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442A -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 - Google Patents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442A
KR20050098442A KR1020040023665A KR20040023665A KR20050098442A KR 20050098442 A KR20050098442 A KR 20050098442A KR 1020040023665 A KR1020040023665 A KR 1020040023665A KR 20040023665 A KR20040023665 A KR 20040023665A KR 20050098442 A KR20050098442 A KR 2005009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combustion
process gas
gas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553B1 (ko
Inventor
이현재
윤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온
Priority to KR102004002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5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공정 가스 또는 폐기물을 연소 제거하는 연소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 가스와 열교환하는 축열층을 구비하여 높은 열효율을 갖는 축열식 연소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열식 연소 설비는 축열 베드에 냉각 가스를 공급하여 그 일부를 강제적으로 냉각한다. 이에 따라, 축열 베드를 통해 배출되는 공정 가스의 온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연소 설비의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WITH HIGH THERMAL EFFICIENCY}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공정 가스 또는 폐기물을 연소 제거하는 연소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 가스와 열교환하는 축열층을 구비하여 높은 열효율을 갖는 축열식 연소 설비에 관한 것이다.
연소 설비는 폐기물 소각로, 탄화로 또는 건조로 등의 산업 시설에서 공정 가스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및 미연 가스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나 산업 폐기물을 산화시켜 대기로 방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소 설비에서 연소 후 방출 가스가 갖는 높은 열에너지로 공급 가스를 예열하는 축열 방식의 연소 설비가 에너지 절감 측면 및 유해 가스 제거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축열식 연소 설비는 구조에 따라 축열층의 배치 및 운전 방식에 따라 2베드형, 3베드형, 회전 로터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열식 연소 설비 중 회전 로터형 분배 기구를 갖는 축열식 연소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축열식 연소 설비는 회전 로터와 같은 회전형 분배 기구(100), 축열 베드(200) 및 연소 챔버(3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축열식 연소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형 분배 기구(100)의 유입부(IN)로 유입된 VOC 가스와 같은 유해 가스는 상기 분배 기구(100)를 거쳐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축열 베드(200)의 예열부(Part I)로 유입된다. 상기 분배 기구(100)의 유입부(IN), 배출부(OUT)는 각각 축열 베드(200)의 예열부(Part I) 및 축열부(Part II)에 일대일 대응되는 연통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분배 기구(100)의 유입부로부터 상기 축열부(PART II)로의 가스 유입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 연통 경로는 분리되어 있다.
VOC 가스는 예열부(Part I)를 거쳐 연소 챔버(300)로 유입되어 연소된다. 연소 가스는 다시 축열 베드(200)의 축열부(Part II)를 통과하는 데, 이 때 상기 축열부와의 열교환으로 고온의 연소 가스의 온도는 감소된다. 축열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는 회전형 분배 기구(100)의 배출부(OUT)를 통과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연소 설비는 동작 중에 상기 회전형 분배 기구(100)가 단속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분배 기구(100)의 회전에 의해 유입 VOC 가스는 전단계에서 축열부(Part II)의 기능을 수행한 축열 베드(200)와 연통되며, 상기 축열부에 축적된 열에 의해 예열된다. 이에 따라, 연소 챔버에 유입되는 VOC 가스는 유입 온도에 비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로 유입되므로, VOC 가스의 연소를 위해 연소 챔버에서 공급되는 열량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축열식 연소 설비는 유입되는 가스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축열 베드(200)의 하부 온도가 유입되는 가스 온도와 동일 온도를 갖게 되어 배출되는 가스 온도는 유입 가스의 온도 이상(통상, 유입 가스 온도 + 연소 온도 × (1 - 열회수 효율)로 계산됨)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유입 가스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배출 가스의 온도가 덩달아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에너지 손실이 크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연소 설비에서 축열 베드(200)의 축열부(Part II)를 통과하는 연소 가스가 형성하는 온도 구배를 연소 챔버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유입되는 VOC 가스의 온도(TI)가 약 300 ℃, 연소 챔버의 온도(TE)가 약 850 ℃라면 상기 축열 베드의 예열부(Part I)에는 상기 분배 기구에 인접한 부근과 상기 연소 챔버에 인접한 부근 사이에 300 ℃ ~ 850 ℃ 범위의 온도 구배가 형성된다. 상기 축열 베드의 축열부(Part II)에도 이와 같은 온도 구배가 존재하는 데, 분배 기구(100)에 인접한 축열부(Part II)의 부분의 온도(TE)는 예열부의 대응 부분(공정 가스 유입 지점)의 온도(TI) 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축열부(Part II)로 고온의 연소 가스가 통과하기 때문이며, 그 온도는 앞서 언급한 수식 {유입 가스 온도 + 연소 온도 × (1 - 열회수 효율)}으로 표현된다. 축열부(Part II)를 통과한 연소 가스는 실온(TR)의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급격히 온도가 하락한다.
