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191A - 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191A
KR20050089191A KR1020040014494A KR20040014494A KR20050089191A KR 20050089191 A KR20050089191 A KR 20050089191A KR 1020040014494 A KR1020040014494 A KR 1020040014494A KR 20040014494 A KR20040014494 A KR 20040014494A KR 20050089191 A KR20050089191 A KR 2005008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lower case
upper cover
air conditioner
seat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191A/en
Publication of KR2005008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191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배면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전면부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하는 배면 흡입 전면 토출 방식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를 작동시키는 각종 전기장치 및 각종 부품을 구동시키는 전장부품이 수용되는 전장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back suction front discharge type system in which indoor air is sucked to the rear to discharge cooled air to the front part,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various parts for operating the indoor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art structure in which electrical parts for driving the housing are accommodat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는 상측부에 소정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상부 덮개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며, 내부에 기판이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가 포함되는 전장부; 및 상측부에 상기 하부 케이스가 안착되는 오리피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ll length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in which a groov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upper sid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upper cover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front frame and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having a substrate seated therein; And an orifice in which the lower case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에 의하여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전장부 내에 장착되는 전기장치 기타 구동부 제어 장치의 과열로 발생되는 화재의 위험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part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indoor unit and reducing the risk of fire caused by overheating of the electric device or the drive unit control device mounted in the electric part.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구조{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배면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전면부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하는 배면 흡입 전면 토출 방식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를 작동시키는 각종 전기장치 및 각종 부품을 구동시키는 전장부품이 수용되는 전장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back suction front discharge type system in which indoor air is sucked to the rear to discharge cooled air to the front part,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various parts for operating the indoor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art structure in which electrical parts for driving the housing are accommodated.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sucked to the front surface and discharged to the front surfac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path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unit.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10)는, 리모콘의 신호가 수신되어 에어컨의 작동여부가 표시되는 표시부(21)가 포함되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으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접촉되어, 상기 흡입 공기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와, 상기 필터(30)와 상기 전면 패널(20)이 안착되어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35)과, 상기 전면 프레임(35)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열교환기(60)와, 상기 열교환기(60)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60)를 거친 저온의 실내공기를 빨아들이는 송풍팬(50)과, 상기 송풍팬(50)에 의하여 흡입된 저온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리피스(70)와, 상기 오리피스(7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장착된 베이스(40)가 포함된다. 1, 2, and 3,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0 includes a front panel 20 including a display unit 21 on which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to indicate whether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and the front panel. In contact with the indoor air suck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anel 20, the filter 3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take air, and the filter 30 and the front panel 20 is seated to form a front portion A heat exchanger 60 which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intake air by contacting the front frame 35, 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front frame 35, and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heat exchanger 60; Blowing fan 50 for sucking the low-temperature indoor air passed through the (60), orifice 7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n the low-temperature state sucked by the blowing fan 50, and the orifice 70 Bay equipped with discharge part through which air guided by (40) is included.

상세히, 열교환기(60) 외벽에 응축되어 떨어지는, 공기속의 수분이 포집되는 드레인 팬(80)이 포함되고, 상기 오리피스(70)의 상측부에는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75)가 안착된다.In detail, a drain pan 80, which condenses on the outer wall of the heat exchanger 60 and collects moisture in the air, is included, and an upper portion 75 of the orifice 70 controls the driv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t is seated.

더욱 상세히, 상기 베이스(40)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오리피스(7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50)으로 흡입된 저온의 공기가 상측으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기의 좌우측면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가이드(90)가 안착된다.In more detail,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ase 40, the low-temperature air sucked into the blowing fan 50 through the orifice 70 is not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the air flows so as to discharg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door unit A flow guide 90 for guiding the seat is seated.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컨 실내기(10)의 기능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실내기(10)의 전면 패널(20)에 장착된 표시부(21)에 리모콘 또는 수동에 의해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부가 개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구된 부분이 흡입구(25)가 된다.First, when an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by a remote controller or a manual unit on the display unit 21 mounted on the front panel 20 of the indoor unit 10,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In other words, the opened portion becomes the suction port 25.

또한, 상기 실내기(10) 내부에 장착된 모터(미도시)가 작동되면 상기 송풍팬(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흡입구(25)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tor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indoor unit 10 is operated, the blowing fan 50 is rotated, and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5.

