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371A -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371A
KR20050089371A KR1020040014733A KR20040014733A KR20050089371A KR 20050089371 A KR20050089371 A KR 20050089371A KR 1020040014733 A KR1020040014733 A KR 1020040014733A KR 20040014733 A KR20040014733 A KR 20040014733A KR 20050089371 A KR20050089371 A KR 2005008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eadset
microphone
storage devic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윤
남택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4001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371A/ko
Publication of KR2005008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3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촬영장치는, 장착자의 시야방향을 감지하는 아이 트래커와, 상기 아이 트래커에서 감지되는 시야방향에 따라 렌즈의 방향이 변하는 디지탈 카메라(40)와, 장착자의 한 쪽 눈 앞에 위치하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뷰파인더(50)와, 장착자의 음성을 캐취하기 위한 촬영용 마이크와, 이어폰(30)을 포함하는 헤드셋 카메라; 및 인터뷰를 위한 인터뷰용 마이크(70)와, 인터뷰용 마이크와 촬영용 마이크에 캐취되는 음성과 카메라(40)에 찍히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시청각 출력장치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VJ, 리포터, 다큐멘터리 작가 등이 개인적인 활동을 하면서 신속한 화면포착이 주가 되는 사건을 촬영할 때 매우 적합하며, 사용자의 의지에 직관적이고 빠르게 반응하여 기존의 어깨에 메는 형식의 카메라로 제작하였던 방송물과는 다르게 직관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작가가 카메라맨을 겸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작가의 개성이 더욱 뚜렷하게 피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Headset moving camera for one person documentarian}
본 발명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혼자 스스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손으로는 카메라를 들어야 하고 필요시에는 음성녹음까지 하면서 촬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소형의 디지탈 캠코더를 이용하더라도 직관적인 촬영은 어려워 작가의 개성이 뚜렷이 담긴 작품을 제작하기가 힘들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VJ(Video Journalist), 리포터, 또는 다큐멘터리 작가들이 혼자서 직접 본인의 의도가 그대로 반영된 직관적인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촬영장치는, 장착자의 시야방향을 감지하는 아이 트래커와, 상기 아이 트래커에서 감지되는 시야방향에 따라 렌즈의 방향이 변하는 디지탈 카메라와, 장착자의 한 쪽 눈 앞에 위치하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뷰파인더와, 장착자의 음성을 캐취하기 위한 촬영용 마이크와, 이어폰을 포함하는 헤드셋 카메라; 및 인터뷰를 위한 인터뷰용 마이크와, 상기 인터뷰용 마이크와 상기 촬영용 마이크에 캐취되는 음성과 상기 카메라에 찍히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시청각 출력장치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 트래커는 상기 뷰파인더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어폰은 상기 청각출력장치에서 나오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편집장치에는 내장형 마우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저장장치에 시나리오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장치를 더 구비하면 좋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헤드셋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휴대용 콘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촬영장치는 상기 헤드셋 카메라와 휴대용 콘트롤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카메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12)를 통해서 머리에 장착이 가능한 프레임(10)에 여러가지 장치가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장착자의 시선방향을 감지하는 아이 트래커(eye tracker, 미도시)와, 상기 아이 트래커에서 감지되는 시선방향에 따라 렌즈의 방향이 변하는 디지탈 카메라(40)와, 상기 디지탈 카메라의 렌즈에 잡히는 피사체를 장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의 뷰파인더(50)와, 장착자가 촬영하면서 멘트를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촬영용 마이크(미도시)와, 이어폰(30)과, 충전지(20)가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뷰파인더(50)는 슬라이딩 등에 의해 장착자의 한 쪽 눈 앞에 위치하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뷰파인더(50)가 눈 앞이 아닌 다른 곳에 위치하면 장착자가 뷰파인더(50)를 보기 위하여 눈동자를 돌릴 경우 카메라 렌즈도 뷰파인더도 쪽으로 돌아가 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한쪽 눈 바로 앞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나머지 한쪽 눈으로는 사물을 바라보게 된다.
상기 아이 트래커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쉽게 간파할 수 있도록 뷰파인더(5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촬영용 마이크는 카메라(4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 트래커를 통한 카메라의 움직임은 이미 알려진 아이 트래킹 기술을 사용하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컨트롤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뷰를 위한 인터뷰용 마이크(70)와, 상기 인터뷰용 마이크 또는 상기 촬영용 마이크에 캐취되는 음성과 상기 카메라에 찍히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미도시)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90)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청각출력장치(미도시)와,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0, 80)를 포함한다.
상기 청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이어폰(30)을 통해서도 들을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영상의 저장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저장장치에 시나리오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 음성, 및 시나리오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의 입력은 다운로드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판을 통한 직접입력에 의할 수도 있다. 이 때의 자판은 외장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90)를 통해 시나리오를 확인하면서 예정 스케쥴대로 촬영하고 이를 즉시 편집할 수 있다.
상기 편집장치를 통한 편집은 카메라의 제어를 겸용하는 제어버튼(80)을 상하좌우로 누르면서 여러가지 메뉴를 선택하고, 외장형으로 설치되는 자판이나 마우스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마우스가 터치 패드 방식의 내장형이면 더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VJ, 리포터, 다큐멘터리 작가 등이 개인적인 활동을 하면서 신속한 화면포착이 주가 되는 사건을 촬영할 때 매우 적합하며, 사용자의 의지에 직관적이고 빠르게 반응하여 기존의 어깨에 메는 형식의 카메라로 제작하였던 방송물과는 다르게 직관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작가가 카메라맨을 겸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작가의 개성이 더욱 뚜렷하게 피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촬영장치를 이루는 헤드셋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촬영장치를 이루는 휴대용 콘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 프레임 13: 귀걸이
30: 이어폰 40: 디지탈 카메라
50: 뷰파인더 60: 제어장치
70: 인터뷰용 마이크 90: 디스플레이

