586133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697B1 (ko) 2006-10-09
CN1684537A (zh) 2005-10-19
CN100586133C (zh)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7094B1 (en)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s
CN101223710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和操作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的方法
US6865385B1 (en) Status notification method and status notification system
KR1006278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을 이용하여 프리젠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60128387A1 (en)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KR1006896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상태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CN106304030B (zh) 一种基于虚拟身份信息的通讯方法、装置及系统
EP1519600A2 (en) Providing property data on mobile terminal for services
KR20070014408A (ko) 아바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06445A1 (en) Systems, Methods, Circuits and Associated Software for Managing Communications from a Mobile Device to Other Parties and Retrieving and Managing Data Stored on the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s to Other Parties
KR100888340B1 (ko) 단말 브라우저 기반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4222B1 (ko) 전화접속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방법
KR100631697B1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아이디 운용방법
KR100455140B1 (ko) 이동 단말로의 인스턴스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7818451B2 (en) Routing system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20038038A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414543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의 웹사이트 접속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9394A (ko) 커플단말기간의 메세지 전송방법
JP2003008769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要求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200200466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방법
KR100560142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JP6161213B2 (ja) 音声通知システム、音声管理サーバ、及び端末管理サーバ
KR20040028812A (ko) 이동통신 교환기에 의한 음성인식 다이얼, 음성인식컨텐츠, 전화정보 업로드, 및 전화정보 다운로드 서비스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