연소 설비로 유입되는 VOC 가스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축열부(Part II)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온도도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고온의 가스가 실온(TR)인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고 할 때 손실되는 열의 규모가 상당한 양에 이르게 된다.
특히, 축열식 연소 설비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소각로, 건조로, 탄화로 등에서 방출되는 미연 가스 또는 VOC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것일 경우, 유입되는 공정 가스의 온도가 매우 높으며, 방출되는 온도 또한 높아지게 되어 손실되는 열량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비단 회전 로터형 축열식 연소 설비 뿐만 아니라 2베드 또는 3베드형 축열식 연소 설비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따라서, 실온 이상의 온도로 유입되는 고온의 공정 가스를 연소하기 위해 종래의 축열식 연소 설비의 사용하는 것은 열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고온의 유입 가스를 공정 가스로 하여 이를 연소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에 있어서, 보다 향상된 열효율을 갖는 축열식 연소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온의 연소 챔버에서 연소된 공정 가스로부터 열을 축적하여, 유입되는 공정 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축열 베드를 포함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에 있어서, 상기 축열식 연소 설비는 상기 축열 베드를 통해 상기 연소 챔버로 공정 가스를 유입하는 공정 가스 유입 경로, 상기 축열 베드를 통해 상기 연소 챔버로 실온의 냉각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 경로, 상기 연소 챔버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를 상기 축열 베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정 가스 유출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가스 유입 경로, 공기 유입 경로 및 상기 공정 가스 유출 경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 챔버는 상기 연소 챔버 외부로 공정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열 베드는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는 각각 상기 공정 가스 유입 경로, 상기 공기 유입 경로 및 상기 공정 가스 유출 경로상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 설비는 상기 축열 베드의 예열부 및 냉각부로 공정 가스 및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축열 베드의 축열부를 통과하는 공정 가스를 배출하는 분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배 기구는 로터형 분배 기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최소한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로 구획되는 복수의 섹터를 포함하는 축열 베드, 상기 축열 베드의 상기 예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정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연소 챔버, 상기 축열부의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예열부에 공정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공정 가스 유입 영역, 상기 냉각부에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 영역 및 상기 연소 챔버로부터 상기 축열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소 가스 유출 영역을 포함하여 소정 속도로 단속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로터형 분배 기구 및 상기 연소 챔버의 연소 가스의 일부를 상기 연소 챔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연소 챔버에 설치되는 배출 도관을 포함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 설비는 소각로, 탄화로 및 건조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도관으로 배출되는 배출 가스가 상기 장치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 도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은 상기 공기 유입 경로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연소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축열식 연소 설비는 로터와 같은 분배 기구(100), 축열 베드(200) 및 연소 챔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소 설비에서 상기 회전형 분배 기구(100)는 VOC 및 미연 가스와 같은 유독성 공정 가스의 유입을 위한 유입 영역(IN), 공기 유입 영역(Air IN) 및 연소 가스 배출 영역(OU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열 베드는 상기 분배 기구(100)의 유입 영역(IN)으로부터 유입되는 공정 가스의 유입 경로상에 존재하며 공정 가스를 예열하는 예열부(Part I), 상기 분배 기구(100)의 공기 유입 영역(Air IN)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경로상에 존재하며 유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부(Part II), 상기 분배 기구(100)의 배출 경로상에 존재하며 배출되는 고온의 공정 가스로부터 축열하는 축열부(Part III)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축열 베드(200)의 각 영역(Part I, Part II, Part III)은 공간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분배 기구(100)의 각 영역(IN, Air IN, OUT)에 일대일 대응하며, 연소 챔버를 제외한 연소 설비의 각 경로상에서 상기 공정 가스 또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공정 가스 등의 혼합 방지를 위한 분리 구조는 축열식 연소 설비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분배 기구(100)의 유입 영역(IN)으로 유입된 공정 가스는 축열 베드(200)의 예열부(Part I)을 통과하여 연소 챔버로 유입된다. 연소 챔버에는 버너와 같은 연소 장치가 설치되어 유입된 유독 공정 가스를 연소한다. 분배 기구(100)의 공기 유입 영역(Air IN)으로 유입된 실온의 공기는 축열 베드의 냉각부(Part II)를 통과하면서 축열 베드의 해당 부분을 냉각한 뒤, 연소 챔버로 유입된다.
