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098A -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하폐수처리공법 - Google Patents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하폐수처리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098A
KR20050097098A KR1020040021828A KR20040021828A KR20050097098A KR 20050097098 A KR20050097098 A KR 20050097098A KR 1020040021828 A KR1020040021828 A KR 1020040021828A KR 20040021828 A KR20040021828 A KR 20040021828A KR 20050097098 A KR20050097098 A KR 20050097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membrane
tank
reacto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689B1 (ko
Inventor
허형우
강호
정화원
김윤석
신경숙
박승국
박재형
정순태
박종부
최은주
황의성
이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to KR102004002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6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calende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20Shaping
    • B60B2310/206Shaping by stamping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혹은 폐수내 존재하는 유기물,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수 및 반송슬러지의 유입흐름을 일정시간간격으로 변경시켜 2개의 반응조에 유입시킴으로써 무산소 및 혐기조건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여 탈질 및 인 방출을 유도하고, 그 후단에 막분리호기조를 설치하여 질산화 및 고액분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막분리호기조에서 인발되는 고농도 슬러지를 가용화하여 무산소 및 혐기조에서 탄소원으로 이용하고 이를 통해 슬러지를 감량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다.

Description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공법{WASTEWATER TREATMENT BY INFLUENT CONTROLLED MEMBRANE BIOREACTOR}
본 발명은 하수 혹은 폐수내 존재하는 유기물,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반응조에 무산소 및 혐기조건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여 탈질 및 인 방출을 유도하고, 그 후단에 막분리호기조를 설치하여 질산화반응 및 고액분리를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입수 및 슬러지의 내부 반송 유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변경시킴으로써 두개의 반응조에 무산소 및 혐기조건이 교대로 조성되도록 하였으며, 후속 막분리호기조에서는 잔존 유기물의 산화 및 질산화반응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0.4㎛이하의 공칭공경을 갖는 평막 혹은 중공사막을 침지시켜 고액 분리를 통해 연속적으로 처리수를 생산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한 막분리호기조에서 인발되는 고농도의 잉여슬러지를 가용화하여 무산소 및 혐기조건이 교대로 형성되는 반응조에 탄소원으로 투입함으로써 슬러지의 감량을 추구한 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기술적 특징이다.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처리 공정은 반응조의 구성과 운영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A/O(Anaerobic/Oxic), A2/O(anaerobic/anoxic/oxic), UCT(University of Capetown), Bardenpho공정 등 혐기, 무산소, 호기조가 직렬로 연결되는 main stream공정과 Phostrip, PL-Ⅱ등과 같이 혐기성 탈인조가 병렬로 연결되는 side stream공정으로 분류된다. 또한 반응조의 Phase가 고정되어 있는 공간배치형과 반응조의 phase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시간배치형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한 다양한 공정들은 비교적 처리효율이 우수한 공정임에는 분명하나, 기온이나 운전조건등의 변화로 후속 중력침전조에서 슬러지팽화, 미세플록, 슬러지부상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여 생물처리공정을 최적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처리수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드러나곤 한다.
특히, 질소 및 인에 비하여 영양원의 농도가 낮은 국내 하폐수에 A2/O와 유사한 공법을 적용하면 탄소원의 부족으로 탈질 효율이 떨어지며, 그 결과 질산성 질소가 반송슬러지를 통해 혐기조로 유입되어 혐기조 내에서 Poly-P박테리아와 탈질미생물간의 유기물경쟁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인 방출이 저조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공정에서 사용하는 중력침전방식은 반응조내 미생물농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고부하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지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유지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중력침전에 의한 고액분리를 대신하여 생물학적인 오염물질 제거공정과 일정한 공칭공경을 갖는 분리막을 이용해 안정적으로 고액분리를 달성할 수 있는 막 여과방식을 접목한 막결합형 생물처리공법(Membrane Bio-Reactor)이 등장하게 되었다.
MBR공정은 반응조내 미생물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수리학적 체류시간 단축으로 인해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며, 분리막을 통한 완벽한 고액분리로 중수도로 활용가능 한 수준의 처리수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막 폐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인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상기한 중력침전이나 멤브레인 분리를 통하여 발생하는 잉여슬러지는 종래에 매립 및 해양투기 등으로 처리하였으나, 최근 직매립의 금지와 함께 해양투기에 대한 점진적인 규제가 예상되므로 비료화, 소각, 탄화, 건설자재화 등의 후처리 외에 슬러지 내의 유기물을 가용화하여 슬러지를 원천적으로 감량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수처리와 연계한 슬러지감량방식은 하수슬러지 세포벽을 깨뜨려 슬러지세포내의 유기물을 용존화함으로써 SCOD를 크게 증가시킨 후 수처리공정으로 재투입하는 것으로, 수처리공정에 가용화조만 추가하면 되므로 기존 수처리공정과 쉽게 연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용화슬러지 주입에 따른 오염부하증가로 처리수질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처리공정의 선정 및 운영의 최적화가 필수적이다. MBR공정은 반응조내 미생물농도를 높아 통상 F/M비가 낮게 유지되므로, 가용화시킨 슬러지 주입에 따른 오염부하증가에 대한 대처능이 타 공정에 비해 탁월하므로 슬러지감량에 적합한 공정이다.
