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700A -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700A
KR20050096700A KR1020040022357A KR20040022357A KR20050096700A KR 20050096700 A KR20050096700 A KR 20050096700A KR 1020040022357 A KR1020040022357 A KR 1020040022357A KR 20040022357 A KR20040022357 A KR 20040022357A KR 20050096700 A KR20050096700 A KR 20050096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eg
vod
internet
server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2316B1 (ko
Inventor
김창원
윤면기
한영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31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2Determining the position of transmitters to be subsequently used in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MPEG-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Transport Stream)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컨텐츠 및 VOD(Video on Demand)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VOD 정보를 MPEG-TS으로 인코딩하여 광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헤드 엔드 서버와, 광네트워크를 통해 헤드 엔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MPEG-TS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 엔드 서버에서 웹데이터 및 VOD 데이터를 MPEG-TS로 변환하여 광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에 전송하고, 셋톱박스에서는 그 수신한 MPEG-TS를 디코딩하여 재생함으로써 셋톱박스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multimedia system usin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Transport Stream}
본 발명은 엠펙 전송 스트림(MPEG-TS: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Transport Stream)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FTTH(Fiber To The Home)환경에서 비디오/오디오를 포함한 모든 가입자 서비스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프로토콜인 MPEG-TS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모든 신규기능은 서버에서만 개발되고, 가입자는 단순히 MPEG-TS를 받아 처리하는 단말만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를 서버가 수행함으로써 셋톱박스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의 대표적인 서비스 형태인 VOD(Video on Demand) 영상 서비스는 가장 각광 받는 서비스 중 하나로, 최초의 VOD 기술 형태는 92년 7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에서 VDT(Video Digital Tone)서비스를 허가해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VOD 영상 서비스는 가입자의 요구에 의한 영상 서비스, 즉 주문형 영상 서비스를 말하며, 이는 비디오 서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가입자단의 셋톱 박스(Set-Top Box)를 이용해 사용자들이 직접 선택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언제든지 볼 수 있다는 의미로, 비디오 프로그램의 수신뿐만 아니라 IOD(Information On Demand), GOD(Game On Demand), NOD (News On Demand), MOD(Music On Demand) 등의 영상 정보통신 서비스도 가능하다.
VOD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산업의 축약형으로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거의 모든 요소들을 집약하고 있으며, 향후 초고속 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될 여러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가장 커다란 시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셋톱박스는 VOD등의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로서, TV를 접속하는 것 뿐 아니라 PC 등의 컴퓨터도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장착하고 있다. TV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신호는 아날로그(전통적 유선 TV) 혹은 디지털일 수 있고 유선으로 받을 수 있으며, 광섬유, 트위스트 페어, 위성, 심지어 다양한 셀 방식의 통신이 될 수 있다. 셋톱 박스는 PC나 가정에 있는 다른 시설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셋톱 박스는 시청자로부터 VOD방식의 홈쇼핑, 인터랙티브 TV, 게임, 다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신호의 원천으로까지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리킨다.
도 1은 종래의 IP 기반에서의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멀티 미디어 시스템은 다양한 인터넷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와,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 서버(2)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컨텐츠와 VOD 서버(2)로부터 제공되는 VOD 정보를 인터넷망(3)을 통하여 전송받는 셋톱박스(4)와, 셋톱박스(4)를 통해 전송받은 컨텐츠와 VOD 정보를 화면으로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콘이나 키보드같은 사용자 입력장치(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서 각 가입자들은 이더넷을 통해 인터넷망에 연결된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각종 인터넷 데이터와 VOD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셋톱박스(4)는 이더넷을 통해 인터넷망(3)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인터넷 데이터와 VO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재생가능하도록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셋톱박스(4)에는 인터넷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블록과, VOD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블록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종래의 인터넷 및 VOD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터넷 데이터와 VOD 서비스는 이더넷(ethernet)망을 통해 각 가입자까지 전송하는 방식임에 따라 전송되는 과정에서 손실 및 지연을 감수해야 하는 전송방식이다. 이런 전송방식은 고화질급 VoD 서비스를 위한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또한, QoS(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되지 않는 IP(Internet Protocol)망을 통해 전송된 미디어 데이터들은 손실이 발생하고 SD급 및 HD급( ∼ 100Mbps)의 고화질 미디어는 전송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전송되는 패킷 처리를 위해 가입자쪽의 단말인 셋톱박스에는 고성능의 프로세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VOD나 전자 상거래, 혹은 화상전화 같은 많은 정보량을 필요로 하는 쌍방향 통신에 있어서 용량 확보를 위해 광통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렇게 각 가정까지 광섬유가 들어가게 되는 것을 FTTH(Fiber To The Home)라 한다.
