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088A -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용융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용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088A
KR20050092088A KR1020047003975A KR20047003975A KR20050092088A KR 20050092088 A KR20050092088 A KR 20050092088A KR 1020047003975 A KR1020047003975 A KR 1020047003975A KR 20047003975 A KR20047003975 A KR 20047003975A KR 20050092088 A KR20050092088 A KR 20050092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bles
hopper
gasifier
supply
flamm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이시카와
치카오 고케
겐 고미야마
유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2004700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2088A/ko
Publication of KR2005009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가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 노(10)에의 가연물 공급방법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가연물(14)과 함께 가스화 노(l0) 내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가연물(14)을 호퍼(36)에 공급하고, 호퍼(36)에 공급된 가연물(14)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호퍼(36) 내의 가연물(14)을 가스화 노(10) 내에 정량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 공기의 가스화 노(l0) 내로의 누출을 저지하고, 동시에 호퍼(36) 내의 가연물(14)을 가스화 노(10) 내에 정량 공급함으로써 가스화 노(10) 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을 적게 하여 가스화 노(10)의 안정운전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A METHOD OF FEEDING COMBUSTIBLE MATERIALS INTO GASIFICATION FURNACE, AN APPARATUS THEREOF AND A GASIFICATION FUSION SYSTEM}
본 발명은 도시쓰레기나 산업 폐기물 또는 바이오매스 폐기물이나 의료 폐기물, 폐타이어 또는 슈레더 더스트 등의 자동차 폐기물 등의 가연물을 가스화하여 가연성 가스로 하는 가스화 노(爐)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 용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쓰레기나 산업 폐기물 또는 바이오매스 폐기물이나 의료 폐기물, 폐타이어 또는 슈레더 더스트 등의 자동차 폐기물 등, 가연물의 처리에 이들 폐기물을 가스화 노에서 환원분위기하에서 가스화하고, 그 가스화에 의해 생성된 가연성 가스를 용융로에서 고온 연소시켜 그 가연성 가스에 동반된 숯 등의 미연소 탄소분을 연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숯에 함유되는 재분을 용융하여 용융 슬래그화하는 가스화 용융시설이 있다.
도 1은 이 종류의 가스화 용융시설에서 사용되는 유동층 가스화 노 및 그 유동층 가스화 노에 가연물을 공급하는 가연물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동층 가스화 노(10)는 하부에 유동매체를 보유하고, 노 아래쪽으로부터 도입되는 유동화 가스(12)에 의해 상기 유동매체가 유동층 (11)을 형성하고 있다.
가연물 투입구(13)로부터 투입되는 가연물(14)은 유동층(11) 내의 환원분위기하에서 부분연소에 의해 가스화되고, 생성된 가연성 가스(17)는 유동층(11) 내를 상승하여 프리보드(15)를 통하여 가연성 가스 출구(16)로부터 도시 생략한 용융로에 유도되어 고온 연소된다.
이 종류의 유동층 가스화 노(10)는 노 내 압력이 통상 -50 mmAq 정도의 부압으로 운전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연물 투입구(13)로부터 예열되어 있지 않은 외부의 공기가 노 내로 대량으로 누출된다. 이 누출된 예열되어 있지 않은 공기는 유동층 가스화 노(10)의 프리보드(15)에서 연소에 의해 소비된다. 이 누출공기에 의해 일부 연소된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출구(16)로부터 용융로에 들어 간다. 통상 용융로에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는 예열되어 있어, 용융로부의 고온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누출공기가 들어 감으로써 용융로에 공급되는 예열된 공기량이 감소되고, 이 결과, 용융온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 무엇인가의 이유로,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가 정압이 되었을 때에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의 가연성 가스가 가연물 공급장치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가연물 투입구(13)에 접속되는 슈트[도 1에서는 가연물 공급수단(30)과 그 상단에 접속되는 가연물 공급수단(33)의 사이에 상당]에 밀봉기능을 가지는 댐퍼를 2중으로 설치하고(소위 더블 댐퍼), 크레인(21)으로 호퍼(38)에 투입된 가연물(14)을 스크류(34)에 의해 상기 더블 댐퍼(19)를 거쳐 가연물 공급수단(30)에 공급함과 동시에, 더블 댐퍼(19)의 밀봉작용에 의하여 가연물 투입구(13)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에 가연물(14)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에서는 공급되는 가연물(14)에는 유동층(11) 내에서 매우 신속하게 열이 전해지기 때문에, 유동층 가스화 노(10)에서 생성되는 가연성 가스(17)의 양이 가연물(14)의 간헐적인 공급의 작용을 받아 크게 변동하여 유동층 가스화 노 (1O)의 안정운전에 지장을 초래함과 동시에, 후단의 용융로에서 유동층 가스화 노 (10)로부터의 생성가스를 받아 들여 저공기비로 고온연소를 행하게 하게 하기 위한 운전제어에도 지장을 초래한다.
