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757A -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성하는 되감기 기계 및 관련된 감기방법 - Google Patents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성하는 되감기 기계 및 관련된 감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757A
KR20050095757A KR1020047016314A KR20047016314A KR20050095757A KR 20050095757 A KR20050095757 A KR 20050095757A KR 1020047016314 A KR1020047016314 A KR 1020047016314A KR 20047016314 A KR20047016314 A KR 20047016314A KR 20050095757 A KR20050095757 A KR 20050095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material
log
winding
cradle
rew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191B1 (ko
Inventor
안젤로 벤베누티
로마노 마달레니
그라지아노 마짜체리니
Original Assignee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9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65H19/305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1Core or mandrel supply
    • B65H2301/41814Core or mandrel supply by container storing cores and feeding through wedge-shaped slot or elongated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 B65H2301/41826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by gripping or pushing means, mechanical or suction gri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5Cradle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계는, 감기용 크레이들(7); 상기 크레이들에 감기용 코어(A, A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29); 상기 크레이들(7)로부터 형성된 로그를 방출해서 언로딩용 슈트(41)상에 회전시키는 방출기(39); 및 상기 로그를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방출한 후,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장치(55, 5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로그가 언로딩되는 방향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뻗은 개구(43)가 해당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절단장치(53, 55)는 상기 개구(43)에 삽입되어 상기 크레이들과 완성된 로그사이의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가동소자(5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성하는 되감기 기계 및 관련된 감기 방법{REWINDING MACHINE TO PRODUCE LOGS OF WEB MATERIAL AND RELATIVE WINDING METHOD}
본 발명은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성하는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브재료의 로그가 해당 형성중인 로그의 주변부와 접촉하는 부재에 의해 규정된 크레이들내에 형성되는 주변형의 되감기 기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이들 부재는, 전형적으로 감기용 롤러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불연속, 즉, 개시-정지 동작을 지닌 되감기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들 기계에 있어서, 웨브재료는, 로그가 완결될 때까지 감기용 크레이들(cradle)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 때, 웨브재료의 공급속도는, 감소하거나 공급이 중단되어, 웨브재료를 절삭 혹은 절단해서 생성된 선두에지를 새로운 감기용 코어에 부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완성된 로그의 언로딩, 새로운 감기용 코어의 삽입 및 웨브재료의 절삭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중앙의 감기용 코어 둘레에 감긴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성하는 감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이, 부직포 등의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기 위해서, 되감기 기계를 이용해서, 형성중인 로그에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감기용 롤러를 해당 로그와 접촉시킨다. 특히, 개시-정지 형의 감기 기계는, 특히 제한된 생산량에 대해서, 비교적 큰 직경을 지닌 로그를 생산하는 데 이용된다. 이런 유형의 기계의 예가, 국제 특허공개공보 WO-A-9902439(미국특허 제 6,129,304호에 상당함) 및 미국특허 제 4,422,588호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국제 특허공개공보 WO-A-9902439에는,
형성중인 로그에 대해서 지지·감기용 크레이들을 규정하는 제 1감기용 롤러 및 제 2감기용 롤러;
상기 크레이들에 감기용 코어를 삽입하는 삽입부재;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형성된 로그를 방출해서 언로딩용 슈트(unloading chute)상에서 회전시키는 방출기(ejector); 및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로그를 방출한 후, 각 로그의 감기 종료시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조합해서 구비한 개시-정지형의 되감기 기계가 개시되어 있다.
로그의 감기 종료시, 웨브재료를 절단해서, 로그의 감기축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병진이동하는 노즐에 의해 해당 꼬리형상 가장자리의 가장자리부와 평행하게 접착제(glue)를 부여한다. 로그의 꼬리형상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노즐은, 되감기 기계의 감기용 롤러의 축과 평행하게 병진이동하는 동시에 감기용 크레이들에 삽입된 새로운 감기용 코어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2노즐을 반송하는 캐리지에 의해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접착제의 부여는, 특히, 상기 기계에 의해 처리된 웨브재료가 상당한 폭인 경우, 특히 긴 동작으로 된다. 2개의 노즐이외에도, 캐리지도 웨브재료를 교차방식으로 절단하는 절단용 블레이드를 반송한다. 따라서, 캐리지의 병진속도도,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교차방식의 절단동작을 행하기 위한 요구조건에 의해 제한된다.
또, 상기 국제 특허공개공보 WO-A-9902439에 있어서, 감기동작은, 서로 정렬된 일련의 관형상 감기용 코어상에서, 상기 재료가 로그로 감기기 전에 소망의 폭의 스트립(strip)으로 해당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동작과 동시에 수행된다. 그러나, 감기 동작은, 예를 들면, 감기게 될 웨브재료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 하나의 스핀들상 혹은 하나의 관형상 코어상에서 행해져도 된다.
