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680B1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680B1
KR100547680B1 KR1020030070215A KR20030070215A KR100547680B1 KR 100547680 B1 KR100547680 B1 KR 100547680B1 KR 1020030070215 A KR1020030070215 A KR 1020030070215A KR 20030070215 A KR20030070215 A KR 20030070215A KR 100547680 B1 KR100547680 B1 KR 10054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unit
sucked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4326A (en
Inventor
박태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680B1/en
Publication of KR2005003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3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6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구를 배면에 위치되게 하고 토출구를 전면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배면에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전면으로 토출되게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indoor air sucked from a rear side is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by placing an intake port at a rear side and a discharge port located at a front side.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 및/또는 상하측면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상기 오리피스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결합되며, 배면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panel; A front frame on which the front panel is seated, a front part is formed, and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 or upper and lower side edge portions, and a discharge port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 blowing fan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to allow indoor air to be sucked; An orific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blowing fan and guiding a direction of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A heat exchanger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orifice and contacting the sucked ai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uction air; And a bas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heat exchanger, coupled to the front frame, and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a rear center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흡입구가 실내기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기 운전시 및 정지시에 열교환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흡입구로 부터 토출구까지 실내공기가 일직선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유동에 의한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unit, so that the heat exchang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and stop of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air flows straight from the inlet port to the outlet port. By forming a,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friction and noise caused by the air flow.

전면 패널, 전면 프레임, 송풍팬, 열교환기, 오리피스, 베이스Front Panel, Front Frame, Blower Fan, Heat Exchanger, Orifice, Base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sucked to the front and discharged to the front.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도 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path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Figure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sucked through the back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상기 실내기의 전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전면 패널 120 : 전면 프레임 130 : 송풍팬110: front panel 120: front frame 130: blowing fan

140 : 오리피스 150 : 열교환기 160 : 베이스140: orifice 150: heat exchanger 160: base

170 : 전장부 180 : 드레인 팬 190 : 배관 커버170: total length portion 180: drain pan 190: piping cover

200 : 벽면 300 : 설치걸이 400 : 걸이홈200: wall 300: mounting hook 400: hook groov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흡입구를 배면에 위치하게 하고 토출구를 전면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배면에서 흡입된 실내공기가 전면으로 토출되게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 which indoor air sucked from the rear side is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by placing an intake port at a rear side and a discharge port at a front side.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및 증발과정이라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의 경우, 냉매가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에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온도와 압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을 흡수한 다음, 응축기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a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erein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ir conditioner,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n heat is released to the outside from the condenser, and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drop considerably whil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The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absorbs heat, and then enters the condenser again.

여기서, 상기 압축과정, 응축과정 및 팽창과정은 에어컨의 실외기 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증발과정은 실내기의 송풍팬과 열교환기에 의하여 수행된다.Here, the compression process, the condensation process and the expansion process are performed in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evapor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e blower fan and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또한, 상기 에어컨은 크게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시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is largely divided into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s mounted in one body and installed in a window, and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city and an outdoor unit by separating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또한,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설치방법에 따라 벽걸이형, 상치형, 천정 걸이형 및 천정 매립형 등으로 구분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t is classified into a wall-mounted type, an upper tooth type, a ceiling-hanger type, and a ceiling-embedded typ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또한, 벽걸이형이나 상치형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천정 걸이형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구조의 실내기를 컨버터블형 실내기라고 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wall-mounted or upper teeth type, and can also be used as a ceiling-mounted typ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is called a convertible indoor unit.

도 1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실내기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sucked to the front surface and discharged to the front surfac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path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unit.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10)는, 리모콘의 신호가 수신되어 에어컨의 작동여부가 표시되는 표시부(21)가 포함되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으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접촉되어, 상기 흡입공기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와, 상기 필터(30)와 상기 전면 패널(20)이 안착되어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35)과, 상기 전면 프레임(35)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열교환기(60)와, 상기 열교환기(60)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60)를 거친 저온의 실내공기를 빨아들이는 송풍팬(50)과, 상기 송풍팬(50)에 의하여 흡입된 저온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오리피스(70)와, 상기 오리피스(7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장착된 베이스(40)가 포함된다. 1, 2, and 3,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0 includes a front panel 20 including a display unit 21 on which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to indicate whether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and the front panel. The filter 30 which contacts the indoor air suck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anel 20 to filter ou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uction air, and the filter 30 and the front panel 20 are seated to form a front part. A heat exchanger 60 which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intake air by contacting the front frame 35, 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front frame 35, and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heat exchanger 60; Blowing fan 50 for sucking the low-temperature indoor air passed through the (60), orifice 7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n the low-temperature state sucked by the blowing fan 50, and the orifice 70 Base equipped with discharge part through which air guided by 40 is included.

