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249A -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249A
KR20050097249A KR1020040022491A KR20040022491A KR20050097249A KR 20050097249 A KR20050097249 A KR 20050097249A KR 1020040022491 A KR1020040022491 A KR 1020040022491A KR 20040022491 A KR20040022491 A KR 20040022491A KR 20050097249 A KR20050097249 A KR 20050097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consonants
character
inpu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박지은
한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2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7249A/ko
Publication of KR2005009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24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Abstract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키입력부는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한다. 자모선택부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소정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한다. 문자조합부는 자모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한다. 이로써, 한글 입력이 용이하여 입력시간이 단축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output}
본 발명은 한글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누름으로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고, 완성된 문자를 음성 및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한글 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입력장치가 소형으로 제작되고 입력버튼이 소수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치 스크린을 갖는 개인정보단말기의 경우도 작은 사이즈의 스크린을 갖기 때문에 스크린 키보드의 영역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글은 일차원적 배열을 갖는 영문과는 달리 초성, 중성, 종성이 이차원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문자)을 형성하므로 그 입력방법이 영문에 비해 다소 복잡하다.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한글 입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한글 입출력 시스템은 키입력부(100), 제어부(110), 문자편집부(120), 화면출력부(130) 및 메모리(140)로 구성된다.
키입력부(100)는 4*3 자판배열의 입력버튼과 몇 개의 기능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숫자, 한글문자, 영어문자 및 기능선택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장치이다.
문자편집부(120)는 키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기 설정된 규칙(한글 입력방법)에 의해 인식하고 조합한다. 문자편집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를 조합하여 완성된 문자를 생성하며, 화면출력부(130)는 문자 조합과정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문자편집부(120)는 키입력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데이터의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이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문자조합부(122)와 문자조합부(122)를 통해 조합된 문자들이 저장되는 버퍼(124)로 구성된다.
화면출력부(130)는 키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aly:액정표시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메모리(140)에는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등록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 중 일명 '천지인' 한글 입력장치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천지인 방식은 기본자음(ㄱ,ㄴ,ㄷ,ㅂ,ㅅ,ㅈ,ㅇ)과 천지인 모음(ㅣ,ㆍ,ㅡ)(210,220,230)을 10개의 입력버튼에 각각 배치하고 한 번 누름으로 입력한다. 그 외 자음(ㅋ,ㄲ,ㄹ,ㅌ,ㄸ,ㅍ,ㅃ,ㅎ,ㅆ,ㅊ,ㅉ,ㅁ)은 해당 입력버튼을 반복하여 눌러 입력한다. 또한 모든 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ㅘ,ㅝ,ㅐ,ㅒ,ㅖ,ㅖ,ㅚ,ㅟ,ㅢ)은 천지인 모음의 획 조합 방식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ㄱ'은 {4}입력버튼을 한 번 눌러 입력하고, 'ㅋ'은 {4}입력버튼을 두 번 눌러 입력한다. 그리고, 'ㄲ'은 {4}입력버튼을 세 번 눌러 입력한다. 'ㅏ'는 {1,2}입력버튼(210,220)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고, 'ㅓ'는 {2,1}입력버튼(220,210)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그리고, 'ㅕ'는 {2,2,1}입력버튼(220,220,210)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또한, {*}입력버튼은 앞으로 한 칸 이동을 수행하고, {#}입력버튼은 뒤로 한 칸 이동 및 문자조합 완료를 수행한다.