이하, 형성중인 로그를 일반적으로 기준으로 하나, 이것은, 하나의 감기용 코어상에 김긴 하나의 로그 혹은 서로 정렬된 복수의 코어상에 동시에 감긴 일련의 소형의 로그(즉, 감소된 축길이를 지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되감기 기계의 주요 성분의 개략 측면도
도 2 내지 도 10은 되감기 기계의 조작 스텝의 수순을 표시한 도면
도 11은 대응 롤러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에 의한 되감기 기계의 제 2실시형태의 조작스텝의 수순을 표시한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상기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웨브절단수단의 확대도.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계의 특정 결점을 특히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특히 생산사이클의 속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한, 특히 개시-정지형의 되감기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목적은, 웨브재료를 길이방향으로 스트립으로 절단한 후, 하나의 코어 혹은 수개의 정렬된 코어상에 동일한 효율로 웨브재료를 감을 수 있는 되감기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개시-정지형의 주변 되감기 기계는,
감기용 코어로부터 로그를 언로딩하기 위한 슈트를 따라 해당 로그가 언로딩되는 방향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개구가, 상기 슈트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크레이들과 완성된 로그사이의 웨브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가동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서, 로그의 감기종료시, 웨브재료는, 언로딩용 슈트상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개구에 가동소자를 삽입함으로써 매우 신속하게 절단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바로 완성된 로그의 꼬리형상 가장자리가 밀봉되기 전에 새로운 로그의 감기를 개시하고, 새로운 로그의 감기중에 상기 완성된 로그를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접착제 용기는, 로그의 언로딩용 슈트상에 형성된 가늘고 긴 가로방향 개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것과 관련해서, 제 1가동분배부재는, 상기 용기로부터 접착제를 수집해서 감기용 크레이들로부터 방출된 완성된 로그에 대해서 해당 접착제를 부여한다.
감기용 수단은, 접착제가 부여된 후 로그의 꼬리형상 가장자리를 감는데 유리하고; 이들은, 상기 언로딩용 슈트상에 상기 방출된 로그의 정지위치를 규정할 수 있고, 이 위치에 접착제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웨브재료의 안전이 보장된 절단과, 절단장치의 신뢰성있고 안전이 보장된 동작을 보증하기 위해, 상기 가동소자이외에도, 이 장치는, 가동소자와 협동하는 로그의 언로딩 슈트상에 형성된 개구를 따라 끼워맞춤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톱니형상 블레이드이어도 된다. 상기 블레이드가 가동소자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른 고정 블레이드의 위치결정에 의해, 기계를 보다 안전하게 한다. 또한, 보다 신뢰성 있는 조작을 얻기 위해서, 블레이드는, 로그 언로딩방향에 대해서 하류의 가로방향 개구의 가장자이와 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소자의 움직임을 수반함으로써 형성된 로그로부터 웨브재료가 절단되지 않아 미파손상태로 남아 부분적으로 감기지 않은 것으로 될 염려는 없게 된다.
변형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소자는, 블레이드 등의 강성 부재의 두 변에 정렬된 탄성 가압스트립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압스트립은, 웨브의 절단동안 가늘고 긴 개구의 가장자리에 대항해서 웨브재료를 꽉 집는 한편, 강성 부재가 개구에 들어가 웨브를 절삭하거나 찢는다.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른 고정 블레이드는, 이 경우 분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개구의 폭, 즉, 로그가 언로딩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그의 치수는, 상기 개구내에 절단장치의 가동소자가 있는 경우, 제 1가동 분배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웨브재료를 절단하거나 절삭하여, 로그를 접착하는 데 필요한 상기 부재의 움직임은, 적시에 중첩되어, 동작 사이클의 기간을 감소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웨브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의 가동소자는, 1쌍의 진동 팔형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팔형상부는, 순차 제 3감기롤러를 지지해도 되고, 따라서, 가동축을 지녀, 감기용 크레이들내에 형성중인 로그의 감기 동안 점차로 상승해서, 해당 로그로부터 멀리 이동해서 감기의 종료시 언로딩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롤러는 동력설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은, 기계의 가동부재의 수를 감축하여, 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간단하고 따라서 보다 신뢰성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의 가동소자는, 상기 제 3감기용 롤러를 지지하는 진동 팔형상부와는 다른 1쌍의 진동 팔형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절단장치의 움직임을 제 3감기용 롤러의 움직임과는 독립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동일한 기계에 각종 상이한 직경의 코어를 취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되감기 장치의 바람직한 개량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기용 크레이들의 하부에는, 감기용 코어가 크레이들에 위치된 경우, 해당 감기용 코어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2가동분배부재와 관련된 제 2접착제 용기가 배치되어 있다.
감기용 크레이들에 감기용 코어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완성된 로그용의 언로딩용 슈트에 대해서 상기 크레이들의 반대쪽상에, 감기용 코어지지면을 배치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이 지지면으로부터 감기용 코어를 상기 크레이들내로 밀어낸다.
보다 간단한 구성을 작성하여 상기 기계의 각종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작동기의 수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방출기와 삽입부재를 서로 일체로 해서, 이들을 하나의 작동기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방출기는, 1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측면사이에 감기용 크레이들로부터 완성된 로그를 방출하기 위한 푸셔부가 연장되고 있고, 이것과 삽입부재가 일체로 됨으로써, 방출기와 삽입부재는, 코어를 삽입해서 로그를 방출하는 움직임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들 공급수단은, 얻어지는 감기의 형태에 따라 각종 형태를 지니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감길 웨브재료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단일의 스핀들 혹은 단일의 관형상 코어상에 감기가 행해지면, 감기용 코어 혹은 스핀들은, 상기 감기용 코어의 지지면 위쪽으로 연장되는 홈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쪽의 용기로부터 코어를 낙하시킴으로써 공급이 일어난다. 한편, 웨브재료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후 축방향으로 서로 정렬된 복수의 감기용 코어상에 감기를 행할 경우, 이들 코어는, 지지면상의 특정위치에 삽입되어야만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면,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해서, 코어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따라서 되감기 기계에 있어서 웨브재료의 공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해당 코어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2개의 공급계통은, 양쪽 모두가 동일한 기계상에 구비되어, 하나의 형태 혹은 다른 형태가 교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기용 크레이들내로 삽입된 완성된 로그에 대해서 그리고 새로운 감기용 코어(코어들)에 대해서 각각 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1 및 제 2가동 접착제 분배부재는, 진동움직임을 제공하는 가늘고 긴 소자를 지닌다.
