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867A - 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 Google Patents

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867A
KR20050089867A KR1020057012425A KR20057012425A KR20050089867A KR 20050089867 A KR20050089867 A KR 20050089867A KR 1020057012425 A KR1020057012425 A KR 1020057012425A KR 20057012425 A KR20057012425 A KR 20057012425A KR 20050089867 A KR20050089867 A KR 2005008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leaching
sulfur
soi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존 모이예스
프랭크 훌리스
Original Assignee
인텍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295356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2953566A0/en
Priority claimed from AU2003902311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3902311A0/en
Priority claimed from AU2003903167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3903167A0/en
Application filed by 인텍 엘티디 filed Critical 인텍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5008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867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22B3/10Hydrochloric acid, other halogen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8Obtaining noble metals by cyan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A process for recovering a precious metal from a sulfidic material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n acidic aqueous halide solution having an oxidation potential sufficient to oxidise the sulfidic material and render the precious metal soluble in the solution, adding the material to the acidic aqueous halide solution so that the sulfidic material is oxidised and the precious metal is solubilised and separating the precious metal from the oxidised sulfidic material. In addition, a process for removing a contaminant from a contaminated sulfidic material comprises the steps of mixing the material in an aqueous solution wherein a multi-valent species of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oxidises the contaminant to render it soluble in the solution, produces a contaminant refined material, and is reduced to a relatively lower oxidation state; and removing the contaminant from the solution whilst regenerating the multi-valent species to its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Description

함황 토질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How to recover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soils {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본 발명은 함황 토질(sulfidic materials)로부터 금속, 구체적으로 금과 같은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오염된 함황 토질과 오염되지 않은 함황 토질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로서는 탄소 함량이 비교적 높은 함황 토질(소위 "이중 내화 토질(double refractory materials)"), 탄소를 함유하지 않은 또는 탄소 함량이 낮은 함황 토질(소위 "단일 내화 토질(single refractory materials)")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이란 용어는, 함황 토질내 탄소 함량이 통상 약 2 중량% 이상인 경우를 언급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metals, in particular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from sulfidic materials.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contaminated and uncontaminated sulfur soils, which include relatively high carbon content (so-called "double refractory materials"), carbon free. Or sulfur-containing soils with a low carbon content (so-called "single refractory materials"). The term "relatively high carbon content"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carbon content in sulfur-containing soils is usually at least about 2% by weight.

전 세계에 걸쳐서 경제적인 면에서 회수하는 것이 타당한 금속, 특히 금 및 은과 같은 귀금속을 포함하는 함황 토질이 상당량 퇴적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금 및/또는 은과 백금 및 백금족 금속과 같은 기타 귀금속을 포함하는 황철석 원광(pyritic ore)이 다량 퇴적 및 저장되어 있다.A significant amount of sulfur-containing soils have been deposited throughout the world, including those for which economic recovery is feasible, especially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For example, pyritic ores containing gold and / or silver and other precious metals such as platinum and platinum group metals are deposited and stored in large quantities.

이러한 퇴적물 중 일부는 비소, 안티몬, 비스무스 또는 기타 중금속과 같은 처리하기가 곤란한 오염물질로 오염되어 있다. 또한, 광석 처리는 고농도의 탄소가 존재할 경우 복잡해질 수 있는데, 탄소는 금과 같은 귀금속과 결합하고 그러한 귀금속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갖기 때문이다.Some of these deposits are contaminated with difficult-to-treat contaminants such as arsenic, antimony, bismuth or other heavy metals. In addition, ore treatment can be complicated when high concentrations of carbon are present, since carbon binds to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has a high affinity for such precious metals.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기 위해 사용가능한 통상의 방법으로는, 배소(roasting), 가압 산화법(Pressure oxidation, POx) 및 생산화법(Bio-oxidation, Biox)을 들 수 있다. POx와 Biox 방법에서는, 대개 황산염 매체를 사용한다.Conventional methods usable for oxidizing sulfur-containing soils include roasting, pressure oxidation (POx) and bio-oxidation (Biox). In POx and Biox methods, sulfate medium is usually used.

함황 토질을 배소시키는 방법은 환경면에서 독성인 함황 가스(소위 SOx 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점을 나타낸다. 광석내에 비소가 존재할 경우에는, 삼산화비소와 같은 독성 물질이 생성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함황 광석의 배소 방법을 기피하는 것이 국제적인 추세이다.The method of roasting sulfur-containing soils presents an important problem because it emits sulfur-containing gases (so-called SOx gases) that are toxic to the environment. When arsenic is present in the ore, toxic substances such as arsenic trioxide are produced. For this reason, it is an international trend to avoid roasting sulfur-sulfur ores.

함황 토질의 가압 산화 방법은 배소 방법의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고압(대개 30 바아 이상) 및 비교적 높은 온도(200℃ 이상)를 필요로 한다. 또한, 가압 산화 방법은 대개 황산염계 용액중에서 실시된다.Pressurized oxidation processes of sulfur-containing soils are used to avoid the problems of roasting methods, but require high pressure (usually 30 bar or more) and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200 ° C. or more). In addition, pressurized oxidation processes are usually carried out in sulphate-based solutions.

미국 특허 제 6461577호는 비소를 함유하는 함황 토질을 처리하기 위한 생산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에서, 함황 토질을 2단계 Biox 공정으로 처리하여 비소를 가용화시킨다. 침출(leaching) 과정의 구성이 복잡한데, 생침출용(bio-leaching) 박테리아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화 방법은 속도가 느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U. S. Patent No. 6461577 discloses a production method for treating sulfur-containing soils containing arsenic, in which sulfur-containing soils are treated in a two-step Biox process to solubilize arsenic. The composition of the leaching process is complex because it uses bio-leaching bacteria. In addition, production methods are known to be slow.

미국 특허 제 4053305호는 염화제1철 용액과 가압 산소를 병용하여 함황 광석으로부터 구리 및 은을 회수하기 위한 침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리는 침출시 용해되지만, 은은 침출하기 곤란하여 침출후 고체 잔류물로 남게 된다. 따라서, 환경상 유해한 침출 시약인 시안화나트륨을 사용하여 그 잔류물로부터 은을 추출해야 한다.U. S. Patent No. 4053305 discloses a leaching method for recovering copper and silver from sulfur-containing ores using a combination of ferrous chloride solution and pressurized oxygen. Copper dissolves during leaching, but silver is difficult to leach and remains a solid residue after leaching. Therefore, silver must be extracted from the residue using sodium cyanide, an environmentally hazardous leaching reagent.

미국 특허 제 4410496호는, 염화 칼슘 또는 염화 바륨 용액과 가압 산소를 병용하여 함황 광석으로부터 구리, 납 및 아연을 회수하기 위한 침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광석 내의 귀금속은 침출되지 않으며, 침출 후 고체 잔류물로 남게 되므로 별도로 추출하여야 한다.U. S. Patent No. 4410496 discloses a leaching method for recovering copper, lead and zinc from a sulfur-containing ore by using a calcium chloride or barium chloride solution and pressurized oxygen in combination. Likewise, precious metals in the ore are not leached and must be extracted separately since they remain as solid residues after leaching.

미국 특허 제 4655829호는 비소와 안티몬을 포함하는 함황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침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비소 함유 함황 광석으로부터 괴상의 함황 정광(concentrates)을 제조한다. 상기 정광을 과량의 염화 칼슘 용액을 사용해서 슬러리로 만든다. 일단 정광이 제조된 후에는, 총 금속 함량 및 정광 조성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가용성 비소 화합물 또는 독성인 비소 증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광을 소정의 농도의 구리, 납, 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당해 금속의 황화물 형태로 함유하는 평형 용액 슬러리와 배합한다. 이때, 상기 정광과 평형화 용액 슬러리를 배합하여 혼합물 내 비소 및 안티몬의 몰 농도가 약 60-40 또는 40-60 범위에서 구리, 납 및 아연의 몰 농도와 대략 동일하도록 결정된 금속 함량을 갖는 반응 슬러리를 형성한다. 일단 혼합물이 적절히 평형 상태를 이루기만 하면, 이를 가열하고 압력하에 통기 처리하여 금속을 가용성 성분으로 산화시킨다. 다시 말해서, 가용성 비소 화합물 또는 독성 비소 증기가 전혀 생성되지 않도록 평형 상태로 만드는 단계가 필수적이다. U.S. Patent No. 4655829 discloses a leaching method for recovering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ores including arsenic and antimony. In this method, bulky sulfur concentrates are prepared from arsenic-containing sulfur ore. The concentrate is slurried using excess calcium chloride solution. Once the concentrate has been produced,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total metal content and the concentrate compos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soluble arsenic compounds or toxic arsenic vapors, the concentrate is combined with an equilibrium solution slurry contain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copper, lead, zinc or mixtures thereof in the form of sulfides of the metal. At this time, the concentrate and the equilibration solution slurry is combined to obtain a reaction slurry having a metal content determined such that the molar concentration of arsenic and antimony in the mixture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molar concentration of copper, lead and zinc in the range of about 60-40 or 40-60. Form. Once the mixture has been properly equilibrated, it is heated and vented under pressure to oxidize the metal into soluble components. In other words, equilibrium is essential so that no soluble arsenic compounds or toxic arsenic vapors are produced.

간단한 습식제련(hydrometallurgical) 방법이 있다면,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 특히 금을 회수하는데 유리할 것이다.If there is a simple hydrometallurgical method, it would be advantageous to recover precious metals, especially gold, from sulfur-containing soil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POx 및 Biox 방법을,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IRGP)와 비교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POx and Biox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mpared to the preferr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RGP)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soils.

도 2는 오염된 함황 토질(유비철석-FeAsS)로부터 귀금속(금)을 회수하기 위한 제 1 방법에 대한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 diagram for a first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gold) from contaminated sulfur-containing soils (non-ferrous-FeAsS).

도 3 및 도 4는 IRGP의 다양한 단계에 있어서 시간 대비 금 및 철 추출량과 용액의 Eh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3 and 4 are graph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gold and iron extraction and the Eh of the solution at various stages of IRGP.

도 5는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함황 토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 2 방법에 대한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 diagram for a second method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sulfur-containing soils while simultaneously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soils.

도 6은 단일 내화성 함황 토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 대한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diagram for a preferre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single refractory sulfur-containing soil and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the sulfur-containing soil.

도 7은 이중 내화성 함황 토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 대한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rocess diagram for a preferre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double refractory sulfur containing soil and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the sulfur containing soil.

도 8은 도 6 및 도 7의 방법에 대한 시간 (반응 지속 기간) 대비 다양한 제 1 단계(비소) 침출 용액 변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depicting the relationship of various first stage (arsenic) leaching solution parameters to time (duration of reaction) for the methods of FIGS. 6 and 7.

도 9는 도 6 및 도 7의 방법에 대한 시간 (반응 지속 기간) 대비 다양한 제 2 단계(황철석) 침출 용액 변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of the various second stage (pyrite) leaching solution parameters to time (reaction duration) for the methods of FIGS. 6 and 7.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본원의 제 1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여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vering a noble metal from sulfur-containing soil,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용액에 가용성으로 만드는데 충분한 산화 전위를 갖는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Preparing an aqueous acid halide solution having an oxidation potential sufficient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and make the precious metal soluble in the solution;

- 상기 함황 토질을 상기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에 첨가하여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가용화시키는 단계; 및Add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to the aqueous acid halide solution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and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And

- 상기 귀금속을 산화된 함황 토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Separating said precious metal from oxidized sulfur-containing soils.

본 발명자들은 예기치 않게, 산성 할라이드 용액에서 충분한 산화 전위가 유지될 경우, 함황 토질을 귀금속의 가용화와 동시에 1단계로 산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The inventors unexpectedly found that sulfur-containing soils can be oxidized in one step simultaneously with the solubilization of the precious metal if sufficient oxidation potential is maintained in the acid halide solution.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함황 토질이 비소, 안티몬 등으로 오염된 경우, 사전 또는 초기 용액 평형 단계를 사용할 필요 없이 1단계로 귀금속을 가용화시킴과 동시에 비소 등을 침출시키고 침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In addition,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sulfur-containing soils are contaminated with arsenic, antimony, etc., arsenic and the like can be leached and precipitated at the same time, solubilizing the precious metal in one step without using a pre or initial solution equilibrium step.

따라서, 두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여 오염된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us, in a secon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contaminated sulfur containing soil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상기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용액에 가용화시키는데 충분한 산화 전위를 갖고 비소를 침전시킬 수 있는 pH를 갖는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Preparing an aqueous acid halide aqueous solution having a oxidation potential sufficient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and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in the solution and to precipitate arsenic;

- 상기 함황 토질을 상기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에 첨가하여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가용화시키며, 비소를 침전시키는 단계; 및Add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to the aqueous acidic halide solution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and precipitate the arsenic; And

- 상기 귀금속을 산화된 함황 토질 및 침전된 비소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Separating said precious metal from oxidized sulfur-containing soil and precipitated arsenic.

상기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의 방법은 황산염계 침출 용액이 아니라 할라이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POx 및 Biox와 구별된다.The method of the first invention and the second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POx and Biox in that halide is used instead of sulfate-based leaching solution.

본 발명자들은, 할라이드(시아나이드와 유사)가 금과 같은 귀금속과 강한 착물을 형성함으로써, 귀금속의 용해 및 차후 탄소 흡착법 등에 의한 귀금속의 회수를 용이하게 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할라이드는 시아나이드보다 약한 리간드이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산성 환경(바람직하게는 pH<3)에서 충분히 높은 산화 전위(Eh)에 의해 시아나이드와 유사한 귀금속 용해 가능성을 달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The inventors noted that halides (similar to cyanide) form strong complexes with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thereby facilitating dissolution of the precious metal and subsequent recovery of the precious metal by carbon adsorption. However, because halides are weaker ligands than cyanide, the inventors have developed a method to achieve a cyanide-like noble metal solubility potential by sufficiently high oxidation potential (Eh) in an acidic environment (preferably pH <3).

본 발명의 방법은 폐환식 또는 재순환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경제적인 이득(예를 들면, 간단함, 낮은 에너지 소모량, 질량 평형의 보존 등)을 얻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방법을, 다른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곤란한 광석과 정광, 예컨대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이중 내화성 토질(예: 탄소 함유 유비철석)을 비롯한 임의의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performing in a closed or recirculated manner yields economical benefits (eg, simplicity, low energy consumption, preservation of mass balance, etc.). We also recover precious metals from any sulfur-containing soils, including ores and concentrates that are difficult to process with other methods, such as double refractory soils (eg, carbon-containing arsenite) with relatively high carbon content. It turns out that it can be applied.

귀금속을 함유하는 용액을 산화된 함황 토질과 침전된 비소(존재한다면)로부터 고체-액체 분리 단계를 통해 분리시킨 후에, 용액으로부터 귀금속을 금속 회수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통상 하나 이상의 탄소 함유 컬럼을 사용하여 활성탄 흡착법에 의해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귀금속을 활성탄상에 흡착시킨 후에, 탄소를 제거하고 소성시켜 귀금속을 회수하거나, 탄소를 시아나이드 용액으로 용출시키고 용출 생성물을 전해 단계로 처리하여 용융염 전해법(electrowinning)에 의해 귀금속을 회수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은 통상의 방법과는 명확히 구별되는데, 종래의 방법에서는 귀금속(금)을 추출하기 위해 산화 반응 잔류물을 시아나이드화시킬 필요가 있어서 별도의 섬세한 침출 회로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귀금속이 이미 침출시에 가용화되므로, 시아나이드 침출 과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현재 많은 환경 기관에서는, 특히 환경상 민감한 지역에서 잔류하는 시아나이드를 분해시키도록 요청하고 있으므로 추가의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After the solution containing the noble metal is separated from the oxidized sulfur-containing soil and precipitated arsenic (if present) through a solid-liquid separation step, the precious metal from the solution is recovered in a metal recovery step, preferably using one or more carbon-containing columns. It is preferable to recover by activated carbon adsorption. Preferably, after adsorbing the noble metal on activated carbon, the carbon is removed and calcined to recover the noble metal, or the carbon is eluted with a cyanide solution and the eluted product is subjected to an electrolytic step, followed by molten salt electrowinning. Recover. At this tim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In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necessary to cyanide the oxidation reaction residue in order to extract the precious metal (gold), so that a separate delicate leaching circuit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yanide leaching process is unnecessary because the precious metal is already solubilized at the time of leaching. In addition, many environmental agencies currently require additional decomposition of cyanide, particularly in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오염되지 않은 함황 토질(예: 비소 등으로 오염되지 않은 단일 내화 황철석)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함황 토질의 산화 반응을 1단계로 수행한다. 오염된 함황 토질(예: 비소 및/또는 탄소 등으로 오염된 단일 또는 이중 내화 황철석)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함황 토질의 산화 반응을 2단계로 수행하지만, 귀금속의 가용화는 이중 첫번째 단계에서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uncontaminated sulfur soils (eg, single refractory pyrite uncontaminated with arsenic, etc.), the oxidation of sulfur-containing soils is generally carried out in one step. In the case of contaminated sulfur-containing soils (e.g., single or double refractory pyrite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 or carbon, etc.), the oxidation reaction of sulfur-containing soils is generally carried out in two stages, but solubilization of precious metals takes place in the first stage.

통상적으로, 용액은 금속 회수 단계를 거친 이후에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 재순환시킨다. 금속 재순환 단계는 인라인(in-line) 형태로 고체-액체 분리 단계 이후, 그리고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 용액을 재순환시키는 단계 이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인라인"은 용액 회로(즉,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 용액을 재순환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회로")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탄소 흡착법 이외의 금속 회수 방법, 예를 들면 이온 교환, 용매 추출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ypically, the solution is recycled to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after the metal recovery step. The metal recycling step is preferably carried out after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in the in-line form and before the step of recycling the solution to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The term "inline" means a step provided as part of a solution circuit (ie, a "circuit" formed by recycling the solution to a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Moreover, metal recovery methods other than carbon adsorption methods, for example, ion exchange, a solvent extraction method, etc. can also be used.

탄소를 함유하는 이중 내화 광석의 경우에,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부터 얻은 고체 물질과 함께 통과하는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해서 별도로 추가의 금속 회수 단계(즉, 용액 재순환 회로로부터 분리된 단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별도의 단계가 필요한 이유는, 일부 귀금속(예: 금)이 직접 탄소와 함께 산화 단계를 통과하여 가용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별도의 금속 회수 단계는 통상의 배소 또는 금속 용해 방법을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침출 방법(예를 들면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부터 얻은 용액)을 배소 방법 이후에 사용하여 배소된 고체 물질에 잔류하는 귀금속(예: 금)을 회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double refractory ores containing carbon, it is necessary to have additional metal recovery steps (i.e., separate from the solution recycle circuit) in order to recover precious metals passing with the solid material obtained from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 This extra step is necessary because some precious metals (eg gold) are not solubilized directly through the oxidation step with carbon. A separate metal recovery step uses conventional roasting or metal dissolution methods, and in some cases precious metals remaining in the solid material roasted using a leaching method (eg, a solution obtained from a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after the roasting method. (E.g., gold).

통상적으로, 회수하고자 하는 귀금속은 금이지만, 은, 백금 또는 기타 백금족 금속일 수 있으며, 이들을 회수함으로써 경제적인 타당성이 충족되는 금속들이다.Typically, the precious metal to be recovered is gold, but may be silver, platinum or other platinum group metals and are metals which are economically justified by recovering them.

상기 할라이드 수용액은 가용성 금속 할라이드 용액, 대개 할라이드 농도가 약 8 몰/리터인 용액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라이드는 클로라이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브로마이드 또는 할라이드 혼합물, 예를 들면 클로라이드와 브로마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aqueous halide solution is most preferably a soluble metal halide solution, usually a solution having a halide concentration of about 8 mol / liter. The halide is preferably chloride, but bromide or halide mixtures such as chloride and bromide can also be used.

상기 방법은, 용해된 금속 할라이드 중의 금속이 다가 화학종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때, 다가 화학종으로는 일반적으로 함황 토질의 산화시에 침전되도록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를 갖는 것과 산화 반응 도중에 환원된 비교적 낮은 산화 상태를 갖는 것들이 모두 선택된다. 상기 다가 화학종은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그 후에 재생된 다가 화학종을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 재순환시켜서 차후 산화 반응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가 화학종의 재생 단계를 침출 단계(들) 도중에 실시하여 재생된 화학종을 바람직하게는 폐환식 또는 재순환식 방법의 일부분으로서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 재순환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득(예를 들면, 질량 평형의 보존, 간단함, 낮은 에너지 소비량 등)을 수반하는 것이 유리하다.The method is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the metal in the dissolved metal halide can act as a polyvalent species. At this time, as the polyvalent species, both those having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and generally having a relatively low oxidation state reduced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are selected so as to precipitate upon oxidation of the sulfur-containing soil. The polyvalent species can be regenerated in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after which the recycled polyvalent species is recycled to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to advantageously participate in subsequent oxidation reactions. Economical benefits (e.g., mass equilibrium) may be achieved by regenerating the multivalent species during the leaching step (s) to recycle the recycled species to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preferably as part of a closed or recycle process. Conservation, simplicity, low energy consumption, etc.).

통상적으로, 금속 할라이드 용액중의 금속은 구리이지만, 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가 화학종중 어느 하나는 전자 전달제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면,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 재순환되는 용액에서 상기 금속은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로 존재하고(예: Cu(II) 또는 Fe(III)), 산화 반응 이후에는 그것의 비교적 낮은 산화 상태로 존재한다(예: Cu(I) 또는 Fe(II)). 침출 단계에서, 상기 다가 화학종은 대개 쌍으로 존재한다(즉, 높은 산화 상태 및 낮은 산화 상태). 그러나, 다른 다가 화학종, 경우에 따라 코발트, 망간, 바나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Usually, the metal in the metal halide solution is copper, but iron or the like may be used. Any one of these polyvalent species effectively acts as an electron transfer agent. For example, in a solution recycled to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the metal is present in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eg Cu (II) or Fe (III)) and after its oxidation reaction in its relatively low oxidation state. (E.g. Cu (I) or Fe (II)). In the leaching stage, the polyvalent species are usually present in pairs (ie, high and low oxidation states). However, other polyvalent species, optionally cobalt, manganese, vanadium or the like may also be used.

함황 토질이 유비철석(arsenopyrite)인 경우에, 산화 전위를 조절함으로써, 제 1 침출 단계에서 비소를 용액 내로 침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침출된 이후에는 용액의 pH를 조절하여 비소가 스코로다이트(scorodite)의 형태로 침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황 토질이 유비철석인 경우에, 황철석 성분을 제 2 단계에서 침출시키되, 이 단계에서도 용액의 pH를 조절하여 비소를 비산철 침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소는 고체-액체 분리 단계에서 고체 잔류물과 함께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므로 귀금속의 회수를 방해하지 않는다.When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arsenopyrite, by adjusting the oxidation potential, arsenic can be leached into the solution in the first leaching step. However, once leached,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pH of the solution so that arsenic precipitates in the form of scorodit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arsenite, it is preferable to leach the pyrite component in the second step, and in this step,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arsenic in the ferric arsenate precipitation state by adjusting the pH of the solution. Thus, arsenic is discharged from the process along with the solid residue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and does not prevent the recovery of precious metals.

오염되지 않은 단일 내화성 황철석 토질의 경우에, 함황 토질 산화 단계는 대개 단일의 침출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함황 토질이 산화됨과 동시에 귀금속이 가용화된다.In the case of uncontaminated single refractory pyrite soils,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usually comprises a single leaching step, in which the precious metal is solubilized as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oxidized.

각 침출 단계는 병류 또는 역류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Each leaching step can be carried out co-currently or countercurrently, in which one or more vessels can be used.

제 1 침출 단계로부터 얻은 용액 전체를 제 2 침출 단계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tire solution obtained from the first leaching step is fed to the second leaching step.

함황 토질이 예컨대 비소로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상기 함황 토질을 오염물질을 침출하고 귀금속(예: 금)을 가용화시키는데 충분한 Eh하에, 바람직하게는 약 0.7-0.8 볼트(SHE 기준) 용액과 접촉시킨다. 이러한 용액의 Eh에서 상기 함황 토질의 황철석 성분은 실질적으로 침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침출 단계에서 용액의 pH가 1 이하이되 약 0.5 이상이어야 오염물질을 용출 직후에 침전시킬 수 있다. 제 1 침출 단계에서, 용액의 온도는 약 80-105℃, 보다 일반적으로는 80-95℃인 것이 바람직하다.If sulfur-containing soils are contaminated with, for example, arsenic, the first leaching stage generally requires that the sulfur-containing soils are under Eh sufficient to leach contaminants and solubilize precious metals (e.g. gold), preferably about 0.7-0.8 volts ( Contact with the solution). In the Eh of this solution, the pyrite component of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substantially not leached. Preferably, the pH of the solution in the first leaching step is 1 or less but about 0.5 or more so that the contaminants may be precipitated immediately after elution. In the first leaching step,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s preferably about 80-105 ° C, more generally 80-95 ° C.

오염되지 않은 함황 토질(이 경우에는 단일 침출 단계를 사용함)의 경우에, 또는 오염된 함황 토질의 황철석 성분을 침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대개 상기 함황 토질을 황철석을 침출시키는데 충분한 Eh, 바람직하게는 약 0.8-0.9 볼트의 Eh를 갖는 용액과 접촉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용액의 pH는 1 이하이되 약 0.2 이상이어야 오염물질을 침출 직후에 침전시킬 수 있다. 또한, 황철석을 침출시키고자 할 경우에, 용액의 온도는 유비철석을 침출시키는 경우의 온도보다 높거나 같아서, 대개 약 95-105℃이다.In the case of uncontaminated sulfur soils (in this case using a single leaching stage), or in the second leaching stage used to leach the pyrite component of contaminated sulfur soils,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usually Eh sufficient to leach pyrite. , Preferably with a solution having an Eh of about 0.8-0.9 volts. Similarly, the pH of the solution must be less than or equal to about 0.2 or greater so that the contaminants can precipitate immediately after leach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leaching pyrite,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temperature in leaching arsenite, and is usually about 95-105 ° C.

단일의 또는 제 2의 침출 단계에서 보다 높은 용액의 Eh를 얻기 위해서는, 산소, 공기, 염소 가스, 과산화수소 등과 같은 추가의 산화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최적의 용액 pH를 달성하여 오염물질을 침전된 형태로 유지시키고 제2 구리 이온을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황산과 같은 산 및/또는 탄산나트륨과 같은 염기를 단일 또는 제 2 침출 단계에 첨가하여 pH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비소와 철이 침전되지 않고 가용화될 것이다. 이때, 단일 침출 단계 또는 제 2의 침출 단계에서, 상기 함황 토질의 황철석 성분은 충분한 또는 과량의 황산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염산 또는 방법에 화학적인 간섭을 하지 않는 다른 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To obtain a higher solution of Eh in a single or second leaching step, it is necessary to add additional oxidants such as oxygen, air, chlorine gas, hydrogen peroxide and the like. To achieve an optimal solution pH to maintain contaminants in precipitated form and regenerate secondary copper ions, an acid such as sulfuric acid and / or a base such as sodium carbonate may be added to a single or second leaching step to raise the pH. There is a need. Otherwise, arsenic and iron will be solubilized without precipitation. At this time, in the single leaching step or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pyrite component of the sulfur-containing soil may produce sufficient or excess sulfuric acid. As another method, hydrochloric acid or another acid which does not cause chemical interference with the method may be used.