천지인 방식은 비교적 통일성 있는 자판 배치와 간결한 모음처리가 장점이다. 그러나, 연속으로 동일 버튼에 속하는 자음이 초성과 종성에 쓰이는 단어(예를 들어, '안녕','국가','용맹'등)를 입력하고자 할 때 일정시간 멈춤 또는 특정버튼 누름과 같은 별도의 행동을 해주어야 한다. 또한, 문자 입력시 "자음+ㆍ"나 "자음+ㆍㆍ"과 같이 한글에는 없는 이상한 조합이 생겨 한글 고유의 의미를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 중 일명 '나랏글2000' 한글 입력장치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나랏글2000(이하,'나랏글'이라 한다)방식은 기본자음(ㄱ,ㅌ,ㄹ,ㅁ,ㅅ,ㅇ)과 기본모음(ㅏ,ㅗ,ㅡ,ㅣ)을 10개의 입력버튼에 각각 배치하고 한 번 누름으로 입력한다. 그 외 자음(ㅋ,ㄲ,ㄷ,ㅌ,ㄸ,ㅂ,ㅍ,ㅃ,ㅈ,ㅊ,ㅆ,ㅉ,ㅎ)은 기본자음과 획추가 버튼(310), 쌍자음 버튼(320)을 조합하여 입력한다. 모음 중 버튼상에 표시된 기본모음(ㅏ,ㅓ,ㅜ,ㅡ,ㅣ)은 해당 버튼의 한 번 누름 또는 반복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고, 나머지 모음(ㅑ,ㅕ,ㅛ,ㅠ,ㅘ,ㅝ,ㅐ.ㅒ,ㅔ,ㅖ,ㅚ,ㅟ,ㅢ)은 기본 모음과 획추가 버튼(310)을 조합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어, 'ㅅ'은 {1}입력버튼을 한 번 눌러 입력하고, 'ㅈ'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며, 'ㅊ'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ㅆ'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고, 'ㅉ'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그리고, 'ㅏ'는 {3}입력버튼을 한 번 눌러 입력하고, 'ㅓ'는 {3}입력버튼을 두 번 눌러 입력하며, 'ㅑ'는 {3,*}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고, 'ㅕ'는 {3,3,*}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나랏글 방식은 천지인 방식에 비해 과도하게 같은 키를 반복하여 입력하지 않아 반복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오타 및 평균누름타수를 줄일 수 있으나, 자판 배치의 통일성이 부족하고 자주 사용되는 자음도 '획추가', '쌍자음' 버튼을 통해 조합하여 입력하므로 평균이동횟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음+ㅕ"를 입력하기 위해 "자음+ㅏ", "자음+ㅓ"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중간 문자가 생성되어 입력의 직관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 번의 입력버튼 누름으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고 다음 음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문자의 음성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 번의 입력버튼 누름으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고 다음 음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문자의 음성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 번의 입력버튼 누름으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고 다음 음절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문자의 음성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판 배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 배열의 일 실시예는, 자음 'ㅇ','ㅎ' 및 모음 'ㅣ'가 배치되어 있는 제1입력키; 자음 'ㄱ', 'ㄲ' 및 모음 'ㅡ', 'ㅢ'가 배치되어 있는 제2입력키; 자음 'ㅈ','ㅉ' 및 모음 'ㅛ'가 배치되어 있는 제3입력키; 자음 'ㄴ','ㅌ' 및 모음 'ㅗ','ㅚ'가 배치되어 있는 제4입력키; 자음 'ㄷ','ㄸ' 및 모음 'ㅏ','ㅐ'가 배치되어 있는 제5입력키; 자음 'ㅊ','ㅋ' 및 모음 'ㅘ','ㅙ'가 배치되어 있는 제6입력키; 자음 'ㄹ' 및 모음 'ㅜ','ㅟ'가 배치되어 있는 제7입력키; 자음 'ㅁ','ㅍ' 및 모음 'ㅓ','ㅔ'가 배치되어 있는 제8입력키; 모음 'ㅝ','ㅞ' 및 제1특수문자, 제2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있는 제9입력키; 자음 'ㅂ','ㅃ' 및 모음 'ㅑ','ㅒ'가 배치되어 있는 제10입력키; 자음 'ㅅ','ㅆ' 및 모음 'ㅕ','ㅖ'가 배치되어 있는 제11입력키; 및 제3특수문자 및 제4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있는 제12입력키;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는,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는 키입력부;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소정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자모선택부; 및 상기 자모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문자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는,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소정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출력 장치의 일 실시예는,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문자를 조합하는 문자 입력부; 상기 문자입력부에 의해 한 음절의 문자 조합이 완성되면 상기 음절에 대한 음성을 합성하는 음성합성부; 및 상기 합성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출력 방법의 일 실시예는,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문자를 조합하는 단계; 한 음절의 문자 조합이 완성되면 상기 음절에 대한 음성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한글 입력이 용이하여 입력시간이 단축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출력장치의 키입력부에 의해 인식되는 한글 자모 및 특수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의 입력버튼은 크게 자음버튼 및 모음버튼으로 구분된다. 자음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자음을 사용빈도수에 따라 제1자음 및 제2자음으로 구분한다. 또한, 둘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복합자음을 구분한다. 모음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모음을 사용빈도수에 따라 제1모음 및 제2모음으로 구분한다.
