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699A -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 Google Patents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699A
KR20050097699A KR1020040022917A KR20040022917A KR20050097699A KR 20050097699 A KR20050097699 A KR 20050097699A KR 1020040022917 A KR1020040022917 A KR 1020040022917A KR 20040022917 A KR20040022917 A KR 20040022917A KR 20050097699 A KR20050097699 A KR 20050097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ttery
inner pack
manufactur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524B1 (ko
Inventor
이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to KR102004002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5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제조에 몰딩을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생산비용 및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몰딩부가 없어도 보호회로 및 전지를 충격으로 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INNER PACK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너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성형된 덮개에 보호회로 기판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 장착시킴으로써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몰딩을 하지 않고도 견고하며 충격에 강한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PDA,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전자기기의 외면에 장착되는 외장형과 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장형이 있는데, 배터리의 용량이 소형화, 대용량화 되면서 충격이나 열에 의한 배터리가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대두되고 있어 내장형 배터리(이하 이너팩 배터리라 한다.)를 선호하는 경향이 점점 높아지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배터리의 가격이 상승하여 각종 전자기기간 또는 동일 전자기기 모델 간에도 배터리의 규격을 통일시켜 공통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아짐에 따라 이너팩 배터리를 전자기기 설계시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전자기기가 사용중 실수에 의해 충격을 받았을 때 전자기기의 외부케이스가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이너팩 배터리를 보호하기도 하지만, 전자기기를 소형화하는 경향에 따라 전자기기의 외부케이스의 보호역할이 충분하지 못하여 이너팩 배터리 자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이너팩 배터리에는 열이나 과충전 등에 의해 배터리가 폭발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위한 보호회로가 내장되게 되는데, 더욱 자세하게는 이러한 보호회로는 일반적으로 주로 전지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이상이 되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류를 낮게 흐르게 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와, 제어 IC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호회로 소자들은 충격이나 열에 취약하여 제조 및 사용시 주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충격으로부터 이너팩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너팩 배터리의 일부인 전지부를 알루미늄 재료 또는 니켈도금된 철로 감싸는 형태로 제조하는 한편, 전지부와 보호회로를 조립하여 최종적으로 배터리를 제조할 때에는 보호회로 또는 보호회로와 전지부를 함께 금형에 삽입하여 몰딩처리함으로써 보호회로가 충격에 견디도록 설계하거나 또는 전지부와 보호회로를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중 보호회로와 전지부를 함께 금형에 삽입하여 몰딩처리하는 것으로 공개특허 2003-66380호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출력단자(120)를 가진 보호회로 기판(110)을 연결리드(130)와 스폿용접으로 연결하고, 연결리드(130)를 리듐이온 전지(140)의 전지단자(150)와 스폿 용접으로 연결한 다음 도 2와 같은 하부 금형(160)에 삽입시킨다. 하부 금형(160)과 대칭 형상을 가진 상부금형(미도시)을 결합시킨 다음 수지재료 주입구(170)를 통하여 폴리아미드와 같은 수지재료를 충진시키게 된다. 이때 수지재료가 스티렌수지나 폴리염화비닐이면 약 170 ℃, 폴리프로필렌이면 약 200 ℃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산된 이너팩 배터리는 도 3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보호회로를 연결리드에 스폿용접하기 이전에 보호회로만을 몰딩할 수 있는 금형을 사용하여 보호회로를 먼저 몰딩하고, 몰딩된 보호회로를 연결리드를 통하여 전지부와 연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몰딩을 사용하여 보호회로와 전지부를 결합하는 형태로 이너팩 배터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외부 입출력 단자와 금형사이로 수지재료가 스며들어 외관 품질이 극히 불량한 경우가 많으며, 몰딩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이 때문에 대량생산을 위하여 고가의 금형을 다수 준비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과도하게 높아지며, 또한 수지재의 유동불량에 의한 크랙이나 핀홀 등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고 주입후 결함이 발견되면 몰딩된 보호회로를 폐기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지재의 