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128A - 자세교정용 방석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용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128A
KR20050097128A KR1020040022192A KR20040022192A KR20050097128A KR 20050097128 A KR20050097128 A KR 20050097128A KR 1020040022192 A KR1020040022192 A KR 1020040022192A KR 20040022192 A KR20040022192 A KR 20040022192A KR 20050097128 A KR20050097128 A KR 20050097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ubes
cushion
postur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4002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7128A/ko
Publication of KR2005009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1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5/00Making gear wheels, racks, spline shafts or worms
    • B21H5/04Making gear wheels, racks, spline shafts or worms bevel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교정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튜브가 마련된 깔개와;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튜브들로 소정의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및 제거하는 압력수단과;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수단을 통해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방석에 앉아 있기만 하더라도 방석에 장치된 구성들로 인해 저절로 흐트러진 자세가 바르게 교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교정용 방석{Cushion for correct carriage}
본 발명은, 자세교정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석에 앉아 있기만 하더라도 방석에 장치된 구성들로 인해 저절로 흐트러진 자세가 바르게 교정될 수 있도록 한 자세교정용 방석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이 바른 자세로 앉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실제로 잘 지켜지지 않는다. 특히, 어린이들이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기 위해 바닥이나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을 보면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는 어린이들이 허다하다. 즉, 바른 자세로 앉아 공부하라는 이야기는 흘려들은 채 책상에 엎드리거나 혹은 드러누워 공부하는 어린이가 허다하다.
이는 어린이들의 습성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에게 바른 자세를 강요하는 것은 실로 무의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어린이들이 계속해서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아 생활한다면 허리휨, 성장저하, 시력감퇴 등 여러 가지 질병 및 발육저하 현상이 유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6-0000127호를 보면 자세 교정 기능을 가지는 등받이 의자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은, 평소 바른 자세로 앉도록 하라는 부모님의 말씀과 장난감의 무선 조정 장치를 응용하여 바른 자세로 앉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것으로, 앉은 자세가 바르지 못하면 그 위치까지 알 수 있도록 하여 자세를 즉시 교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공지된 기술은 자신의 의지나 혹은 타인의 도움에 의해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기술에 불과하기 때문에, 의지가 없거나 혹은 주변에 사람이 없을 경우, 그 사용이 무의미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방석에 앉아 있기만 하더라도 방석에 장치된 구성들로 인해 저절로 흐트러진 자세가 바르게 교정될 수 있도록 한 자세교정용 방석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석에 앉아 있기만 하더라도 방석에 장치된 구성들로 인해 저절로 흐트러진 자세가 바르게 교정될 수 있도록 한 자세교정용 방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튜브가 마련된 깔개와;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튜브들로 소정의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및 제거하는 압력수단과;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수단을 통해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방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을 경우에 대해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기억한 후, 상기 튜브들 중 어느 하나의 튜브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보다 증가하면 증가한 압력만큼 다른 튜브의 압력을 낮추어 그 압력을 보상한 다음, 상기 튜브들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튜브와 상기 압력수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깔개와 연결되되, 상기 압력센서, 상기 압력수단,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개폐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내장된 방석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석제어기의 일면에는 각종 제어에 관련한 사항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소정의 입력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튜브는 4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용 방석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블럭도이다. 비율로 볼 때, 도 1과 도 2는 상호 대응하지는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과장되게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용 방석은, 크게 깔개(1)와, 깔개(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석제어기(10)로 이루어져 있다.
깔개(1)는 통상적으로 쿠션, 혹은 방석으로 불리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나 모양, 그리고 재질은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하다. 다만, 통상의 쿠션은 그 내부에 솜이나 캐시미론, 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이 개재되는데 반해, 본 깔개(1)에는 총 4개의 튜브가 마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깔개(1) 내에 마련된 4개의 튜브를 각각, A,B,C,D로 표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튜브에는 별도의 참조부호를 부여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깔개(1)에 어린이(사용자라 함)가 바르게 앉을 경우, 튜브 A,B,C,D에는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일정한 기준치로써의 압력이 부여된다. 이 때의 상태를 기준압력이라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앉은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면, 튜브 A,B,C,D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에 압력이 가중되는(눌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가 바로, 바르지 못하게 앉은 자세가 되는데 이하의 구성 및 동작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로 유도된다.