FTTH는 광케이블을 가정까지 연결한 개념으로 현재 최대 수십Mbps에 불 과한 통신 전송 속도를 최소 1000Mbps에서 최대 수Gbps까지 향상시켜 가정에서 개인용 주문형비디오(VOD)와 홈네트워킹 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FTTH를 이용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1)와 VOD 서버(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손실없이 전송받아 가입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고, 가입자측의 셋톱박스에 요청되는 기능을 축소시킬 수 있는 인터넷 및 VOD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가입자단에서 요청하는 인터넷 데이터와 고화질 실시간 VOD 정보를 모두 MPEG-TS 방식으로 변환하여 QoS가 보장되는 광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MPEG-TS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컨텐츠 및 VOD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VOD 정보를 MPEG-TS으로 인코딩하여 광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헤드 엔드 서버와, 광네트워크를 통해 헤드 엔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MPEG-TS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MPEG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MPEG 표준1-4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standards 1-4)은 비디오나 오디오 압축에 관해 MPEG, 즉 동영상 전문가 그룹에 의해 개발되어 진화되고 있는 일련의 표준들이다.
MPEG-1은 1.5 Mbps 정도의 전송속도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레시브 비디오의 코딩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것은 특별히 비디오 CD나 CD-i 매체용으로 설계되었다. MPEG-1 오디오 계층 3, 즉 MP3는 또한 초기의 MPEG 연구로부터 진화하였다.
MPEG-2는 4 Mbps 이상의 속도에서 동작하는 인터레이스 이미지의 코딩을 위해 설계되었다. MPEG-2는 디지털 TV 방송과 DVD에 사용된다. MPEG-2 플레이어는 MPEG-1 데이터도 처리할 수 있다.
HDTV용으로 고안된 MPEG-3 표준안은 MPEG-2 표준이 HDTV의 요건을 명백히 만족시키게 되자 MPEG-2 표준에 통합되었다. MPEG-4 표준은 개발 및 발표의 최종 단계에 와있다. 이것은 보다 야심만만한 표준으로서 음성 및 비디오 합성, 프랙탈 기하, 컴퓨터 시각, 이미지의 재현을 위한 인공지능 접근방법 등을 다룬다. MPEG-7은 현재 토의가 진행중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PEG-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Transport Stream)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EG-TS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PEG-TS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은 각종 인터넷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 서버(200)와, 인터넷망(300)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컨텐츠를 MPEG-TS로 변환하고, VOD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MPEG-TS의 VOD 정보를 전송받아 임의의 채널을 선택하는 헤드 엔드 서버(400)와, 광통신 시스템(500)을 통하여 헤드 엔드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MPEG-TS을 전송받는 셋톱박스(600)와, 셋톱박스(600)를 통해 전송받은 MPEG-TS 형태의 컨텐츠와 VOD 정보를 화면으로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콘이나 키보드같은 사용자 입력장치(800)로 구성된다.
헤드 엔드 서버(400)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 IP 패킷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각종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헤드 엔드 서버(400)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 전송받은 인터넷 컨텐츠를 MPEC-TS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헤드 엔드 서버(400)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웹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웹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고 있게 된다. 여기에서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웹정보들을 MPEG-TS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헤드 엔드 서버(400)에서 생성되는 웹정보들을 웹화면단위로 해당 웹화면을 스캐닝하여 그 스캐닝된 웹화면 정보를 MPEG 인코딩을 통하여 MPEG-TS로 변환하여 셋톱 박스(600)에 전송한다.
또한, 헤드 엔드 서버(400)는 VOD 서버(200)로부터 IP 패킷에 실려오는 MPEG-TS의 VOD 정보들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여 광통신 시스템을 통해 셋톱 박스(600)에 전송해준다.
셋톱박스(600)는 헤드 엔드 서버(400)로부터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컨텐츠와 VOD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VOD 정보를 각각 MPEG-TS 형태로 전송받게 된다.
셋톱 박스(600)는 광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헤드엔드 서버(400)로부터 MPEG-TS 형태로 전송된 인터넷 컨텐츠 및 VOD 정보를 디코딩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700)에 출력한다.
셋톱 박스(600)는 광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헤드 엔드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가 MPEG-TS 형태이므로, MPEG-TS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블럭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셋톱 박스(6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입자가 임의의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을 조작하여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에 표시된 메뉴에서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여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셋톱박스(600)는 해당 웹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헤드엔스 서버(400)에 해당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의 통신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셋톱 박스(600)는 헤드엔드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헤드 엔드 서버(400)는 웹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웹화면 정보를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하나의 헤드 엔드 서버(400)에는 다수의 셋톱 박스(60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엔드 서버(400)는 각 셋톱 박스(600)로부터 해당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의 통신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 접속하기 위한 웹화면을 구동하게 된다. 하나의 웹화면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그 웹화면의 웹브라우징을 담당하는 하나의 태스크가 생성되어 구동된다.