또 호퍼(38)에는 크레인(21)에 의해 가연물(14)이 간헐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호퍼(38) 내에 저류되는 가연물(14)의 양은 변동이 크고, 또 가연물(14) 자신의 질에도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스크류(34)에 의한 정량 공급성은 반드시 양호하지 않다.
도 1은 종래의 유동층 가스화 노 및 가연물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유동층 가스화 노 및 가연물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유동층 가스화 노 및 가연물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유동층 가스화 노 및 가연물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가연물 공급장치를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가스화 노 내로의 외부공기의 누출을 억제하여 생성가스의 변동이 적고, 안정된 가스화를 위한 운전제어가 용이하게 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에 있어서, 외부공기가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가연물에 의해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호퍼에 공급하고, 상기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상기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 내에 정량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가연물과 함께 가스화 노 내에 누설되는 것을 가연물에 의하여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호퍼에 공급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가스화 노 내로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어, 더블 댐퍼 등의 특별한 밀봉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동시에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상기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에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화 노 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량이 작아져 가스화 노의 안정운전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량이 작기 때문에, 가스화 노에 계속되는 용융로의 안정운전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스화 노 내로부터 가연물을 공급하는 측으로 누설되는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쓰레기피트는 탈취를 위해 항시 공기를 흡인하여 연소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가연물을 공급하는 측으로 누설되는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방출함으로써 상기 가연성 가스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공급하는 제 1 가연물 공급기구와, 상기 제 1 가연물 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된 가연물을 저류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 내에 정량 공급하는 제 2 가연물 공급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가연물 공급기구에 의해 외부 공기가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호퍼에 공급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가스화 노 내로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어, 더블 댐퍼 등의 특별한 밀봉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동시에 제 2 가연물 공급기구에 의해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호퍼 내의 가연물을 가스화 노에 정량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화 노 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이 적어져 가스화 노의 안정운전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량이 작기 때문에 가스화 노에 계속되는 용융로의 안정운전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스화 노 내로부터 제 2 가연물 공급기구측으로 누설된 가연성 가스를 방출하는 릴리프밸브와, 이 릴리프밸브로부터 방출된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릴리프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가스화 노 내가 정압이 되었을 때에 가스화 노 내로부터 새어 나가는 가연성 가스를 릴리프밸브로부터 방출하여 공급수단에 의해 쓰레기피트에 공급할 수 있다. 쓰레기피트는 탈취를 위해 항시 공기를 흡인하여 연소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연성 가스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 노와, 그 가스화 노에서 생성한 생성물을 용융하는 용융로를 구비한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가연물과 함께 상기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공급하는 제 1 가연물 공급기구와, 상기 제 1 가연물 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된 가연물을 저류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 내에 정량 공급하는 제 2 가연물 공급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스화 노 내로부터 제 2 가연물 공급기구측으로 누설된 가연성 가스를 방출하는 릴리프밸브와, 그 릴리프밸브로부터 방출된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유동층 가스화 노 및 그 유동층 가스화 노에 가연물을 공급하는 가연물 공급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2에 있어서 가연물 투입구(13)에는 모터(32)로 구동되는 스크류컨베이어(31)를 구비하는 가연물 공급수단(30)이 접속되고, 그 가연물 공급수단(30)에는 모터(35)로 구동되는 스크류컨베이어(34)를 구비하는 가연물공급수단(33)이 접속되어 있다. 가연물 공급수단(33)에는 호퍼(36)가 접속되어 설치되고, 그 호퍼(36)에는 슈트(37)가 접속되어 설치되며, 또한 슈트(37)에는 호퍼 (38)가 접속되어 설치되고, 슈트(37)와 호퍼(38)의 접속부에는 푸셔(39)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쓰레기나 산업 폐기물 또는 바이오매스 폐기물이나 의료 폐기물, 폐타이어 또는 슈레더 더스트 등의 자동차 폐기물 등의 가연물(14)은, 크레인(21) 등으로 호퍼(38)에 투입되고, 호퍼 하부 잘라 냄부에 있어서 푸셔(39)에 가압되어 압밀된 가연물(14)에 의해 양호한 머터리얼 밀봉(Material seal)이 행하여진다. 상기 가연물(14)은 푸셔 (39)에 의해 소정량씩 잘라 내어져 호퍼(36)에 수용된다. 상기 호퍼(36)에는 레벨계(18)가 설치되어, 그 호퍼(36)의 가연물 저류량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푸셔 (39)의 운전이 행하여진다. 호퍼(38) 하부의 압밀한 가연물(14)에 의한 머터리얼 밀봉에 의해 외부 공기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다. 또 호퍼(36)에 적재되는 가연물 (14)의 밀봉작용에 의해서도 외부 공기의 침입이 저지된다.