제1자음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 으로 구성되며, 제2자음은 'ㅋ,ㅌ,ㅍ,ㅎ,ㄲ,ㄸ,ㅃ,ㅆ,ㅉ'으로 구성된다. 복합자음은 '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으로 구성된다. 제1모음은 'ㅏ,ㅑ,ㅓ,ㅕ,ㅗ,ㅛ,ㅜ,ㅡ,ㅣ,ㅘ,ㅟ'로 구성되며, 제2모음은 'ㅠ,ㅐ,ㅒ,ㅔ,ㅖ,ㅚ,ㅟ,ㅢ,ㅙ,ㅞ'로 구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특수키가 정의되어있다. 특수키는 기능버튼 및 문자버튼으로 구분되고, 기능버튼은 문자조합완성기능 버튼 및 복합자음입력기능 버튼을 포함하며, 문자버튼은 숫자입력기능 버튼 및 모음입력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문자조합완성기능은 한글의 한 음절이 초성 및 중성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한 음절이 완성되었음을 한글입력장치에 알리는 기능을 한다. 한 음절이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별도로 한글 입력장치에 한 음절의 완성을 알릴 필요는 없다. 또한, 초성입력모드에서 문자조합완성기능은 띄어쓰기 기능을 나타낸다. 숫자입력기능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모음입력기능은 모음만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특수키를 자판에 표시하는 일 실시예로서, 문자조합완성기능을 나타내는 기능버튼을 자판에 '>'로 표시하며, 복합자음입력기능을 나타내는 기능버튼을 자판에 '복'으로 표시한다. 또한, 숫자입력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버튼을 '수'로 표시하며, 모음입력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버튼을 '모'로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가 적용된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글 입력 장치의 키입력부는 12개의 입력버튼(505 내지 560)으로 구성된다. 도 4에서 설명한 제1자음 및 제2자음이 각각의 입력버튼에 설정되고, 제1모음 및 제2모음 및 특수키(545,560) 또한 각각의 입력버튼에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숫자 1이 기재된 입력버튼(이하, '{1}입력버튼'이라 한다)에는 제1자음인 'ㅇ', 제2자음인 'ㅎ' 및 제1모음인 'ㅣ'가 설정되고, {8}입력버튼에는 제1자음인 'ㅁ', 제2자음인 'ㅍ' 및 제1모음인 'ㅓ' 및 제2모음인 'ㅔ'가 설정되어 있다.
도 5의 각각의 입력버튼에는 제2모음이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각의 입력버튼에 표시된 제1모음에 'ㅣ' 획이 추가된 제2모음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1}입력버튼(505)에 할당된 제1모음은 'ㅣ'이고, 획이 추가된 'ㅣㅣ'는 한글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1}입력버튼(505)에 할당된 제2모음에는 'ㅣ'가 그대로 설정된다. {2}입력버튼(510)에 할당된 제1모음은 'ㅡ'이며, {2}입력버튼(510)에 할당된 제2모음은 'ㅡ'에 'ㅣ'획이 추가된 'ㅢ'가 된다.
또한, 각각의 입력버튼에 제2자음이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각각의 입력버튼에는 제2자음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2}입력버튼(510)에는 제1자음으로 'ㄱ'이 설정되고 제2자음으로 'ㄲ'이 설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자판 배열(500)은 각각의 입력버튼이 제1자음, 제2자음, 제1모음 및 제2모음이 할당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각각의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모들의 배치 순서는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입력버튼(505)에 할당된 'ㅇ,ㅎ'을 {2}입력버튼(510)에 할당된 'ㄱ,ㄲ'과 교체하여 배열할 수 있다.
도 6은 초중종성 및 입력버튼의 누름길이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자모 또는 특수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버튼의 누름이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구분하고, 초중종성의 각각마다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가 짧은 경우 및 긴 경우로 구분한다. 따라서, 입력 자판이 총 6가지의 경우(610 내지 660)가 만들어진다.
초성입력모드(610,640) 및 종성입력모드(630,660)의 경우에는 자음을 선택함에 있어서, 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제1자음(610,630) 또는 제2자음(640,660)을 선택한다. 중성입력모드(620,650)의 경우에는 모음을 선택함에 있어서, 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제1모음(620) 또는 제2모음(650)을 선택한다. 또한, 각각의 특수키가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 및 초중종성에 따라 선택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자판배열로 이루어진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고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고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는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고 조합하고 이를 출력하기 위해 크게 문자입력모드 및 문자출력모드로 동작한다.