상세히, 열교환기(60) 외벽에 응축되어 떨어지는, 공기속의 수분이 포집되는 드레인 팬(80)이 포함되고, 상기 오리피스(70)의 상측부에는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75)가 안착된다.In detail, a drain pan 80, which condenses on the outer wall of the heat exchanger 60 and collects moisture in the air, is included, and an upper portion 75 of the orifice 70 controls the driv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t is seated.

더욱 상세히, 상기 베이스(40)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오리피스(7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50)으로 흡입된 저온의 공기가 상측으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기 의 좌우측면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90)가 안착된다.In more detail, i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ase 40, the low-temperature air sucked into the blower fan 50 through the orifice 70 is not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the air flows to discharg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door unit The flow guide 90 for guiding is seated.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컨 실내기(10)의 기능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실내기(10)의 전면 패널(20)에 장착된 표시부(21)에 리모콘 또는 수동에 의해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면 패널(20)의 상측부가 개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구된 부분이 흡입구(25)가 된다.First, when an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by a remote controller or a manual unit on the display unit 21 mounted on the front panel 20 of the indoor unit 10,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In other words, the opened portion becomes the suction port 25.

또한, 상기 실내기(10) 내부에 장착된 모터(미도시)가 작동되면 상기 송풍팬(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흡입구(25)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tor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indoor unit 10 is operated, the blowing fan 50 is rotated, and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5.

흡입된 실내 공기는 공기 필터(30)를 거쳐 정화된 후 열교환기(6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열교환기(60)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는 매우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60)와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나는 실내 공기의 온도는 떨어지게 된다.The sucked indoor air is purified through the air filter 30 and then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Since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heat exchanger 60 are very low, the sucked indoor air Is deprived of heat while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60). Thu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drops.

상기 열교환기(60)를 지난 실내 공기는 오리피스(70)를 통해 송풍팬(50)으로 유입되고, 상기 송풍팬(50)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31)(33)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0 is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50 through the orifice 7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50 is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s 31 and 33.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의 경우, 실내 공기가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구조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실내 공기는 실내기의 전면으로 흡입되어 전면 양측면 및 하측면으로 토출되는 구조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front and discharged to the front. In more detail,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is discharged to the front both sides and the lower side.

따라서, 흡입구에서 토출구로 이어지는 실내 공기의 유동경로가 일직선이 아니라 "U"자 형태 또는 "L"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기의 유동 경로가 일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실내기에 비해 공기의 유동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공기의 유동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기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flow path of the indoor ai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is not in a straight line but in a "U" shape or a "L" shap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is increased compared to an indoor unit in which the flow path of the air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ise occurs in the indoor unit as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increases.

또한, 상기 흡입구(25) 및 토출구(31)(33)가 실내기 전면(前面)의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경우, 상기 흡입구(25)의 면적이 제한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60)와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port 25 and the discharge ports 31 and 33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the area of the suction port 25 is limited, so that the indoor air to be sucked is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60.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becomes small.

또한, 상기 흡입구(25)가 전면에 위치되는 경우, 전면 패널(20)이 개구되는 경우 열교환기(60)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port 25 is located at the front surface, when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exchanger 6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ppearance is not good.

또한, 상기 흡입구(25)가 전면에 위치되는 경우, 전면으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가 다시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되어, 실내공간의 실제 온도보다 상기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정확한 온도 데이터를 공기조화기가 얻지 못하게 되어 실내기(10)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port 25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the low-temperature air discharged to the front surface is again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5,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5 than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A problem arises that becomes low. As a result, the air conditioner does not obtain accurate temperature data,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indoor unit 10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흡입구가 실내기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기 운전시 및 정지시에 열교환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heat exchang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and stop of the indoor unit by making the suction port formed on the back of the indoor unit. It is done.

또한, 배면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흡입구로부터 토출구까지 실내 공기가 일직선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heat exchanger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uction port and the blower fan so that indoor air forms a straight flow path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실내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직선형태에 가깝도록 함으로써, 공기 유동에 의한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reduce the friction and noise caused by the air flow by making the flow path of the air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close to the straight form as described above.

