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59A -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59A
KR20050090859A KR1020040016137A KR20040016137A KR20050090859A KR 20050090859 A KR20050090859 A KR 20050090859A KR 1020040016137 A KR1020040016137 A KR 1020040016137A KR 20040016137 A KR20040016137 A KR 20040016137A KR 20050090859 A KR20050090859 A KR 2005009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va appli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java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736B1 (ko
Inventor
최강수
정국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4001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7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2Mounting of propulsion 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자바 플랫폼과,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생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을 제어하는 단말 플랫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및 방법{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JAVA APPLICATION LOA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기존의 음성 호처리 및 단문전송 데이터 처리 이외에 게임, 일정관리, 계산기, 알람 등 이용자에게 유용한 부가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짐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컨텐츠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 기능은 국제시간 확인기능, 통화시간 확인기능, 전화번호 메모리기능, 애니메이션 대기화면, 최근 발신/수신번호 보기, 지역번호 검색, 세계시계 기능, 알람 설정기능, 개인정보 관리기능, 단축다이얼/음성다이얼 관리, 스케줄(일간/주간/월간) 관리기능, 이 메일(E-Mail) 송수신 기능, 노래방 기능, 사전기능, 계산기 기능, 게임 기능, 사진 편집 기능 및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 등이 추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품 생산에서부터 미리 확정되어 출시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유사한 기능과 상이한 기능들이 구분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의 동일 기능 개발에 따른 중복투자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연령층에 따른 각기 다른 취향을 충족시킬 수가 없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 부가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해당 기능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프로그램을 새로이 업그레이드(up-grade)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 상 기능 변경을 위해서는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해야 하므로 외부 인터페이스가 용이하지 못하고 피시(PC)에서의 운영체제(DOS)나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일반화된 동적인 프로그램 환경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업체에서 모든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사용자는 이를 직접서비스 센터에서 업그레이드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GVM, JAVA, BREW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Platform)이 개발되고 있다.
GVM은 Mini-C, JAVA는 JAVA 언어로, BREW는 C 언어로 각각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은 게임, 위치정보, 증권, 노래방, e-book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의 하나의 기능으로 동작하며, 사용자는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에서 동적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동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구동된 동적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가지는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알려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타스크(UI Task)에 메뉴 형태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UI Task는 대기(Idle)상태가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뉴형태의 기능을 선택하게 되며,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선택하면 UI Task내에서 다른 상태로 천이하여 다른 Task와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품 개발과 생산 단계에서 미리 그 기능이 확정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됨으로서 사용자의 연령층의 구분 없이 일례로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를 선호하는 10대 연령층과 모바일 오피스, 모바일 증권과 같은 기능을 선호하는 30대 연령층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과 용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의 추가는 많은 제약을 받게 되며, 여러 연령층이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은 몇 가지로 한정된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의 확장과 연령층의 기호에 알맞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기능 중에 하나가 자바 플랫폼(JAVA Platform)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자바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로딩 및 변경불가 영역(10)내에는 자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부분인 KVM(Kilobyte Virtual Machine)과, 자바 언어의 명세인 CLDC(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 MIDP(Mobile Information Device Profile),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왑 브라우저(WAP Browser) 및 단말 부가 기능(전화번호부, 계산기, 개인정보관리)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호스트 컴퓨터 운영체계(Host OS)와 그의 서비스 루틴(Primitive)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다운로딩 및 변경이 가능한 영역에 있는 APP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자바 어플리케이션(JAVA Application)을 나타낸다.
자바 플랫폼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사용자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바 플랫폼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 즉 게임, 노래방 등을 다운로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자바 플랫폼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게임, 노래방 등의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즐기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로부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만 하게 된다. 따라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삭제, 사용기간 연장, 데이터 전달 및 정보조회 등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자바 플랫폼과,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생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을 제어하는 단말 플랫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삭제, 사용금지, 사용기간 연장, 메시지 전달 및 정보조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식별코드인 텔레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제어명령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아이디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는 메시지 바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텔레서비스 아이디를 식별하여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제어 명령 아이디에 따라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에 대응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 이름에 대응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을 통해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삭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금지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중단시킴과 아울러 더 이상 실행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는 사용기간으로 연장하고자 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사용기간 연장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 중 사용기간을 상기 사용기간 연장 값으로 변경하거나 사용금지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간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메시지를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바디부는 정보조회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정보조회 코드 및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정보조회 코드에 따른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단말 플랫폼을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삭제, 사용금지, 사용기간 연장, 메시지 전달 및 정보조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식별코드인 텔레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제어명령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아이디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는 메시지 바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텔레서비스 아이디를 식별하여 상기 제어 명령 아이디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에 대응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 이름에 대응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삭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금지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중단시킴과 아울러 더 이상 실행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는 사용기간으로 연장하고자 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사용기간 연장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 중 사용기간을 상기 사용기간 연장 값으로 변경하거나 사용금지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간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메시지를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바디부는 정보조회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정보조회 코드 및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정보조회 코드에 따른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JAVA Application : 이하, "APP"라 함)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바 플랫폼(100)이 탑재된 도시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APP을 제공함과 아울러 APP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가지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 이하 "SMS"라 함)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를 제어하는 APP제어 시스템(130)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SMS를 수신하여 SMS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자바 플랫폼(100)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단말 플랫폼을 구비한다.