먼저, 문자입력모드에 대해 살펴본다. 문자입력모드는 한글 생성원리에 맞게 기본적으로 초성입력모드, 중성입력모드 및 종성입력모드 순서로 동작하는데, 특수키 선택에 따라 숫자입력모드, 모음입력모드로 전환된다.
(1)초성입력모드
초성입력모드는 입력으로 초성을 기다려 버퍼에 저장한 후 문자출력모드로 전환한다. 초성은 도 4a에서 설명한 제1자음 및 제2자음을 뜻하는데, 여러 번 누르지 않고 한 번 짧게 누름을 통해 제1자음을 선택하거나, 길게 누름을 통해 제2자음을 선택한다.
만약 띄어쓰기를 하려면 {#}입력버튼(560)을 한 번 짧게 눌러 문자조합완성 특수키{>}를 선택한다.
(2)중성입력모드
중성입력모드는 버퍼에 저장된 초성과 조합하기 위한 중성을 기다려 버퍼에 저장한 후 문자출력모드로 전환한다. 중성은 도 4a에서 설명한 제1모음 및 제2모음을 뜻하는데, 여러 번 누르지 않고 한 번 짧게 누름을 통해 제1모음을 선택하거나, 한 번 길게 누름을 통해 제2모음을 선택한다.
만약 초성만 입력하는 경우라면, {#}입력버튼(560)을 한 번 짧게 눌러 문자조합완성 특수키{>}를 선택하여 문자조합완성임을 문자출력모드에게 알린다.
(3)종성입력모드
종성입력모드는 버퍼에 저장된 초성+중성과 조합하기 위한 종성을 기다려 버퍼에 저장한 후 문자출력모드로 전환한다. 종성은 제1자음, 제2자음 및 복합자음을 뜻하는데, 제1자음 및 제2자음은 초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한다.
만약 복합자음을 받침으로 갖는 경우라면, 먼저 {9}입력버튼(545)을 한 번 길게 눌러 복합자음 특수키{복}를 선택하고, 연속하여 입력되는 제1자음 및 제2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을 선택한다. 이 경우에 제1자음 및 제2자음은 모두 한 번 짧게 누름으로 입력한다. 종성 입력이 완료되면 문자조합이 완료되었음을 문자출력모드에 알린다.
만약 종성이 없는 경우라면, {#}입력버튼(560)을 한 번 짧게 눌러 문자조합완성 특수키{>}를 선택하여 문자 조합 완료임을 문자출력모드에 알린다.
(4)숫자입력모드
종래의 한글입력장치에서의 숫자 입력은 각 입력버튼을 한 번 길게 누르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한글 자모 선택 시 입력버튼을 반복적으로 또는 복잡하게 조합하여 입력하지 않도록 한 번 길게 누름을 제2자모음에 할당하였기에 숫자는 숫자 특수키{수}를 선택하여 숫자입력모드로 전환한 후 입력한다. 숫자 특수키의 선택은 초성입력모드에서 {9}입력버튼(545)을 한 번 짧게 누르면 되고, 다시 문자입력모드로 돌아오려면 {9}입력버튼(545)을 다시 한 번 짧게 누르면 된다.
(5)모음입력모드
만약 모음만 입력하고 싶다면 모음 특수키를 선택하여 모음입력모드로 전환한다. 모음 특수키{모}는 입력모드에 상관없이 {#}입력버튼(560)을 한 번 길게 누르면 되고, 제1모음 및 제2모음 입력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음을 입력한다. 다시 문자입력모드로 되돌아오려면 {#}입력버튼(560)을 다시 한 번 길게 누르면 된다.
다음으로, 문자출력모드에 대해 살펴본다.
(1)화면출력모드
화면출력모드는 문자출력모드의 기본모드로 동작하며 모든 문자 조합과정을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버퍼에 저장되는 있는 문자를 표시부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문자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문자조합이 완료된 경우는 버퍼를 초기화 한 후 음성출력모드로 전환하고, 조합 중인 경우에는 다음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한다.
(2)음성출력모드
음성출력모드는 완성된 문자를 음성 출력하도록 제어부에 알린다. 제어부는 음성합성부를 통하여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를 음성으로 합성하도록 하고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 후 문자입력모드의 초성입력모드로 전환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구성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글입력장치는 키입력부(700), 자모선택부(710), 문자조합부(720), 표시부(730) 및 버퍼부(740)로 구성된다.
