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098B1 -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098B1
KR100632098B1 KR1020040080109A KR20040080109A KR100632098B1 KR 100632098 B1 KR100632098 B1 KR 100632098B1 KR 1020040080109 A KR1020040080109 A KR 1020040080109A KR 20040080109 A KR20040080109 A KR 20040080109A KR 100632098 B1 KR100632098 B1 KR 10063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194A (ko
Inventor
이명규
강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8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0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 신호로부터 복조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 모듈과;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재생부 또는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감지회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감지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만을 택일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신 호 처리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배터리 잔량, 텔레비전, 라디오

Description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television and radi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 확대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업체간의 경쟁에 의해 날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일례로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는 최근 들어 신규로 보급되는 단말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을 가진 단말기도 출시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고품질화와 메모 리의 대용량화를 요구하고 있어 단말기의 개인용 멀티미디어 기기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한편, 휴대용 개인용 단말기에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이 추가되면서 단말기의 제한된 배터리 용량으로 인하여 시청할 수 있는 가용시간이 정해져 있다. 게다가 텔레비전 시청 또는 라디오 청취 기능 외에 추가되는 기능으로 인한 추가적인 전력소모로 인하여 그 시청 또는 청취 시간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텔레비전 및 라디오 구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부족시 텔레비전 방송 신호중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중 하나만을 출력하거나 시청 또는 청취의 기본기능외 추가적인 전력소모를 야기시키는 기타 추가기능을 제한함으로써 그 재생 시간을 연장시킬수 있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부족시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에서 제공하는 부가기능을 제한하여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의 재생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구동 명령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제어부는 이를 수신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는 배터리 감지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텔 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 구동에 필요한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감지된 잔량이 기준 값 보다 클 경우 해당 기능을 구동하며,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만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제어부는 배터리 감지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 구동에 필요한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감지된 잔량이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에서 지원하는 예를 들면, 녹화, 녹음, 화질 조정, 음성 조정과 같은 부가기능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이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잔량의 부족으로 인해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의 재생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공통되는 구성인 폰제어부(110) 및 그 부속회로와, 방송 수신 모듈(200)과, 신호 처리부(300)와, 단말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0)와 배터리 감지회로(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속회로들은 키패드(120)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와,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140)와, 무선 통신부(140)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회로(150)와, 메모리(160)와, 오디오 재생부(170)와, 오디오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키패드(120)와, 통상 액정표시장치인 표시부(13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부(140)는 다양한 버전의 CDMA방식 뿐 아니라 셀룰러, GSM, W-CDMA 방식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 방식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음성 입출력 회로(15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무선 통신부(140)의 기저대역 회로와, 폰제어부(10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논리적으로 이들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11)와, 키패드(12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메모리(160)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영역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기본 정보가 저장되는 롬영역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 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시스템 제어부(112)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또한,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구동에 요구되는 최소의 배터리 잔량 즉,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 구동에 필요한 기준 값과,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 구동 유지에 필요한 기준 값과, 부가기능의 제공에 필요한 기준 값을 저장한다. 이 기준 값들 역시 시스템 제어부(112)에 엑세스 제어된다.
오디오 재생부(170)는 예를 들면, 벨소리 재생을 위한 YAMAHA 칩과 같은 음원 재생 칩 또는 MP3 재생을 위한 DSP 칩으로 구성되며, 벨소리, 효과음 또는 음악파일 재생과 같은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재생하여 오디오 출력부(180)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오디오 재생부(170)로부터 재생된 벨소리 또는 효과음, 음악파일과 같은 다양한 재생음을 시스템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방송 수신 모듈(200)은 공중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으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텔레비전 신호의 영상 및 오디오 신호와 FM 라디오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부(22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22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텔레비전 신호 또는 FM 라디오 신호를 공통된 RF 단에서 1차 복조한 후 시스템 제어부(112)의 선택 제어에 따라 텔레비전 중간주파 처리부 혹은 FM 중간주파 처리부에서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복조된 텔레비전 신호 또는 라디오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300)에 의해 처리되어 표시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신호 처리부(300)는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텔레비전의 영상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택일적으로 표시부(130)에 적합한 포맷의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본 출원인이 원래는 카메라폰의 신호처리용으로 개발했던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방송 수신부(220)에도 특별한 구조적인 변경 없이 그대로 채택되었다. 또한 방송 수신부(220)를 위한 별도의 신호처리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 카메라부(500)를 위한 기존의 신호 처리부(3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장점으로 된다.
