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333A -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333A
KR20050089333A KR1020040014685A KR20040014685A KR20050089333A KR 20050089333 A KR20050089333 A KR 20050089333A KR 1020040014685 A KR1020040014685 A KR 1020040014685A KR 20040014685 A KR20040014685 A KR 20040014685A KR 20050089333 A KR20050089333 A KR 2005008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resistance
functional food
brown rice
food composition
buck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숙희
김정인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제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to KR102004001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333A/ko
Publication of KR2005008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식품조성물은 인슐린저항성 개선효과를 판정하는 주요지표인 혈압,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HOMA-IR 등의 수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로써 유용하고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 preventing insulin resistance syndrom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이란 포도당 대사능의 감소, 포도당 이용에 대한 저항, 고인슐린혈증, 내당능장애, 고혈당, 고혈압, 중성지방의 상승, HDL-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임상적 특징이 2∼3개 이상 복합된 양상으로 존재하는 군집성(cluster)증후군으로 '증후군 X(syndrome X)' 또는 '인슐린저항성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 IRS)', '복합성대사증후군(multi metabolic syndrome, MMS)', '대사성증후군'으로 명명되고 있다(G Reaven, et al., Diabetes, 37(12), pp1595-607, 1998; Wen-Harn Pan., Acta. Cardiol., 18, pp24-26, 2002; R Deepa, et al., Indian J. Med. Res., 115, pp118-127, 2002).
인슐린저항성이 지속되면 인슐린 분비능이 한계에 달해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면서, 식후 혈당증가를 억제하지 못하게 되므로 공복혈당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인슐린저항을 극복할 만큼의 인슐린 분비량이 충분히 되지 않으면,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상태로 진행되고, 인슐린 분비 부족이 심하게되면 고혈당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당뇨병으로 이환된다(Markku Laakso, et al., Atherosclerosis, 137, ppS65-S73, 1999; W Metzler, et al., Eur. J. of Internal. Med., 13, pp108-114, 2002).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진단기준에 대한 정의는 국가별, 연구자 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데, 1998년 WHO, 2001년 NCEP-ATPⅢ(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 adult treatment panel Ⅲ), 2002년 유럽 인슐린저항성연구회(European group for the study of insulin resistance recommendation)에서는 BMI, 공복혈당, 혈압과 중성지방(triglyceride),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허리둘레, WHR(waist-to-hip ratio)을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주요 진단기준 요소(component)로 정의하였으며, 그 외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부가 위험인자로 피브리노겐, PAI-1, 요산(Uric acid)을 포함시켰다(G. Reaven, et al., J. of Cardiology, 66, pp293-297, 1998; F. Facchini, et al., JAMA, 266(21), p3008, 1991).
또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에서 공통적인 주요 임상증상으로 나타나는 인슐린저항성(insulin resistance)은 주어진 인슐린농도 하에서 인슐린에 대한 반응이 정상보다 감소되어 있는 상태 즉, 포도당을 조직 속으로 운반, 수송하고 이용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는 데, 이때 인슐린 보상작용(insulin compensation action)으로 췌장에서는 인슐린 분비가 더욱 촉진되어 혈장 인슐린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인슐린저항성으로 인한 고인슐린혈증은 제2형 당뇨병,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죽상동맥경화증 등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들의 중심적인 병인으로서 강조되고 있다(G. Reaven, Diabetes, 3 7(12), pp1595-607, 1998; Bo Isomma, et al., Diabetes Care, 24(4), pp683-689, 2001).
