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313A -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313A
KR20050096313A KR1020040021461A KR20040021461A KR20050096313A KR 20050096313 A KR20050096313 A KR 20050096313A KR 1020040021461 A KR1020040021461 A KR 1020040021461A KR 20040021461 A KR20040021461 A KR 20040021461A KR 20050096313 A KR20050096313 A KR 2005009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lder
hinge membe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6313A/ko
Publication of KR2005009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69Cases and fixed parts with a special shap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065Dials with several par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08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graduations
    • G04B19/087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graduations with several separate scal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66Cases for wall clocks and balan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76Decoration of the case and of parts thereof, e.g. as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힌지부를 별도 마련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케하고, 그에따라 폴더부와 본체부간의 구분이 없고, 각 부품의 배치가 용이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각종 키패드를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와 결합되면서 화상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힌지부재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로서, 상기 힌지부재는 본체부와 폴더부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내에 각각 분할되어 설치되면서 양측면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가 삽입되도록 본체부 및 폴더부의 삽입홈안의 측면으로 각각 끼움홈을 형성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폴더부를 자유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안에 내장되는 부품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힌지부재가 별도로 마련되어 구비되므로써, 종래보다 조립이 간편하며, 본체부 또는 폴더부를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ible Freely Rotation}
본 발명은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부를 별도 마련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케하고, 그에따라 폴더부와 본체부간의 구분이 없고, 각 부품의 배치가 용이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전화기, 휴대폰(또는 핸드폰), PDA 등과 같은 무선휴대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는바, 예를들어 휴대폰인 경우, 구조에 따라서, 플립형, 폴더형, 바아형등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타입중 하나인 폴더형을 예를들어 설명하면, 폴더형 단말기는 각종 기능버튼을 구비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표시부(LCD부)를 가지는 폴더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는 양측으로 힌지축이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되므로써, 폴더부를 회전시켜 개방하도록 된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폴더형 단말기인 경우, 본체부와 연결된 폴더부의 회전각도가 제한적으로 되어 있는바, 대개 180도 이내의 범위내에서 개방되도록 된 구조이다.
근래에는 회전가능한 폴더부를 가지는 단말기가 등장하였고, 기능이 다기능화되면서 카메라폰이 일반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회전식 폴더형 단말기인 경우,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쪽방향으로만 제한된 각도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된 구조로서, 회전각도가 제한되므로써 카메라 등의 부품의 설치시 많은 제약을 받게된다.
또한, 단말기의 작동시, 예를들어 대상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만 폴더부가 회전가능하므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기준으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 전체를 이리저리 움직이거나 또는 본인 스스로 이동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폴더부의 회전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져 내장되는 부품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배치가능하고, 힌지부가 별도로 구비되므로써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며, 촬영동작시에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키패드를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와 결합되면서 화상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힌지부재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로서, 상기 힌지부재는 본체부와 폴더부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내에 각각 분할되어 설치되면서 양측면에 각각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삽입되도록 본체부 및 폴더부의 삽입홈안의 측면으로 각각 끼움홈을 형성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재중 상부의 힌지부재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부의 힌지부재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각 힌지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중심으로 폴더부 및 본체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단말기를 이루는 폴더부 또는 본체부를 상기 2개의 분할된 힌지부재를 통해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B-B선에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의 폴더부를 180도로 펼친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폴더부(10)가 갖추어지고, 하부에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20)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폴더부(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면에는 메인표시부(11)가 형성되고, 바깥쪽면에는 서브표시부(12)가 갖추어져 있다. 이 표시부(11)(12)는 LCD로 이루어져 각종 문자 및 동영상 등 여러 가지 화면을 구현한다.
한편, 본체부(20)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개의 키패드(21)가 구비되어 있고, 배면에는 착탈가능한 배터리(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사진촬영을 할 수 있는 카메라부(22)가 본체부(20)의 일측면에 갖추어진다.
본 발명은 폴더부(10)와 본체부(20)의 중앙에 삽입홈(14)(24)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4)(24)안에는 각각 힌지부재(50)(52)가 삽입,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50)(52)는 양측으로 각각 돌기(50a)(52a)가 형성되고, 이 돌기(50a)(52a)의 단부에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50b)(5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50a)(52a)는 폴더부(10) 및 본체부(20)의 각 삽입홈(14)(24)의 안쪽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4a)(24a)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50)(52)는 서로간에 결합되어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힌지부재(50)의 하단에는 결합홈(50c)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힌지부재(52)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홈(50c)에 끼워지는 결합돌기(5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10)를 회전시켜서 개방한 상태로 할 수 있고, 더욱 회전시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완전히 젖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폴더부(10)를 개방하기위해 폴더부(10)를 회전시키면, 폴더부(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힌지부재(50)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50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폴더부(10)가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폴더부(10)를 회전시키면,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힌지부재(52)의 돌기(52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5와 같이 본체부(20)의 배면쪽으로 위치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10)를 측면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바, 이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힌지부재(50)가,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힌지부재(52)와 결합돌기(52c)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폴더부(10)를 측면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의 힌지부재(50)만 결합돌기(52c)를 축으로 하여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예를들어 또 다른 본체부(6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60)의 연결시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부재(50)(5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힌지부재(70)(72)가 구비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체부(60)는 물론 배터리(8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70)(72)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설명한 힌지부재(50)(5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부를 자유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안에 내장되는 부품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힌지부재가 별도로 마련되어 구비되므로써, 종래보다 조립이 간편하며, 본체부 또는 폴더부를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단말기의 폴더부를 180도로 펼친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말기의 폴더부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단말기의 폴더부를 완전히 회전시켜 본체부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폴더부
14,24 : 삽입홈
14a,24a : 끼움홈
20,60 : 본체부
30,80 : 배터리
50,52,70,72 : 힌지부재
50a,52a : 돌기
50b,52b : 걸림턱
50c : 결합홈
52c : 결합돌기

Claims (4)

  1. 각종 키패드를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와 결합되면서 화상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힌지부재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로서,
    상기 힌지부재는 본체부와 폴더부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내에 각각 분할되어 설치되면서 양측면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가 삽입되도록 본체부 및 폴더부의 삽입홈안의 측면으로 각각 끼움홈을 형성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중 상부의 힌지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부의 힌지부재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힌지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중심으로 폴더부 및 본체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단말기를 이루는 폴더부 또는 본체부를 상기 2개의 분할된 힌지부재를 통해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21461A 2004-03-30 2004-03-30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96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461A KR20050096313A (ko) 2004-03-30 2004-03-30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461A KR20050096313A (ko) 2004-03-30 2004-03-30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313A true KR20050096313A (ko) 2005-10-06

Family

ID=3727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461A KR20050096313A (ko) 2004-03-30 2004-03-30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63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JP4261544B2 (ja) 本体回転型携帯端末機
KR100800677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US7869834B2 (en) Mobile terminal
KR100792920B1 (ko) 절첩식 휴대 단말
JP5263154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50049232A (ko) 휴대용 단말기
US20070171195A1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ositioning liquid crystal display at center portion thereo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59564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KR100527164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KR20050096313A (ko)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96314A (ko) 회전이 자유로운 이동통신단말기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10185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한 폴더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KR200340063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9127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0663B1 (ko) 슬라이드 폴더 혼합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01523A (ko) 회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75750B1 (ko) 보조 멀티기능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9562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KR20050100154A (ko)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이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087115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JP2005295213A (ja) 折畳み式電子機器
KR20040061718A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