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887A -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 Google Patents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887A
KR20050092887A KR1020040018008A KR20040018008A KR20050092887A KR 20050092887 A KR20050092887 A KR 20050092887A KR 1020040018008 A KR1020040018008 A KR 1020040018008A KR 20040018008 A KR20040018008 A KR 20040018008A KR 20050092887 A KR20050092887 A KR 2005009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bracket
link
lever
actua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석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2887A/en
Publication of KR2005009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88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01V9/02Determining existence or flow of underground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크를 추가하여 레버와 액추에이터를 연결함으로써, 레버와 액추에이터 연결부에서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내구 성능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assembly of a suspension device, and in particular, by adding a link to connect a lever and an actu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ding at the lever and actuator connection portion of the suspension device that can ensure durability of the system. Relates to an actuator assembly.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크를 추가하여, 레버와 액추에이터를 연결하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assembly of a suspen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uator assembly of a suspension device connecting a lever and an actuator by adding a link.

현가장치는 선회, 제동 구동 시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확보라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에 의한 휠의 자세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특히, 캠버와 토우는 차량의 직진 안정성 및 선회 안전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차체의 롤링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Suspension must meet the basic conditions of ensuring the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vehicle when turning and braking. In order to satisfy these conditions, the attitude of the wheel due to the suspension geometry is very important factor. In particular, the camber and the tow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linear stability and turning safety of the vehicl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rolling of the body. Have

이러한 캠버와 토우를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로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 2003-0017668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As an actuator assembly of a suspension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changing such camber and tow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of a vehicle, it is proposed in the publication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17668.

도 1은 종래의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어퍼 컨트롤암(50)과 연결되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수평부(54)와 수직부(56)로 이루어져 그 중앙 부분이 서브 프레임(18)에 힌지 고정되어 수평부(54) 단부가 어퍼 컨트롤암(50)의 차체 측단 연결부(58)와 힌지 연결되는 연결링크(60)와, 연결링크(60)의 수직부(56) 단부와 연결되는 액추에이터(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액추에이터(6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링크(60)의 수직부(56)를 당기면 수평부(54)의 단부가 하강하면서 어퍼 컨트롤암(50)의 차체 측 단부를 당기게 됨으로써, 휠(10)의 상측부분이 차체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캠버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uator assembly of a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As shown in FIG. 1,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trol arm 50. Looking at its configuration, the center part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54 and a vertical portion 56.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56 of the connecting portion 60 by being hinged to the connecting portion 60 which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ng portion 58 of the upper control arm 50. It comprises an actuator 62 which is made. Pulling the vertical portion 56 of the connecting link 6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ctuator 62,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54 is pulled down to pull the vehicle body side end of the upper control arm 50, the wheel 10 The upper part of the camber is inclined toward the vehicle body and the camber changes.

상기 종래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As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rior art, it is presented in Figures 2 and 3.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 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 3 is an operational view of FIG. 2.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레버(20)에는 제 1브래킷(21)과 제 2브래킷(23)이 형성된다. 제 2브래킷(23)에는 보조링크(10)가 연결되고, 보조링크(10)는 컨트롤암 또는 너클에 장착된다. 제 2브래킷(23)에는 슬롯(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브래킷(23)에 액추에이터 로드(31)의 장착부(33)가 장착되고 핀(25)으로 고정한다. 이렇게 구성된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로드(31)의 전ㆍ후진 작동에 따라 액추에이터(30)와 연결된 레버(20)와 보조링크(10) 등이 움직인다. 이로써, 후륜의 토우가 조절되는 것이다.2 and 3, the first bracket 21 and the second bracket 23 are formed on the lever 20 hinged to the subframe. Auxiliary link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23, the auxiliary link 10 is mounted to the control arm or knuckle. A slot 21a is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23, and the mounting portion 33 of the actuator rod 31 is mounted on the second bracket 23 and fixed with a pin 25. As shown in FIG. 3,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ves the lever 20 connected to the actuator 30, the auxiliary link 10,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of the actuator rod 31. As a result, the toe of the rear wheel is adjusted.

