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967A -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967A
KR20050095967A KR1020040021191A KR20040021191A KR20050095967A KR 20050095967 A KR20050095967 A KR 20050095967A KR 1020040021191 A KR1020040021191 A KR 1020040021191A KR 20040021191 A KR20040021191 A KR 20040021191A KR 20050095967 A KR20050095967 A KR 20050095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emote device
detailed
information
detailed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501B1 (ko
Inventor
김규식
김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5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위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로부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받아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출력하여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표시한다. 그리고 원격장비 위치 수정 시, 위치 관리 단말은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가 표시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활성화시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고 수정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를 모바일 서버로 전송하여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또한, 신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초기화시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작성하고 작성된 신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모바일 서버로 전송하여 신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등록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LOCATION MANAGEMENT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EMENT THEREOF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ON UNITY MANAGEMENT}
본 발명은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격장비의 위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망(이동통신망, 개인 휴대 통신망)에 있어 서비스 지역의 확대를 위해 트래픽(Traffic) 밀도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기가 사용된다. 기지국은 트래픽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서비스 영역 내에 분포하는 가입자 수와 무선 통신망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면서 기지국이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수에 따라 최적에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서비스가 불가능한 음영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 대해 기지국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중계기를 설치한다. 중계기는 가입자 밀도가 적거나 전계강도가 부족하여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도달하기 어려운 빌딩의 지하층, 터널, 지하철, 산간지역 등의 부분적인 차폐공간이나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된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기기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동통신 사업자 측에서는 전국 어느 지역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지국 및 중계기를 많이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각 이동통신 사업자측에서는 가입자에게 지속적으로 최적의 통화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지국 및 중계기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보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유지 보수 업무는 아웃소싱을 통해 유지보수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건물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 등의 원격장비의 경우 설치자 이외의 타인이 설치한 원격장비의 위치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긴급하게 유지 보수가 진행되어야 할 원격장비가 있을 경우에는 장비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타인이 설치한 원격장비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도면을 직접 보고 원격장비의 설치 위치를 확인해야 원격장비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면으로 원격장비의 설치 위치를 설계한 경우에는 도면이 완료된 이후에 설치된 원격장비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못하며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수가 늘어남에 따른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어려워 장비 관리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지 보수가 필요한 원격장비들의 효율적인 위치 관리로 인한 운용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여기서 기지국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와 무선 연결됨―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를 관리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은, 상기 모바일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부;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권한을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무선통신 모듈부를 통해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여기서 세부 위치 정보는 원격장비의 아이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및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제공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원격장비 검색, 상기 검색된 원격장비의 위치 조회 및 수정, 신규 원격장비의 위치 등록을 상기 모바일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모바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위치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를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에 표시하는 텍스트 생성부; 및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표시하는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신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시, 상기 텍스트 생성부 또는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각각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초기화시켜 상기 초기화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장비 위치 수정 시, 상기 텍스트 생성부 또는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각각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가 표시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가 표시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요청부는, 상기 원격장비 검색, 상기 검색된 원격장비 위치 조회 및 수정, 신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중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구성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메시지 구성부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작성된 정보를 자동으로 직선화하고 단순화하여 이미지로 표현하는 단순화부; 및 상기 단순화부에 의해 표현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유지보수가 필요한 원격장비의 위치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단말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원격장비에 대한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위치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부; 상기 무선통신 모듈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요청―여기서 세부 위치 요청은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수신하여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상세 위치 정보―여기서 상세 위치 정보는 원격장비의 아이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및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상기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위치 통합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위치 통합 관리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아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분석된 정보가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 조회에 따른 정보인 경우, 상기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및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분석된 정보가 상기 원격장비 위치 정보 수정 또는 신규한 원격장비 위치 등록에 따른 정보인 경우, 상기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장비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상기 원격장비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위치 관리부; 및 상기 검색부 또는 상기 위치 관리부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여기서 기지국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와 무선 연결됨―과 무선 연결된 단말이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원격장비 세부 위치에 대한 요청―여기서 요청은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서버로 상기 해당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서버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에 따른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장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c)단계는, c-1)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생성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각각 원격장비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장비 위치 수정 시, d) 상기 c-2)단계로부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가 표시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가 표시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e) 상기 활성화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정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서버로부터 상기 수정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신규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시, g) 상기 c-1)단계로부터 생성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초기화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작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작성된 원격장비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서버가 신규 원격장비에 대한 세부 위치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e)단계 또는 h)단계에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거나 신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작성한 경우, 상기 수정 또는 신규 작성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e)단계 또는 h)단계에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사용자가 직접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거나 신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작성한 경우, 상기 수정 또는 신규 작성된 정보를 자동으로 직선화 및 단순화시켜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유지보수가 필요한 원격장비의 위치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단말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원격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위치 통합 관리 방법은, a) 상기 단말로부터 원격장비 세부 위치에 대한 요청―여기서 요청은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에 대한 요청 중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원격장비에 대한 세부 위치 텍스트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색된 해당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여기서 기지국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와 무선 연결됨―과 무선 연결된 단말이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원격장비인 중계기의 위치를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중계기에 한정되지 않고 항온항습기, LPG 가스, 계량기, 소화전, 네트워크 장비, 서버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장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통합 관리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지국(110)이나 중계기(170)와 같은 원격장비 및 모바일 서버(3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110), 기지국 제어기(120), 교환기(130)를 포함한다.
