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580A -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580A
KR20050094580A KR1020040019759A KR20040019759A KR20050094580A KR 20050094580 A KR20050094580 A KR 20050094580A KR 1020040019759 A KR1020040019759 A KR 1020040019759A KR 20040019759 A KR20040019759 A KR 20040019759A KR 20050094580 A KR20050094580 A KR 2005009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봉
임진하
Original Assignee
(주)엔시테크
장인봉
임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시테크, 장인봉, 임진하 filed Critical (주)엔시테크
Priority to KR102004001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4580A/ko
Publication of KR2005009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58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19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GPS 기술과 이동통신 기술을 혼합한 위치추적을 통해 유아 등의 미아발생사고를 줄이고 유아에게 긴급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치 연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메시지(navigation message) 신호를 전송하는 GPS위성과, 여러 GPS위성으로부터 구분된 항법메시지 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좌표를 연산하고 이를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추적단말과, 상기 위치추적단말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회원인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이용해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보호자의 단말에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와, 상기 서비스서버와 연동하고 위치제공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와 회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와, 상기 서비스서버에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신청하여 회원으로 등록한 보호자의 단말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Location trac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GPS 기술과 이동통신 기술을 혼합한 위치추적을 통해 유아 등의 미아발생사고를 줄이고 유아에게 긴급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아 등의 미아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이름표를 부착하거나 목걸이 등의 형태로 인식표를 제작하여 착용하거나 또는 센서장치를 이용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가 일정간격 이상 떨어지면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는 등의 방법의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한 방법은 위치추적이 불가능하여 한계가 있게 마련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GPS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해 위치추적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고가이고 중량이 무거워 유아가 휴대하고 다니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국내등록번호 20-0239470호에는 미아위치파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위치파악 시스템의 운영 구성도이다.
이는 인공위성(13)을 이용하여 위치추적을 하는 GPS모듈(24) 및 위치추적된 위치정보를 서비스센터에 보내게 하는 RF모듈(22)을 내장한 단말기를 인형, 장난감, 시계, 목걸이, 팔찌 등의 물품(14)에 집어넣어 이 단말기가 부착된 물품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아이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인공위성(13)으로부터 GPS위치정보를 받아들이는 수신안테나(23), 상기 수신안테나(23)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모듈(24), 상기 위치정보를 입출력하는 I/O부(28), 상기 위치정보를 송수신 안테나(21)를 통해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고 웹서버(11)로부터의 서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RF모듈(22)과, GPS정보 및 서버정보를 I/O부(28)를 통해 받아서 처리하며 각각의 메모리(25,26,27)에 저장 및 독출하는 CPU(2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GPS모듈은 인공위성(13)으로부터 단말기의 위치파악된 위치정보를 수신안테나(23)를 통하여 수신하며, 상기 RF모듈(22)을 통하여 서비스센터(11)에 전송한다.
상기 RF모듈(22)은 상기 송수신안테나(21)와 상기 I/O부(28)와 함께 무선통신을 담당하여 단말기에서 받은 GPS 위치정보를 서비스센터(11)로 전송하고, 서비스센터(11)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린 아이들의 소재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실용신안은 실제 서비스를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서비스센터(11)에서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유아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서비스방법, 인공위성(13)으로부터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위치추적방법이 등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아서 서비스의 한계를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GPS위성으로부터 항법메시지 정보를 받아 자신의 위치좌표를 연산하는 위치추적단말에서 보낸 위치좌표를 GIS정보에 매핑하고 지도에 표시하여 보호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제공함으로써 미아발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미아가 발생한 경우 위치추적을 통해 미아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의 위치추적단말을 목걸이, 인형, 시계 등의 피추적 액세서리에 구비하여 유아 뿐만 아니라 치매인, 정신적 무능력자를 포함하는 장애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착용 및 보관이 용이한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피추적 액세서리에서 보호자의 단말이나 긴급센터에 호연결하여 자신의 상황을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 연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메시지(navigation message) 신호를 피추적 액세서리에 구비된 위치추적단말에 반송파를 통해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GPS위성과, 여러 GPS위성으로부터 구분된 항법메시지 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좌표를 연산하고 이를 발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추적단말이 구비된 피추적 액세서리와, 상기 위치추적단말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회원인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이용해 유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보호자의 단말에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와, 상기 서비스서버와 연동하고 위치제공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와 회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와, 상기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에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신청하여 회원으로 등록한 보호자의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GPS위성, 위치추적단말이 구비된 피위치 액세서리, DB서버,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 보호자단말, 긴급센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위치추적 서비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단말에서 GPS위성에서 보내온 항법메시지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수신이 가능한 경우 항법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여러 GPS위성에서 보내온 구분된 항법메시지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좌표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서비스서버에서 GIS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얻고, 이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로 표시한 추적위치정보를 얻는 단계와, 서비스서버에서 보호자단말에서 유무선망을 통해 접속한 경우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서비스서버에서 보호자단말의 화면에 서비스메뉴와 보호자인 회원이 서비스 받고자 등록한 위치추적단말이나,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출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서비스메뉴와 위치추적단말이나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선택된 서비스제공 수단으로 보호자단말이나 위치추적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추적단말(150)이 구비된 피추적 액세서리(100), GPS위성(200),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 DB서버(400), 보호자단말(700), 긴급센터(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추적 액세서리(100)는 위치추적단말(150)이 구비된, 인형 등의 장난감, 시계, 목걸이, 팔찌, 가방 등의 휴대가 용이한 물품을 통칭한다.