연소 챔버에서 연소된 공정 가스 및 유입 공기 중 일부는 다시 축열 베드(200)의 축열부(Part III)를 통과하는 데, 이 과정에서 축열부(Part III)는 고온의 연소 가스로부터 열을 축적한다. 축열부를 통과한 공정 가스는 분배 기구(100)의 배출 영역(OUT)을 통하여 설비 외부로 배출된다.
연소 챔버로 유입된 공정 가스 및 유입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연소 챔버에 설치된 배출 도관을 통해 배출된다. 배출된 가스는 상기 배출 도관에 연결된 소각로(Theramal Oxidizer), 탄화로(Carbonizer), 건조로(Dryer), 열교환기(Heat Exchanger) 및 스팀 보일러와 같은 주변 장치의 열원으로 공급된다. 상기 주변 장치로 공급된 가스는 소각, 탄화, 건조, 가열 등의 열원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데, 이 때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 VOC 가스 등의 유해 가스 또는 미연소 가스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이 가스는 다시 본 발명의 연소 설비의 유입 가스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주변 장치의 배출 가스는 대기 중으로 바로 배출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연소 설비는 종래의 연소 설비에 비해 높은 열효율을 갖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설명한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축열식 연소 설비에서 로터형 분배 기구를 갖는 연소 설비의 경우 분배 기구(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배 기구(100)의 공정 가스 유입 영역(IN), 공기 유입 영역(Air IN) 및 공정 가스 배출 영역(OUT)에 대응하는 축열 베드(200)의 각 영역(Part I, Part II, Part III)이 변화한다. 즉, 분배 기구의 회전에 의해 도 3의 축열 베드(200)의 축열부(Part III)가 예열부(Part I)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냉각부(Part II)는 축열부(Part III)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현단계의 축열부)는 이전 단계에서 유입된 차가운 공기에 의해 최소한 분배 기구(100)에 인접한 일부는 실온 부근으로 냉각된 상태이다. 따라서, 연소 챔버로부터 상기 냉각부(현 단계의 축열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배출 온도는 실온 부근으로 하락한다. 배출 온도의 하락은 곧 손실되는 열량의 감소를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연소 설비의 열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부(Part II)의 냉각시에 상기 냉각부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유량의 공기가 공급된다. 이것은 통상의 연소 설비에서 사용되는 퍼징 가스와 본 발명의 공기를 기능적으로 구별하게 한다. 통상의 연소 설비에서 퍼징은 예열 단계에서 흡착된 가스를 연소 챔버내로 퍼징하는 정도의 유량으로 짧은 시간에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축열 베드의 냉각이 목적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유량이 공기가 보다 장시간 유입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정 가스 외에 저온의 기체를 연소 챔버로 유입하는 경우 이를 연소 온도까지 승온하는 데에는 보다 많은 열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연소 설비의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소 설비는 연소 챔버내의 가스를 모두 대기 중으로 배출하지 않고, 일부 가스를 소각로, 탄화로 및 건조로와 같은 다른 장치의 열원으로 사용한다. 이들 장치는 소각, 탄화 또는 건조를 위해 버너와 같은 별도의 열원을 구비하여야 하지만 연소 설비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혼합 가스에 의해 열원의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열원 자체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열거한 소각로, 탄화로 및 건조로와 같은 설비들은 통상 축열식 연소 설비와 함께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유해한 폐기물의 제거라는 기능상 유사하여 동일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관리에 용이하며, 축열식 연소 설비가 소각로, 탄화로 및 건조로로부터 배출되는 미연 가스 또는 VOC 가스의 제거를 용도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연소 설비는 로터형 분배 기구를 갖는 연소 설비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VOC 가스, 공기 및 공정 가스의 배출 경로를 다른 방식, 예컨대 공정 가스의 유입 경로, 공기의 유입 경로 및 공정 가스의 배출 경로를 밸브의 조절을 통해 절환하는 방식의 연소 설비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당업자가 가지고 있는 통상의 지식 외에 별도의 지식은 필요하지 않다.