인슐린저항성의 원인은 기본적으로 환경적 및 유전적 요인에 기인한다. 인슐린저항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유전자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가족력 중에 당뇨병이나 고혈압, 뇌졸증, 비만, 심혈관질환 등이 있을 때 인슐린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비만과 활동량 부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스트레스, 과식, 과음 등도 중요한 인자이다(G Reaven, Terry Strom, Barry Fox, Simon & Schuster, Inc, pp45-46, 2000).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에 있어서 인슐린저항성이 개선되었다는 것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의 작용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에서 주요 진단요소인 인슐린저항성 측정법으로는 인슐린클램프 검사(euglycemic hyperinsulinaemic glucose clamp test), HOMA-IR(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I0(fasting insulin),G0/I0 (fasting glucose-to-fasting insulin) 등이 있다(M. Laakso, Am. J. Epidemiol., 137, pp959-965F, 1993). 이 중 인슐린클램프 검사가 객관적, 정량적 측정방법 이지만 임상적으로 쉽게 사용되기에는 시간과 경제적으로 애로점이 있다(RA De Fronzo, et al., Am. J. Physiol., 237, ppE214-E223, 1979). 따라서, 공복 혈장 인슐린 농도(I0, M. Laakso. Am. J. Epidemiol., 137, pp959-965, 1993), HOMA-IR(DR Mathews, et al., Diabetologia, 28, pp412-419, 1985)로 측정하기도 한다. 이 중 HOMA-IR은 인슐린클램프검사에 비해 인슐린민감도를 65 % 정도 설명하는 데(E Bonora et al, Diabetes Care, 25, pp 1135-1141, 2002), 현재, 인슐린클램프검사를 하지 않고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인슐린저항성을 간단하게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이다.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임상증상 개선을 위한 식사요법 원칙은 복합탄수화물을 위주로한 저탄수화물식사(low carbohydrate diet)가 추천되고 있다(G Reaven, Terry Strom, Barry Fox, Simon & Schuster, Inc, pp45-46, 2000).
최근,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쌀과 혼합하여 주식으로 즐겨먹고, 밥 이외에 간식의 형태로도 각 가정에서 찌거나 볶아서 섭취해 온 곡류식품이 대량 생산되어 선식이나 생식형태로 '1끼 식사대용식(replacement meal)' 또는 '건강식(healthy diet)'으로 많이 보급되어 섭취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곡류를 주(主)성분으로 하여 기타 채소류, 두류, 견과류, 과일류 등의 재료들을 적절히 배합한 혼합곡류 식이가 비만증을 포함한 만성퇴행성질환 개선용 제품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효능검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고가(高價)로 유통되고 있는 제품이 대부분이어서 과학적인 생리활성 효과 규명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특허출원 제2003-0023747호에서는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cGMP PDE5 억제제의 용도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2002-7015204호에서는 인슐린 저항성 및/또는 비만 예방제 혹은 개선제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나 교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상용 곡류 중에서 식이섬유질의 함량이 높아 탄수화물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기대되는 보리, 현미, 메밀을 주(主)성분으로 한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인슐린저항성 개선 효과를 인체시험(Human study)을 통하여 조사해 본 결과, 그 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보리, 메밀, 현미를 각각 물에 침지시켜 불린 후 찌고 건조하여 볶은 다음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다음,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현미는 찹쌀현미, 멥쌀현미 또는 일반현미, 바람직하게는 찹쌀현미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보리, 메밀 및 현미를 전처리하는 제 1단계, (2)곡류에 따라 물의 부피와 침지시간을 달리하여 침지시켜 불리는 제 2단계, (3)증기압 약 1 내지 5 kg/m2 증기에 찌는 제 3단계, (4)건조시킨 후 볶고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제 4 단계, (5)보리: 메밀: 현미를 약 3-5: 2-4: 2-4의 일정한 혼합비, 바람직하게는 약 4: 3: 3으로 혼합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진 제조공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단계에서는 보리(국산), 메밀(국산), 현미(국산)를 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1회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 2단계에서는 물의 부피를 보리 부피의 약 0.1 내지 3배, 바람직하게는 약 0.3배, 메밀 부피의 약 0.1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0.7배로, 현미 부피의 약 0.1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약 1.5배로, 시간은 보리의 경우는 약 1분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약 40분, 메밀의 경우는 약 1분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약 40분, 현미의 경우는 약 1분 내지 150분, 바람직하게는 약 50분으로 달리하여 물에 침지시켜 불린다.
제 3단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물에 침지시켜 불린 각각의 곡류를 증기압 약 1 내지 5 kg/m2, 바람직하게는 약 3 kg/m2에서 약 1분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약 30분간 찐다.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 3단계에서 증기에 찐 각각의 곡류를 1일 내지 10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5일 동안, 자연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곡류는 각각 약 8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약 110∼120 ℃에서 약 1분 내지 1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3∼4분 동안 볶은 후, 분쇄하여 분말화시킨다.