유동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의 온도와 주입압력을 높이는 경우 보호회로기판에 설치된 보호회로 소자나 전지가 고온의 피해를 입어 그 성능이 열화될 뿐 만 아니라, 보호회로 기판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정밀한 금형제작이 필요하게 되고 금형에 삽입시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몰딩을 생략하고 보호회로를 일체로 형성한 전지를 별도 케이스에 삽입하거나, 전지에 보호회로를 부착한 뒤 커버를 씌우는 공개특허 2002-77175호와 같은 종래의 기술도 있는데, 도 4와 같이 니켈리드(230)을 매개로 하여 전지(240)의 단자 (250)와 회로기판(220)을 연결시킨 뒤, 전지의 상단에 형성된 로크 수용부(212)와 커버(210)의 로크돌출부(214)를 결합시킴으로서 이너팩 배터리를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관통구멍(270)을 통하여 회로기판(220)의 단자부와 전자기기의 연결단자는 연결단자의 탄발력에 따른 누름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탄발력 때문에 니켈리드(230)가 변형되어 접촉불량이 생기게 되거나, 커버(210)와 전지(240)사이의 부품 수납공간(260) 내에 회로기판 (220)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것이 없어 충격시 회로기판 (220)이 전지(240)쪽으로 변형·파손될 우려가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전지부와 보호회로를 조립하여 이너팩 배터리를 만드는 공정중 몰딩작업이 포함되면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이너팩 배터리 제조공정에서 몰딩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산을 위하여는 고가의 금형이 다수 필요하게 되어 생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몰딩을 하더라도 별도의 금형을 필요치 않는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설비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전지와 보호회로를 감싸는 몰딩을 하지 않고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조립시 열이나 압력이 가해지는 몰딩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보호회로와 전지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제조시 보호회로가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고, 최종제품의 외관 품질 특히 접촉단자부의 외관품질이 우수하며, 배터리가 충격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리듐이온 전지 등에 보호회로를 부착한 이너팩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인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개시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지 본체(20)는 리듐이온 2차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카드뮴과 같은 2차전지 등으로, 전지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자가 전지의 일측 동일 면에 형성된 것이면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전지 본체(20)의 케이스는 알루미늄이나 니켈도금 철로 제작된다.
상기 전지본체(20)를 사용하여 이너팩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보호회로 소자(42)와 외부입출력단자(44)가 형성된 보호회로 기판(40)이 구비되어야 한다. 보호회로 소자(42)는 과충전 및 과전류 방지용인 FET, 제어용 IC, PTC등으로 구성되고, 외부입출력 단자(44)는 출력단자, 충전단자, 식별단자 등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종류와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보호회로 기판(40)은 접속리드(30)에 의해 전지본체(20)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접속리드는 주로 니켈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전도체의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보호회로 소자중 전지본체(20)의 온도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 PTC소자의 경우에는 접속리드 내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덮개(10)를 사용하게 되는데, 덮개(10)는 그 상면에 접속리드(30)를 끼워넣을 수 있는 접속리드 수납홈(11) 및 보호회로 기판(40)의 장착위치를 결정하는 보호회로 끼움돌기(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제2덮개(50)를 장착할 수 있는 제2덮개 장착면(15)이 구비되며, 그 하면에는 전지부의 상면과 접촉하여 충격시 덮개의 변형을 억제시켜 주는 덮개하부 지지대들(13)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덮개(10)의 테두리에는 전지를 끼워넣어 결합시킬 수 있는 단차부가 가공된 덮개 부착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1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데, 그 재질은 플라스틱, 폴리아미드 수지와 같은 수지재의 것으로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전기가 통하지 않은 재료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10)를 성형할 때는 접속리드를 끼워넣을 수 있는 접속리드 수납홈(11)을 구비토록 하는 대신에, 동일한 위치에 접속리드의 일단을 미리 끼워넣고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접속리드 자체는 온도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PTC소자가 장착된 접속리드라 할지라도 PTC소자는 금형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성형을 하게 되면 성형시의 열이나 압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외부입출력단자구(52)가 관통형성된 제2덮개(50)이 사용된다. 제2덮개(50)의 재질은 덮개(10)의 재질과 동일한 것이나, 동일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10)과 제2덮개(50)는 모두 사출성형으로 제작된다.