또한 호퍼(36)의 하부에는 푸셔(40)가 설치되고, 푸셔(40)의 구동부(401)에 의하여 푸셔부(403)를 호퍼(36) 내로 밀어 넣어 가연물(14)을 스크류(34)에 가압함으로써 가연물(14)의 국소적인 압밀화를 방지하고, 가연물(14)을 스크류(34)에 의해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스크류(34)의 선단부에는 긁어냄장치(41)를 설치하고, 스크류(34)에 의해 밀어 내지는 가연물(14)을 기계적으로 긁어 떨어뜨림으로써 스크류 컨베이어(31)에의 가연물(14)의 공급을 보다 평활화할 수 있다.
가연물 공급수단(33)으로부터 가연물 공급수단(30)에 정량 공급된 가연물 (14)은, 스크류 컨베이어(31)에 의하여 가연물 투입구(13)로부터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가연물(14)을 정량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화 가스(12)의 공급량 제어나 노 내 온도제어 등에 의한 유동층 가스화 노(10)의 안정운전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 가연물 공급수단(33)에는 릴리프 밸브(42)를 설치하여 유동층 가스화 노 (10) 내가 정압(대기압력보다 높음)이 되었을 때에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로부터 새어 나가는 가연성 가스를, 릴리프 밸브(42)로부터 방출하여 도시 생략한 배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급수단에 의해 쓰레기피트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 쓰레기피트는 탈취를 위해 항시 공기를 흡인하여 연소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연성 가스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가연물 공급수단(33)과 가연물 공급수단(30)을 접속하는 슈트(43)에는 도시 생략한 차단용 댐퍼를 설치하여 운전개시시나 긴급시에는 폐쇄로 한다. 이에 의하여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의 가연성 가스(17)가 가연물 공급장치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유동층 가스화 노(1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가연물 공급장치에서는 제 1 가연물 공급기구에 닿는 호퍼 (38), 푸셔(39), 슈트(37)에 있어서 수용되는 가연물(14)의 충전밀도를 높게 하고, 그것에 의하여 외부 공기의 누출을 저지하는 밀봉작용을 가지게 하면서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가연물(14)을 제 2 가연물 공급기구에 닿는 호퍼(36), 가연물 공급수단 (33) 및 가연물 공급수단(30)으로 가연물(14)에 의한 밀봉작용을 유지하면서 소정량을 유동층 가스화 노(10)에 공급하게 된다. 또 외부 공기의 유동층 가스화 노 (10) 내로의 누출을 머터리얼 밀봉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댐퍼 등의 특별한 밀봉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가연물 공급수단(30)을 슈트(43)로 대신한 실시형태예이다. 가연물 공급량의 정량성은, 가연물 공급수단(33)의 푸셔(40), 스크류 컨베이어(34) 및 긁어냄 장치(41)에 의하여 행하기 때문에, 가연물 공급수단(30)은 반드시 정량성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예에서는 가연물 공급수단(30)을 생략하여 가연물(14)을 가연물 공급수단(33)으로부터 슈트(43)에 의해 직접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단, 도 3과 같은 구조로 하면, 슈트(43)는 적당한 경사각도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가연물 공급설비 전체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유동층 가스화 노 및 가연물 공급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상기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예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호퍼(38)에 가연물(14)을 공급하는 쓰레기피트(501)의 구체적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즉 가연물(14)은 쓰레기 투입문(502)으로부터 외기를 차단하면서 쓰레기피트(501)에 반입된다. 쓰레기피트(501)에 반입된 가연물 (14)은 크레인(21) 등에 의해 호퍼(38)에 투입된다. 또한 쓰레기피트(501) 내는 부압으로 유지되어 쓰레기피트(501) 내의 가스가 외기로 나가는 일은 없다(상기한 도 2, 도 3에 관한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호퍼(38) 내의 가연물 (14)은, 호퍼(38)의 하부에 있어서 푸셔(39)에 가압되어 압밀화한 가연물(14)에 의해 양호한 머터리얼 밀봉이 행하여진다. 호퍼(38) 하부에서 압밀화된 가연물(14)에 의한 이른바 머터리얼 밀봉에 의해 외부 공기 내지 쓰레기피트(501) 내의 가스의 유동층 가스화 노(10)에의 유입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연물(14)은 푸셔 (39)에 의해 소정량이 잘라 내어져 호퍼(36)에 투입된다. 푸셔(39)가 후퇴할 때에 생기는 이른바 넘치는 쓰레기는 도시 생략한 전용 컨베이어에 의해 쓰레기피트 (501)에 운반되어 되돌아간다. 호퍼(36)에는 레벨계(1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36) 내의 가연물(14)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푸셔(39)의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호퍼(36) 내에 있어서의 가연물(14)의 머터리얼 밀봉에 의해서도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셔(40)의 작용에 대해서는 도 2에 있어서의 작용과 마찬가지로 푸셔 (40)의 구동부(401)에 의하여 푸셔부(403)를 호퍼(36) 내로 밀어 넣어 가연물(14)을 스크류(34)에 가압함으로써 가연물(14)의 국소적 압밀화를 방지하여 스크류(34)에의 정량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스크류(34)의 출구에는 긁어냄장치(41)가 설치되어 스크류(34)로부터 밀어내지는 가연물(14)을 기계적으로 긁어내고 있어 스크류 (34)에 의한 공급을 보다 정량화할 수 있다. 긁어냄장치(41)를 거친 가연물(14)은 슈트(43)를 거쳐 유동층 가스화 노(10)에 공급된다.
