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397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397A
KR20050098397A KR1020040023608A KR20040023608A KR20050098397A KR 20050098397 A KR20050098397 A KR 20050098397A KR 1020040023608 A KR1020040023608 A KR 1020040023608A KR 20040023608 A KR20040023608 A KR 20040023608A KR 20050098397 A KR20050098397 A KR 2005009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rtical
horizontal
flow path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8397A/ko
Publication of KR2005009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1Aerobic and anaerobic treatment in the sam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송풍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수직방향 송풍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풍량손실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토출하는 수평토출구(320)와, 열교환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토출하는 수직토출구(420)와, 상하방 회동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보정판(56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유로보정판(560)의 일측은 유로를 형성하는 상면에어가이드(550)의 일측과 힌지결합된다.상기 유로보정판(560)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상기 수평토출구(3200 토출을 보조하고, 상기 유로보정판(560)은 하방으로 회동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상기 수직토출구(420) 토출을 보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열교환된 공기의 수직방향시 풍량손실을 방지하여 토출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송풍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수직방향 송풍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풍량손실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측(또는 실외기)과,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측(또는 실내기)으로 나뉘어지는데, 주로 냉방장치에서는 상기 실외측을 방열측이라 하고 실내측을 흡열측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실외측과 실내측이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측과 실내측이 일체로 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장착형태에 따라서는 패키지형, 벽부착형, 천장부착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을 중심으로 실내에는 실내측이 형성되고 실외에는 실외측이 위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있으며, 창문외에 벽속에 설치되는 것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체형공기조화기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부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평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직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흡입공기의 수직방향 송풍시 공기흐름을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전체 외관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대략 사각통상의 실내측(10)과 실외측(20)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내측(10)과 실외측(20)을 경계짓는 베리어(60)에 의해 구획되어 전방에는 실내측(1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실외측(20)이 형성된다.
상기 실내측(10)은 상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실내측상면판넬(12)과,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측측면판넬(14)과, 전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실내측전면판넬(16) 그리고 하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베이스판넬(18)에 의해서 상기 실내측(10)의 전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에는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수평하게 흡입되는 수평흡입구(30)와, 내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간으로 다시 수평하게 토출되는 수평토출구(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의 우측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수평흡입구(3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흡입구(30)는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의 하측단부에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공기조화가 필요한 공간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수평흡입구(30)의 좌측에는 수평토출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토출구(32)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50)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토출구(32) 또한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의 하측단부에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상기 실내측(1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10)의 하면의 외관은 상기 베이스판넬(18)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넬(18)에는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수직하게 흡입되는 수직흡입구(40)와, 상기 실내측(1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의 공간으로 다시 수직하게 토출되는 수직토출구(4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넬(18)의 우측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수직흡입구(40)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흡입구(40)는 상기 베이스판넬(18)의 전단부에서부터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가 필요한 공간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수직흡입구(40)의 좌측에는 수직토출구(42)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토출구(42)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50)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토출구(42)는 상기 베이스판넬(18)의 전반부에서 부터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하방으로 상기 실내측(1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흡입구(30)와 수직흡입구(40)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토출구(32)와 수직토출구(42) 또한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흡입/토출방식에 따라서 상기 수평흡입구(30) 및 수평토출구(32) 또는 수직흡입구(40) 및 수직토출구(42)들이 각각 차폐수단에 의해서 차폐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가 수평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상기 수직흡입구(40)와 수직토출구(42)는 기능상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흡입구(40)와 수직토출구(42)를 차폐하기 위해 흡입구차폐판(51)과 토출구차폐판(5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수직흡입구(40)와 수직토출구(42)를 차폐한다.
