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521A -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 Google Patents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521A
KR20050093521A KR1020040018996A KR20040018996A KR20050093521A KR 20050093521 A KR20050093521 A KR 20050093521A KR 1020040018996 A KR1020040018996 A KR 1020040018996A KR 20040018996 A KR20040018996 A KR 20040018996A KR 20050093521 A KR20050093521 A KR 20050093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224B1 (ko
Inventor
민동욱
정건필
서보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1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2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7Removable protection for the nape, e.g. sun or rai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6Manipulation of hat-bri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기에 내장된 오디오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중파 방송 수신 및 카메라를 통한 촬영에 필요한 대부분의 회로들이 착탈 가능하게 구현됨에 따라 본체는 기존의 단말기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추가로 단일의 방송 수신 모듈로 예를 들면 GSM, CDMA, 셀룰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나아가 다양한 모델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내 또는 야간 촬영시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플래쉬와, 공중파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티브이 신호 또는 FM 라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상에 따라 카메라부와 방송 수신부가 동일한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들은 단일의 신호 처리부에 의해 택일적으로 처리되며,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기에 내장된 오디오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A mobile terminal with speed-light and broadcasting receiver modul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기에 내장된 오디오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 확대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요구와 업체간의 경쟁에 의해 날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는 최근 들어 신규로 보급되는 단말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게다가 최근 들어서는 티브이 시청이 기능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된 바 있다. 메모리의 대용량화와 함께 이 같은 추세는 단말기의 개인용 멀티미디어 기기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티브이 신호와 FM 라디오 신호는 주파수 대역이 비슷하여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FM 라디오 신호의 청취가 가능한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안테나의 공유에 그치고 있어 알에프 단에서 신호의 스위칭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알에프 스위치의 손실만큼 수신 감도를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통상 "티브이폰"이라고 불리는 티브이 시청 기능을 갖춘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 부품들과 티브이 기능 관련 부품들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현하여, 전체 사이즈가 콤팩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단말기 본체의 사이즈는 통상적인 단말기에 비해 커지고, 티브이 알에프 신호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알에프 회로와 간섭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성이 강조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이 같은 많은 기능을 구현한다는 것은 단말기내 필요한 공간의 확보라는 물리적인 문제 뿐 아니라 시스템간의 적절한 제어를 위한 효율적인 아키텍쳐를 요구한다. 게다가 빈번하게 추가되는 기능들로 인해 그때마다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쳐를 설계한다는 것은 비용과 시간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공중파 방송에서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기존의 오디오 회로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출력하는 착탈 가능한 방송 수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공중파 방송 수신 기능 관련 부품과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부품간의 무선 간섭을 최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래쉬 기능을 포함하는 착탈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티브이 시청 및 라디오 청취가 가능하면서도 본체의 사이즈를 줄인 콤팩트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공중파 수신 및 카메라의 플래쉬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시스템 아키텍쳐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단말기 내 각 모듈간의 통일적이고 체계적인 제어가 가능한 콤팩트한 시스템 아키텍쳐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새로운 기능 모듈의 추가시 설계가 용이한 시스템 아키텍쳐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중파로 수신되는 티브이 신호 또는 FM 라디오 신호로부터 영상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모듈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기 내의 오디오 회로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송 수신 모듈에 실내 또는 야간 촬영시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는 플래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티브이 기능에 필요한 대부분의 회로들이 착탈 가능하게 구현됨에 따라 본체는 기존의 단말기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추가로 단일의 티브이 수신 모듈로 예를 들면 GSM, CDMA, 셀룰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나아가 다양한 모델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부와 방송 수신부가 동일한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들은 단일의 신호 처리부에 의해 택일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기존의 카메라폰에 티브이 수신 기능을 부가함에 있어서, 기존 하드웨어를 최소로 수정하고 새롭게 추가되는 부품수를 최소로 하면서도 전체 시스템의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내 미디어 데이터를 단일의 포맷화하여 물리적으로 동일한 버스 상에서 유통 가능할 뿐 아니라 논리적으로도 동일한 처리에 의해 취급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각각의 기능 모듈들은 메인 모듈에 의해 제어 버스를 통해 접근가능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모듈내의 개별기능들이 메인 모듈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의 통일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나아가 새로운 모듈의 추가시 버스에 편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하드웨어적인 설계가 매우 간편해지고, 추가로 소프트웨어 설계에 있어서도 표준적인 기본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착탈식으로 제작된 방송 수신 모듈(10)과,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20)로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0)과 본체(20)는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다. 방송 수신 모듈(10)에는 자체에 공중파 수신용 안테나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크게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공통되는 구성인 폰제어부(100) 및 그 부속회로들과, 착탈 가능한 방송 수신 모듈(300)과, 신호 처리부(400)와, 오디오 재생부(250)와, 오디오 출력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속회로들은 키패드(210)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20)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230)와, 상기 무선 통신부(230)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회로(240)를 포함한다.