한편, 침출 단계 이후에 분리된 용액은 귀금속 회수 단계로 공급하며, 분리된 잔류하는 고체는 대개 폐기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ed solution after the leaching step is fed to the noble metal recovery step, and the separated residual solid is usually discarded.

바람직하게는, 귀금속 회수 단계 이후에, 용액 조정 단계를 사용하여 황산제2철을 제거(침전)함으로써, 상기 화학종의 농도를 조절한다. 대개, 상기 단계에서는 석회석과 탄산칼슘을 용액에 첨가하여 적철광(hematite)/석고 침전물을 형성시킨 후에, 이것을 여과하고 침출 단계(들)로부터 유래한 고체 잔류물과 함께 처리한다. 그러나, 제1철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석회석 첨가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어하여 용액 중에 일부의 철을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제2구리 형태의 구리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즉, 낮은 pH에서는 구리보다 철이 침전이 되어 침전시에 pH를 완충시킴으로써, 구리 침전에 대한 방지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Preferably, after the precious metal recovery step, the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species is adjusted by removing (precipitating) ferric sulfate using a solution adjustment step. Usually, in this step limestone and calcium carbonate are added to the solution to form a hematite / gypsum precipitate, which is then filtered and treated with the solid residue from the leaching step (s). However, the step of removing the ferrous component is controlled in a manner that controls the amount of limestone addition to maintain some iron in the solution, thus preventing the precipitation of copper in the form of cupric (ie, copper at low pH). This is because iron precipitates and buffers the pH at the time of precipitation, acting as an inhibitor against copper precipitation).

고체-액체 분리 단게에서 고체 잔류물을 용액으로부터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방법, 예를 들면 고체/액체 침강, 용액 증발, 원심분리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Although it is preferable to filter the solid residue from the solution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other methods may be used, such as solid / liquid settling, solution evaporation, centrifugation methods and the like.

고농도의 탄소가 함황 토질에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면 2-20 중량%의 탄소), 블라인딩제(blinding agent)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함황 토질 산화 단계 중에 첨가하여 귀금속(예: 금)이 함황 토질 내의 탄소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블라인딩제는 일반적으로 케로센, 페놀 에테르 등을 비롯한 1종 이상의 유기 용매이다. 다른 방법으로, 활성탄을 용액에 첨가하여 미리 금을 흡착시킬 수도 있다. 블라인딩제 또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서, 고체 잔류물로서 탄소와 함께 통과될 우려가 있는 귀금속을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금속 회수 단계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될 수 있다.If high concentrations of carbon are present in sulfur-containing soils (e.g. 2-20% by weight of carbon), surfactants such as blinding agents are added dur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to noble metals (e.g. gold)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adsorption on carbon in the soil. The blinding agent is generally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including kerosene, phenol ethers and the like. Alternatively, activated carbon may be added to the solution to adsorb gold in advance. Through the use of blinding agents or activated charcoal, the need for a separate metal recovery step to separate precious metals that may be passed with carbon as a solid residue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의 가장 유리한 용도는, 오염물질이 대개 비소, 안티몬, 비스무스, 수은, 카드뮴 등이며 채굴 상태의 황철석 토질에서 천연 발생하는 황철석 및 정광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most advantageous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pyrite and concentrates, which naturally occur in pyrite soils in the mined state, where contaminants are usually arsenic, antimony, bismuth, mercury, cadmium and the like.

기타 경제적으로 중요한 금속들, 예를 들면 구리, 니켈, 아연, 납 등도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추가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용도에 있어서는, 오염물질 자체를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오염물질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거나 환경상 유해한 것이라면, 그것을 오염물질 침전물로부터 회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예컨대, 오염물질이 안티몬, 비스무스, 카드뮴 등인 경우에 해당한다).Other economically important metals such as copper, nickel, zinc, lead and the like can also be recovered further in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for certain applications, it may be desirable or necessary to recover the contaminants themselves. For example, if a contaminant is economically valuable or environmentally harmful, it may be necessary to recover it from contaminant deposits (eg, if the contaminant is antimony, bismuth, cadmium, etc.).

본원의 제 2 발명의 방법은 함황 토질이 비소, 안티몬 등으로 오염된 경우에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 귀금속을 가용화시킴과 동시에, 사전 또는 초기 용액 침출 단계를 사용할 필요없이 오염물질을 침출시키고 침전시킨다. 예를 들면, 오염물질을 별도로 회수해야 하는 몇가지 용도(예를 들면, 오염물질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또는 본원의 제 2 발명에 대한 대안으로서, 오염물질의 침전 단계를 오염물질 침출 단계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The method of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used when sulfur-containing soil is contaminated with arsenic, antimony and the like. In this method, the contaminants are leached and precipitated, while simultaneously solubilizing the precious metal, without the need to use a pre or initial solution leaching step. For example, in some applications where the pollutant must be recovered separately (eg where the pollutant is economically valuable), or as an alternative to the second invention herein, the step of contaminant precipitation may be carried out. It may be advantageous to separate from the leaching step.

따라서, 본원의 제 3 발명에 의하면,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여 오염된 함황 토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Thus, according to a thir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sulfur soils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함황 토질을 수용액중에서 혼합하여,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를 갖는 다가 화학종에 의해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오염물질을 용액중에 가용화시켜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을 생성한 후에, 상기 화학종을 비교적 낮은 산화 상태로 환원시키는 단계; 및 The sulfur species are mixed in an aqueous solution, oxidizing the contaminants with a polyvalent species having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solubilizing the contaminants in the solution, thereby producing the sulfur-containing soils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Reducing to a low oxidation state; And

- 상기 용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다가 화학종을 그것의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로 재생시키는 단계.Recycling the polyvalent species to its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while simultaneously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solution.

상기 방법에 의해서도 금속, 특히 오염된 함황 토질과 결합된 금과 같은 귀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다가 화학종을 재생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은 유리하게도 폐환식으로 또는 재순환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간단함, 낮은 에너지 소비량, 질량 평형의 보존 등과 같은 경제적인 장점을 수반한다.This method also recovers metals, particularly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combined with contaminated sulfur-containing soils. In addition, by regenerating the polyvalent species at the same time as removing contaminants,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vantageously be carried out in a closed or recirculating manner, thus providing economic advantages such as simplicity, low energy consumption, preservation of mass balance, and the like. Entails.

다른 용도, 예를 들면 오염물질을 통상의 함황 광석의 배소(roasting) 또는 제련(smelting) 방법에 앞서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또는 본원의 제 2 발명의 대안으로서, 오염물질 침전 단계를 오염물질 침출 단계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Other uses, such as when contaminants need to be removed prior to the roasting or smelting process of conventional sulfur-containing ores, or as an alternative to the second invention herein, contaminate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It may be desirable to separate from the material leaching step.

따라서, 본원의 제 4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여 오염된 함황 토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four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sulfur containing soil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함황 토질을 상기 오염물질만을 실질적으로 산화시켜서 용액중에 가용화시키도록 조절된 산화 전위를 가진 수용액중에서 혼합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을 생성하는 단계; 및Mixing sulfur-containing soils in an aqueous solution with an oxidation potential controlled to substantially oxidize only the pollutants and solubilize them in solution to produce contaminant-free soils; And

- 상기 용액을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Separating the solution from the contaminated desulfurized soil.

산화 전위를 조절함으로써, 본원의 제 4 발명의 방법은 유리하게도 오염물질을 가용성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차후 오염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예를 들면 별도의 침전 단계).By controlling the oxidation potential, the method of the fourth invention herein advantageously facilitates the removal of contaminants in the future as it can advantageously keep the contaminants in soluble form (for example a separate precipitation step).

예를 들면, 상기 함황 토질이 유비철석이고 오염물질이 비소인 경우에, 산화 전위를 예컨대 제 1 침출 단계에서 비소를 산화 및 가용화시키고 황철석은 산화시키지않을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 및 제 4 발명의 방법에서는, 일단 비소가 가용화되어 분리된 이후에, 남아있는 황철석 성분을 이후 후속하는 침출 단계 (예: 제 2 침출 단계)에서 더욱 강력하게 산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arsenite and the pollutant is arsenic, the oxidation potential can be adjusted to oxidize and solubilize arsenic in the first leaching step and not to oxidize pyrite.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the third invention and the fourth invention, once the arsenic is solubilized and separated, the remaining pyrite component can be more strongly oxidized in a subsequent leaching step (eg, a second leaching step).

본 명세서에 사용한 용어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는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토질을 포함하지만, 차후 처리가(예를 들면 배소 장치 및 제련 장치에서) 가능할 정도로 또는 폐기 처리시 환경 기준에 부합될 정도로 충분히 낮은 오염물질 농도를 갖는 토질도 여기에 포함된다. 본원의 제 3 발명 및 제 4 발명의 방법은 통상, 오염물질로서 비소, 안티몬, 비스무스, 수은 및 카드뮴을 포함하는 황철석 또는 정광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채굴 상태 그대로의 황철석 토질에서 천연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제 3 및 제 4 발명의 방법은 처리하기 곤란한 광석 및 정광, 예를 들면 유비철석, 특히 탄소 함량이 높은 이중 내화 광석을 처리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contaminated sulfur soils" includes soils from which contaminants have been completely removed, but meets environmental standards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processed (eg in roasting and smelting units) or at disposal. This includes soils with pollutant concentrations low enough to be sufficient. The methods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 herein are typically used to treat pyrite or concentrate, including arsenic, antimony, bismuth, mercury and cadmium as contaminants. These pollutants are naturally occurring in the pyrite soils as they are mined. The method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lso applicable to treating ores and concentrates that are difficult to treat, such as ubiquitous or especially double refractory ores with high carbon content.

본원의 제 3 및 제 4 발명에서, 상기 오염물질은 산화제를 용액내로 도입시킴으로써, 별도의 침전 단계에서 침전법을 통해 용액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산화제가 이와 동시에 다가 화학종을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로 산화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어서, 오염물질을 침전 및 제거하고 다가 화학종을 보다 높은 산화 상태로 재생시킨 후에, 용액을 침출 단계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In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s herein, the contaminants are removed from the solution by precipitation in a separate precipitation step by introducing an oxidant into the solution.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oxidant to oxidize the polyvalent species to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at the same time. The solution may then be recycled to the leaching stage after the contaminants are precipitated and removed and the multivalent species is regenerated to a higher oxidation state.

침전 단계에서, 상기 용액의 pH는 약 pH 1.5-3으로 유지시킨다. 용액의 pH는 대개 용액에 공급되는 산화제 및/또는 알칼리 시약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유지시킨다. 알칼리 시약을 첨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알칼리염, 예를 들면 탄산칼슘, 산화칼슘,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등을 대개 첨가한다.In the precipitation step, the pH of the solution is maintained at about pH 1.5-3. The pH of the solution is usually maintain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oxidant and / or alkaline reagent supplied to the solution. When it is necessary to add an alkali reagent, alkali salts such as calcium carbonate, calcium oxide, sodium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and the like are usually added.

침전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산화제는 오염물질을 비교적 난용성인 형태로 산화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비소를 +3 산화 상태에서 +5 산화 상태로 산화시킴으로써) 침전시킴과 동시에, 다가 화학종을 산화시킨다. 산화제는 공기, 산소, 염소 가스, 과산화수소 가스 등일 수 있다. 황철석 광석에서, 오염물질은 대개 철/오염물질 산화물 형태(예를 들면, 오염물질이 비소인 경우에 비산철)로서 침전한다.In the precipitation step, the oxidant generally oxidizes the polyvalent species at the same time as it precipitates by oxidizing the contaminants in a relatively poorly soluble form (eg, by oxidizing arsenic from the +3 oxidation state to the +5 oxidation state). The oxidant may be air, oxygen, chlorine gas, hydrogen peroxide gas, or the like. In pyrite ore, pollutants usually precipitate as iron / pollutant oxide forms (eg iron arsenate if the pollutant is arsenic).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에, 용액이 Eh와 pH를 오염물질 침출에 필요한 수준으로 복귀시켜서 용액을 침출 단계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예컨대 오염물질 침전 이후에 산화제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After precipitation of the contaminants, the solution returns the Eh and pH to the levels required for contaminant leaching so that the solution can be recycled to the leaching step. This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amount of oxidant addition after the pollutant precipitation.

본원의 제 3 및 제 4 발명의 방법에서, 오염물질은 1단계 또는 다단계 침출 과정을 통해 용액내로 산화시키고 용출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출 방법은 실질적으로 오염물질만을 산화시켜서 오염물질을 용액에 가용성인 상태로 만들도록 산화 전위를 조절하는 제 1 침출 단계, 및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내의 황화물을 산화시키도록 산화 전위를 증가시키는 제 2 침출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대부분의 오염물질을 제 1 침출 단계에서 산화 및 가용화시키고, 나머지 오염물질을 제 2 침출 단계에서 산화시킬 수 있다.In the process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 herein, the contaminants can be oxidized and eluted into solution through a one-step or multi-step leaching process. Generally, the leaching method comprises a first leaching step of adjusting the oxidation potential to substantially oxidize only the contaminants to make the contaminants soluble in the solution, and an oxidation potential to oxidize the sulfides in the sulfur-containing soil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And a second leaching step of increasing. At this time, most of the contaminants may be oxidized and solubilized in the first leaching step, and the remaining contaminants may be oxidized in the second leaching step.

또한, 각 침출 단계는 병류식으로 또는 역류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leaching step can be carried out co-currently or countercurrently, in which one or more vessels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은 제 1 침출 단계 이후에 용액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제 2 침출 단계로 공급한다. 또한, 용액은 대개 각각의 침출 단계 이후마다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로부터 분리시켜서, 통상 침전 단계에서 침전법으로 용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Generally, contaminant-containing sulfur-containing soils are separated from the solution after the first leaching stage and fed to the second leaching stage. In addition, the solution is usually separated from the contaminated sulfur-containing soil after each leaching step, so that the contaminants can be removed from the solution by precipitation in the usual precipitation step.

본원의 제 3 및 제 4 발명의 방법에서, 함황 토질이 황철석(예를 들면, 유비철석 또는 기타 오염된 황철석)인 경우에,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오염물질을 일반적으로 1 이하의 pH를 갖는 산성 수용액에서, 오염물질을 용액내로 산화시키되 황철석을 실질적으로 용출시키지 않는데 충분한 용액의 Eh하에, 일반적으로 약 0.7-0.8 불터(SHE 기준)의 Eh하에, 약 105℃ 이하의 온도에서 산화시킨다.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황철석 토질을 대개 1 이하의 pH를 갖는 산성 수용액에서, 황철석을 용출시키는데 충분한 보다 높은 용액의 Eh하에, 대개 약 0.8-0.9 볼트의 Eh하에, 약 105℃ 이하의 온도에서 산화시킨다. 제 2 침출 단계에서 보다 높은 용액의 Eh를 얻기 위해, 산소, 공기, 염소 가스, 과산화수소 가스 등과 같은 산화제를 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황산과 같은 산을 첨가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s herein, when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pyrite (eg ubiquitous or other contaminated pyrite), in the first leaching step the contaminant is generally acidic with a pH of 1 or less. In aqueous solution, the contaminants are oxidized at a temperature of about 105 ° C. or less, under Eh of a solution sufficient to oxidize the solution into the solution but substantially without eluting pyrite, typically under Eh of about 0.7-0.8 bulter (based on SHE). In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pyrite soil is usually oxidized in an acidic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1 or less, under an Eh of a higher solution sufficient to elute the pyrite, usually at an temperature of about 105 ° C. or less, under an Eh of about 0.8-0.9 volts. Let's do it. In order to obtain a higher solution Eh in the second leaching step, an oxidant such as oxygen, air, chlorine gas, hydrogen peroxide gas, or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solution. In addition, an acid such as sulfuric acid may be added if necessary.

제 2 침출 단계에서, 황철석을 산화시키기 위해 낮은 용액의 pH를 유지시키고 대개 +5 산화 상태로 잔류하는 비소를 가용화시키기 위해서, 황산, 염산 또는 방법에 화학적인 간섭을 하지 않는 다른 산을 첨가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산을 첨가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예를 들면, 광석 또는 정광내에 존재하는 황이 산화되어 용액에 충분한 황산이 생성된 경우).In the second leaching step,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or other acids without chemical interference to the process need to be added to maintain the pH of the low solution to oxidize pyrite and to solubilize the arsenic, which usually remains in the +5 oxidation state. There may be. However, it may not be necessary to add acid (for example, if sulfur present in the ore or concentrate is oxidized to produce sufficient sulfuric acid in the solution).

본원의 제 1 및 제 2 발명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침출 및 침전 단계를 통해 재순환된 용액은 대개 용해된 금속 클로라이드 용액으로서 클로라이드 농도는 약 8 몰/리터이며, 용해된 금속 클로라이드 용액중에서 금속은 다가 화학종(앞에서 본원의 제 1 및 제 2 발명에 관하여 정의한 바와 같음)으로서 작용한다.As with the methods of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herein, the solution recycled through the leaching and precipitation steps is usually a dissolved metal chloride solution with a chloride concentration of about 8 moles / liter, in which the metal is a multivalent chemical Act as species (as defin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herein).

본원의 제 1 및 제 2 발명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황철석 토질에 고농도의 탄소가 존재할 경우(예: 2-20 중량%의 탄소), 블라인딩제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오염물질 산화(침출) 단계에서 용액에 첨가하여, 용해된 금속(특히, 금과 같은 귀금속)이 토질내의 탄소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블라인딩제를 사용할 경우 탄소로부터 귀금속을 분리시키기 위한 배소 단계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될 수 있다.As with the methods of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herein, when high concentrations of carbon are present in the pyrite (e.g., 2-20% by weight of carbon), surfactants such as blinding agents may be In addition to the solution, it may be advantageous to prevent dissolved metals (especially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from adsorbing onto the carbon in the soil. The use of blinding agents may rule out the need for a roasting step to separate the precious metal from carbon.

따라서, 본원의 제 5 발명은, 탄소 함량이 비교적 높은 오염된 함황 토질을 처리하여 상기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fif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soils by treating contaminated sulfur-containing soils having a relatively high carbon content:

- 함황 토질을 수용액중에서 침출시켜 상기 금속을 용액내로 침출시키고, 그동안에 함황 토질내의 탄소는 그 탄소상에 귀금속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폐시키는 단계; 및Leach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in an aqueous solution to leach the metal into the solution, during which the carbon in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shielded to prevent the adsorption of precious metals on the carbon; And

- 상기 귀금속을 용액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Recovering said precious metal from solution.

용어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은 대개 약 2-20 중량% 정도로 함황 토질내에 존재하는 탄소의 농도를 언급한 것이다.The term “relatively high carbon content” refers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present in sulfur-containing soil, usually on the order of about 2-20% by weight.

탄소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블라인딩제로 차폐시킬 수 있다. 본원의 제 5 발명의 방법의 다른 특징은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Carbon may be masked with a blinding agent as described above. Other features of the method of the fifth invention herein are as described in the first to fourth inventions.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고 다가 화학종을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로 재생시킨 이후에, 일반적으로 용액을 침출 단계로 재순환시킨다. 다가 화학종은 그 원래 (침출 이전) 산화 상태로 재생되었기 때문에, 차후 산화 및 침출시키기가 용이하다.After the contaminants are precipitated out and the polyvalent species is regenerated to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the solution is generally recycled to the leaching stage. Since polyvalent species have been regenerated in their original (prior to leaching) oxidation state, they are easy to oxidize and leach later.

본원의 제 3 발명 및 제 4 발명의 방법에서, 금속 회수 단계를 실시하여 용액내로 오염물질과 함께 침출되고/되거나 잔류하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에 존재하는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In the methods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s herein, a metal recovery step can be performed to recover metal present in the soil from which contaminants leached and / or remaining with the contaminants into the solution.

예를 들면, 탄소를 함유하는 이중 내화 광석의 경우에, 최종 침출 단계 이후에 탄소상에 흡착되어 있는 등 오염물질이 제거된 남아있는 토질에 존재하는 금속(예를 들면 금과 같은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금속 회수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중 내화 광석의 경우에, 오염물질은 침출 단계동안에 함황 토질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되었기 때문에, 금속 회수 단계는 통상의 배소 단계 또는 제련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염소 또는 시아나이드 침출 방법을 배소 단계 이후에 사용하여 배소된 고체 재료에 남아있는 금속을 (예를 들면 금속이 금과 같은 귀금속일 경우) 회수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double refractory ores containing carbon, it is possible to recover metals (e.g.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present in the remaining soil that has been decontaminated, such as adsorbed on carbon after the final leaching stage. A metal recovery step may be necessary to do this. Also, in the case of double refractory ores, the metal recovery step may consist of a conventional roasting step or a smelting step, since contaminants have been substantially removed from the sulfur-containing soil during the leaching step. If desired, the chlorine or cyanide leaching method can be used after the roasting step to recover the metal remaining in the roasted solid material (for example if the metal is a precious metal such as gold).

대안으로써, 또는 추가로, 오염 물질 침전 단계 이전(즉, 오염 물질 산화 단계 및 침전 단계 직전) 또는 오염 물질 침전 단계 이후(즉, 오염 물질 침전 및 산화 단계로의 재순환 직후)에, 침출 단계에서 용액내로 침출된 금속을 제거하기 위해 인-라인 금속 회수 단계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인라인"이라는 용어는 용액 재순환 회로상에 위치하는 단계를 말한다. 인라인 금속 회수 단계는 대개 용액중의 금속을 탄소 컬럼내의 탄소, 대개 활성탄상에 흡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이온 교환, 용매 추출법 등의 다른 금속 회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or in addition, the solution in the leaching step before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i.e. immediately before the contaminant oxidation step and the precipitation step) or after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i.e. immediately after recycling to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and oxidation step) An in-line metal recovery step may be necessary to remove the metal leached into it. The term "inline" refers to a step located on a solution recycle circuit. The inline metal recovery step usually involves the adsorption of the metal in solution onto the carbon in the carbon column, usually on activated carbon. Alternatively, other metal recovery methods such as ion exchange and solvent extraction can be used.

본원의 제 3 및 제 4 발명의 방법에서 회수되는 일반적인 금속으로서는, 귀금속, 예컨대 금, 은, 백금 또는 기타 백금족 금속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회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타당한 금속들이다. 그러나, 기타 경제적으로 중요한 금속들을 대체로 또는 추가로 회수할 수도 있으며, 그 예로서는 구리, 니켈, 아연, 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3 및 제 4 발명의 특정 용도에서는, 오염물질 자체를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염물질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거나 환경상 유해한 것일 경우에는, 그것을 오염물질 침전물로부터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안티몬, 비스무스, 카드뮴 등과 같은 오염물질인 경우). 오염물질이 회수하고자 하는 "금속"을 구성할 경우, 오염물질 회수 단계를 오염 물질 침전 단계 이후에 추가로 또는 대체로 실시할 수 있다.Typical metals recovered in the process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s herein include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silver, platinum or other platinum group metals, which are economically justified metals. However, other economically important metals may also be recover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such as copper, nickel, zinc, lead,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applica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 herein, it may be desirable or necessary to recover the contaminants themselves. For example, if a contaminant is economically valuable or environmentally harmful, it is desirable to recover it from the contaminant precipitate (eg, for contaminants such as antimony, bismuth, cadmium, etc.). If the contaminant constitutes the "metal" to be recovered, the contaminant recovery step may be performed additionally or in general after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본원의 제 3 및 제 4 발명의 방법에서 금속을 회수하기 전에, 통상적으로 다수의 토질 분리 단계들을 실시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을 용액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일반적으로 제 1 침출 단계 이후에 용액을 농축 단계로 처리하여 농축시키고 그 용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을 분리시킨다. 제 2 침출 단계 이후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을 용액으로부터 여과하지만, 다른 분리 방법, 예를 들면 고체/액체 침강, 용액 증발, 원심분리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Prior to recovering the metal in the method of the third and fourth invention herein, a number of soil separation steps are typically performed to separate the soil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At this time, the solution is generally concentrated after the first leaching step by concentrating and separating the soil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After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contaminant-removed soil is filtered out of the solution, but other separation methods such as solid / liquid settling, solution evaporation, centrifugation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따라서, 제 1 침출 단계 및 제 2 침출 단계를 각각 실시한 후에 분리된 용액을 오염물질 회수 단계로 통과시키는 한편, 분리된 정련된 토질은 금속 회수 단계에 공급하거나(예를 들면 이중 내화 황철석의 경우), 폐기시킬 필요가 있다.Thus, after each of the first leaching step and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separated solution is passed through to the contaminant recovery step, while the separated refined soil is fed to the metal recovery step (e.g. in the case of double refractory pyrite). It needs to be discarded.

또한, 본원의 제 3 발명 및 제 4 발명의 방법에서, 오염물질 침전 단계 이후에, 오염물질 분리 단계를 실시하여 용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에 용액을 침출 단계로(또는 인라인 금속 회수 단계 이전으로) 재순환시킨다. 이때, 고체/액체 분리 단계를 오염물질 침전 단계 이후에 사용하며, 여과 방법 또는 다른 분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the third invention and the four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ollutant precipitation step, the pollutant separation step is performed to remove the contaminants from the solution and then the solution is leached (or before the in-line metal recovery step). Recycle. At this time, the solid / liquid separation step is used after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and it is easy to use a filtration method or another separation metho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empla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을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POx 및 Biox 방법과 비교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ferr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the preferr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by comparing with the prior art POx and Biox metho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방법을 이하 Intec Refractory Gold Process (IRGP)로 명명한다. 이 방법은 내화성 함황 토질 퇴적물로부터 금을 회수하기 위해 할라이드를 사용하는 대체 방법으로서 개발된 것이다. 이와 같은 퇴적물에 대한 공지의 처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분쇄된 광석을 부양(flotation)시켜서 정광을 생성하고, 이어서 이것을 처리하여 함황 토질을 주로 황산염으로 산화시키고, 마지막으로 산화반응 잔류물로부터 시아나이드를 사용해서 금을 추출하는 것이다.A preferred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c Refractory Gold Process (IRGP). This method was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using halides to recover gold from refractory sulfur-containing soil deposits. Known treatment methods for such deposits generally float the pulverized ore to produce a concentrate, which is then treated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mainly to sulphate, and finally to use cyanide from the oxidation residue. To extract gold.

함황 광물을 산화시키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서는, 배소 방법, 가압 산화법(POx) 및 생산화법(Biox)을 들 수 있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습식제련 절차(POx 및 Biox)와 IRGP를 비교하여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IRGP와 습식제련법인 POx 및 Biox는, 황산염 매체가 아닌 할라이드를 IRGP에서 사용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금은 황산염에 불용성인 반면에, 시아나이드와 유사한 할라이드는 금과 강한 착물을 형성하여 금의 용해 및 이어지는 활성탄상의 흡착에 의한 금의 회수를 용이하게 한다. 할라이드는 시아나이드보다 약한 리간드이기 때문에, 동일한 금 추출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산성 환경(pH<2)및 보다 높은 용액 온도와 전위(Eh)를 사용한다.As a conventional method which can be selected in order to oxidize a sulfur containing mineral, the roasting method, the pressurized oxidation method (POx), and the production method (Biox) are mentioned. It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by comparing IRGP with wet smelting procedures (POx and Biox) currently in use. IRGP and wet smelting POx and Biox are distinguished in that they use halides, not sulfate media, in IRGP. While gold is insoluble in sulfates, cyanide-like halides form strong complexes with gold to facilitate gold dissolution and subsequent recovery of gold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Since halides are weaker ligands than cyanide, an acidic environment (pH <2) and higher solution temperature and potential (Eh) are used to achieve the same gold extraction efficiency.