상기 흡입구차폐판(51)은 상기 수평흡입구(30)를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흡입구(30)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차폐판(52) 또한 상기 수평토출구(32)를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토출구(32)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가 수직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상기 수평흡입구(30)와 수평토출구(32)는 기능상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흡입구(30)와 수평토출구(32)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차폐판(51)과 토출구차폐판(52)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흡입구(30)와 수평토출구(32)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흡입구(30)와 수직흡입구(40)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평토출구(32)와 수직토출구(42) 또한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차폐판(51)은 필요에 따라 수평흡입구(30)와 수직흡입구(40)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상기 토출구차폐판(52) 역시 수평토출구(32)와 수직토출구(42)중 어느 곳이든 적용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측(10)의 좌측 상부에는 실내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50)은 상기 흡입구(30,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50)의 주위에는 팬하우징(53)이 구비되며, 이러한 팬하우징(53)의 저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가이드(54,55)와 접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베리어(60)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4,55)는 상기 실내팬(50)에 의해서 강제유동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원활하게 상기 토출구(32,42)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에어가이드(54)와 상면에어가이드(55)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에어가이드(54)는 측방으로 공기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팬하우징(53)과, 베이스패널(18), 베리어(60), 및 실내측전면판넬(16)과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어가이드(55)는 상기 수평토출구(32)로 원활하게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53)과 상기 수평토출구(32)의 상단부 및 상기 측면에어가이드(54)와 접하여 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내측(10)에는 실내의 흡입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상기 수평흡입구(30)와 수평토출구(32) 사이로부터 상기 수직흡입구(40)와 수직토출구(42)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베리어(60)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0,40)를 통해 유입된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토출구(32,42)를 통해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공간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실내측(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실외측(20)은 상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실외측상면판넬(22)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측후면판넬(24)과,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측측면판넬(26)에 의해서 전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실외측상면판넬(22)에는 실외팬(70)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팬(70)은 외부의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74)를 통과하도록 강제 유동시켜 상기 실외열교환기(74)와 열교환을 유도하고, 열교환 후의 공기는 상기 실외팬(70)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토출구(72)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팬(70)의 상면에는 이물질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그릴(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후면판넬(24)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되어 후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실외측후면판넬(24)의 하방에는 실외측후면그릴(25)이 형성되어 공기흡입과 열교환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실외측측면판넬(26)은 대략 역삼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74)와 실외팬(70)이 형성된 실외측(20)의 측면부를 차폐하여 상기 실외팬(70)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원활하게 열교환이 일어나고, 열교환 후에는 실외측토출구(72)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측면판넬(26)에 의해서 차폐되지 못하고 외부로 노출된 측면의 통공부는 자연스럽게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20)에는 실외열교환기(74)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74)는 상기 실외측(20) 내부의 상단의 양쪽 모서리에서 하단의 중앙부로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20)의 대략 중앙부에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측(2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74)를 지나 외부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74)는 단면이 대략 'V' 형상(측방에서 볼 때)으로 설치되어 상기 실외측후면그릴(25) 그리고, 양 측면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공기조화기를 수직방향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토출하는 수직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상에 형성된 수평흡입구(30)와 수평토출구(32)를 각각 차폐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수직흡입구(40)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수직토출구(42)로 토출하게 된다.
이때 실내팬(50)에 의해서 강제유동된 조화공기는 상기 측면에어가이드(54)에 의해서 상기 수직토출구(42)로 안내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측면에어가이드(54)와 상면에어가이드(55)가 형성하는 유로 중에서 수직방향으로의 공기흐름에 불필요한 유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강제유동되는 일부의 조화공기들이 불필요한 유로로 유입되면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불필요한 유로는 와류발생구역(A)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토출구(42)로 토출되는 풍량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가이드가 형성하는 유로를 조절할 수 있는 유로보정판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교환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토출하는 수평토출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토출하는 수직토출구와, 상하방 회동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보정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보정판의 일측은 유로를 형성하는 상면에어가이드의 일측과 힌지결합된다.
상기 유로보정판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상기 수평토출구 토출을 보조한다.
상기 유로보정판은 하방으로 회동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상기 수직토출구 토출을 보조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수직방향 송풍방식의 채용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유로를 제거하여 공기조화기의 풍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부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평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상방체결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에는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직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힌지결합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 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하방체결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에는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공기의 수직방향 송풍시 공기흐름을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전체 외관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대략 사각통상의 실내측(100)과 실외측(200)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내측(100)과 실외측(200)을 경계짓는 베리어(600)에 의해 구획되어 전방에는 실내측(10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실외측(200)이 형성된다.