키패드(210)와, 통상 액정표시장치인 표시부(22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3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부(230)는 다양한 버전의 CDMA방식 뿐 아니라 셀룰러, GSM, W-CDMA 방식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 방식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음성 입출력 회로(24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무선 통신부(230)의 기저대역 회로와, 폰제어부(10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논리적으로 이들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10)와, 키패드(21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120)는 버츄얼 머신과 같은 편리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이 지원되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제반 제어를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20)는 예를 들면 I2C 버스와 같은 직렬버스를 통해 외부 아이씨들과 인터페이스 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조작부를 통해 조작 명령이 입력되거나 통화 착신 등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스템 제어부(120)는 필요한 제어 명령을 발한다.
방송 수신 모듈(300)은 공중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으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티브이 신호의 영상 및 오디오 신호와 FM 라디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부(31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400)에 의해 처리되어 표시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신호 처리부(400)는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티브이의 영상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택일적으로 처리하여 표시부(220)로 출력한다. 오디오 재생부(250)는 벨소리, 효과음 또는 음악파일 재생과 같은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재생하여 오디오 출력부(260)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60)는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재생부(250)로부터 재생된 벨소리 또는 효과음과 같은 다양한 재생음을 시스템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중파로 수신되는 티브이 신호 또는 FM 라디오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부(310)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모듈(300)과, 방송 수신 모듈(3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고 표시부(220)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400)와, 벨소리 또는 음악 파일과 같은 음원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250)와, 방송 수신부(310) 또는 오디오 재생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31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티브이 신호 또는 FM 라디오 신호를 공통된 RF 단에서 1차 복조한 후 시스템 제어부(120)의 선택 제어에 따라 티브이 중간주파 처리부 혹은 FM 중간주파 처리부에서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복조된 영상신호와 티브이 신호 또는 라디오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400)는 본 출원인이 원래는 카메라폰의 신호처리용으로 개발했던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방송 수신부(310)에도 특별한 구조적인 변경 없이 그대로 채택되었다. 또한 방송 수신부(310)를 위한 별도의 신호처리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 카메라부(500)를 위한 기존의 신호 처리부(4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장점으로 된다.
오디오 재생부(250)는 예를 들면, 벨소리 재생을 위한 YAMAHA 칩과 같은 음원 재생 칩 또는 MP3 재생을 위한 DSP 칩으로 구성되며, 벨소리, 효과음 또는 음악파일 재생과 같은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재생하여 오디오 출력부(260)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60)는 기존의 단말기 내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부(260)를 특별한 구조적인 변경 없이 그대로 채택하였다. 또한 방송 수신부(310)를 위한 별도의 오디오 신호 처리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 오디오 재생부(250)에 의해 재생된 벨소리 또는 효과음의 출력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장점으로 된다. 오디오 출력부(260)는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단말기내의 벨소리 또는 효과음과 같은 다양한 재생음을 시스템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렌즈계(510)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수신 모듈(300)은 촬영시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는 플래쉬(320)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부(500)는 렌즈계(510)와, 렌즈계(510)로부터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520)와, 촬상부(5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디지털로 변환한 후 신호 처리부(400)의 입력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530)와, 전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렌즈계(510)는 소형의 하나 혹은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며, 빛을 집광하여 촬상부(520)에 공급한다. 촬상부(520)는 통상 CMOS 촬상소자 또는 CCD 촬상소자로 구성되며, 각 픽셀별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클럭에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공지의 소자이다. 변환부(530)는 촬상부(5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밝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을 약간의 처리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데이터 값을 YUV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부(530)는 주지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JPEG 포맷으로 압축하거나 MPEG 포맷으로 압축하는 코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320)는 크세논 방전관에 고압직류를 통했을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방전광을 촬영용 광원으로 이용하는 카메라 부속품으로써, 보통 스트로보(strobo)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상품명이며, 일렉트로닉플래시(electronic flash), 스피드플래시라고도 한다. 전원으로는 주로 적층 건전지를 써서 필요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킨다. 그 종류로는 가이드 넘버(GN) 14∼30의 클립 온타이프, GN 30∼50의 클립 타이프가 있다. 발광시간은 1/1,000초 정도로 대단히 짧고, 백색광(자연광)처럼 매우 밝으므로 인공광의 주요한 광원 역할을 한다. 사진 촬영용뿐만 아니라 섬광시간이 짧은 것을 이용하여 항공등대 등의 조명,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의 라이프타임 측정 및 회전계나 뇌의 반사응답 측정 등 각 분야에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3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충전하는 충전부(321)와, 충전부(321)에 충전된 전기적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빛으로 변환하여 조광하는 발광부(322)를 포함한다. 플래쉬(320)는 시스템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부(322)를 통해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여 실내 또는 야간 촬영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처리부(400)는 카메라부(50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영상 신호와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영상 신호 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처리하여 표시부(220)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모듈(300)과 신호 처리부(4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31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튜너부(311)와, 튜너부(311)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부(312)와, 단말기의 폰제어부(100)의 시스템 제어부(120)로부터의 직렬 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315)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부(310)와,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출력부(260)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314)와, 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듈(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313)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310)는 공중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이 안테나는 이동 통신용 안테나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스트립 패치 안테나 형태와 같은 경우에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안테나로 공용될 수도 있다.
