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48Y1 -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48Y1
KR200158948Y1 KR2019970014551U KR19970014551U KR200158948Y1 KR 200158948 Y1 KR200158948 Y1 KR 200158948Y1 KR 2019970014551 U KR2019970014551 U KR 2019970014551U KR 19970014551 U KR19970014551 U KR 19970014551U KR 200158948 Y1 KR200158948 Y1 KR 200158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blower fan
ceramic media
purge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592U (ko
Inventor
홍영기
Original Assignee
홍영기
주식회사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기, 주식회사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홍영기
Priority to KR2019970014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목적) 2 베드(BED) 연소기의 세라믹 메디아내에 잔존하는 유해 가스를 신속하게 연소실로 재순환되게 하여 미처리 유해 가스가 대기중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비의 정화 효율이 상승되도록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제1 및 제2세라믹 메디아(14, 16)와, 인렛 덕트를 퍼지 밸브(P1, P2)에 의해 상호 연락되게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18)의 전방측덕트와 상기 연소실(12)을 퍼지 밸브(P3)에 의해 연락되게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세라믹 메디아(14, 16)내에 잔존하는 미처리 가스를 송풍팬(18)을 통해 재순환되게 함과 아울러 연소실(12)로 직접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효과) 제1 및 제2세라믹 메디아의 전환운전시 체류하는 유해 가스를 신속하게 연소실 또는 상기 세라믹 메디아 내로 재공급되게하여 처리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대기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본 고안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정화시켜 주는 축열식 촉매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 베드(BED) 연소기의 세라믹 메디아내에 잔존하는 유해 가스를 신속하게 연소실로 재순환되게 하여 미처리 유해 가스가 대기중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비의 정화 효율이 상승되도록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 유해 물질(가스 상태)의 정화 설비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특정 대기 유해 물질, 일반 대기 유해 물질, 대기중의 부식성 가스등을 축열 열 교환기와, 연소실을 통과시키면서 정화하여 대기중에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축열식 촉매 연소 설비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축열식 연소 설비는 197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새로운 형태의 직접연소식 유해 가스 정화 장치로써, 그 최대 장점은 일반적인 직접연소식 유해 가스 정화 장치의 결점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던 고비용의 연료비를 대폭 개선한 첨단 설비이다.
종래의 축열식 2베드 촉매 연소기(1)는 도 3 도시와 같이 연소실(2)의 하부에 제1 및 제2세라믹 메디아(4, 6)가 각각 설치되고, 일 측에는 유해 물질을 공급하는 주 송풍팬(8)이 설치되며, 일 측에는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소기(1)는 제1 및 제2 세라믹 메디아(4,6)의 전환운전시 미처리된 유해 가스가 배기구를 통해 대기중에 그대로 방출됨으로써, 대기를 오염시킴과 아울러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단계의 운전시 송풍팬(8)을 통과한 유해가스는 공급 밸브(S1)를 통하여 전 단계의 과정에서 예열된 제1 세라믹 메디아(4)를 통과하면서 축열재의 열을 흡수 가열함과 아울러 연소실(2)로 유입되고, 이어서 연소실(2)에서 고온 산화 분해되어 정화된 가스는 제2세라믹 메디아(6)의 축열재(전 단계의 과정에서 냉각되어 있음)를 통과하면서 열을 축적시키고 가스는 냉각되어 개방되어진 배출 밸브(E2)를 통해 외기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기되는 온도가 일정하게 상승되면 사이클이 변경되어 공급 밸브(S1), 배출 밸브(E2)가 닫히고, 공급 밸브(S1), 배출 밸브(E1)가 개방되어 상기 단계의 역순으로 과정이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2단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공급 밸브(S1)와 제1 세라믹 메디아(4)의 하부에 체류된 미처리 유해가스가 배출 밸브(E1)의 개방으로 외부로 직접 유출되어 대기중에 방출됨으로써, 대기를 오염시킴과 아울러 정화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2베드 연소기의 세라믹 메디아내에 잔존하는 유해 가스를 신속하게 연소실로 재순환되게 하여 미처리된 유해 가스가 대기중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비의 정화 효율이 상승되도록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세라믹 메디아와, 인렛 덕트를 퍼지 밸브에 의해 상호 연락되게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의 전방측덕트와 상기 연소실을 퍼지 밸브에 의해 연락되게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세라믹 메디아내에 잔존하는 미처리 가스를 송풍팬을 통해 재순환되게 함과 아울러 연소실로 직접 공급되게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전체 구성도.