되감기 기계가, 축방향으로 서로 정렬된 감기용 코어둘레에 수개의 웨브재료의 스트립을 동시에 감을 경우, 복수의 절단칼날을 구비해서, 대응 롤러(counter-roller)상에 형성된 복수의 환형상 홈에 의해 구성된 각각의 대응 블레이드와 협동하여 길이방향 절단선을 따라 웨브재료를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이 경우, 상기 대응 롤러와 협동하는 일련의 겹접착(ply-bonding)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단일의 소자-즉, 대응 롤러-가, 절단용 칼날에 대한 대응 블레이드 및 겹접착휠에 대한 대응 가압부재의 이중기능을 행한다. 웨브재료를 스트립으로 분할하는 길이방향 절단부재와 겹접착부재의 이러한 구성은, 웨브재료가 스트립으로 분할될 때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형성하는 것과는 다른 되감기 기계, 또한, 일반적으로 다른 형태의 기계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웨브재료는, 겹접착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어야만 하는 2개이상의 더미(pile)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 1감기용 코어를 한쌍의 감기용 롤러에 의해 형성된 감기용 크레이들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감기용 코어 둘레에 소정량의 웨브재료를 감아 로그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형성된 로그를 상기 감기용 크레이들로부터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언로딩하는 공정과;
제 2감기용 코어를 상기 크레이들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로그와 상기 제 2감기용 코어사이의 웨브재료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하는 공정을 구비한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로그가 언로딩되는 방향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뻗은 개구가, 상기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의 하부에 제 1접착제 용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웨브재료는, 상기 절단장치의 가동소자를 상기 개구에 삽입함으로써, 해당 가동소자에 의해 절단되고;
상기 제 1접착제 용기로부터 접착제를 수집하는 제 1가동분배부재에 의해 상기 언로딩용 슈트상에 언로딩된 로그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되감기 기계 및 감기 방법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 및 실시형태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제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되감기 기계(도면에서는 총칭해서 (1)로 표시함)는, 제 1감기용 롤러(3)와 제 2감기용 롤러(5)로 이루어지고, 이들 두 롤러가 감기용 크레이들(7)을 규정한다. 상기 감기용 롤러(3), (5)는, 이들 사이의 닙(nip)이 이 기계에 사용가능한 감기용 코어의 최소직경보다도 작은 치수를 지니는 거리에서 평행한 축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감기용 코어(단일 혹은 다수) 또는 감기용 스핀들이 위쪽에서부터 삽입되어, 이들 1쌍의 롤러사이의 닙을 통하는 일없이 상기 1쌍의 롤러상에 지지되어 있다.
그의 축이 상기 감기용 롤러(3), (5)의 축과 평행한 제 3감기용 롤러(13)를 지지하는 1쌍의 진동 팔형상부(11)가, 진동축(9)을 중심으로 해서 힌지되어 있다. 진동 팔형상부(11)는, 서로 가로장(crosspiece)(15)에 의해 접속되고, 형성중인 로그의 직경의 증가에 의해 그들의 진동이 일어나고, 감기의 종료시, 작동기, 예를 들면, 피스톤-실린더 작동기(17)에 의해 제어된다. 제 3감기용 롤러(13)는, 2개의 감기용 롤러(3), (5)를 작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것이어도 되는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순차 기동되는 풀리(21)로부터 그의 움직임을 취하는 벨트(19)에 의해 회전된다.
감기용 크레이들(7)에 삽입될 감기용 코어를 지지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면(23)이, 감기용 크레이들(7)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코어는, 벨트컨베이어(25)(도 1에는 횡단면을 표시함)에 의해 상기 면(23)으로 반송될 수 있고, 해당 컨베이어는, 상기 코어의 축과 평행한 가로방향 움직임에 의해 서로 정렬된 1개이상의 코어를 삽입한다. 또는, 상기 감기용 코어는, 위쪽에 위치된 홈(27)을 따라 중력에 의해 이들을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면(23)으로 반송되어도 되고, 여기서, 상기 코어는, 용기(도시생략), 예를 들면, 호퍼로부터 삽입된다. 홈(27)의 가로방향 치수는, 각종 치수의 직경을 지닌 감기용 코어를 삽입하도록 조정해도 된다.
감기용 코어(면(23)에 대해서 하나의 혹은 또 하나의 삽입수단에 의해 반송됨)를 감기용 크레이들(7)에 삽입하기 위해서, 서로 평행한 1쌍의 측면(31)과 일체인 횡단면을 지닌 삽입부재(2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측면(31)은, 해당 2개의 측면(31)중 하나에 접속된 피스톤-실린더 작동기(33)에 의해 제어된 2중화살표(f31)에 따라 병진운동을 하고, 이 운동은, 랙(35)과 피스톤(37) 및 토션바(38)를 구비한 시스템에 의해 다른 쪽 측면에 전달된다.