튜너부(311)는 NTSC, PAL 과 같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용의 튜너 중의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을 모두 지원하는 공용의 튜너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튜너부(311)는 위성에 기초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이나 와이어리스 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방송과 같은 이동통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400)는 방송 수신부(3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0)와,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영신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420)와, 영상 처리부(4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220)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430)를 포함한다.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0)는 YUV 포맷의 8비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서 버퍼링한다. 영상 처리부(420)는 격행주사 방식의 티브이 신호를 순차주사 방식으로 변환하고, 이들을 표시장치의 해상도에 맞도록 보간(interpolation) 및/또는 추림(decimation)처리하여 스케일링하며, 추가로 내부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압축해제하기 위한 코덱(CODEC)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덱은 MPEG 인코더/디코더와, 캡쳐링된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고 독출하기 위한 JPEG 인코더/디코더를 포함한다. 이들은 DSP와 코어에 의해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영상 처리부(420)는 화질 개선을 위한 선명도 향상회로와, 콘트라스트, 명암 조절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그래픽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간단한 몇 개의 필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출력부(430)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0)에서 직접 또는 영상 처리부(4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16 비트의 RGB 데이터 포맷으로 표시부(22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420)에서 MPEG 방식으로 압축되어 내부의 대용량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처리부(400)는 직렬버스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부(310) 또는 플래쉬(3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렬버스는 I2C 버스이다. Inter-IC라고도 불리는 I2C는 집적회로들 간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두 가닥 선의 양방향 직렬 버스이다. 필립스는 TV, VCR 및 오디오 장비 등과 같은 대량 생산되는 제품용으로 I2C 버스를 이미 20년 전에 소개하였다.
본 원 발명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의 영상신호는 단일의 포맷으로 버스 상에서 유통되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포맷은 YUV 포맷이다. 따라서 각각의 영상 처리 모듈들은 내부적인 출력을 YUV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내부적인 입력은 YUV로 가정하여 처리한다. 외부와의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수신부(310)와 신호 처리부(400) 역시 각각 단일의 패키지로 제공된다. 방송 수신부(310)는 내부에 몇 개의 아이씨 모듈을 포함한 패키지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부(400)는 단일의 아이씨 패키지이나 내부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내부 메모리들,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들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미디어 신호처리에서 호스트 역할을 하는 신호 처리부(400)의 카메라부(500) 및 방송 수신부(310)의 제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부(500)는 신호 처리부(400)의 외부칩 제어부(440)의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칩선택부(560)와, 신호 처리부(400)로부터의 직렬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550)와, 칩선택부(560) 및 버스인터페이스부(573)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5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수신부(310)는 신호 처리부(400)의 외부칩 제어부(440)의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칩선택부(316)와, 신호 처리부(400)로부터의 직렬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315)와, 칩선택부(316) 및 버스 인터페이스부(315)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3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쉬(320)는 신호 처리부(400)의 외부칩 제어부(440)의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칩선택부(325)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충전하는 충전부(321)와, 충전부(321)에 충전된 전기적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빛으로 변환하여 조광하는 발광부(322)와, 폰제어부(100)의 시스템 제어부(120)로부터 직렬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324)와, 버스 인터페이스부(324)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부(32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플래쉬 제어부(323)를 포함한다.
