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919A -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919A
KR20050089919A KR1020040015291A KR20040015291A KR20050089919A KR 20050089919 A KR20050089919 A KR 20050089919A KR 1020040015291 A KR1020040015291 A KR 1020040015291A KR 20040015291 A KR20040015291 A KR 20040015291A KR 20050089919 A KR20050089919 A KR 2005008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cumulative average
average load
load ratio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136B1 (ko
Inventor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1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패널구동방법은, 둘 이상의 프레임의 부하율을 누적하여 평균한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소비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소비전력제어는, 제품의 신뢰성을 이유로 휘도 상승을 일률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 향상의 제약조건이 되어 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이 누적평균부하율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둘 이상의 레벨로 소비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적평균부하율이 소정 문턱값 이하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질적으로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소비전력 레벨을 적절히 상승시켜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승된 소비전력 레벨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되는 순간, 즉 누적평균부하율이 소정 문턱값을 초과하면 다시 정규 소비전력 레벨을 회복하게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 제품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이 표시셀을 형성하는 전극구조에 유지펄스를 인가함으로써,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비전력 제어를 위한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앞쪽 및 뒤쪽 글라스 기판들(100, 106)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 m), 유전층(102, 110), Y 전극 라인들(Y1, ... , Yn), X 전극 라인들(X1, ... , Xn), 형광층(112), 격벽(114) 및 보호층으로서 예컨대 일산화마그네슘 (MgO)층(104)이 마련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은 뒤쪽 글라스 기판(106)의 앞쪽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아래쪽 유전층(110)은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의 앞쪽에 도포된다. 아래쪽 유전층(110)의 앞쪽에는 격벽(114)들이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격벽(114)들은 각 디스플레이 셀의 방전 영역을 구획하고, 각 디스플레이 셀 사이의 광학적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형광층(112)은, 격벽(114)들 사이에서 형성된다.
X 전극 라인들(X1, ... , Xn)과 Y 전극 라인들(Y1, ... , Yn )은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과 직교되도록 앞쪽 글라스 기판(100)의 뒤쪽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각 교차점은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셀을 설정한다. 각 X 전극 라인(X1, ... , Xn)과 각 Y 전극 라인(Y1, ... , Yn)은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의 투명 전극 라인(Xna, Yna)과 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금속 전극 라인(Xnb, Ynb)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앞쪽 유전층(102)은 X 전극 라인들(X1, ... , Xn)과 Y 전극 라인들(Y1, ... , Yn)의 뒤쪽에 전면(全面) 도포되어 형성된다. 강한 전계로부터 패널(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04) 예를 들어, 일산화마그네슘(MgO)층은 앞쪽 유전층(102)의 뒤쪽에 전면 도포되어 형성된다. 방전 공간(108)에는 플라즈마 형성용 가스가 밀봉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구동 방식은, 초기화, 어드레스 및 디스플레이 유지 단계가 단위 서브-필드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방식이다. 초기화 단계에서는 구동될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가 균일하게 된다. 어드레스 단계에서는, 선택될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와 선택되지 않을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가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유지 단계에서는, 선택될 디스플레이 셀들에서 디스플레이 방전이 수행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방전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들의 플라즈마 형성용 가스로부터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이 플라즈마로부터의 자외선 방사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셀들의 형광층(112)이 여기되어 빛이 발생된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는 영상 처리부(200), 제어부(202), 어드레스 구동부(206), X 구동부(208) 및 Y 구동부(204)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200)는 외부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영상 신호 예를 들어, 각각 8 비트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상 데이터, 클럭 신호,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제어부(202)는 영상 처리부(200)로부터의 내부 영상 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을 발생시킨다. 어드레스 구동부(206)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어드레스 신호(SA)를 처리하여 표시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표시 데이터 신호를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X 구동부(208)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X 구동 제어 신호(SX)를 처리하여 X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Y 구동부(204)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Y 구동 제어 신호(SY)를 처리하여 Y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구동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 구동방법이 미국특허 제55416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Y 전극 라인들에 대한 통상적인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Address-Display Separation) 구동 방법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위 프레임은 시분할 계조 표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정개수 예컨대 8 개의 서브필드들(SF1, ..., SF8)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필드(SF1, ..., SF8)는 리셋 구간(미도시)과, 어드레스 구간(A1, ..., A8)및, 유지방전 구간(S1, ..., S8)로 분할된다.