GPS위성(200)은 위치 연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메시지(navigation message) 신호를 피추적 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위치추적단말(150)에 반송파를 통해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GPS위성(200)은 기울임각이 55°인 6개의 원형 궤도면에 각각 4개씩 배치되고 지구 중심으로부터 26567.6km 상공에 위치되며 12시간의 주기를 갖는다.
각 GPS위성(200)에서 위치추적단말(150)로 송신되는 신호는 코드분할다중방식(CDMA)으로 전송되고, 위치추적단말(150)은 여러 GPS위성(200)에서 구분되는 신호를 받아서 위치좌표를 연산하고 이 위치좌표를 위치추적단말(150)에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자와함께 발신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발신 이동통신망(300)은 HLR(330)과 MSC(320) 및 VLR(322), BS(310)로 구성된다.
HLR(Home Location Register,330))은 홈 가입자의 위치정보와 서비스 정보등을 저장하고, MSC(Mobile Switching Center,320)는 호 접속기능을 담당하며 MSC(320) 내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we,322)은 방문가입자의 정보를 제공한다.
BS(Base Station,310)는 유선망과 무선구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VLR(322)은 MSC(32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HLR(300)은 MSC(32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BS(310)는 BTS(Basestation Transciever Subsystem,312)와 BSC(Base Station Controller,314)로 나누어져 구성할 수도 있고, 보통 1개의 서비스망에는 다수의 HLR(330)이 존재할 수도 있고, 1개의 HLR(330)에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VLR/MSC(320/322)가 접속될 수 있으며, 특히 1개의 MSC(320)에는 여러개의 BS(310)가 접속될 수 있다.
동일한 지역내에서 다수개의 이동통신망에 의한 서비스가 가능하며, 다수개의 망이 서비스영역을 완전히 중첩하거나 교차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MSC(320)에 추적좌표연산부(324)가 구비되어 위치추적단말(150)이 GPS위성(200)으로부터의 수신이 불가능하여 위치추적단말에서 위치연산을 할 수 없는 경우, 여러개의 BS(310)에서 보내온 위치추적단말(150)과의 신호세기를 통해 위치좌표를 연산하여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는 연산된 위치좌표를 GIS정보에 매핑하여 지도로 표시하고 이렇게 얻은 추적 위치정보를 DB서버(400)에 저장하며, 보호자단말(700)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이 오면 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적 위치정보를 문자나 음성과 연동하여 문자나 음성으로도 제공한다.
또한, 보호자단말(700)로부터 위치추적단말(150)에 대한 호출 요청이 있는 경우, 추적 위치정보를 참고로 추적된 위치에 가까운 BS(310)를 통해 위치추적단말(150)을 호출한다.
보호자단말(700)는 핸드폰, PDA 등의 이동통신단말(700)과 PC 등의 유선단말(720)로 이루어지고 유무선망(60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접속한다.
보호자는 보호자단말(700)을 이용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위치추적 서비스에 대한 약관에 동의하고 회원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한다.