제2덮개(50)는 이너팩 배터리 제조시 덮개(10)에 삽입되어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효과를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제2덮개(50)에는 걸림돌기(52)를, 덮개(10)에는 걸림홈(18)을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본 실시예 1의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덮개(10)의 상면에 접속리드(30)를 끼워넣을 수 있는 접속리드 수납홈(11)과, 보호회로 기판의 장착위치를 결정하는 보호회로 끼움돌기(12)와, 제2덮개(50)를 장착할 수 있는 제2덮개 장착면(15)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10)의 하면에는 전지본체(20)의 상면과 접촉하여 충격시 덮개의 변형을 억제시켜 주는 덮개하부 지지대(13)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0)의 하부 테두리에는 전지를 끼워넣어 결합시킬 수 있는 단차부가 가공된 덮개 부착부(14)가 구비되도록 사출성형된 덮개(10)에 접속리드(30)의 일단을 상기 덮개(1)의 접속리드 수납홈(11)에 끼워넣는다.(제1단계)
상기 덮개(10)의 덮개하부 지지대(13)가 형성하는 덮개의 하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에 전지본체(20)의 상면이 닿도록 전지본체(20)을 끼우고, 접속리드(30)와 전지본체(20)의 전극단자(21)를 스폿용접하여 접합시킨다.(제2단계)
보호회로기판(40)에 가공된 기판위치 결정구멍(46)에 상기 덮개(10)의 상면부에 가공된 보호회로기판 끼움돌기(12)를 끼워 넣은 후, 접속리드(30)와 기판리드(48)를 스폿용접함으로써 덮개(10)에 보호회로기판(40)을 장착한다.(제3 단계)
끝으로, 상기 덮개(10)의 제2덮개 장착면(15) 또는 보호회로기판(40) 중 외부입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제2덮개 장착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로 접착층을 형성하고, 제2덮개(50)을 덮개(10)에 삽입고정함으로써 이너팩 배터리가 완성된다.(제4단계)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덮개(10)의 사출성형시 접속리드 수납홈(11) 대신 접속리드(30)의 일단을 접속 접속리드의 수납홈(11)의 위치에 고정시켜 덮개를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덮개(10)를 우선 제조하게 되면, 보호회로 기판의 FET, 제어IC, PTC소자가 열이나 압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게 될 뿐 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는 충격에 따른 덮개(10)의 변형을 억제해 주는 덮개하부 지지대(13) 및 제2덮개 장착면(15) 등에 의해 덮개 (10)및 보호회로 기판(40)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충격에 강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몰딩작업이 없으므로 제조시간이 대폭 감소되고, 제조인력 역시 전문화가 필요없으므로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인 실시예 2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의 도면부호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먼저 보호회로기판(40)의 상면과 그 형상 및 크기가 일치되게 형성된 내부면을 가지고, 보호회로 기판(40)의 외부입출력단자(44)의 위치와 일치되게 외부입출력단자구(52)가 관통형성되고, 그 하부 측면에는 덮개측면 개방구(16)를 구비하도록 사출성형한 덮개(10')를 사용하게 된다.
실시예 2에 따른 이너팩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지본체(20)에 접속리드(30)을 스폿용접에 의해 부착한다. (제1단계)
다음으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회로 기판(40)의 상면과 그 형상 및 크기가 일치되게 형성된 내부면을 가진 덮개(10')의 상면을 아래 방향으로 위치시킨 뒤, 기판리드(48)가 수직으로 부착된 보호회로 기판(40)을 덮개(10')안으로 끼워넣은 후, 실온에서 또는 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경화되는 수지(예를 들어, 주형용 페놀수지, 요소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 수지, 액상고무, 혐기성 수지, UV경화수지 등)를 덮개측면 개방구(16)로 넘치지 않도록 주입하고 경화시킨다. (제 2단계)
수지재에 잠기지 않은 기판리드(48)의 부분은, 다음 단계에서 전지본체(20)에 부착된 접속리드와 결합되게 된다. 덮개(10') 내부면의 형상과 크기는 보호회로기판(40)의 상면과 일치하므로 수지재가 흘러내려 외부입출력단자구(52)의 외관품질을 불량하게 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충진된 수지재층(80)은 충격시 보호회로 기판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서 보호회로 기판(40)을 보호하게 되며 열이나 압력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회로 소자가 손상을 입지 않는다.
다음으로 접속리드(30)가 부착된 전지본체(20)와, 보호회로 기판(40)을 끼우고 수지재를 충진시킨 덮개(10')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덮개부착부(14)와 전지본체(20)이 접촉하는 부위에 순간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전지본체(20)과 덮개(10)을 고정시키게 된다.(제3단계)
끝으로 덮개측면개방구(15)를 통하여 스폿용접기가 삽입하여 접속리드(30)과 기판리드(48)를, 스폿용접을 하게 되면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가 마무리 된다.(제 4 단계)
실시예 1, 2와 같은 일련의 단계에서 스폿용접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납땜 등과 같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어떠한 접합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지본체(20)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하여는 하부덮개(70)와 전지본체(20)을 부착하는 단계를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각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전 또는 후단계로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덮개(70)와 전지본체의 결합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거쳐 이너팩 배터리를 생산하게 되면, 몰딩과 같은 복잡한 공정이 필요없으므로 그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제조공정이 간단해 질 뿐 만 아니라, 생산된 이너팩 배터리는 충격에 잘 견딜 수 있고 외관품질도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의 측면 전체 또는 측면 일부를, 열수축성 튜브 또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라벨로 감싸므로서 덮개(10) 및/또는 하부덮개(70)과 전지본체(20)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열수축성 튜브 또는 라벨에는 배터리의 성능, 제조일자 등 관련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튜브나 라벨이 감싸는 부분에 먼저 충격완화용 양면테이프나 고무를 먼저 감싼 다음 튜브나 라벨을 고정시키면 충격완화 효과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이너팩 배터리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고온 고압조건의 몰딩이 필요 없게 되므로 보호회로 소자와 전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의 사용으로 제조시간과 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너팩 배터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는, 외부입출력단자의 위치가 정확하며, 외관의 품질이 우수하고, 또한 충격에 강하고, 보호회로 기판의 변형을 억제하여 사용시 접촉불량이 생기지 않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터리의 몰딩 전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배터리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배터리의 몰딩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종래 배터리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측면도이다.
