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096A -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096A
KR20050089096A KR1020040014261A KR20040014261A KR20050089096A KR 20050089096 A KR20050089096 A KR 20050089096A KR 1020040014261 A KR1020040014261 A KR 1020040014261A KR 20040014261 A KR20040014261 A KR 20040014261A KR 20050089096 A KR20050089096 A KR 2005008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monitor
horizontal
web p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437B1 (ko
Inventor
안병익
정보현
차경찬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1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4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인지 또는 제1 모니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인지를 먼저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2 모니터이면 제1 모니터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산출한 후, 산출한 해상도 중 수평 해상도를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따라 일정 크기 확대한다. 이후, 일정 크기 확대한 수평 해상도에 따라, 웹페이지를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기존)웹페이지의 해상도를 커진 모니터 크기에 맞는 해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OLUTION OF TERMINAL MONITOR IMAGE}
본 발명은 단말기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는 비디오 모드에 따라서 서로 다른 RGB 신호가 입력되면, 공장에서 모니터 제작 당시에 입력 RGB 신호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미리 설정해 놓은 표준 신호 중에서 가장 유사한 신호를 선택한 후, 선택된 신호의 타이밍으로 입력 RGB 신호에 따른 화면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미리 설정해 놓은 표준 신호 중에서 가장 유사한 신호를 선택하여 화면 편차를 조정하는 방식은 비디오 모드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입력되는 RGB 비디오 신호에 대한 적정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화면 편차(크기 및 위치)를 수시로 재조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근래 들어서는 휴대 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사용자 단말기의 하드웨어(hardware)적인 모니터 크기에 맞춰 그에 적절한 무선 인터넷 웹페이지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즉, 단말기 모니터 크기별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상도 조정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고해상도의 웹페이지가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다.
해상도(resolution)란, 섬세한 부분이 어느 정도 세밀하게 재현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로서, 수직 해상도와 수평 해상도로 나누어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에서는 화면이 높이 사이에 같은 간격으로 번갈이 그은 흑백 수평 방향의 선을 몇 개까지 나타낼 수 있는지로 수직 해상도를 나타내며, 높이와 같이 길이 사이에 번갈아 그은 흑백 수직 방향의 선이 몇 개가 재현되는지로 수평 해상도를 나타낸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 역시, 무선 인터넷 웹페이지를 개발하는 CP(Contents Provider)로 하여금 더 큰 크기의 LCD 모니터가 등장할 때 마다 기존의 웹페이지 및 컨텐츠(contents)를 커진 LCD 모니터 크기에 맞춰 재개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준다. 이처럼, LCD 모니터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이유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 기호에 맞춰 LCD 모니터 크기가 커질 경우,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기존)웹페이지의 해상도를 커진 모니터 크기에 맞는 해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기존)웹페이지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단말기 모니터별 크기에 맞는 해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는,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LOGIGAL MONITOR)인지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PHYSICAL MONITOR)인지를 확인하는 정보 수신/분석부; 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산출하는 해상도 산출부; 상기 산출한 해상도 중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따라 일정 크기 증가시키는 해상도 조절부; 및 상기 일정 크기 증가된 수평 해상도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상기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제공한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해상도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은,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LOGIGAL MONITOR)인지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PHYSICAL MONITOR)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b)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 c)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따라 일정 크기 증가시키는 단계; 및 d)상기 일정 크기 증가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LOGIGAL MONITOR)인지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PHYSICAL MONITOR)인지를 확인하는 기능; b)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를 산출하는 기능; c)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따라 일정 크기 증가시키는 기능; 및 d)상기 일정 크기 증가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기가 메모리 상에 표현하는 논리적인 해상도 화면을 제1 모니터(Logical LCD)라 명명하고, 단말기가 화면에 표현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를 갖는 물리적인 해상도 화면을 제2 모니터(Physical LCD)라 명명한다. 이때, 제2 모니터는 제1 모니터 보다 더 큰 크기이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영상별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가로 및 세로 해상도라 명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1~200n)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1~200n)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 Contents Provider)와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제1 모니터(Logical LCD) 또는 제2 모니터(Physical LCD) 크기에 맞는 웹페이지, 즉 콘텐츠(contents)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1~200n)로 제공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에 대해 알아보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201~200n)를 이용하여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함과 동시에 접속한 웹사이트를 관리하는 서버, 즉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부터 웹페이지를 제공 받는다.