제 5단계에서는 상기 제 4단계에서 분쇄한 곡류인 보리: 메밀: 현미를 약 3-5: 2-4: 2-4의 일정한 혼합비, 바람직하게는 약 4 : 3 : 3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진 제조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조된 기능성식품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기능성식품조성물은 1 포에 40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70 g으로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들을 통하여 상기의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기능성식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체에 대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인슐린저항성 개선효과를 판정하는 주요지표인 혈압,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HOMA-IR 등의 수치를 감소시키는 등 그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조성물 외에 기타 식품 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과자류, 당류, 아이스크림 제품류, 유가공품, 식육제품, 어육제품, 두부류 또는 묵류, 식용유지류, 면류, 다류, 음료류, 특수영양식품,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 얼음, 인삼제품류, 김치·절임식품, 건포류 외 기타 식품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식품의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또는 음료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 mary extract),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조성물은 20 내지 90 % 고농축액이거나 분말이거나 과립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솔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품첨가제의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액상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식품첨가제를 식품에 살균제, 향신료, 조미제,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또는 식품소재의 필수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을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경우는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15 중량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에는 100 ㎖를 기준으로 0.5 ∼ 20 g, 바람직하게는 1 ∼10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제조
기능성식품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곡류로는 보리(국산), 메밀(국산), 찹쌀현미(국산)를 사용하였다. 먼저, 각각의 곡류를 1회 세척(washing)한 후, 보리, 메밀, 찹쌀현미 각각 80 kg을 물의 부피(보리부피의 약 0.3배, 메밀부피의 약 0.7배, 현미부피의 약 1.5배)와 침지 시간(보리의 경우: 약 40분, 메밀의 경우: 약 40분, 현미의 경우: 약 50분)을 달리하여 물에 침지시켜 불린 다음 증기압 약 3 kg/m2에서 약 30분간 찐 후, 약 5일간 자연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곡류는 각각 약 110∼120 ℃에서 약 3∼4분간 볶은 후,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후, 분쇄한 곡류는 보리: 메밀: 현미를 약 4 : 3 : 3으로 혼합하여 기능성식품조성물을 제조한 후 1포에 70 g으로 포장하여 제품화하였다(도 1 참조).
실험예 1. 기능성식품조성물이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섭취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연구대상 선별
연구대상으로 연령 35 ∼ 55세, 체지방(body fat) 30 % 이상인 성인 11명(남자 6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당뇨병과 심장질환, 간질환자들은 제외시켰고, 시험 참가자의 평균 연령과 신장은 각각 43.3 ± 5.9세, 167.8 ± 11.2 cm였다.
1-2. 시험식이의 섭취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기능성식품조성물 70 g을 200 ㎖의 우유와 함께 1일 1회 즉, 하루 식사 중 가장 열량이 적은 식사의 대체식사(replacement meal)로 12주간 섭취하도록 하였고, 그 외 2 끼의 식사와 생활습관, 활동상황은 평소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복용 중인 비타민제나 한약, 건강식품 등의 보조제들을 시험 시작 2달 전부터 복용을 중지시켰다.