웹화면의 웹브라우징을 담당하는 하나의 태스크가 생성되면 그 웹화면을 MPEG-TS로 변환하기 위한 MPEG-TS 인코딩을 수행하는 태스크가 생성되어 구동된다.
각 가입자로부터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에 대한 웹정보 요청이 있을 때마다, 그 요청된 웹화면별로 웹브라우징을 담당하는 태스크와 MPEG-TS의 인코딩을 수행하는 태스크가 구동된다.
헤드 엔드 서버(400)와 특정한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그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웹정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웹브라우징 태스크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웹정보로부터 웹화면 정보를 획득하여 웹화면을 생성한다. 한편, MPEG-TS 인코딩 태스크는 해당 웹브라우징 태스크에 의해 처리된 웹화면을 스캔하여 MPEG-TS로 인코딩하여 셋톱박스(600)에 전송한다. 셋톱박스(600)는 헤드 엔드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MPEG-TS를 디코딩한 후 재생장치(700)에 출력한다.
한편, 가입자가 VOD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에 표시된 메뉴에서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여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셋톱박스(600)는 해당 VOD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헤드 엔스 서버(400)에 해당 VOD 서버(200)와의 통신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셋톱 박스(600)는 헤드엔드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헤드 엔드 서버(400)는 VOD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VOD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MPEG-TS의 VOD 정보중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VOD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셋톱박스(600)에 전송한다. 셋톱박스(600)는 헤드 엔드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MPEG-TS를 디코딩한 후 재생장치에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EG-TS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 엔드 서버(400)는 인터넷망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인페이스부(410)와,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인터넷망(300)에 접속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인터넷 컨텐츠를 MPEG-TS로 변환처리하여 전송하는 웹 처리부(420)와,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인터넷망(300)에 접속하여 VOD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VOD 정보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VOD 정보를 선택하여 MPEG-TS로 전송하는 VOD 처리부(430)와,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웹 처리부(420) 및 VOD 처리부(4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부(440)와, 광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광전송 처리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웹처리부(420)는 웹브라우징부(421)와 MPEG-TS 인코더(422)로 구성된다.
웹브라우징부(421)는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웹화면 정보에 따라 웹화면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그 웹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PEG-TS 인코더(422)는 웹브라우징부(421)에 의해 처리된 웹화면을 스캔하여 MPEG-TS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광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셋톱박스(600)에 전송한다.
웹브라우징부(421)와 MPEG-TS 인코딩부(422)는 헤드 엔드 서버(400)가 다수의 셋톱박스(600)의 요청에 따른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각각 다수개의 웹브라우저와 MPEG-TS 인코더를 구동할 수 있다.
VOD 처리부(430)는 VOD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IP 패킷으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VOD 정보를 포함하는 IP 패킷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IP 패킷으로부터 인터넷 데이터와 VOD 정보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VOD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각 채널별로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해당 채널을 선택할 수 도 있다.
사용자 명령 처리부(440)는 셋톱박스(600)로부터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신호 또는 리모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여 웹처리부(420)의 웹브라우징부(421) 및 MPEG-TS 인코딩부(4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사용자 명령 처리부(440)는 셋톱박스(600)로부터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신호 또는 리모콘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여 VOD 처리부(420)에 전송하여, VOD 처리부(420)에서 그 명령에 따라 채널선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송 처리부(440)는 광네트워크(500)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처리부로서 광전송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셋톱박스(6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10)와, MPEG 디코더(620)와, 음성/영상 처리부(630)와, 메인 프로세서(64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10)는 광통신 네트워크(500)에 연결되어 광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헤드 엔드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MPEG-TS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PEG 디코더(6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10)를 통해 수신된 MPEG-TS의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MPEG 압축을 해제하여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영상 처리부(630)는 MPEG 디코더(620)에 의해 MPEG 압축해제되어 생성된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장치(70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증폭 및 변조를 수행하여 재생 장치(700)에 출력한다.
메인 프로세서(640)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헤드 엔드 서버(400)에 웹서비스 또는 VOD 정보를 요청한다.
메모리(650)는 메인 프로세서(64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메인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이 임시로 저장하며, VOD 정보의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정보들이 저장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60)는 리모콘 또는 키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유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리모콘을 사용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키보드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셋톱박스(600)로부터 처리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디지털 TV등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가입자가 임의의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을 조작하여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에 표시된 메뉴에서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여 셋톱박스(600)에 요청한다.