키입력부(700)는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한다. 자판(500)은 12개의 입력버튼(505 내지 560)을 포함하고 각각의 입력버트는 제1자음, 제2자음, 제1모음 및 제2모음이 설정되어 있다. 제1,2자음 및 제1,2모음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자판의 몇몇의 입력버튼(545,560)은 특수키로 사용되며, 특수키들은 문자조합완성 기능{>}(560), 숫자입력 기능{수}(545), 모음입력 기능{모}(560) 및 복합자음입력 기능{복}(545)의 각각을 나타낸다.
자모 선택부(710)는 입력버튼에 의한 문자의 입력모드가 초성입력모드(610,640)인지 중성입력모드(620,650)인지 종성입력모드(630,660)인지에 따라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한다. 초성 또는 종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자모 선택부(710)는 자음을 선택하고 중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자모 선택부(710)는 모음을 선택한다.
또한, 자모 선택부(710)는 입력버튼의 누름의 길이에 따라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 중에서 해당하는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키입력부(700)에 의해 초성입력모드(610,640)에서 {1}입력버튼(505)의 누름이 감지되면 자모 선택부(710)는 {1}입력버튼(505)에 할당된 제1자음(ㅇ) 및 제2자음(ㅎ)을 선택한다. 그리고, 자모 선택부(710)는 입력버튼이 짧게 누름인 경우 제1자음(ㅇ)을 선택(610)하고 길게 누름인 경우 제2자음(ㅎ)을 선택(640)한다.
자모 선택부(710)는 키입력부(700)에 의해 감지된 입력버튼이 특수키(545,560)에 해당하는 경우 특수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키입력부(700)에 의해 감지된 입력버튼이 문자조합완성 특수키{>}(560)인 경우에는 문자조합이 완성되었음을 문자 조합부(720)에 알린다. 그리고, 키입력부(700)에 의해 감지된 입력버튼이 숫자입력 특수키{수}(545)인 경우에 자모 선택부(710)는 입력버튼에 해당하는 숫자를 선택하고, 키입력부(700)에 의해 감지된 입력버튼이 복합자음입력 특수키{복}(545)인 경우에는 특수키 후에 연속으로 입력되는 자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자음을 선택한다. 또한, 키입력부(700)에 의해 감지된 입력버튼이 모음입력 특수키{모}(560)인 경우에 자모 선택부(710)는 입력버튼에서 모음만을 선택한다.
초성입력모드(610,640)에서의 문자조합완성 특수키{>}(560)는 한 칸 띄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초성만 입력하는 경우에도 초성 입력 후 문자조합완성 특수키(560)를 이용한다. 초성+중성으로 이루어진 문자를 조합하는 경우에도 중성입력 후 문자조합완성 특수키(560)를 입력한다.
문자 조합부(720)는 자모 선택부(710)에 의해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버퍼부(740)에 저장하고 초성, 중성 및 종성에 해당하는 자모를 조합하여 한 음절의 문자를 완성한다. 문자 조합부(720)는 한 음절의 문자를 완성한 후 버퍼부(740)를 초기화하고 초성부터 다시 버퍼부(740)에 저장한다.
표시부(730)는 문자 조합부(720)에 의한 문자조합과정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문자의 조합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출력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한글출력장치는 문자입력부(800), 음성 합성부(810), 음성 출력부(820) 및 표시부(830)로 구성된다.
문자 입력부(800)는 사용자의 입력버튼 누름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고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한 음절의 문자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문자 입력부(800)는 키입력부(802), 자모 선택부(804) 및 문자 조합부(806)로 구성된다. 문자 입력부(800)의 각각의 구성은 도 7에서 설명한 키입력부(700), 자모 선택부(710) 및 문자 조합부(720)의 기능 및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음성 합성부(810)는 문자 입력부(800)에 의해 한 음절의 문자가 완성되면 완성된 문자에 대한 음성을 합성한다. 그리고, 음성 출력부(820)는 합성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문자 입력부(800)는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를 조합하면 문자 완성을 음성 합성부(810)에 알려 음성 합성부(810)로 하여금 음성을 합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초성 및 중성으로 이루어진 문자가 하나의 음절을 형성하는 경우에, 문자 입력부(800)는 입력버튼을 통해 문자조합완성{>} 특수키(560)를 입력받고 문자조합완성 사실을 음성 합성부(810)에 알린다.