내화성 함황 토질을 처리하기 위해서, 용액 산화 전위가 조절된 할라이드 매체를 사용하면, 비소와 황화물을 산화시키고 금을 용해시킬 수 있다. 금 함유 용액을 산화된 함황 광물 슬러리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용해된 금은 활성탄상에 흡착시킴으로써 회수할 수 있으며, 차후에 소성시키거나, 시아나이드를 사용하여 용출시킴으로써 용융전해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금을 금속으로서 회수한다. 통상의 방법과는 달리, IRGP는 금을 추출하기 위해서 산화 반응 잔류물을 시아나이드화시킬 필요가 없는데, 이와 같은 시아나이드화 반응은 별도의 전용 침출 회로 및 경우에 따라서는 잔류하는 시아나이드를 분해시키기 위한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한다.In order to treat refractory sulfur-containing soils, using a halide medium with controlled solution oxidation potential, it is possible to oxidize arsenic and sulfides and dissolve gold. After separating the gold-containing solution from the oxidized sulfur-containing mineral slurry, the dissolved gold can be recovered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which is subsequently calcined or eluted with cyanide to finally dissolve the gold by melt electrolysis. Recover as. Unlike conventional methods, IRGP does not need to cyanide the oxidation residue to extract gold, which cyanide reaction decomposes a separate dedicated leaching circuit and in some cases residual cyanide. It requires an extra cost to make it.

금 함유 광석 내화재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으며, 이들은 하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다.There are a number of factors that can provide gold-containing ore refractory, as shown in Table 1 below.

유형type 내화 특성의 원인Causes of fi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유리Glass 실리케이트, 설파이드, 탄소 등에 물리적으로 감금Physical confinement to silicates, sulfides, carbon, etc. 흡장(吸藏)Occlusion 화학적인 층의 형성에 의한 부동화Passivation by the formation of chemical layers 화학chemistry 금을 함유한 화합물, 예컨대 텔루르화금 및 오로스티브나이트(aurostibnite)의 형성Formation of gold-containing compounds such as gold telluride and aurostibnite 치환substitution 광물 격자내에서 금에 의한 원소 치환, 예를 들면 황철석내의 "고용체" 금Elemental substitution by gold in the mineral lattice, eg "Soluble" gold in pyrite 흡착absorption 광석 펄프내의 활성 탄소재에 의한 용해된 금의 흡착 Adsorption of Molten Gold by Activated Carbon Materials in Ore Pulp

IRGP는 상기 표 1중 마지막 2가지 범주, 즉, "치환"과 "흡착" 범주에 속하는 내화광석으로부터 생산된 정광을 처리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것이다. 전 세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금은 상기 2가지 범주에 포함되며, 황화철 존재 여부에 따라 유비철석과 황철석으로 명명되며, 이들은 별도로 또는 보다 흔하게는 혼합된 형태로 발생한다. 또한, IRGP는 광석내에 "활성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IRGP was specifically developed to treat concentrates produced from refractory ores belonging to the last two categories of Table 1 above, namely "substituted" and "adsorbed" categories. Most of the gold present in the world falls into these two categories and is named ubiquitous and pyrit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iron sulfide, which occurs separately or more often in mixed form. IRGP may also be applied where "activated carbon" is present in the ore.

이하, IRGP 방법과 화학적인 원리를 이하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광물을 함유하는 내화성 금 정광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IRGP method and the chemical principle will be described below for a method of treating refractory gold concentrates containing minerals of the following types.

1. 유비철석1. Ubitic iron

2. 유비철석 + 황철석2. ubiquitous + pyrite

3. 유비철석 + 황철석 + 탄소3. ubiquitous + pyrite + carbon

유비철석Ubiquitous 산화 반응의 화학적 설명 Chemical description of the oxidation reaction

내화성 금 정광내에 비소가 존재할 경우, 그것은 주로 유비철석(FeAsS)의 형태이다. 금은 대개 격자 결합된 화학종으로서 유비철석 내에 "감금(locked)"되므로, 천연의 금이라기 보다는 고용체(solid solution)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금을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유비철석 격자를 완전히 파괴할 필요가 있었다.If arsenic is present in refractory gold concentrates, it is mainly in the form of arsenic (FeAsS). Gold is often referred to as a solid solution rather than natural gold because it is "locked" in arsenite as a lattice bonded species. Therefore, in order to release the gold, it was necessary to completely destroy the ubiquitous lattice.

IRGP에서 유비철석 격자의 파괴는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화학적인 산화 반응에 의해 달성된다.The breakdown of the arsenite lattice in IRGP is achieved by chemical oxidation reaction according to Scheme 1 below.

FeAsS + 2O2 → FeAsO4 + SFeAsS + 2O 2 → FeAsO 4 + S

처리액 중에서 산소의 용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산소가 유비철석을 직접 산화시키지는 않았지만, 몇 개의 중간 단계를 통해서 작용하였다.Because of the very low solubility of oxygen in the treatment liquid, oxygen did not directly oxidize the arsenite, but it worked through several intermediate steps.

산소는 침출시 대기압하에 살포되는 공기로부터 직접 공급되며, 먼저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제1 구리 이온(Cu2+) 형태의 가용성 산화제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Oxygen is supplied directly from air sparg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upon leaching, and is first used to produce soluble oxidants in the form of first copper ions (Cu 2+ ) according to Scheme 2 below.

2Cu+ +½O2 +2H+ → 2Cu2+ + H2O2Cu + + ½O 2 + 2H + → 2Cu 2+ + H 2 O

상기 반응은 기포와 처리액 사이의 계면에서 일어났다. 이어서, 제1 구리 이온은 하기 반응식 3에 따라서 유비철석을 산화시켰다.The reaction occurr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ubble and the treatment liquid. Subsequently, the first copper ions oxidized the arsenic iron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Scheme 3.

FeAsS + 7Cu2+ +4H2O → H3AsO4 +Fe2+ + S +5H+ +7Cu+ FeAsS + 7Cu 2+ + 4H 2 O → H 3 AsO 4 + Fe 2+ + S + 5H + + 7Cu +

제1 철과 제1 구리의 반응 생성물은 계속해서 상기 반응식 2 및 하기 반응식 4에 따라서 살포되는 공기에 의해 더 산화되었다.The reaction product of ferrous and first copper was subsequently further oxidized by air sparged according to Scheme 2 and Scheme 4 below.

Cu2+ +Fe2+ → Cu+ + Fe3+ Cu 2+ + Fe 2+ → Cu + + Fe 3+

제2 철 이온의 존재하에서, 비산은 하기 반응식 5에 따라 쉽게 불용성 비산철을 형성하였다.In the presence of ferric iron ions, the fly ash readily formed insoluble iron arsenate according to Scheme 5 below.

H3AsO4 + Fe3+ → FeAsO4 +3H+ H 3 AsO 4 + Fe 3+ → FeAsO 4 + 3H +

비산철은 IRGP 방법에 사용된 작업 조건하에서 염화 이온 함량이 높은 전해질을 형성하였고, 대개는 결정질이었으며, 주위 환경에서 안정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었다.Iron arsenate formed an electrolyte with a high chloride content under the operating conditions used in the IRGP method, which was usually crystalline and stabl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uld be easily separated.

처리액에는 항상 소량의 배경 철 농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Cu2+/Cu+ 상의 작용은 Fe3+/Fe2+ 쌍에 의해 보충되었다. Cu2+와 Fe3+의 영향하에 달성 가능한 전위는 산소 존재하에서 850 mV(SHE 기준)이었다. 하기 반응식 6에 따라서 염화물 착물을 형성함으로써 금이 안정화되기 때문에, 이러한 전위는 금을 용해시키는데 충분하였다.Since there was always a small amount of background iron concentration in the treatment liquid, the action of the Cu 2+ / Cu + phase was supplemented by the Fe 3+ / Fe 2+ pair. The potential attainable under the influence of Cu 2+ and Fe 3+ was 850 mV (SHE basis) in the presence of oxygen. This potential was sufficient to dissolve gold because gold was stabilized by forming chloride complexes according to Scheme 6 below.

3Cu2+ + Au +4Cl- → AuCl- 4 + 3Cu+ 3Cu 2+ + Au + 4Cl - → AuCl - 4 + 3Cu +

처리액중에 브로마이드가 존재할 경우(예를 들면, 의도적으로 첨가한 경우), 금-브로마이드 착물도 하기 반응식에 따라 형성되었다:If bromide is present in the treatment solution (eg, intentionally added), a gold-bromide complex was also 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cheme:

3Cu2+ +Au + 4Br- → AuBr- 4 +3Cu+ 3Cu 2+ + Au + 4Br - → AuBr - 4 + 3Cu +

산화 반응은 20-40 g/l의 Cu2 + 이온과 2-5 g/l의 Fe3 + 이온을 함유하는 8M 클로라이드 전해질 중에서 90-95℃의 온도하에 수행하였다.Oxida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90-95 ℃ in 8M chloride electrolyte containing the Fe + 3 ions in the 20-40 g / l of Cu 2 + ions and 2-5 g / l.

황철석 산화 반응의 화학적 설명Chemical description of pyrite oxidation

IRGP에서 황철석(FeS2)의 산화 반응은 하기 반응식 7과 같은 전체 반응식에 따라서, 유비철석 산화반응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일련의 중간 반응을 거쳐 달성되었다.Oxidation reaction of pyrite (FeS 2 ) in IRGP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same series of intermediate reactions used in the arsenite oxidation reaction, according to the overall scheme as shown in Scheme 7 below.

4FeS2 + 15O2 +2H2O → 8SO4 2- +4Fe3+ +4H+ 4FeS 2 + 15O 2 + 2H 2 O → 8SO 4 2- + 4Fe 3+ + 4H +

유비철석의 황이 원소 상태까지만 산화되는 데 비하여, 황철석의 황은 어떤 식으로도 황산염까지 산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It has been found that the sulfur of pyrite is oxidized to sulphate in some way, whereas the sulfur of arsenite is oxidized only to the elemental state.

황철석은 유비철석보다 내화성이 더욱 크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허용 가능한 반응 속도를 얻기 위해서 보다 미세한 입자 크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황철석 샘플은 가변적인 반응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결정 격자내의 황의 일부분이 비소로 치환된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황철석은 비소함유 황철석으로 명명되는 경우가 많은데, 비소 오염도가 높을수록 황철석의 반응성은 As/S 비율이 1인 실제 유비철석의 반응성에 더욱 근접한다.Since pyrite is more fire resistant than arsenite, finer particle sizes were used to obtain acceptable reaction rates as described below. However, each pyrite sample showed variable reactivity, which is believed to be affected by the substitution of arsenic for some of the sulfur in the crystal lattice. Such pyrite is often referred to as arsenic-containing pyrite, the higher the arsenic contamination, the closer the reactivity of pyrite is to the reactivity of the actual arsenite with an As / S ratio of 1.

하기 반응식 8에 따라서, 반응은 유비철석과 마찬가지로 Cu2 +/Cu+ 쌍을 통해서 90-95℃의 온도하에, 유비철석 산화반응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처리액 중에서 진행하였다.To according to Scheme 8,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treating solution as used in the same manner as arsenopyrite at a temperature of 90-95 ℃ through the Cu 2 + / Cu + couple, arsenopyrite oxidation.

FeS2 + 7Cu2+ +4H2O → SO4 2- + Fe2+ + 8H+ + 7Cu+ FeS 2 + 7Cu 2+ + 4H 2 O → SO 4 2- + Fe 2+ + 8H + + 7Cu +

Cu+와 Fe2 +는 상기 반응식 2 및 4에 따라서 살포되는 산소에 의해 더 산화되었다. 형성된 황산 제2철은 하기 반응식 9에 따라서 pH 약 1-1.5하에 석회석을 첨가함으로써, 적철광과 석고로 침전되었다.Cu + and Fe + 2 have been further oxidized by oxygen to be sprayed according to the scheme 2, and 4. The ferric sulfate formed was precipitated into hematite and gypsum by adding limestone under pH about 1-1.5 according to Scheme 9 below.

4SO4 2- + 2Fe3+ +2H+ +4CaCO3 → Fe2O3 + 4CaSO4 +4CO2 +H2O4SO 4 2- + 2Fe 3+ + 2H + + 4CaCO 3 → Fe 2 O 3 + 4CaSO 4 + 4CO 2 + H 2 O

석회석 첨가량을 조절하여 가용성 철 농도를 2-5 g/l로 유지시킴으로써, 제 2 구리 형태의 구리 잔류물이 침출에 의해 침전 및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였다.The amount of limestone added was adjusted to maintain the soluble iron concentration at 2-5 g / l to prevent precipitation and loss of copper residues in the second copper form by leaching.

정광 분쇄 크기Concentrate crushing size

IRGP에 사용하기 위한 정과은 대개 80% 크기 범위가 70-100 미크론 이하인 크기로 입수하였다. 시험 결과 정광을 보다 미세한 크기로 (각각의 정광의 특성에 따라) 재분쇄할 경우에 반응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술하는 제 1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재분쇄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비철석이 유일한 금함유 광물인 경우에, 80% 크기가 30-40 미크론 이하인 것이 우수한 금 추출 효과와 허용 가능한 침출 체류 시간을 얻는데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Fruits for use in IRGP were usually obtained in sizes ranging from 70-100 microns or less in the 80% size range. As a result of the test, when the concentrate was regrind to a finer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centrate), the react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first example described later used a regrinding method. If ubiquitous is the only gold-containing mineral, it has been found that an 80% size of 30-40 microns or less is suitable for obtaining good gold extraction effects and acceptable leaching residence times.

금이 황철석내에 감금되어 있는 경우에, 분쇄 크기는 주로 황철석의 반응성에 좌우되었으며, 그 반응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게 변화하였다. 고활성 황철석의 경우에, 유비철석용으로 사용한 입자를 사용하였지만, 내화성이 보다 큰 황철석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필요가 있다. 보다 극단적인 내화재의 경우에, 80% 입자 크기가 6-10 미크론 이하인 초미세 입자로까지 확장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초미세 분쇄 방법이 지난 10년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광산에서 다수의 초미세 분쇄기를 성공적으로 작동시킬 정도까지 개발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In the case where gold is confined in pyrite, the pulverization size depends largely on the reactivity of the pyrite, and its reactivity has changed greatly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highly active pyrite, the particles used for the arsenite are used, but in the example of pyrite, which is more fire resistant, it is necessary to finely grind. In the case of more extreme refractory, the 80% particle size extends to ultrafine particles of 6-10 microns or less. In addition, the inventors recognize that the ultrafine grinding process has been developed to the extent that successfully operating multiple ultrafine mills in mines worldwide over the last decade.

금 회수Gold recovery

금을 함유하는 침출 용액을 활성탄을 함유하는 컬럼에 통과시켜서 활성탄상에 금을 흡착시켰다. 금 흡착에 소요된 체류 시간은 10-15분이었으며, 이는 시아나이드 시스템에 대한 통상적인 방법의 경우와 유사한 것이다. 탄소상의 금 하중량은, 비교적 높은 금 함량을 갖는 등급의 정광을 사용한 결과로서 용액에 금 함량이 비교적 높은 정광이 존재함에 기인하여 대개 2-5% w/w이었다. 이와 같은 하중량하에 요로에서 연소시켜 탄소를 파괴함으로써 금을 회수하였다. 하중량이 보다 낮을 경우에는 시아나이드로 용출한 다음 탄소를 재활성화시키는 것이 더욱 경제적이다.The leaching solution containing gold was passed through a column containing activated carbon to adsorb gold onto the activated carbon. The residence time for gold adsorption was 10-15 minutes,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cyanide systems. The weight of gold on carbon was usually 2-5% w / w due to the presence of concentrates with a relatively high gold content in the solution as a result of the use of graded concentrates with a relatively high gold content. Under such weight, gold was recovered by burning in the urinary tract to destroy carbon. If the load is lower, it is more economical to elute with cyanide and then reactivate the carbon.

불순물 관리Impurity Management

주요 오염물질(예컨대 비소, 안티몬 등) 이외에도, 공급된 정광내에 불순물(예를 들면 Cd, Mn, Mg 등)이 존재하여도, 침출 또는 침전 작업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순물을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순물이 경시적으로 처리액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는, 재생된 제 2 구리 용액의 추출물로부터 침전법을 통해 달성하였으며, 정제된 염수는 방법에 복귀시켰다. 중요한 사실은 IRGP가 어떠한 액상 유출물도 생성하지 않았으며, 모든 불순물을 고체 부산물로서 제거하였다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e main contaminants (eg arsenic, antimony, etc.), the presence of impurities (eg Cd, Mn, Mg, etc.) in the supplied concentrate does not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leaching or precipitation operations. Nevertheless, a method of managing impurities was used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impurities in the treatment liquid over time. This was achieved via precipitation from the extract of the regenerated second copper solution and the purified brine was returned to the process. Importantly, IRGP produced no liquid effluent and removed all impurities as solid by-products.

석회석을 상기 추출물에 첨가하여 pH를 3.5로 조정하고 잔류하는 철과 구리를 침전시킨 다음, 여과에 의해 제거하여 침출 단계로 재순환시켰다. 이어서, Cd, Mn 및 Mg와 같은 불순물을 pH 9의 소석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불용성 산화물을 형성시키고 여과에 의해 회수해서 폐기함으로써 제거하였다.Limestone was added to the extract to adjust the pH to 3.5 and the remaining iron and copper precipitated, then removed by filtration and recycled to the leaching step. Subsequently, impurities such as Cd, Mn and Mg were removed by forming an insoluble oxide by the addition of calcined lime at pH 9, recovered by filtration and discarded.

공정 설비면에서, IRGP는 대기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Biox 방법과 유사하지만, 체류 시간은 더 짧아서 대개 6-20 시간 범위이다. 황철석 산화 반응의 경우에는 Biox보다 더 높은 침출 온도를 사용하지만, 공정에 공급되는 정광이 미세 분쇄된 것일 경우에는, 대개 10 ㎛ 이하의 수준으로 초미세 분쇄된 것일 경우에는 산소 플랜트(Pox에 사용됨)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공정 설비를 구성하는 재료는 섬유 강화 플라스텍, 고무 라이닝 처리된 스틸 및 티탄이었다.In terms of process equipment, IRGP is similar to the Biox method in that it uses atmospheric pressure, but the residence time is shorter, usually in the range of 6-20 hours. In the case of pyrite oxidation, higher leaching temperatures are used than in Biox, but when the concentrate supplied to the process is finely ground, oxygen plants (used for Pox) are usually finely ground to levels below 10 μm. You do not have to use. Materials constituting the process equipment were fiber reinforced plastics, rubber lined steel and titanium.

유비철석Ubiquitous + 황철석 + 탄소(이중 내화 광석) + Pyrite + carbon (double refractory ore)

금 정광을 처리하는데 미치는 탄소의 영향은 주로 그 등급과 활성에 좌우된다. 탄소 함량이 낮을 경우에는, 유기 첨가제(블라인딩제)를 사용하여 금 흡착을 억제하거나, 활성탄을 침출 단계에서 첨가하여 금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킨다(CIL; 침출 중 탄소 처리). 따라서, 이 경우에, 유비철석의 산화반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The impact of carbon on the treatment of gold concentrates depends primarily on its grade and activity. When the carbon content is low, organic additives (blinding agents) are used to inhibit gold adsorption, or activated carbon is added in the leaching step to selectively adsorb gold (CIL; carbon treatment during leaching). Thus, in this case,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arsenite is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탄소 함량이 3 내지 5%를 초과할 정도로 높을 경우에는, 억제 방법 또는 CIL의 효과가 크게 감소하여, 소위 금의 "함침-추출"이 증가하였다. 이 경우에, 배소 방법에 의해 탄소를 파괴시키는 것이 종래 실시되는 주요한 처리 방법이었다. 이것은 비교적 복잡한 공정인데, 형성된 하소 물질로부터 금을 추출하는 것을 배소 조건하에 수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황철석을 배소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유비철석 배소 조건과는 달라서 2단계 배소 과정이 필요하다.However, when the carbon content is high to exceed 3 to 5%, the effect of the inhibition method or CIL is greatly reduced, so-called "impregnation-extraction" of gold has increased. In this case, destroying carbon by the roasting method was the main treatment method conventionally performed. This is a relatively complex process since the extraction of gold from the calcined material formed is carried out under roast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optimal condition for roasting pyrite is different from the ubiquitous roasting condition and thus requires a two-step roasting process.

배소를 실시하기 전에 IRGP 방법을 사용하면 비소와 황을 선택적으로 용출시켜서 차후 배소 단계를 간소화시켜, 이 경우에는 간단한 1단계 공정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비소와 황을 제거하면 배소 장치 작업으로부터 오프-가스(off-gas) 세척에 대한 부담이 줄어드는데, As2O3와 SO2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는 배소 단계에 소요되는 투자와 운영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Prior to roasting, the IRGP method can be used to selectively elute arsenic and sulfur to simplify subsequent roasting steps, in this case a simple one-step process. In addition, the removal of arsenic and sulfur reduces the burden of off-gas cleaning from the roaster operation, as the As 2 O 3 and SO 2 are greatly reduced. Thus, this effec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vestment and operating costs of the roasting stage.

제 1 방법 및 제 2 방법1st method and 2nd method

내화성 함황 토질을 처리할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제 1 방법에서는 특정한 용액 산화 전위를 갖는 할라이드 매체를 사용하여 황화물 산화반응과 금의 용해를 동시에 수행하였다(소위 "올인원(all-in-one)" 공정). 본 발명에 의한 제 2 방법에서는, 상이한 용액 파라미터를 가진 할라이드 매체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예: 비소)을 설파이드가 산화되기 이전에, 일부분의 금의 용해와 동시에 산화시키고 오염물질을 분리시켜서 별도로 또한 후속하여 추가량의 금을 회수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 1 방법과 제 2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case of treating refractory sulfur-containing soils, in the fir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lfide oxidation and dissolution of gold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using a halide medium having a specific solution oxidation potential (so-called "all-in-one). " fair). In the second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lide media with different solution parameters are used to separate contaminants (e.g., arsenic) simultaneously with dissolution of some gold and to separate the contaminants before the sulfide is oxidized. Subsequently an additional amount of gold was recovered. Hereinafter, the first method and the seco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1 방법1st way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와 실시예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제 1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4 and Examples 1 to 3 will be described a first method.

도 2에는, 단일 내화성 황철석 금 회수 방법(1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방법에 공급할 귀금속 정광(12)는, 채굴, 분쇄 및 함황 광석의 부양법을 통해 준비한 것이다. 상기 정광은 대개 금을 함유하는 유비철석(이것이 고함량의 탄소를 함유할 경우에는 이중 내화성이 된다)이다. 상기 정광을 특수한 볼 밀에서, 대개 10 ㎛ 이하의 초미세 수준으로 분쇄하였다. 이어서, 분쇄된 정광을 유비철석 침출 단계(14)의 형태로 된 제 1 침출 단계에 공급하였다.In FIG. 2, a single refractory pyrite gold recovery method 10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The precious metal concentrate 12 to be supplied to the method is prepared by mining, grinding, and flotation of sulfur-containing ore. The concentrate is usually gold-containing arsenite (which is double fire resistant if it contains a high content of carbon). The concentrate was ground to a very fine level, usually up to 10 μm, in a special ball mill. The pulverized concentrate was then fed to a first leaching step in the form of a arsenite leaching step 14.

유비철석 침출 단계(14)에서는, 산성 환경을 유지시킨다(유비철석의 침출은 낮은 용액 pH하에 증진되기 때문에 pH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 환경은 용액의 재순환에 의해서만 얻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비오염성 산(예를 들면 황산 또는 염산)을 첨가할 수도 있다. 침출 용액 Eh는 통상 0.4 볼트 이상으로 유지시켜서 함황 토질의 유비철석 성분의 산화와 금의 가용화를 촉진시켰다. 침출 온도는 약 80-95℃로 유지시켰다. In the arsenite leaching step 14, an acidic environment is maintained (preferably lower than pH 1 because leaching of arsenite is enhanced under low solution pH). The acid environment may be obtained only by recycling of the solution, or non-polluting acids (eg sulfuric acid or hydrochloric acid) may be added. The leaching solution Eh is usually maintained at 0.4 volts or more to promote oxidation of the arsenic iron component of sulfur-containing soils and solubilization of gold. The leaching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about 80-95 ° C.

이어서, 침출된 토질을 제 2 황철석 침출 단계(16)에 공급하여, 여기서는 산화제(예를 들면 산소, 공기, 염소, 과산화수소 등)를 첨가하여 용액 산화 전위를 상승시킴으로써 황철석을 산화시켰다. 비소를 제 2 침출 단계에서 침전된 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산(예: 황산) 또는 염기(예: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약 0.2 이상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The leached soil was then fed to the second pyrite leaching step 16 where the pyrite was oxidized by adding an oxidizing agent (eg oxygen, air, chlorine, hydrogen peroxide, etc.) to raise the solution oxidation potential. In order to maintain the arsenic in the form precipitated in the second leaching step, it is necessary to add acid (eg sulfuric acid) or base (eg sodium carbonate) to maintain the pH of the solution above about 0.2.

처리 용액은 대개 염화 제 2 구리 수용액으로서, 클로라이드 농도는 8 몰/리터이었다. 비소 및 황철석 침출 단계에서 모두, 제2 구리 이온은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제 1 구리 이온으로 환원되었다(상기 반응식 2 및 8). 또한, 제 2 구리 이온은 산성 산화 환경에서 재생되었다(반응식 3 및 9).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에서, 구리는, Cu2+/Cu+ 쌍으로 존재하는 전자 전달제로서 작용한다. 다른 시약도 이러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는 철, 코발트, 망간, 바나듐 등을 들 수 있다.The treatment solution was usually an aqueous solution of cupric chloride, with a chloride concentration of 8 mol / liter. In both the arsenic and pyrite leaching steps, the second copper ions oxidized the sulfur containing soil and reduced to the first copper ions (Scheme 2 and 8 above). In addition, the second copper ions were regenerated in an acidic oxidation environment (Scheme 3 and 9). Thus, in such a method, copper acts as an electron transfer agent present in Cu 2+ / Cu + pairs. Other reagents may perform this action, for example, iron, cobalt, manganese, vanadium and the like.

함황 토질의 탄소 함량이 높을 경우에는(예를 들면 3-5 중량% 이하), 차폐용 계면활성제를 단계 (14) 및 (16)에서 첨가하여 용액내로 침출된 금(또는 다른 귀금속)이 탄소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통상 유기 블라인딩제, 예를 들면 케로센, 페놀 에테르 등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활성탄을 첨가하여 금을 우선적으로 흡착시켜 차후 제거할 수도 있다.If the carbon content of sulfur-containing soils is high (eg 3-5 wt% or less), the gold (or other precious metals) leached into the solution by adding the shielding surfactant in steps (14) and (16) is carbon phase. Adsorption to can be prevented. Surfactants are usually organic blinding agents such as kerosene, phenol ether and the like. Alternatively, activated carbon may be added to preferentially adsorb gold and subsequently remove it.