기지국(210)은 단말(150, 180)과 무선으로 접속되어 무선 신호의 송수신, 채널 변조 및 복조, 전력 제어, 프로토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110)은 단말(150, 180) 사이에서 무선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파환경 및 무선출력의 제한으로 인하여 수용할수 있는 셀반경이 제한을 받게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구간과 유선구간을 접속해주는 기지국 제어기(120)가 요구된다.
기지국 제어기(120)는 기지국(110)과 교환기(13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간의 연결을 관장하고 기지국(110)을 관리한다. 기지국 제어기(120)는 기지국(11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기지국(110)과 교환기(130)간의 정보 전송을 제어한다.
교환기(130)는 기지국 제어기(120)와 접속되어 단말(150, 180)과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이동 호 처리에 필요한 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서비스 지역(140) 내에 위치하는 단말(15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그러나 음영지역(160)에 위치한 단말(180)은 기지국(110)에 의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한다. 이런 경우 가입자에게 지속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계기(170)를 설치한다.
즉, 기지국(110)은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에 대해 직접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중계기(170)는 기지국의 음영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 대해 기지국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버(300)는 기지국(110)과 무선 연결되어 복수의 기지국(110)이나 중계기(170) 등의 원격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그리고 복수의 기지국(110)이나 중계기(170)는 위치 관리 단말(200)과 무선 연결되어 사용자(1)는 위치 관리 단말(200)을 이용하여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기지국(110)이나 중계기(170) 등의 원격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원격장비의 위치를 조회하고 등록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관리 단말(200)은 인증부(210), 위치 제어부(220), 무선통신 모듈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정보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인증부(210)는 사용자 인증부(212) 및 사용권한 인증부(214)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212)는 위치 관리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1)를 인증하여 인터넷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사용권한 인증부(214)는 위치 관리 단말(200)의 인증된 사용자(1)에 대한 원격장비 위치 조회, 수정 또는 등록에 따른 사용권한을 인증한다. 사용권한 인증에 따라 사용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위치 제어부(220)는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중계기(170)의 세부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중계기(170)의 세부 위치를 조회하고 신규 중계기(170)에 대한 세부 위치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중계기(170)의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또는 JPEG 형태의 이미지인 평면도로도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조회할 수 있으며, 사용자(1)가 건물 내 중계기의 세부 위치 정보를 평면도로 입력하여 모바일 서버(300)에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를 등록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서버(300)는 중계기(170)의 세부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파일로 관리하기 때문에 위치 관리 단말(200)은 모든 정보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여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위치 제어부(220)는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중계기(170)의 세부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중계기(170)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부(230)는 모바일 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해 인터넷 접속 기능을 수행하여 모바일 서버(300)와 중계기(170)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모바일 서버(300)와 송수신되는 중계기 위치 정보들을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정보 저장부(250)는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제공받는 중계기(170)의 세부 위치 정보를 텍스트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로 저장하면 평면도와 같은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보다 메모리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고로 하여 위치 제어부(220)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원격단말 위치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제어부(220)는 요청부(222), 분석부(227) 및 위치정보 생성부(228)를 포함한다.