회원정보는 회원의 신상정보(아이디나 패스워드 포함), 전화번호 등의 보호자단말에 대한 정보, 식별자 등의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회원이 다수의 보호자단말(700)이나 위치추적단말(15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명의 보호자가 여러명의 피보호자에 대한 위치추적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반대로 하나의 위치추적단말에 대해 다수의 보호자가 위치추적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위치추적단말의 구성도이다.
위치추적단말(150)에는 고유의 식별자가 부여되어 발신 이동통신망(300)의 BS(310)에 신호를 송신할 경우 신호에 식별자가 포함되어 송신된다.
제어부(170)는 위치추적단말(150)의 작동상태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GPS위성(200)으로부터 항법메시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감시하여 항법메시지 신호가 수신되면 추적좌표 연산부(166)로 하여금 위치좌표를 연산하게 하고, 긴급버튼(174)이 눌러진 경우 메모리부(168)에 저장된 보호자단말(700)의 전화번호나 긴급센터(800)의 전화번호로 직접 호연결을 시도하고, 호가 연결된 경우 마이크(162)를 통해 현장의 소리나 메모리부(168)에 기저장되어 있던 문자를 전송한다.
안테나(152)는 외부의 전파, 초음파, 적외선 등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곳으로, 특히 GPS위성(200)으로부터의 항법메시지 신호를 수신하고 BS(310)와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고받는다.
송신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마이크(162)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주파수 합성부(158)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와 함성하여 듀플렉서(154)로 출력한다.
듀플렉서(154)는 송신부(160)에서 처리된 신호를 안테나(152)로 보내거나 안테나(152)에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부(156)에 보내는 역할을 하며, 수신부(156)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듀플렉서(15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합성부(158)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합성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는 스피커(164)로 출력하고, 제어신호는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메모리부(168)는 위치추적단말(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또 위치추적단말의 동작시 발생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추적좌표연산부에서 연산한 위치좌표) 및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입력된 데이터(예를 들어 긴급상황 발생시의 보호자단말 전화번호나 긴급센터의 전화번호, 긴급상황 발생시 송신할 문자)를 저장한다.
긴급한 경우 사용하는 긴급버튼(174)은 한개 또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긴급버튼이 한개인 경우 긴급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170)는 메모리부(168)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우선순위에 따라 차례대로 호 연결을 시도하여 보호자단말(700)이나 긴급센터(800)에 호연결되도록 한다.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간단한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72)에는 보호자단말(700)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보호자단말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보호자단말로부터 원격 다운로드가 있는 경우 보호자단말의 전화번호와 간단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도 4는 DB서버와 서비스서버의 구성도이다.
DB서버(400)에는 추적위치정보 DB(402), GIS정보 DB(404), 위치좌표 DB(406), 문자/음성 DB(408), 회원정보 DB(410) 등이 구비된다.
GIS정보 DB(404)에는 현상세계에서 존재하는 지리,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결합한 데이터가 단순화 및 심볼화되어 저장된다.
위치좌표 DB(406)에는 위치추적단말(150)이나 MSC(320)의 추적위치연산부(166,324)에서 연산한 위치좌표가 위치추적단말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회원정보 DB(410)에는 회원의 신상정보(아이디나 패스워드 포함), 전화번호 등의 보호자단말에 대한 정보, 식별자 등의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가 포함된다.
추적위치정보 DB(402)에는 매핑서버(502)에서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검색하고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에 표시해서 얻은 추적위치정보가 위치추적단말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문자/음성 DB(408)에는 추적된 위치정보를 보호자단말(700)에 서비스하는 경우 그 위치정보를 문자나 음성으로도 제공할 수 있도록 문자나 음성이 저장된다.
서비스서버(500)는 보호자단말(700)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 인증을 수행한 후 보호자단말에게 추적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호자단말의 요청에 의해 위치추적단말(150)에 호출 서비스,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서버(500)는 상기한 3가지 서비스메뉴를 출력하고, 이중 하나를 선택하면 서비스서버에 구비된 서버를 구동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매핑서버(502), 연동서버(504), 사서함서버(506), 호출서버(508)가 구비된다.
매핑서버(502)는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GIS정보 DB(404)를 검색하여 얻고 이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에 표시한 추적위치정보를 얻고 이를 추적위치정보 DB(402)에 저장한다.
연동서버(504)는 사서함서버(506)로부터 추적위치정보에 대한 문자나 음성 제공요청이 오면 추적위치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음성과 연동시켜 사서함서버(506)에 전송한다.