상기 실내측(100)은 상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실내측상면판넬(120)과,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측측면판넬(140)과, 전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실내측전면판넬(160), 그리고 하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베이스판넬(180)에 의해서 상기 실내측(100)의 전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0)에는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수평하게 흡입되는 수평흡입구(300)와, 상기 실내측(1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의 공간으로 다시 수평하게 토출되는 수평토출구(3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0)의 우측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수평흡입구(30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흡입구(300)는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0)의 하단부에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공기조화가 필요한 공간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수평흡입구(300)의 좌측에는 수평토출구(32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토출구(3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500)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토출구(320) 또한 상기 실내측전면판넬(160)의 하측단부에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상기 실내측(10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100) 하면의 외관은 상기 베이스판넬(18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넬(180)에는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수직하게 흡입되는 수직흡입구(400)와, 내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간으로 다시 수직하게 토출되는 수직토출구(4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넬(180)의 우측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수직흡입구(400)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흡입구(400)는 상기 베이스판넬(180)의 전단부에서부터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방에서 공기조화가 필요한 공간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수직흡입구(400)의 좌측에는 수직토출구(4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토출구(4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500)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토출구(420)는 상기 베이스판넬(180)의 전반부에서부터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하방으로 상기 실내측(10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수직흡입구(400)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토출구(320)와 수직토출구(420) 또한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흡입/토출방식에 따라서 상기 수평흡입구(300) 및 수평토출구(320) 또는 수직흡입구(400) 및 수직토출구(420)들이 각각 차폐수단에 의해서 차폐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가 수평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상기 수직흡입구(400)와 수직토출구(420)는 기능상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흡입구(400)와 수직토출구(420)를 차폐하기 위해 흡입구차폐판(510)과 토출구차폐판(52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수직흡입구(400)와 수직토출구(420)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흡입구차폐판(510)은 상기 수평흡입구(300)를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차폐판(520) 또한 상기 수평토출구(320)를 차폐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토출구(320)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가 수직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수평토출구(320)는 기능상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수평토출구(320)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차폐판(510)과 토출구차폐판(520)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수평토출구(320)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수직흡입구(400)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평토출구(320)와 수직토출구(420) 또한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차폐판(510)은 필요에 따라 수평흡입구(300)와 수직흡입구(400) 모두에 적용가능하고 상기 토출구차폐판(520) 역시 수평토출구(320)와 수직토출구(420)중 어느 곳이든 적용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측(100)의 좌측 상부에는 실내팬(50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500)은 상기 흡입구(300.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500)의 주위에는 팬하우징(530)이 구비되며, 이러한 팬하우징(530)의 저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가이드(540,550)와 접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베리어(600)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40,550)는 상기 실내팬(500)에 의해서 강제유동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원활하게 상기 토출구(320,420)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에어가이드(540)와 상면에어가이드(550)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에어가이드(540)는 측방으로 공기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팬하우징(530)과, 베이스판넬(180), 베리어(600), 및 실내측전면판넬(160)과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어가이드(550)는 상기 수평토출구(320)로 원활하게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530)과 상기 수평토출구(320)의 상단부 및 상기 측면에어가이드(540)와 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에어가이드(550)가 상기 팬하우징(530)에 접하는 부위에 대략 사각판상의 유로보정판(560)이 힌지결합(555)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로보정판(560)은 상기 에어가이드(540,550)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로보정판(560)의 일측은 상기 상면에어가이드(550)의 일측과 힌지결합(555)되어 형성되어 상하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로보정판(560)의 힌지가 형성된측과 대응하는 유로보정판(560)의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방체결부(580) 및 하방체결부(57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590)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보정판(560)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면에어가이드(550)에 