자바 플랫폼(100)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다운로딩 및 변경불가 영역(110)과 다운로딩 및 변경이 가능한 영역(APP)으로 구분된다.
다운로딩 및 변경불가 영역(110)은 자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부분인 KVM(Kilobyte Virtual Machine)과, 자바 언어의 명세인 CLDC(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 MIDP(Mobile Information Device Profile),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왑 브라우저(WAP Browser) 및 단말 부가 기능(전화번호부, 계산기, 개인정보관리), Voice Call, SMS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호스트 컴퓨터 운영체계(Host OS)와 그의 서비스 루틴(Primitive)을 포함하고 있다.
다운로딩 및 변경이 가능한 영역(APP)은 사용자에 의해서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로부터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APP가 다운로딩 된다.
APP제어 시스템(130)은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140)에 설치된 것으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140)에서 개발된 다양한 APP들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APP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APP제어 시스템(130)은 APP제어 메시지를 발생하는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와,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의 APP제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SMS) 형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APP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구비한다.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140)의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를 실행시키기 위한 "APP 실행" 메시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실행중인 APP를 종료시키기 위한 "APP 종료" 메시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를 삭제시키기 위한 "APP 삭제" 메시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를 특정한 이유에 의하여 사용 금지시키기 위한 "APP 사용금지" 메시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키거나 사용금지를 해제시키기 위한 "APP 사용기간 연장" 메시지; 서비스 사업자나 컨텐츠 제공업체, 다른 단말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에 전달하기 위하여 APP의 고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APP 메시지 전달" 메시지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등록정보를 얻고 싶기 위한 "APP 정보조회" 메시지 등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140)의 관리자의 명령에 의한 "APP 실행" , "APP 종료" , "APP 삭제", "APP 사용금지" , "APP 사용기간 연장", "APP 메시지 전달" 및 "APP 정보조회" 등의 메시지들을 SMS 형태로 변환하여 APP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에 공급한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제어 메시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Header)부, 메시지 바디(Message Body)부 및 풋터(Footer)부를 가지게 된다.
헤더부는 APP를 제어하기 위한 APP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APP 제어명령 아이디(Identification Number : 이하, "ID"라 함), 메시지 크기, 발신자 ID, 메시지 마디와 풋터의 합에 대응되는 디지트(Digit) 값 및 여분을 포함하며 크기는 60Byte를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 때, APP의 제어명령 ID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설정된다.
APP제어 명령 메시지 APP제어 명령 ID
APP 실행 1
APP 종료 2
APP 삭제 3
APP 사용금지 4
APP 사용기간 연장 5
APP 메시지 전달 6
APP 정보조회 7
메시지 바디부의 크기는 60Byte를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APP 실행" , "APP 종료" , "APP 삭제" 및 "APP 사용금지"와 같은 APP 제어 메시지 각각의 메시지 바디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이름을 가지게 된다. 또한, "APP 사용기간 연장"과 같은 APP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는 APP의 이름 및 사용기간 연장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APP 메시지 전달"과 같은 APP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는 APP의 이름 및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APP 정보조회"와 같은 APP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는 APP 이름 및 조회 대상 코드를 가지게 되며, 조회 대상 코드는 APP 이름, 제작사, 다운로드일, 사용기간 및 버전과 같다. 이러한, SMS 형태의 메시지 바디부에서 입력되는 APP 이름각각은 자바에서 사용되는 Midlet의 이름의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으로 한다.
풋터부는 10Byte의 여분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SMS 형태의 APP제어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를 제어 서비스를 위하여 특별하게 부여된 텔레서비스(Teleservice) ID를 가지게 된다.
APP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는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공급되는 "APP 실행" , "APP 종료" , "APP 삭제", "APP 사용금지" , "APP 사용기간 연장", "APP 메시지 전달" 및 "APP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SMS 형태의 APP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APP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APP 정보조회에 대한 결과를 수신받는다.