사서함서버(506)는 보호자단말(700)에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보호자단말에 회원이 서비스 요청한 다수의 위치추적단말을 출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추적위치정보에 대해 받고자 하는 서비스제공 수단메뉴(지도, 문자, 음성)를 출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서함서버(506)는 보호자단말에서 위치추적단말과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의 추적위치정보를 선택된 서비스제공 수단으로 제공한다.
호출서버(508)는 사서함서버(506)에서 호출 요청이 온 경우, 그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의 추적위치정보를 참고로 위치추적단말과 가까운 BS(310)에 호출신호를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송신하여 해당 위치추적단말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호출서버의 이와 같은 기능을 이용해 간단한 메시지를 작성해서 해당 위치추적단말에 전송하여 원격으로 위치추적단말의 표시부(172)에 간단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다운로드 서비스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방법의 순서도로서, GPS위성으로부터 항법메시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 분리된 신호로부터 위치좌표를 연산하여 추적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위치추적단말의 제어부(170)는 GPS위성(200)에서 보내온 항법메시지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여(S502), 수신이 가능한 경우 GPS위성(200)에서 보내온 항법메시지 신호를 안테나(152)를 통해 수신한다(S504).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추적좌표 연산부(166)에서는 여러 GPS위성에서 보내온 구분된 항법메시지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를 연산하고 이를 메모리부(168)에 저장한다(S506).
제어부(170)에서는 연산된 위치좌표 정보를 안테나(152)와 발신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위치추적단말(150)의 식별자와 함께 서비스서버(500)에 전송한다(S508).
이때 발신 이동통신망의 MSC(320)에서는 서비스서버(500)에 보내는 정보중에 위치좌표 정보가 있는 경우 정보를 그대로 전송한다.
서비스서버(300)에서는 먼저 식별자를 참조로 위치좌표를 위치추적단말별로 위치좌표 DB(406)에 저장하고, 매핑서버(502)에서는 GIS정보 DB(404)에 저장된 GIS정보를 검색하여 그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얻고, 이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로 표시한 추적위치정보를 얻어 추적위치정보 DB(402)에 저장한다(S510).
상기한 단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다가 보호자단말(700)에서 유무선망(600)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접속이 있는 경우(S512), 서비스서버(500)는 보호자단말로부터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수행한다(S514).
인증이 수행된 후, 사서함서버(506)는 보호자단말의 화면에 서비스메뉴(위치정보제공 서비스, 호출 서비스, 다운로드 서비스)를 출력하고(S516), 보호자단말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해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선택하여 전송하면(S518), 보호자인 회원이 서비스 받고자 등록한 위치추적단말과 서비스제공 수단메뉴(지도, 음성, 문자)를 다시 보호자단말의 화면의 출력한다(S520).
보호자단말에서 위치정보 제공을 원하는 위치추적단말과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입력수단을 이용해 전송하면(S522),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추적위치정보를 선택된 서비스제공 수단인 지도, 음성, 문자 등의 방법으로 보호자단말에 제공한다(S524).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수단으로 지도를 선택한 경우 사서함서버(506)는 추적위치정보 DB(402)에 저장된 추적위치를 지도로 표시하여 보호자단말에 출력한다.
서비스제공 수단으로 문자나 음성을 선택한 경우, 사서함서버(506)는 연동서버(504)에 추적위치정보에 대한 문자나 음성 제공요청을 하고, 연동서버(504)는 추적위치에 관한 정보를 문자/음성 DB(408)의 문자나 음성과 연동시켜 사서함서버(506)에 제공하고, 사서함서버는 추적위치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음성으로 보호자단말(700)에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방법의 순서도로서, GPS위성으로부터 항법메시지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의 순서도이다.
위치추적단말의 제어부는 GPS위성에서 보내온 항법메시지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안테나(152)와 발신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서비스서버(500)에 전송한다(S602).
이때 발신 이동통신망(300)의 MSC(320)에서는 서비스서버(500)에 보내는 신호중에 위치좌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없는 경우, 자체에 구비된 추적좌표연산부(324)를 이용해 위치추적단말의 위치좌표를 연산한다.
즉, 추적좌표연산부의 연산이 가능한 경우(S604), 추적좌표 연산부에서는 서로 다른 BS(310)에서 보내온 위치추적단말(150)과의 신호세기를 수신받아 이 신호세기를 이용해 위치좌표를 연산하고(S606) 이를 식별자와 함께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전송한다(S608).