흡입된 실내 공기는 공기 필터(30)를 거쳐 정화된 후 열교환기(6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열교환기(60)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는 매우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60)와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나는 실내 공기의 온도는 떨어지게 된다.The sucked indoor air is purified through the air filter 30 and then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Since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heat exchanger 60 are very low, the sucked indoor air Is deprived of heat while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60). Thu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drops.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난 실내 공기는 오리피스(70)를 통해 송풍팬(50)으로 유입되고, 상기 송풍팬(50)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31)(33)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is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50 through the orifice 7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50 is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s 31 and 33.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의 경우, 실내 공기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실내기 내부에 전장부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오리피스 기타 다른 구성요소의 크기에 제한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전장부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상기 전장부에 장착되는 전기장치 기타 전장부품을 구동하는 장치들간의 폭이 좁아지게 되어 과열이 되는 경우 화재의 위험성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front and discharged to the front. Therefore, the space for mounting the electric parts inside the indoor unit is narrowed, thereby limiting the size of the orifice and other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fire increases when the size of the electric parts is reduced and the width between the devices for driving the electric devices and other electric parts mounted on the electric parts is narrowed, resulting in overheat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내공기가 배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전장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넓혀서 실내기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dopting a method in which the indoor air is sucked to the back and discharged to the front,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hat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indoor unit by increas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electric parts It aims to provide.

또한,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서 전장부의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hat reduces the risk of fir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electric field 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indoor unit.

또한, 상기 전장부를 실내기 내부에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전장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lefield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inside the indoor unit.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는 상측부에 소정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상부 덮개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며, 내부에 기판이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가 포함되는 전장부; 및 상측부에 상기 하부 케이스가 안착되는 오리피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in whic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an upper side there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upper cover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front frame and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having a substrate seated therein; And an orifice in which the lower case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장부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고, 과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can be easily detach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isk of fire that can occur from overheating is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below,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You can easily suggest.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이다.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외관은,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어 전면 커버를 형성하며, 양측에 토출구(121)가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패널(110) 사이에 장착되는 토출구 개폐장치(500)와, 상기 토출구 개페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400)와,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어 배면 커버를 형성하는 베이스(160)와,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로 들어오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포함된다.4 and 5, the ex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nel 110, the front panel 110 is seated to form a front cover, the discharge opening ( 121 is provided with a front frame 120, a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0 mounted betwe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front panel 110, and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 A discharge cover 400 for opening and closing 121, a base 160 coupled to the front frame 120 to form a rear cover, and a pipe cover for receiving various pipes formed under the indoor unit and entering the indoor unit. 190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된다.In detail,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sucked indoor air is discharg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20, and a suction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160 to suck the indoor air.

상세히, 상기 베이스(160)의 상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면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0)의 양측 경사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제안가능함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에는 그물 형태의 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upper suction port 161 formed on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base 160 and the central suction port 162 formed on the center surface of the base 160 are included.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the inlet can be formed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base 160 from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uction ports 161 and 162 may have a grille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may be filtered first.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중앙 흡입구(162)에 형성된 흡입그릴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진 실내공기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 등을 재차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lt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60 to again filter out fine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indoor air that are primarily filtered by the suction grille formed in the upper suction port 161 and the central suction port 162. Filter insertion hole 163 is inserted may be formed.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가는 공기의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161)(162) 및 필터 삽입구(163)를 통하여 흡입된 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The movement path of the air entering the indoor unit 100 is sucked through at least one suction port 161 and 162 and the filter insertion hole 163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160, and then the front frame 120. Is discharged through at least one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40)와, 상기 오리피스(14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150) 및 상기 열교환기(15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베이스(16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6,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anel 110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100, and a front frame on which the front panel is seated to form a front part ( 120, a blower fan 130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120 to suck indoor air, and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blower fan 130 and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An orifice 140 for guiding a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r, and a heat exchanger 150 and the heat exchanger 150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orifice 140 and contacting the sucked ai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uction air. It is formed on the back side, and includes a base 160 coupled to the front frame 120.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121)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장치(500)가 장착된다.In detail, a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opening 121 is mounted between the front panel 110 and the front frame 120.