제 1 방법에 있어서, 유비철석 침출 단계(14)에서, 본 발명자들은 pH 1 이하이되 비소가 가용화되는 조절된 pH에서, 비교적 중간 정도인 약 0.7-0.8 볼트(SHE 기준)의 산화 전위하에, 비교적 낮은 온도(80-95℃)를 사용할 경우에, 황철석의 황화물이 황산염으로 산화되는 일 없이 함황 토질을 침출시켜 금을 가용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In the first method, in the ubiquitous leaching step 14, the inventors found that at a controlled pH at which pH 1 or less but arsenic is solubilized, at a relatively moderate oxidation potential of about 0.7-0.8 volts (based on SHE), It has been found that when using low temperatures (80-95 ° C.), gold can be solubilized by leaching sulfur-containing soils without oxidizing pyrite sulfides to sulfates.

황철석 침출 단계(16)에서 사용된 산화반응 조건은 비소 침출 단계(14)에서 사용된 조건보다 더 심하다. 여기서는, 산화제를 용액에 살포하여 산화 전위 Eh를 약 0.85 볼트로 산화시켰다. 또한, 제 2 침출 단계에서 용액의 온도는 약 90-105℃로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침출 단계에서 제 1 방법에 따른 용액의 pH는 1 이상이되 비소가 가용화되는 pH로 조절된다.The oxidation conditions used in the pyrite leaching step 16 are more severe than the conditions used in the arsenic leaching step 14. Here, the oxidant was sprayed onto the solution to oxidize the oxidation potential Eh to about 0.85 volts.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n the second leaching step needs to be raised to about 90-105 ° C. Likewise, in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pH of the solution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is adjusted to at least 1 but to a pH at which arsenic is solubilized.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산이 소모되기 때문에(즉, Cu(II)가 재생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산을 침출 단계(16)의 용액에 첨가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산으로서는 황산, 염산 또는 공정을 화학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다른 산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산의 보충량은 황철석의 침출에 의해 충분한 황산이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좌우된다. 또한, 침출 단계(16)에서 탄산칼슘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pH를 조절하여 비소가 가용화되는 것을 방지하였다.Since acid is consumed in the second leaching stage (ie, Cu (II) is regenerated), it is necessary to add acid to the solution of leaching stage 16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such as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or Other acids do not chemically interfere with the process. However, the amount of acid replenishment depends on whether enough sulfuric acid is produced by leaching of pyrite. In addition, the pH was adjusted by adding calcium carbonate in the leaching step 16 to prevent solubilization of arsenic.

침출 단계(16)에서, 황화물은 황산염으로 산화되고, 철은 Fe(III) 형태로 용액에 용출되고(반응식 1), 통상 황철석에 잔류하는 금(또는 기타 귀금속)은 가용화된다. 본 발명자들은 예기치않게 산의 존재하에 할라이드 용액에서 Cu2+와 Fe3+의 영향하에 850 mV(SHE 기준) 영역의 산화 전위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전위는 사용된 8M Cl- 매체에서 금-염화물 착물의 형성을 통해 금을 용해시키는데 충분한 것이었다.In the leaching step 16, the sulfide is oxidized to sulphate, iron is eluted into the solution in the form of Fe (III) (Scheme 1), and gold (or other precious metals) usually remaining in pyrite is solubilized. The inventors have unexpectedly found that an oxidation potential in the 850 mV (SHE basis) region can be obtained under the influence of Cu 2+ and Fe 3+ in a halide solution in the presence of an acid. This potential was sufficient to dissolve the gold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gold-chloride complex in the 8M Cl medium used.

황철석 침출 단계(16)에서 수득한 고체 슬러리를 고체-액체 분리 단계(18)로 공급하여, 여기서 고체를 공지의 여과 장치를 사용해서 용액으로부터 여과하였다. 수득한 여과액(20)은 인라인 귀금속 회수 단계(22)로 공급하고, 여과된 고체는 찌꺼기(tail)로서 폐기 처분하였다. 보충수를 단계(18)에서 첨가하여 찌꺼기와 함께 손실되는 물을 보충하였다.The solid slurry obtained in the pyrite leaching step 16 was fed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18, where the solid was filtered out of the solution using a known filtration apparatus. The obtained filtrate 20 was fed to an in-line noble metal recovery step 22, and the filtered solid was disposed of as tail. Supplemental water was added in step 18 to make up for the water lost with the residue.

금속 회수 단계(22)는 활성탄으로, 예를 들면 유동층 배열식으로 충전된 하나 이상의 컬럼을 포함하며, 이 컬럼을 통해 용액을 상류식으로 통과시킨다. 용액중에 가용화된 금(또는 기타 귀금속)은 활성탄에 흡착되는 반면, 상류 액체 스트림(26)은 컬럼을 빠져 나와서 침출 단계(14)로 재순환된다. 이어서, 금을 함유한 활성탄을 제거하거나 주기적으로 처리하여 금 회수 과정에 대한 금 생성물 스트림(28)으로서 통과시킨다(예를 들면 탄소 생성물을 소성시키거나 탄소 컬럼을 시아나이드 용액으로 용출시킨다).The metal recovery step 22 comprises one or more columns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for example fluidized bed arrangement, through which the solution is passed upstream. Gold (or other precious metals) solubilized in solution is adsorbed to activated carbon, while upstream liquid stream 26 exits the column and is recycled to leaching step 14. The activated carbon containing gold is then removed or periodically treated to pass as a gold product stream 28 for the gold recovery process (eg, carbon product is calcined or the carbon column is eluted with cyanide solution).

상류의 액체 스트림(26)은 용액 상태 조정 단계(30) 형태의 철 침전 단계를 통해 침출 단계(14)로 재순환시킨다. 단계(30)에서, 황철석 산화 단계(16)에서 얻은 가용성 황산 제2철을 침전시켜서, 석회석과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적철광과 석고를 형성함으로써(반응식 6), 황과 철을 공정으로부터 제거한다. 석회석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용액 중 철 농도를 대략 2 g/l로 유지시킴으로써 제 2 구리 형태의 구리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적철광/석고 슬러리를 여과하고 잔류물을 세척한 후에, 찌꺼기로 폐기 처분한다. 이어서, 용액을 상기 단계(14)로 재순환시킨다.The upstream liquid stream 26 is recycled to the leaching step 14 via an iron precipitation step in the form of a solution conditioning step 30. In step 30, sulfur and iron are removed from the process by precipitating the soluble ferric sulfate obtained in the pyrite oxidation step 16 and adding limestone and calcium carbonate to form hematite and gypsum (Scheme 6). The amount of limestone added is adjusted to maintain the iron concentration in the solution at approximately 2 g / l to prevent precipitation of copper in the second copper form. The hematite / gypsum slurry is filtered and the residue washed, then disposed of with waste. The solution is then recycled to step 14 above.

공정 전반에 걸쳐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림(26)의 일부분(32)을 추출물 회로(34)로 재순화시켜서 Mn, Cd, Ni, Co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분리시킨다(예를 들면 추출물 용액 pH를 상승시켜 조절된 방식으로 침전시키는 방법을 통해 분리시킨다).To prevent contaminants from accumulating throughout the process, part 32 of stream 26 is recycled to extract circuit 34 to separate contaminants such as Mn, Cd, Ni, Co, etc. (e.g., For example by raising the extract solution pH to precipitate in a controlled manner).

제 1 방법 실시예First Method Example

이하에서는, 최적의 공정 경로를 본 발명에 의한 제 1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following, the optimum process route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r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사전 평가로서, 제 1 정광으로부터 금을 추출하는 방법을 3가지 상이한 단계로 수행하였다: 즉, 유비철석 침출, 황철석 침출(1) 및 황철석 침출(2). 다음과 같은 실험 테스트 보고서에는 상기 3가지 단계의 절차 및 결과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CON1 01은 유비철석 침출 및 황철석 산화반응(1)을, CON1 02는 황철석 산화반응(2)을 언급한 것이다. 제1 정광을 P80= 30μ으로 분쇄하고 As 침출 단계로 처리한 후에 황철석 산화 반응 단계로 처리하였다.As a preliminary evaluation, the method of extracting gold from the first concentrate was carried out in three different steps: arsenite leaching, pyrite leaching (1) and pyrite leaching (2). The following experimental test report details the procedures and results of the three steps. CON1 01 refers to arsenite leaching and pyrite oxidation (1), and CON1 02 refers to pyrite oxidation (2). The first concentrate was ground to P80 = 30μ and treated with an As leaching step followed by a pyrite oxidation step.

목적purpose

본 실시예의 목적은 IRGP를 단일 내화 Au 정광에 적용하는 것이다. 광석 샘플을 분쇄 및 농축하기 위해 야금 실험실에 제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embodiment is to apply IRGP to a single refractory Au concentrate. Ore samples were provided to metallurgical laboratories for grinding and concentration.

절차step

본 실험은 두 부분으로 수행하였으며, 7.5 L 티탄 절연 탱크에서 실시하였다. 제1 부분은 As 침출 부분으로서, 통상의 혼합기를 사용하였다. 제 2 부분은, 황철석 산화 부분으로서, 편평한 블레이드 터어빈과 살포 장치를 사용하였다.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parts and in a 7.5 L titanium insulated tank. The first portion was an As leaching portion, using a conventional mixer. The second portion, as a pyrite oxide portion, used a flat blade turbine and sparging device.

제 1 부분: As 침출First part: As leaching

"프로펠러" 교반기를 구비한 7.5L 티탄 반응기에서, 200 g/l의 NaCl, 50 g/l의 CaCl2를 사용하여 pH<0.5의 중성 염수 3.5L를 제조하였다. 또한, 200 g/l의 NaCl, 50 g/l의 CaCl2 및 75 g/l의 CuCl2 형태의 Cu를 사용하여 pH<0.5인 "상승(boost)" 용액을 제조하였다. 필요에 따라서, 수 그램의 구리 덴드라이트를 첨가하여 Eh를 580 내지 600 mV 범위로 조정하였다. 상승 용액은 80℃의 온도로 유지시켰다.In a 7.5 L titanium reactor with a "propeller" stirrer, 3.5 L of neutral brine with a pH <0.5 was prepared using 200 g / l NaCl, 50 g / l CaCl 2 . In addition, a "boost" solution having a pH <0.5 was prepared using 200 g / l NaCl, 50 g / l CaCl 2 and 75 g / l CuCl 2 form Cu. If necessary, several grams of copper dendrites were added to adjust the Eh in the range from 580 to 600 mV. The synergistic solution wa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80 ° C.

침출 반응기를 105℃로 가열한 후에, 300 그램 당량의 무수 정광을 염수에 첨가하였다. 필요에 따라서 15분 경과 후에 진한 염산을 현탁액에 첨가하여 pH를 <0.5로 조정하고 t=0에서 샘플을 취하였다. 산이 전부 첨가된 것을 확인하였다(시간, 첨가 부피, 침출 탱크 내 부피).After heating the leaching reactor to 105 ° C., 300 grams of anhydrous concentrate was added to the brine. After 15 minutes of necessity,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the suspension to adjust the pH to <0.5 and samples were taken at t = 0. It was confirmed that all acid was added (time, addition volume, volume in the leaching tank).

Eh 및 pH를 측정하고, 상승 용액을 2.5l/시간의 속도로 서서히 첨가하면서 Eh가 530 mV를 초과하지 않도록 모니터하였다. As, Fe, Cu 분석을 위해 용액 샘플을 30분마다 채취하였다. Eh와 pH를 30분마다 모니터하였다. Eh and pH were measured and monitored to ensure that Eh did not exceed 530 mV while slowly adding the synergistic solution at a rate of 2.5 l / hour. Solution samples were taken every 30 minutes for As, Fe, Cu analysis. Eh and pH were monitored every 30 minutes.

Eh가 530 mV에 도달하여 안정해졌을 때, As 침출 단계는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형성된 케이크를 고온의 염수(50 gpl NaCl, pH<1.0)으로 2회 세척한 후에 고온수로 여과액이 투명해질때까지 세척하였다. 이어서 케이크를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케이크를 S(T), S(E), As, Fe, Au 및 C에 대하여 분석하였다.When Eh reached 530 mV and stabilized, the As leaching step was considered complete. The cake formed was washed twice with hot brine (50 gpl NaCl, pH <1.0) then washed with hot water until the filtrate became clear. The cake was then dried in the oven overnight. The cake was analyzed for S (T) , S (E) , As, Fe, Au and C.

제 2 부분: 황철석 산화Second part: pyrite oxidation

7.5L 반응기에 편평한 블레이드 터어빈과 티탄 살포 튜브를 장착시켰다. 200 g/l의 NaCl, 50 g/l의 CaCl2 및 75 g/l의 CuCl2 형태의 Cu를 사용하고 8.8몰의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pH<0.5로 조정한 염수 용액 10 리터를 침출 탱크에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105℃로 가열하고, t=0에서 샘플을 채취한 다음, 제 1 부분인 As 침출 부분에서 생성된 건조 케이크를 탱크내에 넣었다. 15분 경과후에, 용액 샘플을 채취하여 Eh와 pH를 측정하였다. 기술 등급 HCl를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pH를 <0.5로 조정하였다.The 7.5 L reactors were equipped with flat blade turbines and titanium sparging tubes. 10 liters of saline solution adjusted to pH <0.5 using 200 g / l NaCl, 50 g / l CaCl 2 and 75 g / l CuCl 2 form Cu and adding 8.8 mol of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were added to the leaching tank. Prepared. The solution was heated to 105 ° C., samples were taken at t = 0 and then the dry cake produced in the first leaching As leaching portion was placed in a tank. After 15 minutes, a solution sample was taken to measure Eh and pH. Technical grade HCl was added as needed to adjust the pH to <0.5.

산소를 2 l/분의 속도로 주입하고, Eh와 pH를 30분마다 모니터하였으며, 매시간 Fe, As, Cu 분석용으로 샘플을 채취하였다. Eh가 3 시간동안 600 mV 이상으로 안정하고 용액중 Fe가 변화하지 않을때, 침출 단계는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슬러리를 여과하였다. 형성된 케이크를 고온의 염수(50 gpl NaCl, pH<1.0)으로 2회 세척한 후에 고온수로 여과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세척하였다. 이어서 케이크를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케이크를 S(T), S(E), As, Fe, Au 및 C에 대하여 분석하였다.Oxygen was injected at a rate of 2 l / min, Eh and pH were monitored every 30 minutes, and samples were taken for Fe, As, Cu analysis every hour. The leaching step was considered complete when Eh was stable above 600 mV for 3 hours and Fe did not change in solution. The slurry was filtered. The cake formed was washed twice with hot brine (50 gpl NaCl, pH <1.0) and then with hot water until the filtrate became clear. The cake was then dried in the oven overnight. The cake was analyzed for S (T) , S (E) , As, Fe, Au and C.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로부터 얻은 정광 잔류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추가로 황철석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The pyrite oxidation was further performed on the concentrate residue obtained in Example 1 as follows.

목적purpose

실시예 1로부터 얻은 데이터와 잔류물을 분석한 결과, 실험 종료시에 황철석 산화 반응은 완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염수 조성을 사용하는 본 실시예의 절차는 황철석을 산화시키기 위해 산소를 사용하는 Au 추출 방법의 효과를 증가시키고자 한 것이다.Analysis of the data and residues obtained from Example 1 showed that the pyrite oxidation was not complet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procedure of this example using an improved brine composition is inten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Au extraction method using oxygen to oxidize pyrite.

결과result

제 2 황철석 산화 단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향상된 금속 추출 결과를 나타내었다(독립적인 분석 결과).The second pyrite oxidation step showed improved metal extraction results as shown in Table 1 below (independent analysis results).

원소element 산화 반응 1Oxidation reaction 1 산화 반응 2Oxidation reaction 2 AsAs 79.6%79.6% 92.4%92.4% FeFe 72.2%72.2% 97.1%97.1% AuAu 68.7%68.7% 93.3%93.3%

절차step

7.5L 반응기에 편평한 블레이드 터어빈과 티탄 살포 튜브를 장착시켰다. 100 g/l의 NaCl, 250 g/l의 CaCl2 및 100 g/l의 CuCl2 형태의 Cu를 사용하고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pH<0.5로 조정한 염수 용액 5 리터를 침출 탱크에서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105℃로 가열하고, t=0에서 샘플을 채취한 다음, 제 1 부분인 As 침출 부분에서 생성된 건조 케이크를 탱크내에 넣었다. As 침출/황철석 산화반응 생성물을 탱크내로 도입시켰다. 15분 경과후에, 용액 샘플을 채취하여 Eh와 pH를 측정하였다. 진한 HCl를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pH를 <0.5로 조정하였다.The 7.5 L reactors were equipped with flat blade turbines and titanium sparging tubes. Five liters of saline solution, adjusted to pH <0.5, were prepared in a leaching tank using 100 g / l NaCl, 250 g / l CaCl 2 and 100 g / l CuCl 2 form Cu and adding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The solution was heated to 105 ° C., samples were taken at t = 0 and then the dry cake produced in the first leaching As leaching portion was placed in a tank. As leaching / pyrite oxidation product was introduced into the tank. After 15 minutes, a solution sample was taken to measure Eh and pH. Concentrated HCl was added as needed to adjust pH to <0.5.

산소를 2 l/분의 속도로 주입하고, Eh와 pH를 30분마다 모니터하였으며, 매시간 Fe, As, Cu 분석용으로 샘플을 채취하였다. Eh가 3 시간동안 600 mV 이상으로 안정하고 용액중 Fe가 변화하지 않을때, 산소 유입을 중단하고 Eh를 모니터하였다. Eh가 600 mV 이상에 머무를때, 침출 단계는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였다.Oxygen was injected at a rate of 2 l / min, Eh and pH were monitored every 30 minutes, and samples were taken for Fe, As, Cu analysis every hour. When Eh was stable above 600 mV for 3 hours and Fe did not change in solution, oxygen inlet was stopped and Eh was monitored. When the Eh stayed above 600 mV, the leaching step was considered complete.

슬러리를 여과하였다. 형성된 케이크를 고온의 염수(50 gpl NaCl, pH<1.0)으로 2회 세척한 후에 고온수로 여과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세척하였다. 이어서 케이크를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케이크를 S(T), S(E), As, Fe, Au 및 C에 대하여 분석하였다.The slurry was filtered. The cake formed was washed twice with hot brine (50 gpl NaCl, pH <1.0) and then with hot water until the filtrate became clear. The cake was then dried in the oven overnight. The cake was analyzed for S (T) , S (E) , As, Fe, Au and C.

결과result

실시예 1 및 2의 실험을 통해서 얻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of Examples 1 and 2 are shown in Table 3 below.

지속기간 T Eh(mV) pH Fe누적량 As누적량 Fe As (시간) (℃) (g) (g) (g/l) (g/l)     Duration T Eh (mV) pH Fe Accumulation As Accumulation Fe As (hours) (° C) (g) (g) (g / l) (g / l) ArsArs 황철석 산화반응 1Pyrite oxidation 1 PP

금 추출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Gold extraction results are shown in FIG. 3.

실시예 3Example 3

본 실험에서는, 제 2의 정광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3개의 연속 단계를 통해 금을 추출하였다: 단계 1(유비철석 및 황철석 침출), 단계 2(산소를 사용한 황철석 침출) 및 단계 3(염소를 사용한 황철석 침출).In this experiment, gold was extracted from the second concentrate in three successive stages: Step 1 (ferrous and pyrite leaching), Step 2 (pyrite leaching with oxygen) and step 3 (pyrite using chlorine). Leaching).

목적purpose

As 침출에 대한 정찰 실험 이후에, 본 실험 절차는 제 2의 정광을 CaCl2 250 g/l와 Cu 100 g/l 염수를 사용하여 "올인원" 방식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고체 하중량은 200 g/l로 설정하였다.After the reconnaissance experiment for As leaching, this experimental procedure is intended to treat the second concentrate in an "all-in-one" manner using 250 g / l CaCl 2 and 100 g / l saline Cu. Solid weight was set at 200 g / l.

결과result

염소 산화 반응은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chlorine oxidation reaction is as shown in Table 4 below.

Au 추출(누적량)Au extraction (accumulated amount) 공기+산소Air + oxygen 59%59% 염소Goat 87%87% 합계Sum 95%95%

절차step

본 실시예의 절차는 터어빈 교반기를 구비한 7.5 리터 반응기에서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조성의 염수 5 l를 제조하였다: NaCl 100 g/l, CaCl2 250 g/l 및 Cu 100 g/l,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0.5로 조정하였다.The procedure of this example was carried out in a 7.5 liter reactor with a turbine stirrer. 5 l of brine with the following composition were prepared: pH was adjusted to <0.5 by addition of 100 g / l NaCl, 250 g / l CaCl 2 and 100 g / l Cu and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제 1 부분: First part: 유비철석Ubiquitous 침출 Leaching

교반기 rpm을 90%로 하여, 염수를 90℃로 가열하였다. 용액 샘플을 차후 참조용으로 채취하였다. 1000 g 당량의 건조된 "입수한 그대로의" 정광(P80 약 37μ)을 염수에 첨가하였다. t=0에서 샘플을 채취하고 15분후에 Eh 및 pH를 기록하였다.The brine was heated to 90 ° C. with the stirrer rpm at 90%. Solution samples were taken for later reference. 1000 g equivalents of dried “as received” concentrate (P80 ca. 37 μ) were added to the brine. Eh and pH were recorded 15 minutes after the sample was taken at t = 0.

반응기에 공기를 2 l/분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Eh와 pH를 30분마다 모니터하고 용액 샘플을 As, Fe 분석용으로 채취하였다. Eh와 용액중의 Fe가 안정해졌을때, 기류를 차단시켰다. Eh가 20 mV 이상 하강할 경우에는, 공기의 도입을 2시간동안 재개하였다. Eh가 20 mV 이상 하강하지 않을 경우에는, 약 100 g의 고체 샘플을 채취하고 공기를 산소로 바꾸어서 공급하였다.Air was injected into the reactor at a rate of 2 l / min. Eh and pH were monitored every 30 minutes and solution samples were taken for As and Fe analysis. When Eh and Fe in solution became stable, the air flow was shut off. When Eh fell 20 mV or more, the introduction of air was resumed for 2 hours. If the Eh did not fall above 20 mV, about 100 g of solid sample was taken and fed with air replaced with oxygen.

제 2 부분: 황철석 산화 반응Second part: pyrite oxidation

온도를 105℃로 상승시켰다. 샘플 채취와 측정 빈도를 1 시간 간격으로 변화시켰다. 산소를 터어빈 교반기 아래로 2 l/분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용액 중의 Eh와 Fe가 안정해졌을때, 산소 공급을 중단하였다. Eh가 20 mV 이상만큼 하강한 경우, 산소 주입을 2시간동안 재개하였다. Eh가 20 mV 이상 하강하지 않을 경우, 실험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였다.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05 ° C. Sampling and measurement frequency were changed at 1 hour intervals. Oxygen was injected under the turbine stirrer at a rate of 2 l / min. When Eh and Fe in the solution became stable, the oxygen supply was stopped. If Eh fell by more than 20 mV, oxygen injection resumed for 2 hours. If Eh did not fall above 20 mV, the experiment was considered complete.

현탁액을 여과하고, 케이크를 산성 염수로 2회 세척한 후에, 투명한 여과액이 얻어질때까지 고온수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케이크를 건조시키고 평량하였다. 잔류물을 As, Fe, Cu, 원소 S, 총 S 및 Au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종 용액 샘플도 Au에 대해 분석하였다.The suspension was filtered and the cake washed twice with acidic brine and then with hot water until a clear filtrate was obtained. The washed cake was dried and weighed. The residue was analyzed for As, Fe, Cu, element S, total S and Au. Final solution samples were also analyzed for Au.

제 3 부분: 황철석 염소화 반응Third part: pyrite chlorination

Au 추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염소원으로서 차아염소산염을 사용하는 황철석 염소화 반응으로 실험을 확장하였다. 산소를 사용한 황철석 산화반응으로부터 얻은 잔류물을 위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염수 4 l에 넣었다. 온도를 100℃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차아염소산염 50 g을 30분마다 첨가하였다. Fe 농도를 모니터하였다. Fe 농도가 차아염소산 첨가후에도 변하지 않고 Eh가 안정할 경우, 실험은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였다.To improve the Au extraction effect, the experiment was extended to pyrite chlorination using hypochlorite as the chlorine source. The residue obtained from pyrite oxidation using oxygen was added to 4 l of brine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above.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00 ° C. or higher and 50 g hypochlorite was added every 30 minutes. Fe concentration was monitored. When the Fe concentration did not change even after hypochlorous acid addition and Eh was stable, the experiment was considered complete.

현탁액을 여과하고, 케이크를 산성 염수로 2회 세척한 후에, 투명한 여과액이 얻어질때까지 고온수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케이크를 건조시키고 평량하였다. 잔류물을 As, Fe, Cu, 원소 S, 총 S 및 Au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종 용액 샘플도 Au에 대해 분석하였다. The suspension was filtered and the cake washed twice with acidic brine and then with hot water until a clear filtrate was obtained. The washed cake was dried and weighed. The residue was analyzed for As, Fe, Cu, element S, total S and Au. Final solution samples were also analyzed for Au.

결과result

지속 기간 Eh pH Fe 총 Fe (시간) (mV) (g/l) (g)Duration Eh pH Fe Total Fe (hours) (mV) (g / l) (g) 공기air 산소Oxygen 차아염소산염Hypochlorite

금 추출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Gold extraction results are shown in FIG. 4.

제 2 방법2nd way

제 2 방법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제 2 방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Before describing the second metho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method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에서, 공정에 공급할 귀금속 정광(10)은 함황 광석의 채굴, 분쇄 및 부양에 의해서 얻은 것이다. 제 2 방법에서, 상기 정광은 탄소 함량이 높거나(예를 들면 2-20 중량% 탄소), 탄소 함량이 낮거나 탄소를 함유하지 않은(예를 들면 2 중량% 이하) 금 함유 유비철석일 수 있다. 정광을 볼밀(12)에서 분쇄한 후에, 비소 침출 단계(14) 형태의 오염물질 산화 반응 단계로 공급한다.In FIG. 5, the precious metal concentrate 10 to be supplied to the process is obtained by mining, grinding and flotation of sulfur-containing ores. In a second method, the concentrate can be a gold-containing arsenite, which has a high carbon content (eg 2-20% by weight carbon) or a low carbon content or carbon-free (eg 2% by weight or less). . The concentrate is ground in a ball mill 12 and then fed to the contaminant oxidation step in the form of an arsenic leaching step 14.

바람직한 비소 침출 단계를 이하에 도 6과 도 7 및 실시예 11과 12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였다. 침출은 단일 단계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용기 또는 탱크 사용) 수행할 수 있지만, 대개는 다단계(2단계) 공정으로 실시한다. 각 단계는 병류식 또는 역류식 및 상류식과 하류식으로(공지의 형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용기 또는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red arsenic leaching step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Examples 11 and 12 below. Leaching can be carried out in a single step (for example using one or more treatment units, vessels or tanks), but usually in a multistage (two step) process. Each stage may comprise one or more processing units, vessels or tanks configured co-current or counter-current and upstream and downstream (in the form of a notification).