또한, 흡입구가 실내기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토출된 저온의 공기가 다시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take port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an indoor unit so that discharged low-temperature air is not sucked back into the intake port.

또한, 흡입구가 실내기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흡입구의 면적을 넓혀서 열교환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시킴과 동시에, 전면 패널부의 활용도를 높이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by forming an intake port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unit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exchanger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intake port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front pane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 및/또는 상하측면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 상기 오리피스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결합되며, 배면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panel; A front frame on which the front panel is seated, a front part is formed, and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 or upper and lower side edge portions, and a discharge port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 blowing fan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to allow indoor air to be sucked; An orific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blowing fan and guiding a direction of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A heat exchanger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orifice and contacting the sucked ai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uction air; And a bas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heat exchanger, coupled to the front frame, and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a rear center thereof.

삭제delete

상기된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의 배면으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By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unit is discharged to the front.

또한, 상기 흡입 공기의 유로가 직선형태를 이룸으로써 실내기의 효율이 증가하고, 유동 손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w path of the intake air is linear, the efficiency of the indoor unit is increased, and the flow loss is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I can suggest.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실내기의 배면 사시도이다.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외관은,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어 전면 커버를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어 배면 커버를 형성하는 베이스(160)와,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오는 각종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포함된다.4 and 5, the ex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110 and a front frame 120 on which the front panel 110 is seated to form a front cover. And a base 160 coupled to the front frame 120 to form a rear cover, and a pipe cover 190 formed below the indoor unit to accommodate various pipes entering the indoor unit 100.

상세히,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62)가 형성된다.In detail, a discharge port 121 through which the sucked indoor air is discharg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20, and a suction port 16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160 to suck the indoor air.

또한, 상기 흡입구는 그물 형태의 흡입 그릴이 형성되어, 실내 공기내에 포함된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일차적으로 정화작용이 일어난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the suction grill of the net form, by filtering the bulky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door air, the first purification action occurs.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면에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삽입구(163)를 통하여 삽입되는 필터에 의해, 흡입구(162)의 흡입 그릴을 통하여 걸러진 실내공기가 2차적으로 걸러진다.In addition, a filter insertion opening 163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160, and the indoor air filtered through the suction grille of the suction opening 162 may be formed by a filter inserted through the filter insertion opening 163. Filter by car

여기서, 상기 필터 삽입구(163)의 위치와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다양한 위치와 형태가 제안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Her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lter insert 163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positions and shape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posed.

상기 실내기(100)로 들어가는 공기의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부에 흡입구(162)를 통하여 흡입된 뒤,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121)를 통하여 토출되게 된다.The movement path of the air entering the indoor unit 100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62 at the center of the base 160 and then through at least one discharge port 121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20. It will be discharged.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40)와, 상기 오리피스(14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150) 및 상기 열교환기(150)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베이스(16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6,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anel 110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100, and a front frame on which the front panel is seated to form a front part ( 120, a blower fan 130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120 to suck indoor air, and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blower fan 130 and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An orifice 140 for guiding a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r, and a heat exchanger 150 and the heat exchanger 150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orifice 140 and contacting the sucked ai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uction air. It is formed on the back side, and includes a base 160 coupled to the front frame 120.

또한,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는 전면 패널(110), 전면 프레임(120), 송풍팬(130), 오리피스(140), 열교환기(150), 및 베이스(160)의 순서로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nit is assembled in the order of the front panel 110, the front frame 120, the blowing fan 130, the orifice 140, the heat exchanger 150, and the base 160 in order. It is characterized by.

상세히,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공(144)과,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형성된 토출구의 위치 또는 형상에 따라, 소정의 형태 및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 안내 가이드(141) 및 풍향 조절장치(142)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orifice 140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guide hole 144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to the blowing fan 130 and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front frame 120. Air guide guide 141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42 is formed in the position is included.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120)과 상기 오리피스(140) 사이의 상측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장부(17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더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mounted in the upper space betwe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orifice 140, and further formed of the electric part 170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motor and the electric components to rotate the blowing fan 130, A drain pan 180 is formed below the heat exchanger 150 to collect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또한, 상기 드레인 팬(180)의 하측에는 상기 드레인 팬(180) 및 상기 실내기(100)와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이 수용되는 배관 커버(190)가 더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ipe cover 190 is further formed below the drain pan 180 to accommodate various pipes connected to the drain pan 180 and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spirit of one complete inven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이하에서는 각 부분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each part will be described.