단말기의 배터리(400)는 니켈 카드늄, 니켈 수소 등이 충전된 배터리(400)가 사용되며, 단말기 구매시 함께 제공되는 충전기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가 충전된다. 충전된 배터리(400)는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단말기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게된다.
배터리 감지회로(410)는 배터리(400)의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의 저항비를 통해 분압하고, 분압된 감지전압을 시스템 제어부(112)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지회로(410)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버츄얼 머신과 같은 편리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이 지원되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제반 제어를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할 수 있 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예를 들면 I2C 버스와 같은 직렬버스를 통해 외부 집적회로들과 인터페이스 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키패드(120)를 통해 조작 명령이 입력되거나 통화 착신 등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스템 제어부(112)는 필요한 제어 명령을 발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지회로(410)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12-1)를 포함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12-1)는 배터리 감지회로(410)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전압은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이를 이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시스템 제어부(112)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감지전압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400)에 충전된 전압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112)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방송 수신 모듈(200)로 구동 제어신호를 직렬버스를 통해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지회로(410)에 의해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메모리(160)에 저장된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 구동에 필요한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텔레비전 신호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만을 택일적으로 출력하도록 신호 처리부(300)로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전송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수신 모듈(2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중 하나만을 처리 하여 출력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12)는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 구동 중에도 배터리 감지회로(410)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 구동 유지에 필요한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텔레비전 신호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중 어는 하나만을 택일적으로 출력하도록 신호 처리부(3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시스템 제어부(112)와 방송 수신 모듈(200), 신호 처리부(300)의 일련의 동작은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수신 모듈(200)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튜너부(221)와, 튜너부(22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부(222)와,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의 직렬 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버스 인터페이스부(210)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부(220)와, 디코더부(222)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부(180)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증폭부(230)와, 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듈(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220)는 공중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이 안테나는 이동 통신용 안테나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스트립 패치 안테나 형태와 같은 경우에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안테나로 공용될 수도 있다.
튜너부(221)는 NTSC, PAL 과 같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용의 튜너 중의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을 모두 지원하는 공용의 튜너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튜너부(221)는 위성에 기초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이나 와이어리스 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방송과 같은 이동통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일 수 있다.
디코더부(222)는 튜너부(221)에 의해 복조되어 출력되는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부(300)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 영상 및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 하여 출력한다. 제 1 버스 인터페이스부(210)는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I2C와 같은 직렬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증폭부(230)는 디코더부(222)에 의해 디코딩 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부(180)로 출력한다.
수신 제어부(240)는 제 1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하고, 해석된 직렬 버스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는 방송 수신부(220)의 구동 및 종료 명령, 튜너부(221)의 TV/FM 방송 선택명령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버스 인터페이스부(310)와,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320)와, 미디어 인터페이스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영신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적합한 포맷으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330)와, 영상 처리부(3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130)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340)와, 제 2 버스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300)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처리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버스 인터페이스부(310)는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I2C와 같은 직렬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제어부(350)로 출력한다. 미디어 인터페이스부(320)는 YUV 포맷의 8비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서 버퍼링한다. 영상 처리부(330)는 비월주사 방식의 텔레비전 신호를 순차주사 방식으로 변환하고, 이들을 표시장치의 해상도에 맞도록 보간(interpolation) 및/또는 추림(decimation)처리하여 스케일링하며, 추가로 내부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압축해제하기 위한 코덱(CODEC)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덱은 MPEG 인코더/디코더와, 캡쳐링된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고 엑세스하기 위한 JPEG 인코더/디코더를 포함한다. 이들은 DSP와 코어에 의해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영상 처리부(330)는 화질 개선을 위한 선명도 향상회로와, 콘트라스트, 명암 조절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그래픽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간단한 몇 개의 필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출력부(340)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직 접 또는 영상 처리부(33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16 비트의 RGB 데이터 포맷으로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330)에서 MPEG 방식으로 압축되어 내부의 대용량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신호처리 제어부(350)는 제 2 버스 인터페이스부(310)에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전송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300) 전반을 제어한다. 신호처리 제어부(350)는 키패드(120)로부터 입력되는 텔레비전 기능의 구동신호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전송되는 직렬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출력부(340)를 통해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처리 제어부(350)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구동에 필요한 최소의 기준 전원보다 배터리(400)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의 부족할 경우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직렬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택일적으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가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일 경우 신호처리 제어부(350)는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로부터 오디오 신호만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신호처리 제어부(350)는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차단하여, 영상 신호가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수신부(220)와 신호 처리부 (300) 역시 각각 단일의 패키지로 제공된다. 방송 수신부(220)는 내부에 몇 개의 IC 모듈을 포함한 패키지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부(300)는 단일의 IC 패키지이나 내부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내부 메모리들,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들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제어부(112)는 직렬버스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모듈(200)과 신호 처리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렬버스는 I2C 버스이다. Inter-IC라고도 불리는 I2C는 집적회로들 간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두 가닥 선의 양방향 직렬 버스이다. 필립스는 TV, VCR 및 오디오 장비 등과 같은 대량 생산되는 제품용으로 I2C 버스를 이미 20년 전에 소개하였다.