이때,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는 HTML 헤더 정보에 웹페이지의 해상도 정보(웹페이지를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로 및 세로 해상도)를 추가하여 사용자 단말기(201~200n)로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부터 웹페이지별 해상도 정보를 제공받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가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 단말기 모니터별 해상도 정보를 먼저 제공하여 그에 맞는 웹페이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수신된 해상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해상도 조절을 시작한다.
먼저,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단말기 모니터의 크기가 수신된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인지, 아니면 수신된 웹페이지를 가독성이 떨어지게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니터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가 제1 모니터이면 수신된 웹페이지를 별도의 해상도 조절 작업 없이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반면, 확인 결과 단말기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먼저 수신된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를 산출한다.
먼저,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해상도 정보 중, 가로 해상도(Wc)를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L)로 산출한 후, 산출한 가로 해상도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 비율(Wc/Wp)을 구한다. 그리고,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구한 가로 해상도 비율(Wc/Wp)에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를 곱한 결과값을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로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가로 및 세로 해상도(WL, HL)에 따라 수신한 웹페이지를 화면으로 구성한 후, 이를 제2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최적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확대한다. 확대시,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가로 해상도 비율(Wc/Wp)에 따라 확대한다.
즉,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가로 해상도(Wc/Wp)가 1:1.3이면,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를 0.3배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는 앞서 구한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는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 산출시,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를 이미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증가시킨 가로 해상도에 맞게 화면을 재구성하여 제2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제2 모니터에는 가로 길이를 꽉 체운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아래 부분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스크롤 또는 버튼 등을 이용하여 아래로 화면을 내려보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단말기의 LCD 모니터 크기에 따라 웹페이지를 재개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줌으로써, 독창적인 웹페이지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기존)웹페이지의 해상도를 커진 모니터 크기에 맞는 해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모니터 정보 관리부(110)와 정보 수신/분석부(120), 해상도 산출부(130), 해상도 조절부(140), 영상 표시부(150) 및 해상도 정보 제공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관리부(410)와 웹페이지 제공/관리부(420)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모니터 정보 관리부(110)는 해상도 조절 장치(100)가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 모니터의 크기 및 크기에 맞는 적절한 해상도 등과 같이 모니터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즉, 모니터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인지 또는 제1 모니터 보다 더 큰 화면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인지를 파악하여 관리하며, 관리하는 모니터 관련 정보 역시 함께 관리한다.
정보 수신/분석부(120)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부터 헤더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헤더 정보에 해상도 정보(최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정보 수신/분석부(120)는 파악한 해상도를 기준으로 단말기 모니터의 크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 크기인지 또는 제2 모니터 크기인지를 분석한다.
해상도 산출부(130)는 분석 결과 단말기 모니터가 영상을 정상 출력할 수 없는 제2 모니터 크기이면, 수신된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모니터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WL, HL)를 산출한다.
또한, 해상도 산출부(130)는 수신된 헤더에 해상도 정보가 없으면 일반적인 단말기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120 또는 176)를 참조하여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L)를 산출하기도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해상도 산출부(130)는 먼저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 제공받은 가로 해상도(Wc)를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L)로 산출한 후, 제1 및 제2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 비율(Wc/Wp)에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를 곱한 결과값을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로 산출한다.
해상도 조절부(140)는 산출한 가로 및 세로 해상도(WL, HL)에 따라 웹페이지를 구성한 후, 이를 제2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최적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확대한다. 확대시, 해상도 조절부(140)는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가로 해상도 비율(Wc/Wp)에 따라 확대한다.
영상 표시부(150)는 확대한 해상도에 맞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해상도 정보 제공부(160)는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 크기에 맞는 해상도 정보를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 제공(uploading)하여 모니터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관리부(410)는 단말기 모니터별 크기에 맞는 가로 및 세로 해상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1~200n)로 제공 및 관리한다.
웹페이지 제공/관리부(420)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1~200n)로 웹페이지를 제공 및 관리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01)를 이용하여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접속한 웹사이트를 관리하는 서버, 즉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부터 웹페이지를 제공 받는다(S310).
이후, 정보 수신/분석부(110)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부터 HTML 헤더 정보를 제공(S320)받는데, 정보 수신/분석부(110)는 제공 받은 헤더 정보에 웹페이지의 해상도(웹페이지를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30).