플래쉬 제어부(323)는 버스 인터페이스부(324)를 통해 플래쉬(320)의 사용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부(321)에 연결하고, 충전부(321)는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충전한다. 플래쉬 제어부(323)는 설정된 전원이 충전부(321)에 충전될 경우, 이를 체크하여 버스 인터페이스부(324)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120)로 충전 완료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가 사진 촬영, 예를 들면 단말기의 키패드(210)의 소정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촬영 신호를 입력하면, 시스템 제어부(120)는 I2C와 같은 직렬버스를 통해 플래쉬 제어부(323)로 플래쉬(320) 구동 명령을 전송하고, 플래쉬 제어부(323)는 발광부(322)를 통해 충전부(321)에 충전된 전기적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빛으로 변환하여 조광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처리부(400)는 카메라부(500)로부터의 제 1 영상신호 또는 방송 수신부(310)로부터의 제 2 영상신호를 택일적으로 입력받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0)와, 카메라부(500)와 방송 수신 모듈(300)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외부칩 제어부(440)와, 카메라부(500)와 방송 수신부(3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칩 제어부(450)와, 외부칩 제어부(440) 및 외부칩 제어부(450)를 통해 외부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이때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신호 처리부(400)의 제어부(460)는 방송 수신부(310)의 튜너부(311) 및 디코더부(312)를 복수의 주소 할당에 의해 개별적으로 액세스하도록 외부칩 제어부(45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칩 제어부(440)와 칩선택부(316, 325, 460)는 칩 셀렉트 로직에 의해 동작한다. 외부칩 제어부(440)는 카메라부(500) 또는 방송 수신부(310) 또는 플래쉬(320)를 택일적으로 선택한다. 각각의 칩선택부(571, 771)는 이 신호를 검출하여 각각의 제어부로 하여금 동작을 준비시킨다.
일단 외부칩 제어부(440)에 의해 한 개의 모듈이 선택되면, 신호 처리부(400)의 제어부(460)는 외부칩 제어부(450)를 통해 각각의 모듈들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거나 동작 중에도 외부칩 제어부(450)를 통해 각각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버스 인터페이스부(315, 324, 470, 450)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I2C 버스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부(500)의 촬영 동작, 밝기 조절 동작, 해상도 등에 각각 하나씩의 주소가 할당되고, 방송 수신부(310)에서 채널 선국, 오디오 출력레벨, 디코더 동작에 각각 하나씩의 주소가 할당될 수 있으며, 플래쉬(320)에서 충전부(321)에 충전된 전원, 발광부(322)의 발광시간 및 빛의 강약 조절에 각각 하나씩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제어부(460)는 외부칩 제어부(450)를 통해 이들 주소에 제어 명령을 기록함으로써 카메라를 촬영한다든지, 카메라의 밝기를 조절한다든지, 촬영시 플래쉬(320) 사용을 설정한다든지,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한다든지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60)는 외부칩 제어부(450)를 통해 이들 주소에 제어 명령을 기록함으로써 티브이 및 FM 라디오의 채널을 바꾼다든지, 볼륨을 조정한다든지, 출력되는 영상의 포맷을 바꾼다든지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들 제어에 의해 카메라부(500)에서 변환부(530)를 거쳐 출력되는 영상신호나 방송 수신부(310)의 디코더부(31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동일한 8비트 YUV 포맷의 신호이므로 신호 처리부(400)의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0)에서 입력되어 동일한 영상 처리부(420)나 영상 출력부(430)에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부(260)는 영상 데이터가 처리되어 단말기로 전송되고, 표시부(22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데 필요한 지연을 고려하여,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오디오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부(3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복조하여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400)의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0)로 전달되고, 전달된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420)에 의해 격행주사 방식의 티브이 신호를 순차주사 방식으로 변환하고, 이들을 표시장치의 해상도에 맞도록 보간(interpolation) 및/또는 추림(decimation)처리하여 스케일링하며, 추가로 내부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압축된다. 영상 처리부(420)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4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16 비트의 RGB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어 표시부(220)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영상 신호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 표시부(220)로 출력되므로 튜너부(311)에서 복조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이한 출력시간을 갖는다. 오디오 출력부(260)의 지연회로는 시스템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부(260)는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260)의 처리 포맷에 맞게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일 경우 변환 회로는 이를 오디오 출력부(260)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4 는 튜너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방송 신호는 UHF 필터(611)와 VHF 필터(612)를 거치면서 각각 UHF 대역의 신호와 VHF 대역의 신호로 분리된다. 각 대역의 신호는 각각의 LNA(Low Noise Amplifier)(613, 614)를 거치면서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신호는 PLL 아이씨(617)에 공급되어 채널 동조 명령에 따라 각 채널별 신호가 선택되고, 국부발진기와 믹싱되어 중간주파 신호로 복조된다. 이때 각각의 신호에 대한 국부발진 주파수는 각 대역별 전압제어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615, 616)에서 공급된다. 이들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채널 동조를 제어하는 도 3의 수신 제어부(313)에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다른 일 양상에 따라 튜너부(311)는 RF 복조부(600)에서 출력되는 티브이 중간주파(IF) 신호 및 FM 중간주파 신호를 상기 중간주파 신호 처리부(625)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중간주파(IF) 스위치(621)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중간주파 스위치(621)의 티브이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영상 중간주파(VIF) 앰프와, 상기 영상 중간주파 앰프의 출력을 필터링하여 상기 중간주파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영상 중간주파 필터와, 상기 중간주파 스위치의 FM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FM 중간주파(AIF) 앰프와, 상기 FM 중간주파 앰프의 출력을 필터링하여 상기 중간주파(IF)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FM 중간주파 필터를 포함한다.