서비스서버(300)에서는 먼저 식별자를 참조로 위치좌표를 위치추적단말별로 위치좌표 DB(406)에 저장하고, 매핑서버(502)에서는 GIS정보 DB(404)에 저장된 GIS정보를 검색하여 그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얻고, 이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로 표시한 추적위치정보를 얻어 추적위치정보 DB(402)에 저장한다(S610).
상기한 단계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다가 보호자단말(700)에서 유무선망(600)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접속이 있는 경우(S612), 서비스서버(500)는 보호자단말로부터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수행한다(S614).
인증이 수행된 후, 사서함서버(506)는 보호자단말의 화면에 서비스메뉴(위치정보제공 서비스, 호출 서비스, 다운로드 서비스)를 출력하고(S616), 보호자단말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해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선택하여 전송하면(S618), 보호자인 회원이 서비스 받고자 등록한 위치추적단말과 서비스제공 수단메뉴(지도, 음성, 문자)를 다시 보호자단말의 화면의 출력한다(S620).
보호자단말에서 위치정보 제공을 원하는 위치추적단말과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입력수단을 이용해 전송하면(S622),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추적위치정보를 선택된 서비스제공 수단인 지도, 음성, 문자 등의 방법으로 보호자단말에 제공한다(S624).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수단으로 지도를 선택한 경우 사서함서버(506)는 추적위치정보 DB(402)에 저장된 추적위치를 지도로 표시하여 보호자단말에 출력한다.
서비스제공 수단으로 문자나 음성을 선택한 경우, 사서함서버(506)는 연동서버(504)에 추적위치정보에 대한 문자나 음성 제공요청을 하고, 연동서버(504)는 추적위치에 관한 정보를 문자/음성 DB(408)의 문자나 음성과 연동시켜 사서함서버(506)에 제공하고, 사서함서버는 추적위치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음성으로 보호자단말(700)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S604단계에서 MSC에 추적좌표연산부가 없거나 있더라도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MSC에서는 서로 다른 BS(310)에서 보내온 위치추적단말과의 신호세기중 가장 큰 신호세기를 갖는 BS가 관할하는 섹터(sector)를 식별자와함께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전송한다(S630).
이러한 경우 위치추적단말을 소지한 어린이나 장애인이 정확히 어느 곳에 있는 지는 알지 못하지만 대략 어느 구역에 있음을 알게 된다.
서비스서버(500)에서는 먼저 식별자를 참조로 섹터를 위치추적단말별로 위치좌표 DB(406)에 저장하고, 매핑서버(502)에서는 GIS정보 DB(404)에 저장된 GIS정보를 검색하여 섹터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얻고 이 GIS정보에 섹터를 매핑하여 지도로 표시한 추적위치정보를 얻어 추적위치정보 DB(402)에 저장한다(S632).
이후에는 S612단계 이후를 실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방법의 순서도로서, 위치추적단말에 구비된 긴급버튼을 누른 경우, 즉 긴급한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5나 도 6의 단계를 수행하여 시스템에서 위치추적단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얻는 중에, 제어부(170)는 긴급버튼(174)이 눌러진 경우(S712), 발신 이동통신망(300)과 유무선망(600)을 통해 메모리부(168)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보호자단말(700)이나 긴급센터(800)에 호연결을 시도한다(S714).
이 경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호연결 우선순위에 따라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차례대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호가 연결된 경우(S716), 제어부(170)에서는 추적좌표연산부(166)에서 연산하여 얻은 위치좌표를 포함하여 긴급상황임을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전송하여 알린다(S718).
이때, 마이크(162)가 작동하여 긴급한 상황에서의 주변의 소리나 메모리부(160)에 기저장된 문자가 전송되어 현장상황을 전송하게 된다.
위치추적단말(150)에서 GPS위성(200)으로부터의 항법메시지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하여 위치좌표를 얻을 수 없는 경우 위치좌표를 전송하지 않고 긴급상황임을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전송하게 된다.
긴급상황임을 알게 된 보호자나 긴급센터의 근무자들은 후속조치를 취하게 된다(S720).
만약 위치좌표가 전송되지 않아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 도 5의 S512-S524단계나 도 6의 S612-S624단계를 거쳐 보호자는 보호자단말(700)을 이용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접속하여 추적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후속조치를 취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위치추적 서비스를 이용해 호출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보호자단말에서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500)에 접속이 있는 경우(S802), 서비스서버는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수행한다(S804).
