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709A -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709A
KR20050091709A KR1020057009366A KR20057009366A KR20050091709A KR 20050091709 A KR20050091709 A KR 20050091709A KR 1020057009366 A KR1020057009366 A KR 1020057009366A KR 20057009366 A KR20057009366 A KR 20057009366A KR 20050091709 A KR20050091709 A KR 20050091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s
emitters
door
energy beam
safety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챠드 퍼스텔니악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5700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1709A/ko
Publication of KR2005009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기 위해 활성화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선형 배치된 이미터(17), 복수의 이미터(17)중 상응하는 하나에서 에너지 비임(23)중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에 각각 상응하는 복수의 선형 배치된 리시버(11)를 포함하는, 도어 장치를 위한 안전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리시버(11)중 하나는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에너지 비임(23)을 수신하기 전에 달리 활성화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는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달리 활성화되고,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각각의 활성화된 하나는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면 불활성화되고 상기 주사 순서상으로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다음 하나가 활성화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OPTICALLY SYNCHRONIZED SAFETY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SLIDING DOORS}
본 발명은 활주 엘리베이터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작동중인 다수의 엘레베이터 도어 검출 시스템은 제어 유닛, 이미터 도어 유닛(emitter door unit; IR 이미터 배열체), 검출기 도어 유닛{IR 리시버(reveiver) 배열체}으로 이루어진다. 도어 유닛 동력 조절 및 공급 뿐만아니라 제어 및 동기화 기능은 다중 케이블 조립체를 경유하여 제어 유닛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이 매우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이 접근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시스템은 구성 및 작동하는 데에 종종 아주 고가이다.
이들 전류 검출 시스템의 비용 분석은 시스템이 개별 제어기 유닛없이 제조된다면 전체 검출 시스템 비용이 60% 이상 절감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그러나, 제어기 유닛에 대한 필요를 없애기 위해서, 이 기능은 도어 유닛에 의해 취급될 필요가 있다. 도어 유닛 크기의 제한점으로 인해, 제어 및 동력 공급 기능은 단일 도어 유닛으로 단순히 이동될 수 없다.
비용 절감은 도어 유닛 사이의 전기 통신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고 상호 접속 케이블을 단순화하여 버퍼링(buffering)과 관련 보호 회로에 대한 필요를 제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엘리베니터 진입을 주사하고 개별 이미터 및 검출기 배열체를 사용하는 것은 복잡한 주사 순서를 요구한다. 이미터 배열체 및 검출기 배열체에 의해 수행된 작동 및 기능은 신중하게 통합되어 동기화되어야 한다. 일방향 형태의 통신이 엘리베이터 진입을 주사하는 데에 사용된 에터지 형태로 이미터 도어 유닛과 검출기 도어 유닛 사이에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에너지가 도어 유닛 사이에서 필수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론을 고안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미터 유닛에 의해 생성된 주사 에너지는 임의의 개별 공급원과 연속적이지 않고, 따라서 이미터와 리시버 유닛을 동기화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동력 공급 및 제어 기능이 각 도어 유닛으로 분배되고 각 시스템의 개별 필요에 대해 주문 형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검출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추가로, 도어 유닛 사이의 전기 통신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는 데에 유리한 것으로 판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안전 검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2는 비임 차단 검출 후의 본 발명의 안전 검출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활주 엘리베이터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도어 장치를 위한 안전 검출 시스템은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기 위해 활성화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선형 배치된 이미터와,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에 각각 상응하여 복수의 이미터중 상응하는 하나에서 에너지 비임중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선형 배치된 리시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리시버 각각은 주사 순서에 따라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기 전에 달리 활성화되고, 복수의 이미터 각각은 주사 순서에 따라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달리 활성화되고, 복수의 리시버중 각각의 활성화된 하나는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면 불활성화되고 주사 순서상으로 복수의 리시버중 다음 하나가 활성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장치의 안전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수직 표면을 따라 복수의 이미터를 선형 배치하는 단계와, 제2 수직 표면을 따라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에 각각 상응하는 복수의 리시버를 선형 배치하는 단계와, 주사 순서에 따라 복수의 리시버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주사 순서에 따라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복수의 리시버중 활성화된 것으로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여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리시버중 활성화된 것을 불활성하고 주사 순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시버중 후속 것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주사 순서에 따라 복수의 이미터중 후속 것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복수의 이미터의 각각과 복수의 리시버의 각각이 주사 순서에 따라 활성화될 때까지 e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엘리베이터 도어 유닛을 위한 2차원 검출기를 기술하며, 여기서 동력 공급 및 제어 기능은 각 도어 유닛에 분배되고 도어 유닛 사이의 전기 통신에 대한 필요가 제거되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도어의 선단 에지 상에 배치된 일련의 이미터와 제2 도어의 선단 에지에 배치된 일련의 리시버로 이루어진다. 제1 제어기는 이미터의 개시 순서를 제어하고 제2 제어기는 이미터에 의해 방출된 비임 또는 비임들을 검출하기 위한 개별 리시버의 활성을 제어한다. 제2 제어기는 방출된 비임의 검출된 간섭 또는 신호 손실에 응답하여 도어를 전환하도록 도어 제어기에 신호를 또한 제공한다.