상기 횡단면(29)과 평행하고, 상기 2개의 측면(31)과 일체인 또다른 단면(39)은, 감기용 크레이들(7)로부터 웨브재료의 완성된 로그를 방출하는 방출기의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면(23)에 대해서 크레이들(7)의 반대쪽에는 불연속 언로딩면(41)이 배치되어 있다. 감기용 크레이들(7)로부터 형성되어 언로딩된 로그를 회전시키는 언로딩면(41)을 따라, 가로방향 개구(43)가 도 1의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면의 전체 폭에 대해 대략 뻗어 있다. 상기 언로딩면(41)의 하부에는, 내부에 가동분배부재가 위치결정되어 있는 접착제 용기(45)가 배치되어 있고, 이 용기는 도 1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1쌍의 진동 팔형상부(49)에 의해 지지된 바(bar), 또는 와이어 혹은 기타 유사소자에 의해 구성된 가늘고 긴 소자(4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와이어(47)로 이루어진 가동분배부재는, 진동축(51)을 중심으로 진동해서, 도 1에서 대시(-)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접착위치에 위치결정된 로그의 표면과 접촉할 때까지 개구(43)로부터 밖으로 반송되고, 또한,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10에 표시한 수순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블레이드(53), 바람직하게는, 톱니형상 블레이드는, 이하에 명백해질 목적으로 감기용 크레이들(7)로부터 가장 먼(즉, 감기용 크레이들로부터 언로딩된 로그의 움직임에 대해서 하류쪽) 개구(4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적용되어 있다.
가동소자(55)는, 이들을 접합하는 가로장(15)을 따라 진동 팔형상부(11)의 쌍에 접속되어 있고, 이 소자는 개구(43)와 협동하고, 또한, 후술하는 방식으로 블레이드(53)가 개구(43)를 관통해서, 각 로그의 감기 종료시 웨브재료의 절단이나 절삭을 행한다.
접착위치에 있는 로그는, 1쌍의 롤러(61)에 의해 거기에서 유지되고, 이들 롤러중 제 1롤러는, 고정축을 지니는 한편, 제 2롤러는, 가동팔형상부(65)에 의해 지지되어, 롤러(63)가 그의 하강위치에 배치된 경우, 해당 가동팔형상부의 진동에 의해 롤러(61)와 (63)사이의 중간위치에 배치된 컨베이어벨트(67)상에 로그의 언로딩을 허용한다. 롤러(61), (63)의 한쪽 혹은 양쪽을 기동시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접착위치에 위치된 완성된 로그를 회전시킨다.
제 2접착제 용기(71)는, 감기용 롤러(3)의 하부에 배치되고, 개구부(72)는 감기용 롤러(3), (5)에 의해 형성된 닙 밑에서 감기용 크레이들(7)에 대략 배치되어 있다. 진동축(77)을 중심으로 진동하는 1쌍의 팔형상부(75)에 의해 반송된 제 2분배소자(73)는, 상기 용기(71)내에 침지되어 있다. 팔형상부(75)의 형상 및 진동축(77)의 위치는, 가늘고 긴 소자(73)(소자(4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의 평면에 대해서 직교해서 뻗은 와이어, 바 등이어도 됨)의 진동운동에 의해, 해당 소자를 감기용 롤러(3), (5)사이의 간극을 통과시켜서 감기용 크레이들(7)에서 나와 그 위에 지지된 감기용 코어(코어들)와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감기사이클을 개시할 준비가 된 감기용 코어(코어들)의 하향 대향면으로 접착제를 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전체로서 (81)로 표시된 절단·겹접착 유닛이, 감기용 롤러(5) 둘레에 감긴 웨브재료(N)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유닛은, 웨브재료의 폭을 따라 소망의 위치에 소정 개수의 칼날을 위치시키기 위해 접착제(85)를 따라 교차방식으로 위치된 일련의 원반형상 칼날(83)을 구비한다. 이들은, 도 11에 표시한 형상으로 대응 롤러와 협동한다. 이것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련의 환형상 홈(89)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홈(89)(수밀리미터이어도 되고, 전형적으로는 3 내지 7㎜ 폭임)이, 실제의 홈과 동일한 폭 혹은 약간 넓은 폭의 환형상 돌출부(91)에 의해 이간되어 있다. 팽창식의 플리넘 쳄버(plenum chamber)(95)에 의해 대응 롤러(84)에 대항해서 고압으로 밀린 깔쭉깔쭉한 겹접착 휠(wheel)(93)이, 대응 롤러(87)의 주변을 따라, 칼날(83)의 위치에 대해서, 예를 들면, 120°정도의 각진 지그재그모양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대응 롤러(87)의 환형상 돌출부(91)상의 휠(93)에 의해 작용하는 고압에 의해, 웨브재료(N)를 형성하는 더미(예를 들면, 2층이상)가 겹접착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휠(93)과 플리넘 챔버(95)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5,433,81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작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되감기 기계의 동작은, 이하에 참조할 도 2 내지 도 10의 수순에 있어서 명백하게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관형상 코어(A)둘레에 감기는 완전상에 있어서의 로그(R)는 감기용 크레이들(7)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로그는, 실제적으로, 서로 정렬된 감기용 코어상에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감긴 복수의 롤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감기의 종료시, 진동 팔형상부(11)가 화살표(f11)에 따라 상승되어, 완성된 로그로부터 감기용 롤러(13)를 제거해서, 감기용 크레이들(7)로부터 방출되게 된다.