인증이 수행된 후, 사서함서버(506)는 보호자단말의 화면에 서비스메뉴(추적위치정보 서비스, 호출 서비스, 다운로드 서비스)를 출력하고(S806), 보호자단말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해 호출 서비스를 선택하여 전송하면(S808), 보호자인 회원이 서비스 받고자 등록한 위치추적단말을 다시 보호자단말의 화면의 출력한다(S810).
보호자단말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해 호출하고자 하는 위치추적단말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전송한다(S812),
사서함서버에서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호출을 호출서버(508)에 요청하면, 호출서버(508)는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추적위치정보를 추적위치정보 DB를 검색해서 알아내고 그 위치에 가까운 BS(310)를 통해 위치추적단말을 호출한다(S814).
S812단계에서 위치추적단말을 여러개 선택하면, 한꺼번에 많은 위치추적단말을 호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치추적단말의 표시부(172)에는 호출한 보호자단말의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위치추적 서비스를 이용해 다운로드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보호자단말에서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에 접속이 있는 경우(S902), 서비스서버는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수행한다(S904).
인증이 수행된 후, 사서함서버는 보호자단말의 화면에 서비스메뉴(추적위치정보 서비스, 호출 서비스, 다운로드 서비스)를 출력하고(S906) 보호자단말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해 다운로드 서비스를 선택하여 전송하면(S908), 보호자인 회원이 서비스 받고자 등록한 위치추적단말을 다시 보호자단말의 화면의 출력한다(S910).
보호자단말에서 입력수단을 이용해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위치추적단말을 선택하여 전송한다(S912).
사서함서버에서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다운로드를 호출서버(508)에 요청하면, 호출서버(508)는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추적위치정보를 추적위치정보 DB를 검색해서 알아내고 그 위치에 가까운 BS(310)를 통해 위치추적단말을 호출하여 간단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914).
S912단계에서 위치추적단말을 여러개 선택하면, 한꺼번에 많은 위치추적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치추적단말의 표시부에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상기 다운로드시에 메시지는 보호자단말의 입력수단을 이용해 직접 입력해서 전송할 수도 있고, 문자/음성 DB(408)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선택해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GPS위성으로부터 위성정보를 받아 자신의 위치좌표를 연산하는 위치추적단말에서 보낸 위치좌표를 GIS정보에 매핑하고 지도에 표시하여 보호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제공함으로써 미아발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미아가 발생한 경우 위치추적을 통해 미아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소형의 위치추적단말을 목걸이, 인형, 시계 등의 피추적 액세서리에 구비하여 유아 뿐만 아니라 치매인, 정신적 무능력자를 포함하는 장애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착용 및 보관이 용이한 위치추적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위치추적단말에서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직접 호연결하여 자신의 상황을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위치파악 시스템의 운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위치추적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는 DB서버와 서비스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서비스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위치추적 서비스를 이용해 호출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위치추적 서비스를 이용해 다운로드하는 경우의 순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피추적 액세서리 150 : 위치추적단말
200 : GPS 위성 300 : 발신 이동통신망
310 : BS 312 : BTS
314 : BSC 320 : MSC
322 : VLR 324 : 추적좌표 연산부
330 : HLR 400 : DB 서버
500 : 서비스서버 600 : 유무선망
700 : 보호자단말 710 : 이동통신 단말
720 : 유선단말 800 : 긴급센터

Claims (16)

  1. 위치 연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메시지(navigation message) 신호를 피추적 액세서리에 구비된 위치추적단말에 반송파를 통해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GPS위성과,
    여러 GPS위성으로부터 구분된 항법메시지 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좌표를 연산하고 이를 발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추적단말이 구비된 피추적 액세서리와,
    상기 위치추적단말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회원인 보호자가 보호자단말을 이용해 유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보호자의 단말에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와,
    상기 서비스서버와 연동하고 위치제공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와 회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와,
    상기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에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신청하여 회원으로 등록한 보호자의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의 MSC에는 GPS위성에서 보낸 항법메시지 신호를 위치추적단말이 수신하지 못하여 위치좌표를 연산할 수 없는 경우, 여러 개의 BS에서 보내온 위치추적단말과의 신호세기를 통해 위치좌표를 연산하는 추적좌표연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단말에는 긴급버튼, 긴급문자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부, 마이크가 구비되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긴급버튼을 누른 경우, 위치추적단말에서 보호자의 단말이나 긴급센터와 직접 호연결을 시도하고 호연결이 된 경우, 마이크를 통해 현장의 소리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긴급문자메시지를 보호자의 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B서버에는,
    현상세계에서 존재하는 지리,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결합한 데이터가 단순화 및 심볼화되어 저장된 GIS정보 DB와,
    위치추적단말의 현재 위치를 연산한 좌표가 위치추적단말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위치좌표 DB와,