제3도는 종래 연소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소기 12 : 연소실
14 : 제1세라믹 메디아
16 : 제2세라믹 메디아
18 : 주 송풍팬 20 : 보조 송풍팬
22 : 탱크 E1, E2 : 배출 밸브
P1, P2, P3, P4 : 퍼지 밸브
S1, S2 : 공급 밸브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는 제1 및 제2 세라믹 메디아(14, 16)와, 연소실(12) 및 송풍팬(18)으로 구성되며, 각각이 상호 연락되게 연결된다.
상기 송풍팬(18)과 제1 및 제2 세라믹 메디아(14, 16)는 공급 밸브(S1, S2)에 의해 상호 연락되게 연결되고, 상기 연소실(12)과 세라믹 메디아(14, 16)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가스는 배출 밸브(E1, E2)에 의해 상호 연락됨과 아울러 각각이 배기구와 연락되게 연결된다.
상기 세라믹 메디아(14, 16)는 또한 상기 송풍팬(18)의 인렛 덕트와 퍼지밸브(P1, P2)에 의해 연락되게 연결되며, 상기 송풍팬(18)의 전방측은 상기 연소실(12)과 퍼지 밸브(P3)에 의해 연락되게 연결된다.
다시 설명하면 송풍팬(18)을 통해 공급되는 유해 가스는 제1 세라믹 메디아(14) 및/또는 제2 세라믹 메디아(16)와 연소실(12)을 통해 정화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세라믹 메디아(14) 및/또는 제2 세라믹 메디아(16)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세라믹 메디아(14) 및 제2 세라믹 메디아(16)에 잔존하는 미처리 가스는 상기 퍼지 밸브(P1, P2)의 개방으로 인렛 덕트에 공급되어 송풍기(18)를 통해 재차 상기 제1 세라믹 메디아(14) 및/또는 제2 세라믹 메디아(16)에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퍼지 밸브(P3)의 개방으로 송풍팬(18)을 통해 연소실(12)로 직접 공급되어 이 연소실(12)에 설치되는 버너 또는 히터의 연소 가스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는 상기 송풍팬(18)의 전방측과 연소실(12)을 연락되게 하는 연결부에 보조 송풍팬(20)을 설치함과 아울러 퍼지 밸브(P4)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퍼지 밸브(P3,P4)의 사이에 후레시 탱크(22)를 연락되게 연결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송풍팬(18)을 통해 공급되는 유해 가스는 제1 세라믹 메디아(14) 및/또는 제2 세라믹 메디아(16)와 연소실(12)을 통해 정화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세라믹 메디아(14) 및/또는 제2 세라믹 메디아(16)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세라믹 메디아(14) 및 제2세라믹 메디아(16)에 잔존하는 미처리 가스는 상기 퍼지 밸브(P1∼P4)들의 개방과 아울러 송풍팬(18)을 통해 재차 제1 및 제2세라믹 메디아(14, 16)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보조 송풍기(20)를 통해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것으로, 이 연소실(12)로 공급되는 미처리 가스는 연소실(12)에 설치된 버너 또는 히터의 연소 가스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퍼지 밸브(P4)의 일시적인 폐방으로 상기 후레시 탱크(22)내에 미처리 가스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상기 퍼지 밸브(P4)의 개방시 송풍팬(20)을 통해 연소실(12)로 공급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제1 및 제2 세라믹 메디아(14, 16)를 전환하면서 운전하는 이유는 사전에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제1 세라믹 메디아(14)의 세라믹은 가스(30℃)가 통과하면서 이 가스가 가열됨과 아울러 세라믹은 냉각되게 되면 연소실(12)을 거쳐 800℃의 고온 가스가 된다. 이어서 상기 고온의 가스는 제2세라믹 메디아(16)의 세라믹(전환 과정에서 냉각되어 있음)을 통과하면서 냉각됨과 아울러 세라믹이 가열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운전할 경우 출구의 온도가 계속 높아지면서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95% 이상의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95% 이상의 열효율을 얻기 위하여 일정 주기 별로 전환 운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은 상기한 전환 운전의 과정에서 공급 밸브(S1)를 닫음과 동시에 퍼지밸브(P1, P3)가 개방되면서 제1 세라믹 메디아(14)에 체류하는 미처리 가스가 상기 퍼지밸브(P1, P2)와 송풍팬(18)을 통해 직접 연소실(12)로 공급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퍼지밸브(P1, P2)를 닫음과 동시에 배출 밸브(E1)와 공급 밸브(S2)를 개방하여 정상 상태로 운전되게 함으로써, 전환시 바이 패스되는 미처리 가스를 대폭 줄여서 정화 효율을 98% 이상 유지하여 고효율화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은 퍼지 밸브(P3, P4)의 사이에 후레시 탱크(22)를 설치하여 전환운전시 미처리된 가스를 상기 후레시 탱크(22)에 저장한 후 연소용 송풍팬(20)을 통해 버너 또는 히터의 연소 가스로 사용되어 고효율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세라믹 메디아의 전환운전시 체류하는 유해 가스를 신속하게 연소실 