새로운 감기용 코어(A1) 혹은 서로 정렬된 일련의 감기용 코어들은, 홈(27) 혹은 컨베이어벨트(25)에 의해 면(23)으로 반송된다. 가동 접착제 분배부재는, 양쪽 모두 각각의 용기(45), (71)에 침지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측면(31)과 일체인 단면(29), (39)을 지닌 해당 측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새로운 코어(들)(A1)의 감기용 크레이들(7)로의 삽입과, 면(41)상에서 회전하는 형성된 로그(R)의 롤러(61), (63)에 의해 규정된 접착위치로의 방출을 일으킨다. 면(41)상에서의 롤러의 회전이동은, 로그상에 감긴 웨브재료의 마지막 부분의 부분적인 풀림을 일으키는 방향이다. 따라서, 여전히 일체인 동시에 절삭되어야 할 웨브재료의 길이는, 감기용 크레이들(7)에 삽입된 새로운 코어와, 현재 접착위치에 있는 완성된 로그사이에서 뻗어 있다. 감기용 롤러를 향한 웨브재료의 공급은 중지되어 있다.
후속의 도 4에서, 측면(31)은, 초기위치로 복원해서, 감기용 크레이들(7)로부터 단면(39)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해서, 롤러(13)와 가동 소자(55)를 지지하는 진동 팔형상부(1)의 쌍은, 아래쪽으로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진동이동은, 감기용 롤러(13)를, 감기용 크레이들내의 새로운 코어(A1)와 접촉시켜,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소자(55)를 언로딩면(41)내의 개구(43)로 삽입시킨다. 이 가동소자(55)의 개구(43)속으로의 삽입움직임에 의해, 감기용 크레이들(7)로부터 형성된 로그(R)의 접착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감기용 롤러(5)로부터 롤러(61)까지 풀린 웨브재료의 절삭 혹은 절단을 일으킨다. 이와 같이 해서, 웨브재료는, 가동소자(55)와 톱니형상 블레이드(53)간의 협동작용을 통해 절단되게 된다.
도 6에 있어서, 접착제 분배기(73)는, 상승해서, 감기용 크레이들(7)내의 코어(A1)(또는 정렬된 코어)에 대해서 접착제의 띠를 부여한다. 이어서, 접착제 분배기(73)는 재차 하강하고, 감기용 롤러(3), (5), (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해서 감기용 크레이들(7)내의 코어(A1)의 회전을 일으키고, 그에 따라 코어둘레에 웨브재료의 공급이 행해진다. 감기용 롤러(5)와 새로운 코어(A1)사이에 물린 웨브재료는 부여된 접착제의 작용을 통해 새로운 코어에 부착된다. 웨브재료의 절단을 행한 가동소자(55)와 코어(A1)사이의 웨브재료의 부위는, 새로운 코어둘레에 감긴다.
개구(43)에 삽입된 가동소자(55)와 톱니형상 블레이드(53)사이의 거리는, 제 1접착제 분배기의 가늘고 긴 소자(47)가 전자의 두 부재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접착제 분배부재의 가늘고 긴 소자(47)는, 이미 되감기 기계가 도 7의 위치에 있을 때 접착제 용기(45)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시된 본 예에 있어서, 제 1접착제 분배기의 가늘고 긴 소자(47)를 상승시키는 이 움직임은,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감기용 코어(A1)둘레에 형성중인 새로운 로그가 개구(43)로부터 소자(55)를 제거할 정도로 감기용 롤러(13), 따라서 해당 롤러를 지지하는 팔형상부(11)를 상승시키는 데 충분한 직경으로 증가된 후 수행된다.
이 때, 제 1접착제 분배기의 가늘고 긴 소자(47)는, 축(51)둘레의 팔형상부(49)의 진동운동에 의해 용기(45)로부터 제거된다. 이 가늘고 긴 소자(47)는, 접착위치에 있는 로그(R)의 주변의 소정점과 접촉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접착제가 가늘고 긴 소자(47)로부터 로그(R)의 표면까지 전사되는 위치는, 웨브재료를 절단함으로써 생기는 꼬리형상 가장자리의 후속의 감김에 의해 해당 꼬리형상 가장자리가 접착제를 덮는 로그에 부착되도록 된다.
도 9에 있어서, 제 1가동접착부재는, 용기(45)안쪽의 그의 개시위치로 복원되는 한편, 롤러(61), (6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접착위치에서 로그(R)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유발시키므로, 가늘고 긴 소자(47)에 의해 로그의 표면에 부여된 접착제의 띠를 덮도록 웨브재료의 꼬리형상 가장자리의 되감기가 행해진다.
마지막으로, 웨브재료의 새로운 로그가 새로운 코어(A1)상에 계속해서 감기게 되는 한편, 이전에 형성된 로그는, 팔형상부(65) 및 이것에 의해 지지된 롤러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벨트(67)로 반송된다. 컨베이어벨트는, 되감기 기계로부터 형성되어 접착된 로그를 제거해서 새로운 로그의 후속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12A 내지 도 12E,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의한 되감기 기계의 변형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 및 소자에는, 이전의 도면과 마찬가지의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제 2실시형태에 의한 되감기 기계의 2가지 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가동소자(55)는, 축(9)을 중심으로 선회하지만 가동롤러(13)를 지지하지는 않는 1쌍의 진동 팔형상부(11)에 의해 지지된다. 팔형상부(11), (11A)의 선회축은 다를 수 있지만, 상기 가동롤러(13)는 동일 축(9)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보조쌍의 진동 팔형상부(11A)에 의해 지지된다. 도 12A 내지 도 12E에 표시한 스텝의 수순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것에 의하면, 감기용 롤러(13)의 진동운동은 가동절단소자(55)의 운동과는 독립적으로 허용된다. 예를 들면, 도 12C 및 도 12D와 비교하면, 가동소자(55)는 웨브절단후 상승되는 한편, 각각의 팔형상부(11A)를 지닌 롤러(13)는 여전히 하부 위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동소자(55)와 롤러(13)의 움직임을 분리하게 되면, 본 되감기 기계의 구조적 복합성이 어느 정도 증가하지만, 더욱 작동유연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것은, 가변직경을 지닌 코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할 수 있었다. 이 경우, 단일쌍의 진동 팔형상부가 롤러(13) 및 가동소자(55)를 지지하는 데 사용되면, 웨브재료(N)의 절단은, 큰 직경의 코어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가 아니라 작은 직경의 코어에 대해서 얻어질 수 있었고, 그 이유는, 가동소자(55)가 적절한 절단위치에 도달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독립된 진동 팔형상부(11), (11A)를 채용하게 되면, 이 제한은 피할 수 있다.