1-3. 통계처리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mean ± SD)로 표시하였으며, 시험식이 섭취 전, 후의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쌍체검정(paired t-test)으로 분석하였고,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1-4. 혈압 및 혈액 분석
혈압은 표준 수은주 혈압계를 사용하여 시험 시작 전과 후 각각 1주 간격을 두고 2회 측정한 값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혈액 분석은 채혈 전날 밤 10시 이후에는 금식시킨 후, 다음날 아침 공복 상태에서 정맥 혈액을 채취한 후, 공복상태의 환자에게 75 g 포도당을 섭취시키고, 120분에 정맥혈을 채취하였다. 채혈한 샘플은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혈장의 포도당 함량은 포도당 산화효소(glucose oxidase)법(GlUCOSE No 510, Sigma, USA), 인슐린 농도는 RIA(HUMAN INSULIN SPECIFIC RIA KIT, LINCO, USA)법으로 측정하였고, PAI-1은 분석키트(assay kit)(TintElize PAI-1, Sigma, USA)를 이용한 효소면역법, 피브리노겐은 트롬빈 시약 키트(Thrombin Reagent kit, Sigma, USA)로 측정하였다. 한편, 모든 자료는 시험 시작 전과 후 각각 1주 간격을 두고 2회 채혈하여 측정한 값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 예 1의 기능성식품조성물 섭취 전, 후의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개선효과에 대한 변화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보면, 평균 수축기 혈압은 기능성식품조성물 섭취 전에 126.0 ± 18.8 mmHg이었으나, 12주간 섭취 후에는 116.0 ± 21.1 mmHg로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고(10.0, p < 0.05), 평균 이완기 혈압은 섭취 전 83.8 ± 14.1 mmHg에서 76.5 ± 6.6 mmHg로 7.3 mmHg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슐린저항성에 의해 고인슐린 혈증을 가진 경우 정상 인슐린 농도군에 비해 고혈압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절대적으로 많은데(Pankaj Malhotra, et al., International J. of Cardiology, 65, pp91-99, 1998; V Mdnicardi, et al., J. of Cli. End. & Met., l62, pp1302-1304, 1992), NHBLI(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의 가족 심장 연구(Family Heart Study) 결과, 인슐린 농도와 혈압은 상관관계가 높고, BMI를 보정시킨 후에는 이완기혈압(diastolic blood pressur, DBP)과 인슐린 농도와의 관련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보고하였다(Alez Zemva., J of Cardiology, 66, pp293 -297, 1998). 따라서, 본 실험결과 장기간의 기능성식품조성물 섭취는 이완기혈압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인슐린저항성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하기 표 1에서 보면 공복혈당은 기능성식품조성물 섭취 전 108.1 ± 13.9 mg/㎗에서 103.7 ± 12.5 mg/㎗로 4.4 mg/㎗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p < 0.01), 공복 인슐린 농도도 기능성식품조성물 섭취 전 15.9 ± 7.4 μU/㎖에서 13.3 ± 6.0 μU/㎖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2.6 μU/㎖, p < 0.05).
한편,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부가 구성요소로 항혈액응고인자인 피브리노겐과 PAI-1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PAI-1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5. HOMA-IR 측정
HOMA-IR은 인슐린저항성 개선효과 측정의 주요 진단 지표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테우스(Mathews)가 제시한 공복 혈장 인슐린농도와 혈당을 이용한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HOMA-IR을 계산하였다(DR Mathews, et al., Diabetologia, 28, pp412-419, 1985).
HOMA-IR = 공복인슐린(I0) (μU/㎖) × 공복혈당(G0) (mM/ℓ) / 22.5
그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면 HOMA-IR은 기능성식품조성물 섭취 전 4.3 ± 2.4에서 섭취 후 3.4 ± 1.9로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0.9, p < 0.05).
항목 섭취전 섭취후 변화 p-수치
SBP1) 126.0 ± 18.8 116.0 ± 21.1 -10.0 ± 1.3 0.047*
DBP2) 83.8 ± 14.1 76.5 ± 6.6 - 7.3 ± 7.5 0.12
FPG(mg/㎗)3) 108.1 ± 13.9 103.7 ± 12.5 - 4.4 ± 1.4 0.01**
FI(uU/㎖)4) 15.9 ± 7.4 13.3 ± 6.0 - 2.6 ± 1.4 0.04*
HOMA-IR5) 4.3 ± 2.4 3.4 ± 1.9 - 0.9 ± 0.5 0.02*
PA1-1(ng/㎖)6) 54.1 ± 15.6 48.3 ± 9.5 - 5.8 ± 6.1 0.104
피브리노겐(mg/㎗) 252.1 ± 61.5 254.2 ± 40.8 + 2.1 ± 20.7 0.913
평균±표준편차(M±SD): p < 0.05*, p 〈 0.01** 1)평균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2)평균 이완기 혈압( diastolic blood pressure),3)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4)공복 인슐린 농도(fasting insulin),5)항상성 모델 평가(homeostasis model assessment),6)혈장 활성인자의 저해인자(plasma activator inhibitor)
상기와 같이 연령 35∼55세, 체지방 30 % 이상인 성인 11명을 대상으로 기능성식품조성물을 장기 섭취시킨 결과, 인슐린저항성 개선효과를 판정하는 주요 지표인 혈압,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HOMA-IR 등의 수치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조한 기능성식품조성물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에 있어서 인슐린저항성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조성물은 인슐린저항성 개선효과를 판정하는 주요지표인 혈압,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HOMA-IR의 수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기능성식품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한 도이다.