(b)는 본발명 실시예 1의 A-A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2단계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결합단면도이다.
(b)는 본발명 실시예 2의 A-A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0': 덮개 11: 접속리드 수납홈
12: 보호회로 기판 끼움돌기 13: 덮개하부 지지대
14: 덮개부착부 15: 제2덮개 장착면
16: 덮개측면 개방구 18: 걸림돌기
20: 전지본체 21: 전지본체
30: 접속리드 40: 보호회로 기판
41: PTC소자 42: 보호회로 소자
44: 외부 입출력단자 46: 기판위치 결정구멍
48: 기판리드 50: 제2덮개
52: 외부입출력단자구 54: 걸림돌기
70: 하부덮개 80: 수지재층

Claims (10)

  1. 덮개와 전지본체와 보호회로기판이 구비된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덮개(10)의 상면에 접속리드(30)를 끼워넣을 수 있는 접속리드 수납홈(11)과, 보호회로 기판의 장착위치를 결정하는 보호회로 끼움돌기(12)와, 제2덮개(50)를 장착할 수 있는 제2덮개 장착면(15)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10)의 하면에는 전지본체(20)의 상면과 접촉하여 충격시 덮개의 변형을 억제시켜 주는 덮개하부 지지대(13)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0)의 하부 테두리에는 전지를 끼워넣어 결합시킬 수 있는 단차부가 가공된 덮개 부착부(14)가 구비되도록 사출성형된 덮개(10)에 접속리드(30)의 일단을 상기 덮개(1)의 접속리드 수납홈(11)에 끼워넣는 제 1 단계; 및
    상기 덮개(10)의 덮개하부 지지대(13)가 형성하는 덮개의 하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에 전지본체(20)의 상면이 닿도록 전지본체(20)을 끼우고, 접속리드(30)와 전지본체(20)의 전극단자(21)를 스폿용접하여 접합시키는 제 2 단계; 및
    보호회로기판(40)에 가공된 기판위치 결정구멍(46)에 상기 덮개(10)의 상면부에 가공된 보호회로기판 끼움돌기(12)를 끼워 넣은 후, 접속리드(30)와 기판리드(48)를 스폿용접함으로써 덮개(10)에 보호회로기판(40)을 장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덮개(10)의 제2덮개 장착면(15) 또는 보호회로기판(40) 중 외부입출력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제2덮개 장착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로 접착층을 형성하고, 제2덮개(50)을 덮개(10)에 삽입고정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30)는 PTC소자를 장착된 접속단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중 어느 한 단계의 전 또는 후 단계로서
    상기 전지본체(20)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덮개(70)에 전지본체(20)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중 어느 한 단계의 전 또는 후 단계로서
    상기 전지본체(20)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덮개(70)에 전지본체(20)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5. 덮개와 전지본체와 보호회로기판이 구비된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지본체(20)에 접속리드(30)을 스폿용접에 의해 부착하는 제 1 단계; 및
    보호회로 기판(40)의 상면과 그 형상 및 크기가 일치되게 형성된 내부면을 가진 덮개(10')의 상면을 아래 방향으로 위치시킨 뒤, 기판리드(48)가 수직으로 부착된 보호회로 기판(40)을 덮개(10')안으로 끼워넣고, 실온에서 또는 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경화되는 수지를 덮개측면 개방구(16)로 넘치지 않도록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제 2 단계; 및
    접속리드(30)가 부착된 전지본체(20)와, 보호회로 기판(40)을 끼우고 수지재를 충진시킨 덮개(10')를 결합하고, 덮개부착부(14)와 전지본체(20)이 접촉하는 부위에 순간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전지본체(20)과 덮개(10)을 고정시키는 제 3 단계; 및
    덮개측면개방구(15)를 통하여 스폿용접기가 삽입하여 접속리드(30)과 기판리드(48), 스폿용접을 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중 어느 한 단계의 전 또는 후 단계로서
    상기 전지본체(20)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덮개(70)에 전지본체(20)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팩 배터리의 측면 전체 또는 측면 일부를, 열수축성 튜브 또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라벨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팩 배터리 중 상기 열수축성 튜브 또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라벨로 감싸는 부분에 충격완화용 양면테이프나 고무를 감싼 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상기 열수축성 튜브 또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라벨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팩 배터리의 접속리드(13)의 일단이 덮개(10)의 사출성형시 덮개의 접속리드 수납홈(11)위치에 삽입되어 접속리드(13)과 덮개(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팩 배터리.