이전의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두번째 차이점은, 슈트(41)를 따라 형성된 가늘고 긴 개구(43)의 구조에 있다. 이 경우, 가동소자(55)가 침투해서 웨브재료(N)를 절삭 혹은 절단하게 되는 개구(43)는, 개구(43)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가동 접착제 분배부재(47)의 통과를 허용하는 또다른 개구(43A)와 분리되어 있다. 개구(43)는 홈형상, 즉, 슈트(41)의 두께 양단에 걸쳐 뻗어있지 않는 한편, 개구(43A)는 슈트(41)의 전체 두께 양단에 걸쳐 뻗어 있어, 상기 분배부재(47)의 통과를 제공하고 있는 점이다.
블레이드(53)와 유사한 톱니형상 블레이드를, 개구(47)의 가장자리의 하나를 따라 배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소자(55)의 형상에 있어서 더욱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소자(55)의 하부는 실질적으로 블레이드형상이어서, 고정된 톱날 형상의 블레이드(53)와 다소 가위형식으로 함께 작동하였으나, 도 12A 내지 도 12E, 도 13A 및 도 13B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소자(55)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가압스트립(56)을 지니는 동시에 웨브재료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강성 소자(58)를 지니고 있다. 이들 스트립은, 중공이어서 보다 수득율이 좋게 된다. 또, 스트립(56)은 강성부재(58)보다 훨씬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56)의 절삭동안, 강성 부재(58)에 의한 접촉전에 웨브재료(N)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웨브재료(N)는, 슈트(41)의 표면에 대항해서 압압되어(도 13A) 차단된다. 가동부재(55)를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스트립(56)은 압축되고, 강성부재(58)는 개구 혹은 슬롯(43)에 들어가서, 웨브재료(N)를 절단하거나 찢는다.
본 제 2실시형태와 이전의 실시형태를 구별짓는 각종 특징은 다양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웨브절단장치의 특정 형상은, 도 1 내지 도 11의 실시형태에도 이용가능하고, 혹은 도 12A 내지 도 12E의 2중 진동 팔형상 배열(11), (11A)은, 도 1 내지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은 가동소자(55)의 구조와 관련해서 사용할 수 있었다.
도면은 순수하게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 없이 그 형태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또, 첨부한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참조부호의 존재는, 이상의 설명 및 첨부도면에 비추어 그들의 판독을 용이하게 할 목적일 뿐, 보호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계의 특정 결점을 특히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특히 생산사이클의 속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한, 특히 개시-정지형의 되감기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웨브재료를 길이방향으로 스트립으로 절단한 후, 하나의 코어 혹은 수개의 정렬된 코어상에 동일한 효율로 웨브재료를 감을 수 있는 되감기 기계 및 감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Claims (44)

  1. 감기용 크레이들(7);
    상기 크레이들에 감기용 코어(A, A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29);
    상기 크레이들(7)로부터 형성된 로그를 방출해서 언로딩용 슈트(41)상에서 회전시키는 방출기(39); 및
    상기 로그를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방출한 후,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장치(55, 53)를 구비한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로그가 언로딩되는 방향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뻗은 개구(43)가 해당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단장치(53, 55)는 상기 개구(43)에 삽입되어 상기 크레이들과 완성된 로그사이의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가동소자(5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가동소자(55)와 협동하는 상기 개구(43)를 따라 설치된 블레이드(53)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53)는, 상기 슈트(41)상에 로그를 언로딩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 하류쪽에 배치된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53)는 톱니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41)의 하부에 제 1접착제 용기(45)가 배치되고, 상기 제 1접착제 용기(45)로부터 접착제를 수집해서 완성된 로그에 부여하는 제 1가동분배부재(47, 49)가, 상기 제 1접착제 용기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부여된 후 로그의 꼬리형상 가장자리를 감기 위한 되감기 수단(61, 6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되감기 수단은, 상기 언로딩용 슈트(41)상에 방출된 로그의 정지위치를 규정하고, 상기 접착제는, 로그가 상기 정지위치에 있을 때 해당 로그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가 언로딩되는 방향에서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절단장치의 가동소자(55)가 상기 개구에 있을 때, 상기 제 1가동분배부재(47)가 해당 개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9. 제 5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소자(55)는 1쌍의 진동 팔형상부(1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진동 팔형상부(11)는, 가동축을 지닌 감기용 롤러(1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1. 선행하는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7)의 하부에 제 2접착제 용기(71)가 배치되어 있고, 감기용 코어가 상기 크레이들에 있을 때 해당 감기용 코어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2가동분배부재(73, 75)가 상기 제 2접착제 용기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2. 선행하는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용 슈트(41)에 대해서 상기 크레이들의 반대쪽에 감기용 코어(A, A1)의 삽입면(23)을 배치하고, 상기 삽입면(23)을 따라 삽입부재(29)가 상기 크레이들을 향해 상기 감기용 코어를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3. 선행하는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39) 및 상기 삽입부재(29)가 서로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29)는 병진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는 1쌍의 변(31)을 구비하고, 해당 1쌍의 변사이에서 푸셔부가 뻗어 상기 크레이들(7)로부터 완성된 로그를 방출하도록 하고, 삽입부재(101)와 일체인 상태에서, 상기 방출기와 삽입부재는, 상기 감기용 코어를 삽입하고 상기 로그를 방출하는 움직임의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 코어를 공급하는 수단은, 상기 삽입부재와 방출기사이의 중간위치에 상기 코어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공급하는 상기 수단은, 해당 코어를 낙하시키는 홈(27)을 지니고, 상기 코어의 축에 직교하는 삽입궤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공급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코어의 축과 평행으로 동작해서 상기 코어를 삽입하는 컨베이어(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벨트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1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동분배부재(47, 49)는, 진동운동을 제공하는 가늘고 긴 부재(4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동분배부재(73, 75)는, 진동운동을 제공하는 가늘고 긴 부재(7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되감기 수단은 1쌍의 되감기용 롤러(61, 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되감기용 롤러중 제 1되감기용 롤러는, 1쌍의 진동 팔형상부(65)에 의해 지지되어 활동위치에서 비활동위치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되감기용 롤러(61)의 비활동위치와 상기 2개의 되감기용 롤러중 제 2되감기용 롤러사이에 컨베이어(67)를 배치해서 완성된 로그를 그들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멀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4. 