어떤 경우에도, 침출 단계(14)에서는, 높은 산성 환경이 유지된다(유비철석으로부터 비소를 침출시키기 위해서는 용액의 pH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pH 1 이하인 것이 좋다). 산 환경은 단지 함황 토질을 산화시킴으로써 얻고/얻거나(예를 들면 용액중에서 함황 토질내의 황이 황산염으로 산화되는 경우), 비오염성 산을 첨가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황산 또는 염산).In any case, in the leaching step 14, a high acidic environment is maintained (preferably lower than pH 1 because the pH of the solution is preferably low to leach arsenic from the arsenite). The acid environment may be obtained only by oxidizing sulfur-containing soils (eg when sulfur in sulfur-containing soils are oxidized to sulfates in solution), or non-contaminating acids may be added (eg sulfuric acid or hydrochloric acid).

또한, 제 2 방법에서 침출 용액의 Eh는 0.4 볼트 이상으로 유지시켜서 (도 8 참조) 오염물질(예: 비소)을 가용화시킨다. 도 6과 도 7 및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침출 공정은 2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침출 단계에서, 용액의 Eh를 주의깊게 조절하여 비소룰 비교적 난용성인 +5 상태가 아닌 +3 산화 상태로 산화시키고 가용화시키되, 유비철석 내의 황철석을 실질적으로 산화시키지 않도록 한다.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산화제(예: 산소, 공기, 염소, 과산화수소 등)를 첨가하여 용액의 산화 전위를 상승시킴으로써, 황철석을 산화시킨다(이와 동시에 잔류하는 비소는 +5 산화 상태로 산화된다). 제 2 방법의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산(예: 황산)을 조절된 방식으로 첨가하여 비소를 가용화시키는데 충분한 정도로 용액의 pH를 저하시키는 방법으로 As(V)를 용액에 유지시키거나, 침전된 형태로 유지시켜서 황철석 잔류물과 함께 공정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method, the Eh of the leach solution is maintained at 0.4 volts or more (see FIG. 8) to solubilize contaminants (eg arsenic). As described below in connection with FIGS. 6 and 7 and the embodiment, the leaching process includes two steps. In the first leaching step, the Eh of the solution is carefully controlled to oxidize and solubilize to a +3 oxidation state rather than a relatively poorly soluble +5 state, so as not to substantially oxidize pyrite in the arsenite. In the second leaching step, pyrite is oxidized by adding an oxidizing agent (e.g., oxygen, air, chlorine, hydrogen peroxide, etc.) to raise the oxidation potential of the solution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arsenic is oxidized to a +5 oxidation state). In the second leaching step of the second method, As (V) is maintained in the solution or precipitated by adding an acid (e.g. sulfuric acid) in a controlled manner to lower the pH of the solution to a point sufficient to solubilize the arsenic. It can be kept in form and discharged from the process with pyrite residues.

여기서도, 처리 용액은 수성 염화 제 2 구리 용액으로서, 클로라이드 농도는 7-8 몰/리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리는 침출 시약으로서, 그리고 전자 전달제로서 작용한다.Here too, the treatment solution is an aqueous cupric chloride solution, preferably having a chloride concentration of 7-8 mol / liter. Copper also acts as a leaching reagent and as an electron transfer agent.

또한, 함황 토질의 탄소 함량이 높은 경우에(예를 들면 2 중량% 이상),차폐용 계면활성제를 단계(14)에서 첨가하여 용액 내로 침출된 귀금속이 탄소 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carbon content of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high (for example, 2% by weight or more), a shielding surfactant may be added in step 14 to prevent the noble metal leaching into the solution from adsorbing onto the carbon.

1 이하의 산 pH에서, 0.45 내지 1.25 볼트 범위의 조절된 Eh하에, 가장 적합하게는 약 0.5 볼트의 Eh에서, 황철석의 황화물을 용액의 특성을 간섭하는 황산염으로 산화시키는 일 없이, 비소는 산화되어 용액중으로, 바람직하게는 +3 산화 상태로 용출될 수 있다.At an acid pH of 1 or less, under controlled Eh in the range of 0.45 to 1.25 volts, most suitably at about 0.5 volts Eh, arsenic is oxidized without oxidizing the sulfides of pyrite into sulfates that interfere with the properties of the solution. In solution, it can be eluted, preferably in the +3 oxidation state.

제 1 침출 단계에서, 유비철석 정광을 예정된 기간동안(이하의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음) 소정량의 비소가 유비철석으로부터 용출될 때까지 침출시킨다(통상적으로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총량의 약 85%가 침출되고,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총량의 10%가 추가로 침출됨). 어떤 경우에도, 침출되는 양은 침출된 비소를 분리시켜서 차후에 통상의 제련 또는 배소 기법으로 처리하거나 폐기된다는 가정하에서(이하에 설명함), 침출된 유비철석 내의 허용 가능한 잔류 농도에 의해 측정된다. "정련된 유비철석" 또는 "정련된 함황 토질"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의미로 해석된다.In the first leaching step, the ubiquitous concentrate is leach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arsenic is eluted from the ubiquitous (typically about 85 of the total amount in the first leaching step). % Is leached, in the second leaching stage an additional 10% of the total amount is leached). In any case, the amount leached is determined by the allowable residual concentration in the leached arsenite, assuming that the leached arsenic is separated and subsequently treated or disposed of by conventional smelting or roasting techniques (described below). The term "refined arsenite" or "refined sulfur-containing soil" is interpreted in this sense.

따라서, 제 2 방법에서, 용액의 pH와 Eh는 비소와 다가 화학종 Cu(II)(토질로부터 비소를 산화시키고 용출시킴)가 용액에 존재하되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용액으로부터 침전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된다.Thus, in the second method, the pH and Eh of the solution are adjusted such that arsenic and polyvalent species Cu (II) (oxidize and elute arsenic from the soil) are present in the solution but do not precipitate out of the solution in the first leaching step. .

또한, 방법의 실시 조건은, 용액을 비소 침전 단계로 공급할 때까지, 고체/액체 분리 단계(정련된 유비철석 고체를 용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에서 비소가 용액에 남아있도록 조절된다. 도 5에서, 이러한 단계는 농축 단계(16)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방법에서, 농축 단계는 제 1 침출 단계 이후에 사용된다. 농축 단계(16)에서, 정련된 유비철석 고체를 응집시키고(즉, 응집제를 첨가함), 그 고체는 하류 스트림(18)로서 적출하며, 상청액에 함유된 비소 및 귀금속은 농축 단계로부터 상류 스트림(20)으로서 배출된다. 도 5에서, 하류 스트림 또는 슬러리(18)은 이어서 고체-액체 분리 단계(22)로 공급되고, 이 단계에서 통상적으로 고체는 공지의 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용액으로부터 여과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method are adjusted such that arsenic remains in the solution in the solid / liquid separation step (separating the refined arsenite solid from the solution) until the solution is fed to the arsenic precipitation step. In FIG. 5 this step is shown schematically as a concentration step 16. In the proces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concentration step is used after the first leaching step. In the concentration step 16, the refined ubiquitous solid is agglomerated (ie, added flocculant), and the solid is extracted as a downstream stream 18, and arsenic and precious metals contained in the supernatant are removed from the concentration step by an upstream stream ( 20). In FIG. 5, the downstream stream or slurry 18 is then fed to a solid-liquid separation step 22, in which the solid is typically filtered out of solution using a known filtration device.

수득한 여과액(24)을 상류 스트림(20)으로 복귀시키는 한편, 여과된 고체(즉, 정련된 유비철석)(26)은 통상의 배소 단계(28) 및 통상의 시아나이드 침출 단계(30)으로 공급하여 남아있는 귀금속을 금 생성물(32)로서 회수한다.The resulting filtrate 24 is returned to the upstream stream 20, while the filtered solid (i.e., refined arsenite) 26 is subjected to a conventional roasting step 28 and a conventional cyanide leaching step 30. To recover the precious metals remaining as gold product (32).

비소 침출 단계(14)에서 귀금속의 용출 정도에 따라, 금(및 기타 귀금속)은 합쳐진 액체 스트림(34)(스트림 20과 24의 합류)으로서 처리되어 인라인 귀금속 회수 단계(36)을 통해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단계는 활성탄으로 충전된 하나 이상의 컬럼을 포함하며, 유동층으로 배열된 활성탄에 용액을 상향 통과시킨다. 용액중에 용해된 금(또는 기타 귀금속)은 탄소상에 흡착되는 반면, 용액에 용해된 비소는 상기 켤럼을 상류 액체 스트림(38)으로서 통과한다. 이어서, 금을 함유한 활성탄을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금 생성물 스트림(40)으로서 (금 생성물 스트림(32)와 함께) 금 회수 단계(예를 들면 소성 또는 탄소 생성물의 용출 단계)로 공급한다. Depending on the degree of leaching of the precious metal in the arsenic leaching step 14, gold (and other precious metals) may be treated as a combined liquid stream 34 (combination of streams 20 and 24) and recovered through inline precious metal recovery step 36. have. The recovery step includes one or more columns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and passes the solution upward through activated carbon arranged in a fluidized bed. Gold (or other precious metals) dissolved in the solution is adsorbed onto the carbon, while arsenic dissolved in the solution passes the pair as an upstream liquid stream 38. The activated carbon containing gold is then periodically removed and fed as a gold product stream 40 (along with the gold product stream 32) to a gold recovery step (eg calcining or elution of the carbon product).

금속 회수 단계(36)으로부터, 용액(용해된 비소 포함)(38)을 비소 침전 단계(42) 형태로 된 오염물질 침전 단계로 공급한다. 단계(42)는 통상 pH 1.5-3에서 실시한다. 단계(42)에서는 산화제(예: 공기, 산소, 염소 등)를 용액내로 도입하여(예: 살포), 용액의 산화 전위(Eh)를 상승시킴으로써, 용해된 비소로 하여금 침전, 대개는 불용성 비산철 침전물(즉, FeAsO4 또는 스코로다이트)을 형성하도록 한다. 오염물질이 예를 들어 안티몬을 포함할 경우에, 그 오염물질은 불용성 형태인 안티몬산철을 형성할 것이다. 오염물질의 침전이 형성됨에 따라서, 산이 생성되므로 알칼리를 첨가하여 산을 소모함으로써 최적의 용액 pH와 Eh를 유지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알칼리는 탄산칼슘, 산화칼슘과 같은 알칼리 염이며, 알칼리를 사용하면 처리액에서 황산염을 석출시킬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도 얻을 수 있다.From the metal recovery step 36, a solution (including dissolved arsenic) 38 is fed to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in the form of an arsenic precipitation step 42. Step 42 is usually carried out at pH 1.5-3. In step 42, an oxidizing agent (e.g., air, oxygen, chlorine, etc.) is introduced into the solution (e.g. sparging) to raise the oxidation potential (Eh) of the solution, thereby causing dissolved arsenic to precipitate, usually insoluble iron arsenate. Allow to form a precipitate (ie FeAsO 4 or scorodite). If the contaminants include, for example, antimony, the contaminants will form iron antimonate in an insoluble form. As precipitation of contaminants is formed, acid is produced, so that alkalis can be added to consume the acid to maintain optimal solution pH and Eh. Typically, alkali is an alkali salt such as calcium carbonate or calcium oxide, and the use of alkali also provides another advantage of allowing the precipitation of sulfates in the treatment liquid.

제 2 방법에서, 산화제와 알칼리 첨가량을 조절하여 오염물질 침전 단계(42)에서 모든 오염물질이 침전될때까지 최적의 pH와 Eh 수준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용액의 pH와 Eh 수준을 필요에 따라 침출 단계(14)에서의 해당 수준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오염 물질 침전 단계 이후에, 용액을 침출 단계로 재순환시킬 수도 있다.In the second method, the amount of oxidant and alkali is adjusted to maintain optimal pH and Eh levels until all contaminants have precipitated in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42. The solution may then be recycled to the leaching step after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by returning the pH and Eh levels of the solution to the corresponding level in leaching step 14 as needed.

또한, 제 2 방법의 침전 단계에서, 산화제는 제1 구리 형태의 구리를 제2 구리 형태의 구리로 산화킴으로써, 상기 화학종을 재생시켜 재순환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용액의 Eh와 pH를 조절함으로써 다가 화학종의 재산화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다가 화학종을 용액에 항상 남아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 전체로 보아 구리가 +1 산화 상태와 +2 산화 상태로 번갈아 존재하여 전자 전달제 및 침출시 침전물로서 작용하도록 한다는 것이 유리한 특징이다. 다가 화학종의 재생은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고, 공정을 간소화시키며, 질량 평형도 완벽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cipitation step of the second method, the oxidant oxidizes the copper in the first copper form to the copper in the second copper form, thereby regenerating the chemical species to enable recycling and reuse. Thus, by regulating the Eh and pH of the solution, it promotes the reoxidation of the polyvalent species and at the same time ensures that the polyvalent species always remain in the solution, alternating copper to +1 and +2 oxidation states throughout the process. It is an advantageous feature to act as an electron transfer agent and a precipitate upon leaching. Regeneration of multivalent species is economically beneficial, simplifies the process and perfects mass balance.

비소를 침전시킨 후에, 비소 침전물을 고체/액체 분리 단계에서 처리액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5에서, 이 침전물은 고체(비소 침전) 하류 생성물(46)을 생성하는 추가의 농축 단계(44)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어서 고체-액체 분리 단계(48)에 공급된다. 상청액 상류 스트림(50)이 농축 단계(44)로부터 배출된다. 고체-액체 분리 단계(48)에서, 통상적으로 비소 침전물을 여과 장치를 사용해서 여과 제거함으로써 비소 폐기물(52)를 생성한다. 여과액은 상류 스트림(50)에 액상의 흐름(54)로서 복귀된다. 이어서, 합쳐진 액체 스트림(56)을 추가의 귀금속 회수 단계(58), 예를 들면 활성탄 컬럼 등에 공급하여 단계(36)에서 회수되지 않은 금속을 회수한다. 대안으로서, 단계(58)을 단계(36)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수득한 귀금속과 활성탄 스트림(60)을 다른 귀금속 회수 스트림(40, 32)와 합치는 한편, 용액 상류 스트림(62)는 비소 침출 단계(14)로 재순환시키면 폐쇄된 형태의 회수 처리 루프가 이루어진다.After arsenic precipitates, the arsenic precipitate is separated from the treatment liquid in a solid / liquid separation step. In FIG. 5, this precipitate is shown as an additional concentration step 44 to produce a solid (arsenic precipitation) downstream product 46, which is then fed to a solid-liquid separation step 48. Supernatant upstream stream 50 is withdrawn from concentration step 44.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48, arsenic waste 52 is typically produced by filtration off arsenic precipitate using a filtration device. The filtrate is returned as a stream 54 of liquid phase to the upstream stream 50. The combined liquid stream 56 is then fed to a further noble metal recovery step 58, such as an activated carbon column, to recover the metals not recovered in step 36. Alternatively, step 58 may be used instead of step 36. The obtained precious metal and activated carbon stream 60 is combined with the other precious metal recovery streams 40, 32 while the solution upstream stream 62 is recycled to the arsenic leaching stage 14 to form a closed recovery treatment loop.

공정 전반에 걸쳐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처리하기 위해, 일부분의 재순환스트림(62)을 추출물 회로(64)로 재순환시켜서 비소 침전 단계에서 회수되지 않은 오염물질과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오염물질, 예를 들면 Mn, Cd, Ni, Co 등을 분리시킬 수 있다.In order to deal with the accumulation of contaminants throughout the process, a portion of the recycle stream 62 is recycled to the extraction circuit 64 so that contaminants not recovered in the arsenic precipitation step and, in some cases, other contaminants, for example For example, Mn, Cd, Ni, Co and the like can be separated.

이상에서 제 2 방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바람직한 제 2 방법의 실시양태를 도 6 및 7과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하고자 한다. The foregoing has outlined the second method, and an embodiment of the preferred second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단일 내화성 함황 토질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의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도 5의 처리 단계와 유사한 단계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도 5의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금을 함유하고 탄소 함량이 낮거나 높은 유비철석 정광(즉, 단일 내화성 토질)을 준비하여 분쇄한다(10,12). 이어서, 분쇄된 정광을 바람직한 침출 공정에 공급한다. 바람직한 침출 공정은 2개의 단계, 즉, 제1 유비철석(FeAsS) 침출 단계(70) 및 제 2 황철석(FeS2) 침출 단계(72)로 이루어진다.6 shows a process diagram of a method for treating a single refractory sulfur-containing soil. In FIG. 6, steps similar to those of FIG. 5 are indicated us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a manner similar to the method of FIG. 5, ubiquitous concentrates containing gold and low or high carbon content (ie, single refractory soils) are prepared and ground (10, 12). The ground concentrate is then fed to a preferred leaching process. The preferred leaching process consists of two stages: the first arsenic (FeAsS) leaching step 70 and the second pyrite (FeS 2 ) leaching step 72.

유비철석 정광을 제 1 침출 단계(70)에 공급하는데, 여기서 침출 조건은 정광내의 비소만을 산화시켜서 용액내로 침출시키고 정광의 황철석 성분은 산화시키지 않도록 조절된다. 여기서, 제 1 침출 단계(70)의 침출 조건은 산화 전위 Eh가 약 0.5 볼트이고, 용액의 pH가 1 이하이며, 용액의 온도가 약 105℃로 유지되도록(단, 제 1 침출 단계(70)은 80℃ 내지 105℃ 범위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음) 조절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조건이 비소를 용액내로 침출시키는데 최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하의 실시예 1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약 6 시간 동안 침출을 실시한 후에, 유비철석 정광의 총 비소 성분 중 약 85%가 용액 내로 침출되었다.Ubirite concentrate is fed to the first leaching step 70, where the leaching conditions are adjusted to oxidize only arsenic in the concentrate to leach into solution and not to oxidize the pyrite component of the concentrate. Here, the leaching conditions of the first leaching step 70 are such that the oxidation potential Eh is about 0.5 volts, the pH of the solution is 1 or less,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s maintained at about 105 ° C., provided that the first leaching step 70 is performed.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from 80 ° C. to 105 ° C.). We have found that these conditions are optimal for leaching arsenic into solution. As explained in Example 11 below, after leaching for about 6 hours, about 85% of the total arsenic component of the arsenite concentrate was leached into the solution.

소정량의 비소가 용액 내로 침출되었을 때, 용액과 비소가 제거된 유비철석을 도 5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농축 단계(16)로 공급한다. 정련된 유비철석 고체는 응집시켜서 하류 스트림(18)으로서 적출하는 한편, 비소가 함침된 상청액은 농축기로부터 상류 스트림(20)으로 배출시켜서 비소 침전 단계(42)에 공급한다.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arsenic has leached into the solution, the solution and arsenic-free arsenic iron are fed to the concentration step 16 in a manner similar to the method shown in FIG. The refined arsenite solid is agglomerated and extracted as downstream stream 18, while the arsenic-impregnated supernatant is discharged from the concentrator to the upstream stream 20 and fed to the arsenic precipitation stage 42.

이제 제 2 방법에서는, 정련된 유비철석 고체 스트림(18)을 황철석을 침출하기 위한 제 2 침출 단계(72)에 공급한다. 제 2 침출 단계에서 산화 조건은 제 1 침출 단계의 조건보다 더 심하다. 여기서, 산소와 같은 산화제를 용액에 살포하여, 산화 전위 Eh를 0.6 볼트 이상, 대개는 0.8 볼트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제 2 침출 단계에서 용액의 온도는 약 105℃로 유지시킨다. 제 2 침출 단계에서 용액의 pH는 여전히 pH 1 이하로 유지된다.In a second method, the refined ubiquitous solid stream 18 is then fed to a second leaching step 72 for leaching pyrite. The oxidation conditions in the second leaching stage are more severe than the conditions of the first leaching stage. Here, an oxidant such as oxygen is sparged in the solution to increase the oxidation potential Eh to 0.6 volts or more, usually 0.8 volts or mor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n the second leaching step is maintained at about 105 ℃. In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pH of the solution is still maintained at pH 1 or below.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산이 소모되기 때문에(즉, Cu(II)와 Fe(III)이 각각 Cu(I)과 Fe(II)로 환원됨),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황산, 염산 또는 공정에 화학적인 간섭을 하지 않는 산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보충용 산의 필요 여부는 황철석의 용출에 의해 충분한 황산이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좌우된다. 제 2 침출 단계에서 pH를 낮게 유지시키면, 필요에 따라 As(V)를 가용화시키는데도 도움이 된다.Since acid is consumed in the second leaching stage (ie Cu (II) and Fe (III) are reduced to Cu (I) and Fe (II), respectively), chemically sensitive to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or the process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It may be necessary to supply acids that do not interfere. However, the need for supplemental acid depends on whether sufficient sulfuric acid is produced by elution of pyrite. Keeping the pH low in the second leaching step also helps to solubilize As (V) as needed.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함황 토질을 황산염으로 산화시키고, 철을 Fe(III)로서 용액 중으로 용출시키며, 유비철석에 남아있는 비소의 일부분도 용액 내로 용출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총 비소 성분의 10%가 용액 내로 침출됨으로써, 침출 공정 이후에 최종적으로 잔류하는 비소는 정광 원료의 총량 대비 5% 이하가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된 잔류물을 안전하게 폐기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비소 농도에 부합된다.In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sulfur-containing soil is oxidized with sulfate, iron is eluted into the solution as Fe (III), and a portion of the arsenic remaining in the arsenite is eluted into the solution.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10% of the total arsenic component is leached into the solution so that the arsenic finally remaining after the leaching process is less than 5% of the total amount of the concentrate raw material. This corresponds to arsenic concentrations low enough to safely dispose of residues from the process.

제 2 침출 단계에서 얻은 침출된 생성물은 스트림(74)로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고체-액체 분리 단계(22)에 공급되어, 잔류하는 고체를 용액으로부터 여과하고 여과액 스트림(24)을 상류 스트림(22)로 복귀시켜 그 스트림과 합쳐서 비소 침전 단계(42)에 공급한다. 이어서, 단계(22)에서 여과된 고체 잔류물을 스트림(76)으로서, 여과된 고체 또는 슬러리 형태인 찌꺼기로 처리한다. 대안으로서, 잔류 금속 회수를 위해 고체를 더 처리할 수도 있다. 물을 단계(22)에 첨가하여 공정중 수분 함량을 유지시키고/시키거나 공정 잔류물과 함께 손실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다.The leached product obtained in the second leaching stage is fed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age 22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5 as stream 74, so that the remaining solids are filtered out of solution and the filtrate stream 24 is upstream. Return to stream 22 and combine with it to feed arsenic precipitation step 42. The solid residue filtered in step 22 is then treated as stream 76 with debris in the form of a filtered solid or slurry. As an alternative, the solids may be further treated for residual metal recovery. Water may be added to step 22 to maintai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process and / or to supplement the water lost with the process residue.

단일 내화성 유비철석 및 황철석의 금 또는 다른 귀금속은 현저한 정도로 탄소와 결합하지는 않으므로, 제 1 침출 단계 및 제 2 침출 단계에서 모두 용액 내로 용출되고, 이에 따라 공정 회로에서 회수될 수 있다.Since gold or other precious metals of single refractory arsenite and pyrite do not bind carbon to a significant extent, both in the first leaching step and in the second leaching step can be eluted into solution and thus recovered in the process circuit.

도 6에 도시한 방법에서, 비소 침전 단계(42)에서는, 용액의 pH를 약 2 내지 3으로 조정하고(예를 들면 탄산 칼슘을 첨가해서 조정함), 공기 또는 산소와 같은 산화제를 용액에 첨가해서 비소를 가용성 +3 형태로부터 불용성 +5 형태로 산화시킨다. 철(III)은 제 2 침출 단계에서 황철석의 산화반응을 통해 용액에 존재하기 때문에, 비소가 스코로다이트(FeAsO4)로서 석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황화물이 제 2 침출 단계에서 황산염으로 산화되기 때문에,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비소 침전 단계의 용액 pH를 상승시키고, 황산염을 황산칼슘으로서 석출시킬 수 있다.In the method shown in FIG. 6, in the arsenic precipitation step 42, the pH of the solution is adjusted to about 2 to 3 (eg by adding calcium carbonate), and an oxidant such as air or oxygen is added to the solution. The arsenic is then oxidized from the soluble +3 form to the insoluble +5 form. Since iron (III) is present in the solution through oxidation of pyrite in the second leaching step, arsenic is precipitated as scorodite (FeAsO 4 ). As another advantage, since the sulfide is oxidized to sulfate in the second leaching step, calcium carbonate can be added to raise the solution pH of the arsenic precipitation step, and the sulfate can be precipitated as calcium sulfate.

이어서, 비소/고체 침전물을 처리 용액과 함께 스트림(78)로서 고체-액체 분리 단계(48)에 공급하여, 역서 고체를 용액으로부터 여과한다. 고체 잔류물 스트림(80)은 통상적으로 FeAsO4, Fe2O3 및 CaSO4를 폐기 처분하는데(예를 들면, 매립) 적합한 형태로 포함한다. 고체는 슬러리로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충수를 단계(48)에 첨가할 수 있다. 따라서, 비소, 철 및 황은 유리하게도 원래의 유비철석 정광으로부터 폐기 처분이 용이한 형태로 회수된다.Arsenic / solid precipitate is then fed along with the treatment solution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age 48 as stream 78, whereby the reverse solids are filtered out of solution. Solid residue stream 80 typically comprises FeAsO 4 , Fe 2 O 3, and CaSO 4 in a form suitable for disposal (eg, landfill). Since the solid can be removed as a slurry, make-up water can be added to step 48. Thus, arsenic, iron and sulfur are advantageously recovered from the original ubiquitous concentrate in a form that is easy to dispose of.

비소 침전 단계의 조건은 침출 단계에서 용액내로 침출된 귀금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분리된 용액(56)은 이제 도 5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귀금속 회수 단계(58)에 공급할 수 있다. 단계(58)은 활성탄을 수용한 하나 이상의 컬럼을 포함하며, 그 활성탄상에 귀금속, 특히 금이 흡착된다. 또한, 주기적으로 금 생성물 스트림(60)을 단계(58)로부터 제거하여 금을 회수한다(소성 또는 금을 흡착한 탄소를 용출시킴으로써 회수함).Since the conditions of the arsenic precipitation step do not affect the precious metal leached into the solution in the leaching step, the separated solution 56 can now be supplied to the precious metal recovery step 58 in a manner similar to the method shown in FIG. 5. Step 58 includes one or more columns containing activated carbon, on which the precious metal, in particular gold, is adsorbed. In addition, the gold product stream 60 is periodically removed from step 58 to recover the gold (collected by eluting the calcined or adsorbed carbon).

도 5에 도시된 방법과 같이, 단계(58)에서 유래한 용액 상류(62)는 침출 공정으로 재순환시키며, 재생된 스트림의 일부분은 추출물 회로(64)로 배출시켜서 공정상 축적될 수 있는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함으로써, 오염물질 부산물 스트림(82)을 생성한다.As in the method shown in FIG. 5, the solution upstream 62 from step 58 is recycled to the leaching process and a portion of the regenerated stream is discharged to the extracting circuit 64 to contaminants that may accumulate in the process. By separating off, contaminant byproduct stream 82 is produced.