또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는 전면 패널(110), 전면 프레임(120), 송풍팬(130), 오리피스(140), 열교환기(150), 및 베이스(160)의 순서로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nit is assembled in the order of the front panel 110, the front frame 120, the blowing fan 130, the orifice 140, the heat exchanger 150, and the base 160 in order. It is characterized by.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공(145)과,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양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공기 안내 가이드(141)와, 상기 공기 안내공(145)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하측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와, 상기 하부 공기 안내 가이드(14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가 실내로 분산 토출되도록 하는 하측 토출구 도어(143)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orifice 140 has an air guide hole 145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to the blower fan 130,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guide hole 145 is guided to both sides. The upper air guide guide 141 is formed on the side, the lower air guide guide 14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in order to guide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guide hole 145 to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air The lower discharge port door 143 is configured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air guided by the guide guide 142 to the room.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오리피스(140) 사이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2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전장부(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device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betwe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orifice 140 to rotate the blower fan 130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20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is further formed, A drain pan 180 is formed below the heat exchanger 150 to collect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상기 드레인 팬(180)의 하측에는 상기 드레인 팬(180) 및 상기 실내기(100)와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더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ipe cover 190 is further formed below the drain pan 180 to accommodate various pipes connected to the drain pan 180 and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spirit of one complete inven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each part will be described.

먼저, 전면 패널(1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의 일 측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여부 및/또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미도시)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창(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깔끔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해,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도안을 첨가할 수 있다.First, the front panel 11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In addition, a window 111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panel 110 so that a display unit (not shown) showing whether the indoor unit 100 is operated and / or the operating state can be seen.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aesthetics of the indoor unit look neat and beautiful, the front panel 110 may be attac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or a pattern may be added.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이 부착되고, 테두리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테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50)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측면 토출구(121) 및 저면 토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ont frame 120 is attached to the front panel 110, the edg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side discharge port 121 and a bottom discharge port 123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each of the edges through which the air cooled by the indoor unit 100 and cool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0 may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front panel 110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front frame 120, or may be moved to the left and / or right to allow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indoor unit (100).

또한,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배면에 부착된 모터(5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실내기(100)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fan 1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500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0, so that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the blowing fan 130 may be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according to the size or use of the indoor unit (100).

또한,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내공(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142)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결정되어 토출구(121)(123)로 토출된다. In addition, the orifice 140 serves to guide the flow of air sucked into the blower fan 130,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guide hole 145 is the air guide guides 141 and 142.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air is determined by the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1, 123).

상세히,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는 토출구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4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냉각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장치(144)와, 사용자 또는 유아 등의 손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송풍팬(130)에 의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46)이 더 포함된다.In detail, the air guide guide 141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number of discharge ports. Then,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44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orifice 140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cooling air discharged whil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lower fan 130 when a user or infant's hand is introduced. Safety net 146 is further included to prevent injury by).

또한, 상기 열교환기(150)는 다수 회 굴곡된 열교환 파이프(151)로 이루어 지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151)내에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지나온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150 is composed of a heat exchange pipe 151 bent a plurality of times, the refrigerant in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stat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not shown) flows in the heat exchange pipe 151.

따라서, 실내기(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0)를 지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되어 저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흡입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는 냉각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응축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면적은 넓을수록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 형태에 있어서 평평한 사각 형태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is deprived of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0, thereby bringing it to a low temperature state. In this process,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intake air may be cooled to condense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In addition, the larger the area of the heat exchanger 150 is, the more excellent the cooling effect is, so that the shape may be inclined at a flat rectangular shape or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drain pan 180 is formed below the heat exchanger 150 to collect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oes not leak from the indoor unit 100.

또한, 상기 베이스(160)는 적어도 일측에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측 흡입구(161)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흡입구(16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형태 및 개수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기의 용적 및 형태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61)(16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는 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오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In addition, the base 160 is formed with an upper suction port 16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indoor air can be sucked on at least one side, and a central suction port 16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160, The shape and number of suction ports can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volume and shape of the indoor unit. In addition, the suction ports 161 and 162 have grills formed to cross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impuritie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entering the indoor unit 100 are primarily filtered.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흡입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베이스(160)와 상기 열교환기(15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불순물이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삽입구(163)는 실내 공기의 흡입구가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filter insertion opening 163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160 to insert a filter (not shown) to filter out impurities such as dust included in intake air. The filt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ase 160 and the heat exchanger 150 to prevent impuritie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In addition, the filter insertion hole 163 may be an intake port of indoor air.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테두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자유로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측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명백하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base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indoor unit 100 can be freely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the suction port can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from the idea of

또한, 상기 베이스(160)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또는 걸림홈(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ok or lock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base 160 to allow the indoor unit 100 to be attached thereto.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장부의 상부 덮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cover of an electr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장부(200)는 상부 덮개(210)와, 상기 상부 덮개(2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서로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220)로 이루어 지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PCB기판 및 커패시터 등이 장착된다.Referring to FIG. 7, the electrica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ver 210 and a lower case 220 positioned below the upper cover 210 and coupled to each other. PCB board and capacitor are installed.