무선 통신망(12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비스 사업자나 컨텐츠 제공업체를 상호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APP 제어 메시지 각각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실행, 종료, 삭제, 사용금지, 사용기간 연장, 메시지 전달 및 정보조회와 같은 APP의 제어 방법 각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APP 제어 메시지 중 "APP의 실행 메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제어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APP를 제공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가 APP 실행 메시지를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번호 및 실행할 APP의 이름을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에 입력한다. 제 1 단계(S1) 이에 따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실행에 대응되는 텔레서비스 ID, APP의 제어명령 ID 등을 포함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APP 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이용하여 APP 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APP 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단계(S2)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APP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 3 단계(S3)
이에 따라, 단말 플랫폼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된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텔레서비스 ID를 식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바디부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APP의 실행을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xxxxx를 실행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 4 및 제 5 단계(S4, S5)
제 5 단계(S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된 APP 실행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단말 플랫폼은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의 APP의 제어명령 ID에 따라 자바 플랫폼(100)으로 하여금 해당 APP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제 6 단계(S6)
반면에, 제 5 단계(S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된 APP 실행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APP 실행 요청이 종료된다. 제 7 단계(S7)
이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는 SM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실행 유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재된 APP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2) APP 제어 메시지 중 "APP의 종료 메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제어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APP를 제공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가 APP 종료 메시지를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번호 및 종료할 APP의 이름을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에 입력한다. 제 1 단계(S1) 이에 따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종료에 대응되는 텔레서비스 ID, APP의 제어명령 ID 등을 포함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APP 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이용하여 APP 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APP 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단계(S2)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APP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 3 단계(S3)
이에 따라, 단말 플랫폼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된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텔레서비스 ID를 식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바디부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APP의 종료를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xxxxx를 종료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 4 및 제 5 단계(S4, S5)
제 5 단계(S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된 APP 종료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승인한 경우에 단말 플랫폼은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의 APP의 제어명령 ID에 따라 자바 플랫폼(100)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해당 APP를 종료시키도록 한다. 제 6 단계(S6)
반면에, 제 5 단계(S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된 APP 종료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APP 종료요청이 종료되고, APP는 계속 실행된다. 제 7 단계(S7)
이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는 SM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종료 유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재되어 실행 중인 APP를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3) APP 제어 메시지 중 "APP의 삭제 메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제어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APP를 제공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가 APP 삭제 메시지를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번호 및 삭제할 APP의 이름을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에 입력한다. 제 1 단계(S1) 이에 따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삭제에 대응되는 텔레서비스 ID, APP의 제어명령 ID 등을 포함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APP 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이용하여 APP 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APP 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단계(S2)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APP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 3 단계(S3)
이에 따라, 단말 플랫폼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된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텔레서비스 ID를 식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바디부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APP의 삭제를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xxxxx를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 4 및 제 5 단계(S4, S5)
제 5 단계(S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된 APP 삭제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승인한 경우에 단말 플랫폼은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의 APP의 제어명령 ID에 따라 자바 플랫폼(100)으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해당 APP를 삭제하도록 한다. 제 6 단계(S6)
반면에, 제 5 단계(S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된 APP 삭제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APP 삭제요청이 종료된다. 제 7 단계(S7)
이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는 SM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삭제 유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재된 APP를 삭제시킬 수 있게 된다.
4) APP 제어 메시지 중 "APP의 사용금지 메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제어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APP를 제공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가 APP 사용금지 메시지를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번호 및 실행할 APP의 이름을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에 입력한다. 제 1 단계(S1) 이에 따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사용금지에 대응되는 텔레서비스 ID, APP의 제어명령 ID 등을 포함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APP 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이용하여 APP 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APP 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단계(S2)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APP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 3 단계(S3)
이에 따라, 단말 플랫폼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된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텔레서비스 ID를 식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바디부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APP의 사용금지를 알리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한 이유로 xxxxx의 실행을 중지시키고 사용 금지하겠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 4 및 제 5 단계(S4, S5) 여기서, 사용 금지에 대한 이유로는 요금 미납, 사용기간 경과 등의 이유가 된다.