방석제어기(10)는 방석 내에 마련된 4개의 튜브 각각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제거하는 일련의 동작을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제어에 관련한 사항을 표시하는 표시수단(12)과, 소정의 입력수단(14)을 갖는다.
방석제어기(10) 내에는, 압력센서(20)와, 압력수단(30)과, 제어부(40) 및 개폐수단(50a~50d)을 포함한다. 물론, 압력센서(20), 압력수단(30), 제어부(40) 및 개폐수단(50a~50d) 모두를 방석제어기(10)에 반드시 장치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 어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을 방석제어기(10) 내에 마련하고, 나머지는 깔개(1) 혹은 이들 사이에 장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품으로써의 내구성 및 상품성을 고려한다면 이들 구성이 방석제어기(10) 내에 마련되고 깔개(1)와 방석제어기(10) 자체가 상호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유리할 수도 있다.
압력센서(20)는, 4개의 튜브들에 대한 압력을 그룹별 혹은 개별적으로 센싱한다. 센싱한 정보는 제어부(40)로 송신되는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일정주기별로 4개의 튜브들에 대한 압력을 센싱하게 된다.
압력수단(30)은, 튜브들로 소정의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및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압력수단(30)은, 최초 유압 또는 공압을 보관하고 있는 탱크(31)와, 탱크(31)와 4개의 튜브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32a~32d)과, 탱크(31)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탱크(31) 내의 유압 또는 공압을 튜브들로 가압하는 가압부(33)와, 튜브들로부터의 유압 및 공압을 탱크(31)로 취출시키는 취출부(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력수단(30)은 제어부(40)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데 개폐수단(50a~50d)과 상호작용한다.
제어부(40)는, 압력센서(20)의 신호에 기초하여 압력수단(30)을 통해 튜브들의 압력을 조절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40)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을 경우에 대해 튜브들의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기억한다. 그리고는,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져 튜브들 중 어느 하나의 튜브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증가하면 증가한 압력만큼 다른 튜브의 압력을 낮추어 그 압력을 보상한 다음, 다시 튜브들의 압력이 기준압력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개폐수단(50a~50d)은, 튜브와 압력수단(30) 사이에 마련되어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된다. 즉, 개폐수단(50a~50d)은 탱크(31)로부터 4개의 튜브로 각각 향하는 각 연결라인(32a~32d)에 하나씩 장치되어 제어부(4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해당 라인으로 유압 또는 공압이 흐르게 하거나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방석제어기(10)의 일면에 마련된 표시수단(12)은, 제어에 관련한 사항은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깔개(1)에 앉아 있는 총 시간을 포함하여, 바른 자세로 앉은 총 시간,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은 총 시간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으로 본다면, 공부시 집중도나 공부 태도 등을 계산하여 추후 학습지도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표시수단(12)의 형태는, 해당 정보를 시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하는 시각적 표시창이나 이들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청각적 스피커(미도시) 중 어떠한 것을 적용하여도 좋다. 만일, 도면과 같이, 표시수단(12)을 시각적 표시창으로 적용할 경우라면 디지털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입력수단(14)은, 본 방석제어기(10)에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용 제어버튼, 표시수단(12)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수단(12)용 제어버튼, 알람용 제어버튼 등을 포함하여 기타 각종 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의 구성을 갖는 자세교정용 방석의 사용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깔개(1)에 앉는다. 처음 깔개(1)에 앉을 경우에는 최대한 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깔개(1)에 앉으면, A,B,C,D 4개의 튜브들에 일정한 압력이 부가되는데 압력센서(20)를 이 압력을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송신함으로써, 제어부(40)는 최초 바른 자세로 인해 형성된 압력을 기준압력이라 하여 기억한다.
시간이 지나, 동 자세로 앉아 있던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면, A,B,C,D 4개의 튜브들에 걸리던 압력이 변화한다. 만일, 몸을 앞으로 숙이면, A,B 에 압력이 높아진다.