상세히, 상기 상부 덮개(210)는 일측면 테두리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덮개 고정단(216)과, 측면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전면 프레임 체결홈(213)이 포함된다.In detail, the upper cover 210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edge and at least one upper cover fixing end 216 inserted into the front frame 120, and formed on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ront frame ( 120 includes a front frame fastening groove 213 into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is inserted.

또한, 상기 상부 덮개(210)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내에 장착되는 제 1 기판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부품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분리벽(2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215)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후술함)와 결합하는 결합돌기 삽입단(2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215)의 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후크(후술함)가 끼워지는 후크 걸림단(21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210 is formed with a separation wall 215 which serves to prevent the transition to other components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substrate mounted in the lower case 220. 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end 212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paration wall 215 to engage with a coupling protrusion (to be described lat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se 220. In addition, a hook engaging end 211 into which a hook hook (to be described later) formed at a sid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220 is inserted at a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separation wall 215.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장부의 하부 케이스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8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case of an electr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structure of the lower cas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장부의 하부 케이스(220) 외주면은, 일측면 하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140)와 결합되는 안착리브(224)와, 타측면 하단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측면 연장단(225)과, 상기 측면 연장단(225)을 관통하여 상기 오리피스(140)와 결합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부재 삽입홈(223)이 포함된다.8 and 9, the outer case surface of the lower cas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one end of the lower side, and a seating rib 224 coupled to the orifice 140 and the other, A side extension end 225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a lower side of the side and a fastening member insertion groove 223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side extension end 225 to be coupled to the orifice 140 are included. .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분으로 구획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기판(240)과, 상기 제 1 기판(240)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 2 기판(250)이 안착된다.In addition, the lower case 220 is divided into two parts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substrate 240 form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substrate 25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240 ) Is seated.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220)가 두 부분으로 나뉘는 이유는, 상기 하부 케이스(200) 내부에 장착되는 PCB 기판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품의 제작공정이 용이하게 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류가 많이 흐르는 전기 부품 또는 고전압 발생기와 같이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부품과 관련된 전기 회로는, 다른 부분과 별개의 기판으로 분리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lower case 220 is divided into two parts, as shown in the figure, by reducing the size of the PCB substrate mounted in the lower case 200, thereby preventing cracks from occurring and producing a single product. It is because there is a characteristic which becomes easy. This is because an electric circuit associated with a high-current electric component or a component that supplies a high voltage, such as a high voltage generator, has a feature that can reduce the risk of fire by separating it into a separate substrate from other portions.

다시 말하면, 제 1 기판(240)은 고전압 또는 고전류가 흐르는 ac(alternate current;교류전류)부분이며, 상기 제 2 기판은 많은 전류의 흐름을 요하지않는 dc(direct current) 부분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substrate 240 is an ac (alternate current) portion through which a high voltage or high current flows, and the second substrate is a dc (direct current) portion that does not require much current flow.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일측면에는 커패시터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측면 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덮개(210)에 구비된 걸림후크 걸림단(211)에 삽입되는 걸림후크(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벽면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210)의 분리벽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삽입단(21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mounting portion 230 for mounting a capacit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220. In addition, a hook hook 222 inserted into the hook hook hook end 211 provided in the upper cover 21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220. 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221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end 212 formed at the end of the separation wall of the upper cover 21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of the lower case 220.

도 10은 상기 전장부가 안착되는 오리피스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ifice in which the electric parts are seated.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장부(200)는 상기 오리피스(140)의 공기 안내 가이드(141) 상측부에 안착된다. Referring to FIG. 10, the electrical unit 200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ir guide guide 141 of the orifice 140.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140)는 일측면에 상기 전장부(20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리브(224)가 삽입되는 안착리브 삽입부(2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200)의 저면 타측에 형성되는 체결부재 삽입홈(223)과 맞닿아,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 보스(270)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orifice 140 has a seating rib inserting part 260 into which a seating rib 224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component part 200 is inserted into one side. Then, the fastening boss 27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member insertion groove 22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component part 200 to insert the fastening member.