먼저, 전면 패널(1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의 일 측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여부 및/또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상기 실내기의 미관을 깔끔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해,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도안을 첨가할 수 있다.First, the front panel 11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And, one side of the front panel 110 may be formed with a display unit (not shown) showing the operation state and /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100.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aesthetics of the indoor unit look neat and beautiful, the front panel 110 may be attac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or a pattern may be added.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이 부착되고, 테두리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테두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50)를 거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장치(12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내측 중앙면에는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ont frame 120 is attached to the front panel 110, the edg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 cooled by the indoor unit 100 and cool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each edge. In addition,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125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nd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blower fan 13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entral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0. It may be mounted. In addition, the front panel 110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front frame 120, or may be moved to the left and / or right to allow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indoor unit (100).

또한,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 부착된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로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0)은 상기 실내기(100)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fan 1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ttached to the front frame 120, so that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the blowing fan 130 may be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according to the size or use of the indoor unit (100).

또한, 상기 오리피스(140)는 상기 송풍팬(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내공(144)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결정되어 토출구(121)로 토출된다. In addition, the orifice 140 serves to guide the flow of air sucked into the blower fan 130,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guide hole 144 is provided by the air guide guide 141. The direction of air flow is determined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1.

상세히, 상기 공기 안내 가이드(141)는 토출구(121)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air guide guide 141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discharge holes 121.

또한, 상기 열교환기(150)는 다수 회 굴곡된 열교환 파이프(151)로 이루어 지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151)내에는 팽창 밸브(미도시)를 지나온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흐르고 있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150 is composed of a heat exchange pipe 151 bent a plurality of times, the refrigerant in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state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not shown) flows in the heat exchange pipe 151.

따라서, 실내기(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0)를 지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되어 저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흡입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는 냉각되어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응축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면적은 넓을수록 냉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 형태에 있어서 평평한 사각 형태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드레인 팬(180)이 형성되어, 실내기(100)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is deprived of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0, thereby bringing it to a low temperature state. In this process,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intake air may be cooled to condense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In addition, the larger the area of the heat exchanger 150 is, the more excellent the cooling effect is, so that the shape may be inclined at a flat rectangular shape or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drain pan 180 is formed below the heat exchanger 150 to collect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oes not leak from the indoor unit 100.

또한, 상기 베이스(160)는 중앙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구(16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162)는 그물 형태의 흡입그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160 has a suction port 162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can be suck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uction hole 162 may have a suction grill in the form of a net.

상기 흡입구(162)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는 벽면에 설치할 때, 벽면과 소정의 간격 만큼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uction port 16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160,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wall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일측에는 흡입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lter insertion opening 163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160 to insert a filter (not shown) to filter out impurities such as dust included in intake air.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삽입구(163)의 위치 및 형상은 본 발명 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An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lter insertion port 163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히, 상기 필터부는 상기 베이스(160)와 상기 열교환기(15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50)의 표면에 불순물이 점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filter uni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ase 160 and the heat exchanger 150 to prevent impuritie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50.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테두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자유로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dge of the base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indoor unit 100 can be freely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또한, 상기 베이스(160) 중앙 면의 적어도 일 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또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가 모서리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모서리 부위에 상기 걸림구 또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central surface of the base 16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hole or a locking groove (not shown) to allow the indoor unit 100 to be attached to a wall surface. In addition, when the indoor unit 100 is attached to the corner, the locking hole or the lock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배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7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ir is suck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가 작동되면 상기 송풍팬(130)이 회전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160)의 중앙 흡입구(162)를 통하여 흡입된다.Referring to FIG. 7, 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indoor unit 100 and a motor is operated, the blowing fan 130 is rotated so that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central inlet 162 of the base 160. .

상기 흡입구(16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필터부를 거치면서 불순물이 걸러지게 되고, 정화된 공기는 열교환기(150)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50)를 통과함으로써,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상기 송풍팬(130)과 오리피스(140)에 도달하게 된다.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62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and the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0. In addition, by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50, the air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reaches the blowing fan 130 and the orifice 140.