I2C 버스의 두개의 라인중 한 라인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라인이며, 다른 한 라인은 해당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필요한 클락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라인이다. 이 직렬버스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모듈(200), 신호 처리부(300)와 같은 각각이 독립적인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부속회로가 서로 공유하고 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분을 마스터, 받는 쪽을 슬레이브로 설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마스터는 시스템 제어부(112)가 그외의 부속회로들은 슬레이브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수신 모듈 (200)은 튜너부(221)와 디코더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부(220)와, 오디오 신호 증폭부(230)와, 수신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220)의 식별정보가 0x10, 오디오 신호 증폭부(230)의 식별정보가 0x20이고, 방송 수신부(220)의 튜너부(221)가 0x11, 디코더가 0x12 가정하면, 시스템 제어부(112)가 튜너부(221)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을 설정하는데 예를 들면, 0x10, 0x11, 0xFF와 같은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직렬 버스 제어신호의 0x10은 방송 수신부(220), 0x11은 튜너부(221)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며, 0xFF는 튜너부(221)에서 출력되는 방송의 설정 값이다. 시스템 제어부(112)에서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I2C 버스상에 연결되어 있는 부속회로들은 동시에 직렬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수신된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나머지 데이터 즉, 각종 명령 또는 설정 값에 따라 구동한다.
본 원 발명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의 영상신호는 단일의 포맷으로 버스 상에서 유통되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포맷은 YUV 포맷이다. 따라서 각각의 영상 처리 모듈들은 내부적인 출력을 YUV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내부적인 입력은 YUV로 가정하여 처리한다. 외부와의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부(180)는 영상 데이터가 처리되어 단말기로 전송되고, 표시부(13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데 필요한 지연을 고려하여,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오디오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부(22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복조하여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300)의 미디어 인터페이스부(320)로 전달되고, 전달된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330)에 의해 비월주사 방식의 텔레비전 신호를 순차주사 방식으로 변환하고, 이들을 표시장치의 해상도에 맞도록 보간(interpolation) 및/또는 추림(decimation)처리하여 스케일링하며, 추가로 내부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압축된다. 영상 처리부(330)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33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16 비트의 RGB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어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영상 신호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 표시부(130)로 출력되므로 튜너부(221)에서 복조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이한 출력시간을 갖는다. 오디오 출력부(180)의 지연회로는 시스템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60)는 방송 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되는 공중파 방송 즉,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에서 제공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의 녹화, 녹음, 화질 조정, 음성 조정과 같은 부가기능의 제공에 필요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값을 저장하고, 시스템 제어부(112)는 키패드(120)로부터 입력되는 부가기능 요청명령에 따라 배터리 감지 회로(410)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그 잔량이 부가기능 제공에 필요한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해당 부가기능을 제한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키패드(120)로로부터 입력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의 녹화, 녹음, 화질 조정, 음성 조정과 같은 부가기능을 제공 명령을 수신한다. 시스템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지회로(410)에 의해 감지되어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과 메모리(160)에 저장된 부가기능 제공에 필요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 값을 비교하여, 배터리 감지회로(410)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보다 클경우 키패드(12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I2C 버스를 통해 출력하고,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직렬버스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중 부가기능에 대한 제어신호를 차단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키패드(120)로부터 입력되는 부가기능이 텔레비전 방송의 음성 출력 레벨을 1로 설정하라는 조작명령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지회로(410)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잔량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보다 더 클 경우 방송 수신 모듈(200)로 0x20, 0x21, 0x01과 같은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0x20은 오디오 신호 증폭기의 식별정보이며, 0x21 볼륨레벨에 관련된 레지스터 주소이고, 0x01 음성 출력 레벨을 1로 설정하라는 레지스터 설정값이다. 따라서, 방송 수신 모듈(200)의 수신 제어부(240)는 제 1 버스 인터페이스부(210)에 의해 수신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 증폭부(230)의 음성 출력 레벨을 1로 설정한다.