그리고, 정보 수신/분석부(110)는 사용자의 단말기 모니터가 확인된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인지 또는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제2 모니터인지를 함께 확인한다.
확인 결과, 웹페이지(컨텐츠)의 가로 해상도(Wc)가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해상도 산출부(130)는 가로 해상도(Wc)를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L)로 산출(S340)한 후, 산출한 가로 해상도(Wc)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가로 해상도 비(Wc/Wp)를 구한다. 그리고, 구한 가로 해상도 비(Wc/Wp)에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를 곱한 결과값을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로 산출한다(S360). 이러한 제1 및 제2 모니터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에 대한 표시예가 첨부한 도 4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니터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조절 방법에 따라 제1 모니터(Logical LCD)의 해상도(WL×HL)가 제2 모니터(Physical LCD)의 크기에 맞게 Wp×Hp로 확대된다.
한편, 확인 결과 웹페이지의 가로 해상도(Wc)가 헤더 정보에 없으면, 해상도 산출부(130)는 일반적인 단말기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120 또는 176)를 참조하여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L)를 산출한다(S350).
또한, 확인 결과 사용자의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이면 해상도 조절 작업을 생략한다.
이후, 해상도 조절부(140)는 산출한 가로 및 세로 해상도(WL, HL)에 따라 웹페이지를 구성한 후, 이를 제2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최적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확대한다(S370). 확대시, 해상도 조절부(140)는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가로 해상도 비율(Wc/Wp)에 따라 확대한다.
즉, 해상도 조절부(140)는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가로 해상도(Wc/Wp)가 1:1.3이면,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를 0.3배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는 앞서 구한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는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 산출시,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를 이미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해상도 조절부(140)는 증가시킨 가로 해상도에 맞게 화면을 재구성하며, 영상 표시부(150)는 재구성한 화면을 제2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S380). 그러면, 제2 모니터에는 가로 길이를 꽉 채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아래 부분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스크롤 또는 버튼 등을 이용하여 아래로 화면을 내려 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아래 부분은 버튼 등을 통해 내려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로 길이를 고해상도로 꽉 채울 수 있는 부분에 중점에 두어 해상도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해상도 정보 제공부(160)는 단말기 모니터별 해상도 정보(최적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가로 및 세로 해상도로서, 보통 120×160)를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로 업로딩(uploading)한다(S510). 이때, 해상도 정보 제공부(160)는 기존에 이미 개발되어 공급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의 해상도 정보를 업로딩한다.
그리고, 해상도 조절 장치(100)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400)의 웹페이지 제공/관리부(420)로부터 업로딩한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를 수신한다(S520).
이후, 해상도 산출부(130)는 업로딩한 해상도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L)를 먼저 산출한다(S530).
자세히 설명하면, 해상도 산출부(130)는 업로딩한 해상도 정보 중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b)를 제1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WL)로 산출하며, 제1 및 제2 모니터의 가로 해상도 비율(Wb/Wp)에 제2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p)를 곱한 결과값을 제1 모니터의 세로 해상도(HL)로 산출한다(S540).
이후, 해상도 조절부(140)는 산출한 가로 및 세로 해상도(WL, HL)에 따라 웹페이지를 화면으로 임시 구성(S550)한 후, 이를 제2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최적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확대한다(S560). 확대시, 해상도 조절부(140)는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가로 해상도 비율(Wb/Wp)에 따라 확대한다.