1차 복조된 중간주파 신호는 IF(Intermediate Frequency : 중간주파수) 스위치(621)로 공급된다. IF 스위치(621)는 도 3의 수신 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티브이 방송 수신 모드이면, 입력되는 중간주파 신호를 VIF 앰프(622)측으로 스위칭하고, FM 방송 수신 모드이면, 입력되는 중간주파 신호를 AIF 앰프(623) 측으로 스위칭하여 공급한다. 이들은 각각의 중간주파 앰프(622, 623), 중간주파 필터(624, 625)를 거쳐 IF 신호 처리부(630)로 공급된다.
공급된 중간주파 신호는 IF 신호 처리부(630)에서 2차 복조되어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각각 영상 출력부(626) 및 음성 출력부(627)로 출력된다. 이때 티브이 음성 출력과 라디오 음성 출력은 IF 신호 처리부(630) 내에서 믹싱되어 음성 출력부(627)로 출력된다. 이때 IF 신호 처리부는 채널 동조를 제어하는 도 3의 수신 제어부(313)에서 제어된다. 또한 음성 출력부(627)의 출력 레벨, 즉 볼륨도 도 3의 수신 제어부(313)에서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코더부(312)는 영상 출력부(626)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으로부터 디지털 YUV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디코더부(312)의 동작은 수신 제어부(313)에 의해 제어된다.
도 5는 도 4의 IF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F 신호 처리부(630)는 RF 복조부(600)에서 출력되는 티브이 중간주파(IF) 신호를 중간주파 복조하여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티브이 중간주파 신호 처리부와, 상기 RF 복조부(600)에서 출력되는 FM 중간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FM 중간주파 신호 처리부와, 상기 티브이 중간주파 신호 처리부 또는 FM 중간주파신호 처리부의 음성 신호를 출력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639)를 포함한다.
티브이 중간주파 신호 처리부는 영상 IF 신호를 입력받아 전치 증폭하는 영상 전치증폭기(631)와, 전치 증폭된 영상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는 VIF PLL(Phase Locked Loop)부(633)와, 복조된 신호에서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음성 출력부(639)로 공급하는 음성 트랩부(637)를 포함한다. VIF PLL(633)에서는 전치 증폭기의 이득을 자동 조절하는 FM IF AGC(Automatic Gain Controller)(635)로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FM 중간주파 신호 처리부는 FM IF 신호를 입력받아 전치 증폭하는 FM 전치증폭기(632)와, 전치 증폭된 FM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는 FM IF PLL(Phase Locked Loop)부(634)와, 기저대역 신호에서 FM 복조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음성 출력부(639)로 공급하는 FM 협대역 복조부(638)를 포함한다. FM IF PLL(634)에서는 전치 증폭기(632)의 이득을 자동 조절하는 FM IF AGC(Automatic Gain Controller) (636)로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공중파 방송의 수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플래시 기능이 구비된 방송 수신 모듈을 착탈식으로 구현하였으므로 본체를 콤팩트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의 안테나와 RF 대역 회로를 채택하여 티브이 신호 수신과 FM 라디오 수신이 가능하며, 단말기 내의 오디오 회로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재생이 가능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하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방송 수신회로와 이동통신을 위한 회로가 분리되고 케이스 상에서 차폐되어 전자파 간섭에 의한 수신율 저하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단일의 신호 처리부에 의해 카메라부의 영상과 방송 수신부의 영상을 처리하므로 하드웨어를 줄이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영상처리 경로와 별도로 동작 제어를 위한 버스를 구비하여, 복잡한 모듈들의 제어를 통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 설계나 기능 추가, 설계변경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는 튜너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의 IF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송 수신 모듈 20. 본체
100. 폰제어부 110. 통신 제어부
120. 시스템 제어부 210. 키패드
220. 표시부 230. 무선 통신부
240. 음성 입출력 회로 250. 오디오 재생부
260. 오디오 출력부 270. 플래시 메모리
300. 방송 수신 모듈 310. 방송 수신부
311. 튜너부 312. 디코더부
313. 수신 제어부 314. 오디오 신호 변환부
315. 버스 인터페이스부 316. 칩선택부
320. 플래쉬 321. 충전부
322. 발광부 323. 플래쉬 제어부
324. 버스 인터페이스부 325. 칩선택부
400. 신호 처리부 410. 미디어 인터페이스부
420. 영상 처리부 430. 영상 출력부
440. 외부칩 제어부 450. 버스 인터페이스부
460. 제어부 470. 메모리 제어부
500. 카메라부 510. 렌즈계
520. 촬상부 530. 변환부
540. 카메라 제어부 550. 버스 인터페이스부
560. 칩선택부 600. RF 복조부
611. UHF 필터 612. VHF 필터
613. UHF LNA 614. VHF LNA
615. UHF VCO 616. VHF VCO
617. PLL 621. IF 스위치
622. VIF 앰프 623. AIF 앰프
624. VIF 필터 625. AIF 필터
626. 영상 출력부 627. 음성 출력부
630. IF 신호 처리부 631. 영상 전치 증폭기
632. FM 전치 증폭기 633. VIF PLL
634. FM IF PLL 635. FM IF AGC
636. FM IF AGC 637. 음성 트랩부
638. FM 음성 협대역 복조부 639. 음성 출력부

Claims (10)

  1. 키패드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회로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폰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공중파 신호로부터 복조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모듈과;