    회원의 신상정보, 보호자단말에 대한 정보,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가 회원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회원정보 DB와,
    추적된 위치정보를 보호자단말에 제공하는 경우 그 위치정보를 문자나 음성으로도 제공할 수 있도록 문자나 음성이 저장된 문자/음성 DB와,
    상기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검색하고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에 표시해서 얻은 추적위치정보가 위치추적단말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추적위치정보 D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상기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GIS정보 DB를 검색하여 얻고, 이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에 표시한 추적위치정보를 얻고 이를 추적위치정보 DB에 저장하는 매핑서버와,
    상기 보호자단말의 화면에 서비스메뉴와 추적위치단말 또는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출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단말에서 선택한 서비스를 선택한 서비스제공 수단으로 보호자단말이나 위치추적단말에 제공하는 사서함서버와,
    사서함서버로부터 추적위치정보에 대한 문자나 음성 제공요청이 오는 경우 추적위치에 관한 정보를 문자/음성 DB에 저장된 음성과 연동시켜 사서함서버에 전송하는 연동서버와,
    상기 사서함서버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이 온 경우,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위치를 추적위치정보 DB를 검색하여 알아내고 추적위치단말과 가까운 BS를 통해 위치추적단말을 호출하는 호출서버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위치 서비스 시스템.
  6. GPS위성, 위치추적단말이 구비된 피위치 액세서리, DB서버,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 보호자단말, 긴급센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위치추적 서비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단말에서 GPS위성에서 보내온 항법메시지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수신이 가능한 경우 항법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여러 GPS위성에서 보내온 구분된 항법메시지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를 연산하고 연산된 위치좌표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서비스서버에서 GIS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GIS정보를 얻고, 이 GIS정보에 위치좌표를 매핑하여 지도로 표시한 추적위치정보를 얻는 단계와,
    서비스서버에서 보호자단말에서 유무선망을 통해 접속한 경우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서비스서버에서 보호자단말의 화면에 서비스메뉴와 보호자인 회원이 서비스 받고자 등록한 위치추적단말이나,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출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서비스메뉴와 위치추적단말이나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선택된 서비스제공 수단으로 보호자단말이나 위치추적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메뉴는 위치정보제공 서비스, 위치추적단말을 호출하는 호출 서비스, 위치추적단말에 간단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운로드 서비스이고, 위치정보제공 서비스의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는 지도, 음성,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서비스메뉴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선택하고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로 지도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서버에서 위치추적단말의 위치정보를 지도로 표시하여 보호자단말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서비스메뉴로 위치정보제공 서비스를 선택하고 서비스제공 수단메뉴로 음성이나 문자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서버에서 위치추적단말의 위치정보를 DB서버에 저장된 음성이나 문자와 연동시켜 보호자단말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서비스메뉴로 호출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서버에서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추적위치정보를 DB서버를 검색해서 알아내고 그 위치에 가까운 BS를 통해 위치추적단말을 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에서 서비스메뉴로 다운로드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서비스서버에서 선택된 위치추적단말에 대한 추적위치정보를 DB서버를 검색해서 알아내고 그 위치에 가까운 BS를 통해 위치추적단말에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GPS위성에서 보내온 항법메시지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위치추적단말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발신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 이동통신망의 MSC에서 서비스서버에 보내는 신호중에 위치좌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감시하여 없는 경우, 서로 다른 BS에서 보내온 위치추적단말과의 신호세기를 수신받아 이 신호세기를 이용해 위치좌표를 연산하고, 이를 식별자와 함께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MSC에서 추적위치단말에 대한 위치좌표의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추적위치단말과 가까운 BS가 관할하는 섹터를 위치좌표로 하여 이를 식별자와 함께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서버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를 거쳐 위치추적을 하는 중에 피추적 액세서리의 소지자에게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위치추적단말에 구비된 긴급버튼을 누른 경우,
    위치추적단말에서 자체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직접 호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호가 연결된 경우, 연산된 위치좌표를 포함하여 긴급상황임을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전송하여 알리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전송단계에서,
    현장상황의 소리나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긴급문자메시지가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호연결 시도단계에서,
    다수의 보호자단말이나 긴급센터에 우선순위에 따라 호연결이 될 때까지 차례대로 호연결을 시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방법.