슬러지의 가용화 방법에는 오존,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전자빔, 산/알칼리등의 약품처리, 고온열처리, 동결/융해법, 생물학적 효소를 이용한 방법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단에 슬러지가용화조를 설치하여 막분리호기조에서 인발되는 고농도 잉여슬러지를 가용화 한 다음 무산소 혹은 혐기조건의 반응조에 탄소원으로 투입함으로써 유입수의 낮은 C/N비 개선과 슬러지의 발생을 원천감량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질소 및 인 동시 제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수와 반송슬러지를 2개의 반응조에 교대로 유입시켜 무산소 조건과 완전 혐기 조건을 교대로 유도하는 방식을 통해 원수와 반송슬러지가 유입되는 반응조에서는 유입수내 유기물을 이용해 반송슬러지내 질산성 질소의 탈질이 진행되는 무산소역할을 하게 되고, 유입이 중단되어 회분식으로 운전되는 다른 반응조에서는 질산염 농도가 낮은 완전혐기조건이 형성됨에 의해 인 방출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침지형 분리막을 사용하여 생물반응조내 고농도 미생물을 보유하고, 잉여슬러지를 가용화 하여 수처리공정의 탄소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양을 대폭 절감함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이하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운전 방식은 기본적으로는 무산소 조건과 혐기조건을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하게 반복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 유입흐름제어장치(2)는 유입되는 하폐수(1)를 반응조A(3) 및 반응조B(4)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함으로써 두 반응조에 무산소(anoxic), 혐기조건(anarobic)을 교대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반응조A(3)가 원수와 분리막호기조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하여 무산소(anoxic)조건에서 생물학적인 탈질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조B(4)는 외부 유입이 단절된 상태에서 회분식으로 운영되는 단계(S1);와
반응조B(4)가 원수와 분리막호기조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하여 무산소(anoxic)조건에서 생물학적인 탈질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조A(3)는 외부 유입이 단절된 상태에서 회분식으로 운영되는 단계(S2)가 교대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의 유입이 차단되는 반응조는 질산성 질소의 공급이 없는 상태이므로 절대 혐기조건(anaerobic)의 유지가 가능해지고 보다 효율적인 인의 방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S1 단계 또는 S2단계에서 무산소 조건으로 유지되는 반응조를 통과하는 처리수는 후단의 분리막호기조(5)로 유입되며, 호기조건하에서 질산화 및 인섭취가 이루어진 후 침지형 분리막(6)을 통하여 고액분리된 후 최종 정화수(7)로 배출된다.
분리막호기조(5)는 생물학적 호기조건 유지와 막 파울링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에 공기세정을 위한 산기장치를 갖추고 있다.
막분리호기조(5)에 침지된 분리막은 0.4㎛이하의 공칭공경을 갖는 평형 정밀여과막이나 중공사형 한외여과막(UF)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분리막호기조(5)는 MLSS를 4,000 - 12,000 mg/L의 범위로 유지시키고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8시간 미만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상시 공기세정을 통해 막 파울링을 제어하고, 가동/휴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함에도 불구하고 유기오염물질이나 점액질등에 의해 막 폐색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약품세정을 함으로써 분리막의 성능을 회복시킨다. 하수 및 오수를 처리대상수로 할 경우 평형 정밀여과(MF)막의 전형적인 운전방법은 다음 표 1과 같다.
정밀여과막의 운전방법
막 세정시간 3분
막 세정빈도 1회/7분(7분여과, 3분휴지)
막 세정공기량 10L/m2·분
막 투과유속(Flux) 18L/m2·시간
막 약품세정주기 1회/3개월
도 2는 분리막호기조(5)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슬러지가용화조(11)에서 가용화 처리하여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슬러지 가용화는 잉여슬러지의 세포벽을 물리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파괴시켜 슬러지내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용화된 유기물을 수처리공정에 재투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슬러지의 양을 줄이고자 하였다.