그러면, 압력센서(20)가 A,B 에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걸려 있음을 센싱한 후, 이 신호를 제어부(40)로 보낸다. 그러면, 제어부(40)에서는 C,D의 압력을 낮추어 튜브들에 걸리는 압력을 다시 보상하기 위해 방석제어기(10) 내의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0)의 신호에 의해 A,B 튜브로 향하는 연결라인(32a,32b)에 형성된 개폐수단(50a,50b)은 오프(OFF)시키고, C,D 튜브로 향하는 연결라인(32c,32d)에 형성된 개폐수단(50c,50d)은 개방한다. 이에 연동하여 취출부(34)를 동작함으로써, C,D 튜브 내에 있던 유압 또는 공압을 탱크(31)로 취출하여 C,D 튜브내의 압력을 낮추어 A,B 튜브의 압력과 적절하게 보상한다.
C,D 튜브내의 압력을 낮아져 A,B 튜브의 압력과 적절하게 보상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게 유지되면, 제어부(40)는 다시 탱크(31), 가압부(33) 및 개폐수단(50a~50d)을 통해 튜브들에 걸리는 압력이 최초 기준압력에 도달하도록 한다. 물론, 튜브들에 걸리는 압력이 기준압력에 도달하면 이를 압력센서(20)가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동작은 멈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깔개(1)에 앉아 있기만 하더라도 깔개(1)와 연계한 각종 구성들로 인해 저절로 흐트러진 자세가 바르게 교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으로 본다면, 공부시 집중도나 공부 태도 등을 계산하여 추후 학습지도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깔개 내의 튜브를 4개로 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개수나 혹은 그 이하의 개수로도 깔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의 개수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못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자세교정용 방석에 갖추어진 알람용 제어버튼을 동작시킬 경우,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면 알람이 발생한다. 그러면, 사용자 스스로 자세가 흐트러져 있다는 것을 직시할 수 있어 바른 자세 교정에 도움이 도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각종 기능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를 미리 입력하여 저장한다면, 좀 더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치로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른 자세로 앉은 총 시간,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은 총 시간 등이 감지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산술평균을 구할 수 있기에 사용자의 집중도 등을 점수화하거나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탱크 내에 액상의 오일이 충전되어 있다면, 연결라인에 별도의 온도조절기를 더 두어 오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럴 경우, 여름에는 그 온도를 낮추어 깔개의 표면을 서늘하게 유지하고 겨울철에는 따뜻하게 함으로써 본 방석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를 보면 단순히 방석이라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방석을 바닥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의자에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의자를 제조할 경우, 사용자가 앉는 의자의 안착면 차체를 위의 방석으로 한다면, 본 발명의 명칭이나 내용은 자세교정용 방석을 갖는 의자가 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석에 앉아 있기만 하더라도 방석에 장치된 구성들로 인해 저절로 흐트러진 자세가 바르게 교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용 방석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깔개 A,B,C,D : 튜브
10 : 방석제어기 20 : 압력센서
30 : 압력수단 40 : 제어부
50a~50d : 개폐수단

Claims (5)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튜브가 마련된 깔개와;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튜브들로 소정의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및 제거하는 압력수단과;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수단을 통해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을 경우에 대해 상기 튜브들의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기억한 후,
    상기 튜브들 중 어느 하나의 튜브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보다 증가하면 증가한 압력만큼 다른 튜브의 압력을 낮추어 그 압력을 보상한 다음, 상기 튜브들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방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와 상기 압력수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방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깔개와 연결되되, 상기 압력센서, 상기 압력수단,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개폐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내장된 방석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석제어기의 일면에는 각종 제어에 관련한 사항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소정의 입력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방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방석.