선행하는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응 롤러(87)상에 형성된 복수의 환형상 홈(89)에 의해 구성된 각각의 대응 블레이드(91)와 협동해서, 길이방향의 절삭선을 따라 웨브재료를 절삭하는 복수의 절삭칼날(8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5. 제 24항에 있어서, 일련의 겹접착부재(93)가 상기 대응 롤러(87)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6. 선행하는 청구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용 크레이들(7)이 1쌍의 감기용 롤러(3, 5)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7. 제 1항 및 제 5항 내지 제 2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소자(55)는 강성부재(58)와 탄성가압측면 부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착제 용기(45)는 상기 개구(43)의 하부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29. 제 5항 또는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분배부재(47, 49)는, 상기 가동부재(55)가 들어가 웨브재료(N)를 절삭하도록 하는 상기 개구(43)를 통과하는 상기 로그(R)를 향해 상기 제 1접착제 용기(45)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30. 제 5항 또는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41)를 따라, 제 2개구(43A)는, 상기 개구(43)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해당 개구에 상기 가동부재(55)가 들어가 상기 웨브재료를 절삭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2개구(43A)는 상기 제 1가동접착제분배부재(47, 49)의 통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31. 제 1항 내지 제 9항 및 제 11항 내지 제 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소자(55)는, 1쌍의 진동 팔형상부(11)에 의해 지지되고, 제 3감기용 롤러(13)를 지지하는 또 1쌍의 진동 팔형상부(1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N)의 로그를 생산하는 되감기 기계.
  32. 적어도 제 1감기용 코어를 감기용 크레이들(7)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감기용 코어(A, A1) 둘레에 미리 정해진 양의 웨브재료(N)를 감아 로그(R)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형성된 로그를 상기 감기용 크레이들(7)로부터 언로딩용 슈트(41)를 따라 언로딩하는 공정과;
    적어도 하나의 제 2감기용 코어(A1)를 상기 크레이들(7)에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로그(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감기용 코어(A1)사이의 웨브재료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하는 공정을 구비한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로그가 언로딩되는 방향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뻗은 개구(43)가, 상기 언로딩용 슈트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소자(55)는 상기 개구(43)를 따라 끼워맞춤된 블레이드(53)와 협동해서 상기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34.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가동 감기용 롤러(13)가 상기 제 2감기용 코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소자가 상기 개구에서 이동해서, 상기 제 2감기용 코어와 접촉할 때 상기 롤러(13)에 대해서 동시에 상기 웨브재료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36. 제 32항 내지 제 3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43)의 하부에 제 1접착제 용기(45)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접착제 용기로부터 접착제를 수집하는 제 1가동분배부재(47)에 의해 상기 언로딩용 슈트상에 언로딩된 로그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37. 제 32항 내지 제 3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감기용 코어가 상기 감기용 크레이들에 있을 때 해당 제 2감기용 코어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재료의 절단중에 상기 제 2감기용 코어(A1)에 상기 접착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39. 제 37항 또는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용 크레이들의 하부에 배치된 제 2접착제 용기(71)로부터 접착제를 수집하는 제 2가동분배부재(73, 75)에 의해 상기 제 2감기용 코어에 접착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40. 제 32항 내지 제 3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감기용 코어(A1)는, 형성된 로그를 크레이들로부터 언로딩하기 전에, 감기용 크레이들에 대해서 상기 언로딩용 슈트(41)의 반대쪽상에, 위치결정된 삽입면(23)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41. 제 32항 내지 제 4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로그는,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언로딩되고, 상기 제 2감기용 코어는, 서로 일체인 방출기와 삽입부재에 의해 상기 크레이들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42. 제 32항 내지 제 4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재료는 적어도 2개의 더미(pile)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더미는, 함께 겹접착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웨브재료는 감기전에 복수의 길이방향 스트립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더미는 접착되어 있고; 상기 웨브재료는, 일련의 겹접착부재(93)에 의해 절삭되고, 일련의 절삭칼날(83)이, 상기 그리핑부재(93)와 협동하는 적어도 일부의 환형상 돌출부(91)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절삭칼날의 대응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환형상 홈(89)이 형성되어 있는 단일의 대응 롤러(87)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44. 제 32항 및 제 34항 내지 제 4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상기 웨브재료를 가압해서 절삭하는 동안 해당 웨브재료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KR1020047016314A 2003-02-12 2004-02-09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성하는 되감기 기계 및 관련된 감기방법 KR101082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3A000036 2003-02-12
IT000036A ITFI20030036A1 (it) 2003-02-12 2003-02-12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rotol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757A true KR20050095757A (ko) 2005-09-30
KR101082191B1 KR101082191B1 (ko) 2011-11-09

Family

ID=3286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314A KR101082191B1 (ko) 2003-02-12 2004-02-09 웨브재료의 로그를 생성하는 되감기 기계 및 관련된 감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398942B2 (ko)
EP (1) EP1599402B1 (ko)
KR (1) KR101082191B1 (ko)
CN (1) CN100460299C (ko)
AT (1) ATE506309T1 (ko)
BR (1) BRPI0403940A (ko)
DE (1) DE602004032319D1 (ko)
ES (1) ES2363768T3 (ko)
IL (1) IL169898A (ko)
IT (1) ITFI20030036A1 (ko)
WO (1) WO2004071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00865T3 (es) 2003-12-05 2008-06-16 Fabio Perini S.P.A. Procedimiento y maquina para la produccion de rollizos de material en banda.