표시부(830)는 문자 입력부(800)에 의한 문자 조합과정을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출력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한글입출력장치는 키입력부(900), 제어부(910), 문자 편집부(920), 메모리(930), 표시부(940), 음성 합성부(950), 음성 출력부(960)로 구성된다. 문자 편집부(920)는 자모 선택부(922), 문자 조합부(924) 및 버퍼(926)로 구성된다.
제어부(910)는 메모리(93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키입력부(900), 문자 편집부(920), 음성 합성부(950), 음성 출력부(960), 표시부(940)를 제어한다. 제어부(910)는 키입력부(900)에 의해 감지된 입력버튼의 누름에 해당하는 정보를 문자 편집부(920)에게 전달하고, 문자 편집부(920)에 의해 완성된 음절을 음성 합성부(950)에게 전달하여 음성 합성부(950)가 음성을 합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 합성부(950)가 합성한 음성을 음성 출력부(9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문자 편집부(920)는 키입력부(900)에 의해 감지된 입력버튼의 누름에 해당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고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한다. 문자 편집부(920)의 각 구성인 자모 선택부(922), 문자 조합부(924) 및 버퍼(926)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키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버튼 누름을 감지한다. 또한, 키입력부는 입력버튼의 짧게 누름 및 길게 누름을 구분하여 감지한다(S1000).
자모 선택부(710)는 키입력부(700)에 의한 입력버튼의 누름이 문자 조합 과정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초성 및 종성인 경우에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들을 선택하고, 중성인 경우에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들을 선택한다(S1010). 또한, 자모 선택부(710)는 초중종성을 기초로 선택된 자음들 또는 모음들 중에서 입력버튼의 누름의 길이를 기초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한다(S1010).
예를 들어, 자모 선택부(710)는 입력버튼의 누름이 문자의 초성에 해당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제1자음 및 제2자음을 선택하고, 입력버튼이 누름이 짧게 누름인 경우에 제1자음을 선택한다.
문자 조합부(720)는 자모 선택부(710)에 의해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버퍼에 저장하고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지는 문자를 완성한다(S1020).
표시부(730)는 문자 조합과정을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S103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출력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부(800)가 한 음절의 문자를 완성하면(S1100), 음성 합성부(810)는 완성된 음절에 대한 음성을 합성한다(S1110). 문자 입력부(800)는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를 완성하면 문자 완성 사실을 음성 합성부(810)로 알린다. 또한, 문자 입력부(800)는 초성+중성으로 이루어진 문자의 경우 문자조합완성 특수키{>}(560)의 누름에 의해 문자완성사실을 음성 합성부(810)에 알린다.
그리고, 음성 출력부(820)는 음성 합성부(810)에 의해 합성된 음성을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S1120).
도 12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출력방법과 종래의 한글입출력방법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a는 종래의 천지인 방법(1210), 나랏글 방법(1220)과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출력방법(이하, '한누름 방식'이라 한다)(1230)을 비교한 표이다. 그리고, 도 13b는 각 자소가 발생하는 발생빈도수(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한글 사용 빈도의 분석)에 따른 발생빈도수*입력시간(항목 B)을 자소별로 비교한 도표이다. 도 13c 및 도 13d는 음절 단위로 단어 입력시 음절 발생 시간을 비교한 표이다.
입력버튼의 누름의 장단에 따라 누름시간(항목 a)은 짧게 누르면 단위시간 1로, 길게 누르면 단위시간 2로 체크하고, 몇 번 누름인지에 따라 누름횟수(항목 b)를 체크하고, 자소를 완성하기 위해 이동하는 횟수에 따라 이동횟수(항목 c)를 체크하였다. 하나의 자소 즉, 자음과 모음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최소한 입력시간(항목 A)은 누름시간(항목 a)*누름횟수(항목 b)*이동횟수(항목 c)로 산출하였다.
도 12 내지 도 1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출력방법(한누름방식)은 천지인 및 나랏글 방식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한누름 방식은 빠른 입력이 가능하다.
반복 누름이 아닌 누름의 장단과 초중종성의 입력모드에 따라 한 번 누름으로 자소를 입력하므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지인 및 나랏글 방식에 비해 평균누름횟수, 평균이동횟수가 적어 결과적으로 평균입력시간이 단축된다.