KR1020040022192A 2004-03-31 2004-03-31 자세교정용 방석 KR20050097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192A KR20050097128A (ko) 2004-03-31 2004-03-31 자세교정용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192A KR20050097128A (ko) 2004-03-31 2004-03-31 자세교정용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128A true KR20050097128A (ko) 2005-10-07

Family

ID=3727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192A KR20050097128A (ko) 2004-03-31 2004-03-31 자세교정용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712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44B1 (ko) * 2011-11-03 2013-12-04 송재현 자세교정 의자
KR101388856B1 (ko) * 2011-05-30 2014-04-2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경고 시트 및 자세 경고 의자
KR101408114B1 (ko) * 2013-01-31 2014-06-19 한국과학기술원 수면용 쿠션 장치
KR20160099420A (ko) * 2015-02-12 2016-08-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에어셀을 이용한 자세검출 및 자세교정 장치 및 방법
KR20190092011A (ko) 2018-01-30 2019-08-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유도 방석
KR20200080414A (ko) * 2018-12-19 2020-07-07 (주)에프에스알엔티 수압을 이용한 자세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545246A (zh) * 2020-12-09 2021-03-26 姜文 一种根据压力点判断人体睡姿的床垫以及使用方法
KR20210059203A (ko) * 2019-11-15 2021-05-25 이길호 자세 교정 방석
KR102294958B1 (ko) * 2020-05-20 2021-08-27 주식회사 에이치씨랩 자세 교정을 안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시스템
KR20210107972A (ko) * 2020-02-24 2021-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KR20230174454A (ko) 2022-06-21 2023-12-28 (주) 비코 탄소섬유 발열체의 원적외선 온열을 이용한 신체 교정 기능을 갖는 등받이 방석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56B1 (ko) * 2011-05-30 2014-04-2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경고 시트 및 자세 경고 의자
KR101336944B1 (ko) * 2011-11-03 2013-12-04 송재현 자세교정 의자
KR101408114B1 (ko) * 2013-01-31 2014-06-19 한국과학기술원 수면용 쿠션 장치
KR20160099420A (ko) * 2015-02-12 2016-08-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에어셀을 이용한 자세검출 및 자세교정 장치 및 방법
KR20190092011A (ko) 2018-01-30 2019-08-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유도 방석
KR20200080414A (ko) * 2018-12-19 2020-07-07 (주)에프에스알엔티 수압을 이용한 자세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59203A (ko) * 2019-11-15 2021-05-25 이길호 자세 교정 방석
KR20210107972A (ko) * 2020-02-24 2021-09-0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스마트 교정기
KR102294958B1 (ko) * 2020-05-20 2021-08-27 주식회사 에이치씨랩 자세 교정을 안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시스템
CN112545246A (zh) * 2020-12-09 2021-03-26 姜文 一种根据压力点判断人体睡姿的床垫以及使用方法
KR20230174454A (ko) 2022-06-21 2023-12-28 (주) 비코 탄소섬유 발열체의 원적외선 온열을 이용한 신체 교정 기능을 갖는 등받이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7128A (ko) 자세교정용 방석
AU2012349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a mattress
US9198523B2 (en) Chair or bed member having data storage
KR20110049941A (ko) 자세교정의자 및 방석
KR101547653B1 (ko) 압력 분포도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세 교정 시스템
US20110275939A1 (en) Ergonomic Sensor Pad with Feedback to User and Method of Use
EP2428195A2 (en) Air cellular cushion
WO2017166235A1 (zh) 一种坐姿矫正座椅、系统及方法
BR102016001005A2 (pt) assento flexível de veículo
US200701991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ressure in pockets or zones
KR20080075263A (ko) 에어 셀을 이용한 베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140122063A (ko) 에어 매트리스가 구비된 침대
AU2001295347A1 (en) Chair or bed member having data storage
CN105725559A (zh) 智能防久坐办公椅
US20120194436A1 (en) Handheld bed controller pendant with liquid crystal display
JP2017023475A (ja) 姿勢矯正のための椅子
US20160022047A1 (en) Chair having a reminder function
JP2022162083A5 (ko)
KR20230040964A (ko) 진동자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20120063988A (ko) 자세 교정용 방석
KR20160069664A (ko) 다기능 의자
JP2003070596A (ja) 着座姿勢検出機能付き椅子
CN212630395U (zh) 一种可自动调节的床垫用气囊组件
CN206576610U (zh) 一种矫正儿童坐姿的座椅
JP2019076299A (ja) シート及びシート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622

Effective date: 2006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