제 5 단계(S5)에서 단말 플랫폼은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의 APP의 제어명령 ID에 따라 자바 플랫폼(100)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해당 APP의 실행을 중지시킴과 아울러 탑재된 해당 APP가 더 이상 실행되지 않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는 SMS를 이용하여 특정한 이유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사용 금지를 사용자에게 알림과 아울러 실행 중인 APP의 실행을 중지시키고 더 이상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5) APP 제어 메시지 중 "APP의 사용기간 연장(사용허가)" 메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제어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APP를 제공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가 APP 사용기간 연장을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번호 및 사용기간 연장(사용허가)할 APP의 이름 및 사용연장 기간 값을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에 입력한다. 제 1 단계(S1) 이에 따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사용금지에 대응되는 텔레서비스 ID, APP의 제어명령 ID 등을 포함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APP 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이용하여 APP 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APP 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단계(S2)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APP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 3 단계(S3)
이에 따라, 단말 플랫폼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된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텔레서비스 ID를 식별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바디부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APP의 사용기간 연장(사용허가)을 알리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xxxxx의 사용기간이 연장되어 사용금지가 해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 4 단계(S4) 여기서, 사용기간 연장(사용허가)에 대한 이유로는 요금 납부 등의 이유가 된다.
이에 따라, 제 4 단계(S4)에서 단말 플랫폼은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의 APP의 제어명령 ID에 따라 자바 플랫폼(100)으로 하여금 해당 APP의 사용금지를 해제하여 사용기간 연장 값만큼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는 SMS를 이용하여 특정한 이유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사용기간 연장(사용허가)을 사용자에게 알림과 아울러 APP의 사용 금지를 해제하여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6) APP 제어 메시지 중 "APP의 메시지 전달"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인스턴트 메시지를 양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APP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APP의 메시지 전달"의 APP 제어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인스턴트 메시지의 도착을 알림과 아울러 APP를 실행시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APP의 메시지 전달" 메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제어 방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APP를 제공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가 APP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SMS를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번호 및 메시지를 수신할 APP의 이름 및 전달할 메시지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에 입력한다. 제 1 단계(S1)
이에 따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텔레서비스 ID, APP의 제어명령 ID 등을 포함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APP 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이용하여 APP 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APP 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단계(S2)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APP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 3 단계(S3)
이에 따라, 단말 플랫폼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된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텔레서비스 ID를 식별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바디부의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APP의 메시지 전달을 알리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새편지/메시지가 도착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바 플랫폼(100)은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APP의 이름에 해당하는 APP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제 4 단계(S4)
제 4 단계(S4)에서 해당 APP가 실행 중인 경우에 단말 플랫폼은 실행 중인 APP에 전달 메시지를 전달하여 실행 중인 APP로 하여금 전달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게 된다. 제 5 단계(S5) 이에 따라, 사용자는 APP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 상에 표시되는 전달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전달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간의 인스턴트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네트워크 게임용 APP일 경우에 전달 메시지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게임용 APP를 실행시키고 있는 사용자의 상태변화, 위치정보 등의 게임에서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부가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제 4 단계(S4)에서 APP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단말 플랫폼은 자바 플랫폼(100)으로 하여금 APP를 실행시키게 한 후, 전달 메시지를 APP에 전달하여 실행 중인 APP로 하여금 전달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에 표시하게 된다. 제 6 단계(S6) 이에 따라, 사용자는 APP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50) 상에 표시되는 전달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는 SMS를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실행하는 APP가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도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7) APP 제어 메시지 중 "APP의 정보조회" 메시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제어 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APP를 제공한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가 APP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SMS를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번호와 정보조회 결과를 수신할 전화번호 및 정보를 조회할 APP 이름과 정보조회 코드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에 입력한다. 제 1 단계(S1)
이에 따라,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텔레서비스 ID, APP의 제어명령 ID, APP 이름, 조회대상 코드 등을 포함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게 된다. 이 때, APP 정보조회의 결과를 수신할 전화번호는 SMS의 콜 백 넘버(Call Back Number)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APP 제어 메시지 송수신부(134)를 이용하여 APP 제어 메시지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APP 제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단계(S2)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APP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전송되는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 3 단계(S3) 이 때, 정보조회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SMS 수신함에 저장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인증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 플랫폼은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수신된 SMS 형태의 APP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텔레서비스 ID를 식별하고, APP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에 포함되는 조회대상 코드에 따라 메시지 바디부에 포함되는 APP 이름에 해당하는 APP에 대한 등록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그런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 플랫폼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P 정보조회 결과를 SMS 형태로 변환하여 APP 정보조회의 결과를 수신할 전화번호로 송신한다. 제 4 단계(S4)
이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업체의 관리자는 SM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APP의 등록정보를 조회함으로써 사용기간 연장, 업그레이드 등의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또는 컨텐츠 제공업체가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삭제, 사용금지, 사용기간 연장, 메시지 전달, 정보조회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또는 컨텐츠 제공업체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제어하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를 제어하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금지를 제어하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금지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을 제어하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을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를 제어하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에 의한 정보조회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자바 플랫폼 120 : 무선 통신망