요청부(222)는 중계기 조회,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 및 수정,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등록 등을 모바일 서버(300)로 요청한다. 이를 위해 요청부(222)는 입력부(224) 및 메시지 구성부(226)를 포함한다.
입력부(224)는 장비선택부(224-1), 위치조회 선택부(224-2), 위치수정 선택부(224-5) 및 위치등록 선택부(224-6)를 포함한다.
장비선택부(224-1)는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는 중계기를 선택한다. 이 때, 중계기명이나 중계기명에 따른 바코드 등의 중계기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위치 관리 단말(200)에서 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 정보를 확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위치조회 선택부(224-2)는 텍스트 선택부(224-3) 및 이미지 선택부(224-4)를 포함하며, 장비선택부(224-1)에 의해 선택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조회를 선택한다.
텍스트 선택부(224-3)는 선택된 중계기에 대한 텍스트 형태의 세부 위치 조회를 선택한다.
이미지 선택부(224-4)는 선택된 중계기에 대한 JPEG와 같은 이미지 형태의 세부 위치 조회를 선택한다.
위치수정 선택부(224-5)는 장비선택부(224-1)에 의해 선택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수정을 선택한다.
위치등록 선택부(224-6)는 텍스트등록 선택부(226-7) 및 이미지등록 선택부(226-8)를 포함하며, 건물 내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등록을 선택한다.
텍스트등록 선택부(226-7)는 건물 내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정보 등록 시 세부 위치 정보를 텍스트로 입력한다. 이미지등록 선택부(226-8)는 건물 내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정보 등록 시 평면도로 입력한다. 이 때,중계기 세부 위치는 건물의 출입구를 기준으로 점으로 표시하고 부가적인 정보는 스트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구성부(226)는 단순화부(226-1), 변환부(226-2) 및 메시지 생성부(226-3)를 포함하며, 입력부(224)에 의해 선택된 결과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한다.
단순화부(226-1)는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수정 또는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등록 시에 평면도에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대충 작성하였을 경우 이를 직선화시키고 단순화시켜 자동으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변환부(226-2)는 평면도에 작성된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들을 텍스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 형태의 파일은 압축 전송, 가공 및 암호화에 용이하며, 이미지에 비해 텍스트가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용량을 차지한다.
메시지 생성부(226-3)는 입력부(224)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때, 입력부(224)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텍스트 형태가 아닌 경우 변환부(226-2)에서 텍스트 형태로 변환되어 메시지 생성부(226-3)로 입력된다.
분석부(227)는 무선통신 모듈부(230)를 통해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위치정보 생성부(228)는 텍스트 생성부(228-1) 및 이미지 생성부(228-2)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를 요청한 경우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텍스트 형태의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 또는 JPEG 형태의 평면도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생성된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중계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텍스트 생성부(228-1)는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를 생성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에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미지 생성부(228-2)는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생성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출력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장비의 위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위치 통합 관리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버의 구성도이다.
먼저,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통합 관리 장치는 기지국(110) 및 모바일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바일 서버(300)는 무선통신 모듈부(310), 위치통합 관리부(320) 및 정보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모듈부(310)는 위치 관리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위치통합 관리부(320)는 메시지 분석부(322), 검색부(324), 메시지 생성부(326) 및 위치 관리부(328)를 포함하며, 중계기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중계기 세부 위치 관련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메시지 분석부(322)는 무선통신 모듈부(31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중계기 세부 위치 관련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분석한다. 즉, 메시지 분석부(322)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이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 또는 신규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해당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위치 관리부(328)로 전달한다. 한편, 메시지 분석부(322)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이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해당 중계기의 정보를 검색부(324)로 전달한다.
검색부(324)는 메시지 분석부(322)로부터 전달된 중계기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에 요청에 의한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검색한다.
메시지 생성부(326)는 검색부(324)로부터 검색된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메시지는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이다.
위치 관리부(328)는 메시지 분석부(322)의 분석 결과에 따른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정된 중계기의 세부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신규 등록된 중계기의 세부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위치 관리부(328)는 중계기의 세부 위치 관련 정보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파일로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세부 위치를 조회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원격장비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1)가 위치 관리 단말(200)에 접속하면 사용자 인증부(212)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된 사용자(1)가 중계기 세부 위치 검색을 선택하면(S100), 무선통신 모듈부(230)는 모바일 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해 무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02). 이 때, 무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무선 인터넷을 연결하고 위치 관리 단말(200)은 중계기 세부 위치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한다(S104).