결합하거나 상기 유로보정판(560)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베이스판넬(18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방체결부(580)는 상기 유로보정판(560)을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면에어가이드(550)에 밀착시켰을때 상기 유로보정판(560)에 형성된 결합공(590)과 대응하는 상면에어가이드(550)에 돌기와 같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수평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게 되었다면 상기 수직흡입구(400)와 수직토출구(420)는 상기 흡입구차폐판(510)과 토출구차폐판(520)에 의해서 차폐되고, 상기 유로보정판(560)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방체결부(580)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보정판(560)은 상면에어가이드(550)에 밀착되어 조화공기가 상기 수평토출구(320)로 토출되는 유로를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방체결부(570)는 단면이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판넬(180) 부착되고, 다른 측면에는 상기 유로보정판(560)에 형성된 결합공(590)과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수직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게 되었다면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수평토출구(320)는 상기 흡입구차폐판(510)과 토출구차폐판(520)에 의해서 차폐되고, 상기 유로보정판(560)은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방체결부(570)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보정판(560)은 상기 베이스판넬(180)에 고정되어 조화공기가 상기 수직토출구(420)로 원활하게 토출되는 유로를 확보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내측에는 흡입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상기 수평흡입구(300)와 수평토출구(320) 사이로부터 상기 수직흡입구(400)와 수직토출구(420)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베리어(600)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00,4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토출구(320,420)를 통해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공간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실내측의 후방에 형성되는 실외측(200)은 상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실외측상면판넬(220)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측후면판넬(240)과,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측측면판넬(260)에 의해서 전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실외측상면판넬(220)에는 실외팬(700)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팬(700)은 외부의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740)를 통과하도록 강제 유동시켜 상기 실외열교환기(740)와 열교환을 유도하고, 열교환 후의 공기는 상기 실외팬(700)의 상부에 형성된 실외측토출구(720)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팬(700)의 상면에는 이물질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그릴(7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후면판넬(240)은 대략 사각형판으로 형성되어 후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실외측후면판넬(240)의 하방에는 실외측후면그릴(250)이 형성되어 공기흡입과 열교환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실외측측면판넬(260)은 대략 역삼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740)와 실외팬(700)이 형성된 실외측(200)의 측면부를 차폐하여 상기 실외팬(700)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원활하게 열교환이 일어나고, 열교환 후에는 실외측토출구(720)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측면판넬(260)에 의해서 차폐되지 못하고 외부로 노출된 측면의 통공부는 자연스럽게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200)에는 실외열교환기(74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740)는 상기 실외측(200) 내부의 상단의 양쪽 모서리에서 하단의 중앙부로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200)의 대략 중앙부에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측(2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740)를 지나 외부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740)는 단면이 대략 'V' 형상(측방에서 볼 때)으로 설치되어 상기 실외측후면그릴(250) 그리고, 양 측면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이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수평방향 송풍방식과 수직방향 송풍방식의 두 가지 방식중에서 하나를 채택하여 설치가능하다.
우선 수평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판넬(180)에 형성된 수직흡입구(400)와 수직토출구(420)를 상기 흡입구차폐판(510)과 토출구차폐판(520)으로 각각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로보정판(560)을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방체결부(580)에 결합시키면 상기 유로보정판(560)이 상기 상면에어가이드(550)에 밀착고정되어 수평 방향의 토출을 위한 유로가 확보된다.
즉, 상기 실내팬(500)의 구동에 따라 흡인력이 발생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수평흡입구(300)를 통해 실내측(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내팬(50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에어가이드(540,550)가 형성하는 유로를 거치면서 상기 수평토출구(320)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수직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판넬(180)에 형성된 수평흡입구(300)와 수평토출구(320)를 상기 흡입구차폐판(510)과 토출구차폐판(520)으로 각각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보정판(560)을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방체결부(570)에 결합시키면 상기 유로보정판(560)이 상기 베이스판넬(180)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의 토출을 위한 유로가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500)의 구동에 따라 흡인력이 발생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수직흡입구(400)를 통해 실내측(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내팬(50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에어가이드(540,550)가 형성하는 유로를 거치면서 상기 수직토출구(420)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때 생성되는 유로는 수평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했을때 형성되는 유로에 비해 일부가 차단되며, 종래의 수직방향 송풍방식에서 발생하는 외류발생구역(A)을 제거하여 수직방향 토출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진다.