더욱 상세히, 상기 안착 리브 삽입부(260)는 상기 오리피스(140)의 상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 상기 안착리브(224)를 지지 하기 위한 안착리브 받침단(263)과, 상기 안착리브(224)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는 안착리브 분리대(2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리브 삽입부(260)의 상측면과 상기 안착리브 받침단(263) 사이에는 상기 안착리브(224)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되는 안착리브 삽입홈(2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리브(224)를 상기 안착리브 삽입홈(261)에 삽입하면, 상기 안착리브 받침단(263)에 의하여 상기 안착리브(224)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리브(224)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안착리브 분리대(262)가 끼워진다.In more detail, the seating rib insertion part 26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rifice 140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groov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ide surface. In addition, a seating rib support end 263 for supporting the seating rib 224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220, and a seating rib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eating rib 224 into two parts. 262 is formed. In addition, a seating rib insertion groove 261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rib insertion part 260 and the seating rib receiving end 263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ating rib 224. Therefore, when the seating rib 224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rib insertion groove 261, the seating rib 224 is supported by the seating rib support end 263. In addition, the mounting rib separator 262 is fitted into a groove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mounting rib 224.

또한, 상기 안착리브 삽입부(260)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체결보스(270)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체결보스 삽입홈(223)과 맞닿아,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22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27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상기 측면 연장단(225)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하부 케이스(2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체결 연장단 안착 리브(271)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체결 연장단 안착 리브(271)와 상기 체결보스(270)는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boss 270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ing rib inserting portion 260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boss insertion groove 22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se 220, by the fastening member It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220. In addition, when the side extension end 225 is seated on the upper and / or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boss 270, the fastening extension seating ribs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lower case 220 is horizontal. 271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fastening extension seating rib 271 and the fastening boss 270 are formed to protrude to the same height.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장부의 상부 덮개가 안착되는 전면 프레임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frame in which the upper cover of the electr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장부의 상부 덮개(210)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전면 상측부에 형성되는 상부 덮개 안착홈(125)에 안착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upper cover 210 of the electr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the upper cover seating groove 125 formed at the upper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120.

상세히, 상기 상부 덮개 안착홈(125)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상부덮개 고정단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덮개 고정단 삽입홈(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덮개 안착홈(125)의 일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 덮개(210)에 형성된 전면 프레임 체결홈(213)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상부 덮개 체결보스(12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 덮개 체결보스(123)는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In detail, an upper cover fixing end insertion groove 126 for inserting the upper cover fixing end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cover seating groove 125. In addition, an upper cover fastening boss 123 is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upper cover seating groove 125 to insert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front frame fastening groove 213 formed in the upper cover 210. do. In detail, the upper cover fastening boss 123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the edg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부 덮개(210)를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기 상부 덮개(210)의 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부덮개 고정단(216)을 상기 상부덮개 고정단 삽입홈(126)에 비스듬히 끼운다. 그리고, 상기 상부 덮개(210)를 내려서 상기 전면 프레임 체결홈(213)이 상기 상부덮개 체결 보스(123)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보스를 상기 전면 프레임 체결홈(213)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210)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단단히 고정된다.Therefore, in order to seat the upper cover 210 on the front frame 120, a user first inserts the upper cover fixing end 216 formed at the side edge of the upper cover 210 into the upper cover fixing end insertion groove ( 126) at an angle. The front cover fastening groove 213 is seated on the upper cover fastening boss 123 by lowering the upper cover 210. In addition, the upper cover 210 is firmly fixed to the front frame 120 by inserting the fastening boss into the front frame fastening groove 213.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에 의하여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전장부 내에 장착되는 전기장치 기타 구동부 제어 장치의 과열로 발생되는 화재의 위험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side the indoor unit by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risk of fire caused by overheating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drive unit control unit mounted in the electronic unit is reduced It works.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sucked to the front and discharged to the front.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도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path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장부의 상부 덮개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cover of the electric par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장부의 하부 케이스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Figure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case of the electric par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case of the lower case.