130 : APP제어 시스템 132 : APP제어 메시지 발생부
134 : APP제어 메시지 송수신부

Claims (28)

  1.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자바 플랫폼과,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생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을 제어하는 단말 플랫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삭제, 사용금지, 사용기간 연장, 메시지 전달 및 정보조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식별코드인 텔레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제어명령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아이디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는 메시지 바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텔레서비스 아이디를 식별하여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제어 명령 아이디에 따라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에 대응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 이름에 대응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을 통해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삭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금지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중단시킴과 아울러 더 이상 실행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는 사용기간으로 연장하고자 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사용기간 연장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 중 사용기간을 상기 사용기간 연장 값으로 변경하거나 사용금지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간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메시지를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바디부는 정보조회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정보조회 코드 및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정보조회 코드에 따른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
  15.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단말 플랫폼을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삭제, 사용금지, 사용기간 연장, 메시지 전달 및 정보조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식별코드인 텔레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제어명령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아이디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는 메시지 바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텔레서비스 아이디를 식별하여 상기 제어 명령 아이디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에 대응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 이름에 대응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삭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금지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실행 중인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중단시킴과 아울러 더 이상 실행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메시지 바디부는 사용기간으로 연장하고자 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사용기간 연장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기간 연장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 중 사용기간을 상기 사용기간 연장 값으로 변경하거나 사용금지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간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달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메시지를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자바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의 바디부는 정보조회할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정보조회 코드 및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플랫폼은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조회에 대응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정보조회 코드에 따른 상기 해당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등록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조회 결과를 전송받을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KR1020040016137A 2004-03-10 2004-03-10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및 방법 KR10058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37A KR100583736B1 (ko) 2004-03-10 2004-03-10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37A KR100583736B1 (ko) 2004-03-10 2004-03-10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59A true KR20050090859A (ko) 2005-09-14
KR100583736B1 KR100583736B1 (ko) 2006-05-26

Family

ID=3727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37A KR100583736B1 (ko) 2004-03-10 2004-03-10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7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23B1 (ko) * 2005-11-08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알람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767240B1 (ko) * 2006-03-30 2007-10-17 전자부품연구원 방송신호 수신기의 제어방법
KR20120004744A (ko) * 2010-07-07 2012-01-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CN108090344A (zh) * 2016-11-22 2018-05-2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安装应用程序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951A (ko) * 1998-12-16 2000-07-05 조정남 단전문 서비스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업데이트 방법
US6301484B1 (en) * 1999-08-31 2001-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activation of wireless device features using short message services (SMS)
KR20010045885A (ko) * 1999-11-09 2001-06-05 박종섭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30048196A (ko) * 2001-12-11 2003-06-1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20040015918A (ko) * 2002-08-14 2004-02-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문메시지를 통한 원격제어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휴대전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23B1 (ko) * 2005-11-08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알람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767240B1 (ko) * 2006-03-30 2007-10-17 전자부품연구원 방송신호 수신기의 제어방법
KR20120004744A (ko) * 2010-07-07 2012-01-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CN108090344A (zh) * 2016-11-22 2018-05-2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安装应用程序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736B1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83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device
EP1417561B1 (en) Skin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WI228364B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4141301B2 (ja) 通信端末
JP2009529720A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コンポーネントをワイヤレスデバイスにダウンロード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416353B1 (en)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a
JP2007528064A (ja) 無線装置オペレーティング環境における未検証プログラムの実行
JP2004102698A (ja) ダウンロード方法、領域管理装置、携帯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7074464A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pplications for remote terminal devices
KR100378565B1 (ko) 동적환경을 제공하는 자바플랫폼 프로그램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324543A (ja) 情報処理装置の操作による移動電話機の制御
KR20010090304A (ko) 휴대폰 단말기를 위한 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WO2005059759A1 (ja) 通信端末
KR1005837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장치및 방법
JP4855970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0003724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홈페이지를 저장하여 정보제공을 하는방법
JP4913623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48991A (ko)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관리 방법
EP18848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heming of a mobile device
KR2003005473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동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자바플랫폼구조
KR101058182B1 (ko)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4930B1 (ko)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및 컨텐츠공유방법
JP4138591B2 (ja) 端末装置
JP2004126736A (ja) 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KR2006003922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콜백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다운로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