각 어드레스 구간(A1, ..., A8)에서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도 1의 AR1, AG1, ..., AGm, ABm)에 표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각 Y 전극 라인(Y1, ..., Yn)에 상응하는 주사 펄스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각 유지방전 구간(S1, ..., S8)에서는, Y 전극 라인들(Y1, ..., Yn)과 X 전극 라인들(X1, ..., Xn)에 디스플레이 방전용 펄스가 교호하게 인가되어, 어드레스 구간(A1, ..., A8)에서 벽전하들이 형성된 방전셀들에서 표시 방전을 일으킨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는 단위 프레임에서 차지하는 유지방전 구간(S1, ..., S8)내의 유지방전 펄스 개수에 비례한다. 1 화상을 형성하는 하나의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와 256 계조로 표현되는 경우에, 각 서브필드에는 차례대로 1, 2, 4, 8, 16, 32, 64, 128의 비율로 서로 다른 유지펄스의 수가 할당될 수 있다. 만일 133 계조의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서브필드1 기간, 서브필드3 기간 및 서브필드8 기간 동안 셀들을 어드레싱하여 유지방전하면 된다.
각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유지방전 수는, APC(Automatic power control) 단계에 따른 서브필드들의 가중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유지방전 수는. 감마특성이나 패널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서브필드4에 할당된 계조도를 8에서 6으로 낮추고, 서브필드6에 할당된 계조도를 32에서 34로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서브필드의 수도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구동 신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AC PDP의 ADS(Address display separated) 구동방식에서 한 서브필드(SF)내에 어드레스 전극(A), 공통전극(X) 및 주사전극(Y1~Yn)에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필드(SF)는 리셋기간(PR), 어드레스 기간(PA) 및 유지방전기간(PS)를 구비한다.
리셋기간(PR)은 모든 그룹의 주사라인에 대해 리셋펄스를 인가하여, 강제로 기입방전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셀의 벽전하 상태를 초기화한다. 어드레스기간(PA)에 들어가기 전에 리셋기간(PR)이 수행되며, 이는 전 화면에 걸쳐 수행하므로, 상당히 고르면서도 원하는 분포의 벽전하 배치를 만들 수 있다. 리셋기간(PR)에 의해 초기화된 셀들은, 셀 내부의 벽전하 조건이 모두 비슷하게 형성된다. 리셋기간(PR)이 수행된 후에 어드레스 기간(PA)이 수행된다. 이 때 어드레스 기간(PA)에는, 공통전극(X)에 바이어스 전압(Ve)이 인가되고, 표시되어야 할 셀 위치에서 주사전극(Y1~Yn)과 어드레스 전극(A1~Am)을 동시에 턴온시킴으로써, 표시 셀을 선택한다. 어드레스 기간(PA)이 수행된 후에, 공통전극(X)과 주사전극(Y1~Yn)에 유지펄스(Vs)를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방전 기간(PS)이 수행된다. 유지방전 기간(PS) 중에 어드레스 전극(A1~Am)에는 로우레벨의 전압(VG)이 인가된다. PDP에서 휘도는 유지방전 펄스수에 의하여 조정된다. 하나의 서브필드 또는 하나의 TV 필드에서의 유지방전 펄스수가 많으면 휘도가 증가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는, 제품의 신뢰성을 이유로 소비전력을 제한하는 APC(Automatic Power Control)을 수행한다.
도 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하율에 따른 휘도 및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APC(Automatic power control)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휘도곡선(L)을 참조하면, 소정 부하율까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는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 여기서 휘도곡선(L)은 단위면적당 휘도를 의미한다. APC에 의하면 소정 부하율 이상에서는 부하율 증가에 따라 단위면적당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의 상승을 막는다.