KR1020040019759A 2004-03-23 2004-03-23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4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759A KR20050094580A (ko) 2004-03-23 2004-03-23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759A KR20050094580A (ko) 2004-03-23 2004-03-23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580A true KR20050094580A (ko) 2005-09-28

Family

ID=3727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759A KR20050094580A (ko) 2004-03-23 2004-03-23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458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23B1 (ko) * 2006-03-07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2176970A1 (ko) * 2011-06-22 2012-12-27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0120B1 (ko) * 2011-09-22 2013-06-28 최인섭 감시대상자정보 음성알림을 위한 plvs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성안내방법
KR101284139B1 (ko) * 2009-10-22 2013-07-10 김성수 위치정보 제공 인증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제공 방법
US8606298B2 (en) 2010-03-11 2013-12-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using TV
KR101412818B1 (ko) * 2012-06-05 2014-06-27 주식회사 아이에스디엔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규모지역 또는 건물의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4112687A1 (ko) * 2013-01-16 2014-07-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유아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441601B1 (ko) * 2007-11-09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긴급서비스시 지피에스 지원 측위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67301B1 (ko) * 2010-11-04 2014-12-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휴대용 신호 송출 장치, 서버 및 단말기
WO2018044412A1 (en) * 2016-08-30 2018-03-08 Global Business Software Development Technologies, Inc. Reducing fraudulent activity associated with mobile networks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23B1 (ko) * 2006-03-07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41601B1 (ko) * 2007-11-09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긴급서비스시 지피에스 지원 측위를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84139B1 (ko) * 2009-10-22 2013-07-10 김성수 위치정보 제공 인증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제공 방법
US8606298B2 (en) 2010-03-11 2013-12-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using TV
KR101467301B1 (ko) * 2010-11-04 2014-12-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휴대용 신호 송출 장치, 서버 및 단말기
WO2012176970A1 (ko) * 2011-06-22 2012-12-27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24282B2 (en) 2011-06-22 2015-12-29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978241B2 (en) 2011-06-22 2018-05-22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510237B2 (en) 2011-06-22 2019-12-17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017650B2 (en) 2011-06-22 2021-05-25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217078B2 (en) 2011-06-22 2022-01-04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436907B2 (en) 2011-06-22 2022-09-06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532222B2 (en) 2011-06-22 2022-12-20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80120B1 (ko) * 2011-09-22 2013-06-28 최인섭 감시대상자정보 음성알림을 위한 plvs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성안내방법
KR101412818B1 (ko) * 2012-06-05 2014-06-27 주식회사 아이에스디엔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규모지역 또는 건물의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4112687A1 (ko) * 2013-01-16 2014-07-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유아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8044412A1 (en) * 2016-08-30 2018-03-08 Global Business Software Development Technologies, Inc. Reducing fraudulent activity associated with mobile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49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 wearable device
KR100626999B1 (ko) 무선 통신 장치에서 속도 감지 동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51673B2 (ja) 移動端末グループの追跡
US799972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on determination via multi-mode operation
ES2326025T3 (es) Sistema de posicionamiento.
JP4767974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3707311B2 (ja)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1749992B1 (ko) 시간 범위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방법
WO2003015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cking and communication
JP5217654B2 (ja) 携帯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06001140A1 (ja) 携帯端末とこれを用いた無線品質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10136292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KR20050094580A (ko) 위치추적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200726717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125771B2 (ja) 端末周辺情報の提供方法および提供システム
KR2007007543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gps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방법
KR20070071569A (ko) 미아방지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0552260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JPH09247730A (ja) 位置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238197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1301586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단말기
US20160286358A1 (en) Navigational aid
JP200830667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近距離内通信相手探索方法
JPH06311093A (ja) 携帯電話装置
JP2003149317A (ja) 携帯電話及び位置探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