Claims (7)

  1. 장착자의 시야방향을 감지하는 아이 트래커와, 상기 아이 트래커에서 감지되는 시야방향에 따라 렌즈의 방향이 변하는 디지탈 카메라와, 장착자의 한 쪽 눈 앞에 위치하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뷰파인더와, 장착자의 음성을 캐취하기 위한 촬영용 마이크와, 이어폰을 포함하는 헤드셋 카메라; 및
    인터뷰를 위한 인터뷰용 마이크와, 상기 인터뷰용 마이크와 상기 촬영용 마이크에 캐취되는 음성과 상기 카메라에 찍히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시청각 출력장치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트래커는 상기 뷰파인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청각출력장치에서 나오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장치는 내장형 마우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저장장치에 시나리오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촬영장치.
KR1020040014733A 2004-03-04 2004-03-04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 KR20050089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733A KR20050089371A (ko) 2004-03-04 2004-03-04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733A KR20050089371A (ko) 2004-03-04 2004-03-04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371A true KR20050089371A (ko) 2005-09-08

Family

ID=3727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733A KR20050089371A (ko) 2004-03-04 2004-03-04 1인 다큐멘터리 작가에게 적합한 헤드셋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3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68B1 (ko) * 2012-10-15 2013-04-12 신장진 카메라 모듈 장착용 헤드셋
WO2013130273A1 (en) * 2012-02-29 2013-09-06 Google Inc. Image capture based on gaze detection
US11153472B2 (en) 2005-10-17 2021-10-19 Cutting Edge Vision, LLC Automatic upload of pictures from a camer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3472B2 (en) 2005-10-17 2021-10-19 Cutting Edge Vision, LLC Automatic upload of pictures from a camera
US11818458B2 (en) 2005-10-17 2023-11-14 Cutting Edge Vision, LLC Camera touchpad
WO2013130273A1 (en) * 2012-02-29 2013-09-06 Google Inc. Image capture based on gaze detection
US9058054B2 (en) 2012-02-29 2015-06-16 Google Inc. Image capture apparatus
KR101254468B1 (ko) * 2012-10-15 2013-04-12 신장진 카메라 모듈 장착용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4641B2 (en) Wearable video camera medallion with circular display
JP502366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
US1012291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camera using a touch slider
US9800975B1 (en) Audio system for a digital camera
US9838607B2 (en) Passive optical electronic camera viewfinder apparatus
JPWO2015125626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118380B (zh) 相机操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102253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udio based on changes in active speaker
KR20170030789A (ko)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60309069A1 (en) Lighting System for a Camera Including Multiple LEDS
JP201409038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371802A (zh) 终端音量控制方法及装置
US11546690B2 (en) Processing audio and video
US20220312128A1 (en) Hearing aid system with differential gain
US202202323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oactive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words
US11929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attenuating a voice
US202103508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udio and video using a voice print
US10075624B2 (en) Wearable portable camera
TW201228332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115807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audio and image information
US11432067B2 (en) Cancelling noise in an open ear system
US20160309063A1 (en) Digital Camera Accessory Providing a Secondary Image Capture Device (&#34;SICD&#34;)
WO2018166081A1 (zh) 一种耳机
US20160034252A1 (en) Smart device control
JP200828882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