소정 부하율까지는, 단위면적당 휘도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 따라서 소비전력 곡선(P)을 참조하면, 소정 부하율까지는 소비전력이 부하율에 따라 상승한다. 소정 부하율 이상에서는 부하율(Load ratio)에 따라 소비전력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는, 유지방전 펄스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단위면적당 휘도를 감소시키고, 소비전력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프레임당 10 서브필드(SF1 ~ SF10)인 경우, 부하율 단계(APC128 ~ APC1)에 따라 유지방전 펄스 개수(Ns)가 결정되는 APC 테이블은 다음 표 1과 같이 예시된다.
SF1 SF2 SF9 SF10 Ns
APC128 1 2 32 64 314
APC127 2 4 43 85 456
: : : : : : :
APC1 7 14 448 896 2200
표 1을 참조하면, 표의 아래쪽으로 갈수록 부하율이 작다. 즉 APC에서는 부하율이 클수록 유지방전 펄스 개수가 작아지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APC 동작은, 도 5와 같이 단일 휘도 곡선을 기준으로 수행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APC 에 의하면, 한 프레임당의 부하율을 기준으로, 부하율 증가에 따라 최대 소비전력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한다. 따라서, 일정 부하율 이상에서 화질의 중요한 요소인 휘도 상승에 제한을 둘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질적으로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은, 둘 이상의 프레임의 부하율을 누적하여 평균한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소비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구동방법은,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둘 이상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곡선 중 택일하여 소비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널구동방법은,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이 하나 이상의 문턱값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의 갯수만큼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곡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소비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널구동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프레임당 부하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둘 이상의 소비전력제어 레벨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비전력제어 레벨에 따라 유지펄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구동장치는,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프레임당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율 검출부; 둘 이상의 프레임의 부하율을 누적하여 평균한 누적평균부하율을 계산하는 누적평균 부하율 계산부; 둘 이상의 레벨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테이블을 저장한 저장부;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참조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참조 테이블에 의하여 유지펄스의 개수를 결정하는 유지펄스 개수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부는,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이 하나 이상의 문턱값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분된 영역의 갯수만큼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APC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전동작영역(Safety Operating Area)에서 동작하도록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품의 신뢰성을 유지를 이유로 화질의 중요한 요소인 휘도를 제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질적으로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질적으로 부하를 가중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누적평균부하율(K)의 개념을 제안한다. 누적평균부하율(K)은 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의 부하율을 누적하여 평균한 것으로서, 예컨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LR(n)은 프레임별 부하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적분구간, 다시말해 누적평균부하율을 계산하기 위한 프레임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라 2 이상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적분구간이 커질수록, 하나의 프레임의 부하율이 누적평균부하율(K)에 기여하는 정도가 작아진다. 설계자는 본 발명에 의한 고화질 APC 모드를 적용하고자 하는 빈도 및 제품의 신뢰성 정도를 고려하여, 적분구간의 크기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누적평균부하율(K)에 따라 APC 를 수행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질적인 부하율 상승을 반영하여 소비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어느 한 프레임에서 부하율이 갑자기 높아졌으나, 그 프레임 전후 몇개의 프레임의 누적평균부하율이 작다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질적인 부하율은 높지 않은 것이다. 이 경우에는, 누적평균부하율에 의하면, 해당 프레임에서 소비전력을 갑자기 낮추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데이터로부터 부하율을 검출한다(S100 단계).
여기서 부하율은, 턴온되는 디스플레이셀의 개수와 전체 디스플레이셀의 비에 따라 결정된다.
S100 단계 후에, 누적평균부하율을 계산한다(S102 단계).
S102 단계 후에, 누적평균부하율(K)에 따라 적용할 APC 참조테이블을 선택한다(S104 단계). APC 참조테이블은 적어도 둘 이상 마련된다. 이러한 둘 이상의 APC 참조테이블 중에서 하나를,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선택한다. 이 때 둘 이상의 APC 참조테이블은, 부하율에 따른 서로 다른 소비전력 곡선, 및 부하율에 따른 단위면적당 휘도 곡선으로부터 얻어진다.