제 2의 방법에서, 용액의 재순환류(62)를 분할하여 제 1 침출 단계 재순환 성분(84)와 제 2 침출 단계 재순환 성분(86)을 생성한다. 염화구리 처리액의 경우에, +2 산화 상태의 구리는 각각의 침출 단계로 재순환시켜서 제 1 침출 단계에서 유비철석의 침출과 제 2 침출 단계에서 황철석의 침출에 참여한다.In a second method, the recycle stream 62 of the solution is split to produce a first leach stage recycle component 84 and a second leach stage recycle component 86. In the case of the copper chloride treatment liquid, copper in the +2 oxidation state is recycled to each leaching step to participate in leaching of arsenite in the first leaching step and leaching of pyrite in the second leaching step.

도 7을 참조하면, 이중 내화성 함황 토질을 생산하기 위한 제 2 방법의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법의 단계와 유사한 처리 단계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해서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공정도의 상반부(즉, 점선위)는 도 6의 공정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7, a process diagram of a second method for producing double refractory sulfur-containing soils is shown. In Fig. 7, processing steps similar to those of the method shown in Figs. 5 and 6 are shown us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since the upper half (i.e., dotted line) of the process diagram shown in FIG. 7 is the same as the process step of FIG. 6, this part is not described again.

이중 내화성 유비철석에서, 귀금속(예: 금)은 통상 탄소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금은 제 1 및 제 2 침출 단계에서 쉽게 용액 내로 침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체 스트림(76)은 고체 잔류물과 결합된 탄소/금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용출 방법에 의해 실질적으로 비소, 철, 황 및 기타 오염 물질을 허용가능한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켰기 때문에, 침출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잔류물을 배소 단계(28)에서 배소 또는 제련하는데 매우 적합하다.In double refractory arsenite,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re usually associated with carbon, so gold does not readily leach into solution in the first and second leaching steps. Thus, solid stream 76 comprises a carbon / gold component combined with a solid residue. However, because the elution method has substantially reduced arsenic, iron, sulfur and other contaminants to acceptable low levels, it is well suited for roasting or smelting solid residues from the leaching process in the roasting step 28.

배소 단계(28)에서,연료 및 공기를 고체 잔류물(76)과 함께 통상의 방식으로 배소 처리하여, 생성물 스트림(90)을 생성한 후에, 그 생성물 스트림을 공지의 방식으로 금 침출 단계(30)에 공급한다. 금의 침출은 통상적으로 배소된 고체를 염소 가스 또는 시아나이드(염소 가스가 시아나이드보다 낮은 독성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함)로 산화시킴으로써 실시한다. 제 2 방법에서 비소 침전 단계(42)로부터 유래한 일부분의 용액(92)을 회수하여, 금 침출 단계(30)에서 모든 공정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In the roasting step 28, the fuel and air are roasted in a conventional manner with the solid residue 76 to produce a product stream 90, which is then subjected to a gold leaching step 30 in a known manner. Supplies). Leaching of gold is usually done by oxidizing the calcined solid to chlorine gas or cyanide (preferably because chlorine gas has a lower toxicity than cyanide). In the second method, a portion of the solution 92 from the arsenic precipitation step 42 can be recovered, creating an economic effect for all processes in the gold leaching step 30.

배소 단계(28)의 배기 스트림(94)(통상 이산화탄소, 이산화황및 기타 Sox 가스 포함)를 1차 가스 세정 단계(96)에 공급한다. 상기 1차 가스 세정 단계는 통상 하나 이상의 스크러버(scrubber)를 포함하며, 여기서 물과 경우에 따라서는 재순환 세정수를 가스 스트림(94)와 접촉시킨다. 가스 스트림(98)내의 분진은 여과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진은 염화금(AuCl3) 및 산화비소(AS2O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진은 다른 미립자와 함께 스트림(98)로서 고체 또는 용액 형태로 재차 비소 침전 단계(42)로 공급하여, 추가량의 비소와 금을 회수할 수 있다.The exhaust stream 94 of the roasting stage 28 (usually including carbon dioxide, sulfur dioxide and other So x gases) is fed to the primary gas scrubbing stage 96. The primary gas scrubbing step typically comprises one or more scrubbers, where water and optionally recycle scrubbing wat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as stream 94. It may be advantageous to filter the dust in the gas stream 98. Such dust may include gold chloride (AuCl 3 ) and arsenic oxide (AS 2 O 3 ). These dusts, along with other particulates, can be fed back to the arsenic precipitation step 42 in solid or solution form as stream 98 to recover additional amounts of arsenic and gold.

1차 가스 세정 단계(96)에서 배출되는 잔류 가스는 스트림(100)으로서 2차 가스 세정 단계(102)에 공급하는데, 세정 단계(102)는 통상 용액 중의 탄산칼슘을 SOx 함유 가스와 접촉시키는 가스 스크러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2차 가스 세정 단계(102)로부터 얻은 생성물 스림은 통상 황산칼슘 및 아황산칼슘을 포함한다.Residual gas discharged from the primary gas scrubbing stage 96 is fed to the secondary gas scrubbing stage 102 as a stream 100, which typically contacts the calcium carbonate in solution with the SO x containing gas. Gas scrubber. Thus, the product stream obtained from the secondary gas scrubbing step 102 typically includes calcium sulfate and calcium sulfite.

금 침출 단계(30)에서 얻은 용해된 금을 함유한 침출 생성물(106)은 이제 고체-액체 분리 단계(108)로 공급하여 고체 잔류물로부터 금을 함유하는 금 함유 용액을 분리시킨다. 고체 잔류물 스트림(110)은 찌꺼기로서 폐기 처분하는 반면, 금을 함유한 상청액은 금 회수 단계(104), 통상 활성탄을 함유하는 컬럼에 공급한다. 탄소와 흡착된 금은 주기적으로 스트림(116)으로서 제거하여 금을 회수한다. 반면, 금이 거의 없는 용액(118)은 침출/비소 제거 단계로 재순환시켜서 스트림(34)와 합친다.The leached product 106 containing the dissolved gold obtained in the gold leaching step 30 is now fed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108 to separate the gold containing solution from the solid residue. The solid residue stream 110 is disposed of as waste, while the supernatant containing gold is fed to a gold recovery step 104, typically a column containing activated carbon. Carbon and adsorbed gold are periodically removed as stream 116 to recover gold. On the other hand, the solution 118 which is almost free of gold is recycled to the leaching / arsenic removal step and combined with the stream 34.

제 2 방법 실시예Second Method Example

이하, 제 2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방법에 대한 최적의 유동 경로를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카자흐스탄 소재의 바키르치크(Bakyrchik)로부터 입수한 고내화성 유비철석 정광을 처리하였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바키르치크 광산으로부터 제공된 유비철석의 모든 샘플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Hereinafter, an optimal flow path for the second method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second method. In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the high refractory arsenite concentrates obtained from Bakyrchik, Kazakhstan were treated. The purpose of this example is to develop a process that enables the processing of all samples of ubiquitous iron provided from the Bakhkirch mine.

실시예 4: 농축물 특성 규명Example 4: Concentrate Characterization

방법:Way:

정광 6 kg을 초미세 분쇄법으로 처리하였다. 농축물의 입자 크기는 P100 값으로서 20 미크론이었다.6 kg of concentrate was treated by ultrafine grinding. Particle size of the concentrate is P 100 20 microns as the value.

생성물product 레이저 미크론Laser micron 통과하는 중량% Weight percent passed 2020 100100 1818 9999 1515 9696 1212 8989 1010 8181 88 6969 66 5050 55 4242 33 1515

P100이 20 미크론인 정광을 세개의 케이크 형태로 입수하였으며, 각 케이크의 함수율을 측정하였고, 그 평균치를 정광에 대한 함수율로서 사용하였다.Concentrates with a P 100 of 20 microns were obtained in the form of three cakes, and the moisture content of each cake was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as the moisture content for the concentrate.

케이크 1Cake 1

습윤 상태 샘플+종이: 113.84 gWet state sample + paper: 113.84 g

건조 샘플+종이: 85.68 gDry sample + paper: 85.68 g

종이: 4.83 gPaper: 4.83 g

건조 샘플:80.85 gDry sample: 80.85 g

함수율(%): 25.8%% Moisture content: 25.8%

케이크 2Cake 2

습윤 상태 샘플+종이: 88.35 gWet state sample + paper: 88.35 g

건조 샘플+종이: 66.65 gDry sample + paper: 66.65 g

종이: 4.83 gPaper: 4.83 g

건조 샘플:62.02 gDry sample: 62.02 g

함수율(%): 25.9%Moisture Content (%): 25.9%

케이크 3Cake 3

습윤 상태 샘플+종이: 86.41 gWet Sample + Paper: 86.41 g

건조 샘플+종이: 68.79 gDry sample + paper: 68.79 g

종이: 4.85 gPaper: 4.85 g

건조 샘플:63.94 gDry sample: 63.94 g

함수율(%): 21.6%% Moisture content: 21.6%

평균 함수율은 24.4%로 측정되었다. 이로부터, 건조 정광 100 g은 계산에 따라 습윤된 정광 샘플 132.3g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The average water content was measured at 24.4%.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100 g of the dry concentrate corresponds to 132.3 g of the wet concentrate sampl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실시예 5Example 5

산화반응에 의한 침출Leaching by Oxidation Reaction

P100=20 미크론인 재분쇄된 샘플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여 산화 반응을 통해 비소가 침출된 초기 증거를 제공하였다. 바키르치크 광석 정광은 유비철석의 형태로 비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응은 이 비소가 산화제로서 제2 구리 형태의 구리를 사용할 경우에 가용성으로 전환될 수 있는지 여부(따라서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Tests were performed on regrind samples with P 100 = 20 microns to provide initial evidence that arsenic leached through the oxidation reaction. Bakirch ore concentrates are known to contain arsenic in the form of arsenite. The reaction is designed to see if this arsenic can be converted to soluble (and thus selectively removable) when using copper in the form of a second copper as oxidant.

방법Way

80 g/L Cu2+ (CuCl2로서 205.13 g), 100 g/L CaCl2, 200 g/L NaCl 및 30 g/L NaBr을 함유하는 용액 1L를 제조하였다. 습윤된 정광 140 g(함수율 약 24%, 즉, 건조 정광 105.8 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형성된 슬러리를 105℃에서 교반하였다. pH, Eh 및 Fe와 Cu 함량을 4시간에 걸쳐 측정하였다.1 L of a solution containing 80 g / L Cu 2+ (205.13 g as CuCl 2 ), 100 g / L CaCl 2 , 200 g / L NaCl and 30 g / L NaBr was prepared. 140 g of wet concentrate (about 24% water content, ie 105.8 g of dry concentrate) were added to the solution and the resulting slurry was stirred at 105 ° C. pH, Eh and Fe and Cu contents were measured over 4 hours.

이어서, 고체를 뷰흐너(Buchner) 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분석용으로 보존해두었다. 고체 케이크를 저 pH의 염수(약 0.5 L, 280 g/L, pH 0.3)로 세척하고, 얻은 습윤 케이크를 평량하고,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재차 평량하였다. 건조된 고체를 차후 분석용으로 보존해두었다.The solid was then filtered using a Buchner apparatus and the filtrate was preserved for analysis. The solid cake was washed with low pH brine (about 0.5 L, 280 g / L, pH 0.3) and the resulting wet cake was weighed, dried in an oven and weighed again. The dried solid was saved for later analysis.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경시적으로 기록된 pH, Eh 및 Fe와 Cu 함량을 하기 표 5에 요약해서 기재하였다.The pH, Eh and Fe and Cu contents recorded over time are summarized in Table 5 below.

시간(분)Minutes pHpH Eh(mV)Eh (mV) Fe(g/L)Fe (g / L) Cu총량(g/L)Cu total amount (g / L) 00 3030 1.451.45 740740 2.42.4 70.670.6 6060 0.50.5 508508 2.52.5 6868 9090 0.50.5 507507 2.52.5 6363 150150 0.50.5 495495 2.652.65 6464 210210 0.350.35 502502 2.652.65 6161 270270 0.350.35 495495 2.682.68 6464 330330 0.350.35 485485 2.662.66 6565

잔류물 분석 결과 As 농도는 0.66%인 것으로 밝혀졌다. 계산된 질량 손실 6.5%를 감안하여, As의 침출 효율은 82.3%이었다.Residue analysis showed that the As concentration was 0.66%. In view of the calculated mass loss of 6.5%, the leaching efficiency of As was 82.3%.

반응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였다. 반응 진행 초기 1시간내에 Eh와 pH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간 이후에, 반응은 안정화되었고 더이상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reaction seemed to go fast. Eh and pH were markedly lowered within the first hour of the reaction progression. After this time, the reaction was stabilized and showed no progress.

실시예 6Example 6

산화 반응에 의한 침출Leaching by Oxidation Reaction

본 실시예의 목적은 새로운 처리액이 사전에 침출 처리한 토질로부터 철/비소를 더 침출시키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사전 침출 단계로부터 얻은 고체를 처리하면 유비철석이 더 제거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1차 처리액의 새로운 용액을 제조하여 사전에 실시한 침출 단계를 고체 공급 원료로서 침출 단계를 거친 토질을 사용하여 반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example is to find out whether the new treatment liquid further leaches iron / arsenic from the previously leached soil. It is speculated that the treatment of the solids obtained from the pre-leaching step further removes arsenite. A preliminary leaching step was prepared by preparing a fresh solution of the primary treatment liquor and using the soil subjected to the leaching step as a solid feedstock.

방법Way

80 g/L Cu2+ (CuCl2로서 102.55 g), 100 g/L CaCl2, 200 g/L NaCl 및 30 g/L NaBr을 함유하는 용액 1L를 제조하였다. 사전 산화 단계로부터 얻은 침출 처리한 정광 30 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형성된 슬러리를 105℃에서 교반하였다. pH와 Eh를 4시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어서, 고체를 뷰흐너 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분석용으로 보존해두었다. 고체 케이크를 저 pH의 염수(약 0.5 L, 280 g/L, pH 0.3)로 세척하고, 얻은 습윤 케이크를 평량하고,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재차 평량하였다. 건조된 고체를 차후 분석용으로 보존해두었다.1 L of a solution containing 80 g / L Cu 2+ (102.55 g as CuCl 2 ), 100 g / L CaCl 2 , 200 g / L NaCl and 30 g / L NaBr was prepared. 30 g of the leached treated concentrate obtained from the pre-oxidation step was added to the solution and the resulting slurry was stirred at 105 ° C. pH and Eh were measured over 4 hours. The solid was then filtered using a Buchner apparatus and the filtrate was saved for analysis. The solid cake was washed with low pH brine (about 0.5 L, 280 g / L, pH 0.3) and the resulting wet cake was weighed, dried in an oven and weighed again. The dried solid was saved for later analysis.

사전 반응 단계로부터 얻은 고체 및 위와 같이 하여 얻은 고체로부터 샘플을 취하고, 원래의 정광을 Aqua-regia/퍼콜린산을 사용하여 침지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ICP를 이용하여 비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olids obtained from the pre-reaction step and the solids obtained as above and the original concentrate was immersed using Aqua-regia / percholic acid. The solution was then analyzed for arsenic using ICP.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경시적으로 기록된 pH와 Eh를 하기 표 8에 요약해서 기재하였다.The pH and Eh recorded over time are summarized in Table 8 below.

시간(분)Minutes pHpH Eh(mV)Eh (mV) 00 1.321.32 741741 00 1.21.2 615615 3030 0.550.55 588588 6060 0.310.31 583583 9090 0.290.29 580580 120120 -- 579579 150150 0.310.31 569569 180180 0.30.3 574574 210210 0.290.29 574574 240240 0.320.32 572572

습윤 케이크+종이+여과지: 72.5 gWet Cake + Paper + Filter: 72.5 g

건조 케이크+종이+여과지: 40.24 gDry Cake + Paper + Filter: 40.24 g

종이+여과지: 11.5 gPaper + filter paper: 11.5 g

수득한 건조 케이크:28.74 gObtained dry cake: 28.74 g

회수된 고체에 있어서 비소에 대한 ICP 분석 결과는 하기 표 9에 요약하였다.The ICP analysis of arsenic in the recovered solids is summarized in Table 9 below.

AsAs 함량content 추출extraction (중량%)(weight%) (정광중 As%)(As% in concentrate) 바키르치크산 정광Bachkirch Concentrate 3.493.49 00 침출 단계 1Leaching stage 1 0.660.66 82.382.3 침출 단계 2Leaching stage 2 0.420.42 88.988.9

사전 침출 단계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반응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1시간 경과후에 안정화되었다. 마찬가지로, 용액으로 공급되는 고체의 질량과 비교하였을때 회수된 고체의 질량의 감소와 더불어 Eh와 pH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제 1 침출 단계로부터 얻은 잔류물에 여전히 추출 가능한 토질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공급 원료와 2단계의 침출 단계로부터 얻은 고체 잔류물의 비소 함량 분석 결과, 회수된 고체의 비소 함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이 바키르치크산 정광 내부에 함유된 비소를 선택적으로 침출시키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As observed in the preleaching step, the reaction appeared to proceed rapidly, and stabilized after 1 hour. Likewise, the Eh and pH decreased markedly with the decrease in mass of recovered solids as compared to the mass of solids fed into the solu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still extractable soil in the residue obtained from the first leaching step. Analysis of the arsenic content of the feedstock and the solid residue obtained from the two leaching stages revealed that the arsenic content of the recovered solids gradually decrease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nfigured to selectively leach arsenic contained in bakirchixane concentrate.

실시예 7Example 7

산화 반응에 의한 침출Leaching by Oxidation Reaction

본 실시예의 목적은 바키르치크산 광석으로부터 비소를 침출시키는데 사용된 조건을 재구성하고자 하는데 있다. 바키르치크산 광석에 함유된 비소의 약 65%를 용출시키는데 성공하였지만, 본 발명의 방법을 보다 높은 침출 성능을 얻도록 재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의 촛점을 2가지 영역에 두었다. 즉, 첫째는 침출액을 간단히 구성하는 것이고, 둘째는 반응을 다양한 온도와 출발 pH에서 수행하여 온도와 pH의 변화가 침출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example is to reconstruct the conditions used to leach arsenic from bakirchixane ore. Although successful in eluting about 65% of the arsenic contained in the bakirchixane ore,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reconstituted to obtain higher leaching performance. The focus of the method of the invention is in two areas. That is, the first is to simply configure the leaching solution, and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changes on the leaching effect by performing the reaction at various temperatures and starting pH.

방법Way

80 g/L Cu2+ (CuCl2로서 1025.64 g), 150 g/L CaCl2(750 g) 및 150 g/L NaCl (750 g)을 함유하는 용액 5L를 제조하여 80℃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을 1.5L씩 3등분하고, 각 용액을 사용하여 142.86g 당량의 습윤 정광(함수율 약 24%, 즉, 건조 정광으로 환산하여 108 g)에 대해 상이한 조건하에서 산화 반응에 의한 침출을 실시하였다.5 L of a solution containing 80 g / L Cu 2+ (1025.64 g as CuCl 2 ), 150 g / L CaCl 2 (750 g) and 150 g / L NaCl (750 g) was prepared and heated at 80 ° C. Subsequently, the solution was divided into 1.5 L portions, and each solution was used for leaching by oxidation under 142.86 g equivalents of wet concentrate (about 24% water content, ie 108 g in terms of dry concentrate) under different conditions. It was.

산화 반응 침출 처리 용액 1: 80℃에서 침출 단계 실시 Oxidation leaching treatment solution 1: A leaching step was performed at 80 ° C

산화 반응 침출 처리 용액 2: 100℃에서 침출 단계 실시 Oxidation leaching treatment solution 2: A leaching step was performed at 100 ° C

산화 반응 침출 처리 용액 3: 80℃에서 침출 단계 실시, 초기 pH<0.4, Eh>550 mVOxidation Leach Treatment Solution 3: Leaching step at 80 ° C., initial pH <0.4, Eh> 550 mV

상기 용액들의 pH와 Eh를 2시간 반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험으로부터 얻은 샘플을 시간 간격을 두고 채취하여 철 및 구리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The pH and Eh of the solutions were measured over two and a half hours. Samples from each test were taken at timed intervals and analyzed for iron and copper content.

이어서, 고체를 뷰흐너 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분석용으로 보존해두었다. 고체 케이크를 저 pH의 염수(약 0.5 L, 280 g/L, pH 0.3)로 세척하고, 얻은 습윤 케이크를 평량하고,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재차 평량하였다. 건조된 고체를 차후 분석용으로 보존해두었다.The solid was then filtered using a Buchner apparatus and the filtrate was saved for analysis. The solid cake was washed with low pH brine (about 0.5 L, 280 g / L, pH 0.3) and the resulting wet cake was weighed, dried in an oven and weighed again. The dried solid was saved for later analysis.

각 반응으로부터 얻은 고체로부터 샘플을 채취하고, 원래의 정광을 침지시켜서 ICP를 이용하여 비소, 구리 및 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Samples were taken from the solids obtained from each reaction and analyzed for arsenic, copper and iron using ICP by dipping the original concentrate.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산화 반응 침출 처리 1(80℃) 용액 분석Oxidation Leach Treatment 1 (80 ° C) Solution Analysis 시간(분)Minutes pHpH Eh(mV)Eh (mV) Cu(g/L)Cu (g / L) Fe(g/L)Fe (g / L) As(ppm)ICP 측정As (ppm) ICP measurement 참조Reference 00 2.152.15 720720 고체 첨가Solid addition 00 1.581.58 568568 7171 -- -- 3030 0.950.95 535535 7777 0.790.79 824824 6060 0.750.75 525525 7777 1.141.14 10331033 9090 0.700.70 520520 7575 1.281.28 11521152 120120 0.700.70 520520 7575 1.411.41 12161216 150150 0.700.70 516516 7474 1.531.53 13081308

습윤 케이크+종이+여과지: 173.24 gWet Cake + Paper + Filter: 173.24 g

건조 케이크+종이+여과지: 105.48 gDry Cake + Paper + Filter: 105.48 g

종이+여과지: 11.5 gPaper + filter paper: 11.5 g

수득한 건조 케이크: 93.98 gObtained dry cake: 93.98 g

산화 반응 침출 처리 2(100℃) 용액 분석Oxidation Leach Treatment 2 (100 ° C) Solution Analysis 시간(분)Minutes pHpH Eh(mV)Eh (mV) Cu(g/L)Cu (g / L) Fe(g/L)Fe (g / L) As(ppm)ICP 측정As (ppm) ICP measurement 참조Reference 00 1.881.88 735735 고체 첨가Solid addition 00 1.51.5 561561 7171 -- -- 3030 1.11.1 525525 7979 1.751.75 14731473 6060 1.051.05 528528 7979 1.851.85 15321532 9090 0.980.98 529529 8080 2.02.0 16361636 120120 0.940.94 525525 8484 2.02.0 16781678 150150 0.890.89 528528 8585 2.142.14 17611761

습윤 케이크+종이+여과지: 170.3 gWet Cake + Paper + Filter: 170.3 g

건조 케이크+종이+여과지: 113.32 gDry Cake + Paper + Filter: 113.32 g

종이+여과지: 11.5 gPaper + filter paper: 11.5 g

수득한 건조 케이크: 101.82 gObtained dry cake: 101.82 g

산화 반응 침출 처리 3(80℃, 저 pH) 용액 분석Oxidation Leach Treatment 3 (80 ° C, Low pH) Solution Analysis 시간(분)Minutes pHpH Eh(mV)Eh (mV) Cu(g/L)Cu (g / L) Fe(g/L)Fe (g / L) As(ppm)ICP 측정As (ppm) ICP measurement 참조Reference 00 0.350.35 712712 고체 첨가Solid addition 00 0.80.8 564564 7171 -- -- 3030 0.550.55 540540 7676 1.061.06 741741 6060 0.430.43 532532 7474 1.411.41 975975 9090 0.50.5 525525 7474 1.511.51 10821082 120120 0.40.4 520520 7575 1.611.61 11621162 150150 0.430.43 515515 7373 1.611.61 11811181

습윤 케이크+종이+여과지: 172.4 gWet Cake + Paper + Filter: 172.4 g

건조 케이크+종이+여과지: 108.46 gDry Cake + Paper + Filter: 108.46 g

종이+여과지: 11.5 gPaper + filter paper: 11.5 g

수득한 건조 케이크: 96.96 gObtained dry cake: 96.96 g

회수된 고체에서 비소, 구리 및 철에 대한 ICP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3에 요약하였다. ICP analysis results for arsenic, copper and iron in the recovered solids are summarized in Table 13 below.

As%As% Cu%Cu% Fe%Fe% As% 추출As% Extraction 정광Concentrate 3.223.22 0.090.09 8.388.38 0.00.0 침출 1Leaching 1 1.071.07 0.310.31 5.225.22 71.171.1 침출 2Leaching 2 0.250.25 0.300.30 2.852.85 92.792.7 침출 3Leaching 3 1.571.57 0.300.30 5.405.40 56.256.2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반응 속도는 80℃에서보다 100℃에서 현저하게 더 빠르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The above results clearly show that the reaction rate is significantly faster at 100 ° C than at 80 ° C.

실시예 8Example 8

철/비소 제거 방법How to remove iron / arsenic

방법Way

사전 산화 반응으로부터 얻은 액체(10 L)를 용기로 복귀시키고 완만히 교반시키면서 80℃로 가열하였다. 상기 온도에 도달했을때, 액체의 pH와 Eh를 측정하고 샘플을 채취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교반하에 통기 처리하고(100 L/시간), 액체의 pH와 Eh를 측정하고 그후로 30분마다 샘플을 채취하였다. 4시간후에, 제거 반응은 완결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액체를 뷰흐너 장치를 사용해서 여과하고, 제거된 침전물을 필터 케이크로서 제거하였다. 습윤 케이크를 평량한 후에 오븐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된 케이크를 평량하고 샘플을 분석용으로 침지 처리하였다.The liquid (10 L) obtained from the pre-oxidation reaction was returned to the vessel and heated to 80 ° C. with gentle stirring. When the temperature was reached, the pH and Eh of the liquid were measured and samples were taken. The solution was then vented under stirring (100 L / hr), the pH and Eh of the liquid were measured and then samples were taken every 30 minutes. After 4 hours, the removal reaction was deemed complete, the liquid was filtered using a Buchner apparatus and the precipitate removed was removed as a filter cake. The wet cake was weighed and then dried in an oven for 24 hours. The dried cake was then weighed and the sample immersed for analysis.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시간 경과에 따른 액체의 pH와 Eh를 하기 표 14에 요약해서 기재하였다. The pH and Eh of the liquid over time are summarized in Table 14 below.