도 13b를 참조하면, 오늘쪽에서부터 왼쪽은 자음의 발생빈도에 따른 입력시간을 보여주며,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은 모음의 발생빈도에 따른 입력시간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한누름 방식은 모음과 자음 모두에서 발생빈도에 대해 비례적인 입력시간을 보여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총체적인 입력시간을 단축하여 빠른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한누름 방식은 도깨비불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깨비불 현상이란 종래의 방식에서 단어(구기자)입력시 "구-국-구기-구깆-구기자"와 같이 자음이 종성과 초성으로 왔다 갔다 하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누름 방식은 한글 원리에 맞는 입력방법을 통하여 한글 고유성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한누름 방법은 음절 단위 또는 단어단위 음성출력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많이 쓰이는 한글자모(ㅅ,ㅇ,ㅁ,ㄱ,ㄹ,ㅂ,ㅏ,ㅓ,ㅗ,ㅜ,ㅕ)와 자주 쓰이지 않거나 복잡한 한글 자모(ㅉ,ㄼ,ㅌ,ㅋ,ㅐ,ㅙ)를 포함하는 단어(새엄마, 짧구려, 통쾌)를 입력하여 보자. 한 음절 단위로 입력하는 경우(도 13c)와 음절의 구분 없이 도깨비불 현상을 피하지 않는 경우(도 13d)를 각각 비교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한누름 방법은 두 경우에서 각 음절의 발생시간이 가장 짧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은 출력 후 오래 기억될 수 없기 때문에 한 음절이 발생한 후 다음 음절이 발생하는 간격 또는 단어간의 간격이 짧으면서 일정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한누름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누름 방식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동작하므로 다음 음절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입력버튼에 설정하고 한 번 누름으로 기본 자음과 모음을 모두 입력하므로 반복 입력이나 복잡한 조합이 발생하지 않아 오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불필요한 중간문자가 생성되지 않아 입력의 직관성이 높으며, 단어 내 음절간 생성 간격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음성 출력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글 입력이 용이하여 입력시간이 단축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홈 서버와 같은 시스템의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메일을 보낼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그 기능이 확장되는 리모컨(텔레비젼, 비디오 플레이어 제어용)에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출력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화면을 보지 않고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없거나 활용도가 낮은 일반 전화기나 팩스 같은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기의 한글 입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 중 일명 '천지인' 한글 입력장치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 중 일명 '나랏글2000' 한글 입력장치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장치의 키입력부에 의해 인식되는 한글 자모 및 특수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가 적용된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초중종성 및 입력버튼의 누름길이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자모 및 특수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출력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출력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방법과 종래의 한글 입출력방법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30)

  1. 자음 'ㅇ','ㅎ' 및 모음 'ㅣ'가 배치되어 있는 제1입력키;
    자음 'ㄱ', 'ㄲ' 및 모음 'ㅡ', 'ㅢ'가 배치되어 있는 제2입력키;
    자음 'ㅈ','ㅉ' 및 모음 'ㅛ'가 배치되어 있는 제3입력키;
    자음 'ㄴ','ㅌ' 및 모음 'ㅗ','ㅚ'가 배치되어 있는 제4입력키;
    자음 'ㄷ','ㄸ' 및 모음 'ㅏ','ㅐ'가 배치되어 있는 제5입력키;
    자음 'ㅊ','ㅋ' 및 모음 'ㅘ','ㅙ'가 배치되어 있는 제6입력키;
    자음 'ㄹ' 및 모음 'ㅜ','ㅟ'가 배치되어 있는 제7입력키;
    자음 'ㅁ','ㅍ' 및 모음 'ㅓ','ㅔ'가 배치되어 있는 제8입력키;
    모음 'ㅝ','ㅞ' 및 제1특수문자, 제2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있는 제9입력키;
    자음 'ㅂ','ㅃ' 및 모음 'ㅑ','ㅒ'가 배치되어 있는 제10입력키;
    자음 'ㅅ','ㅆ' 및 모음 'ㅕ','ㅖ'가 배치되어 있는 제11입력키; 및
    제3특수문자 및 제4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있는 제12입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 배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특수문자 내지 상기 제4특수문자는 각각 숫자입력모드, 복합자음선택모드, 문자조합완성 및 모음입력모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 배열.