이후, 영상 표시부(150)는 확대한 해상도에 맞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S57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의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은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기존)웹페이지의 해상도를 커진 모니터 크기에 맞는 해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모니터별 크기에 따라 웹페이지를 재개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줌으로써, 독창적인 웹페이지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은 단말기 모니터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웹페이지를 재개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줌으로써, 독창적인 웹페이지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기존)웹페이지의 해상도를 커진 모니터 크기에 맞는 해상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모니터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LOGIGAL MONITOR)인지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PHYSICAL MONITOR)인지를 확인하는 정보 수신/분석부;
    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산출하는 해상도 산출부;
    상기 산출한 해상도 중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따라 일정 크기 증가시키는 해상도 조절부; 및
    상기 일정 크기 증가된 수평 해상도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상기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제공한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해상도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분석부는,
    상기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헤더 정보에 상기 웹페이지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해상도 정보가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포함된 해상도 정보 중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산출한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와 상기 제2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상기 제2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를 곱한 결과값을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해상도 정보가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않으면, 적정 크기를 가진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산출부는,
    상기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해상도 정보 제공부가 제공한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공한 해상도 중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제공 장치는,
    단말기 모니터별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관리부; 및
    상기 해상도 정보 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 및 관리하는 웹페이지 제공/관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9.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LOGIGAL MONITOR)인지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PHYSICAL MONITOR)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b)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
    c)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따라 일정 크기 증가시키는 단계; 및
    d)상기 일정 크기 증가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e)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상기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제공한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를 상기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헤더 정보에 상기 웹페이지의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해상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포함된 해상도 정보 중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와 상기 제2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상기 제2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를 곱한 결과값을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해상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않으면, 적정 크기를 가진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웹페이지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해상도 정보 제공부가 제공한 해상도에 맞는 웹페이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공한 해상도 중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방법.
  15.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 해상도를 조절하여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웹페이지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제1 모니터(LOGIGAL MONITOR)인지 또는 상기 제1 모니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제2 모니터(PHYSICAL MONITOR)인지를 확인하는 기능;
    b)상기 단말기 모니터가 제2 모니터이면, 상기 제1 모니터의 수평 해상도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의 수직 해상도를 산출하는 기능;
    c)상기 산출한 수평 해상도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간의 수평 해상도 비율에 따라 일정 크기 증가시키는 기능; 및
    d)상기 일정 크기 증가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단말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40014261A 2004-03-03 2004-03-03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57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61A KR100575437B1 (ko) 2004-03-03 2004-03-03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61A KR100575437B1 (ko) 2004-03-03 2004-03-03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096A true KR20050089096A (ko) 2005-09-07
KR100575437B1 KR100575437B1 (ko) 2006-05-03

Family

ID=3727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261A KR100575437B1 (ko) 2004-03-03 2004-03-03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4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71B1 (ko) * 2006-08-22 2008-03-07 엔에이치엔(주) 해상도에 따라 콘텐츠 영역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WO2009055190A1 (en) * 2007-10-23 2009-04-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resolution of display device in mobile computing devices
WO2011053060A3 (ko) * 2009-10-29 201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7045401A1 (zh) * 2015-09-18 2017-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工作方法
KR20190037598A (ko) * 2017-09-29 2019-04-08 이정민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71B1 (ko) * 2006-08-22 2008-03-07 엔에이치엔(주) 해상도에 따라 콘텐츠 영역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WO2009055190A1 (en) * 2007-10-23 2009-04-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resolution of display device in mobile computing devices
WO2011053060A3 (ko) * 2009-10-29 201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9001159B2 (en) 2009-10-29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7045401A1 (zh) * 2015-09-18 2017-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工作方法
KR20190037598A (ko) * 2017-09-29 2019-04-08 이정민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437B1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1675B2 (ja) ウェブブラウザ及びビデオディスプレイ用のビデオ解像度制御
EP1603111A1 (en) Scroll display control
KR10125321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영상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1040358A1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CN111984351A (zh) 页面适配方法、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2024979A1 (zh) 页面布局自适应方法及装置
CN110598140A (zh) 页面调整方法、装置及服务器
KR100575437B1 (ko)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WO2005025206A1 (ja) メディア受信装置、メディア受信方法及びメディア配信システム
JP2003140632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01198231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웹 페이지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단말기
KR1008102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편집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프리뷰하는 방법
WO2022193475A1 (zh) 显示设备、接收投屏内容的方法及投屏方法
CN114816295A (zh) 屏幕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4056469A (ja) 電子機器装置とそのメディア再生方法
KR10067748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징 방법
JP2004336439A (ja) 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サーバ装置
TWI384392B (zh) 行動裝置上之網頁呈現方法
KR20100035919A (ko)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웹페이지 표시방법
KR100565034B1 (ko) 축소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CN111552449B (zh) 一种大屏远程切换控制平台的使用方法
CN213846891U (zh) 大屏幕设备监控显示系统
KR100935520B1 (ko) 모바일 단말에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변환서버, 모바일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78284A (ko) 메뉴 배경화면 편집이 가능한 영상기기 및 그 메뉴배경화면 편집방법
KR100598582B1 (ko) 단말기 모니터의 영상 크기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