시간(분)Minutes pHpH EhEh 샘플번호Sample number As(g/L)As (g / L) Fe(g/L)Fe (g / L) AASCu(g/L)AASCu (g / L) AASFe(g/L)AASFe (g / L) 참조Reference 00 0.70.7 500500 1One 2.82.8 3.73.7 8888 3.73.7 부피: 10LVolume: 10L 00 0.70.7 500500 -- -- -- -- -- 공기 100L/시간Air 100L / hour 3030 1.11.1 510510 22 2.32.3 3.63.6 9090 3.33.3 6060 1.51.5 520520 33 1.21.2 2.72.7 9090 2.62.6 9090 1.61.6 525525 44 0.60.6 2.42.4 9191 2.22.2 120120 2.02.0 530530 55 0.30.3 1.31.3 8585 1.61.6 150150 2.12.1 535535 -- -- -- -- -- 180180 2.12.1 545545 -- -- -- -- -- 210210 2.22.2 555555 -- -- -- -- -- 240240 2.52.5 570570 66 NDND 0.50.5 8888 <0.1<0.1 Cu총량88, Cu2+ 88 Cu total amount 88, Cu 2+ 88

습윤 케이크+종이+여과지: 257.2 gWet Cake + Paper + Filter: 257.2 g

건조 케이크+종이+여과지: 128.94 gDry Cake + Paper + Filter: 128.94 g

종이+여과지: 11.5 gPaper + filter paper: 11.5 g

수득한 건조 케이크: 117.44 gObtained dry cake: 117.44 g

침전의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5에 제시하였다.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cipitation are shown in Table 15 below.

원소element 농도density (중량%)(weight%) AsAs 19.0%19.0% FeFe 33.8%33.8% CuCu 1.5%1.5%

실험 기간 4시간에 걸쳐서, 철과 비소는 거의 100% 침전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산화 전위(Eh)는 후속 침출 절차에 사용하는데 충분히 높은 정도로 복귀되었다. Fe/As 몰 비율은 2.4이었으며, 이를 통해 다른 Fe 함유 화합물과 함께 FeAsS가 침전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Over four hours of experiment, almost 100% of iron and arsenic precipitated, while at the same time the oxidation potential (Eh) was returned to a high enough level for use in subsequent leaching procedures. The Fe / As molar ratio was 2.4, which can be expected to precipitate FeAsS with other Fe-containing compounds.

실시예 9Example 9

철/비소 제거 방법How to remove iron / arsenic

방법Way

사전 산화 반응으로부터 얻은 액체(10 L)를 용기로 복귀시키고 완만히 교반시키면서 80℃로 가열하였다. 상기 온도에 도달했을때, 액체의 pH와 Eh를 측정하고 샘플을 채취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교반하에 통기 처리하고(100 L/시간), 액체의 pH와 Eh를 측정하고 그후로 30분마다 샘플을 채취하였다. 4시간후에, 제거 반응은 완결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액체를 뷰흐너 장치를 사용해서 여과하고, 제거된 침전물을 필터 케이크로서 제거하였다. 습윤 케이크를 평량한 후에 오븐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된 케이크를 평량하고 샘플을 분석용으로 침지 처리하였다.The liquid (10 L) obtained from the pre-oxidation reaction was returned to the vessel and heated to 80 ° C. with gentle stirring. When the temperature was reached, the pH and Eh of the liquid were measured and samples were taken. The solution was then vented under stirring (100 L / hr), the pH and Eh of the liquid were measured and then samples were taken every 30 minutes. After 4 hours, the removal reaction was deemed complete, the liquid was filtered using a Buchner apparatus and the precipitate removed was removed as a filter cake. The wet cake was weighed and then dried in an oven for 24 hours. The dried cake was then weighed and the sample immersed for analysis.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시간 경과에 따른 액체의 pH와 Eh를 하기 표 16에 요약해서 기재하였다. The pH and Eh of the liquid over time are summarized in Table 16 below.

시간(분)Minutes pHpH EhEh 샘플번호Sample number As(g/L)As (g / L) Fe(g/L)Fe (g / L) AASCu(g/L)AASCu (g / L) AASFe(g/L)AASFe (g / L) 참조Reference 00 0.70.7 500500 1One 2.82.8 3.73.7 8888 3.73.7 부피: 10LVolume: 10L 00 0.70.7 500500 -- -- -- -- -- 공기 100L/시간Air 100L / hour 3030 1.11.1 510510 22 2.32.3 3.63.6 9090 3.33.3 6060 1.51.5 520520 33 1.21.2 2.72.7 9090 2.62.6 9090 1.61.6 525525 44 0.60.6 2.42.4 9191 2.22.2 120120 2.02.0 530530 55 0.30.3 1.31.3 8585 1.61.6 150150 2.12.1 535535 -- -- -- -- -- 180180 2.12.1 545545 -- -- -- -- -- 210210 2.22.2 555555 -- -- -- -- -- 240240 2.52.5 570570 66 NDND 0.50.5 8888 <0.1<0.1 Cu총량88, Cu2+ 88 Cu total amount 88, Cu 2+ 88

습윤 케이크+종이+여과지: 257.2 gWet Cake + Paper + Filter: 257.2 g

건조 케이크+종이+여과지: 128.94 gDry Cake + Paper + Filter: 128.94 g

종이+여과지: 11.5 gPaper + filter paper: 11.5 g

수득한 건조 케이크: 117.44 gObtained dry cake: 117.44 g

함수율: 128.26 g(47.8%)Water content: 128.26 g (47.8%)

실시예 10Example 10

재생된 슬러리 밀도가 낮은 처리액에 의한 침출Leaching by Treated Liquid with Low Regenerated Slurry Density

방법Way

습윤된 정광 90g 샘플(함수율 약 24%, 건조 정광으로 환산하여 68g)을 산화 반응으로부터 얻은 처리액(1.5 L)에 첨가하고, 형성된 슬러리를 100-105℃에서 교반하였다. 액체의 pH와 Eh를 모니터하고 4시간에 걸쳐서 30분마다 샘플을 채취하였다. 이 기간이 경과한 후에, 액체를 뷰흐너 장치를 사용해서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제거하였으며, 습윤된 케이크를 평량한 다음 24시간동안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된 케이크를 평량하고 샘플을 분석용으로 침지 처리하였다.A wet concentrate 90 g sample (about 24% water content, 68 g in terms of dry concentrate) was added to the treatment liquid (1.5 L) obtained from the oxidation reaction, and the formed slurry was stirred at 100-105 ° C. The pH and Eh of the liquid were monitored and samples were taken every 30 minutes over 4 hours. After this period has elapsed, the liquid is filtered using a Buchner apparatus and the filter cake is removed, and the wet cake is weighed and then dried in an oven for 24 hours. The dried cake was then weighed and the sample immersed for analysis.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시간 경과에 따른 액체의 pH와 Eh 및 성분 함량을 하기 표 17에 제시하였다.The pH, Eh and component contents of the liquid over time are shown in Table 17 below.

시간(분)Minutes pHpH Eh(mV)Eh (mV) 샘플번호Sample number AASCu(g/L)AASCu (g / L) AASFe(g/L)AASFe (g / L) ICPAs(g/L)ICPAs (g / L) ICPCu(g/L)ICPCu (g / L) ICPFe(g/L)ICPFe (g / L) 00 2.52.5 600600 -- -- -- 1010 1.81.8 555555 -- -- -- 3030 1.51.5 550550 1One 9090 1.51.5 6060 1.31.3 545545 22 8989 1.11.1 9090 1.21.2 540540 33 8787 1.21.2 120120 1.11.1 540540 44 6767 0.80.8 150150 1.11.1 535535 55 8888 1.01.0 180180 1.01.0 535535 66 8585 1.01.0 210210 1.01.0 535535 77 8888 1.01.0 240240 1.01.0 536536 88 8787 1.11.1

수득한 건조 케이크: 58 gObtained dry cake: 58 g

제 1 및 제 2 침출 단계 실시예First and Second Leaching Stage Embodiments

실시예 11Example 11

제 1 단계 침출First stage leaching

본 실시예의 목적은 연속적인 방법의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회분식 시험에 사용된 작업 조건을 상업적인 규모의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험은 대기압하에서 황철석의 산화 반응에 사용되는 재료를 제공한다.The purpose of this example is to determine if the operating conditions used for batch testing can be applied to commercial scale work through simulation of a continuous method. In addition, this experiment provides a material used for the oxidation of pyrite under atmospheric pressur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7의 회분식 공정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작업할 경우에, As 추출 효율은 85%로 양립되는 결과를 제공하였다.As shown in FIG. 8, when continuously working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e batch process of Examples 5-7, As extraction efficiency gave results that are compatible with 85%.

절차step

7.5 리터 티탄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제 1 반응기로부터 제 2 반응기가 상류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위에 보존 탱크가 상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속적인 작업 과정에서, 2 리터/시간의 용액을 연동 펌프를 사용해서 공급 탱크로부터 제 1 반응기로 공급하였다. 고체 첨가 속도는 144 g/h이었으며, 정광을 제 1 반응기에 10분마다 24 g(건조 중량 기준)의 회분식으로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속도였다.A 7.5 liter titanium reactor was used, with a second reactor connected upstream from the first reactor, with a storage tank connected upstream therefrom. In a continuous operation, 2 liters / hour of solution was fed from the feed tank to the first reactor using a peristaltic pump. The solid addition rate was 144 g / h, which was obtained by batchwise adding 24 g (dry weight basis) of concentrate to the first reactor every 10 minutes.

처음에, 80 g/l Cu2+, 200 g/l NaCl, 100 g/l CaCl2를 함유하고 pH<1인 30 리터의 원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각 반응기에, 7.5 리터의 원료 용액을 첨가하고, 100℃로 유지시켰으며, 건조 당량 360 g인 P80=30 미크롬의 저등급 금(30 g/톤) 정광을 첨가한 다음, 형성된 슬러리를 교반시키고 30분마다 Eh, pH, As, Fe 및 Cu에 대하여 모니터하였다. 3 시간 경과후에, 슬러리 샘플 100 ml를 채취하고 뷰흐너 깔대기로 역과하고 산성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고체를 건조시키고 ICP에 의해서 구리, 비소 및 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Initially, a 30 liter raw material solution containing 80 g / l Cu 2+ , 200 g / l NaCl, 100 g / l CaCl 2 and having a pH <1 was prepared. To each reactor, 7.5 liters of raw solution was added and maintained at 100 ° C., a P80 = 30 micron low grade gold (30 g / ton) concentrate with a dry equivalent of 360 g was added, followed by stirring the formed slurry. And every 30 minutes for Eh, pH, As, Fe and Cu. After 3 hours, 100 ml of slurry sample was taken and backwashed with Buchner funnel and washed with acid brine solution. The solid was then dried and analyzed for copper, arsenic and iron by ICP.

3 시간 경과후에, 연속적인 작업을 10 시간 더 수행하고(전술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200 ml의 슬러리 샘플을 2시간마다 채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하였다. 이어서, 고체를 건조시키고 ICP에 의해서 구리, 비소 및 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8 내지 표 20에 제시하였다.After 3 hours, continuous operation was performed for another 10 hours (according to th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and 200 ml of slurry sample was taken every 2 hours and filtered as described above. The solid was then dried and analyzed for copper, arsenic and iron by ICP.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8-20.

번호number 고체샘플Solid sample 시간(분)Minutes 샘플번호Sample number T(℃)T (℃) Eh(mV)Eh (mV) pHpH Cu(g/l)Cu (g / l) Fe(g/l)Fe (g / l) As(g/l)As (g / l) 참조Reference 0101 00 00 9595 620620 1One 7777 00 00 720g 건조 고체 첨가720g dry solids added 22 6060 1One 100100 520520 0.50.5 8787 2.62.6 2.32.3 이하 모든 첨가량은 습윤된 정광 그대로의 중량임 All additions below are weights of wet concentrate 33 120120 22 100100 520520 0.50.5 8383 2.72.7 2.32.3 1시간에 걸쳐 192.95g 첨가Add 192.95 g over 1 hour 44 180180 33 9090 530530 0.70.7 8181 1.71.7 1.41.4 1시간에 걸쳐 187.9g 첨가Add 187.9 g over 1 hour 55 240240 44 9898 535535 0.60.6 8888 1.91.9 1.61.6 1시간에 걸쳐 183.4g 첨가Add 183.4 g over 1 hour 66 300300 55 103103 540540 0.40.4 8989 2.52.5 2.12.1 1시간에 걸쳐 189.65g 첨가Add 189.65 g over 1 hour 77 1One 360360 66 109109 530530 0.20.2 7474 2.22.2 1.91.9 1시간에 걸쳐 195.44g 첨가Add 195.44 g over 1 hour 88 420420 77 109109 535535 0.20.2 9595 3.73.7 3.33.3 1시간에 걸쳐 194.42g 첨가Add 194.42 g over 1 hour 99 22 480480 불안정한상태Instability 1시간에 걸쳐 31.61g 첨가Add 31.61 g over 1 hour 1010 540540 88 106106 525525 0.20.2 9595 4.94.9 4.54.5 1시간에 걸쳐 200g 첨가Add 200 g over 1 hour 1111 600600 99 102102 524524 0.30.3 9595 4.24.2 3.83.8 1시간에 걸쳐 198.79g 첨가Add 198.79 g over 1 hour 1212 33 660660 1010 7070 509509 0.70.7 9898 3.23.2 2.62.6 1시간에 걸쳐 62.82g 첨가Add 62.82 g over 1 hour 1313 44 680680 1111 7474 501501 0.80.8 9999 33 2.42.4

번호number 시간time 시간(분)Minutes 샘플번호Sample number T(℃)T (℃) Eh(mV)Eh (mV) pHpH Cu(g/l)Cu (g / l) Fe(g/l)Fe (g / l) As(g/l)As (g / l) 0101 00 00 8080 620620 22 6060 1One 8585 530530 0.90.9 7777 1.31.3 1One 33 120120 22 8686 530530 0.80.8 8181 1.51.5 1.21.2 44 180180 33 9090 530530 0.70.7 8484 1.71.7 1.51.5 55 240240 44 8888 530530 0.60.6 8686 1.81.8 1.61.6 66 300300 55 8585 525525 0.50.5 9191 2.12.1 1.81.8 77 360360 66 8585 520520 0.40.4 9595 2.22.2 22 88 420420 77 8585 520520 0.40.4 105105 2.72.7 2.32.3 99 480480 불안정한 상태An unstable state 1010 540540 88 8484 519519 0.40.4 9999 2.82.8 2.52.5 1111 600600 99 8383 514514 0.40.4 9898 3.23.2 2.92.9 1212 660660 1010 8383 516516 0.40.4 9898 3.53.5 3.13.1 1313 680680 1111 8383 512512 0.40.4 9999 3.33.3 2.942.94

공급 원료 및 탱크 2 상류에 대한 고체 분석 결과Solid analysis results for feedstock and tank 2 upstream 번호number 설명Explanation FeFe AsAs CuCu As 추출As extraction 질량 손실Mass loss (%)(%) (%)(%) (%)(%) (%)(%) (%)(%) 공급원료Feedstock 8.608.60 3.203.20 0.080.08 0.000.00 0.000.00 1One 탱크2-고체 1Tank 2-Solid 1 4.254.25 0.580.58 0.500.50 83.183.1 6.556.55 22 -고체 2     Solid 2 4.154.15 0.420.42 0.520.52 87.887.8 6.796.79 33 -고체 3    Solid 3 4.554.55 0.510.51 0.550.55 85.185.1 6.276.27 44 -고체 4    Solid 4 4.154.15 0.510.51 0.420.42 85.185.1 6.806.80 혼합물mixture -고체 5    Solid 5 4.504.50 0.520.52 0.420.42 84.884.8 6.446.44 평균Average 85.285.2 6.576.57

실시예 12Example 12

제 2 단계 침출Second stage leaching

본 실시예의 목적은 As 침출 단계로부터 얻은 잔류물의 황철석 성분을 대기압하에서 순수한 산소를 사용하여 산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1의 연속적인 침출 시험중에 얻은 잔류물 500 g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The purpose of this example is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oxidizing the pyrite component of the residue obtained from the As leaching step using pure oxygen under atmospheric pressure. 500 g of the residue obtained during the continuous leaching test of Example 11 was used in this experiment.

황철석을 연속적으로 대기압하에 105℃에서 산소로 산화시켰다. 최종 As 및 Fe 추출율은 둘다 95% 이상이었다. 산화반응 잔류물내의 S(e)(원소 상태의 황)은 정광내의 유비철석과 결합된 황과 대등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Pyrite was continuously oxidized to oxygen at 105 ° C.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e final As and Fe extraction rates were both 95% or more. S (e) (elemental sulfur) in the oxidation residue was comparable to sulfur combined with arsenite in the concentrate. The results are shown graphically in FIG.

절차step

분산용 터어빈 교반기와 대형 황색 핫플레이트상의 적절한 티탄 가스 주입기를 구비한 7.5 리터 티탄 반응기를 준비하였다.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염수 용액 5L를 7.5L 티탄 반응기에서 제조하였다: 250 g/l NaCl, 50 g/l CaCl2, 20 g/L Cu(염화제2철), pH<1.0으로 조정함.A 7.5 liter titanium reactor was prepared with a dispersive turbine stirrer and a suitable titanium gas injector on a large yellow hotplate. 5 L saline solution with the follow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a 7.5 L titanium reactor: 250 g / l NaCl, 50 g / l CaCl 2 , 20 g / L Cu (ferric chloride), adjusted to pH <1.0.

실시예 11로부터 얻은 As 침출 단계의 잔류물의 대표적인 샘플을 외부 실험실에 공급하여 원소 S, 총 S, Au, Fe 및 As에 대하여 분석하였다.Representative samples of the residues of the As leaching step from Example 11 were fed to an external laboratory to analyze for elements S, total S, Au, Fe and As.

교반기 구동을 VSD상에서 80Hz로 설정하고, 용액의 온도를 105℃로 상승시키고, t=0에서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Eh와 pH를 모니터하고 실시예 11에서 얻은 건조 비소 침출 잔류물 500 g을 용액 내로 주입하였다. 30분 경과 후에 용액의 샘플을 채취하여 Fe, As, Cu 에 대해 분석하고 Eh와 pH를 모니터하였다.The stirrer run was set to 80 Hz on VSD,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was raised to 105 ° C., samples were taken at t = 0, the Eh and pH were monitored and 500 g of the dry arsenic leaching residue obtained in Example 11 were introduced into the solution. Injected. After 30 minutes, a sample of the solution was taken and analyzed for Fe, As, Cu and Eh and pH were monitored.

산소를 1 L/분의 속도로 도입시켰다. Eh, pH, Fe, Cu 및 As를 처음 3시간 동안 30분마다 모니터하고, 그 후로는 1시간마다 모니터하였다. 가용성 Fe 분석치가 증가를 멈추었을때, 실험은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였다.Oxygen was introduced at a rate of 1 L / min. Eh, pH, Fe, Cu and As were monitored every 30 minutes for the first 3 hours and thereafter every 1 hour. When the soluble Fe assay stopped increasing, the experiment was considered complete.

최종 샘플을 취하고, 현탁액을 여과한 다음, 케이크를 산성 염수로 2회 세척한 후에 여과액이 투명해질때까지 고온수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케이크를 건조시키고, 평량한 다음 As, Fe, Cu, C, 원소 상태의 S 및 총 S에 대해 분석하였다.The final sample was taken, the suspension filtered and the cake washed twice with acidic brine and then with hot water until the filtrate became clear. The washed cake was dried, weighed and analyzed for As, Fe, Cu, C, S in elemental state, and total S.

원소 분석 결과Elemental analysis

다음과 같은 원소 분석 결과를 얻었다.The following elemental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최종 침출 단계 고체 중량Final leaching stage solid weight

케이크:cake:

습윤 케이크+종이+여과지: 744.27 gWet Cake + Paper + Filter: 744.27 g

건조 케이크+종이+여과지: 490.96 gDry cakes + paper + filter paper: 490.96 g

종이+여과지: 6.09 gPaper and filter paper: 6.09 g

수득한 건조 케이크: 424.87 gObtained dry cake: 424.87 g

질량 감소율: 15%Mass Reduction Rate: 15%

산소에 의한 황철석 산화 반응에 대한 공급원료의 고체 원소 분석Solid Elemental Analysis of Feedstock for Oxidative Pyrite Oxidation

건조 중량% 또는 ppm 단위의 정보 Information on dry weight or ppm 설명Explanation Fe(%)Fe (%) As(%)As (%) Cu(%)Cu (%) Au(ppm)Au (ppm) St(%)S t (%) Se(%)S e (%) 합계Sum 4.314.31 0.550.55 0.610.61 -- -- -- 가용성Availability 0.010.01 0.030.03 0.100.10 -- -- -- 불용성Insoluble 4.304.30 0.510.51 0.510.51

산소에 의한 황철석 산화 반응으로부터 얻은 잔류물의 고체 원소 분석Solid Elemental Analysis of Residues Obtained from Pyrite Oxidation by Oxygen

건조 중량% 또는 ppm 단위의 정보Information on dry weight or ppm 설명Explanation Fe(%)Fe (%) As(%)As (%) Cu(%)Cu (%) Au(ppm)Au (ppm) St(%)S t (%) Se(%)S e (%) 합계Sum 0.520.52 0.190.19 0.350.35 -- -- -- 가용성Availability 0.010.01 0.010.01 0.010.01 -- -- -- 불용성Insoluble 0.510.51 0.180.18 0.340.34 -- -- --

황철석 산화 반응 잔류물 대비 정광으로부터 Fe 및 As 추출율Extraction rate of Fe and As from concentrates compared to pyrite oxidation residue

하기 표 23-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s 및 Fe의 추출율은 모두 95%를 초과하였다.As shown in Tables 23-26 below, the extraction rates of As and Fe both exceeded 95%.

황철석 산화 반응, 공급원료 Vs 잔류물:Pyrite oxidation, feedstock Vs residues:

중량%weight% 질량(g)Mass (g) 공급원료Feedstock 잔류물Residue 공급원료Feedstock 잔류물Residue 500500 424.9424.9 FeFe 4.34.3 0.510.51 21.621.6 2.22.2 AsAs 0.50.5 0.180.18 2.62.6 0.80.8

상응하는 정광Corresponding concentrate 질량(g)Mass (g) 농도(%)density(%) 535.2535.2 100100 AsAs 17.1 17.1 3.23.2 FeAsSFeAsS 37.237.2 7.07.0 FeFe 46.046.0 8.68.6 FeS2 FeS 2 25.625.6 4.84.8 SS 29.429.4 5.55.5 FeAsS중 SS in FeAsS 7.37.3 1.41.4 FeS2중 S FeS 2 S 22.122.1 4.14.1 AsFeS중 FeFe in AsFeS 12.812.8 2.42.4 FeS2중 FeOf FeS 2 Fe 19.319.3 3.63.6 기타 FeOther Fe 14.014.0 2.62.6

황철석 산화반응 잔류물에 대한 정광으로부터의 Fe 및 As 추출율Extraction of Fe and As from Concentrates on Pyrite Oxidation Residues FeFe 95.3%95.3% AsAs 95.5%95.5%

황철석 산화반응 잔류물로부터 원소 상태의 황을 추출한 결과, S(원소)는 AsFeS와 결합된 S와 대등하였으며, 다시 말해서 정광중 1.4%이었다.Extraction of elemental sulfur from the pyrite oxidation residue showed that S (element) was equivalent to S combined with AsFeS, ie 1.4% in concentrate.

황 원소 추출 Elemental sulfur extraction 부양 헤드부 샘플 중량Float head sample weight 8.68 g8.68 g 100%100% S(원소) 추출 잔류물S (Elemental) Extraction Residue 합계Sum 0.35 g0.35 g 탄소carbon 0.21 g0.21 g S(원소)S (element) 0.14 g0.14 g 1.6%1.6% 질량 변화Mass change 79%79% 정광과 관련된 S(원소) S (element) related to concentrate 1.28%1.28%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방법을 예시하였지만, 당업자들이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method has been illustrat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dvantages:

-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함황 광석 및 정광으로부터, 종래의 방법/기법, 예컨대 제련 및 배소 방법으로는 처리하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귀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ver noble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ores and concentrates which are difficult or impossible to process by conventional methods / techniques such as smelting and roasting.

-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광석내 탄소 함량이 높은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방법이 용액중에서 수행되므로 블라인딩제를 사용하여 귀금속 회수를 간섭할 우려가 있는 탄소상의 귀금속 흡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carbon content in the ore is high. Sinc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a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sorption of the precious metal on carbon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recovery of the precious metal using a blinding agent. Because there is.

-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광범위한 광석 및 정광 공급원료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일단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에는 이들을 통상의 제련/배소 기법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minants can be removed from a wide range of ore and concentrate feedstocks and once contaminants are removed they can be treated using conventional smelting / roasting techniques.

-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원래의 유비철석 정광으로부터 비소, 철 및 황을 처분하기 용이한 형태로 제거하여, 처리하기 용이한 정광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senic, iron, and sulfur can be removed from the original arsenite concentrate in an easy-to-dispose form, thereby providing a concentrate that is easy to treat.

- 본 발명의 방법은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광범위한 금속, 특히 귀금속을, 활성탄 흡착법을 비롯한 간단한 비시아나이드계 침출 및 분리 과정을 사용하여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offers the possibility of recovering a wide range of economically valuable metals, especially precious metals, using simple bicyanide based leaching and separation processes including activated carbon adsorption.