셋톱박스(6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50)는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으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선택 정보등을 메인 프로세서(640)에 전송한다. 메인 프로세서(64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웹서비스의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의 주소 정보를 읽어서 광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헤드 엔드 서버(400)에 해당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와의 통신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셋톱 박스(600)의 메인 프로세서(640)는 헤드엔드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헤드 엔드 서버(400)의 사용자 명령 처리부(440)는 셋톱박스(600)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의 주소 정보를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410)에 전달해준다.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전달받은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해당 인터넷 컨텐츠 서버(100)에 접속한다.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410)에 의해 웹브라우저가 구동되어 하나의 웹화면이 생성되면, MPEG-TS 인코딩부(422)는 그 형성된 웹화면을 스캐닝하여 MPEG-TS로 변환하여 셋톱박스(60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세톱박스(600)의 MPEG-TS 디코더(620)는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610)를 통해 수신된 헤드 엔드 서버(400)의 MPEG-TS의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MPEG 압축을 해제하여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MPEG 디코더(620)에 의해 MPEG 압축해제되어 생성된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는 음성/영상 처리부(630)에 의해 재생장치(70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증폭 및 변조가 수행되어 재생 장치(700)로 출력된다.
한편, 가입자가 임의의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에 표시된 메뉴에서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여 셋톱박스(600)에 요청한다. 셋톱박스(6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50)는 키보드 또는 리모콘(800)으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선택 정보등을 메인 프로세서(640)에 전송한다. 메인 프로세서(64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VOD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VOD 서버(200)의 주소 정보를 읽어서 광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헤드 엔드 서버(400)에 해당 VOD 서버(200)와의 통신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셋톱 박스(600)의 메인 프로세서(640)는 헤드엔드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헤드 엔드 서버(400)의 사용자 명령 처리부(440)는 셋톱박스(600)로부터 전송된 VOD 서버(200)의 주소 정보를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410)에 전달해준다.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전달받은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해당 VOD 서버(200)에 접속한다. VOD 서버(200)로부터 VOD 정보를 포함하는 IP 패킷이 VOD 처리부(430)에 수신되면, VOD 처리부(430)는 VOD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IP 패킷으로부터 각 채널별로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VOD 정보를 포함하는 IP 패킷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IP 패킷으로부터 인터넷 데이터와 VOD 정보를 분리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VOD 정보를 해당 셋톱 박스(6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세톱박스(600)의 MPEG-TS 디코더(6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10)를 통해 수신된 헤드 엔드 서버(400)의 MPEG-TS의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MPEG 압축을 해제하여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MPEG 디코더(620)에 의해 MPEG 압축해제되어 생성된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는 음성/영상 처리부(630)에 의해 재생장치(70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증폭 및 변조가 수행되어 재생 장치(700)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인터넷 컨텐츠 및 VOD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헤드 엔드 서버에서 웹데이터 및 VOD 데이터를 MPEG-TS로 변환하여 광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에 전송하고, 셋톱박스에서는 그 수신한 MPEG-TS를 디코딩하여 재생함으로써,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는 헤드 엔드 서버에서 수행하게 하고 셋톱박스에서는 헤드 엔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MPEG-TS을 디코딩하여 재생하게 함으로써 셋톱박스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IP 기반에서의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EG-TS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EG-TS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넷 컨텐츠 서버 200 : VOD 서버
300 : 인터넷망 400 : 헤드 엔드 서버
410 : 인터넷 통신 처리부 420 : 웹처리부
421 : 웹브라우징부 422 : MPEG-TS 인코딩부
430 : VOD 처리부 440 : 사용자 명령 처리부
450 : 광전송 처리부 500 : 광네트워크
600 : 셋톱박스 6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620 : MPEG 디코더 630 : 음성/영상 처리부
640 : 메인 프로세서 6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700 : 멀티미어 재생장치 800 : 키보드 또는 리모콘

Claims (9)

  1. 인터넷망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컨텐츠를 수신하여 웹화면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웹화면을 MPEG-TS로 인코딩하여 광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헤드 엔드 서버와,
    상기 광네트워크를 통해 헤드 엔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MPEG-TS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엔드 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VOD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MPEG-TS의 VOD 정보중에서 임의의 채널에 상응하는 VOD 정보를 선택하여 MPEG-TS으로 광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엔드 서버는,
    인터넷망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인페이스부와,
    상기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인터넷 컨텐츠를 MPEG-TS로 변환처리하는 웹 처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웹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부와,
    상기 광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웹처리부에 의해 변환된 MPEG-TS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광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VOD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VOD 정보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VOD 정보를 선택하여 MPEG-TS로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VOD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엔드 서버는 다수의 셋톱박스가 상기 광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광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광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헤드 엔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MPEG-TS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MPEG-TS의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MPEG 압축을 해제하여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MPEG 디코더와,
    상기 MPEG 디코더에 의해 MPEG 압축해제되어 생성된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증폭 및 변조를 수행하는 음성/영상 처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헤드 엔드 서버에 웹서비스 또는 VOD 정보를 요청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이 임시로 저장하며, 상기 VOD 정보의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정보들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리모콘 또는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유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MPEG-T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8. 인터넷망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인페이스부와,
    상기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컨텐츠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인터넷 컨텐츠를 MPEG-TS로 변환처리하는 웹 처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웹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부와,
    광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웹처리부에 의해 변환된 MPEG-TS를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광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MPEG-TS를 이용한 헤드 엔드 서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VOD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VOD 정보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VOD 정보를 선택하여 MPEG-TS로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VOD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MPEG-TS를 이용한 헤드 엔드 서버.