상기 오리피스(140)에 형성된 공기 안내 가이드(141)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 흐름이 결정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에 형성된 토출구(121)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The flow of air is determined by the air guide guide 141 formed in the orifice 140, and is discharged back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1 formed in the front frame.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100)가 모서리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는, 상기 흡입구(162)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는,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입구(162)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edge wall surface, air may be sucked through the inlet 162. However, when the indoor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the air may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62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도 8은 상기 실내기의 전면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a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양측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측면 토출구(121)와, 상측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상측 토출구(미도시)와, 하측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하측 토출구(123)가 형성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 at least on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front frame 120 as described above, and side discharge holes 121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of the front frame and upper edge portions may be formed. The upper discharge port (not shown) to be formed, and the lower discharge port 123 formed in the lower edge portion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정면부의 가장자리에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전면 패널(11)의 좌우 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정면 토출구(미도시)도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a rectangular discharge hol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frame 120, so that a front discharge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ront panel 11.

또한,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시, 각각의 토출구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each discharge port may be set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이격되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으로부터 소 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가능하다. Referring to Figure 9,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wal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세히, 상기 실내기(100)의 베이스(160)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이홈(400)이 형성되고, 상기 실내기(100)가 설치될 벽면(200)에는 소정 간격만큼 돌출되어 형성된 설치걸이(300)가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a hook groove 400 for allowing the indoor unit 100 to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200 is formed at the base 160 of the indoor unit 100, and the wall surface 200 on which the indoor unit 100 is to be installed. )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ok 300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가 벽면(2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베이스의 중앙면에도 흡입구가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고, 따라서, 많은 양의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실내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door unit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2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inlet can be installed in the center surface of the base, and thus, a large amount of indoor air is sucked in, thereby improving indoor unit efficiency.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또한, 상기 실내기(100)가 벽면의 모서리부분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160)의 경사진 측면에도 걸이홈(400)이 형성 가능함을 밝혀 둔다.In addition, it turns out that the hook groove 400 can be formed on the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base 160 so that the indoor unit 100 can be install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상기 설치걸이(300) 및 걸이홈(400)의 형상 또는 부착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내기(100)의 크기 또는 부착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방식이 제안가능하다.The shape or attachment method of the installation hanger 300 and the hook groove 40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hapes or methods may be proposed depending on the size or attachment location of the indoor unit (100).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흡입구가 실내기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기 운전시 및 정지시에 열교환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unit, thereby preventing the heat exchang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indoor unit operation and stop.

또한, 배면 흡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흡입구로부터 토출구까지 실내공기가 일직선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유동에 의한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heat exchanger between the rear suction port and the blower fan, the indoor air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to form a straight flow path,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 and noise caused by the air flow.                     

또한, 흡입구가 실내기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토출된 저온의 공기가 다시 흡입구로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charged low-temperature air is not sucked back into the suction port.

또한, 흡입구가 실내기의 배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흡입구의 면적을 넓혀서 열교환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시킴과 동시에, 전면 패널부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door unit, there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suction port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exchanger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front panel.

Claims (7)

삭제delete 전면 패널;Front panel;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전면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 및/또는 상하측면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A front frame on which the front panel is seated, a front part is formed, and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 or upper and lower side edge portions, and a discharge port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상기 전면 프레임의 후측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A blowing fan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to allow indoor air to be sucked; 상기 송풍팬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오리피스;An orific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blowing fan and guiding a direction of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상기 오리피스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흡입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열교환기; 및 A heat exchanger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orifice and contacting the sucked ai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uction air; And 상기 열교환기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결합되며, 배면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heat exchanger, and coupled to the front frame, the base is formed in the rear inle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흡입구에는 그물 형태의 그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lle is formed in the net inle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흡입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insertion opening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to insert a filter for purifying the intake 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70215A 2003-10-09 2003-10-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215A KR100547680B1 (en) 2003-10-09 2003-10-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215A KR100547680B1 (en) 2003-10-09 2003-10-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326A KR20050034326A (en) 2005-04-14
KR100547680B1 true KR100547680B1 (en) 2006-01-31

Family

ID=3723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215A KR100547680B1 (en) 2003-10-09 2003-10-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6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8700B (en) * 2017-06-05 2019-08-16 深圳市建恒测控股份有限公司 Air-conditioning system efficient heat, the calculation method of efficiency and energy flow chart display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326A (en)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68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75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7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7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7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8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53037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54767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7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4768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30070A (en) Air conditioner
KR100547676B1 (en) Air guide frame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1086612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584295B1 (en) A front frame moun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20050048777A (en) Mobile air conditioner
KR101158114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624737B1 (en) Air conditioner
KR100705079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1081217B1 (en) A bas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100484936B1 (en) Air Conditioner
KR10054768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84296B1 (en) An orifice moun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20050089942A (en) A motor support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KR200312143Y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indraft grill of indoor unit for room air-conditioner
KR20050089201A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