예컨대 S104 단계는 둘 이상의 APC 참조테이블을 마련하고, 소정 문턱치 m 을 기준으로, 누적평균부하율 K≥m 이면 제1 APC 참조테이블을 선택하고, 누적평균부하율 K<m 이면 제2 APC 참조테이블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문턱치 m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적 전기적 특성에 따라, 시험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는 값이다. 또한 누적평균부하율 K를 구분하기 위한 문턱치가 둘 이상인 경우 예컨대 문턱치 m1, m2 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누적평균부하율 K가 K<m1, m1≤K<m2, K≥m2 중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에 따라, 세 개의 APC 참조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PC 참조테이블은 표 1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둘 이상의 APC 참조테이블은 부하율 단계(APC128 ~ APC1)에 따른 각 서브필드별 유지방전 펄스 개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S104 단계 후에, 선택된 APC 참조테이블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부하율에 따라 유지펄스 개수를 결정한다(S106 단계). 결정된 유지펄스 개수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널구동방법에 의한 소비전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하율과 소비전력 관계 그래프로서, 제1 APC 곡선 및 제2 APC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APC 곡선은 저소비전력 모드이고, 제2 APC 곡선은 고소비전력 모드이다. 여기서 제1 APC 곡선은 종래와 동등한 정도의 소비전력을 소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APC 곡선은 제1 APC 곡선보다 소비전력을 더 소모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부하율에 대하여 고휘도를 구현한다.
APC 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1 APC 곡선 또는 제2 APC 곡선의 선택은 누적평균부하율(K)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누적평균부하율(K)이 소정 기준값보다 크면, 낮은 소비전력 소모 모드인 제1 APC 곡선을 따르도록 APC를 수행한다. 또한 누적평균부하율(K)이 소정 기준값보다 작으면, 높은 소비전력 소모 모드인 제2 APC 곡선을 따르도록 APC를 수행한다. 예컨대 소정 문턱치 m 을 기준으로, 누적평균부하율 K ≥ m 이면 저소비전력 모드인 제1 APC 참조테이블을 선택하고, 누적평균부하율 K < m 이면 고소비전력 모드인 제2 APC 참조테이블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구동방법에 의한 소비전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하율과 휘도 관계 그래프로서, 제1 APC 곡선 및 제2 APC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의 제1 APC 곡선 및 제2 APC은 각각, 도 9의 제1 APC 곡선 및 제2 APC 곡선에 대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일한 부하율에 대하여, 고소비전력 모드인 제2 APC 곡선을 선택한 경우가 제1 APC 곡선을 선택한 경우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가 상승한다.
도 7 및 도 8에는 2 단계의 APC 모드만이 예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3 단계 이상의 APC 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부하율 검출부(900), 누적평균 부하율 계산부(902), APC 참조테이블(906), 선택부(904), 유지펄스 개수 설정부(908)을 구비한다.
부하율 검출부(9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N)로부터 프레임당 부하율을 검출한다.
누적평균 부하율 계산부(902)는, 검출된 둘 이상의 프레임의 부하율을 누적하여 평균한 누적평균부하율을 계산한다.
저장부(906)는, 둘 이상의 레벨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테이블을 저장한다. 도 9는 제1 및 제2 APC 참조테이블로서 두 개의 참조테이블을 구비한 경우의 예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 APC 참조테이블은 각각,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1 APC 곡선 및 제2 APC 곡선에 대응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참조테이블을 예시하였으나, 설계사양에 따라 셋 이상의 참조테이블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선택부(904)는, 입력되는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제1 APC 참조테이블(906a), 제2 APC 참조테이블(906b) 중 하나의 테이블을 선택한다. 만일 셋 이상의 참조테이블이 구비된 경우에는, 선택부(904)는 입력된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셋 이상의 참조테이블 중 하나의 테이블을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부(904)는, 누적평균부하율이 하나 이상의 문턱값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장부(906)에 저장된 참조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906)에 저장된 참조 테이블의 개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문턱값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의 개수와 동일하다.