    상기 오디오 재생부 또는 방송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폰제어부의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직렬 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와;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렌즈계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영상 신호와, 상기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영상신호 중의 하나를 택일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피사체 촬영시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적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빛으로 변환하여 조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폰제어부의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직렬 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플래쉬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래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직렬 버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버스가 I2C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수신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는 TV/FM 방송 선택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부가:
    벨소리 음원 재생을 위한 칩 또는 MP3 파일 플레이를 위한 DSP 칩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두 칩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18996A 2004-03-19 2004-03-19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KR10064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96A KR100645224B1 (ko) 2004-03-19 2004-03-19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96A KR100645224B1 (ko) 2004-03-19 2004-03-19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21A true KR20050093521A (ko) 2005-09-23
KR100645224B1 KR100645224B1 (ko) 2006-11-10

Family

ID=3727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996A KR100645224B1 (ko) 2004-03-19 2004-03-19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2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8745A (ja) 2002-07-04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再生システム及び放送受信装置
JP2004088618A (ja) 2002-08-28 2004-03-18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224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2181B2 (ja) 端末機の画像合成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JP2004328740A (ja) 携帯端末機のtv受信中の通話遂行装置及び方法
KR100591810B1 (ko) 내장 티브이 모듈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를 외부 기기로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14079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V reception function
KR100645224B1 (ko)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KR20040001170A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US20050130703A1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TV image on both main and sub display units
KR20050093522A (ko)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KR100605225B1 (ko) 카메라 프리뷰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1808B1 (ko) 티브이 수신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KR100620714B1 (ko) 영상 합성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1809B1 (ko) 티브이 또는 fm 라디오 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4571B1 (ko) 티브이 수신 기능 가진 카메라 폰
KR100632098B1 (ko)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0076B1 (ko) 티브이 영상을 주화면 및 부화면에 모두 표시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591811B1 (ko) 주화면 및 부화면에 상이한 채널의 텔레비젼 신호를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63738B1 (ko) 텔레비젼 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19272B1 (ko) 티브이폰에서 정보 표시방법
KR20050112674A (ko) 다기능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9980075189A (ko)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자막 저장 및 출력장치
KR101075589B1 (ko)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6570B1 (ko) 단말기
KR1005801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방법
CN101742195A (zh) 具有pvr功能的电视机及其实现方法
KR20010054564A (ko) 휴대용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뮤직기능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