사용자(1)는 중계기 세부 위치 검색 화면을 확인하고 중계기명 또는 중계기 ID와 같은 중계기의 검색 조건 정보를 입력하여(S106) 메시지 구성부(226)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시지 구성부(226)의 메시지 생성부(226-3)는 입력받은 검색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기 검색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하여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한다(S108-S110). 이 때, 이 메시지는 검색 조건 정보, 사용자 ID 및 위치 관리 단말(200) ID를 포함한다.
모바일 서버(300)는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중계기 검색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분석부(322)는 이 메시지를 분석한다(S112). 그리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검색부(324)는 중계기명 또는 중계기 ID에 해당하는 중계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중계기 리스트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326)로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부(326)는 검색부(324)로부터 전달받은 중계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로 전송한다(S114-S116). 이 메시지는 사용자가 위치 관리 단말(200)을 이용하여 중계기 검색 요청에 따른 결과 메시지로, 중계기 리스트 정보, 위치 관리 단말(200)의 ID 및 사용자 ID를 포함한다.
위치 관리 단말(200)은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중계기 검색 요청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시지 분석부(227)는 수신된 중계기 검색 요청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분석하여(S118) 중계기 리스트를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한다(S120).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중계기 리스트를 확인하고 해당 중계기를 선택한다(S122).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간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원격장비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원격장비 위치 관리 단말의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에 따른 중계기 세부 평면도의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6은 도 5와 같은 단계(S100-S122)를 거쳐 선택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를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1)는 위치를 조회하고자 하는 중계기를 선택하고(S200) 원격장비 위치 관리 단말(200)을 이용하여 선택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조회 기능을 선택한다(S202).
사용자가 선택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조회를 선택하면, 위치 관리 단말(200)의 메시지 생성부(226-1)는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통신 모듈부(230)를 통해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한다(S204-S206). 이 때,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는 중계기 ID와 같은 중계기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서버(300)는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분석부(322)는 이 메시지를 분석한다(S208). 그리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검색부(324)는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중계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검색하고(S210)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326)로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부(326)는 검색부(324)로부터 전달받은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포함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원격장비 위치 관리 단말(200)로 전송한다(S212-S214).
위치 관리 단말(200)은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분석부(227)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S216)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텍스트 생성부(228-1)는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를 생성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를 생성된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에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S218).
한편, 사용자가 이미지 선택부(224-4)를 통해 해당 중계기에 대한 평면도로 중계기 세부 위치를 선택하면(S220), 위치 관리 단말(200)은 이를 인식하고 이미지 생성부(228-2)로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전달한다. 이미지 생성부(228-2)는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생성하여(S222)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출력하고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를 다운로드한다(S224). 그리고 다운로드된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S226).
이러한 과정(S200-S226)을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최종적으로 도 7과 같은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9을 참고로 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간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S200-S218)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텍스트 형태의 중계기 세부 위치가 표시된다(S300).
사용자는 위치 관리 단말(200)을 통해 텍스트 형태의 중계기 세부 위치를 확인하고 중계기 세부 위치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위치수정 선택부(224-6)을 통해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을 선택한다(S302).
사용자(1)가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을 선택하면, 사용권한 인증부(214)는 사용자에 대한 중계기의 수정권한을 인증한다(S304). 이와 같이 중계기 검색 또는 중계기의 세부 위치 조회에서와 달리 중계기의 세부 위치 수정에 대한 사용권한을 별도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사용권한 인증 없이도 접근 가능하다.
사용권한 인증부(214)로부터 사용자의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에 대한 사용권한이 인증되면, 위치 관리 단말(200)은 이를 인식하고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를 텍스트 생성부(228-1)로 전달한다. 텍스트 생성부(228-1)는 중계기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가 표시된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를 활성화시켜(S305) 중계기 세부 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활성화된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를 표시한다(S306).
그러면, 사용자(1)는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에 수정하고자하는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S308). 그리고 텍스트 생성부(228-1)는 수정된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226-1)로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부(226-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 정보를 포함한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통신 모듈부(230)를 통해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한다(S310-S312).