통상적으로 슬러지 가용화는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 및 그 내용물을 용출시켜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오존을 이용하는 방법, 미생물 효소를 이용하는 방법,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 강산 또는 강알칼리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 열처리, 수력학적인 전단응력(shear stress)을 이용하는 방법, 마이크로웨이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가용화 방법 중에서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가용화 효율을 고려하면 수산화나트륨과 초음파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벽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방법에 의해 가용화 처리한 후 반송시켰을 때 반응조 내의 SCOD(soluble COD)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처리하지 않은 슬러지에 비해 물리화학적 전처리 방법을 단독 혹은 병행하여 처리하였을 때 SCOD가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수산화나트륨의 알칼리처리와 초음파조사를 동시에 실시한 경우가 타 방법에 비해 현저한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지 가용화 처리에서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는 0.01 mM ∼ 200mM 정도의 범위면 충분하다. 수산화나트륨의 농도가 0.01mM 보다 작으면 충분한 가용화 처리가 어렵고, 200 mM을 넘으면 지나치게 강알칼리가 되어 후속 공정의 미생물에게 큰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가용화처리에서 사용한 초음파는 5kHz ∼150kHz 정도의 영역이면 충분하다. 5kHz보다 낮으면 가용화가 어렵고 150kHz을 넘는 것은 하폐수처리에 적용하기에는 시설비가 비싸게 소요된다.
도 4는 잉여슬러지를 슬러지 가용화조(11)에서 15 mM의 수산화나트륨 농도와 1000W, 35kHz의 초음파 조건에서 10분간 처리한 후, 반응조A(3) 또는 반응조B(4)에 재투입시켜 운전하였을 경우 반응조내 MLSS농도변화를 토대로 공정내 슬러지감량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러지를 가용화하여 수처리공정에 재투입시킨 경우, MLSS가 꾸준히 증가한 대조 반응조에 비하여 반응조내 MLSS농도 증가폭이 현저히 적어 잉여슬러지의 발생량이 60%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슬러지 감량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은 유입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의 유로를 변경하여 절대 혐기 조건을 유도할 수 있어, 인방출을 극대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질소 및 인의 동시 제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침지형 분리막을 사용한 고액 분리로 생물 반응조내의 MLSS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수리학적 체류시간 8시간 미만에서 청정한 처리수를 생산할 수 있었다. 또한 고농축의 슬러지를 가용화 처리하여 탄소원으로 재투입하는 방법으로 전체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양을 대조 반응조에 비하여 6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입흐름을 제어하는 하폐수 처리 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슬러지가용화조를 부가하여 슬러지 감량 효과가 있도록 한 공정의 흐름도
도 3은 잉여슬러지의 다양한 가용화 처리방법별 효과를 SCOD를 기준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잉여슬러지를 NaOH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용화 처리하였을 때 본 발명의 슬러지 감량 효과를 대조 반응조와 비교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유입되는 하폐수 2 : 유입흐름제어장치 3 : 반응조A
4 : 반응조B 5 : 막분리 호기조 6 : 침지형 분리막
7 : 최종 정화수 8 : 고농도 슬러지 9 : 잉여슬러지 배출
10 : 슬러지 반송 경로 11 : 슬러지 가용화조
12 : 가용화된 슬러지 반송 경로

Claims (6)

  1. 무산소조건과 혐기조건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서 질소와 인을 동시 제거하는 하폐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유입흐름제어장치(2), 반응조A(3), 반응조B(4), 막분리호기조(5)로 구성되며,
    반응조A(3)가 원수와 분리막호기조(5)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하여 무산소(anoxic)조건에서 생물학적인 탈질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조B(4)는 외부 유입이 단절된 상태에서 회분식으로 운영되는 단계(S1)와 반응조B(4)가 원수와 분리막호기조(5)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하여 무산소(anoxic)조건에서 생물학적인 탈질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조A(3)는 외부 유입이 단절된 상태에서 회분식으로 운영되는 단계(S2)가 교대로 운영되며,
    상기 막분리호기조(5)에는 침지형분리막(6)이 설치되어 슬러지를 고농축시킴과 동시에 처리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고농축된 슬러지는 유입흐름제어장치(2)를 통하여 무산소 조건의 반응조로 내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2. 무산소조건과 혐기조건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서 질소와 인을 동시 제거하는 하폐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유입흐름제어장치(2), 반응조A(3), 반응조B(4), 막분리호기조(5), 슬러지가용화조(11)로 구성되며,
    반응조A(3)가 원수와 분리막호기조(5)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하여 무산소(anoxic)조건에서 생물학적인 탈질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조B(4)는 외부 유입이 단절된 상태에서 회분식으로 운영되는 단계(S1)와 반응조B(4)가 원수와 분리막호기조(5)에서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하여 무산소(anoxic)조건에서 생물학적인 탈질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조A(3)는 외부 유입이 단절된 상태에서 회분식으로 운영되는 단계(S2)가 교대로 운영되며,
    상기 막분리호기조(5)에는 침지형분리막(6)이 설치되어 질산화가 이루어지고 고액분리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고농도 슬러지는 유입흐름제어장치(2)를 통하여 내부 순환되며,
    상기 고농도 슬러지의 다른 일부는 슬러지가용화조(11)에서 가용화된 후 유입흐름제어장치(2)를 통하여 무산소 조건의 반응조로 유입되어 탄소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침지형 분리막은 침지식 흡입여과 방식의 외압식 평막 혹은 중공사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슬러지가용화조(11)는 초음파, 오존, 효소, 미생물, 강산, 강알칼리, 열처리, 수력학적인 전단응력(shear stress), 마이크로웨이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초음파는 20kHz ∼ 100kHz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강알칼리는 수산화나트륨의 농도가 1 mM ∼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처리 방법.