그러나, 전술한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액추에이터(30)는 차체에 고정된 상태로 로드(31) 부분이 전ㆍ후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로드(31)와 핀(25)으로 연결된 레버(20)는 힌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 때, 핀(25)은 필연적으로 슬롯(21a)에서 슬라이딩을 하게 되며, 이로써, 전체 시스템의 내구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As for the actuator 30, the rod 31 par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tate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lever 20 connected to the rod 31 and the pin 25 is rotated because the hinge is fixed. At this time, the pin 25 inevitably slides in the slot 21a, thereby seriously affecting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system.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버와 액추에이터 연결부에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내구 성능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ctuator assembly of a suspension device that can prevent sliding at a lever and an actuator connection and ensure durability of a system.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링크 회전 시 링크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uator assembly of a suspension device that can prevent the twisting caused by the moment acting on the link when the link rotate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응력집중이 완화되어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uator assembly of a suspension device in which stress concentration can be alleviated to improve durabilit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이 형성되고, 서브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레버; 상기 제 1브래킷과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 상기 링크의 타단과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formed, the lever hinged to the sub-frame; A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And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이 구성에 의하면, 레버와 액추에이터 연결부에서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아 시스템의 내구 성능 확보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ding at the lever and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whereby the sliding does not occur,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system.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에는 요크가 형성되면, 링크 회전 시 링크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f the yoke is formed on the rod of the actu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ist due to the moment acting on the link when the link is rotated.

또한, 상기 제 1브래킷의 삽입공이 둥글면, 응력집중이 완화되므로 내구력이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bracket is round, stress concentration is alleviated, so durability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or art will be referred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제 1브래킷(210)과 제 2브래킷(230)이 형성된 레버(200)와, 제 1브래킷(210)과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100)와, 링크(1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액추에이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ever 200 in which a first bracket 210 and a second bracket 230 are formed, and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210. And an actuator 3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100.

레버(200)의 중앙에는 관통공(20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200a)에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서브 프레임(미도시)에 힌지 고정된다.A through hole 200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ver 200, and a fasten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0a to be hinged to a subframe (not shown).

제 1브래킷(2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0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브래킷(230)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bracket 21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200, and the second bracket 23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렇게, 본 발명의 도 4에서 제 1브래킷(210)은 수직방향이고, 제 2브래킷(230)은 수평방향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1의 종래 기술과 같이 액추에이터를 레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제 1브래킷(210)은 수평방향, 제 2브래킷(230)은 수직방향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us, although the first bracket 210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bracket 230 is sh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prior art of FIG. 1, when the actuator is positioned below the lever, Of course, the first bracket 210 may be horizontal, and the second bracket 230 may be vertical.

제 2브래킷(230)에는 보조링크(미도시)가 연결되며, 보조링크는 컨트롤암 또는 너클에 장착된다.An auxiliary link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230, and the auxiliary link is mounted to the control arm or the knuckle.

한편, 도 1의 종래 기술과 같이 제 2브래킷(230)에 직접 컨트롤암 또는 너클이 장착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in the related art of FIG. 1, a control arm or a knuckle may be directly mounted to the second bracket 230.

이러한 제 1브래킷(210)에 링크(100) 일단이 삽입되어 삽입공(210a)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One end of the link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racket 210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insertion hole 210a.

액추에이터(300)는 전자제어유니트(ECU)의해 제어된다. The actuator 300 is controlled by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한편, 액추에이터의 로드(310)에는 요크(330)가 형성된다.The yoke 330 is formed on the rod 310 of the actuator.

요크(330)에는 제 1브래킷(210)과 연결되어 있는 링크(100)의 타단이 연결된다.The other end of the link 100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210 is connected to the yoke 330.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액추에이터 로드(310)의 전ㆍ후진 운동에 따라 링크(100)가 회전 운동을 하며 이에 따라 링크(100)와 연결된 레버(200)가 회전하게 된다.The link 100 rotates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ctuator rod 310, and thus the lever 200 connected to the link 100 rotates.

즉, 액추에이터 로드(310)가 늘어나면 링크(100)가 회전되고, 레버(200)가 회전되어 제 2브래킷(230)이 하강하면서 컨트롤암 또는 너클을 끌어당긴다.That is, when the actuator rod 310 is extended, the link 100 is rotated, and the lever 200 is rotated to pull the control arm or knuckle while the second bracket 230 is lowered.

반대로, 액추에이터 로드(310)가 짧아지면 레버(200)의 제 2브래킷(230)이 상승하면서 컨트롤암 또는 너클을 밀어낸다.On the contrary, when the actuator rod 310 is shortened, the second bracket 230 of the lever 200 is raised to push the control arm or the knuckle.

이렇게, 액추에이터 로드(310)의 신축 동작에 의해 링크(100)와 레버(200)가 회전 운동하면서 컨트롤암 또는 너클을 차체 측으로 당기거나 외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토우나 캠버를 제어하게 된다.As such, the link 100 and the lever 200 are rota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ctuator rod 310 to pull the control arm or the knuckle to the vehicle body side or push the outer side to control the tow or the camber. .