- 본 발명의 방법을 오염된 잔류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오염된 잔류물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도록 차후에 폐기 처분할 수가 있다.Whe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ontaminated residues, the contaminated residues can later be disposed of so as to have less environmental impact.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개조예 및 변경예를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Claims (39)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soils, -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용액에 가용화시키는데 충분한 산화 전위를 갖는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Preparing an aqueous acid halide solution having an oxidation potential sufficient to oxidize sulfur-containing soils and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in solution; - 상기 함황 토질을 상기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에 첨가하여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가용화시키는 단계; 및Add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to the aqueous acid halide solution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and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And - 상기 귀금속을 산화된 함황 토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Separating said precious metal from oxidized sulfur-containing soils 를 포함하는 방법.How to include. 비소로 오염된 함황 토질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from sulfur-containing soils contaminated with arsenic, - 상기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용액에 가용화시키는데 충분한 산화 전위를 갖고, 비소를 침전시킬 수 있는 pH를 갖는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Preparing an aqueous acid halide aqueous solution having a oxidation potential sufficient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and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in solution and to precipitate arsenic; - 상기 함황 토질을 상기 산성 할라이드 수용액에 첨가하여 함황 토질을 산화시키고, 귀금속을 가용화시키며, 비소를 침전시키는 단계; 및Add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to the aqueous acidic halide solution to oxidize the sulfur-containing soil,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and precipitate the arsenic; And - 상기 귀금속을 산화된 함황 토질 및 침전된 비소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Separating said precious metal from oxidized sulfur-containing soil and precipitated arsenic; 를 포함하는 방법.How to inclu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귀금속을 함유하는 용액은 고체-액체 분리 단계에서 산화된 함황 토질 및 침전된 비소(존재할 경우)로부터 분리되며, 이어서 귀금속은 금속 회수 단계에서 용액으로부터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olution containing the noble metal is separated from the oxidized sulfur soil and precipitated arsenic (if present)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and then the noble metal is recovered from the solution in the metal recovery step.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금속 회수 단계에서, 상기 귀금속을 하나 이상의 탄소 함유 컬럼에서 활성탄상에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metal recovery step, adsorbing said noble metal on activated carbon in at least one carbon containing colum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귀금속을 상기 활성탄상에 흡착시킨 후에, 탄소를 시아나이드 용액으로 용출시키고, 용출 생성물을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전해 단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fter adsorbing the noble metal onto the activated carbon, carbon is eluted with a cyanide solution and the eluted product is fed to an electrolytic step for recovering the noble metal.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금속 회수 단계는 인라인(in-line) 형태로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용액을 함황 토질 산화 단계로 재순환시키기 이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Said metal recovery step is provided after said solid-liquid separation step in in-line form and prior to recycling said solution to a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회수하고자 하는 귀금속이 금, 은, 백금 또는 다른 백금족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recious metal to be recover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old, silver, platinum or other platinum group metal.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할라이드 수용액이 할라이드 농도가 약 8 몰/리터인 가용성 금속 할라이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queous halide solution is a soluble metal halide solution having a halide concentration of about 8 moles / lit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할라이드가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라이드와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할라이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halide is chloride or a halide mixture comprising chloride and bromide.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용해된 금속 할라이드 용액 중의 금속이 구리 및/또는 철이며, 다가 화학종(multi-valent species)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al in the dissolved metal halide solution is copper and / or iron and acts as a multi-valent species.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함황 토질 산화 단계가 하기 단계,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is the following step, (i) 오염되지 않은 단일 내화성 황철석 토질의 경우에는, 황철석을 산화시키고 동시에 귀금속을 가용화시키는 단일의 침출 단계를 포함하는 함황 토질 산화 단계; 또는(i) for uncontaminated single refractory pyrite soils, a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comprising a single leaching step of oxidizing pyrite and solubilizing the precious metal; or (ii) 오염된 단일 또는 이중 내화성 황철석 토질의 경우에는, 상기 제 1 침출 단계로부터 얻은 용액을 제 2 침출 단계로 공급하는 2 단계 침출 공정을 포함하는 함황 토질 산화 단계;(ii) in the case of contaminated single or double refractory pyrite soils, a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comprising a two-step leaching process for supplying the solution obtained from the first leaching step to a second leaching step; 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침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comprising the one or more leaching steps, such a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ii)의 경우에, 황철석 토질은 유비철석(Arsenopyrite)이며, 상기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비소를 용액 내로 침출시키도록 산화 전위를 조절하고 비소가 일단 침출된 후에는 비소가 비산철의 형태로 침전되도록 용액의 pH를 조절하며, 상기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황철석 성분을 침출시키고 비소를 비산철 침전 형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비소를 산화된 함황 토질과 함께 공정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용액의 pH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case of (ii), the pyrite is arsenic (Arsenopyrite), and in the first leaching step, the oxidation potential is adjusted to leach arsenic into the solution, and once arsenic is leached, the arsenic is in the form of ferric arsenate. Adjusting the pH of the solution to precipitate, and in the second leaching step, adjusting the pH of the solution so that the arsenic is discharged from the process together with the oxidized sulfur-containing soil by leaching the pyrite component and maintaining the arsenic in the form of ferric arsenate precipitation. How to feature.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상기 오염물질을 침출시키고 귀금속을 가용화시키는데 충분한 약 0.7-0.8 볼트의 Eh하에, 비소를 그것의 침출 직후에 침전시키도록 1 이하이되 약 0.5를 초과하지 않는 용액의 pH에서, 약 80-105℃의 용액 온도하에, 상기 토질을 용액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first leaching step, at a pH of a solution of no more than 1 but not greater than about 0.5 to precipitate arsenic immediately after its leaching, under about 0.7-0.8 volts Eh sufficient to leach the contaminant and solubilize the precious metal. At a solution temperature of about 80-105 ° C., contacting the soil with the solution.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상기 토질을 황철석을 침출시키는데 충분한 약 0.8-0.9 볼트의 Eh를 가진 용액과 접촉시키며, 상기 용액의 pH는 비소를 그것의 침출 직후에 침전시키도록 1 이하이되 약 0.2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용액의 온도는 약 90℃ 내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second leaching step, the soil is contacted with a solution having an Eh of about 0.8-0.9 volts sufficient to leach pyrite, the pH of the solution being less than or equal to 1 and greater than about 0.2 to precipitate arsenic immediately after its leaching.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s about 90 ° C to 105 ° C.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상기 귀금속을 회수한 직후에, 용액 상태 조정 단계를 사용하여 황산철을 침전시킴으로써, 공정상 상기 화학종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mmediately after recovering the noble metal, the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species in the process is controlled by precipitating iron sulfate using a solution condition adjusting step.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용액 상태 조정 단계에서는, 석회석과 탄산칼슘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적철광/석고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침출 단계(들)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잔류물과 함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solution conditioning step, limestone and calcium carbonate are added to the solution to form a hematite / gypsum precipitate, which is then filtered and treated with the solid residue discharged from the leaching step (s). Way.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상기 함황 토질내에 고농도의 탄소가 존재할 경우, 계면활성제를 상기 함황 토질 산화 단계 중에 첨가하여 귀금속이 토질 내의 탄소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함황 토질 산화 단계 중에 활성탄을 용액에 첨가하여 귀금속을 활성탄상에 우선적으로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is present in the sulfur-containing soil, a surfactant is added dur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to prevent the precious metal from adsorbing on the carbon in the soil, or activated carbon is added to the solution dur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oxidation step to remove the precious metal. Adsorbing onto activated carbon preferentially.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계면활성제가 케로센 또는 페놀 에테르를 비롯한 1종 이상의 유기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said surfactant is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including kerosene or phenol ether. 오염된 함황 토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sulfur soils, - 함황 토질을 수용액중에서 혼합하여,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를 갖는 다가 화학종에 의해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오염물질을 용액중에 가용화시켜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을 생성한 후에, 상기 화학종을 비교적 낮은 산화 상태로 환원시키는 단계; 및 The sulfur species are mixed in an aqueous solution to oxidize the contaminants with a polyvalent species having a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solubilizing the contaminants in solution to produce the sulfur-free soils free of contaminants. Reducing to an oxidized state; And - 상기 용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다가 화학종을 그것의 비교적 높은 산화 상태로 재생시키는 단계;Regenerating the polyvalent species to its relatively high oxidation state while simultaneously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solu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ethod comprising a. 오염된 함황 토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sulfur soils, - 함황 토질을, 상기 오염물질만을 실질적으로 산화시켜서 용액 중에 가용화시키도록 조절된 산화 전위를 가진 수용액 중에서 혼합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을 생성하는 단계; 및Mixing sulfur-containing soils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n oxidation potential controlled to substantially oxidize only the pollutants to solubilize them in solution to produce contaminant-free soils; And - 상기 용액을 오염물질이 제거된 함황 토질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Separating the solution from the contaminated desulfurized soi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ethod comprising a.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or 20, 상기 오염물질은, 산화제를 상기 용액에 도입시킴으로써 별도의 침전 단계에서 침전법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aminant is removed from the solution by precipitation in a separate precipitation step by introducing an oxidant into the solution. 제 2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침전 단계에서, 상기 용액의 pH는 약 pH 1.5-3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precipitation step, the pH of the solution is maintained at about pH 1.5-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2, 상기 오염물질을 2 단계 침출 공정을 통해 산화시켜 용액 내로 침출시키며, 이때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실질적으로 오염물질만을 산화시켜서 용액 중에 가용화시키도록 산화 전위를 조절하고,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 중에서 황화물을 산화시키도록 산화 전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aminant is oxidized through a two-step leaching process to leach into the solution, wherein in the first leaching step, the oxidation potential is adjusted to oxidize substantially only the contaminant and solubilize it in the solution. Increasing the oxidation potential to oxidize sulfides in the removed soil.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을, 상기 제 1 침출 단계 이후에 용액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제 2 침출 단계로 공급하며, 상기 용액은 침전법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각 침출 단계 이후에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aminated soil is separated from the solution after the first leaching step and fed to a second leaching step, the solution being polluted after each leaching step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solution by precipitation. Separating from the removed soil.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or 24, 상기 함황 토질이 황철석 토질이며, 제 1 침출 단계에서는 pH 1 이하인 산성 수용액 중에서 상기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되 황철석을 실질적으로 용출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용액의 Eh하에 약 105℃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며, 상기 제 2 침출 단계에서는 pH 1 이하이되 황철석을 용출시키기에 충분한 보다 높은 용액의 Eh하에 약 105℃ 이하의 온도에서 황철석 토질을 산성 수용액 중에서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ulfur-containing soil is pyrite, and in the first leaching step, the pollutant is oxidized at an temperature of about 105 ° C. or less under an Eh of a solution sufficient to oxidize the pollutant in an acidic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1 or less, but not to substantially elute pyrite. And wherein the second leaching step oxidizes the pyrite soil in an acidic aqu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about 105 ° C. or less under Eh of a higher solution below pH 1 but sufficient to elute the pyrite.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 2 침출 단계에서, 산소, 공기, 염소 가스,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second leaching step, an oxidant such as oxygen, air, chlorine gas, hydrogen peroxide is added to the solution.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6, 상기 용액을 공정 전반에 걸쳐 재순환시키며, 상기 용액은 클로라이드 농도가 약 8 몰/리터인 용해된 금속 클로라이드 용액으로서, 용해된 금속 클로라이드 용액중의 금속은 다가 화학종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olution is recycled throughout the process, wherein the solution is a dissolved metal chloride solution having a chloride concentration of about 8 mol / liter, wherein the metal in the dissolved metal chloride solution acts as a polyvalent species. 제 19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7, 상기 함황 토질에는 고농도의 탄소가 존재하며, 상기 오염물질 산화 단계 중에 계면활성제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귀금속이 토질 내의 탄소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ulfur-containing soil has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and during the pollutant oxidation step, a surfactant is added to the solution to prevent the precious metals from adsorbing on the carbon in the soil. 제 19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8, 오염물질과 함께 용액 내로 침출된 금속 및/또는 잔류하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 내에 존재하는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금속 회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t least one metal recovery step for recovering metals leached into solution with contaminants and / or metals present in the soil from which residual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제 2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함황 토질은 탄소를 포함하는 이중 내화성 광석이며, 최종 침출 단계 이후에 금속 회수 단계를 실시하여 탄소 상에 흡착된, 잔류하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에 존재하는 금속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ulfur-containing soil is a double refractory ore containing carbon, and after the final leaching step, a metal recovery step is performed to recover metal present in the soil which has been removed from the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carbon. . 제 3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금속 회수 단계가 통상의 배소(roasting) 또는 제련(smelting) 단계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배소 또는 제련 단계 이후에 배소된 고체 토질에 남아있는 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염소 또는 시아나이드에 의한 침출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al recovery step includes a conventional roasting or smelting step, optionally leaching by chlorine or cyanide to recover the metal remaining in the roasted solid soil after the roasting or smelting step. Method for carrying out the. 제 29 항 내지 제 3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9-31, 오염물질 침전 단계 이전 및/또는 이후에 인라인 금속 회수 단계를 실시하여 침출 단계에서 용액 내로 침출된 금속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line metal recovery step prior to and / or after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to remove the leached metal into solution in the leaching step. 제 29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9 to 32, 금속을 회수하기 전에, 다수의 토질 분리 단계를 실시하여 용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된 토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Before recovering the metal, a plurality of soil separation steps are carried out to separate the soil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from the solution.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침출 단계 또는 각각의 침출 단계 이후에 분리된 용액을 오염물질 회수 단계로 공급하는 한편, 분리된 정련된 토질은 금속 회수 또는 폐기 단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separated solution after the leaching step or after each leaching step is fed to the contaminant recovery step, while the separated refined soil is fed to the metal recovery or disposal step. 제 23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34, wherein 오염물질 침전 단계 이후에, 오염물질 분리 단계를 실시하여 오염물질을 용액으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기 용액을 침출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fter the contaminant precipitation step, after carrying out the contaminant separation step to remove the contaminants from the solution, the solution is recycled to the leaching step. 탄소 함량이 비교적 높은 오염된 함황 토질을 처리하여 상기 토질 내의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in soil by treating contaminated sulfur soils having a relatively high carbon content, - 상기 함황 토질을 수용액중에서 침출시켜서 상기 금속을 용액내로 침출시키고, 그 동안에 토질내의 탄소는 귀금속이 그 탄소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시키는 단계; 및Leaching the sulfur-containing soil in an aqueous solution to leach the metal into the solution, during which the carbon in the soil is shielded to prevent the precious metal from adsorbing on the carbon; And - 상기 용액으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Recovering the noble metal from the solution. 제 3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탄소는 제 18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said carbon is masked using a surfactant as defined in claim 1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38. The method of claim 36 or 37,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인 방법.36. A method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35.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방법에 의해 생산된 금속.A metal produced by the method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38.
KR1020057012425A 2002-12-31 2003-12-19 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KR2005008986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2953566 2002-12-31
AU2002953566A AU2002953566A0 (en) 2002-12-31 2002-12-31 Removing contaminants from sulfidic materials
AU2003902311 2003-05-02
AU2003902311A AU2003902311A0 (en) 2003-05-02 2003-05-02 Removing contaminants from sulfidic materials
AU2003903167 2003-06-20
AU2003903167A AU2003903167A0 (en) 2003-06-20 2003-06-20 Recovery of precious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867A true KR20050089867A (en) 2005-09-08

Family

ID=3268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425A KR20050089867A (en) 2002-12-31 2003-12-19 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858056B2 (en)
EP (1) EP1583848B1 (en)
JP (1) JP2006512484A (en)
KR (1) KR20050089867A (en)
AR (1) AR051153A1 (en)
AT (1) ATE516375T1 (en)
AU (2) AU2003287781B2 (en)
BR (1) BR0317218A (en)
CA (1) CA2511662C (en)
CL (1) CL2003002781A1 (en)
MX (1) MXPA05007123A (en)
MY (1) MY135411A (en)
PE (1) PE20040819A1 (en)
WO (1) WO200405901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7559B (en) * 2005-02-16 2006-11-30 Outokumpu Oy Procedure for extracting gold from a gold-containing solution
FI118429B (en) * 2005-02-16 2007-11-15 Outokumpu Oy Method for recovering gold from sulphide concentrate
FI119438B (en) * 2005-05-03 2008-11-14 Outokumpu Oy Method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and arsenic from solution
PE20070861A1 (en) * 2005-10-19 2007-08-29 Dundee Precious Metals Inc PROCEDURE TO RECOVER METALLIC VALUES FROM MATERIALS CONTAINING ARSENIC AND / OR ANTIMONY
FI118302B (en) * 2006-02-17 2007-09-28 Outotec Oyj Procedure for the extraction of gold
US7985277B2 (en) * 2006-03-03 2011-07-26 Metal Asia International, Ltd. Process for extracting gold from gold-bearing ore
US7972413B2 (en) * 2006-04-07 2011-07-05 Metal Asia International Ltd. Precious metal recovery from solution
KR101254498B1 (en) * 2006-09-27 2013-04-19 도와 메탈스 앤드 마이닝 가부시끼가이샤 Process for producing iron arsenide compound with good crystallinity
JP4216307B2 (en) * 2006-09-27 2009-01-28 日鉱金属株式会社 Process for electrolytically precipitated copper
JP4642796B2 (en) * 2006-09-28 2011-03-0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Gold leaching method
JP2008189946A (en) * 2007-01-31 2008-08-21 Iwate Univ Carbide carrying triazine thiol,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ide carrying triazine thiol, method for adsorbing metal ion, and method for recovering metal
JP5102519B2 (en) * 2007-03-15 2012-12-19 Dowaメタルマイン株式会社 Arsenic-containing solid and its production method
JP4268196B2 (en) * 2007-03-19 2009-05-27 日鉱金属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corodite
CN101595056A (en) * 2007-04-18 2009-12-02 奥察德材料技术公司 Oxidation as the raw metal of the part of refinement, purifying and/or refinery practice
JP4999108B2 (en) * 2008-03-27 2012-08-15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Gold leaching method
JP4468999B2 (en) 2008-03-27 2010-05-26 日鉱金属株式会社 Method for recovering metals from minerals
JP4717908B2 (en) 2008-08-11 2011-07-0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Method for recovering copper from a chloride bath containing copper
JP4723629B2 (en) 2008-11-13 2011-07-13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Silver recovery method using anion exchange resin
US20100263490A1 (en) 2009-04-16 2010-10-21 Freeport-Mcmoran Copper & Gold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ing rhenium from a copper leach
EP2536860A1 (en) 2010-02-18 2012-12-26 Neomet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the recovery of gold from an ore in chloride medium with a nitrogen species
BR112012020460A2 (en) 2010-02-18 2019-09-17 Neomet Tech Inc method for recovering hydrochloric acid and metal from a chloride liquor, use of a matrix solution, reactor for recovering hydrochloric acid and for oxidation / metal hydrolysis from the metal chloride solution and process for recovering hydrochloric acid and oxidation / ferrous iron hydrolysis from a ferrous chloride solution
US20120164041A1 (en) * 2010-12-27 2012-06-28 Altynalmas Gold Ltd., a Canada Corporation Stabilization of Arsenic-Containing Wastes Generated During Treatment of Sulfide Ores
JP5319718B2 (en) * 2011-03-04 2013-10-1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Methods for leaching copper and gold from sulfide ores
CN103582710A (en) * 2011-04-01 2014-02-12 Fl史密斯公司 System and process for the continuous recovery of metals
CA2832887A1 (en) 2011-04-11 2012-10-18 ADA-ES, Inc. Fluidized bed method and system for gas component capture
US9051626B2 (en) * 2011-09-27 2015-06-09 Dundee, Technologies Durables Inc. Method and a system for gold extraction with halogens
CA2865721C (en) 2012-03-01 2017-08-01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Method of recovering gold adsorbed on activated carb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old using the same
US9278314B2 (en) 2012-04-11 2016-03-08 ADA-ES, Inc. Method and system to reclaim functional sites on a sorbent contaminated by heat stable salts
CA2882384C (en) * 2012-08-22 2018-02-20 Bhp Chile Inc. Heap leaching method
JP6329939B2 (en) * 2013-03-29 2018-05-23 Jx金属株式会社 Gold ore pretreatment method
CN103194598A (en) * 2013-04-19 2013-07-10 贵州东华工程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improving recovery rate of gold ore difficult to treat by adopting sulfuric acid leaching reduction process
FI124954B (en) * 2013-04-30 2015-04-15 Outotec Oyj A process for preparing a solution containing gold and a process arrangement for recovering gold and silver
US10077487B2 (en) * 2013-05-29 2018-09-18 Barrick Gold Corporation Method for arsenic oxidation and removal from process and waste solutions
CN104419827B (en) * 2013-08-30 2017-01-25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Heap-leaching based biological pre-oxidation method for refractory gold ore
PE20211336A1 (en) * 2014-01-31 2021-07-26 Goldcorp Inc PROCESS FOR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METAL SULFIDES FROM A MIXED SULFIDE MINE OR CONCENTRATE
PE20170280A1 (en) 2014-05-12 2017-03-30 Summit Mining Int Inc BRINE LEACHING PROCESS FOR THE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OXIDE MATERIALS
WO2016134420A1 (en) * 2015-02-24 2016-09-01 Intec International Projects Pty Ltd Processing of sulfidic ores
JP6441127B2 (en) * 2015-03-06 2018-12-19 Jx金属株式会社 Activated carbon regeneration method and gold recovery method
WO2016143837A1 (en) 2015-03-06 2016-09-15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Activated carbon regeneration method and gold recovery method
EP3767011A1 (en) 2015-10-28 2021-01-20 Calera Corporation Electrochemical, halogenation, and oxyhalogen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619254B2 (en) 2016-10-28 2020-04-14 Calera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hlorination, and oxychlorination systems and methods to form propylene oxide or ethylene oxide
RU2657254C1 (en) * 2017-07-21 2018-06-0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орно-хим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ФГУП "ГХК") Method of gold recovery from solid silver-containing sulfide ores of concentrates and of secondary raw materials
US10556848B2 (en) 2017-09-19 2020-02-11 Caler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lanthanide halide
RU2651017C1 (en) * 2017-09-20 2018-04-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Золотодобывающая Корпорация" Method of leaching pyrite containing raw materials
US10590054B2 (en) 2018-05-30 2020-03-17 Calera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to form propylene chlorohydrin from dichloropropane using Lewis acid
RU2754726C1 (en) * 2021-01-13 2021-09-06 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Шишов Method for recovering gold from refractory ores
EP4316644A1 (en) 2021-03-24 2024-02-07 DIC Corporation Noble metal adsorbent, noble metal recovery method, and noble metal adsorbent recyling method
WO2022235356A1 (en) * 2021-05-03 2022-11-10 Phoenix Tailings Inc. Noble metal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PL440757A1 (en) * 2022-03-25 2023-10-02 Akademia Górniczo-Hutnicza im. Stanisława Staszica w Krakowie Method for recovering Pt, Pd, Rh, Au from highly diluted aqueous solutions and system for recovering Pt, Pd, Rh, Au from highly dilute aqueous solution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3198A (en) * 1940-11-01 1942-05-19 Colin G Fink Bromine process for gold ores
US2358569A (en) 1943-03-13 1944-09-19 James D Gerahty Container
US2835569A (en) * 1956-04-19 1958-05-20 Electro Chimie Metal Process of extracting gold and other metals from ores, concentrates, residues and the like containing principally cobalt, nickel, iron, arsenic and gold
CA1063809A (en) * 1975-12-11 1979-10-09 Godefridus M. Swinkels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metal sulphides
US4342592A (en) * 1979-07-19 1982-08-03 Duval Corporation Non-polluting process for recovery of precious metal values from ores including those containing carbonate materials
CA1156047A (en) * 1980-08-22 1983-11-01 Donald R. Weir Recovery of uranium from material containing iron, arsenic and siliceous matter
AU545429B2 (en) 1980-09-29 1985-07-11 Dextec Metallurgical Pty. Ltd. Recovery of silver and gold from ores and concentrates
IT1228590B (en) 1982-08-05 1991-06-24 Dextec Metallurg Silver and gold recovery from ores
US4647307A (en) * 1983-01-18 1987-03-03 Rein Raudsepp Process for recovering gold and silver from refractory ores
US4551213A (en) * 1984-05-07 1985-11-05 Duval Corporation Recovery of gold
EP0227689A1 (en) * 1985-06-27 1987-07-08 Cheminor A/S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etals by electrolysis
DE3534224A1 (en) * 1985-09-23 1987-04-02 Gock Eberhard Priv Doz Prof Dr METHOD FOR THE WET-CHEMICAL EXTRACTION OF PRECIOUS METALS FROM CARBON-CONTAINING ARSENOPYRITE CONCENTRATES
US4878945A (en) * 1986-05-29 1989-11-07 Rein Raudsepp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treating refractory ores containing precious metals
US5620585A (en) * 1988-03-07 1997-04-15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Inorganic perbrom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627603B2 (en) 1989-09-18 1992-08-27 Geevor Del Ecuador C.A. A method for gold recovery using chlorine dioxide solution
US5196095A (en) * 1990-04-03 1993-03-23 Henkel Corp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a metal from an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 mixture of metal chlorides
US5332559A (en) 1991-07-10 1994-07-26 Newmont Gold Co. Biooxidation process for recovery of metal values from sulphur-containing ore materials
AP538A (en) * 1992-06-26 1996-09-18 Intec Pty Ltd Production of metal from minerals
US5338338A (en) * 1992-09-22 1994-08-16 Geobiotics, Inc. Method for recovering gold and other precious metals from carbonaceous ores
RU2033446C1 (en) 1993-12-23 1995-04-20 Марат Ахмедович Меретуков Method for processing of rebellious silver-, gold-containing materials, ores and concentrates
US5458866A (en) * 1994-02-14 1995-10-17 Santa Fe Pacific Gold Corporation Process for preferentially oxidizing sulfides in gold-bearing refractory ores
US5612431A (en) * 1994-09-21 1997-03-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eaching of precious metal ore with fluoroaliphatic surfactant
US5820966A (en) * 1997-12-09 1998-10-13 Inco Limited Removal of arsenic from iron arsenic and sulfur dioxide containing solutions
AUPP543798A0 (en) 1998-08-24 1998-09-17 Technological Resources Pty Limited Hydrometallurgical extraction of copper and other valuable metals
US20020152845A1 (en) 1999-04-28 2002-10-24 Fleming Christopher A. Oxidative pressure leach recovery of precious metals using halide ions
JP2001049481A (en) 1999-08-12 2001-02-2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Stripping sheet for electrolyzing metal
AUPQ393499A0 (en) * 1999-11-09 1999-12-02 Holbray Pty Ltd Recovery of metal values from aqueous solutions and slurries
CN1079439C (en) * 1999-11-11 2002-02-20 聂如林 Process for cyanogen-free lixiviating of gold from gold-contained substances
RU2179594C1 (en) 2000-05-26 2002-02-20 Васильев Михаил Георгиевич Method of processing gold-arsenic sulfide materials
WO2002042503A1 (en) 2000-11-21 2002-05-30 Orthotech Industrial Corporation Recovery of precious metals from carbonaceous refractory ores
AU783904B2 (en) 2001-04-10 2005-12-22 Grd Minproc Limited Improved processing of precious metal-containing materials
ES2184630B1 (en) * 2001-08-03 2004-01-16 Soc Es Carburos Metalicos Sa METHODS OF SELECTIVE LIXIVIATION OF METALS.
FI113667B (en) 2002-04-23 2004-05-31 Outokumpu Oy Method for recovering g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100077B4 (en) 2010-04-08
CA2511662A1 (en) 2004-07-15
JP2006512484A (en) 2006-04-13
AU2003287781A1 (en) 2004-07-22
CL2003002781A1 (en) 2005-04-22
EP1583848B1 (en) 2011-07-13
BR0317218A (en) 2005-11-22
MXPA05007123A (en) 2006-02-08
PE20040819A1 (en) 2004-12-25
AR051153A1 (en) 2006-12-27
EP1583848A4 (en) 2007-06-20
AU2003287781A2 (en) 2004-07-22
AU2010100077A4 (en) 2010-02-25
CA2511662C (en) 2017-01-17
ATE516375T1 (en) 2011-07-15
MY135411A (en) 2008-04-30
US7858056B2 (en) 2010-12-28
EP1583848A1 (en) 2005-10-12
WO2004059018A1 (en) 2004-07-15
AU2003287781B2 (en) 2010-02-25
US20070014709A1 (en)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9867A (en) 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US7785395B2 (en) Method for the recovery of gold from sulphide concentrate
JP3705815B2 (en) Mineral leaching process at atmospheric pressure
US7559973B2 (en) Precious metal recovery using thiocyanate lixiviant
US5851499A (en) Method for pressure oxidizing gold-bearing refractory sulfide ores having organic carbon
US5104445A (en) Process for recovering metals from refractory ores
JPS61186430A (en) Recovery of gold from aqueous slurry formed from ore hard totreat
KR20080016607A (en) A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electric and other furnace dusts and residues containing zinc oxides and zinc ferrites
JPS622616B2 (en)
Harvey The hydrometallurgical extraction of zinc by ammonium carbonate: a review of the Schnabel process
WO2003060172A2 (en) Pressure oxidation of ore containing silver
Jha Refractoriness of Certain Gold OrestoCyanidation: Probable Causes and Possible Solutions
WO2011047477A1 (en) Leaching process for copper concentrates with a carbon catalyst
ZA200505261B (en) Recovering metals for sulfidic materials
JPH02197533A (en) Separation of valuable metal
RU2353679C2 (en) Metals extraction from sulfide materials
Eugene et al. Gold extraction and recovery processes
AU2016224142B2 (en) Processing of sulfidic ores
Bartlett Processing of cobalt-copper-arsenic complex ore concentrate
SA04250007A (en) Recovering metals from sulfidic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