도 4는 회전형 분배 기구를 갖는 본 발명의 연소 설비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형 분배 기구(100)는 가스 통과 단면적을 10개의 섹터로 나누어 유입 가스 또는 유출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의 섹터는 3섹터의 공정 가스 유입 영역(In), 3 섹터의 공기 유입 영역(Air In), 3 섹터의 공정 가스 배출 영역(Out) 및 1 섹터의 데드 영역(Dead)으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 회전형 분배 기구(100)의 각 섹터에 대응하여 축열 베드(200) 또한 동일한 개수의 섹터로 구분되어 있으며, 회전형 분배 기구(100)의 각 영역에 대응하여 축열 베드(200)의 각 섹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로 나누어진다.
물론 도시된 섹터의 개수 및 각 영역에의 섹터 할당은 공정 가스의 처리 용량 및 유입 공기의 필요 유량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며,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공정 가스 유입 영역(In) 및 공정 가스 유출 영역(Out)의 섹터 면적이 동일한 연소 설비에서는 공기 유입 영역(Air In)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유량은 연소 챔버(300)에서 소각로와 같은 다른 장치의 열원으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축열 베드(200)의 각 섹터는 분리판(210)과 같은 부재에 의해 인접 섹터와 분리되어 있다. 상기 축열 베드(200)는 축열 능력 및 열전도율 측면에서 다공성 세라믹 소재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도 4의 연소 설비의 동작을 설명한다. 공정 가스는 분배 기구(100)의 공정 가스 유입 영역(In)과 축열 베드의 예열부의 해당 섹터를 통하여 연소 챔버(300)로 유입된다(흑색 실선 화살표 참조). 냉각용 공기는 분배 기구(100)의 공기 유입 영역(Air In)과 축열 베드의 냉각부를 통하여 연소 챔버(300)로 유입된다(청색 실선 화살표 참조). 연소 챔버의 연소 가스 중 일부는 축열 베드(200)의 축열부와 분배 기구(100)의 연소 가스 배출 영역(Out)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점선 화살표 참조). 연소 챔버(300)의 연소 가스의 일부는 배출 도관을 통해 배출되어 도 3의 400과 같은 주변 장치의 열원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가스 경로에서 축열 베드(200)의 냉각부로 유입된 실온의 공기(청색 실선)는 축열 베드를 냉각시켜 축열 베드의 하단을 실온에 가깝게 유지한다. 이와 같은 낮은 온도는 상기 분배 기구(100)의 회전에 의해 냉각부가 축열부로 전환될 때 배출 가스의 온도를 하락시키며, 그 결과 연소 설비의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식 연소 설비의 가동 중 축열 베드의 일부를 외부 공기에 의해 충분히 냉각시킴으로써,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공정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축열식 연소 설비의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 유입된 공기 유량은 축열식 연소 설비와 동일한 지점에 설치되는 소각로, 탄화로 또는 건조로에 열원으로 공급되어 열손실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열효율의 축열식 연소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열식 연소 설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축열식 연소 설비의 축열 베드를 통과하는 연소 가스의 온도 프로파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연소 설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축열식 연소 설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분배 기구 200 : 축열 베드
210 : 분리판 300 : 연소 챔버
310 : 버너 400 : 주변 장치

Claims (7)

  1. 고온의 연소 챔버에서 연소된 공정 가스로부터 열을 축적하여, 유입되는 공정 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축열 베드를 포함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에 있어서,
    상기 축열식 연소 설비는 상기 축열 베드를 통해 상기 연소 챔버로 공정 가스를 유입하는 공정 가스 유입 경로, 상기 축열 베드를 통해 상기 연소 챔버로 실온의 냉각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 경로, 상기 연소 챔버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를 상기 축열 베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정 가스 유출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가스 유입 경로, 공기 유입 경로 및 상기 공정 가스 유출 경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 챔버는 상기 연소 챔버 외부로 공정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베드는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는 각각 상기 공정 가스 유입 경로, 상기 공기 유입 경로 및 상기 공정 가스 유출 경로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설비는 상기 축열 베드의 예열부 및 냉각부로 공정 가스 및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축열 베드의 축열부를 통과하는 공정 가스를 배출하는 분배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기구는 로터형 분배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