도 10은 상기 전장부가 안착되는 오리피스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ure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ifice in which the full length is seated.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장부의 상부 덮개가 안착되는 전면 프레임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ure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frame in which the upper cover of the electric par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전면 패널 120 : 전면 프레임 130 : 송풍팬110: front panel 120: front frame 130: blowing fan

140 : 오리피스 150 : 열교환기 160 : 베이스140: orifice 150: heat exchanger 160: base

180 : 드레인 팬 190 : 배관 커버 200 : 전장부180: drain pan 190: piping cover 200: total length

210 : 상부 덮개 220 : 하부 케이스 240 : 제 1 기판210: upper cover 220: lower case 240: first substrate

250 : 제 2 기판 260 : 안착리브 삽입부 270 : 체결 보스250: second substrate 260: seating rib insertion portion 270: fastening boss

Claims (9)

상측부에 소정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A front frame in whic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상기 전면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상부 덮개와,An upper cover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front frame;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며, 내부에 기판이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가 포함되는 전장부; 및An electronic part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including a lower case on which a substrate is mounted; And 상측부에 상기 하부 케이스가 안착되는 오리피스;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An orifice on which the lower case is seated on the upp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테두리부에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덮개 고정단과,At least one upper cover fixing end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rim,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체결홈이 포함되는 상부 덮개; 및An upper cover including a front frame fastening groove formed at one edge; And 상기 상부 덮개 고정단이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홈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덮개 고정단 삽입홈과, At least one upper cover fixing e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im of the groove in order to insert the upper cover fixing end, 상기 전면 프레임 체결홈과 맞닿아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홈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덮개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In order to contact the front frame fastening groove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the front frame is provided with an upper cover fastening boss is forme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the edge of the groove; rescu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두 부분으로 구획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분리벽과, The upper cover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lower case is divided into two parts. 상기 분리벽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 삽입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wall is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rojection insertion end for coupling with the low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하부 케이스가 두 부분으로 구획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분리벽과,The upper cover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lower case is divided into two parts. 상기 분리벽의 일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걸림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The electric wire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dividing wall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hook engaging e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 케이스는 내부에 두 개의 기판이 안착되도록 분리 구획되며, 내측 벽에 상기 상부 덮개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The lower case is partitioned so that two substrates are seated therein, and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for coupling with the upper cover is inclu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일측면 내벽에 상기 상부 덮개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 후크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The lower case has at least one hook hook for engaging with the upper cover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air conditioner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리피스에 안착되기 위하여 외주면 하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리브가 포함되는 하부 케이스; 및A lower case including a seating rib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a lower end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seated on the orifice; And 상기 안착리브가 삽입되기 위한 안착리브 삽입부가 구비되는 오리피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An orifice having a seating rib inserting portion for inserting the seating ribs; Full length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안착리브 삽입부는 상기 오리피스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와 길이로 연장형성되며,The seating rib insertion portion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rific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상기 안착리브의 두께에 해당하는 안착리브 삽입홈과, Seating rib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ating rib, 상기 안착리브 삽입시 상기 안착리브를 지지하는 안착리브 받침단과,A seating rib support end for supporting the seating rib when the seating rib is inserted; 상기 안착리브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안착리브 삽입후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리브 분리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The electric part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seating rib is separated into two parts, and a seating rib separator for preventing shaking after the seating rib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리피스에 결합되기 위하여 외주면 하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연장단과,A side extension e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a low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coupled to the orifice; 상기 측면 연장단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체결부재 삽입홈이 포함되는 하부 케이스; 및A lower case form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side extension end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to allow the fastening member to pass therethrough; And 상기 체결부재 삽입홈과 맞닿아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체결 보스와,A fastening bos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member insertion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member; 상기 측면 연장단이 안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연장단 안착 리브가 포함되는 오리피스;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 구조.An orifice in which the lateral extension end is seated and at least one fastening extension seating rib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lower case is horizontal; Full length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KR1020040014494A 2004-03-04 2004-03-04 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200500891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94A KR20050089191A (en) 2004-03-04 2004-03-04 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94A KR20050089191A (en) 2004-03-04 2004-03-04 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191A true KR20050089191A (en) 2005-09-08

Family

ID=3727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494A KR20050089191A (en) 2004-03-04 2004-03-04 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19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967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5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8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72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73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6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967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5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8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72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73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0056966A (en) * 2019-05-10 2019-07-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hang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57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3994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50089191A (en) A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0770708B1 (en) A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75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491791B1 (en) Air Conditioner
KR100584295B1 (en) A front frame moun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1081217B1 (en) A bas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054768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81554B1 (en) Air conditioner
KR20050089194A (en) A pipe coverage mounting structure
KR101086612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050089942A (en) A motor suppor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0553037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020043856A (en) A filter&#39;s foundation structure of the ceiling type air-conditioner
KR101081155B1 (en) A filter inser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127061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7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84296B1 (en) An orifice moun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20050089199A (en) A drain pan moun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0547676B1 (en) Air guide frame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054768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84290B1 (e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054768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211713Y1 (en) Indoor Room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