  3.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는 키입력부;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소정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자모선택부; 및
    상기 자모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문자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이 문자의 조합과정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기초로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이 초성 및 종성에 해당하면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이 중성에 해당하면 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6. 제 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초중종성을 기초로 자음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짧게 누름 또는 길게 누름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두 개의 자음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7.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초중종성을 기초로 자음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시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시 'ㅋ,ㅌ,ㅍ,ㅎ,ㄲ,ㄸ,ㅃ,ㅆ,ㅉ'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8.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복합자음의 입력기능을 나타내는 상기 특수키의 누름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연속한 누름의 각각에 해당하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복합자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복합자음으로 '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초중종성을 기초로 모음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짧게 누름 또는 길게 누름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두 개의 모음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1. 제 3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초중종성을 기초로 모음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시 'ㅏ,ㅑ,ㅓ,ㅕ,ㅗ,ㅛ,ㅜ,ㅡ,ㅣ.ㅘ,ㅝ'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시 'ㅠ,ㅐ,ㅒ,ㅔ,ㅖ,ㅚ,ㅢ,ㅙ,ㅞ'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숫자입력기능에 해당하는 입력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각각에 할당된 숫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모음입력기능에 해당하는 입력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상기 초중종성에 무관하게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선택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문자조합완성기능에 해당하는 입력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한 음절이 완성되었음을 상기 문자조합부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부는 상기 자모선택부에 의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모두 선택되면 한 음절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문자조합완성기능에 해당하는 입력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한 음절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부에 의해 조합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부는,
    상기 자모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자모를 저장하는 버퍼부;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자모를 조합하여 한 음절의 문자를 완성하는 문자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19.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소정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 선택 단계는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이 문자의 조합과정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기초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 선택 단계는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이 초성 및 종성에 해당하면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이 중성에 해당하면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 선택 단계는 상기 문자의 초중종성을 기초로 자음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시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시 'ㅋ,ㅌ,ㅍ,ㅎ,ㄲ,ㄸ,ㅃ,ㅆ,ㅉ'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 선택 단계는 상기 문자의 초중종성을 기초로 모음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시 'ㅏ,ㅑ,ㅓ,ㅕ,ㅗ,ㅛ,ㅜ,ㅡ,ㅣ.ㅘ,ㅝ'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하고, 상기 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시 'ㅠ,ㅐ,ㅒ,ㅔ,ㅖ,ㅚ,ㅢ,ㅙ,ㅞ' 중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완성 단계는, 상기 버튼 누름 감지 단계에서 문자조합완성기능에 해당하는 입력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한 음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완성 단계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이 모두 선택되면 한 음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26.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문자를 조합하는 문자 입력부;
    상기 문자입력부에 의해 한 음절의 문자 조합이 완성되면 상기 음절에 대한 음성을 합성하는 음성합성부; 및
    상기 합성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출력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는 키입력부;
    상기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소정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는 자모선택부; 및
    상기 자모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문자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출력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에 의해 조합되는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출력장치.
  29. 자음, 모음 및 특수키가 배열된 자판의 입력버튼의 누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들 및 모음들 중에서 문자의 초중종성 및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를 기초로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문자를 조합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을 조합하여 한 음절의 문자가 완성되면 상기 음절에 대한 음성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출력방법.
  30. 제19항에 기재된 한글입력방법 또는 제29항에 기재된 한글출력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22491A 2004-04-01 2004-04-01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7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491A KR20050097249A (ko) 2004-04-01 2004-04-01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491A KR20050097249A (ko) 2004-04-01 2004-04-01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249A true KR20050097249A (ko) 2005-10-07

Family

ID=3727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491A KR20050097249A (ko) 2004-04-01 2004-04-01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72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88B1 (ko) * 2005-11-11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100660476B1 (ko) * 2004-08-11 2006-12-22 지현진 문자 입력 장치
KR101053934B1 (ko) * 2010-04-21 2011-08-04 김대용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476B1 (ko) * 2004-08-11 2006-12-22 지현진 문자 입력 장치
KR100617788B1 (ko) * 2005-11-11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101053934B1 (ko) * 2010-04-21 2011-08-04 김대용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005498A (en) Reduced keypad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34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KR20040002875A (ko) 빠른 텍스트 타이핑을 지원하는 휴대 장치
KR20050056277A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05078211A (ja) 中国語入力プログラム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JP2005032189A (ja) 文字入力制御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20050097249A (ko) 한글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118699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20020039421A (ko)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KR100366806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JP4133523B2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
KR100642107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0124B1 (ko) 소프트 키패드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61731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34982A (ko) 신규한 한글 입력방식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KR100506523B1 (ko) 듀얼 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827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