이러한 신호의 손실 또는 검출된 간섭의 발생시에, 도어는 완전 주사가 신호의 손실 또는 검출된 비임 간섭없이 수행될 때까지 폐쇄되지 않을 것이다. 이미터와 리시버를 위한 주사 패턴은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미터는 공지된 주사 패턴으로 켜지고 꺼지고, 검출기는 이미터와 상응하는 패턴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검출기의 주사 패턴을 이미터의 패턴과 동기화하도록 이미터로부터 검출된 에너지를 이용한다. 이 방식으로, 다음에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미터 배열체와 검출기 배열체 사이의 임의의 종류의 전기 접속에 대한 필요가 제거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검출 시스템이 도시된다. 제1 도어(19)의 선단 에지(23->27)를 따라, 복수의 이미터(11)가 수직으로 배열된다. 이미터(11)에 대향되고 제2 도어(21)의 선단 에지(25)를 따라 수직으로 배열된 것은 복수의 리시버(17)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각 이미터(11)는 이미터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대응 리시버(15)를 가진다. 리시버(17)와 이미터(11)를 포함하는 각 대응쌍은 이미터/리시버쌍을 형성한다. 단일 이미터(11)에 의해 생성되는 에너지 신호(23)의 도면이 도시된다. 단일 이미터로부터 방출된 에너지 신호(23)는 하나 이상의 리시버(17)와 접촉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단일 이미터(11)는 켜져서 이미터를 직접 가로질러 활성 이미터(13) 및 리시터(17)를 형성하고, 활성 리시버(15)는 켜져서 에너지 신호(23)를 검출할 때까지 유지된다. 그런 후, 활성 리시버(15)는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주사 순서상 다음 리시버는 수신이 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주사 순서"라는 용어는 이미터(11)와 리시버(17)가 정상 또는 진단 주사를 완료하는 동안에 활성화되는 차례를 의미한다. 순서상 다음 이미터(11)가 켜져서 활성 이미터(13)가 되고 활성 리시버(15)로의 광로가 차단되지 않은 경우에, 수신된 에너지 신호(23)는 순서상 다음 리시버(17)를 활성화하도록 촉발된다. 패턴은 각 이미터/리시버쌍에 대해 반복될 것이다. 주사 순서는 리시버(17)와 이미터(11)의 각 배열체 내로 금속 배선될 수도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도어(19) 및 제2 도어(21)와 각각 결합된 개별 제어기(31, 33)에 저장될 수도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된 이미터(13)는 한번에 하나 이상의 리시버(17)를 조명할 수 있는 에너지 신호(23)를 포함한 매우 긴밀한 광패턴을 생성한다. 따라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터(11)를 켜고 끄는데 사용되는 주사 순서는 2개의 순차적으로 활성화된 이미터(13)가 동일한 리시버(17)를 조명하지 않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주사 순서는 다수의 다른 주사 순서가 본 발명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본 예에 있어서, 26개의 이미터(11; 1번 내지 26번 이미터가 상부에서 하부로 배열됨)가 도시된다. 26개의 이미터(1번 이미터(11)는 제1 도어(19)의 상부에 있고 26번 이미터(11)는 제1 도어(19)의 하부에 있음)가 다음 순서로 활성화되는 주사 순서를 가정하자: 1번, 14번, 2번, 15번, 3번, 16번, 13번까지 계속, 26번. 이와 같이, 리시버(17)는 동일한 순서로 활성화된다. 도시된 본 예에 있어서, 에너지 신호(23)는 활성 이미터(13)로부터 수평한 활성 리시버(15) 뿐만아니라 각 측부 상에서 5개의 리시버와 접촉한다. 그러나, 본원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주사 순서의 결과로, 후속 활성 리시버는 활성 이미터(13)에서 에너지 신호(23)를 부정확하게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다음으로부터 명백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16번 활성 이미터는 16번 활성 리시버(15) 뿐만아니라 11번 내지 15번 및 17번 내지 21번 리시버(17)에 의해 감지된 에너지 신호(23)를 방출한다. 방출된 에너지 신호(23)를 수신한 후에, 4번 활성 리시버(15)의 경우에, 다음 리시버(17)가 활성화되어 활성 리시버(15)가 된다. 4번 리시버(17)가 11번 내지 21번 리시버(17)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방출된 에너지 신호(23)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각 활성 리시버(15)는 그 에너지 신호(23)는 활성 리시버(15)를 조명할 수 있는 것 또는 대응 활성 이미터(13)로부터의 에너지에 대해 제한된 소정 시간 주기를 대기한다. 방출된 에너지가 현재 활성화된 리시버(15)에 의해 검출되자 마자, 그 리시버(또는 비임)을 위한 접속부가 로그(log)되고, 주사 순서상 다음 리시버(17)는 활성 리시버(15)가 된다. 방출 에너지가 (기대된 에너지가 도착할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임의의 최대 대기 주기 내에 검출되지 않는다면, 비임 차단이 로그되고, 반대 신호가 도어 조작기(37)에 전송되고 시스템(10)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크(park)한다(본 예에서 하부 리시버(17)인 "파크" 비임/리시버(21)를 활성화함).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대 신호의 수신시에, 도어(19, 21)가 개방된다.