또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세라믹 메디아 내로 재공급되게하여 처리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대기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인렛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유해 가스를 송풍팬(18)과 제1 및/또는 제2세라믹 메디아(14,16), 그리고 연소실(12)을 순차적으로 통과되게 하면서 정화시켜 배기구를 통해 대기중에 배출되게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메디아(14, 16)와 인렛 덕트를 퍼지 밸브(P1, P2)에 의해 상호 연락되게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18)의 전방측덕트와 상기 연소실(12)을 퍼지 밸브(P3)에 의해 연락되게 연결하여 상기 세라믹 메디아(14, 16)내에 잔존하는 미처리 가스를 송풍팬(18)을 통해 상기 세라믹 메디아(14, 16)로 재순환되게 함과 아울러 연소실(12)로 직접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18)의 전방측과 연소실(12)의 사이에 보조 송풍팬(20)과 탱크(22)를 설치하되, 상기 송풍팬(20)은 퍼지 밸브(P3, P4)에 의해 연소실(12)과 연락되게 하며, 상기 탱크(22)는 퍼지 밸브(P4)의 폐방시 미처리 가스를 저장하였다가 이 퍼지 밸브(P4)의 개방시 상기 송풍팬(20)을 통해 연소실(12)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되는 미처리 가스는 상기 연소실(12)에 설치되는 버너 또는 히터의 연소 가스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KR2019970014551U 1997-06-17 1997-06-17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KR200158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551U KR200158948Y1 (ko) 1997-06-17 1997-06-17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551U KR200158948Y1 (ko) 1997-06-17 1997-06-17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592U KR19980055592U (ko) 1998-10-07
KR200158948Y1 true KR200158948Y1 (ko) 1999-10-15

Family

ID=1950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551U KR200158948Y1 (ko) 1997-06-17 1997-06-17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097B1 (ko) * 1998-12-01 2006-07-19 에스케이 주식회사 퍼징 수단이 구비된 열저장식 연소장치 및 그퍼징 방법
KR100646188B1 (ko) * 2005-01-13 2006-11-23 유 득 김 축열식 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592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335B1 (ko) 전환밸브가 없는 축열연소장치
US5098286A (en) Regenerative thermal incinerator apparatus
KR100314112B1 (ko) 축열연소기의배기가스폐열회수장치
KR100597695B1 (ko) 축열식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선택적 촉매 및 무촉매환원장치
AU2002355927B2 (en) Modular voc entrapment chamber for a two-chamber regenerative oxidizer
KR200158948Y1 (ko) 축열식 대기 유해 물질 연소기의 퍼지 에어 배출 방지 장치
AU2002355927A1 (en) Modular voc entrapment chamber for a two-chamber regenerative oxidizer
KR100734918B1 (ko) 축열식 연소산화장치의 폐열활용 스팀생산 시스템
US6019597A (en) Process for minimizing condensibles in process streams treated by thermal oxidizers
US20060121403A1 (en)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KR100709749B1 (ko) 축열식 연소산화장치의 폐열활용 열풍생산 시스템
JPS6360283B2 (ko)
KR100836784B1 (ko) 연료절약형 축열식 연소산화시스템
KR100473522B1 (ko) 촉매연소방식의 휘발성유기화합물 소각처리장치
KR0175541B1 (ko) 폐가스 소각장치
KR200331673Y1 (ko) 버퍼탱크를 구비한 축열연소장치
JP3547913B2 (ja) 蓄熱脱臭処理装置
KR200312741Y1 (ko) 퍼지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축열식 연소산화장치
JPH1144416A (ja) 蓄熱型排ガス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200380624Y1 (ko) 전환밸브가 없는 축열연소장치
KR200373303Y1 (ko) 입출구 베드 수가 상이한 축열식 소각로
KR100222778B1 (ko) 2상형 열재생식 소각방법 및 장치
KR20040096884A (ko) 입출구 베드 수가 상이한 축열식 소각로
KR200238979Y1 (ko) 도장 부스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장치
KR200280592Y1 (ko) 온도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축열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