  5. 최소한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로 구획되는 복수의 섹터를 포함하는 축열 베드;
    상기 축열 베드의 상기 예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정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연소 챔버;
    상기 축열부의 예열부, 냉각부 및 축열부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예열부에 공정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공정 가스 유입 영역, 상기 냉각부에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 영역 및 상기 연소 챔버로부터 상기 축열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소 가스 유출 영역을 포함하여 소정 속도로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로터형 분배 기구; 및
    상기 연소 챔버의 연소 가스의 일부를 상기 연소 챔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연소 챔버에 설치되는 배출 도관을 포함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설비는 소각로, 탄화로 및 건조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도관으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상기 장치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도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은 상기 공기 유입 경로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연소 설비.
KR1020040023665A 2004-04-07 2004-04-07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 KR100598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65A KR100598553B1 (ko) 2004-04-07 2004-04-07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65A KR100598553B1 (ko) 2004-04-07 2004-04-07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42A true KR20050098442A (ko) 2005-10-12
KR100598553B1 KR100598553B1 (ko) 2006-07-07

Family

ID=3727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665A KR100598553B1 (ko) 2004-04-07 2004-04-07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749B1 (ko) * 2006-11-21 2007-04-24 주식회사세진환경 축열식 연소산화장치의 폐열활용 열풍생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051A (ko) 2021-01-05 2022-07-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Rto 에어 재킷을 이용한 열손실 방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749B1 (ko) * 2006-11-21 2007-04-24 주식회사세진환경 축열식 연소산화장치의 폐열활용 열풍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553B1 (ko)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4320B2 (ja) ガススクラバーの後に後燃焼と熱回収とを行う一段焼却炉を用いたスラッジ焼却方法
KR100678335B1 (ko) 전환밸브가 없는 축열연소장치
CN102713483A (zh) 在链箅机-回转窑球化炉中实现低NOx的装置和方法
KR100314112B1 (ko) 축열연소기의배기가스폐열회수장치
KR101029867B1 (ko) 다기능 복합 연소산화 시스템
KR100598553B1 (ko) 고열효율 축열식 연소 설비
KR20040089460A (ko) 축열식 연소로의 열에너지 회수 방법
PL207025B1 (pl) Zespół utleniacza regeneracyjnego do utleniania ulotnych związków organicznych w nieprzetworzonym gazie roboczym i sposób utleniania lotnych związków organicznych w nieprzetworzonym gazie roboczym, w zespole utleniacza regeneracyjnego
JP2008138947A (ja) 乾燥機を備えた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2241148A (ja) 炭化システム
JP6086313B2 (ja) 蓄熱式燃焼装置及び熱分解処理方法
KR20100073732A (ko) 가열로의 배열회수용 열교환 시스템
JP4033878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
EP3412969B1 (en) Mel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lting system
KR0175541B1 (ko) 폐가스 소각장치
KR200380624Y1 (ko) 전환밸브가 없는 축열연소장치
KR102636137B1 (ko) 폐가스를 직접 연소하는 축열식 연소장치
KR200158948Y1 (ko)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JP2002159817A (ja) 乾留ガス中の微細粒子捕集装置
KR102338658B1 (ko) 향상된 퍼지시스템을 활용한 잔취 제거 기능을 갖춘 축열식 연소설비
CN210305033U (zh) 一种土壤热解吸净化系统
KR20050012340A (ko) 축열연소기를 이용하는 연소방법
KR200373302Y1 (ko) 축열식 소각로의 풍향전환 로터리밸브 분배기
KR100418289B1 (ko) 축열식 소각로의 고온가스 폐열회수장치
KR20020091022A (ko) 고정식 수냉 화격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