또한, 배터리 감지회로(410)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잔량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에 못 미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12)는 부가기능에 따른 해당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I2C 버스로의 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한다.
따라서, 부가기능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여,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경우 부가 기능을 제한하여 배터리(400)가 최소한으로 소모되는 환경으로 관련 기능들을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착탈식으로 제작된 방송 수신 모듈(10)과,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20)로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0)에는 자체에 공중파 수신용 안테나가 구비되며, 본체(20)와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다. 이러한 방송 수신 모듈의 일련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제어부는 배터리 잔량을 감시하여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 만을 출력하여 배터리가 최소한으로 소모되는 환경으로 설정함으로써,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의 시청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는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재생시 배터리 잔량을 감시하여 텔레비전 라디오 기능에서 지원하는 부가 기능을 제한하여 배터리가 최소한으로 소모되는 환경으로 관련 기능들을 설정함으로써,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의 시청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 신호로부터 복조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 모듈과;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감지회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감지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만을 택일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직렬 버스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버스가 I2C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직렬 버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증폭부와;
    상기 제 1 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버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적합한 포맷으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제 2 버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버스 제어 신호가:
    상기 튜너부의 TV/FM 방송 선택명령 또는 상기 신호 처리부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출력 선택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상기 방송 수신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공중파 방송의 부가기능의 제공에 필요한 배터리 잔량의 기준값을 저장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부가기능 요청명령 수신시 배터리 감지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잔량을 수신하여 부가기능 제공에 필요한 기준 값에 못 미칠 경우 해당 부가기능을 제한 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로 직렬 버스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이:
    상기 공중파 방송의 녹화, 녹음, 화질 조정, 음성 조정 기능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0109A 2004-10-07 2004-10-07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109A KR100632098B1 (ko) 2004-10-07 2004-10-07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109A KR100632098B1 (ko) 2004-10-07 2004-10-07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94A KR20060031194A (ko) 2006-04-12
KR100632098B1 true KR100632098B1 (ko) 2006-10-04

Family

ID=3714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109A KR100632098B1 (ko) 2004-10-07 2004-10-07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15B1 (ko) * 2006-05-03 2007-10-01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KR101243534B1 (ko) * 2006-08-11 201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94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47588A (en) Displaying text messages on a portable TV phone
JPWO2002056486A1 (ja) 受信機、携帯端末、および受信システム
JP200713489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KR100591810B1 (ko) 내장 티브이 모듈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를 외부 기기로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266878A1 (en) Multi-fun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KR100771969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US2005014079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V reception function
KR100632098B1 (ko)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130703A1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TV image on both main and sub display units
US20080107207A1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KR100563738B1 (ko) 텔레비젼 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75589B1 (ko) 라디오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1811B1 (ko) 주화면 및 부화면에 상이한 채널의 텔레비젼 신호를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2668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home theater with multiple functions using a wireless terminal
JP4525548B2 (ja) 携帯端末装置、放送データ受信システム及び放送データ出力方法
CN101296332A (zh) 一种电视信号接收装置
KR20080045395A (ko) 텔레비전 모니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텔레비전 모니터 방법
KR100591809B1 (ko) 티브이 또는 fm 라디오 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80076B1 (ko) 티브이 영상을 주화면 및 부화면에 모두 표시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591808B1 (ko) 티브이 수신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KR100604571B1 (ko) 티브이 수신 기능 가진 카메라 폰
KR100841292B1 (ko) 휴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100645224B1 (ko) 공중파 방송 신호의 재생 및 플래쉬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CN101296331B (zh) 一种播放装置
JP2006013707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