이에 따라, 링크(100)를 추가하여, 레버(200)와 액추에이터(300)를 연결함으로써, 슬롯과 핀조인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레버(200)와 액추에이터(300) 연결부에서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by adding the link 100, connecting the lever 200 and the actuator 300,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slot and the pin joi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iding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ever 200 and the actuator 300. have.

나아가, 레버(200)와 액추에이터(300) 연결부에서는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의 내구 성능 확보가 가능해진다.Further, since the sliding does not occur at the lever 200 and the actuator 300, the durability of the system can be secured.

또한, 레버(200)의 제 1브래킷(210)의 삽입공(210a)이 둥글게 천공 설치됨으로써, 응력집중이 완화되므로 내구력이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hole 210a of the first bracket 210 of the lever 200 is rounded and installed, stress concentration is alleviated, so durability is improved.

한편, 액추에이터 로드(310)에 요크(330)가 형성되어 링크(100)와 연결되면, 링크(100) 회전 시 링크(100)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yoke 330 is formed on the actuator rod 310 and connected to the link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ist due to the moment acting on the link 100 when the link 100 rotat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Or it may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링크를 추가하여, 레버와 액추에이터를 연결함으로써, 슬롯과 핀조인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레버와 액추에이터 연결부에서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스템의 내구 성능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다.First, by adding a link, by connecting the lever and the actuator,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slot and the pin joint, thereby preventing the sliding in the lever and actuator connection portion, thereby ensuring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system.

둘째, 액추에이터의 로드에는 요크가 형성됨으로써, 링크 회전 시 링크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yoke is formed on the rod of the actu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ist due to the moment acting on the link during the rotation of the link.

셋째, 제 1브래킷의 삽입공이 둥글게 천공 설치됨으로써, 응력집중이 완화되므로 내구력이 향상된다.Third, since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bracket is rounded and installed, stress concentration is alleviated, so durability is improved.

도 1은 종래의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uator assembly of a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of FIG.

도 3은 도 2의 작동도.3 is an opera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링크 200 : 레버100: link 200: lever

200a : 관통공 210 : 제 1브래킷200a: through hole 210: first bracket

210a : 삽입공 230 : 제 2브래킷210a: insertion hole 230: second bracket

300 : 액추에이터 310 : 로드300: actuator 310: rod

330 : 요크330: York

Claims (3)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에 있어서,In 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이 형성되고, 서브 프레임에 힌지 고정되는 레버;A lever formed with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and hinged to the subframe; 상기 제 1브래킷과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A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상기 링크의 타단과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comprising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에는 요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yoke is formed on the rod of the actuato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브래킷의 삽입공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액추에이터 어셈블리.The actuator assembly of the susp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bracket.
KR1020040018008A 2004-03-17 2004-03-17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KR200500928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008A KR20050092887A (en) 2004-03-17 2004-03-17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008A KR20050092887A (en) 2004-03-17 2004-03-17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887A true KR20050092887A (en) 2005-09-23

Family

ID=3727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008A KR20050092887A (en) 2004-03-17 2004-03-17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288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624B2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KR100599471B1 (en)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JPH04321474A (en) Car suspension supporting structure
JPH09249013A (en) Front suspension device
JP2005053462A (en) Rear wheel suspension of automobile
CN208962805U (en) A kind of suspension angle assembly of hub motor driven electric vehicle
US7090232B2 (en) Steering knuckle assembly for vehicles
US7967304B2 (en) Steering stopper unit for vehicle
KR20050092887A (en)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CN116573045A (en) Gooseneck type steering knuckle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KR20010029832A (en) Plug in direct acting stabilizer bar link
US6843491B2 (en) Rear suspension system
KR20050092888A (en)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KR100456881B1 (en) Bump toe control device of rear suspension in vehicle
JP2001071730A (en) Floor lowering structure of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KR100599476B1 (en) actuator assembly for a suspension
JPS6022509A (en) Car suspension
JP2007269139A (en)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0599570B1 (en) Toe angle ajusting apparatus for a torsion beam axle
JP2007153097A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rm member
KR20010108275A (en) Rear axle for a motor vehicle
JP3155115B2 (en) Car rear suspension
JPH10181322A (en) Vehicular front suspention device
JP2005306254A (en) Suspension structure
JPH04237611A (en) Steered wheel susp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