KR1020040022357A 2004-03-31 2004-03-31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061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57A KR100612316B1 (ko) 2004-03-31 2004-03-31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57A KR100612316B1 (ko) 2004-03-31 2004-03-31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700A true KR20050096700A (ko) 2005-10-06
KR100612316B1 KR100612316B1 (ko) 2006-08-16

Family

ID=3727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357A KR100612316B1 (ko) 2004-03-31 2004-03-31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3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35B1 (ko) * 2006-09-28 2007-11-15 주식회사 셀런 H.264 코덱을 이용한 셋톱박스와 원격지 서버 시스템상호간의 원격접속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885298B1 (ko) * 2006-12-01 2009-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ts의 멀티캐스트를 위한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7930726B2 (en) 2006-12-01 2011-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PTV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multicast of MPEG-TS
KR101292143B1 (ko) * 2006-04-12 2013-08-09 톰슨 라이센싱 가상 주문형 dvd와 전자 dvd 대여/구매/굽기
US9076483B2 (en) 2005-10-11 2015-07-07 Thomson Licensing Llc DVD replications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070B1 (ko) * 2006-11-10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지털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663020B1 (ko) 2016-04-17 2016-10-06 박평수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6483B2 (en) 2005-10-11 2015-07-07 Thomson Licensing Llc DVD replications system and method
KR101292143B1 (ko) * 2006-04-12 2013-08-09 톰슨 라이센싱 가상 주문형 dvd와 전자 dvd 대여/구매/굽기
KR100776635B1 (ko) * 2006-09-28 2007-11-15 주식회사 셀런 H.264 코덱을 이용한 셋톱박스와 원격지 서버 시스템상호간의 원격접속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885298B1 (ko) * 2006-12-01 2009-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ts의 멀티캐스트를 위한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7930726B2 (en) 2006-12-01 2011-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PTV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multicast of MPEG-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2316B1 (ko)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291B2 (en) Authoring system for IPTV network
US7558760B2 (en) Real-time key frame generation
WO2014057896A1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160968B (zh) 一种网络电视业务接收系统及方法
WO2009128515A1 (ja) ゲートウエイ装置と方法とプログラム
EP143966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use in the apparatus
US20100223407A1 (en) Media source device with digital format convers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2022503419A (ja) リアルタイム適応ビットレート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およびトランスコードされたメディアの伝送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515114A (ja) ビデオ・オン・デマンドのストリーミング配信の機能強化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130135179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12752115B (zh) 直播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06050604A (ja) Avデータ受信時のバッファ量をコンテンツ属性によって弾力的に調節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802357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and system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by using the method
KR20130038192A (ko) 컨텐츠 출력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코덱 정보 공유 방법
CN106464933B (zh) 用于远程控制对多媒体内容的渲染的设备和方法
KR2018010502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12316B1 (ko) 엠펙 전송 스트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CN1595975A (zh) 基于mpeg-1的数字电视广播系统
JP2011511554A (ja) ビデオデータをストリーミングするための方法
KR101678388B1 (ko) 레이턴시를 고려한 영상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장치 및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KR20110070481A (ko) 인터넷 텔레비전을 이용한 영상 고속 재생방법 및 그 장치
CN202143176U (zh) 一种可实现实时播放的网络电视系统
KR101933034B1 (ko) 방송 수신 장치
US20100031302A1 (en) Stream distribution system, stream receiving device, and stream reproduction method
JP2004501557A (ja) 汎用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