모바일 서버(300)는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분석부(322)는 이 메시지를 분석한다(S314). 그리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메시지 분석부(322)는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 정보를 위치 관리부(328)로 전달한다. 위치 관리부(328)는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 정보를 전달받아 중계기의 세부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S316) 업데이트 결과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326)로 전달한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326)는 업데이트 결과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통신 모듈부(31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로 전송한다(S318-S320). 여기서, 업데이트 결과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는 업데이트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낸다. 이 때, 업데이트가 실패된 경우, 이 메시지에는 실패에 따른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관리 단말(200)은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분석부(227)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S322) 모바일 서버(300)의 업데이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S324).
도 8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텍스트 형태로 조회된 중계기 세부 위치에 대해 텍스트 형태로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 정보를 입력하여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9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후기 단계(S412-S42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후기 단계(S310-S324)와 동일하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평면도로 표시된 중계기 세부 위치를 수정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S200-S218)를 거쳐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중계기 세부 위치가 평면도로 표시된다(S400).
사용자는 위치 관리 단말(200)을 통해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위치수정 선택부(224-6)을 통해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을 선택한다 (S402).
사용자(1)가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을 선택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와 같이 사용자의 중계기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사용권한이 인증되면, 위치 관리 단말(200)은 이를 인식하고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이미지 생성부(228-1)로 전달한다. 이미지 생성부(228-2)는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가 표시된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활성화시켜(S405)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 (240)를 통해 활성화된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S406).
사용자(1)는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에 수정하고자 하는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S408). 이 때, 사용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수정할 수도 있고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직접 작성하여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평면도에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등록 시, 평면도에 신규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작성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도 11을 참고로 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 이용하여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직접 작성한 경우, 단순화부(226-1)는 작성된 정보들을 직선화시키고 단순화시켜 자동으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변환부는 사용자(1)로부터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에 대한 수정이 완료되면, 이미지 를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고(S410) 이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226-1)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에 따른 원격장비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 간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원격장비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규 중계기 위치를 등록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위치등록 선택부(224-5)를 통해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을 선택한다(S500).
사용자(1)가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을 선택하면, 위치 관리 단말(200)은 이를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텍스트 생성부(228-1)로 전달한다. 텍스트 생성부(228-1)는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를 생성하여(S501) 초기화시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S502).
사용자(1)는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에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S504). 그리고 텍스트 생성부(228-1)는 입력된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226-1)로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부(226-1)는 중계기 세부 위치 정보를 포함한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통신 모듈부(230)를 통해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한다(S506-S508).
모바일 서버(300)는 위치 관리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분석부(322)는 이 메시지를 분석한다(S510). 그리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메시지 분석부(322)는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정보를 위치 관리부(328)로 전달한다. 위치 관리부(328)는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정보를 전달받아 중계기의 세부 위치 정보를 등록하여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위치 관리부(328)는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결과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326)로 전달하고 메시지 생성부(326)는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S512) 무선통신 모듈부(31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로 전송한다(S512-S514). 이 때,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른 결과 메시지는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성공 또는 실패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관리 단말(200)은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요청메시지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분석부(227)는 이 메시지를 분석하여(S516) 모바일 서버(300)의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S51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서는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정보를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에 입력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에 따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에 따른 다른 예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의 후기 단계(S610-S6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의 후기 단계(S506-S518)와 동일하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직접 중계기 세부 위치를 작성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1)는 위치등록 선택부(224-5)의 이미지등록 선택부(224-7)를 통해 신규 중계기에 대한 세부 위치 등록을 선택하면(S600), 위치 관리 단말(200)은 이를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이미지 생성부(228-2)로 전달한다. 이미지 생성부(228-2)는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생성하여 초기화시키고(S601)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초기화된 중계기 세부 ?? 표시 평면도를 위치 관리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S602).
사용자(1)는 초기화된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에 중계기의 세부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S604).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입력하는 방법은 아이템을 선택하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이는 그리드 형식의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위치를 지정하여 해당 아이템만 올려두는 형태로, 포인트로 위치가 파악된다. 즉, 점, 선, 아이템으로 해당 항목을 생성하고 이를 직선화시키고 단순화시켜(S606) 아이템간의 상대적 위치로 해당 항목의 위치가 파악한다. 이 때, 아이템은 DB화된 기본 제공 데이터로 아이템 항목의 값에 대한 설정은 미리 지정된다. 그리고 아이템은 엘리베이터의 탑승방향, 건물 출임구의 위치 방향 등 방향성 아이템과 모양만으로 판단 가능한 기둥, 벽 등의 무방향성 아이템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미지등록 선택부(224-7)는 입력된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변환부(226-2)로 전송한다. 변환부(226-2)는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S608).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형식은 표 1과 같이 나타낸다.