ITFI20030311A1 (it) 2003-12-05 2005-06-06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CN102700975B (zh) * 2012-05-31 2014-09-24 江南大学 全自动无纺布复卷机
US9187285B2 (en) * 2012-11-19 2015-11-17 Valmet Technologies, Inc. Slitter-winder of a fiber production line
US9376281B2 (en) 2013-09-09 2016-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m-controlled core inserter for a surface winder
CA2937709C (en) * 2014-01-29 2022-05-03 Universal Tissue Technology S.R.L. Device for closing the tail end of a roll of web material, and method
DE102014116653B4 (de) * 2014-11-14 2020-07-09 TRüTZSCHLER GMBH & CO. KG Wickelstation zum Wickeln von Warenbahnen
US10442649B2 (en) 2016-03-04 2019-10-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winder for producing log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US10427902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hanced introductory portion for a surface winder
US10427903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ading edge device for a surface winder
IT202000017698A1 (it) * 2020-07-22 2022-01-22 Futura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rotoli o logs di materiale cartace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353A (en) * 1958-05-16 1963-01-08 Samuel M Langston Co Web slitting and winding machines
US3918654A (en) * 1973-07-21 1975-11-11 Rca Corp Automatic winding apparatus for a strip of material
US4422588A (en) 1981-09-28 1983-12-27 The Black Clawson Company Slitter-rewinder system
US5257748A (en) * 1989-09-27 1993-11-02 Krantz America, Inc. Sheet winding apparatus
IT1265841B1 (it) 1993-02-15 1996-12-12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fezionata per l'avvolgimento senza nucleo centrale con superficie di appoggio per il rotolo in formazione.
IT1267563B1 (it) * 1993-12-10 1997-02-05 Perini Fabio Spa Erogatore di collante e dispositivo impiegante detto erogatore
IT1294817B1 (it) 1997-07-11 1999-04-15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 taglierina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e relativo metodo
IT1314581B1 (it) * 2000-03-03 2002-12-20 Perini Fabio Spa Ribobinatrice compatta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nastriforme avvolto e relativo metodo
ITFI20020119A1 (it) * 2002-07-08 2004-01-08 Fabio Perini Macchina ribobinatrice e metodo per produrre bastoni di carta da vario form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39714A1 (en) 2005-06-30
IL169898A (en) 2009-09-22
KR101082191B1 (ko) 2011-11-09
WO2004071914A1 (en) 2004-08-26
EP1599402B1 (en) 2011-04-20
BRPI0403940A (pt) 2005-03-01
ITFI20030036A1 (it) 2004-08-13
CN100460299C (zh) 2009-02-11
US7398942B2 (en) 2008-07-15
EP1599402A1 (en) 2005-11-30
ES2363768T3 (es) 2011-08-16
DE602004032319D1 (de) 2011-06-01
IL169898A0 (en) 2007-07-04
CN1697769A (zh) 2005-11-16
ATE506309T1 (de) 201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9011B2 (ja) ウェブ材料のロールを製造する巻取り機及び方法
KR101275480B1 (ko) 외부 싸개를 가진 웨브재 롤의 제조방법과 장치
EP1519886B1 (en)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variously sized paper logs
EP1551740B1 (en) Method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and rewinding machine implementing said method
JP4452614B2 (ja) ウエブ材料のログを形成する巻き取り装置及びそれに関する方法
EP1562846B1 (en) Rewinding machine with gluing device to glue the final edge of the log formed and relative winding method
KR101115813B1 (ko) 릴교체의 단계에 있어서 풀린 재료에 대한 일시적 축적부재를 가진 웹형상 재료의 릴용 언와인더 장치와 그 관련방법
US7887003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like material together with a winding core and roll thus obtained
IL169898A (en) Rewinding machine to produce logs of web material and relative winding method
JP2005532238A5 (ko)
US20220402719A1 (en)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logs of paper material
US20220396446A1 (en)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logs of pape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