유지펄스 개수 설정부(908)는, 선택된 참조테이블로부터 부하율에 따른 유지펄스를 결정한다. 유지펄스 개수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필드에 각각 할당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패널구동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라 함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장치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 명령으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컴퓨터라는 용어도 실제 사용되는 명칭의 여하에 불구하고 메모리, 입출력장치, 연산장치를 구비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모든 장치를 총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패널을 구동하는 장치의 경우에도 그 용도가 패널구동이라는 특정된 분야에 한정된 것일 뿐 그 실체에 있어서는 일종의 컴퓨터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 예시된 본 발명에 의한 패널구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논리제어부(202)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패널 구동 방법은, 컴퓨터상에서 스키매틱(schematic) 또는 초고속 집적회로 하드웨어 기술언어(VHDL) 등에 의해 작성되고, 컴퓨터에 연결되어 프로그램 가능한 집적회로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이러한 프로그램 가능한 집적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패널구동을 위한 논리회로가 집적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소비전력 제어보다 휘도향상에 의한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현재까지 APC 로 통칭되는 소비전력제어는, 제품의 신뢰성을 이유로 휘도 상승을 일률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 향상의 제약조건이 되어 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이 누적평균부하율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둘 이상의 레벨로 소비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적평균부하율이 소정 문턱값 이하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질적으로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소비전력 레벨을 적절히 상승시켜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승된 소비전력 레벨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되는 순간, 즉 누적평균부하율이 소정 문턱값을 초과하면 다시 정규 소비전력 레벨을 회복하게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 제품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Y 전극 라인들에 대한 통상적인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 구동 방법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구동 신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하율에 따른 휘도 및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널구동방법에 의한 소비전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하율과 소비전력 관계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구동방법에 의한 소비전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하율과 휘도 관계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laims (7)

  1. 둘 이상의 프레임의 부하율을 누적하여 평균한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소비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둘 이상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곡선 중 택일하여 소비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이 하나 이상의 문턱값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의 갯수만큼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곡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소비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프레임당 부하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둘 이상의 소비전력제어 레벨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비전력제어 레벨에 따라 유지펄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5.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프레임당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율 검출부;
    둘 이상의 프레임의 부하율을 누적하여 평균한 누적평균부하율을 계산하는 누적평균 부하율 계산부;
    둘 이상의 레벨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테이블을 저장한 저장부;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참조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참조 테이블에 의하여 유지펄스의 개수를 결정하는 유지펄스 개수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누적평균부하율이 하나 이상의 문턱값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에 속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분된 영역의 갯수만큼의 소비전력제어 참조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구동장치.
  7. 제1항 내지 제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0015291A 2004-03-06 2004-03-06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KR10057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291A KR100573136B1 (ko) 2004-03-06 2004-03-06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291A KR100573136B1 (ko) 2004-03-06 2004-03-06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919A true KR20050089919A (ko) 2005-09-09
KR100573136B1 KR100573136B1 (ko) 2006-04-24

Family

ID=3727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291A KR100573136B1 (ko) 2004-03-06 2004-03-06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84B1 (ko) * 2006-03-31 2008-03-14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표시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184B1 (ko) * 2006-03-31 2008-03-14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표시 디바이스의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136B1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4932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60077130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525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having operation mode selection based on motion detected
KR100603311B1 (ko)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KR1007136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603297B1 (ko) 패널 구동 방법, 패널 구동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295B1 (ko) 패널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603292B1 (ko) 패널 구동 방법
KR100748333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4939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573136B1 (ko)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JP4380288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
US2007008577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50080233A (ko) 패널구동방법
US7944406B2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544141B1 (ko)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KR10059230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KR100581883B1 (ko)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KR100603304B1 (ko) 패널구동방법
KR10062608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6033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1005227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62608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5731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KR20050110489A (ko)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그 기록매체 및 이를 구비한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