또 가연물 공급수단(33)에 릴리프밸브(42)를 설치하여 유동층 가스화 노 (10) 내가 정압이 된 경우에,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로부터 새어 나가는 가연성가스를, 릴리프밸브(42)로부터 배관(공급수단)(500)을 경유하여 쓰레기피트(501)에 방출한다. 또한 릴리프밸브(42)로부터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로부터 새어 나가는 가연성 가스를 송풍기에 의해 흡인하여 직접 연소용 가스 배관(700)으로 도입하는 경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쓰레기피트(501) 내의 가스는 압입송풍기 (504)에 의해 항시 흡인되어 있고 밸브(503)에 의해 흡인 가스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소용 가스 배관(700)으로 도입된 가스는 따로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와 혼합시킨 후,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있어서의 유동층 가스화 노(10) 및/또는 용융로의 연소용 공기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슈트(43)에 긴급 차단밸브(44)를 설치하여 긴급시 또는 운전개시시에 그 긴급 차단밸브(44)를 폐쇄로 하는 것은 유동층 가스화 노(10) 내의 가연성 가스가 가연물 공급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가연물 공급장치를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서 가스화 용융시스템이란, 가스화 노에 있어서 가연물을 가스화하여 가스화 노에서 생성한 가스, 숯, 타르 등의 생성물을 용융로에 도입하고, 용융로에 있어서 그 생성물을 고온 연소시켜 그 생성물 중에 함유되는 재분을 용융 슬래그화하는 시스템이다.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유동층 가스화 노(10)에 있어서 생성된 생성물인 가연성 가스(17)를 용융로(800)에, 그 용융로(800) 내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도입하여 연소용 공기 (801)를 선회류의 접선방향으로 도입하여 재분을 슬래그 미스트화함과 동시에, 그 가스의 선회작용에 의해 상기 슬래그 미스트를 노 벽에 포집한다. 슬래그 배출구 (802)로부터 배출된 용융 슬래그는 수실(水室)(803)에서 수쇄 슬래그가 되어 컨베이어(804)에 의해 시스템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용융로(800) 내에서 발생한 연소배기 가스는, 폐열 보일러(900)에 의해 상기 연소배기 가스의 열을 스팀으로써 회수하여 가스 냉각실(901)에서 냉각되고, 백필터(902)에 의하여 비산재를 포집한 후에 시스템 밖으로 방출된다. 또한 유인 통풍기(903)에 의하여 가스화 용융시스템 전체가 부압으로 유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도 2, 도 3에 나타낸 가연물 공급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가스화 노 내로 누출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더블 댐퍼 등의 기계적 밀봉기구가 불필요한 가연물 공급장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게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밀봉성의 향상과 정량 공급성의 향상은 이율배반되는 과제이나, 본 공급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밀봉성 및 정량 공급성 양면에서 뛰어난 가연물의 공급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령 가연물 공급장치를 거쳐 가연성 가스가 누출되어도 본 시스템에 의하면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부 공기가 가연물과 함께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호퍼에 공급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가스화 노 내에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어 더블 댐퍼 등의 특별한 밀봉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상기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 내에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화 노 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이 적어져 가스화 노의 안정운전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량이 작기 때문에 가스화 노에 계속되는 용융로의 안정운전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쓰레기피트는 항시 쓰레기피트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연소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가연물을 공급하는 측으로 누설되는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방출함으로써 상기 가연성 가스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가연물 공급기구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호퍼에 공급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가스화 노 내에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어 더블 댐퍼 등의 특별한 밀봉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장치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제 2 가연물 공급기구에 의해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호퍼 내의 가연물을 가스화 노에 정량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화 노 내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이 적어져 가스화 노의 안정운전이 용이하게 된다. 또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변동량이 작기 때문에 가스화 노에 계속되는 용융로의 안정운전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4,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릴리프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가스화 노 내가 정압이 되었을 때에 가스화 노 내로부터 새어 나가는 가연성 가스를 릴리프 밸브로부터 방출하여 공급수단에 의해 쓰레기피트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장치 및 가스화 용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쓰레기피트는, 항시 쓰레기피트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연소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가연성 가스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Claims (6)