도 7에 예시된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중계기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는 다음과 같은 텍스트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P: C5, V5, C17, V17
L:(C5, V5), (C5, C17), (V5, V17), (C17, V17)
I:(Ire08_N14)(|b|42_F8)(|b|42_R8)(|b|42_F15)(|b|42_R15)(lga11_J17)(lga11_P17)
이 때, 핵심 아이템의 위치를 가장 처음에 위치시켜 핵심 아이템을 역상등으로 표현하여 중계기의 위치를 구분하기 쉽게 한다. 한편, 핵심 아이템이 복수 개일 경우 앞에 핵심 아이템의 개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직접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입력하는 방법은 이 외에도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으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중계기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중계기의 세부 위치를 그릴 수도 있다. 그러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화되고 단순화되어 자동으로 이미지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원격장비 위치 관리 기능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원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원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유지보수 원격장비의 발견 시 수정 및 추가가 용이하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파일로 관리함으로써 압축 전송, 가공 및 암호화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원격장비의 위치 관리 용이성으로 인해 원격장비 유지보수 시 운용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격장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중계기 세부 위치 조회에 따른 중계기 세부 평면도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과 위치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관리 단말의 중계기 세부 위치 등록에 따른 예시도이다.

Claims (24)

  1.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여기서 기지국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와 무선 연결됨―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를 관리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부;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권한을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무선통신 모듈부를 통해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여기서 세부 위치 정보는 원격장비의 아이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및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제공하는 위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원격장비 검색, 상기 검색된 원격장비의 위치 조회 및 수정, 신규 원격장비의 위치 등록을 상기 모바일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모바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를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에 표시하는 텍스트 생성부; 및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표시하는 이미지 생성부
    를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
  4. 제 3항에 있어서, 신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시,
    상기 텍스트 생성부 또는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각각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초기화시키는 위치 관리 단말.
  5. 제 4항에 있어서, 신규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위치 관리 단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장비 위치 수정 시,
    상기 텍스트 생성부 또는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각각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가 표시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가 표시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활성화시키는 위치 관리 단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장비 위치 수정 시,
    상기 활성화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위치 관리 단말.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는, 그리드 형식의 그림판인 위치 관리 단말.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부는,
    상기 원격장비 검색, 상기 검색된 원격장비 위치 조회 및 수정, 신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중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구성부
    를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구성부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작성된 정보를 자동으로 직선화하고 단순화하여 이미지로 표현하는 단순화부; 및
    상기 단순화부에 의해 표현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표현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할 때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 정보를 처음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위치 관리 단말.
  12. 유지보수가 필요한 원격장비의 위치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단말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원격장비에 대한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부;
    상기 무선통신 모듈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요청―여기서 세부 위치 요청은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수신하여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상세 위치 정보―여기서 상세 위치 정보는 원격장비의 아이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및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상기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위치 통합 관리부
    를 포함하는 위치 통합 관리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통합 관리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받아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분석된 정보가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 조회 요청에 따른 정보인 경우, 상기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및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분석된 정보가 상기 원격장비 위치 정보 수정 요청 또는 신규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정보인 경우, 상기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장비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상기 원격장비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위치 관리부; 및
    상기 검색부 또는 상기 위치 관리부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른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를 포함하는 위치 통합 관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부는, 상기 원격장비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파일로 관리하는 위치 통합 관리 장치.
  15.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여기서 기지국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와 무선 연결됨―과 무선 연결된 단말이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원격장비 세부 위치에 대한 요청―여기서 요청은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서버로 상기 해당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서버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에 따른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장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생성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각각 원격장비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장비 위치 수정 시,
    d) 상기 c-2)단계로부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가 표시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가 표시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e) 상기 활성화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정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서버로부터 상기 수정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신규한 원격장비 위치 등록 시,
    g) 상기 c-1)단계로부터 생성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초기화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에디트 박스 또는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작성하는 단계; 및
    i) 상기 작성된 원격장비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서버가 신규 원격장비에 대한 세부 위치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방법.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 또는 h)단계에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거나 신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작성한 경우,
    상기 수정 또는 신규 작성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를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방법.