KR1020040022917A 2004-04-02 2004-04-02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KR10055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917A KR100553524B1 (ko) 2004-04-02 2004-04-02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917A KR100553524B1 (ko) 2004-04-02 2004-04-02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892A Division KR100539473B1 (ko) 2005-11-24 2005-11-24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이너팩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699A true KR20050097699A (ko) 2005-10-10
KR100553524B1 KR100553524B1 (ko) 2006-02-20

Family

ID=3727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917A KR100553524B1 (ko) 2004-04-02 2004-04-02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52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744B1 (ko) * 2004-01-28 2006-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접 접점 방식의 pcm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배터리 팩
KR100782990B1 (ko) * 2005-10-17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798940B1 (ko) * 2006-06-12 2008-02-01 주식회사 한성프라테크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팩
KR100865392B1 (ko) * 2006-11-20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70349B1 (ko) * 2007-03-16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기판의 접속단자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011802B1 (ko) * 2007-12-14 2011-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제조공정성의 이차전지 팩 및 ptc 소자
KR101217449B1 (ko) * 2009-02-17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8524391B2 (en) 2007-09-20 2013-09-0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1304587B1 (ko) * 2009-02-17 2013-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측면 선접착형 배터리 팩 제조방법
US8574751B2 (en) 2006-11-21 2013-11-0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secondary protective element
CN110419139A (zh) * 2017-05-04 2019-11-05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及其制造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744B1 (ko) * 2004-01-28 2006-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접 접점 방식의 pcm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배터리 팩
KR100782990B1 (ko) * 2005-10-17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798940B1 (ko) * 2006-06-12 2008-02-01 주식회사 한성프라테크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팩
KR100865392B1 (ko) * 2006-11-20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US8465868B2 (en) 2006-11-20 2013-06-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8808904B2 (en) 2006-11-21 2014-08-1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secondary protective element assembly
US8574751B2 (en) 2006-11-21 2013-11-0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secondary protective element
KR100870349B1 (ko) * 2007-03-16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기판의 접속단자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US8597814B2 (en) 2007-03-16 2013-12-03 Samsung Sdi Co., Ltd. Connection termina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8524391B2 (en) 2007-09-20 2013-09-0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1011802B1 (ko) * 2007-12-14 2011-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제조공정성의 이차전지 팩 및 ptc 소자
US8841010B2 (en) 2007-12-14 2014-09-2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and PTC element having excellent production process property
KR101217449B1 (ko) * 2009-02-17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04587B1 (ko) * 2009-02-17 2013-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측면 선접착형 배터리 팩 제조방법
CN110419139A (zh) * 2017-05-04 2019-11-05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524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5534B1 (en) Battery pack of improved structure
KR100928120B1 (ko) 이차 전지
US8435655B2 (en) Secondary battery
RU2335043C2 (ru) Компоновочный блок колпачка унифицированного типа, содержащий плату защитной схемы, и вторичный аккумулятор, содержащий его
KR100878285B1 (ko) 배터리 팩
KR100699686B1 (ko) 보호회로 모듈 성형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
KR100539473B1 (ko)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이너팩 배터리
CN100539253C (zh) 包含图案化于pcb上的环状天线的二次电池
KR100963994B1 (ko) 내장용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3524B1 (ko) 이너팩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너팩 배터리
JP2000315483A (ja) バッテリー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8420253B2 (en) Secondary battery
EP319065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mbedded battery pack using hot-melting fixation structure, and battery pack manufactured using same
KR101146675B1 (ko) 배터리 팩
US8883337B2 (en) Support foot for battery pack, battery pack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82961B1 (ko) 배터리 팩
JP2003022789A (ja) バッテリーとその製造方法
KR100944989B1 (ko)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는 이차전지
KR100721831B1 (ko) 배터리 팩
KR100782990B1 (ko) 배터리 팩
KR100704290B1 (ko) 배터리 팩
KR100721830B1 (ko) 배터리 팩
KR200350720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