  1. 가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가연물에 의해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호퍼에 공급하고,
    상기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상기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 내에 정량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노 내로부터 가연물을 공급하는 측으로 누설되는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
  3. 가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가연물에 의해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공급하는 제 1 가연물 공급기구와,
    상기 제 1 가연물 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된 가연물을 저류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 내에 정량 공급하는 제 2 가연물 공급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노 내로부터 제 2 가연물 공급기구측으로 누설된 가연성 가스를 방출하는 릴리프밸브와, 상기 릴리프밸브로부터 방출된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장치.
  5. 가연물을 가스화하는 가스화 노와, 상기 가스화 노에서 생성된 생성물을 용융하는 용융로를 구비한 가스화 용융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가연물과 함께 상기 가스화 노 내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가연물을 공급하는 제 1 가연물 공급기구와,
    상기 제 1 가연물 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된 가연물을 저류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공급된 가연물의 저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호퍼 내의 가연물을 상기 가스화 노 내에 정량 공급하는 제 2 가연물 공급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 노 내로부터 제 2 가연물 공급기구측으로 누설된 가연성 가스를 방출하는 릴리프밸브와, 상기 릴리프밸브로부터 방출된 가연성 가스를 쓰레기피트에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시스템.
KR1020047003975A 2004-03-18 2003-02-18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용융시스템 KR20050092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3975A KR20050092088A (ko) 2004-03-18 2003-02-18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용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3975A KR20050092088A (ko) 2004-03-18 2003-02-18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용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088A true KR20050092088A (ko) 2005-09-20

Family

ID=3727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975A KR20050092088A (ko) 2004-03-18 2003-02-18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용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20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176B2 (ja) 固形燃料、特に固形廃棄物の燃焼方法及び燃焼装置
WO2004074409A1 (ja) ガス化炉への可燃物供給方法及び装置及びガス化溶融システム
JP2003056822A5 (ko)
JP2003056822A (ja) 流動層ガス化炉の可燃物供給方法及び可燃物供給装置
KR20050092088A (ko) 가스화 노에의 가연물 공급방법과 장치 및 가스화용융시스템
JPH03505778A (ja) 廃棄物の利用法並びに廃棄物調製装置
JP2007315622A (ja) 可燃性原料供給システム
JP4209701B2 (ja) 可燃物のガス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ガス化溶融システム
JP4048657B2 (ja) 廃棄物熱分解ガス化装置
JP2004239470A (ja) 肉粉等廃棄物の燃焼方法
JP3004629B1 (ja) 部分燃焼炉の起動制御方法及び停止制御方法並びに起動・停止制御装置
KR101044421B1 (ko) 기화 및 슬래깅 연소 시스템 및 방법
JP4194983B2 (ja) 廃棄物処理方法
KR102631046B1 (ko) 소각 발전 시스템
KR102661740B1 (ko) 소각 발전 시스템의 연료 공급 장치
JP4105864B2 (ja) 流動層ボイラにおける飛灰の再利用方法
KR20000076315A (ko) 산업 및 가정용 쓰레기 및 슬러지의 소각 플랜트 및 방법
JPH0816526B2 (ja) 流動床式焼却炉における循環粒量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366200B2 (ja) 焼却炉における燃焼制御方法
JPH04214111A (ja) 廃棄物燃焼装置の停止方法
JP2000176431A (ja) 焼却灰の移送方法および処理方法
JPH11201431A (ja) 直接溶融炉
JP2768144B2 (ja) 廃棄物の溶融方法
JP2768145B2 (ja) 廃棄物溶融装置の操業方法
JPH05346218A (ja) 廃棄物溶融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