Claims (12)

  1.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
  2. 보리, 메밀 및 현미를 전처리하고, 곡류에 따라 물의 부피와 침지시간을 달리하여 침지시켜 불린 다음, 약 1 내지 5 kg/m2 증기압에서 증기에 찌고 건조시킨 후 볶고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후, 보리: 메밀: 현미를 약 3-5 : 2-4 : 2-4의 일정한 혼합비로 혼합한 기능성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리: 메밀: 현미의 혼합비가 약 4: 3: 3인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는 찹쌀현미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에 따른 물의 부피는 보리부피의 약 0.1 내지 3 배, 메밀부피의 약 0.1 내지 1.5배, 현미부피의 약 0.1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에 따른 침지시간은 보리의 경우 약 1분 내지 120분, 메밀의 경우 약 1분 내지 120분, 현미의 경우 약 1분 내지 15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건조시킨 후 볶을 때 각각 약 80 내지 150 ℃에서 약 1분 내지 10분 동안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
  9.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제 1항 또는 제 8항의 기능성식품조성물 외에 기타 식품 성분을 함유하는 식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또는 음료 형태인 식품.
  11.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제 1항 또는 제 8항의 기능성식품조성물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14685A 2004-03-04 2004-03-04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9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685A KR20050089333A (ko) 2004-03-04 2004-03-04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685A KR20050089333A (ko) 2004-03-04 2004-03-04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333A true KR20050089333A (ko) 2005-09-08

Family

ID=3727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685A KR20050089333A (ko) 2004-03-04 2004-03-04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1260A (en) Medical food composition of reduced allergenicity, e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gut mucosal integrity
WO2008127063A1 (en) A method for preparing the inclusion complex of ginseng extract with gamma-cyclodextrin,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Del Castillo et al. Healthy eating recommendations: good for reducing dietary contribution to the body’s advanced glycation/lipoxidation end products pool?
US20010018090A1 (en) Calorie reducing agent
JP5965916B2 (ja) キウイフルーツ由来の心保護剤
KR101686898B1 (ko) 여주 및 산수유를 이용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GB2404561A (en) A starch and/or sucrose substitute comprising a low glycaemic index sugar and a flavonoid
US20220117275A1 (en) Food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iabetes, comprising schisandra chinensis fruit juice and bean ju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0275288A (ja) 宿酔を予防及び改善する機能性組成物とこれを含む食品及び食品添加剤
KR20110030028A (ko) 흑마늘 초콜렛
KR20170079107A (ko) 콩비지와 감자를 이용한 옹심이의 제조방법
KR101016961B1 (ko) 유효성분으로 당조고추, 맥문동, 둥글레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 활성이 증진된 차 조성물
KR20090019964A (ko) 치아 종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124930A (ko) 녹두앙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89333A (ko)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2310B1 (ko) 숙취 해소 및 흡연으로 인한 코티닌 대사 향상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 그를 함유한 식품 및 식품 첨가제
KR100690071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Aminu et al. Doum fruit (Hyphaene thebaica (L.) Mart.) supplementation improves glycemic index of wheat flour bread in apparent healthy volunteers
KR20200074355A (ko)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KR20050080339A (ko) 비만증 및 복부비만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Ijinu et al. Nutritional and Medicinal Potential of Local and Seasonal Foods of India
Varzakas et al. Other sweeteners
Nnadi Effect of Low Glycaemic Index and Glycaemic Load Mixed Meals on Postprandial Plasma Glucose in type 2 Diabetes Patients
Ame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REE SUGAR JELLY MADE WITH LEAFY VEGETABLES AS A FUNCTIONAL FOOD.
KR20060113042A (ko) 당뇨병 개선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