그런 후, 시스템(10)은 파크 리시버(21)에 의해 수신될 "제1 에너지"를 기다린다. 에너지가 검출되는 경우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sync) 상태가 "준비(primed)"된 것으로 간주되어 상부 리시버가 활성화된다. 상부 리시버가 에너지를 검출하는 경우에, 동기화된 상태는 이미터 유닛과 검출기 사이에 성립되어 정상 주사가 다시 시작된다. 에너지가 하부/파크 리시버(20)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는 하부 또는 파크 리시버(20)가 파크 리시버(20)에 실제 해당되지 않는 이미터(11)로부터 에너지를 수용할 수도 있지만, 이미터 유닛이 상부에서 그 주사 순서를 재시작할 때까지 이미터 순서가 상부 리시버에 의해 에너지가 수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진행하기 때문에 동기화 상태가 성립되었다는 것이 보증될 수 있다.
동기화된 상태가 이미터와 리시버 배열체 사이에 성립되면, 정상 주사 순서가 시작한다. 비임 차단 검출없이, 전체 주사 순서가 성공적으로 주사된다면, 도어 조작기로의 반대 신호는 제거되고 정상 주사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및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이미터(11)는 다수의 리시버(17)를 조명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사 순서상 각 이미터는 순서상으로 이전 이미터 또는 순서상으로 다음 이미터와 충분하게 분리되어, 검출기가 순서상으로 임의의 2개의 연속된 이미터로부터 에너지를 "볼"수 없다. 또한, 리시버가 파크되어 싱크를 성립 또는 재성립하는 동안, 에너지가 순서상으로 부정확한 이미터(11)(즉, 파크 리시버(20)로부터 직접 가로지르지 않은 이미터)에서 검출된다면, 주사 순서는 이전에 존재한 반대 신호가 활성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잘못 구성된) 비임이 전체 주사 순서가 완료되기 전에 "차단"되어, "재파크 및 싱크" 작동을 유발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성취하는 하나의 양호한 방법은 전술된 주사 순서에 교란(pertuation)을 추가하는 것이다. 예컨대, "... 12번, 25번, 13번, 26번"과 같은 전술된 주사 순서를 종료한 후에, "1번, 26번, 1번, 26번"과 같은 짧은 추가 순서가 첨가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적인 거짓 싱크 루프 교란은 무한 루프의 가능성을 제거하도록 주사 순서에 추가된다. 구체적으로, "거짓" 싱크 상황이 다른 "거짓" 싱크 상황으로 직접 이르는 것을 "유도하고(break)" 이는 이전에 진입한 "거짓"싱크 상황에 이르는 것을 "유도하여(break)", "거짓" 싱크 루프와 진짜 싱크 성립의 불가능성을 초래하는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검출 시스템(10)으로부터의 연속적인 "방해" 지시로 인해 반대 신호는 불활성되지 않을 것이며 도어는 개방 위치로 유지될 것이다.
2개의 도어(19, 21)를 포함한 검출 시스템(10)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동안,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복수의 리시버(17) 또는 이미터(11)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 수직 벽과 폐쇄 위치에서 접촉하는 선단 에지를 갖는 단일 도어를 포함한 검출 시스템(10)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이전에 설명된 목적, 수단 및 장점을 모두 만족시키는 활주 엘리베이터 도어를 위한 광학식으로 동기화된 안전 검출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그 특정 실시예의 내용을 기술하였지만, 다른 대안, 변경 및 변화가 상기 기술을 판독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항의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이들 대안, 변경 및 변화를 포함하려 한다.