다음으로, 실외측(200)의 공기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실외팬(700)의 회전에 따라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실외열교환기(740)를 통과하여 실외측(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740)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며,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상기 실외팬(700)에 의해 실외측토출구(7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로보정판(560)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유로보정판(560)에 결합공(590)을 형성하고 상기 상방체결부(580)와 하방체결부(570)의 돌기를 상기 결합공(590)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였으나, 상기 결합구조는 리벳팅이나 스크류결합, 용접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수평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여 수평흡입구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수평토출구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유로보정판이 힌지결합과 상방체결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유로보정판이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면에어가이드에 밀착고정된다.
따라서 기존 수평방향 토출시 형성되는 유로의 형상에서 변화를 주지 않고 그대로 유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풍량의 손실이 없이 효과적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수평토출구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방향 송풍방식을 채택하여 수직흡입구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수직토출구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로보정판이 힌지결합과 상기 하방체결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유로보정판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존에 수직방향 토출시 발생하게 되는 와류발생구역을 상기 유로보정판이 차단하게 되어 수직방향 토출시 불필요한 공간으로 조화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상기 수직토출구로 조화공기가 안내될수 있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풍량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효율을 한층더 높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평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 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직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 는 종래기술에 의한 흡입공기의 수직방향 송풍시 공기흐름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평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상방체결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수직방향 송풍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힌지결합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하방체결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공기의 수직방향 송풍시 공기흐름을 보인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측 120. 실내측상면판넬
140. 실내측측면판넬 160. 실내측전면판넬
180. 베이스판넬 200. 실외측
220. 실외측상면판넬 240. 실외측후면판넬
250. 실외측후면그릴 260. 실외측측면판넬
300. 수평흡입구 320. 수평토출구
400. 수직흡입구 420. 수직토출구
500. 실내팬 510. 흡입구차폐판
520. 토출구차폐판 530. 팬하우징
540. 측면에어가이드 550. 상면에어가이드
555. 힌지결합 560. 유로보정판
570. 하방체결부 580. 상방체결부
590. 결합공 600. 베리어
700. 실외팬 710. 토출그릴
720. 실외측토출구 740. 실외열교환기
A. 와류발생구역

Claims (4)

  1. 열교환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토출하는 수평토출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토출하는 수직토출구와,
    상하방 회동에 의하여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보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보정판의 일측은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보정판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상기 수평토출구 토출을 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보정판은 하방으로 회동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상기 수직토출구 토출을 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23608A 2004-04-07 2004-04-07 공기조화기 KR20050098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08A KR20050098397A (ko) 2004-04-07 2004-04-0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08A KR20050098397A (ko) 2004-04-07 2004-04-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97A true KR20050098397A (ko) 2005-10-12

Family

ID=3727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608A KR20050098397A (ko) 2004-04-07 2004-04-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8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06B1 (ko) * 2006-08-28 2007-06-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증발식 냉방장치의 에어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06B1 (ko) * 2006-08-28 2007-06-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증발식 냉방장치의 에어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14346A (ja) 空調機の室内機
JP2005083742A (ja) 空調機の室内機
KR20160081093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05249373A (ja) 空調機の室内機
JP2005249374A (ja) 空調機の室内機
JP2005127696A (ja) 空調機の室内機
KR2007007825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332841B2 (ja) 空気調和機
JP3530500B2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KR20050098397A (ko) 공기조화기
KR100761118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83016A (ko) 공기조화기
KR20090000520U (ko) 공기조화기
KR100662154B1 (ko) 공기조화기
KR10040901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KR1006336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584302B1 (ko) 공기조화기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200170281Y1 (ko) 공기조화기
KR10051841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10239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158961A (ko) 공기조화기
KR100553045B1 (ko) 공기조화기
KR100697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2217435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