  20.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 또는 h)단계에서 원격장비 세부 위치 표시 평면도에 사용자가 직접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수정하거나 신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작성한 경우,
    상기 수정 또는 신규 작성된 정보를 자동으로 직선화 및 단순화시켜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관리 단말의 위치 관리 방법.
  21. 유지보수가 필요한 원격장비의 위치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단말과 무선 연결되어 상기 원격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로부터 원격장비 세부 위치에 대한 요청―여기서 요청은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에 대한 요청 중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원격장비에 대한 세부 위치 텍스트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색된 해당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통합 관리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를 수정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받아 상기 해당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통합 관리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신규 원격장비의 위치를 등록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받아 상기 신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세부 위치 정보 등록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통합 관리 방법.
  24.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여기서 기지국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와 무선 연결됨―과 무선 연결된 단말이 상기 원격장비의 위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원격장비 세부 위치에 대한 요청―여기서 요청은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 원격장비 세부 위치 수정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규 원격장비 세부 위치 등록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입력받아 상기 모바일 서버로 상기 해당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요청을 전송하는 기능;
    b) 상기 모바일 서버로부터 상기 원격장비 세부 위치 조회 요청에 따른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받아 저장하는 기능; 및
    c) 상기 저장된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 텍스트 정보 또는 세부 위치 평면도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상기 원격장비의 세부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40021191A 2004-03-29 2004-03-29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60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91A KR100603501B1 (ko) 2004-03-29 2004-03-29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91A KR100603501B1 (ko) 2004-03-29 2004-03-29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67A true KR20050095967A (ko) 2005-10-05
KR100603501B1 KR100603501B1 (ko) 2006-07-20

Family

ID=3727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91A KR100603501B1 (ko) 2004-03-29 2004-03-29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1605A1 (en) * 2013-10-23 2015-04-30 Jba 360 Llc 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doing busine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562B1 (ko) * 1998-04-01 2000-06-01 이계철 무선 기지국의 위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2513A (ko) * 1999-06-15 2001-01-15 김영환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 기지국 위치 정보 출력 방법
KR20010027385A (ko) * 1999-09-13 2001-04-06 박종섭 기지국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0719217B1 (ko) * 2000-10-31 200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목표물 위치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KR20020074763A (ko) * 2001-03-21 2002-10-04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중계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0400483B1 (ko) * 2001-06-26 2003-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정보시스템이 장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1605A1 (en) * 2013-10-23 2015-04-30 Jba 360 Llc Mobi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doing busi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501B1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8082C (zh) 向移动节点提供位置特定的服务的方法、设备和系统
US7321924B2 (en) Communication scheme for realizing effective data input/setup in compact size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locally connected nearby computer device
JP3775278B2 (ja) 網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網サービス情報提供装置並びにその方法及び端末
CN101461187B (zh) 热点位置数据库系统,在该系统中使用的移动终端以及用于创建、维护和更新该系统的方法
US9161220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ion device, and connection device designation method for designating connec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device to connect to
JP5731161B2 (ja) 情報端末、ネットワーク接続設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1502160B (zh) 无线客户端的智能网络获取
EP1303107B1 (en) System for multicast address allocation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CN102100111B (zh) 用于提供时间性信息的方法和设备
CN101350778A (zh) 一种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系统
JP4569301B2 (ja) 移動体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規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234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data sources by mobile applications
JP2004287717A (ja) 車両配車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CN102204349A (zh) 多个网络接入点的预先评估
CN101511061A (zh) 一种传送信息的方法、机器可读存储器和传送信息的系统
JP2006332863A (ja) 情報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253732A (zh) 自适应到不同的网络位置
JP3775430B2 (ja) 網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網サービス情報提供装置並びにその方法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8258666A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無線アクセス方法
JP2006054535A (ja) 通信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03501B1 (ko) 위치 관리 단말 및 그의 관리 방법과, 위치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5303669A (ja) 無線lan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位置管理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2007147632A (ja) 経路提供方法、経路案内方法、課金方法、経路提供サーバ、ユーザ端末、課金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072664A1 (en) Communication system
US8059614B2 (en) Pseudorandom noise selec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