Claims (17)

  1. 도어 장치를 위한 안전 검출 시스템이며,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기 위해 활성화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선형 배치된 이미터와,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에 각각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상응하는 하나에서 상기 에너지 비임중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선형 배치된 리시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리시버 각각은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기 전에 달리 활성화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터 각각은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달리 활성화되고,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각각의 활성화된 하나는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면 불활성화되고 상기 주사 순서에서의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다음 하나가 활성화되는 안전 검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배치된 복수의 이미터는 도어의 선단 에지 상에 배치되는 안전 검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배치된 복수의 이미터는 수직 배치되는 안전 검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는 안전 검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배치된 복수의 리시버는 도어의 선단 에지 상에 배치되는 안전 검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배치된 복수의 리시버는 수직 배치되는 안전 검출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포함하는 안전 검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비임은 IR 광을 포함하는 안전 검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시버 각각은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주기를 대기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검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시버 각각은 상기 에너지 비임이 상기 소정의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비임 차단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검출 시스템.
  11. 도어 장치의 안전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며,
    a) 제1 수직 표면을 따라 복수의 이미터를 선형 배치하는 단계와,
    b) 제2 수직 표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에 각각 상응하는 복수의 리시버를 선형 배치하는 단계와,
    c)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d)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e)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활성화된 하나로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여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활성화된 것을 불활성화하고 상기 주사 순서에서 한정된 대로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후속하는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f) 상기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후속하는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g) 상기 복수의 이미터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리시버의 각각이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활성화될 때까지 e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수직 표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를 선형 배치하는 상기 단계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에지를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표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리시버를 선형 배치하는 상기 단계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에지를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터와 상기 복수의 리시버의 동기화를 허용하도록 상기 주사 순서를 구성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도어 장치에서 안전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며,
    a) 제1 수직 표면을 따라 복수의 이미터를 선형 배치하는 단계와,
    b) 제2 수직 표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에 각각 상응하는 복수의 리시버를 선형 배치하는 단계와,
    c)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d)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e)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활성화된 하나로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여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활성화된 하나를 불활성화하고 상기 주사 순서에서 한정된 대로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후속하는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f) 상기 에너지 비임을 방출하도록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중 후속하는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g) 상기 에너지 비임의 상기 수신에 대해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하나를 활성화한 후에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는 상기 주사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터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리시버의 각각이 활성화될 때까지 e 단계 내지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h) 상기 복수의 리시버중 활성화된 하나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에너지 비임을 수신하는 것에 실패하였다면 비임 차단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차단을 식별한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엘리베이터 도어를 위한 안전 검출 시스템이며,
    제1 도어에 위치된 일련의 이미터와,
    제2 도어에 위치된 일련의 리시버와,
    상기 이미터를 위한 개시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수단과,
    상기 이미터에 의해 방출된 비임을 검출하도록 상기 리시버를 활성화하는 제2 수단과,
    상기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단은 검출된 비임의 간섭 및 신호 손실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도어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도어 제어 수단에 신호를 제공하는 안전 검출 시스템.
KR1020057009366A 2005-05-25 2002-12-30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KR20050091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9366A KR20050091709A (ko) 2005-05-25 2002-12-30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9366A KR20050091709A (ko) 2005-05-25 2002-12-30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09A true KR20050091709A (ko) 2005-09-15

Family

ID=3727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366A KR20050091709A (ko) 2005-05-25 2002-12-30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17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68B1 (ko) 2019-06-05 2020-04-10 김태하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68B1 (ko) 2019-06-05 2020-04-10 김태하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8605B2 (en) Optoelectronic sensor for safeguarding a hazardous area
JP4099419B2 (ja) 物体認識方法及び光グリッド
US55833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defective light transmitters and/or receivers of a light grid for detecting objects in a surveillance area
EP0534674B1 (en) Equipment unit latch and associated switch
EP2165961B2 (en) Safety sensing system for a powered door system
CN202351648U (zh) 一种智能光幕控制系统
EP0534675B1 (en) Apparatus for equipment unit protection switching
US9798040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optical units of a photoelectric barrier and light curtain
US20080156968A1 (en) Light grid
CN101910911B (zh) 用于多光束系统的扫描方法和系统
KR20160040421A (ko) 센서 장치 및 위험 검지 시스템
JP4280713B2 (ja) エレベータスライドドア用光学的同期性安全検出システム
EP0567717A1 (en) Optoelectronic barrier
EP1791259A2 (en) General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its controller
WO2001014677A1 (en) Gap scanning
US4956836A (en) Automatic bypass system for ring type local area network
KR20050091709A (ko) 엘리베이터 활주 도어를 위한 광학 동기식 안전 검출 장치
US20060157304A1 (en) Optically synchronized safety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sliding doors
US6091064A (en) Safety system with intermittent photoelectric beam
JPH11145250A (ja) キャリア内におけるウェーハローディング状態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2568118Y2 (ja) 光電スイッチ
CN114655800A (zh) 外挂电梯控制系统和方法
JP2003133933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EP0129577B1 (en) A microprocessor-controlled light screen
KR100212709B1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웨이퍼 이중 감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