KR1020040021828A 2004-03-30 2004-03-30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하폐수처리공법 KR100555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828A KR100555689B1 (ko) 2004-03-30 2004-03-30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하폐수처리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828A KR100555689B1 (ko) 2004-03-30 2004-03-30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하폐수처리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098A true KR20050097098A (ko) 2005-10-07
KR100555689B1 KR100555689B1 (ko) 2006-03-03

Family

ID=3727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828A KR100555689B1 (ko) 2004-03-30 2004-03-30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하폐수처리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6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0639A1 (zh) * 2009-10-30 2011-05-05 华南理工大学 双泥生物膜反硝化同时脱氮除磷反应设备
WO2015070512A1 (zh) * 2013-11-15 2015-05-21 玉溪师范学院 一种两系列厌氧缺氧更替运行的d-a2/o污水处理反应器
KR20160123274A (ko) * 2016-10-18 2016-10-2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바이오가스 생성을 위한 혐기성 소화시스템
CN109052623A (zh) * 2018-07-31 2018-12-21 济南大学 一种固相反硝化耦合膜生物反应器一体化高氨氮废水处理装置及方法
CN109665671A (zh) * 2019-01-22 2019-04-23 河南弘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污水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55B1 (ko) 2007-03-16 2007-06-19 금호산업주식회사 혐기-무산소 변형조를 이용한 막분리 활성슬러지 장치 및방법
KR100875733B1 (ko) 2008-06-04 2008-12-26 금호산업주식회사 Mbr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과 하수재이용에 대한 장치 및 방법
KR101269261B1 (ko) 2012-12-28 2013-05-29 주식회사 한화건설 화학응집 결합형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0639A1 (zh) * 2009-10-30 2011-05-05 华南理工大学 双泥生物膜反硝化同时脱氮除磷反应设备
WO2015070512A1 (zh) * 2013-11-15 2015-05-21 玉溪师范学院 一种两系列厌氧缺氧更替运行的d-a2/o污水处理反应器
KR20160123274A (ko) * 2016-10-18 2016-10-2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바이오가스 생성을 위한 혐기성 소화시스템
CN109052623A (zh) * 2018-07-31 2018-12-21 济南大学 一种固相反硝化耦合膜生物反应器一体化高氨氮废水处理装置及方法
CN109665671A (zh) * 2019-01-22 2019-04-23 河南弘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污水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689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7836B1 (en) Anaerobic ammonia oxidation-based sewage treatment process using mbr
EP2603464B1 (en)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with anaerobic digestion
KR100412330B1 (ko)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ES2366534T3 (es) Proceso de tratamiento biológico de agua que implica un mecanismo de post-desnitrificación y un filtro de membrana.
Xiang et al. Biological nutrient removal in a full scale anoxic/anaerobic/aerobic/pre-anoxic-MBR plant for low C/N ratio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KR20100115412A (ko) 생물반응조, 슬러지분리조, 및 막분리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050063478A (ko)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1721251B1 (ko) 막 결합형 sbr 공법
EP2651833A1 (en) Process, apparatus and membrane bioreactor for wastewater treatment
JP2004261711A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EP1346956A1 (en) Process for sludge treatment using sludge pretreatment and membrane bioreactor
KR100555689B1 (ko) 유입흐름제어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을 이용한하폐수처리공법
KR100327151B1 (ko) 간헐폭기 막활성 슬러지 공정을 사용한 하수처리 방법
KR100479649B1 (ko) 축산 폐수 처리공정 및 장치
KR100853077B1 (ko) 침지형 ptfe 분리막 생물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방법
KR20050053136A (ko)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CN108585378A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处理方法
KR100993265B1 (ko) 순환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542431B1 (ko) 생물막발효조와 혐기-무산소-호기조를 결합한 고농도유기성 폐수처리 시스템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KR19990083645A (ko) 간헐폭기공정과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이용한 유기물 및 질소·인의 제거방법
KR20040020325A (ko) 분리막을 이용한 중수도 처리방법
KR100489328B1 (ko) 격벽형 무산소조와 침지형 막분리조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289075Y1 (ko) 축산 폐수 처리 장치
JP2003340485A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廃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